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781B1 - 이동식 무대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무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781B1
KR101694781B1 KR1020160124716A KR20160124716A KR101694781B1 KR 101694781 B1 KR101694781 B1 KR 101694781B1 KR 1020160124716 A KR1020160124716 A KR 1020160124716A KR 20160124716 A KR20160124716 A KR 20160124716A KR 101694781 B1 KR101694781 B1 KR 101694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guide rail
ceiling
drive uni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Priority to KR1020160124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연시 무대 연출에 사용되는 커튼이나 조명기구와 같은 각종 무대세트를 매다는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의 전후방향으로 무대세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식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무대장치는
일정간격을 두고 무대의 천정에 고정된 그리드 아이언(110);
무대의 천정 좌우측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된 제1안내레일(120);
각 그리드 아이언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된 제2안내레일(130);
무대의 천장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안내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안내레일(140);
무대의 천정을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그리드 아이언의 하부에 설치되며 무대세트가 매달리는 세트바튼(150); 및
상기 세트바튼에 연결된 와이어(161)와,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며 제3안내레일과 일체를 이루면서 제1안내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유닛(162)과, 상기 제3안내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와이어가 활주하는 수직활차(163)를 구비한 승강부(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식 무대장치{Movable type stage setting}
본 발명은 공연시 무대 연출에 사용되는 세트바튼이나 조명기구와 같은 각종 무대세트를 매다는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세트를 매달고 무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필요한 위치에서 장면전환을 시키도록 하는 이동식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장에는 무대 연출에 사용되는 커튼이나 조명기구와 같은 각종 무대세트를 매달아 상하로 이동시키는 무대장치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대장치는 무대의 천정에 고정된 그리드 아이언(10;Grid Iron)과, 무대의 천정을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그리드 아이언(10)의 하부에 무대세트가 매달리는 세트바튼(20;Set Batten)과, 상기 그리드아이언(10)에 설치되어 세트바튼(2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30)는 구동유닛(31)과 상기 구동유닛(31)을 통해 권취가 이루어지는 여러 가닥의 와이어(32)와 각 와이어(32)를 안내하도록 세트바튼(20)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된 수직활차(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세트바튼(20)은 수직활차(33)들에 의해 안내되는 와이어(32)들에 의하여 하중이 골고루 분산된 상태로 그리드 아이언(10)에 안정적으로 매달린다.
따라서, 상기 무대 세트는 세트바튼(20)을 통해 안정적인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승강하면서 다양한 무대의 연출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무대장치는 다양한 무대의 연출을 위해서 무대의 천장에 복수로 설치된다.
그러나, 공연 별로 무대연출이 이루어지는 위치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각 공연장에서는 일정간격으로 여분의 무대장치들을 미리 설치해 놓고 해당 공연에서 필요로 하는 위치에 설치된 몇 개의 무대장치만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실제 무대 깊이가 15 미터가 되는 전문 공연장을 기준으로 할 때, 이와 같은 무대장치는 200mm 내지 250mm 간격으로 약 70 개 정도가 설치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공연장 내에 수많은 무대장치들의 설치가 요구되므로 막대한 설비 및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되고, 가장 근접한 위치의 무대장치를 이용해야 하므로 정확한 위치에서 무대연출을 수행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공연 준비 과정에서 무대의 연출위치가 수정되거나 잘못된 위치의 무대장치에 무대세트를 설치한 경우에 해당 무대장치에 설치된 무대세트를 모두 철거하고 다른 무대장치에 옮겨 달아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아울러, 종래에는 그리드 아이언(10)을 승강유닛(31)이 설치되는 메인 그리드 아이언(11)과 수직활차(33)가 설치되는 풀리 그리드 아이언(12)으로 구성되므로 그리드 아이언(10)의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천정 내에 그리드 아이언(10)이 차지하는 공간이 과다하여 무대장치의 설치공간이 협소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세트바튼의 크기와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무대연출에 따라서 세트바튼이 아닌 원포인트 호이스트 등 별도의 무대장치의 사용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세트바튼에 연결된 와이어의 설치간격을 변경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세트바튼에 고중량의 무대세트가 거치되는 경우에 세트바튼이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정확한 위치에 무대세트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분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는 이동식 무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리드 아이언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식 무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무대장치 도움없이 세트바튼만으로 무대연출이 가능한 이동식 무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트바트가 고중량의 무대세트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무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식 무대장치는 일정간격을 두고 무대의 천정에 고정된 그리드 아이언과, 무대의 천정 좌우측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된 제1안내레일과, 각 그리드 아이언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된 제2안내레일과, 무대의 천장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안내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안내레일과, 무대의 천정을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그리드 아이언의 하부에 설치되며 무대세트가 매달리는 세트바튼과, 상기 세트바튼에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며 제3안내레일과 일체를 이루면서 제1안내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제3안내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와이어가 활주하는 수직활차를 구비한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한편, 상기 