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538B1 -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538B1
KR101693538B1 KR1020150110189A KR20150110189A KR101693538B1 KR 101693538 B1 KR101693538 B1 KR 101693538B1 KR 1020150110189 A KR1020150110189 A KR 1020150110189A KR 20150110189 A KR20150110189 A KR 20150110189A KR 101693538 B1 KR101693538 B1 KR 101693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ireless charging
antenna
permeability
k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50110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538B1/ko
Priority to PCT/KR2016/008492 priority patent/WO2017023080A1/ko
Priority to CN201680046031.8A priority patent/CN107912075B/zh
Priority to US15/747,582 priority patent/US1056682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H02J17/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Abstract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은 자기 유도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 및 자기 공진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가 구비되는 안테나유닛; 및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1시트 및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2시트가 구비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시트는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가 배치되는 일면이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가 배치되는 제2시트의 일면에 대하여 높이차를 갖는 단차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하면, 충전방식이 상이한 두 개의 무선충전용 안테나를 동시에 배치함으로써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어 호환성을 높이고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충전대상인 휴대기기가 접촉하는 접촉면과 해당 무선충전용 안테나와의 이격거리를 서로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 모두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module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전방식이 상이한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을 모두 이용하여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고 각각의 무선충전용 안테나와 전자기기와의 적정거리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외부의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기, 예컨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사용과 관련된 주변 환경이 차량과 같은 동적인 공간까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일환으로, 차량 내에서도 간편히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차량 내 배터리 충전시 충전기와 단말기(또는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방식으로는 차량 전원에 연결된 충전기를 접촉단자 또는 케이블을 통해 단말기에 연결하여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충전기와 단말기에 접촉단자를 구비하는 단자공급방식에서는 습기에 노출될 경우 충전에너지가 소실되거나, 접촉/분리시 순간방전현상으로 인해 화재 발생의 우려가 있고, 접촉불량에 의해 충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접촉단자를 구성하지 않고 무선 전력 전송방식을 이용하는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은 차량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무선 전송방식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차량 내에 매립되는 무선충전 송신모듈과, 무선충전 송신모듈에서 전기에너지를 전송받는 단말기 측의 무선충전 수신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무접점 방식의 무선 충전은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무선충전 송신모듈에 대한 무선충전 수신모듈의 접근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PMA 방식과 Qi 방식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상술한 자기유도방식이나 자기공진방식은 자기장을 이용하는 것으로, 코일을 이용해서 전자기장을 만들고, 이를 통해 전력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자기유도방식은 코일간의 전자기 유도현상을 이용하는 것이고, 자기공진방식은 코일간의 자기공진을 이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즉, 자기유도방식은 동일한 주파수로 만든 코일을 서로 포개면 1차 코일에서 생성된 자기장이 2차 코일에 유도전류가 흘러 에너지를 공급하는 원리이며, 자기공진방식은 직접적으로 충전 매트와 접촉하지 않아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자기 공명 방식은 기본적으로 코일을 통해서 전류가 전자기로 바뀌는 것까지는 자기유도 방식과 비슷하지만, 자기공진을 사용하여 코일간 낮은 결합계수에도 불구하고 멀리 보낼 수 있는 점이 다르다.
또한, 상기 자기유도방식은 전송효율이 높고 대전력의 전송이 가능하고 자기공진방식은 한 번에 복수 개의 기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은 서로의 특장점이 존재하지만, 서로 사용하는 동작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다.
일례로, 상기 자기유도방식은 동작주파수가 100~350kHz 대역이며, 자기공진방식은 동작주파수가 6.765MHz ~ 6.795MHz의 대역이다.
