KR101696601B1 -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601B1
KR101696601B1 KR1020160073840A KR20160073840A KR101696601B1 KR 101696601 B1 KR101696601 B1 KR 101696601B1 KR 1020160073840 A KR1020160073840 A KR 1020160073840A KR 20160073840 A KR20160073840 A KR 20160073840A KR 101696601 B1 KR101696601 B1 KR 101696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delivery
item
items
wa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하
Original Assignee
온미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미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온미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3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거래처와의 협업적인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상품의 주문처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출주문품목별 또는 입주문품목별로, 각 주문품목을 참조하고 있는 배송품목들의 수량을 합계한 주문품목 배송수량을 계산하고, 주문수량에서 배송수량을 차감하여 주문품목 대기수량을 계산하는 단계;
품목구분코드 별로, 출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와 입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를 계산하여, 상기 출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와 상기 입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 중 작은 값을 취소가능수량으로 정하는 단계;
품목구분코드 별로, 출주문품목들과 입주문품목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취소가능수량을 상기 주문품목 대기수량 내에서 배분하여 주문품목 취소수량을 계산하는 단계;
출주문품목들과 입주문품목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주문품목 대기수량에서 상기 주문품목 취소수량을 차감하여 배송대기수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따르면, 거래처 사이의 협업적 주문처리 상황에서 발생하는 입주문과 출주문, 입배송과 출배송을 별도의 데이터 구조나 모듈로 구분하지 않고, 입주문과 출주문의 통합구조와 입배송과 출배송의 통합구조 기반에서 효과적인 주문처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의 처리 방법{Processing Method For Goods Order in Electronic Commerce System}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거래처와의 협업적인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상품의 주문처리 방법 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수주(이하, 입주문으로 통칭함)와 발주(이하, 출주문으로 통칭함), 보내는 경우의 배송(이하, 출배송으로 통칭함)과 받는 경우의 배송(이하, 입배송으로 통칭함)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주문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상거래에서는, 쇼핑몰 통합 판매관리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주문을 수집하고, 자원관리 시스템이나 물류 시스템 등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연계하여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주문, 배송, 재고 처리를 유기적으로 통합하지 못하고 있으며, 입주문에 대한 출배송 처리라는 제한적인 관점에서 주문을 처리하기 때문에, 교환주문이나 취소주문에 의한 입배송 상황조차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오프라인 판매의 경우에는, 실물을 확인한 후 구매가 이루어지고, 주문처리도 판매시점에 한꺼번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환이나 취소 등의 예외적인 상황이 드물게 발생하지만, 전자 상거래를 이용하는 온라인 판매의 경우에는 교환이나 취소 등의 예외적인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온라인 판매에 있어서는 교환주문이나 취소주문을 처리할 수 있는 상황을 전제하여 주문을 처리해야 한다.
한편, 거래처와의 협업적인 환경에서는, 출주문은 거래처의 입주문이 되고, 출배송은 거래처의 입배송이 되며, 협업적인 환경이 아니라 하더라도, 취소주문이나 교환주문에 의해 발생하는 반품배송을 입배송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상거래용 서비스 서버에서는 출배송과 입배송을 하나의 통합구조로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주문품목에 있어서도 보내야 하는 품목과 받아야 하는 품목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하나의 통합구조로 정의할 필요가 있다.
