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884B1 -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884B1
KR101695884B1 KR1020130134588A KR20130134588A KR101695884B1 KR 101695884 B1 KR101695884 B1 KR 101695884B1 KR 1020130134588 A KR1020130134588 A KR 1020130134588A KR 20130134588 A KR20130134588 A KR 20130134588A KR 101695884 B1 KR101695884 B1 KR 101695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sectional area
projection
weight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2982A (ko
Inventor
이수호
배재류
김진강
김성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8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52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계산된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아랫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정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는,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METHOD FOR CALCULATING EQUIPMENT NUMBER OF SHIP AND METHOD FOR DECIDING SIZE OF ANCHORING DEVICE USING THE EQUIPMENT NUMBER}
본 발명은 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계산된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 앵커(Anchor, 닻)을 바다 속에 투입하여 선박을 정박시키는 것을 계류라고 한다. 선박을 계류시키기 위해서는 앵커, 앵커용 체인(anchor chain) 등의 계류 장치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런 계류 장치의 크기, 수량 등을 결정할 때는 의장수(Equipment Number)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의장수는 선박의 정박시 선박 상부에 작용하는 바람과 선박 하부에 작용하는 해류의 영향으로부터 일정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앵커의 중량과 수량, 앵커용 체인의 길이와 지름, 계류삭 및 예인삭의 절단하중과 길이, 수량을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수로서 수면 상부에 드러난 선박의 형상에 작용하는 풍압 면적 및 수면 하부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을 배수량의 함수로써 수치로 정의한 것이다. 한국 선급은 의장수 계산식을 98년 전면 개정했고, 2002년 의장수 세부 계산 방법을 대폭 추가하고 국제 기준과 통일하였다.
현재 한국 선급에서 규정하고 있는 의장수는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3101428532-pat00001
여기서, Δ는 하기만재흘수선에 대한 형배수량을 나타내고, B는 선폭을 나타내고, h는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되고, A는 수학식 3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112013101428532-pat00002
여기서, f는 선체 중앙의 선측에서 만재흘수선으로부터 최상층 전통갑판보의 상면까지의 수직거리를 나타내고, h'는 최상층 전통갑판으로부터 너비가 B/4를 넘는 선루 또는 갑판실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의 정부까지의 높이를 나타내고 이때 이 높이의 측정에 있어서 현호 및 트림은 무시하고 너비가 B/4를 넘는 갑판실이 너비가 B/4를 넘지 않는 갑판실의 상부에 있을 경우에는 너비가 B/4 이하인 갑판실의 높이는 산입하지 아니한다.
Figure 112013101428532-pat00003
여기서, f는 선체 중앙의 선측에서 만재흘수선으로부터 최상층 전통갑판보의 상면까지의 수직거리를 나타내고, L은 선박의 길이를 나타내고, ∑h''l은 최상층 전통갑판보다 위에 있는 너비가 B/4를 넘고 높이가 1.5m 이상인 선루, 갑판실 또는 트렁크의 높이 h''와 그 길이 l을 곱한 것의 합을 나타낸다.
이때, Δ2/3는 해수로부터 압력을 받는 면적을 의미한다. 도 1은 선박이 해수로부터 압력을 받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빗금친 부분은 선박이 해수로부터 압력을 받는 부분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2는 수면 상부에 드러난 면적 중 정면에서 바라본 면적을 나타낸다. 도 2에서 빗금친 부분은 Bh에 의해 계산된 면적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박의 실제 정면의 투영 단면적보다 크게 계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은 수면 상부에 드러난 면적 중 측면에서 바라본 면적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빗금친 부분은 fL + ∑h''l에 의해 계산된 면적을 나타내고,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박의 실제 측면의 투영 단면적과 다르게 계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종래 기술에 따른 의장수는 실제 선박의 풍압 면적과 오차가 있다.