이에 따라,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은 각각 작동하는 동작주파수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호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고주파 대역인 6.765MHz ~ 6.795MHz의 대역에서 작동하는 자기공진방식의 경우에는 코일간의 결합계수가 과도하게 높을 경우 스플릿이 발생하여 충전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저주파대역인 100~350kHz에서 작동하는 자기유도방식의 경우에는 결합계수가 높을수록 충전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을 동시에 적용하는 경우 자기유도방식으로 작동하는 안테나와 자기공진방식으로 작동하는 안테나의 충전효율을 모두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KR10-2015-0159465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충전방식이 상이한 적어도 두 개의 무선충전용 안테나를 동시에 배치함으로써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유도방식으로 작동하는 안테나가 Qi 방식과 PMA 방식의 안테나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모듈을 통하여 Qi 방식, PMA 방식 및 자기공진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대상인 휴대기기가 접촉하는 접촉면과 해당 무선충전용 안테나와의 이격거리를 서로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 모두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기 유도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 및 자기 공진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가 구비되는 안테나유닛;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1시트 및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2시트가 구비되는 차폐유닛; 및 상기 안테나유닛과 차폐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갖추고 상기 안테나유닛의 상부측에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전자기기의 접촉면인 상기 상판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까지의 제1이격거리는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수신코일과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와의 결합계수가 0.7이상이 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상판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까지의 제2이격거리는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수신코일과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와의 결합계수가 0.2미만이 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1이격거리는 상기 제2이격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가 배치되는 제1시트의 일면이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가 배치되는 제2시트의 일면에 대하여 높이차를 갖는 단차면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는 Qi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1안테나와 PMA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2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면은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가 배치되는 제2시트의 일면에 대하여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가 배치되는 제1시트의 일면이 일정높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시트는 상기 제2시트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시트는 상기 제2시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시트의 상부면에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시트의 내부에는 상기 제1시트의 일부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시트의 일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되는 수용홈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시트를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격거리는 2mm ~ 5mm일 수 있고, 상기 제2이격거리는 10mm ~ 50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시트는 동작주파수가 100kHz~350kHz인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시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시트는 동작주파수가 100kHz~350kHz인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시트와 동일한 투자율을 갖는 경우 상기 제1시트의 투자손실률이 상기 제2시트의 투자손실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시트는 동작주파수가 6.765MHz ~ 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시트는 동작주파수가 6.765MHz ~ 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와 동일한 투자율을 갖는 경우 상기 제2시트의 투자손실률이 상기 제1시트의 투자손실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시트는 동작주파수가 100kHz~350kHz인 주파수 대역에서 300~3500의 투자율을 갖고, Tanㅿ(=μ"/μ')가 0.05이하이며, 포화자속밀도가 0.25T 이상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시트는 동작주파수가 6.765MHz ~ 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30~350의 투자율을 갖고, Tanㅿ(=μ"/μ')가 0.05이하이며, 포화자속밀도가 0.25T 이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여기서, μ'은 투자율이고, μ"은 투자손실율임).
또한, 상기 제1시트는 100kHz~350kHz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이 2000~3500이고 Tanㅿ(=μ"/μ')가 0.05이하인 Mn-Zn 페라이트 또는 100kHz~350kHz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이 300~1500이고 Tanㅿ(=μ"/μ')가 0.05이하인 Ni-Zn 페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시트는 6.765MHz ~ 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이 100~350이고 Tanㅿ(=μ"/μ')가 0.05이하인 Ni-Zn 페라이트 또는 6.765MHz ~ 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이 30~70이고 Tanㅿ(=μ"/μ')가 0.05이하인 메탈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시트 및 제2시트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리본시트, 소결 페라이트 시트 또는 메탈 폴리머 시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탈 폴리머는 Fe-Si-Cr계 메탈 폴리머 또는 Fe-Si-Al계 메탈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리본시트는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유닛은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방식이 상이한 적어도 두 개의 무선충전용 안테나를 동시에 배치함으로써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Qi방식, PMA 방식 및 자기공진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을 높이고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대상인 전자기기가 접촉하는 접촉면과 해당 무선충전용 안테나와의 이격거리를 서로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 모두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에서 제2시트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수용부가 관통구로 형성되는 경우이고, b)는 수용부가 수용홈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에서 차폐시트가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에서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가 3개로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100)은 차량 내에 설치되어 충전하고자 하는 전자기기 측으로 무선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0), 안테나유닛(110) 및 차폐유닛(12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안테나유닛(110) 및 차폐유닛(120)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본적으로 충전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상의 구성요소들, 즉 차량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회로부와, 상기 전원회로부를 통해 공급받은 전력을 안테나유닛(110)에 전달하여 충전대상인 전자기기 측으로 송출하는 안테나구동회로부와, 상기 안테나구동회로부의 구동제어 및 전력 전송제어를 포함하여 제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는 휴대폰, PDA, PMP, 테블릿, 멀티미디어 기기 등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유닛(110)은 서로 다른 동작주파수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복수 개의 무선충전용 안테나(111,112)가 구비되어 해당 동작주파수 대역에서 무선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상술한 