결국, 전자 상거래의 다수의 쇼핑몰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이 효율적으로 주문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전자 상거래용 서비스 서버에서 주문처리를 일원화하여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 2002-39314(2002.05.25일 공개)
상기에서 기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용 서비스 서버에서 입주문과 출주문, 입배송과 출배송을 각각 하나의 통합 구조로 정의하여, 거래처와의 협업적인 환경에도 적용할 수 있는 상품의 주문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출주문품목별 또는 입주문품목별로, 각 주문품목을 참조하고 있는 배송품목들의 수량을 합계한 주문품목 배송수량을 계산하고, 주문수량에서 배송수량을 차감하여 주문품목 대기수량을 계산하는 단계;
품목구분코드 별로, 출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와 입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를 계산하여, 상기 출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와 상기 입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 중 작은 값을 취소가능수량으로 정하는 단계;
품목구분코드 별로, 출주문품목들과 입주문품목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취소가능수량을 상기 주문품목 대기수량 내에서 배분하여 주문품목 취소수량을 계산하는 단계;
출주문품목들과 입주문품목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주문품목 대기수량에서 상기 주문품목 취소수량을 차감하여 배송대기수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따르면, 거래처 사이의 협업적 주문처리 상황에서 발생하는 입주문과 출주문, 입배송과 출배송을 별도의 데이터 구조나 모듈로 구분하지 않고, 입주문과 출주문의 통합구조와 입배송과 출배송의 통합구조 기반에서 효과적인 주문처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정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정보와 배송품목의 참조 관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품목과 배송품목의 참조 관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문품목 구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주문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대기수량 계산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주문과 배송 정보 구성 예시도.
도 6은 도 5의 예시에 본 발명에 따른 배송대기수량 계산 방식을 적용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협업적 배송처리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단위주문들의 구성에 따른 주문 처리단계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정상단계, 교환단계, 취소단계에서의 처리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주문의 처리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고 처리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장 처리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입출고 처리상태와 송장 처리상태를 고려한 배송의 처리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단위주문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주문과 주문품목, 배송과 배송품목의 관계도.
이하, 거래처 시스템과 택배사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전자 상거래용 서비스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주문 처리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정보(100)의 구성도로 정상주문(110), 교환주문(120), 취소주문(13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주문의 정상주문(110)은 다수의 출주문품목(111)을 포함하고, 교환주문(120)은 다수의 출주문품목(121)과 다수의 입주문품목(122)을 포함하며, 취소주문(130)은 다수의 입주문품목(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정상주문(110)이 접수된 후, 다수의 교환주문(120)이 추가적으로 접수될 수 있으며, 취소주문(130)은 정상주문(110) 또는 다수의 교환주문(120) 이후에 접수될 수 있으며, 취소주문(130)이 접수된 경우 더 이상 주문을 접수할 수 없다.
입주문의 경우, 정상주문(110)은 출주문품목(111)으로 구성하여 등록하고, 교환주문(120)은 기존 품목을 입주문품목(122)으로 하고 신규 품목을 출주문품목(121)으로 구성하여 등록하고, 취소주문(130)은 취소될 품목들을 입주문품목(131)으로 구성하여 등록한다.
이러한 입주문에 대응하는 출주문의 경우, 정상주문은 입주문품목으로 구성하여 등록하고, 교환주문은 기존 품목을 출주문품목으로 구성하고 신규 품목을 입주문품목으로 구성하여 등록하고, 취소주문은 취소될 품목들을 출주문품목으로 구성하여 등록한다.
또한, 물물교환 상황에서의 정상주문의 경우, 출주문품목과 입주문품목이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처리는 정상주문에 교환주문이 발생한 상황의 처리와 유사하기 때문에 쉽게 확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정보(200)와 배송품목(201)의 참조 관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정보(200)는 다수의 배송품목(201)을 포함할 수 있고, 배송품목(201)은 단위주문(210)의 주문품목(211)을 주문품목번호를 이용하여 참조(220)하며, 다수의 배송품목(201)이 하나의 주문품목(211)을 참조(220)할 수 있다. 이때, 배송에 포함된 배송품목들이 참조하는 주문품목들은 서로 다른 단위주문에 속할 수도 있고, 묶음 배송의 경우 서로 다른 주문에 속할 수도 있다.
또한, 주문품목(211)의 주문수량을 한 번에 모두 배송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해당 주문품목은 다수의 배송품목으로 분리되어 배송될 수 있으며, 다수의 배송품목들을 한 번에 배송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배송품목(201)들이 하나의 배송정보(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취인이 동일한 2개 이상의 배송을 하나로 묶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서로 다른 주문에 속하는 주문품목들이 하나의 배송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입출 관계에 따른 주문품목과 배송품목의 참조 관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배송(300)에 속하는 배송품목(301)은 출주문품목(302)을 참조(303)하고, 입배송(310)에 속하는 배송품목(311)은 입주문품목(312)을 참조(313)한다.
