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414B1 -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 - Google Patents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414B1
KR101694414B1 KR1020160097140A KR20160097140A KR101694414B1 KR 101694414 B1 KR101694414 B1 KR 101694414B1 KR 1020160097140 A KR1020160097140 A KR 1020160097140A KR 20160097140 A KR20160097140 A KR 20160097140A KR 101694414 B1 KR101694414 B1 KR 101694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ght
arc
signal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노병섭
김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97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268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using optical fib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18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using optical methods; using charged particle, e.g. electron, beams or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6Photo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측면을 통해 외부 아크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된 광섬유와, 광섬유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어 광섬유의 내부를 통해 양단으로 진행하는 광 중 광섬유의 일단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1광수신부와, 광섬유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어 광섬유의 내부를 통해 양단으로 진행하는 광 중 광섬유의 타단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2광수신부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1 및 제2신호로부터 제1 및 제2신호의 비율과 광섬유의 광전송손실 및 광섬유의 길이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아크광의 광섬유로의 입사 위치를 산출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에 의하면, 외부광 발생 유무 뿐만 아니라 그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센싱경로에 대응하여 하나의 라인형태로 광섬유를 포설하기 때문에 설치방법이 간단함에 따라 다채널화가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method for locating arc-flash events harnessing ligh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plastic optical fibers and sensor us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아크 발생 위치에 따른 광섬유 양끝단에서의 신호 세기의 비율 변화특성을 분석하여 아크의 발생 위치를 추적하는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에 관한 것이다.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등 대전류 및 고전압으로 운영되는 전력설비들에서 절연체 열화 등으로 인한 절연특성 저하로 인해 부분방전이 발생하며, 이러한 부분방전이 심화되는 경우 아크플래시(Arc Flash)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 플래시는 고온고압의 가스팽창을 수반하는 폭발로 이어질 수 있음에 따라 전력기기의 심각한 손상 및 작업자의 안전에도 심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아크 플래시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1 ms 이내의 빠른 시간 내에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센싱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아크 플래시 센싱 방식 중 광섬유를 이용하여 아크광을 검출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01943호에는 아크 플래시 발생유무를 검출하는 아크플래시 검출기가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아크 플래시 검출기는 아크 발생 유무만 알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 아크 발생 위치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구역의 전력설비 전체의 전원을 차단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250895호에는 광섬유 일단에 광학렌즈를 장착하여 광섬유 일단에서의 아크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이 있으나, 광섬유 길이방향에 대해 아크발생을 검출할 수 없고,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광섬유의 길이방향에 대해 아크플래시 발생위치 검출 범위를 확장시키면서도 검출 위치의 정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측면을 통해 외부 아크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된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광섬유의 내부를 통해 양단으로 진행하는 광 중 상기 광섬유의 일단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1광수신부와; 상기 광섬유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광섬유의 내부를 통해 양단으로 진행하는 광 중 상기 광섬유의 타단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2광수신부와; 상기 제1 및 제2 광수신부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1 및 제2신호로부터 제1 및 제2신호의 비율과 상기 광섬유의 광전송손실 및 상기 광섬유의 길이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아크광의 상기 광섬유로의 입사 위치를 산출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섬유는 클래드의 두께가 0.1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인 플라스틱 광섬유가 적용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의 길이는 10m이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외부 아크광의 상기 광섬유로의 입사 위치(L)를