전자기기가 필요로 하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무선충전용 안테나(111,112)는 일정길이를 갖는 도전성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복수 회 권선되는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상의 평판형 코일로 구성되어 상기 차폐유닛(120)의 일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성부재는 구리와 같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소정의 선경을 갖는 복수 개의 가닥이 길이방향을 따라 꼬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복수 개의 무선충전용 안테나(111,112)가 평판형 코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무선충전용 안테나(111,1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리드선(114a,114b,114c)이 상기 차폐유닛(12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무선충전용 안테나(111,112)는 폴리이미드(PI)나 PET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동박 등과 같은 전도체를 루프 형태로 패터닝하거나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여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복수 개의 무선충전용 안테나(111,112)는 도전성부재가 복수 회 권선된 평판형코일과 회로기판의 일면에 인쇄된 안테나 패턴이 상호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무선충전용안테나는 자기 유도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 및 자기 공진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는 동작주파수가 100~350kHz인 주파수 대역에서 자기 유도 방식으로 작동하는 Qi 또는 PMA 방식의 안테나일 수 있고,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는 동작주파수가 6.765~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자기 공진 방식으로 작동하는 A4WP 방식의 안테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테나유닛(110)이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으로 각각 작동하는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 및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모듈을 통하여 두 가지 방식의 무선충전을 모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자기유도방식으로 작동하는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는 Qi 방식의 안테나일 수도 있고, PMA 방식의 안테나일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Qi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1안테나(111a)와 PMA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2안테나(111b)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는 3개로 구비되고 어느 하나의 안테나가 다른 두 개의 안테나와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도 6 참조). 더불어,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는 하나의 코일을 통하여 Qi 방식 및 PMA 방식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100)은 차량 내에 설치되어 동작주파수 또는 작동방식이 상이한 Qi 방식, PMA 방식 및 A4WP 방식을 모두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충전대상인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충전방식이 자기유도방식이든 자기공진방식이든 매칭되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내에 설치된 무선충전 송신모듈을 교체할 필요없이 모든 방식의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폐유닛(120)은 상기 안테나유닛(1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외부 누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킴으로써 해당안테나의 특성을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폐유닛(120)은 상기 안테나유닛(110)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신호를 송신할 때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소요의 방향으로 자기장의 집속도를 높여줌으로써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안테나의 특성을 높여준다.
이를 위해, 상기 차폐유닛(120)은 상기 안테나유닛(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차폐유닛(120)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의 차폐시트(121,122)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차폐시트(121,122)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차폐시트(121,122)를 보호하는 보호필름(125)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차폐시트(121,122)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페라이트 시트 또는 폴리머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100kHz ~ 350kHz 및 6.765MHz~6.795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포화자속밀도가 0.25테슬러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0kHz ~ 350kHz 및 6.765MHz~6.795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포화자속밀도가 0.35테슬러 이상일 수 있다. 이는, 차폐시트의 포화자속밀도가 높을 수록 자기장에 의한 포화가 늦게 발생되므로 포화자속밀도가 낮은 차폐시트에 비하여 얇은 두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차폐시트(121,122)는 100kHz ~ 350kHz 및 6.765MHz~6.795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Tanㅿ(=μ"/μ')가 0.05이하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μ'은 투자율이고, μ"은 투자손실율임).
여기서,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소결 페라이트 시트일 수 있으며, Ni-Zn 페라이트 또는 Mn-Zn 페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폴리머 시트는 Fe-Si-Al계 메탈 폴리머 또는 Fe-Si-Cr계 메탈 폴리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시트(121,1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123a,123b,123c)가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차폐시트(121,122)는 저항을 높여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각들은 비정형으로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된 복수 개의 시트(123a,123b,123c)가 적층되어 차폐시트(121,122)를 구성하는 경우 각각의 시트(123a,123b,123c) 사이에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착층(123d)이 배치되어 서로 적층되는 한 쌍의 시트 사이에 스며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착층(123d)이 각각의 시트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123d)은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필름 형태의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폐시트는 상기 안테나유닛(110)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 및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 및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에 대응하여 해당 안테나의 특성을 각각 높여줄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시트(121,122)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차폐시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으로 각각 작동하는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 및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의 특성을 각각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시트(121)는 저주파 대역에서 자기유도방식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의 특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시트(122)는 고주파 대역에서 자기공진방식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의 특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와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시트(121)는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를 포함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시트(122)는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를 포함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가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의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시트(121)는 상기 제2시트(122)의 내측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비되된다.