이때, 출주문품목(302)은 출배송(300), 입주문품목(312)은 입배송(310)의 대상이 되고, 주문품목의 주문수량이 한 번에 모두 배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주문품목은 다수의 배송품목으로 분리되어 배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정상주문 발생 후, 교환주문이 발생한 경우의 주문품목 구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주문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수량 3개(402), 품목구분코드 A(403)인 출주문품목(401)을 가지는 정상주문(400)이 발생한 후에, 주문수량 2개(412), 품목구분코드 A(413)인 입주문품목(411)과, 주문수량 2개(415), 품목구분코드 B(416)인 출주문품목(414)을 가지는 교환주문(410)이 발생한 경우로, 출주문품목(401)과 입주문품목(411)은 동일한 품목구분코드(A)를 가지고 있다.
이때, 동일한 품목구분코드를 갖는 주문품목들은 서로 독립적인 주문품목들이 아니기 때문에, 별개로 처리할 수 없다. 또한, 출주문품목(401)이 배송 처리되지 않았다면, 입주문품목(411) 2개는 반품될 수 없기 때문에, 배송처리 없이 단순 취소되어야 하고, 배송 처리가 되었다면, 입주문품목(411) 2개는 반품되어야 하기 때문에 취소수량의 계산은 매우 중요하다. 취소수량은 주문이 접수되는 시점이나, 배송정보가 등록된 시점, 배송정보가 취소 또는 삭제된 시점마다 계산을 해야 한다.
출주문품목 별 또는 입주문품목 별 취소수량과 배송대기수량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계산된다.
(1) 주문품목별 배송수량 계산: 출주문품목별 또는 입주문품목별로, 각 주문품목을 참조하고 있는 배송품목들의 수량 합계
(2) 주문품목별 대기수량 계산: 출주문품목별 또는 입주문품목별로, 주문수량에서 배송수량을 차감(주문수량-배송수량)
(3) 출주문품목 대기수량 계산: 품목구분코드 별 출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
(4) 입주문품목 대기수량 계산: 품목구분코드 별 입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
(5) 취소가능수량 계산: 출주문품목 대기수량과 입주문품목 대기수량 중 작은 값
(6) 출주문품목별 취소수량 계산: 출주문품목들을 대상으로 취소가능수량을 출주문품목 대기수량 이하 범위에서 배분
(7) 입주문품목별 취소수량 계산: 입주문품목들을 대상으로 취소가능수량을 입주문품목 대기수량 이하 범위에서 배분
(8) 출주문품목 별 또는 입주문품목 별 배송대기수량 계산: 출주문품목 별 또는 입주문품목 별 대기수량에서 출주문품목 별 또는 입주문품목 별 취소수량을 차감(대기수량-취소수량)
이때, 배송대기수량이 0인 경우 더 이상 배송처리를 시작할 수 없으며, 이후 교환주문이나 취소주문이 발생하는 경우나 배송처리 중 배송정보 등록을 취소하는 경우에,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해 배송대기수량을 계산한다. 배송정보가 등록되는 시점에서는 등록된 수량만큼 차감하여 배송대기 수량을 계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상기의 배송대기수량 계산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주문과 배송 정보 구성 예시도이다.
도시한 예의 주문(500)은, 정상주문(501) 발생 후, 주문품목 A 1개를 주문품목 B 1개로 교환하는 주문(502)과, 주문품목 A 2개와 교환된 주문품목 B 1개를 주문품목 C로 교환하는 주문(503)이 발생한 상황이다.
또한, 배송(510)은, 정상주문(501)의 주문품목 A 3개가 출배송(511)되고, 정상주문(501)의 주문품목 A 1개와 교환주문(502)의 주문품목 B 1개가 출배송(512)된 상황과 교환주문(502)의 주문품목 A 1개가 입배송(513)된 상황이다.