그리고, 의장수 관련 각 선급 규정은 그동안 세부적으로 보완 및 개정되었으나 기본 계산식 구조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해상환경(최대풍속 등)이 변화하였고, 초대형 컨테이너선, LNGC를 비롯한 다양한 선종 및 선형이 개발되었고, 선수 스러스터(Bow Thruster), DPS, 쌍축(Twin Skeg) 등의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이를 고려한 새로운 의장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가된 선박의 크기 및 변화된 선형에 적합한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계산된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아랫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정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는,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1 가중치를 곱한 값,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2 가중치를 곱한 값, 및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3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중치는 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중치는 0.05 이상이고 0.2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가중치는 1.5 이상이고 2.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길이/폭의 값은 5 이상 10 이하일 수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저면의 면적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상기 저면의 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아랫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정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는,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1 가중치를 곱한 값,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2 가중치를 곱한 값,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3 가중치를 곱한 값, 및 상기 저면의 면적에 제4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가중치는 0.05 이상이고 0.20 이하일 수 있다.
특히, 선박의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상기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아랫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정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는, 선박의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1 가중치를 곱한 값,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2 가중치를 곱한 값, 및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3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중치는 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중치는 0.05 이상이고 0.2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가중치는 1.5 이상이고 2.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류장치는 앵커 및 앵커용 체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류 장치의 사이즈는 상기 앵커의 개수와 질량, 및 상기 앵커용 체인의 길이와 지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류장치는 앵커 및 앵커용 와이어일 수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저면의 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상기 저면의 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상기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아랫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정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는, 선박의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1 가중치를 곱한 값,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2 가중치를 곱한 값,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3 가중치를 곱한 값, 및 상기 저면의 면적에 제4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가중치는 0.05 이상이고 0.2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함으로써 선박이 해수와 바람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의장수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박의 저면의 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함으로써 증가된 선박의 크기 및 변화된 선형 및 선종에 적합한 의장수를 구할 수 있다.
도 1은 선박이 해수로부터 압력을 받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선박의 수면 상부에 드러난 면적 중 정면에서 바라본 면적으로 풍압을 받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3은 선박의 수면 상부에 드러난 면적 중 측면에서 바라본 면적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 및 계산된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선박의 저면의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변형된 선형에 적합하고 선박이 바람과 해수로부터 받는 압력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의장수(Equipment Number)는 선박의 정박 시 선박 상부에 작용하는 바람과 선박 하부에 작용하는 해수의 영향으로부터 일정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앵커의 중량과 수량, 앵커용 체인의 길이와 지름, 계류삭 및 예인삭의 절단하중과 길이, 수량을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수이므로, 수면 상부에 드러난 선박의 형상에 작용하는 풍압 면적 및 해수로부터 압력을 받는 면적을 반영한 값이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선박의 측면 및 정면의 투영 단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한다. 투영 단면적이란 입체형상을 배경평면에 그대로 투영하였을 때의 면적으로 실제로 가장 큰 외곽선의 연결 도형의 면적이다. 최근에는 선박을 전산설계(CAD, Computer Aided Design)를 하므로, 정확한 투영 단면적을 구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 및 계산된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 4 내지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 및 계산된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한다(S410). 이때, 선박의 측면 하부는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아랫부분을 의미한다.
수면과 선체가 만나는 선을 흘수선(Load Line)이라 하며, 만재흘수선이란 항해의 안전상 충분한 예비 부력을 갖고서 선박이 여객이나 화물을 싣고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는 최대 한계 표시로서, 허락된 최대의 흘수를 만재흘수(Full Load Draft, Full Draft, Load Draft)라 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이를 초과하여 화물을 적재해서는 안된다. 만재흘수선은 선박의 양측(좌현, 우현)에 특정한 선으로 표시된다. 만재흘수선은 수온과 바닷물의 염도 등에 따라 부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정해져 있고, 여름철 만재흘수선을 하기만재흘수선이라고 한다.
도 5는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빗금친 부분이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 아랫부분의 투영 단면적을 구한다. 즉, 선박의 측면을 배경평면에 그대로 투영하였을 때의 면적 중 하기만재흘수선 아랫부분의 면적을 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의장수에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반영하는 이유는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이 해수로부터 압력을 받는 면적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한다(S420). 이때, 선박의 측면 상부는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한다. 또는,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은 최상전통갑판 상부에 적재된 화물의 투영 단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컨테이너선과 같이 최상전통갑판 상부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계류될 경우를 고려하기 위함이다.