Figure 112016074128193-pat00001
에 의해 산출하며, 상기 L은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의 거리에 해당하는 입사위치이고, 상기
Figure 112016074128193-pat00002
는 상기 광섬유의 광전송손실값이며, A1은 상기 제1광수신부에서 검출된 제1신호의 세기이고, A2는상기 제2광수신부에서 검출된 제1신호의 세기이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측면을 통해 외부 아크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된 광섬유를 이용하여 외부 아크광의 상기 광섬유로의 입사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상기 광섬유의 광전송손실(
Figure 112016074128193-pat00003
)을 측정하는 단계와; 나. 상기 광섬유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광섬유의 내부를 통해 양단으로 진행하는 광 중 상기 광섬유의 일단을 통해 출사되어 제1광수신부에 의해 검출된 제1신호와 상기 광섬유의 타단을 통해 출사되어 제2광수신부에 의해 검출된 제2신호의 비율과 상기 광섬유의 광전송손실(
Figure 112016074128193-pat00004
) 및 상기 광섬유의 길이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아크광의 상기 광섬유로의 입사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에 의하면, 외부광 발생 유무 뿐만 아니라 그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센싱경로에 대응하여 하나의 라인형태로 광섬유를 포설하기 때문에 설치방법이 간단함에 따라 다채널화가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섬유의 전송손실 특성을 이용한 아크플래시 발생 위치 추적방법을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광섬유 양단의 제1광수신부와 제2광수신부로부터 각각 출력된 신호들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각각의 신호들의 세기를 커브피팅하여 함수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커브피팅된 함수를 비율로 나타내고, 아크광의 발생에 따른 제1광수신부와 제2광수신부로부터의 신호 비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 보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광섬유의 전송손실 특성을 이용한 아크플래시 발생 위치 추적방법을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100)는 광섬유(110), 제1광수신부(131), 제2광수신부(132) 및 신호 처리부(140)를 구비한다.
광섬유(110)는 일정 길이로 하나의 라인으로 포설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된 측면을 통해 외부 아크광(10)을 수광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적용된다.
광섬유(110)는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클래드로 이루어져 있고, 외부로부터 발생된 외부광이 클래드를 통해 코어 내로 입사가 가능하도록 클래드 두께가 0.1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인 플라스틱 광섬유(POF;Plastic Optical Fiber) 또는 HPCF(Hard Polymer Clad Fiber)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섬유(110)는 클래드의 두께가 50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인 플라스틱 광섬유가 적용된다.
또한, 광섬유(110)의 길이는 10m로 적용한다.
광섬유커넥터(121)(122)는 광섬유(110)의 양단(111)(112)에 각각 접속되어 광섬유(110)의 양단에서 각각 출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1광수신부(131)와 제2광수신부(132)와의 물리적 접속 및 광전송을 중계한다.
제1광수신부(131)는 광섬유(110)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어 광섬유(110)의 내부를 통해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 중 광섬유(110)의 일단(111)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광의 세기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인 제1신호(A1)를 신호처리부(140)에 제공한다.
제2광수신부(132)는 광섬유(110)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어 광섬유(110)의 내부를 통해 양쪽으로 진행하는 광 중 광섬유(110)의 타단(112)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광의 세기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인 제2신호(A2)를 신호처리부(140)에 제공한다.
제1 및 제2광수신부(131)(132)는 포토 다이오드가 적용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40)는 제1 및 제2 광수신부(131)(132)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1 및 제2신호로부터 제1 및 제2신호의 비율(A1/A2)과 광섬유(110)의 광전송손실 (α)및 광섬유(110)의 길이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아크광의 발생유무 및 아크광 발생시의 광섬유(110)로의 길이방향에 대한 입사 위치를 산출한다.
이때, 외부광의 크기는 제1광수신부(131)와 제2광수신부(132)에서 검출된 제1신호 및 제2신호의 절대값 중 큰 값의 비교를 통해 발생한 아크의 세기를 추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100)의 외부광의 일 예인 아크광의 발생위치 산출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적용된 광섬유(110) 내에서의 광 전송손실(α)을 측정한다. 여기서 광 전송손실(α)는 광섬유(110)의 길이방향에서 위치를 바꾸어가며 제1광수신부(131) 와 제2광수신부(321)로부터 출력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구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한 광섬유(110)의 양단(111)(112)에서 측정된 각각의 값을 함수로 나타내면 다음 식과 같다.
Figure 112016074128193-pat00005
여기서, L은 광섬유(110)의 일단(111)에서 타단(112)방향으로의 거리에 해당하는 임의의 입사위치이고,
Figure 112016074128193-pat00006
는 앞서 실험적으로 구한 광섬유(100)의 광전송손실값이다.