이때, 상기 제1시트(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시트(122)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시트(122)의 일면에 적층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차폐유닛(12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시트(122)의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시트(121)의 일부 두께를 수용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시트(122)를 관통하는 관통구(126a)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시트(121)가 상기 관통구(126a)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수용부가 제2시트(122)의 일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수용홈(126b)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시트(121)가 상기 수용홈(126b)에 안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투자율이나 서로 다른 포화자기장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의 투자율이 동일한 경우 투자손실률이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시트(121)는 저주파 대역인 100~35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시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100~35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시트보다 상대적으로 큰 포화자기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100~35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가 서로 동일한 투자율을 갖는 경우 상기 제1시트(121)의 투자손실률이 상기 제2시트(122)의 투자손실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시트(121)는 저주파 대역인 100~35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300~3500의 투자율을 갖고, Tanㅿ(=μ"/μ')가 0.05이하이며, 포화자속밀도가 0.25T 이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시트(121)는 100kHz~350kHz 주파수대역에서 투자율이 2000~3500이고 Tanㅿ(=μ"/μ')가 0.05이하인 Mn-Zn 페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고, 100kHz~350kHz 주파수대역에서 투자율이 300~1500이고 Tanㅿ(=μ"/μ')가 0.05이하인 Ni-Zn 페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시트(122)는 고주파대역인 6.765MHz~6.795MHz에서 상기 제1시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6.765MHz~6.795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가 서로 동일한 투자율을 갖는 경우 상기 제2시트(122)의 투자손실률이 상기 제1시트(121)의 투자손실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시트(122)는 동작주파수가 6.765MHz ~ 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30~350의 투자율을 갖고, Tanㅿ(=μ"/μ')가 0.05이하이며, 포화자속밀도가 0.25T 이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시트(122)는 6.765MHz ~ 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이 100~350이고 Tanㅿ(=μ"/μ')가 0.05이하인 Ni-Zn 페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고, 6.765MHz ~ 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이 30~70이고 Tanㅿ(=μ"/μ')가 0.05이하인 메탈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시트(121)가 100~35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시트(12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기 때문에 자기유도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시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에서 생성되는 교류 자기장이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는 제1시트(121)측으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 제1시트(121)가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시트(121) 측으로 유도된 교류 자기장은 상기 제1시트(121)에 의해 차폐되어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됨으로써 무선충전 수신모듈 측으로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시트(122)의 경우 6.765MHz ~ 6.795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12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기 때문에 자기공진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시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에서 생성되는 교류 자기장이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는 제2시트(122)측으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 제2시트(122)가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시트(122) 측으로 유도된 교류 자기장은 상기 제2시트(122)에 의해 차폐되어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됨으로써 무선충전 수신모듈 측으로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100~35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가 서로 동일한 투자율을 갖더라도 상기 제1시트(121)의 투자손실률이 상기 제2시트(122)의 투자손실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도록 구비되면 결과적으로 무선 충전 작동시 투자손실률에 의한 투자율의 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100~350kHz 범위의 동작주파수의 전력 전송에 따라 생성되는 교류 자기장이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는 제1시트(121)측으로 유도됨으로써 상기 제1시트(121)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를 통해 무선충전 수신모듈 측으로 높은 효율로 송신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6.765MHz ~ 6.795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가 서로 동일한 투자율을 갖더라도 상기 제2시트(122)의 투자손실률이 상기 제1시트(121)의 투자손실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도록 구비되면 결과적으로 무선 충전 작동시 투자손실률에 의한 투자율의 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6.765MHz ~ 6.795MHz 범위의 동작주파수의 전력 전송에 따라 생성되는 교류 자기장이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는 제2시트(122)측으로 유도됨으로써 상기 제2시트(122)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를 통해 무선충전 수신모듈 측으로 높은 효율로 송신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시트(121)로서 Mn-Zn 페라이트 또는 Ni-Zn 페라이트가 사용되고, 상기 제2시트(122)로서 Ni-Zn 페라이트 또는 메탈 폴리머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투자율, 포화자기장 및 투자손실률이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의 시트에 대하여 상대적인 조건을 만족하기만 하면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일례로,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는 100~350kHz 및/또는 6.765MHz ~ 6.795MHz의 동작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갖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시트(121)가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열처리 온도, 적층 수 등과 같은 여러가지 조건의 변화를 통해 서로 다른 특성(투자율, 포화자기장, 투자손실률 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사용되는 경우, 단층의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적층된 형태로 제1시트(121) 및/또는 제2시트(122)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는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 및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가 배치되는 일면이 단차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단차면은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가 배치되는 제2시트(122)의 일면에 대하여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가 배치되는 제1시트(121)의 일면이 일정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자기 유도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로부터 충전대상인 전자기기와의 이격거리와 자기 공진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로부터 충전대상인 전자기기와의 이격거리를 서로 다르게 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무선충전 송신모듈에 구비되는 전송코일과 무선충전 수신모듈에 구비되는 수신코일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결합계수의 값이 커지게 된다.