도 6은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빗금친 부분이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20 단계에서는 선박의 측면을 배경평면에 그대로 투영하였을 때의 면적 중 하기만재흘수선 윗부분의 면적을 구한다. 이는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이 풍압을 받는 면적이기 때문에 의장수를 구하는데 반영하는 것이다.
그리고,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한다(S430). 이때, 선박의 정면 상부는 선박의 정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한다.
도 7은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빗금친 부분이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30 단계에서는 선박의 정면을 배경평면에 그대로 투영하였을 때의 면적 중 하기만재흘수선 윗부분의 면적을 구한다. 이는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이 풍압을 받는 면적이기 때문에 의장수를 구하는데 반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람은 방향이 시시각각 변하고 돌풍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선박의 측면 상부와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모두 의장수를 계산하는데 고려한 것이다.
다음으로, 선박의 저면의 면적을 구한다(S440). 도 8은 선박의 저면의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빗금친 부분이 선박의 저면의 면적을 나타낸다. 최근에는 대형 선박의 바닥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서, 선체 저면에 해류가 지나가면서 마찰력이 발생한다. 선박의 크기가 커질수록 선박 저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계류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박 저면과 해류 사이의 마찰력을 반영하기 위해 의장수를 계산하는데 저면의 면적을 고려한다.
그리고,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저면의 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한다(S45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두 가지 제안한다.
첫 번째 방법은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즉, 수학식 4와 같이,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각각에 가중치를 곱해서 합산하여 의장수를 계산한다.
Figure 112013101428532-pat00004
여기서, W1은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고, W2는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고, W3는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Swetted는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내고, Ssection는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내고, Sprofile는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낸다.
이때, W1은 1일 수 있고, W2는 1.5 이상 2.5 이하의 범위의 값일 수 있고, W3는 0.05 이상 0.2 이하의 범위의 값일 수 있다.
이는 측면 하부는 해수로부터 압력을 받고, 측면 상부 및 정면 상부는 바람으로부터 압력을 받는데, 해수로 인한 압력과 바람으로 인한 압력은 크기가 다르므로 가중치를 곱해 주는 것이다. 그리고, 측면 상부는 풍압만 받는 반면, 정면 상부는 풍압과 유체로 인한 압력도 함께 받으므로 측면 상부보다 더 큰 힘을 받으므로, W2가 W3보다 더 큰 값을 갖는다.
두 번째 방법은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저면의 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즉, 수학식 5와 같이,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저면의 면적 각각에 가중치를 곱해서 합산하여 의장수를 계산한다.
[수학식 5]
E = W1Swetted + W2Ssection + W3Sprofile + W4Sbottom
여기서, W1은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고, W2는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고, W3는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고, W4는 저면의 면적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Swetted는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내고, Ssection는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내고, Sprofile는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나타내고, Sbottom은 저면의 면적을 나타낸다.
이때, W1은 1일 수 있고, W2는 1.5 이상 2.5 이하의 범위의 값일 수 있고, W3는 0.05 이상 0.2 이하의 범위의 값일 수 있고, W4는 0.05 이상 0.2 이하의 범위의 값일 수 있다. 마찰력이 해수로 인한 저항력에 비해 작으므로 W4는 비교적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종래 기술인 수학식 1에 의한 의장수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수학식 4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한 의장수를 비교한다.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수학식 4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한 의장수와 종래 기술에 따라 구한 의장수를 비교한 것을 나타낸다.
L(m)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B(m) 45 50 55 60 65 70 75 80
L/B 8.9 8.0 7.3 6.7 6.2 5.7 5.3 5.0
Δ2/3 2268 2433 2592 2747 2898 3045 3188 3328
측면하부의 투영단면적(m2) 2400 2400 2400 2400 2400 2400 2400 2400
종래기술에 따른 의장수 3048 3273 3492 3707 3918 4125 4328 4528
수학식 4에 따른 의장수 3180 3240 3300 3360 3420 3480 3540 3600
여기서, L은 선박의 길이를 나타내고, B는 선폭을 나타내고, Δ는 하기만재흘수선에 대한 형배수량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길이/폭의 값은 5 이상 10 이하일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선박 하부가 해류에 의해 받는 압력에 대한 부분을 Δ2/ 3으로 의장수에 반영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으로 의장수에 반영하고 있다.