위 수학식1에서는 광섬유(111)의 전체 길이는 10 m로 적용하였을 때에 대한 것이다.
위 수학식1을 아크 발생 위치인 L에 대해서 정리를 하면 다음 식과 같다.
Figure 112016074128193-pat00007
위 수학식2에 의하면 아크가 발생한 거리 L은 광섬유(110) 양단(111)(112)에서 측정된 출력신호의 세기의 비율(A1/A2)과 광섬유(110)의 전송손실(
Figure 112016074128193-pat00008
) 특성의 함수로 정의된다. 또한, A1와 A2 각각에 대해 절대값을 취하고 둘 중 큰 값을 다른 측정값과 비교함으로서 실제 발생한 광의 세기를 정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구성을 통해 아크가 발생한 위치와 크기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광섬유 양단의 제1광수신부와 제2광수신부로부터 각각 출력된 신호들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이에 대한 실험적 결과로서 POF의 왼쪽과 오른쪽 끝에서 각각 측정된 아크플래시 신호로서 두 개의 광수신부에서 검출된 신호의 비율로 정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신호의 비율을 커브피팅을 통해 함수화하여 신호처리부(140)의 룩업테이블(미도시)에 미리 기록시켜 놓고 실제 측정된 비율을 대입하여 아크 발생 위치를 산출한다.
도 4는 실제 광섬유(111)의 중간 여러 지점에 아크광을 발생시킨 후, 광섬유 양단(113)에서 측정된 값의 비율과 커프피팅된 함수를 비교하여 판단한 결과로서 위치 정확도는 5 cm로 매우 높은 정확도를 갖음을 알수 있다.
110: 광섬유 121, 122: 광섬유 커넥터
131: 제1광수신부 132: 제2광수신부
140: 신호 처리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측면을 통해 외부 아크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된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광섬유의 내부를 통해 양단으로 진행하는 광 중 상기 광섬유의 일단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1광수신부와;
    상기 광섬유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광섬유의 내부를 통해 양단으로 진행하는 광 중 상기 광섬유의 타단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2광수신부와;
    상기 제1 및 제2 광수신부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1 및 제2신호로부터 제1 및 제2신호의 비율과 상기 광섬유의 광전송손실 및 상기 광섬유의 길이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아크광의 상기 광섬유로의 입사 위치를 산출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섬유는 클래드의 두께가 0.1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인 플라스틱 광섬유가 적용되며,
    상기 광섬유의 길이는 10m이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외부 아크광의 상기 광섬유로의 입사 위치(L)를
    Figure 112016124374899-pat00009
    에 의해 산출하며,
    상기 L은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의 거리에 해당하는 입사위치이고, 상기
    Figure 112016124374899-pat00010
    는 상기 광섬유의 광전송손실값이며, A1은 상기 제1광수신부에서 검출된 제1신호의 세기이고, A2는상기 제2광수신부에서 검출된 제1신호의 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
  4. 삭제
  5.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측면을 통해 외부 아크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된 광섬유를 이용하여 외부 아크광의 상기 광섬유로의 입사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상기 광섬유의 광전송손실(
    Figure 112016124374899-pat00019
    )을 측정하는 단계와;
    나. 상기 광섬유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광섬유의 내부를 통해 양단으로 진행하는 광 중 상기 광섬유의 일단을 통해 출사되어 제1광수신부에 의해 검출된 제1신호와 상기 광섬유의 타단을 통해 출사되어 제2광수신부에 의해 검출된 제2신호의 비율과 상기 광섬유의 광전송손실(
    Figure 112016124374899-pat00020
    ) 및 상기 광섬유의 길이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아크광의 상기 광섬유로의 입사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의 길이는 10m이고,
    상기 외부 아크광의 상기 광섬유로의 입사 위치(L)는
    Figure 112016124374899-pat00013
    에 의해 산출하며,
    상기 L은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의 거리에 해당하는 입사위치이고, 상기
    Figure 112016124374899-pat00014
    는 상기 광섬유의 광전송손실값이며, A1은 상기 제1신호의 세기이고, A2는 상기 제1신호의 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위치 산출방법.