구동유닛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이송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부는 구동유닛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구동유닛의 저면에 설치어 제1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이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트롤이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유닛과 수직활차에는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안내레일의 상부에는 승강부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망과 점검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식 무대장치는 무대세트가 매달린 세트바튼을 승강시키는 승강부가 무대의 천정 좌우측에 설치된 제1안내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와 일체로 된 제3안내레일이 그리드 아이언의 하부에 설치된 제2안내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공연장 내에 수많은 무대장치를 미리 설치해 놓지 않고 꼭 필요한 최소한의 수량(종래 설치 수량의 1/3 수준)만 설치하면 되므로 설비 및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연 별로 무대장치의 위치가 달라지거나 이미 설치된 무대장치의 위치를 수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무대장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직활차가 그리드 아이언의 하부에 위치된 제3안내레일에 설치되어 종래와 같이 수직활차를 설치하기 위하여 그리드 아이언을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이격되게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그리드 아이언의 설치비용 및 그리드 아이언이 점유하는 천정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활차의 수량과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고중량의 무대세트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원포인트 호이스트와 같은 별도의 무대장치 도움없이도 세트바튼을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변형하여 무대 연출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무대장치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요부상세도.
도 6은 도 3의 요부상세도로서 스크류 드럼 권취방식의 구동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3의 요부상세도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동유닛이 수동방식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5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2안내레일의 상부에 점검망과 점검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무대장치는 그리드 아이언(110)와, 무대의 천정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된 제1안내레일(120)과, 그리드 아이언(110)의 하부에 고정된 제2안내레일(130)과, 상기 제2안내레일(13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안내레일(140)과, 무대의 천정을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그리드 아이언(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무대세트가 매달리는 세트바튼(150)과, 상기 제2안내레일(130)과 제3안내레일(140)을 통해 설치되어 세트바튼(1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그리드 아이언(110)은 무대의 천정에 고정된 프레임 부재로서 무대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종래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안내레일(120)은 무대의 천정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안내레일(120)은 무대의 천정을 전후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되는데, 그리드 아이언(110)과 간섭되지 않도록 그리드 아이언(110)의 윗쪽 또는 아래쪽에 설치되거나 그리드 아이언(110)의 사이마다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안내레일(120)을 에이치 빔(H-Beam)으로 구성하고 그리드 아이언(110)의 아래쪽에 설치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제2안내레일(130)은 그리드 아이언(110)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2안내레일(130)은 무대의 천정을 전후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다.
제3안내레일(140)은 무대 천정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안내레일(13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승강부(160)는 세트바튼(150)에 연결된 와이어(161)와, 상기 와이어(161)가 권취되며 제3안내레일(140)과 일체를 이루면서 제1안내레일(12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유닛(162)과, 상기 제3안내레일(14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와이어(161)가 활주하는 수직활차(16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162)은 와이어의 권취방식에 따라 다양한 채용이 가능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권취를 디스크가 담당하도록 하는 디스크 타입이 채용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권취를 드럼이 담당하도록 하는 스크류 드럼타입이 채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크류 드럼타입은 스크류 드럼에서 수직활차로 전달되는 와이어로프 각도를 4°이하로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와이어가 스크류 드럼에 감긴 피치만큼 일정 각도가 벌어지게 되므로 이 각도를 없앨 수 있도록 리턴활차(162a)가 추가로 설치됨과 함께 상기 구동유닛(162)이 스크류 드럼의 피치만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턴활차(162a)와 스크류 드럼 사이의 와이어 각도는 항상 0°로 유지하여 와이어가 스크류 드럼 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턴활차(162a)는 스크류 드럼의 접점 수직 아래에서 수직활차 피치만큼 기울여 설치하여 와이어가 스크류 드럼에서 리턴활차를 경유하여 수직활차로 이동할 때 이격에 따른 간섭으로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162)에 대한 전후방향 이동력은 작업자로부터 부여받을 수도 있으나, 구동유닛(162)이 고중량임을 감안할 때 별도의 동력원으로부터 이동력을 부여받도록 이송부(16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부(164)가 별도의 동력원으로부터 이동력을 부여받도록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64)는 구동유닛(162)에 설치된 모터(164a)와, 상기 구동유닛(162)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1안내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이(164b;Trolley;)와, 상기 모터(164a)의 회전력을 트롤이(164b)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64c)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64a)가 구동하여 모터(164a)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동력전달부재(164c)를 통해 트롤이(164b)가 회전하면서 제1안내레일(120)을 따라 무대의 전후 방향으로 구동유닛(162)이 이동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64)가 작업자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도록 하는 경우라면, 상기 이송부(164)는 구동유닛(162)에 설치된 조작핸들(164d)과 상기 