그리고, 수량계산표(520)는 주문품목별 출주문수량, 입주문수량, 최종주문수량, 출배송수량, 입배송수량, 최종배송수량의 계산결과이다. 이 수량계산표(520)의 주문 최종수량과 배송 최종수량을 보면, 주문품목 A는 1개의 입배송(반품), 주문품목 B는 1개의 입배송(반품), 주문품목 C는 3개의 출배송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도5의 예에 대하여 상기의 계산 방법을 적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취소수량 계산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1번째 표(600)는 주문품목별 배송수량과 주문품목별 대기수량을 계산한 결과를 나타내고, 2번째 표(601)는 출주문품목 대기수량과 입주문품목 대기수량, 취소가능수량을 계산한 결과를 나타내며, 3번째 표(602)는 주문품목 A에 대해, 취소가능수량 1개를 출주문품목과 입주문품목에 배정하여 취소수량을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4번째 표(603)는 주문품목별 취소수량을 배정한 후, 배송대기수량을 계산한 결과인데, 주문품목 C는 3개의 출배송, 주문품목 A는 1개의 입배송, 주문품목 B는 1개의 입배송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때, 모든 주문품목들이 배송대기수량이 0 이 되는 경우에는 해당 주문은 더 이상을 배송정보를 생성할 수 없으며, 배송처리 중에 배송처리가 되돌려져서 배송정보가 등록취소 되는 경우에는 취소수량을 다시 계산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의 1번째 표(600)의 1번째 행에서, 주문품목 A의 주문수량은 도 5의 1번째 주문(501)의 주문수량이고, 배송수량은 도 5의 1번째 배송과 2번째 배송의 품목 A의 출배송 수량의 합계이고, 대기수량은 주문수량에서 배송수량을 차감한 수량이다.
또한, 도 6의 2번째 표(601)의 1번째 행에서, 주문품목 A의 출주문품목 대기수량은 도 6의 1번째 표(600)에서 입출구분이 출(Out)인 주문품목 A의 대기수량 합계, 입주문품목 대기수량은 도 6의 1번째 표(600)에서 입출구분이 입(In)인 주문품목 A의 대기수량 합계이며, 취소가능수량은 출주문품목의 대기수량과 입주문품목의 대기수량 중 더 작은 값이다.
그리고, 도 6의 3번째 표(602)의 취소수량은 도 6의 2번째 표(601)에서 계산된 취소가능수량을, 주문품목 A의 입출구분이 출(Out)인 경우와 입(In)인 경우에 대해 각각 배분한 결과로, 취소수량은 대기수량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배분 순서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
또한, 도 6의 4번째 표(603)는 도 6의 3번째 표(602)에서 추가적으로 주문품목 B와 C에 대해 취소수량을 계산한 후, 배송대기수량을 계산한 결과로, 배송대기수량은 주문수량에서 배송수량과 취소수량을 차감한 수량이다.
다음으로, 도7은 본 발명에서 거래처와의 협업적 업무처리 상황을 고려한 배송처리 순서도이다.
출배송(700)의 출고확인(701), 송장전송(702), 입배송(710)의 수취확인(713), 입고확인(714)이 거래처 시스템 사이에서 연동이 된다면, 도 7처럼 배송이 처리될 수 있지만, 거래처 사이에 연동이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송장과 관련된 처리는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배송의 필수 처리 단계는 출배송(700)의 경우는 출고확인(701), 입배송(710)의 경우는 입고확인(714)으로 볼 수 있다.
출배송(700)의 경우 출고확인(701), 입배송(710)의 경우 입고확인(714) 시점에 오프라인 입출고 업무가 진행되어 재고수량이 변경되고, 모든 주문품목들에 대해 출고확인이나 입고확인이 된 경우, 주문에 대한 배송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출배송(700)에서 출고확인을 하고 출고확인 정보가 거래처 시스템에 전달되어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에는, 출배송(700)의 출고확인(701), 입배송(710)의 출고확인(711) 상태가 된다.