이때, 자기공진방식으로 작동하는 안테나는 코일간의 결합계수(k)가 0.2미만인 수준을 사용하며 자기유도방식으로 작동하는 안테나는 코일간의 결합계수(k)가 0.7초과의 수준을 사용한다.
이는 자기공진방식의 경우 코일간의 결합계수가 0.2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면 스플릿(split)에 의한 효율저하가 발생되어 오히려 충전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수신코일과 송신코일을 적정거리로 이격시켜 결합계수를 0.2미만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자기유도방식의 경우 자기공진방식과는 반대로 코일간의 결합계수가 높을수록 충전 효율도 비례하여 올라가기 때문에 수신코일과 송신코일의 이격거리를 가깝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가 단차면을 형성하도록 배치하되, 자기유도방식으로 작동하는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가 배치되는 제1시트(121)의 일면이 자기공진방식으로 작동하는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가 배치되는 제2시트(122)의 일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로부터 상기 하우징(130)의 상판과의 제1이격거리(d1)는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로부터 상기 하우징(130)의 상판과의 제2이격거리(d2)보다 짧은 길이를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30)은 상판(13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차량의 데시보드 또는 기어박스 등에 매립설치되며, 상기 상판(132)은 충전대상인 전자기기가 놓여지는 접촉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이격거리(d1,d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기가 놓여지는 상판의 외부면과의 이격거리를 의미하며, 상기 제1이격거리(d1)는 2mm ~ 5mm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이격거리(d2)는 10mm ~ 50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기기를 상기 하우징의 상판(132)에 올려놓게 되면, 전자기기는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와 매우 가까운 거리, 일례로 2mm ~ 5mm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게 되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와는 상대적으로 먼 적정 이격거리, 일례로 10mm ~ 50mm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전자기기가 자기유도방식으로 충전되는 기기일 경우에는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111)와 전자기기가 최대한 밀착된 거리를 유지하여 0.7이상의 결합계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전자기기가 자기공진방식으로 충전되는 기기일 경우에도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112)와 전자기기가 적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0.2미만의 결합계수를 유지함으로써 과도한 코일결합에 의한 스플릿을 막고 하우징의 상판 표면에서의 고른 자기장 분포를 얻는데 유리하므로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200 :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110 : 안테나유닛 111 :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
111a : 제1안테나 111b : 제2안테나
112 :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 120 : 차폐유닛
121 : 제1시트 122 : 제2시트
123a,123b,123c :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123d : 접착층 124 : 접착층
125 : 보호필름 126a : 관통구
126b : 수용홈 130 : 하우징
132 : 상판

Claims (22)

  1. 자기 유도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 및 자기 공진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가 구비되는 안테나유닛;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1시트 및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2시트가 구비되는 차폐유닛; 및
    상기 안테나유닛과 차폐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갖추고 상기 안테나유닛의 상부측에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전자기기의 접촉면인 상기 상판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까지의 제1이격거리는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수신코일과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와의 결합계수가 0.7이상이 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상판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까지의 제2이격거리는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수신코일과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와의 결합계수가 0.2미만이 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1이격거리는 상기 제2이격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가 배치되는 제1시트의 일면이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가 배치되는 제2시트의 일면에 대하여 높이차를 갖는 단차면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는 Qi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1안테나와 PMA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2안테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은 상기 제2무선충전용 안테나가 배치되는 제2시트의 일면에 대하여 상기 제1무선충전용 안테나가 배치되는 제1시트의 일면이 일정높이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상기 제2시트의 내측에 배치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상기 제2시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시트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의 내부에는 상기 제1시트의 일부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시트의 일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되는 수용홈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시트를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격거리는 2mm ~ 5mm이고, 상기 제2이격거리는 10mm ~ 50mm인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동작주파수가 100kHz~350kHz인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시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동작주파수가 100kHz~350kHz인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시트와 동일한 투자율을 갖는 경우 상기 제1시트의 투자손실률이 상기 제2시트의 투자손실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는 동작주파수가 6.765MHz ~ 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는 동작주파수가 6.765MHz ~ 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와 동일한 투자율을 갖는 경우 상기 제2시트의 투자손실률이 상기 제1시트의 투자손실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동작주파수가 100kHz~350kHz인 주파수 대역에서 300~3500의 투자율을 갖고, Tanㅿ(=μ"/μ')가 0.05이하이며, 자속밀도가 0.25T 이상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시트는 동작주파수가 6.765MHz ~ 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30~350의 투자율을 갖고, Tanㅿ(=μ"/μ')가 0.05이하이며, 자속밀도가 0.25T 이상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여기서, μ'은 투자율이고, μ"은 투자손실율임).