구동유닛(162)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1안내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이(164b)와, 상기 조작핸들(164d)의 회전력을 트롤이(164b)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64e)만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3안내레일(140)은 제1안내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유닛(162)으로부터 이동력을 부여받아 구동유닛(162)과 함께 제2안내레일(130)을 따라 무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3안내레일(140)에는 제2안내레일(13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트롤이(165)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3안내레일(140)의 양측에는 레일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활차(163)에는 상기 레일부(14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름접촉이 가능하도록 상부롤러(163a)와 하부롤러(163b)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활차(163)는 작업자가 손으로 밀고 당기면서 수직활차(163)에 이동력을 부여하면 상부롤러(163a)와 하부롤러(163b)가 제3안내레일(140)을 따라 무대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수직활차(163)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세트바튼(150)을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변형하여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하중의 세트바튼(150)의 무게를 분담하여 세트바튼(150)을 안정된 상태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활차(163)에는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170)는 수직활차(163)에 설치된 너트부재(171)와 제3안내레일(14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수직활차(163)를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너트부재(171)에 체결된 레버(172)로 구성된다.
따라서, 레버(172)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너트부재(171)와의 체결이 진행되면서 레버(172)가 하강하고 그 결과 제3안내레일(140)에 레버(172)의 하단이 밀착되면서 상기 밀착력에 의하여 수직활차(163)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구동유닛(162)에도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는 구동유닛(162)에 설치된 너트부재와 제1안내레일(120)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동유닛(162)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너트부재에 체결된 레버로 구성된다.
따라서, 레버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너트부재와의 체결이 진행되면서 레버가 하강하고 그 결과 제1안내레일(120)에 레버의 하단이 밀착되면서 상기 밀착력에 의하여 수직활차(163)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한편, 무대세트가 매달리는 세트바튼(150)의 상단에는 수직활차(163) 활주하는 와이어(161)가 연결된다. 상기 세트바튼(150)은 수직활차(163)가 제3안내레일(140)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161)들에 의하여 하중이 골고루 분산된 상태로 제3안내레일(140)에 안정적으로 매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대 세트는 세트바튼(150)을 통해 안정적인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승강하면서 다양한 무대의 연출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안내레일(130)의 상부에는 구동유닛(162)의 유지보수와 수직활차(163)의 간격조절과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망(180)과 점검도어(1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점검망(180)은 익스펜디드 메탈 또는 그레이팅과 같은 철망으로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식 무대장치는 이송부(164)를 동작시켜 구동유닛(162)을 좌우로 이동시키면 구동유닛(162)이 제1안내레일(120)을 따라 무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구동유닛(162)과 일체로 연결된 제3안내레일(140)이 제2안내레일(13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3안내레일(140)이 무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제3안내레일(140)의 하부에 설치된 세트바튼(150)이 제3안내레일(140)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무대세트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연 별로 무대장치의 위치가 달라지거나 무대장치의 위치를 수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무대장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공연장에서는 다수의 무대장치를 미리 설치해 놓지 않아도 된다.
아울러, 수직활차(163)가 그리드(110) 아이언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그리드(110) 아이언을 무대의 천정에 보다 근접시켜 설치가 가능해지므로 무대의 천정부 공간확보에 유리하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10...그리드 아이언 120...제1안내레일
130...제2안내레일 140...제3안내레일
150...세트바튼 160...승강부
161...와이어 162...구동유닛
163...수직활차 164...이송부
164a...모터 164b,165...트롤이
164c...동력전달부재 170...스토퍼
180...점검망 190...점검도어

Claims (5)

  1. 일정간격을 두고 무대의 천정에 고정된 그리드 아이언;
    무대의 천정 좌우측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된 제1안내레일;
    각 그리드 아이언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된 제2안내레일;
    무대의 천장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안내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안내레일;
    무대의 천정을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그리드 아이언의 하부에 설치되며 무대세트가 매달리는 세트바튼; 및
    상기 세트바튼에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며 제3안내레일과 일체를 이루면서 제1안내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제3안내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와이어가 활주하는 수직활차를 구비한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무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이송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는 구동유닛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구동유닛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1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이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트롤이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무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과 수직활차에는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무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레일의 상부에는 승강부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망과 점검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무대장치.