그리고, 출배송(700)에서 송장전송을 하고 송장정보가 거래처 시스템에 전달되어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에는, 출배송(700)의 송장전송(702), 입배송(710)의 송장전송(712) 상태가 된다.
입배송(710)에서 수취확인을 하고 관련 정보가 거래처 시스템에 전달되어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에는, 출배송(700)의 수취확인(703), 입배송(710)의 수취확인(713) 상태가 된다.
입배송(710)에서 입고확인을 하는 경우, 관련 정보가 거래처 시스템에 전달되어 처리과 완료되는 경우, 출배송(700)의 입고확인(704), 입배송(710)의 입고확인(714) 상태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단위주문들의 구성에 따른 주문처리의 순서도이다.
신규 단계(800)는 정상주문의 등록에서 접수까지, 정상 단계(801)는 정상주문 접수부터 교환주문 또는 취소주문 접수까지, 교환 단계(802)는 최초 교환주문 접수부터 취소주문 접수까지, 취소 단계(803)는 취소주문이 접수된 경우이다.
그래서, 최초 정상주문은 신규 단계(800)로 등록되고, 해당 주문을 접수하는 경우에는 정상 단계(801)가 되고, 정상 단계(801)에서 교환주문이 접수되는 경우에는 교환 단계(802)가 되며, 정상 단계(801) 또는 교환 단계(802)에서 취소주문이 접수되는 경우 취소 단계(803)가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처리단계가 정상, 교환, 취소인 경우의 처리상태 순서도이다.
대기 상태(900 에서 배송정보가 등록되는 경우에는 처리 상태(901)가 되고, 완료 상태(902)에서 교환주문이나 취소주문이 접수되는 경우 대기 상태(900)로 되며, 완료 상태(902)에서 대금정산 완료 등에 의해 주문이 종료되는 경우 종료 상태(903)가 된다. 여기서, 대기 상태(900)는 주문품목별 배송대기수량의 합계(이하, 배송등록 대기수량으로 통칭함)가 0보다 크고, 배송수량 중 출고확인 또는 입고확인 전 수량의 합계(이하, 입출고확인 대기수량으로 통칭함)가 0인 경우이고, 처리 상태(901)는 입출고확인 대기수량이 0보다 큰 경우이며, 완료 상태(902)는 배송등록 대기수량과 입출고확인 대기수량이 모두 0인 경우이다.
또한, 처리 상태(901)에서 대기 상태(900)로의 전이(904) 조건은 입출고 확인 및 배송등록 취소 시점에 배송등록 대기수량이 0보다 크고 입출고확인 대기수량이 0인 경우이고, 완료 상태로의 전이(905)는 입출고확인 시점에 배송등록 대기수량과 입출고확인 대기수량이 모두 0인 경우이다.
예를 들어, 주문에 대한 배송처리가 한 번에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주문을 접수한 경우에는 대기 상태(900)가 되고, 배송정보를 등록한 경우에는 처리 상태(901)가 되며, 출고확인 처리를 한 경우에는 완료 상태(902)가 되며, 완료 상태(902)에서 교환이나 취소주문이 접수되는 경우에는 대기 상태(900)가 되며, 대금정산 등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종료 상태(903)가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단위주문의 처리상태 순서도이다.
최초 주문이 등록되는 경우에는 등록 상태(1000)가 되고, 등록 상태(1000)에서 거래처로 주문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전송 상태(1001)로 되며, 주문을 접수하는 경우에는 접수 상태(1002)로 되며, 접수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취소 상태(1003)가 된다.
여기서, 단위주문은 등록 상태(1000)로 등록되며, 이 상태에서 해당 주문은 삭제할 수도 있고, 접수를 하지 않고 취소할 수도 있다. 등록 상태(1000) 주문을 거래처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에는 전송 상태(1001)가 되며, 이 경우 주문을 삭제할 수 없으며, 거래처 시스템으로 반송하여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에는 취소 상태(1003)가 된다.