KR1020160097140A 2016-07-29 2016-07-29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 KR101694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40A KR101694414B1 (ko) 2016-07-29 2016-07-29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40A KR101694414B1 (ko) 2016-07-29 2016-07-29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414B1 true KR101694414B1 (ko) 2017-01-09

Family

ID=5781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40A KR101694414B1 (ko) 2016-07-29 2016-07-29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4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452B1 (ko) 2018-10-22 2019-09-30 지투파워 (주) 전력설비의 아크 발생 위치 검출 장치
KR20190130755A (ko) 2018-05-15 2019-11-25 이준희 아크 플래시 발생 위치 검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914A (ja) * 1995-07-27 1997-02-14 Nec Corp 光ファイバセンサ
KR20100125810A (ko) * 2009-05-21 2010-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기기용 아크 발생 위치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419507B1 (ko) * 2013-01-29 2014-07-14 한국광기술원 아크 플래시 감지센서 유니트
KR101542538B1 (ko) * 2015-03-17 2015-08-06 지투파워 (주)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914A (ja) * 1995-07-27 1997-02-14 Nec Corp 光ファイバセンサ
KR20100125810A (ko) * 2009-05-21 2010-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기기용 아크 발생 위치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419507B1 (ko) * 2013-01-29 2014-07-14 한국광기술원 아크 플래시 감지센서 유니트
KR101542538B1 (ko) * 2015-03-17 2015-08-06 지투파워 (주) 광섬유 루프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의 아크 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755A (ko) 2018-05-15 2019-11-25 이준희 아크 플래시 발생 위치 검출 시스템
KR102026452B1 (ko) 2018-10-22 2019-09-30 지투파워 (주) 전력설비의 아크 발생 위치 검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8669B2 (en) Power monitor for optical fiber using background scattering
WO2017009606A1 (en) Improved sensitivity optical fiber sensing systems
NL2007280C2 (en) Measuring method of longitudinal distribution of bending loss of optical fiber, measuring method of longitudinal distribution of actual bending loss value of optical fiber, test method of optical line,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ber cable,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ber cor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ber.
KR101694414B1 (ko) 광섬유 전송손실을 이용한 아크발생 위치 산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아크 감지 광섬유 센서
CN204087417U (zh) 光纤感温火灾探测器系统
JP2008203239A (ja) 光ファイバセンサ及び変動位置検出方法
KR102026452B1 (ko) 전력설비의 아크 발생 위치 검출 장치
KR101499918B1 (ko) 수배전반용 광섬유 온도 열화 검출 시스템
US11483067B2 (en)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test method of optical transmission line, and test system of optical transmission line
JPH06307896A (ja) 分布型導波路センサ
CN104361707A (zh) 光纤感温火灾探测器系统
KR101064315B1 (ko) 광온도센서를 내장한 온도감지형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제어반, 분전반)
KR101819446B1 (ko) 광 선로 감시 시스템
JP2000346712A (ja) ケーブル洞道監視装置
KR101210465B1 (ko) 고장점 탐지기 일체형 광 파워메타
KR101883359B1 (ko) 지중 전력 케이블의 열화 감지시스템
KR101451963B1 (ko) 수배전반용 광섬유 온도 검출기
JP2989228B2 (ja) 電力ケーブル異常点検出装置
JPH04168335A (ja) 漏液監視装置
KR101465787B1 (ko) 광감지 위치 추적형 광섬유 라인 센서 및 그 외부광 입사위치 산출방법
KR101414770B1 (ko) 광케이블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광계측 장치, 광계측 장치를 이용한 광케이블 검사 장치, 및 광계측 장치와 광원 장치를 이용한 광케이블 검사 방법
Wakami et al. 1.55-um long-span fiber optic distributed temperature sensor
CN111103067A (zh) 基于单模光纤的电缆沟温度监测方法和系统
KR101419507B1 (ko) 아크 플래시 감지센서 유니트
KR101800021B1 (ko) 배전망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광복합 배전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