표 1에서, Δ2/3와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비교해 보면, L/B가 8일 때 가장 근접하나, L/B가 8보다 작아지거나 커짐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 따른 의장수와 수학식 4에 의한 의장수 또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선박 하부가 해류에 의해 받는 압력에 대한 부분을 Δ2/3으로 의장수에 반영함으로써, L/B가 8을 벗어남에 따라 실제 선박 하부가 해수로부터 받는 압력과 오차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의장수 또한 오차가 발생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계산된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한다(S460).
계류 장치는 앵커 및 앵커용 체인일 수 있다. 특정한 의장수에 대해 앵커의 개수와 질량, 앵커용 체인의 길이와 지름 등은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의장수를 계산한 후, 계산된 의장수에 대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앵커의 개수와 질량, 앵커용 체인의 길이와 지름 등으로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한다.
또는, 계류 장치는 앵커 및 앵커용 와이어일 수 있다. 즉, 앵커용 체인 대신 앵커용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표 2는 KR 강선 규칙에서 정의하고 있는 의장수에 따른 선수앵커의 수와 질량, 선수앵커용 체인의 길이와 지름을 나타낸 표의 일부를 나타낸다.
의장기호 의장수 선수앵커 선수앵커용 체인
넘고 이하 질량(kg) 총길이
(m)
지름
제1종
(mm)
제2종
(mm)
제3종
(mm)
B3
B4
B5
205
240
280
240
280
320
2
2
2
660
780
900
302.5
330
357.5
26
28
30
22
24
26
20.5
22
24
C1
C2
C3
C4
C5
320
360
400
450
500
360
400
450
500
550
2
2
2
2
2
1020
1140
1290
1440
1590
357.5
385
385
412.5
412.5
32
34
36
38
40
28
30
32
34
34
24
26
28
30
30
D1
D2
D3
D4
D5
550
600
660
720
780
600
660
720
780
840
2
2
2
2
2
1740
1920
2100
2280
2460
440
440
440
467.5
467.5
42
44
46
48
50
36
38
40
42
44
32
34
36
36
38
E1
E2
E3
E4
E5
840
910
980
1060
1140
910
980
1060
1140
1220
2
2
2
2
2
2640
2850
3060
3300
3540
467.5
495
495
495
522.5
52
54
56
58
60
46
48
50
50
52
40
42
44
46
46
F1
F2
F3
F4
F5
1220
1300
1390
1480
1570
1300
1390
1480
1570
1670
2
2
2
2
2
3780
4050
4320
4590
4890
522.5
522.5
550
550
550
62
64
66
68
70
54
56
58
60
62
48
50
50
52
54
예를 들어, 의장수가 210인 경우, 선수 앵커는 660 kg짜리 2 개를 사용하고, 선수용 체인의 길이는 302.5m짜리를 사용한다. 그리고, 선수앵커용 체인 제1종은 일반 강도 스틸(Steel)을 의미하고, 제2종은 고강도 스틸을 의미하고, 제3종은 특수 고강도 스틸을 의미한다. 즉, 의장수가 210인 경우, 선수앵커용 체인으로 일반 강도 스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수앵커용 체인의 지름을 26 mm로 하고, 선수앵커용 체인으로 고강도 스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수앵커용 체인의 지름을 22 mm로 하고, 선수앵커용 체인으로 특수 고강도 스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수앵커용 체인의 지름을 20.5 mm로 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아랫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정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1 가중치를 곱한 값,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2 가중치를 곱한 값, 및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3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치는 1인,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중치는 0.05 이상이고 0.20 이하인,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중치는 1.5 이상이고 2.5 이하인,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
  6.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길이/폭의 값은 5 이상 10 이하인,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
  7. 삭제
  8.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저면의 면적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상기 저면의 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아랫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정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는,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1 가중치를 곱한 값,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2 가중치를 곱한 값,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3 가중치를 곱한 값, 및 상기 저면의 면적에 제4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4 가중치는 0.05 이상이고 0.20 이하인,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
  11. 선박의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상기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아랫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정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1 가중치를 곱한 값,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2 가중치를 곱한 값, 및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3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치는 1인, 선박의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중치는 0.05 이상이고 0.20 이하인, 선박의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중치는 1.5 이상이고 2.5 이하인, 선박의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16. 청구항 11, 청구항 13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장치는 앵커 및 앵커용 체인인, 선박의 계류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계류 장치의 사이즈는 상기 앵커의 개수와 질량, 및 상기 앵커용 체인의 길이와 지름을 포함하는, 선박의 계류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18. 청구항 11, 청구항 13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장치는 앵커 및 앵커용 와이어인, 선박의 계류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19. 삭제