또한, 전송 상태(1001)에서 주문을 접수하는 경우, 거래처 시스템으로 접수정보가 전달되어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에는 접수 상태(1002)가 된다.
그리고, 등록 상태(1000)에서 접수하는 경우에는 거래처 시스템과의 연계 없이 접수 상태(1002)가 되며, 거래처 시스템과의 연계가 없는 경우에는 단위주문을 등록하는 시점에 접수 상태(1002)로 등록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입출고의 처리상태 순서도이다.
주문에 대한 배송 처리에서, 배송정보 등록 후 입출고 요청 전인 경우에는 대기 상태(1100)가 되고, 대기(1100) 상태에서 입출고 요청을 하는 경우에는 요청 상태(1101)가 되며, 요청 상태(1101)에서 입출고 확인을 하는 경우에는 확인 상태(1102)가 되며, 요청을 취소하는 경우에는 대기 상태(1100)가 된다.
여기서, 배송정보를 등록할 때에 입출고 요청을 할 수도 있고 등록 이후 별도로 입출고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입출고 확인 이후에는 취소를 할 수 없다. 배송정보에 포함된 모든 품목들이 재고관리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배송정보를 등록할 때에, 입출고 확인 상태로 처리될 수도 있다.
또한, 재고관리를 하는 경우에는, 입출고 요청 시점에 재고관리 모듈에 입출고 요청 정보를 전달하고, 입출고 확인 시점에 재고수량을 가감 처리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송장의 처리상태 순서도이다.
주문에 대한 배송 처리에서, 배송정보 등록 후 송장번호 등록 전인 경우에는 대기 상태(1200)가 되고, 대기 상태(1200)에서 송장번호가 등록되는 경우에는 등록 상태(1201)가 되며, 등록 상태(1201)에서 송장번호 등록을 취소하는 경우에는 대기 상태(1200)가 되며, 등록 상태(1201)에서 송장정보를 거래처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에는 발송 상태(1202)가 되며, 발송 상태(1202)에서 거래처 시스템에서 수취확인 정보를 전송하여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에는 수취 상태(1203) 상태가 된다.
이때, 송장번호는 택배사 시스템 등 배송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등록할 수도 있고 수동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거래처 시스템과의 연계 상황에 따라 송장과 관련된 일부 처리가 생략될 수 있으며, 거래처 시스템과의 연계가 없는 경우에는 송장과 관련된 모든 처리가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송장에 대한 처리가 없는 경우에는 입출고확인에 의해 배송처리가 완료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입출고의 처리 상태와 송장의 처리상태를 고려한 배송의 처리상태 순서도이다.
대기 상태(1300)에서 출고확인이 되는 경우에는 출고 상태(1301)가 되고, 출고 상태(1301)에서 송장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발송 상태(1302)가 되며, 거래처에서 수취확인이 된 경우에는 수취 상태(1303)가 되며, 입고확인이 된 경우에는 입고 상태(1304)가 되며, 수취 상태(1303)와 입고 상태(1304)에서 배송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오류 상태(1306)로 되어 종료된다. 이때, 배송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교환주문, 취소주문을 등록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단위주문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주문과 주문품목, 배송과 배송품목의 관계도이다.
단위주문의 접수 이후에는 정상주문, 교환주문 및 취소주문에 속하는 주문품목들을 하나의 주문으로 처리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1400)은 다수의 출주문품목(1401)과 다수의 입주문품목(1402)으로 구성되며, 출배송(1410)은 출주문품목(1401)을 참조(1412)하는 출배송품목(1411)들로 구성되며, 입배송(1420)은 입주문품목(1402)을 참조(1422)하는 입배송품목(1421)들로 구성된다. 배송등록 없이 취소되는 수량을 제외한 나머지 수량에 대해서, 출주문품목은 하나 이상의 출배송품목으로 배송 처리할 수 있고, 입주문품목은 하나 이상의 입배송품목으로 배송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일부 품목에 대해 부분 배송이 된 상태에서 교환주문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하나의 주문에 보내야 할 품목과 반품 받아야 할 품목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는 도 14와 같이 주문품목의 입출관계와 배송품목들의 입출관계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문의 경우 발주하는 자와 수주하는 자가 있고, 배송의 경우 보내는 자와 받는 자가 있기 때문에, 거래 당사자 간 직접적인 시스템 연계가 없다 하더라도 협업적인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종래의 시스템들은 거래처와의 협업적인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있어서 확장성에 제약이 있다.
