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348B1 -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 - Google Patents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348B1
KR101694348B1 KR1020140108617A KR20140108617A KR101694348B1 KR 101694348 B1 KR101694348 B1 KR 101694348B1 KR 1020140108617 A KR1020140108617 A KR 1020140108617A KR 20140108617 A KR20140108617 A KR 20140108617A KR 101694348 B1 KR101694348 B1 KR 101694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s
time
meter
meter reading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714A (ko
Inventor
이상춘
이성훈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3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은, 데이터집중장치(DCU)에 의해 검침대상 미터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미터(meter) 들의 현재 시간정보를 취득하는 제1 과정; 상기 추출된 미터(meter) 들의 검침 데이터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각 미터들의 검침 가능시간을 예측하는 제2 과정; 상기 추출된 미터(meter) 들의 통신성능 및 검침 데이터 크기에 따른 각각의 전송 지연시간 및 전송 소요시간을 반영하여 검침 가능시간을 보정하는 제3 과정; 동시 처리 가능 수에 따라 상기 추출된 미터(meter) 들을 그룹핑 하고, 그룹핑 된 미터(meter) 들의 검침 가능시간을 보정하는 제4 과정; 및 검침 스케줄링을 작성하고, 상기 검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미터(meter) 들의 검침을 시행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READING SCHEDUL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TIME INFORMATION OF METERS}
본 발명은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터 데이터를 검침하기 전에 검침 대상인 미터들의 시간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간 순서대로 정렬한 후 검침 데이터 생성 시간을 예상하여 최적의 검침 스케줄링을 결정함으로써, 미터들의 시간정보 오차에 의한 검침 누락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검침에 필요한 부가 트래픽 발생을 최소화시켜 검침망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검침이란 전기, 가스, 수도 계량기 등을 검침원이 일일이 고객을 방문하지 않고 원격에서 단말기를 이용해 검침데이터를 읽는 것을 말하며, 원격검침 시스템은 원격지에 있는 계측기의 지시 값과 감지기로 검출한 사항을 케이블 또는 전파를 이용한 통신 회선을 통해 자동적으로 수집하여 컴퓨터로 집계분석 등을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원검검침 시스템은 전화선이나 전력선, 또는 무선주파수 방식에 의해 정보를 수집하며, 원격검침 시스템을 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과 연계해 고지서 발급은 물론 수요 패턴까지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은 데이터집중장치(DCU)에서 검침해야 할 미터(meter) 들을 무작위(이를테면, 미터 제조번호 또는 미터설치 순서)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도 3a 참조), 이때 미터들은 설치 시 또는 원격으로 설정된 시간으로 각각이 동작하고 미터마다 다른 오차범위를 가지고 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미터와 데이터집중장치(DCU) 사이에는 시간적 오차가 더 많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데이터집중장치(DCU)에서 검침 주기별로 수집할 때 미터와의 시간 오차로 인하여 해당 주기 내에 생성되어야 할 데이터가 생성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검침 데이터 수집에 있어 적시성 부재로 인한 데이터 관리 및 검침 성공률 판단 문제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검침 데이터의 적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수집하지 못한 미터들에 대해 검침을 다시 수행해야 함으로, 검침 망 트래픽을 증가시켜 검침 망 통신 안정성 등에 악영향을 주고, 데이터집중장치(DCU)가 수용 가능한 미터의 수를 제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5659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터 데이터를 검침하기 전에 검침 대상인 미터들의 시간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간 순서대로 정렬한 후 검침 데이터 생성 시간을 예상하여 최적의 검침 스케줄링을 결정함으로써, 미터들의 시간정보 오차에 의한 검침 누락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검침에 필요한 부가 트래픽 