  20. 선박의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저면의 면적을 구하는 단계;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 및 상기 저면의 면적을 이용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상기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하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아랫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측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선박의 정면 상부는 상기 선박의 정면의 하기만재흘수선의 윗부분을 의미하는, 선박의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하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1 가중치를 곱한 값, 상기 측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2 가중치를 곱한 값, 상기 정면 상부의 투영 단면적에 제3 가중치를 곱한 값, 및 상기 저면의 면적에 제4 가중치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의장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4 가중치는 0.05 이상이고 0.20 이하인, 선박의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KR1020130134588A 2013-11-07 2013-11-07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KR101695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588A KR101695884B1 (ko) 2013-11-07 2013-11-07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588A KR101695884B1 (ko) 2013-11-07 2013-11-07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982A KR20150052982A (ko) 2015-05-15
KR101695884B1 true KR101695884B1 (ko) 2017-01-13

Family

ID=53389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588A KR101695884B1 (ko) 2013-11-07 2013-11-07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8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346B1 (ko) * 2007-04-20 2009-08-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벌크 운반선의 t­타워형 갑판실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982A (ko) 201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5937B1 (en) A foreship arrangement for a vessel of the deplacement type
Tanner 3D laser scanning for the digital reconstruction and analysis of a 16th century clinker built sailing vessel
Souppez Structural analysis of composite search and rescue vessels under the new BS EN ISO 12215-5
Hashimoto Pure loss of stability of a tumblehome hull in following seas
KR101695884B1 (ko)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KR101527835B1 (ko) 안벽에 계류된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선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KR101559409B1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Paroka et al. Alternative Assessment of Weather Criterion For Ships With Large Breadth And Draught Ratios By A Model Experiment: A Case Study On An Indonesian RO-RO Ferry
KR101527834B1 (ko) 컨테이너선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KR101526364B1 (ko) 선박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 및 계선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Armstrong On the performance of a large high-speed trimaran
CN106906787A (zh) 一种游艇码头结构
Dubrovsky Multi-Hulls: Some new options as the result of science development
KR101567878B1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의장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상기 의장수를 이용하여 계류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Gunnu et al. Stability assessment of anchor handling vessel during operation considering wind loads and wave induced roll motions
Ayob et al. Roll mitigation of small fishing boat
Hidayatullah et al. Stability Study of Water Ambulance in East Kalimantan Inland Waterways
Szozda The need of the revision of passenger ships’ stability criterion on account of turning
Gucma et al. Depth optimization of designed new ferry berth
Bjerregaard et al. Wind overturning effects obtained from wind tunnel tests with various semisubmersible models
Auer et al. The British Brig Water Nymph or... even an Englishman cannot take the liberty to deride a civil servant on German soil
Deakin et al. Wind Heeling Moments on Multihull Vessels
Yamaguchi et al. The effect of aft hull form on overshoot angles in zig-zag manoeuvre
Sikora Design algorithms for primary and secondary loads on SWATH ships
Womack et al. A systematic study of wave phasing on righting arm curves for fishing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