또한, 쇼핑몰에서 발생하는 주문의 경우, 종래의 시스템들은 입주문에 대한 출배송 상황만을 고려하고 있어서, 거래처와의 협업적 상황이나 반품 등에 의한 입배송 상황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어렵고, 출주문에 해당하는 구매 또는 발주와 관련된 주문을 별도로 처리하고 있다.
그리고, 거래처와 시스템 간 연계에 의한 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거래처 관점에서 입주문과 출배송은 출주문과 입배송이 되기 때문에, 주문의 처리가 서로 상호 연계되는 경우 입주문과 출주문, 입배송과 출배송을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환주문이 발생하는 경우, 보내야 하는 품목과 받아야 하는 품목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주문품목을 입주문품목과 출주문품목으로 구분하여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서는 주문을 입주문과 출주문으로 구분하고, 주문은 정상, 교환, 취소로 구분되는 다수의 단위주문으로 구성하며, 단위주문은 다수의 출주문품목과 입주문품목으로 구성하여, 협업적 상황이나 교환 상황을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기반에서 출배송과 입배송을 동시에 고려하여 주문을 처리함으로써, 협업적 환경에서의 주문처리 뿐만 아니라, 입주문(수주)과 출주문(발주), 입배송(수취)과 출배송(발송), 출주문품목과 반품, 교환 등에 의한 입주문품목을 별개로 구분하지 않고서도 통합적인 주문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출주문품목별 또는 입주문품목별로, 각 주문품목을 참조하고 있는 배송품목들의 수량을 합계한 주문품목 배송수량을 계산하고, 주문수량에서 배송수량을 차감하여 주문품목 대기수량을 계산하는 단계;
    품목구분코드 별로, 출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와 입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를 계산하여, 상기 출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와 상기 입주문품목들의 대기수량 합계 중 작은 값을 취소가능수량으로 정하는 단계;
    품목구분코드 별로, 출주문품목들과 입주문품목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취소가능수량을 상기 주문품목 대기수량 내에서 배분하여 주문품목 취소수량을 계산하는 단계;
    출주문품목들과 입주문품목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주문품목 대기수량에서 상기 주문품목 취소수량을 차감하여 배송대기수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주문 또는 입주문에 대한 주문정보는,
    다수의 단위주문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위주문은 다수의 출주문품목들과 입주문품목들로 구성되어, 정상주문, 교환주문, 취소주문이 통합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주문의 처리 상태는,
    최초 주문이 등록된 등록 상태, 거래처 사이에 주문이 송수신된 전송 상태, 주문이 접수된 접수 상태 , 주문의 접수가 거부된 취소 상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의 처리 단계는,
    정상주문이 접수되기 전인 신규 단계, 정상주문이 접수되는 정상 단계, 정상 단계에서 교환주문이 접수되는 교환 단계, 정상 단계 또는 교환 단계에서 취소 주문이 접수되는 취소 단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단계, 교환 단계 및 취소 단계는,
    배송등록 대기수량이 0 이고 입출고확인 대기수량이 0인 완료 상태, 배송등록 대기수량 또는 입출고확인 대기수량이 0이 아닌 처리 상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상태는,
    배송등록 대기수량이 0보다 크고 입출고확인 대기수량이 0인 대기 상태, 입출고확인 대기수량이 0이 아닌 처리 상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 처리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60073840A 2016-06-14 2016-06-14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의 처리 방법 KR101696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40A KR101696601B1 (ko) 2016-06-14 2016-06-14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40A KR101696601B1 (ko) 2016-06-14 2016-06-14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의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601B1 true KR101696601B1 (ko) 2017-01-16

Family

ID=5799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840A KR101696601B1 (ko) 2016-06-14 2016-06-14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6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0742A (zh) * 2018-11-21 2019-04-23 武汉智能装备工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物料双通道的高精度称重订单拆分方法
WO2020000202A1 (zh) * 2018-06-26 2020-01-02 深圳齐心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电商物流调度系统
KR20200104037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스페이스리버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발주 및 입출고 관리 시스템