발생을 최소화시켜 검침망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은, 데이터집중장치(DCU)에 의해 검침대상 미터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미터(meter) 들의 현재 시간정보를 취득하는 제1 과정; 상기 추출된 미터(meter) 들의 검침 데이터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각 미터들의 검침 가능시간을 예측하는 제2 과정; 상기 추출된 미터(meter) 들의 통신성능 및 검침 데이터 크기에 따른 각각의 전송 지연시간 및 전송 소요시간을 반영하여 검침 가능시간을 보정하는 제3 과정; 동시 처리 가능 수에 따라 상기 추출된 미터(meter) 들을 그룹핑 하고, 그룹핑 된 미터(meter) 들의 검침 가능시간을 보정하는 제4 과정; 및 검침 스케줄링을 작성하고, 상기 검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미터(meter) 들의 검침을 시행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미터들의 시간정보 오차에 의한 검침 누락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검침에 필요한 부가 트래픽 발생을 최소화시켜 검침망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검침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라 미터들의 번호 순서에 따라 검침을 할 경우 일부 미터에 누락 데이터가 존재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검침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시간 순으로 정렬된 각 미터의 시간조건을 일 실시예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검침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검침시스템(100)은 계기부(110), 데이터집중장치(DCU, 120) 및 원격검침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계기부(110)는 복수개의 제1 미터(111) ~ 제n 미터(110)를 수용가 각각에 설치하여 수용가의 에너지 사용량을 계측, 저장하고 계측된 검침 데이터를 데이터집중장치(DCU, 120)로 송신하는데, 이 경우 각각의 제1 미터(111) ~ 제n 미터(110)는 도 3에 도시된 바대로 서로 다른 미터 시간을 갖는다.
데이터집중장치(DCU, 120)는 각각의 제1 미터(111) ~ 제n 미터(110)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원격검침 서버(130)로 전송한다.
원격검침 서버(130)는 계기부(110)와 데이터집중장치(DCU, 120)의 구성 정보를 관리하고, 최종적으로 검침 데이터를 취득, 저장 및 처리하며 웹(web)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전력사용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라 미터들의 번호 순서에 따라 검침을 할 경우 일부 미터에 누락 데이터가 존재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검침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시간 순으로 정렬된 각 미터의 시간조건을 일 실시예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2,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터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출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집중장치(DCU, 120)는 검침대상 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미터들의 현재 시간정보를 취득하는 제1 과정(S10)을 갖는다.
이를테면, 도 3a에 도시된 바대로, 제1 미터(111)의 현재 시간은 0시 16분, 제2 미터(112)의 현재 시간은 0시 17분, 제3 미터(113)의 현재 시간은 0시 13분, 제4 미터(114)의 현재 시간은 0시 15분에 대한 현재 시간정보를 취득하며, 이 경우데이터집중장치(DCU, 120)의 현재 시간은 0시 15분이고, 데이터집중장치(DCU, 120)의 검침 데이터 수집주기 및 제1 ~ 제4 미터(111 ~ 114)의 검침 데이터 생성주기는 모두 15분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데이터집중장치(DCU, 120)는 미터의 현재 시간정보 순으로 추출된 미터에 대한 정렬을 수행하는 제2 과정(S20)을 갖는다.
이를테면, 제1 ~ 제4 미터(111 ~ 114)에 대해 현재 시간을 사간을 기준으로 내림 차순으로 정렬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대로 제2 미터(0시 17분)-->제1 미터(0시 16분) -->제4 미터(0시 15분) -->제3 미터(0시 13분) 순으로 각 미터는 정렬된다.
다음으로, 데이터집중장치(DCU, 120)는 검침 데이터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각 미터들의 검침 가능시간을 예측하는 제3 과정(S30)을 갖는다.
이를테면, 도 3b에 도시된 바대로, 데이터집중장치(DCU, 120)의 1번째 수집주기는 0시 15분이므로, 제2 미터(2분전 생성됨)-->제1 미터(1분전 생성됨) -->제4 미터(현재 생성됨) -->제3 미터(미 생성)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각 미터 별 예측된 상기 데이터 생성시간을 적용하여 각 미터별 검침 가능시간을 예측하면 된다.