KR1020160124716A 2016-09-28 2016-09-28 이동식 무대장치 KR101694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716A KR101694781B1 (ko) 2016-09-28 2016-09-28 이동식 무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716A KR101694781B1 (ko) 2016-09-28 2016-09-28 이동식 무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781B1 true KR101694781B1 (ko) 2017-01-23

Family

ID=5798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716A KR101694781B1 (ko) 2016-09-28 2016-09-28 이동식 무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7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133A (zh) * 2017-04-28 2017-08-18 广州市浩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控制的可移动舞台灯表演系统
KR101880044B1 (ko) * 2018-01-19 2018-08-16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설치가 용이한 승강용 무대장치
KR20190089281A (ko) *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 테스트원 솔라 시뮬레이션 장치 및 제어시스템
CN110230412A (zh) * 2018-08-10 2019-09-13 衡阳市金铭环境科技有限公司 叠加式别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6527A (en) * 1983-12-29 1986-08-19 Alexander Ziller Theatre scenery hoisting mechanism
KR100701507B1 (ko) * 2005-08-18 2007-04-02 주식회사 두륭 리깅장치
KR101073529B1 (ko) * 2011-01-31 2011-10-13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무대 장치
KR101577566B1 (ko) * 2015-08-06 2015-12-16 곽철원 이동식 바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6527A (en) * 1983-12-29 1986-08-19 Alexander Ziller Theatre scenery hoisting mechanism
KR100701507B1 (ko) * 2005-08-18 2007-04-02 주식회사 두륭 리깅장치
KR101073529B1 (ko) * 2011-01-31 2011-10-13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무대 장치
KR101577566B1 (ko) * 2015-08-06 2015-12-16 곽철원 이동식 바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133A (zh) * 2017-04-28 2017-08-18 广州市浩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控制的可移动舞台灯表演系统
CN107062133B (zh) * 2017-04-28 2023-09-26 广州市浩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控制的可移动舞台灯表演系统
KR101880044B1 (ko) * 2018-01-19 2018-08-16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설치가 용이한 승강용 무대장치
KR20190089281A (ko) *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 테스트원 솔라 시뮬레이션 장치 및 제어시스템
KR102027676B1 (ko) * 2018-01-22 2019-10-01 주식회사 테스트원 솔라 시뮬레이션 장치 및 제어시스템
CN110230412A (zh) * 2018-08-10 2019-09-13 衡阳市金铭环境科技有限公司 叠加式别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781B1 (ko) 이동식 무대장치
JP5009615B2 (ja) エレベータ
CN106744013B (zh) 一种并列式钢丝收卷装置
RU2013157537A (ru) Система буровой установки с самоподъемным буровым полом
US10183850B2 (en) Compact hoist system
JP5538471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工法
KR101328400B1 (ko) 무대설비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CN110593583B (zh) 一种幕墙移板支架
CN105021420B (zh) 建筑幕墙三维方向变形性能测试设备
JP2009173386A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
US20160045837A1 (en) Variable Speed System to Motorize Counterweight Line Sets
KR101954847B1 (ko) 지하 전력구 분할 배전선로 지지대
CN108253262A (zh) 一种多媒体投影仪固定架
KR101195247B1 (ko) 무대설비 승강장치
KR101470517B1 (ko) 타워 작업용 곤도라
CN203890562U (zh) 一种纱管箱自动装载装置
KR20100098175A (ko) 와이어지지용 활차를 구비하는 무대장치
CN200940423Y (zh) 叠升式卷帘
CN215885938U (zh) 一种可调节安装角度的限速器安装结构
CN215733174U (zh) 一种电缆敷设装置
KR100440987B1 (ko) 무대 세트물 상하 이동장치
KR101457811B1 (ko) 경사조절가능한 다중활차시스템
CN203321342U (zh) 垂直向上钻孔用可调支撑架
CN210103353U (zh) 多功能自排绳卷扬机
JP5538470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