CN113191704A (zh) * 2020-01-14 2021-07-30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货物出库的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314Y1 (ko) 2000-10-12 2001-10-25 김대성 낚시찌
KR20020063958A (ko) * 2001-01-31 2002-08-07 엘지전자주식회사 물품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JP2006330836A (ja) * 2005-05-23 2006-12-07 Toshiba Tec Corp オーダエントリシステム
KR20090000702A (ko) * 2007-03-22 2009-01-08 주식회사 이씨링크 온라인 쇼핑몰 통합 공급망 관리시스템
KR20150072395A (ko) * 2015-06-09 2015-06-29 온미르 주식회사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314Y1 (ko) 2000-10-12 2001-10-25 김대성 낚시찌
KR20020063958A (ko) * 2001-01-31 2002-08-07 엘지전자주식회사 물품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JP2006330836A (ja) * 2005-05-23 2006-12-07 Toshiba Tec Corp オーダエントリシステム
KR20090000702A (ko) * 2007-03-22 2009-01-08 주식회사 이씨링크 온라인 쇼핑몰 통합 공급망 관리시스템
KR20150072395A (ko) * 2015-06-09 2015-06-29 온미르 주식회사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0202A1 (zh) * 2018-06-26 2020-01-02 深圳齐心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电商物流调度系统
CN109670742A (zh) * 2018-11-21 2019-04-23 武汉智能装备工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物料双通道的高精度称重订单拆分方法
KR20200104037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스페이스리버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발주 및 입출고 관리 시스템
KR102192429B1 (ko) * 2019-02-26 2020-12-16 주식회사 스페이스리버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발주 및 입출고 관리 시스템
CN113191704A (zh) * 2020-01-14 2021-07-30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货物出库的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3786B2 (en) Examples of delivery and/or referral service SMS ordering
US20230120333A1 (en) Multi-system distributed processing of delivery and/or referral information for orders
US201803499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rchasing arbitrage
KR101696601B1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상품 주문의 처리 방법
US20060089886A1 (en) E-commerce business methodologies for supply and demand chain management
JP5738779B2 (ja) 供給能力推定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2462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siness-to-business buying, selling, sourcing and matching of proudcts and services across multiple business partners over the internet
US201402009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ating transactions among a plurality of social commerce businesses
KR101783598B1 (ko) 국제 전자상거래에 따른 오픈 물류 수출, 수입, 국제 운송, 배송 및 반송 처리 플랫폼
CN103218702A (zh) 一种多用户电子商务供应链协同服务平台
CA3206160A1 (en) Examples of delivery and/or referral services that may use mobile enhancements and/or auction mechanisms
GB2378544A (en) Online purchase of shipping and insurance services
US20160189097A1 (en) Order modification
KR101568134B1 (ko)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
KR20220133824A (ko)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77624B1 (ko) 상거래 시스템, 관리 서버 및 프로그램
KR20150053443A (ko) 물류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US20190057349A1 (en) Drop shipping system
KR20170017446A (ko) 분할구매 기능이 적용된 역경매 방식의 자재구매 시스템
KR101760578B1 (ko) 주문 통합 방법 및 장치
KR102159532B1 (ko) 기계 거래 중개 서버
CN114004521A (zh) 零售管理方法、系统、存储介质
JP2002352118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CN107730186A (zh) 机场商品零售管理系统
KR20130055268A (ko) 사입정산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