이를테면, 제2 미터(S0+Δ)-->제1 미터(S0+Δ+1분) -->제4 미터(S0+Δ+2분) -->제3 미터(S0+Δ+4분) 순으로 각 미터별 검침 가능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S0는 최초 시작 시간으로 15분으로 설정되었으며, Δ는 소정의 여유시간으로 상황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집중장치(DCU, 120)는 각 미터들에 대한 통신성능 및 검침 데이터 크기에 따른 각각의 전송 지연시간 및 전송 소요시간을 반영하여 검침 가능시간을 보정하는 제4 과정(S40)을 갖는다.
이를테면,
제2 미터의 시작시간(S2) = S0+Δ
제1 미터의 시작시간(S1) = MAX(S0+Δ+1분, S2+T1+T2)
제4 미터의 시작시간(S4) = MAX(S0+Δ+2분, S1+T1+T2)
제3 미터의 시작시간(S3) = MAX(S0+Δ+4분, S4+T1+T2)
여기서, T1은 주기시작 전 통신성능에 따라 측정된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T2는 주기시작 전 검침 데이터 크기에 따라 계산된 전송 소요시간, MAX(A, B)는 A, B의 값 중 최대 값을 선택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데이터집중장치(DCU, 120)는 각 미터들의 통신성능에 따른 동시 처리 가능 수에 따라 그룹핑(grouping) 하고, 그룹핑 된 미터(meter) 들의 검침 가능시간을 보정하는 제5 과정(S50)을 갖는다.
이를테면, 통신성능에 따른 동시 데이터 처리 수(N)를 고려하여, 미터 그룹을 (2번, 4번), (1번, 3번) 같이 2개로 나뉘어 그룹핑 하는 경우,
제2 미터의 시작시간(S2) = S0+Δ 이므로,
제4 미터의 시작시간(S4) = MAX(S0+Δ+2분, S2+T1+T2) 같이 검침 시작시간은 설정되고,
제1 미터의 시작시간(S1) = S0+Δ+1분 이므로,
제3 미터의 시작시간(S3) = MAX(S0+Δ+4분, S1+T1+T2) 같이 검침 시작시간은 설정된다.
한편, 검침 시작시간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판단기준의 순서, 조합 및 세부 계산방법 등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실제로 검침을 수행할 각 미터들에 대한 검침 스케쥴링을 작성하는 제6 과정(S60)을 갖는다.
다음으로, 검침 스케쥴링에 따라 각 미터들에 대해 검침을 수행하는 제7 과정(S70)을 갖는다.
다음으로, 검침된 각 미터들에 대한 검침이 모두 성공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8 과정(S80)을 갖는다.
다음으로, 만일 제8 과정(S80)에서 검침된 각 미터들에 대한 검침이 모두 성공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예), 검침 절차를 종료하고, 만일 제8 과정(S80)에서 검침된 각 미터들에 대한 검침이 모두 성공하였다고 판단하지 않은 경우(아니오), 재검침 대상의 미터를 추출하는 제9 과정(S90)을 갖는다.
다음으로, 데이터집중장치(DCU, 120)는 재검침 데이터 크기, 통신성능, 동시 처리 가능 수 등을 고려하여 검침 가능시간을 예측하는 제10 과정(S95)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제4 과정(S40) 및 제5 과정(S50)에서 설명한 방식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0 과정(S95)에서 예측된 검침 가능시간을 토대로 검침 스케줄링을 작성하고(S60), 이에 따라 검침을 시행하며(S70), 모든 미터들의 검침 성공 여부 판단하는 과정(S80)을 반복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 계기부
111 ~ 11n : 제1 ~ 제n 미터
120 : 데이터집중장치(DCU)
130 : 원격검침 서버

Claims (2)

  1. 데이터집중장치(DCU)에 의해 검침대상 미터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미터(meter) 들의 현재 시간정보를 취득하는 제1 과정;
    상기 추출된 미터(meter) 들의 검침 데이터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각 미터들의 검침 가능시간을 예측하는 제2 과정;
    상기 추출된 미터(meter) 들의 통신성능 및 검침 데이터 크기에 따른 각각의 전송 지연시간 및 전송 소요시간을 반영하여 검침 가능시간을 보정하는 제3 과정;
    동시 처리 가능 수에 따라 상기 추출된 미터(meter) 들을 그룹핑 하고, 그룹핑 된 미터(meter) 들의 검침 가능시간을 보정하는 제4 과정;
    검침 스케줄링을 작성하고, 상기 검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미터(meter) 들의 검침을 시행하는 제5 과정; 및
    검침 시행된 미터(meter) 들의 성공여부를 판단하고, 성공하지 못한 미터(meter) 들에 대하여 상기 제3 과정 및 상기 제4 과정을 적용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

  2. 삭제
KR1020140108617A 2014-08-20 2014-08-20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 KR101694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617A KR101694348B1 (ko) 2014-08-20 2014-08-20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617A KR101694348B1 (ko) 2014-08-20 2014-08-20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714A KR20160022714A (ko) 2016-03-02
KR101694348B1 true KR101694348B1 (ko) 2017-01-09

Family

ID=5558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617A KR101694348B1 (ko) 2014-08-20 2014-08-20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742B1 (ko) * 2017-03-15 2019-04-03 주식회사 유비콤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539B1 (ko) * 2012-01-16 2013-06-10 (주)누리텔레콤 검침 스케줄을 이용하는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검침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3135437A (ja) * 2011-12-27 2013-07-08 Fujitsu Ltd データ収集システム、データ収集装置及びデータ収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488B1 (ko) * 2011-07-22 2013-05-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검침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56595A (ko) 2012-10-30 2014-05-12 한국전력공사 데이터 중복 검침과 누락을 방지하는 lp데이터 검침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5437A (ja) * 2011-12-27 2013-07-08 Fujitsu Ltd データ収集システム、データ収集装置及びデータ収集方法
KR101272539B1 (ko) * 2012-01-16 2013-06-10 (주)누리텔레콤 검침 스케줄을 이용하는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검침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714A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71151A1 (en) Energy infrastructure sensor data rectification using regression models
US9048664B2 (en) Estimating loss rates of links in smart grids
CN104572333B (zh) 用于检测、校正并验证数据流中的不良数据的系统和方法
CN100489716C (zh) 处理度量流数据的方法及采样设备
US20130173322A1 (en) Energy Management with Correspondence Based Data Auditing Signoff
US82375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statuses of electric appliances
You et al. Disturbance location determination based on electromechanical wave propagation in FNET/GridEye: a distribution‐level wide‐area measurement system
US20160356859A1 (en) Fault detection in energy generation arrangements
CN104866926B (zh) 基于气象因素和时间序列分析的配电网故障数量预测方法
CN110769452A (zh) 基站经纬度异常识别方法、系统、服务器和存储介质
CN110024414A (zh) 自动检测系统以及自动检测方法
JP2009033811A (ja) 計測・監視システム、その電力品質計測装置、プログラム
CN109063885A (zh) 一种变电站异常量测数据预测方法
CN108072858B (zh) 电能表质量管理方法、系统及终端设备
CN105355021A (zh) 基于ZigBee的远程无线抄表系统及其性能检测方法
KR102269887B1 (ko) 전력량계 검침 장치 및 그것의 검침 방법
Li et al. Natural timestamping using powerline electromagnetic radiation
US95235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correcting metering data in non-metered section
CN116933157A (zh) 一种窃电检测方法
Frank et al. Extracting operating modes from building electrical load data
KR101694348B1 (ko)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
CN103577290A (zh) 一种测试脚本的回放节奏控制方法及系统
CN103279816A (zh) 基于活动窗口统计终端工作效率的方法和系统
KR102097260B1 (ko) 전자식 전력량계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CN102651163A (zh) 一种小区集抄系统中电能表时钟超差的判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