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100kHz~350kHz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이 2000~3500이고 Tanㅿ(=μ"/μ')가 0.05이하인 Mn-Zn 페라이트 또는 100kHz~350kHz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이 300~1500이고 Tanㅿ(=μ"/μ')가 0.05이하인 Ni-Zn 페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시트는 6.765MHz ~ 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이 100~350이고 Tanㅿ(=μ"/μ')가 0.05이하인 Ni-Zn 페라이트 또는 6.765MHz ~ 6.795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투자율이 30~70이고 Tanㅿ(=μ"/μ')가 0.05이하인 메탈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인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 및 제2시트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리본시트, 소결 페라이트 시트 또는 메탈 폴리머 시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폴리머는 Fe-Si-Cr계 메탈 폴리머 또는 Fe-Si-Al계 메탈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인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시트는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 및 제2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형성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인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KR1020150110189A 2015-08-04 2015-08-04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KR10169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189A KR101693538B1 (ko) 2015-08-04 2015-08-04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PCT/KR2016/008492 WO2017023080A1 (ko) 2015-08-04 2016-08-02 차량용 무선전력 송신모듈
CN201680046031.8A CN107912075B (zh) 2015-08-04 2016-08-02 车辆用无线电力传输模块
US15/747,582 US10566824B2 (en) 2015-08-04 2016-08-02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189A KR101693538B1 (ko) 2015-08-04 2015-08-04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538B1 true KR101693538B1 (ko) 2017-01-06

Family

ID=5783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189A KR101693538B1 (ko) 2015-08-04 2015-08-04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5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595A1 (ko) * 2018-03-05 2019-09-12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송신장치
WO2023163365A1 (ko) * 2022-02-28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기의 성능 향상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181A (ko) * 2011-12-21 2013-07-01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기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기용 수신장치
KR20140044022A (ko) * 2012-10-04 2014-04-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충전용 전자기 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2163A (ko) * 2013-06-03 2014-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50047085A (ko) * 2013-10-23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181A (ko) * 2011-12-21 2013-07-01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기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기용 수신장치
KR20140044022A (ko) * 2012-10-04 2014-04-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충전용 전자기 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2163A (ko) * 2013-06-03 2014-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50047085A (ko) * 2013-10-23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595A1 (ko) * 2018-03-05 2019-09-12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송신장치
US11349346B2 (en) 2018-03-05 2022-05-31 Amosense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O2023163365A1 (ko) * 2022-02-28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기의 성능 향상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6824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for vehicles
KR101697303B1 (ko)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KR101827721B1 (ko) 차량용 안테나 모듈
KR101890326B1 (ko) 무선전력 전송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보조배터리
KR101926594B1 (ko) 무선충전형 안테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KR102030704B1 (ko) 콤보형 안테나 모듈
US9634392B2 (en) Multi-coil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136216B1 (ko) 차량용 무선전력 송신장치
KR20170010736A (ko) 차량용 무선전력 송신모듈
KR20160138909A (ko) 무선전력 수신모듈
CN105474459A (zh) 接收天线和包含该接收天线的无线电力接收装置
CN111527666B (zh) 无线电力传输装置
KR102506374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EP2752943A1 (en) Soft magnetic layer, receiving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50068400A (ko) 복합 코일 모듈 및 휴대 기기
CN106170196B (zh) 用于屏蔽电磁波的片材和无线充电装置
KR20170050665A (ko) 무선충전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KR20160140502A (ko)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
KR101489391B1 (ko) 연자성 시트
JP2014036116A (ja) 非接触給電用受信装置
KR101693538B1 (ko)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KR20180132205A (ko) 무선전력 전송모듈
KR101697304B1 (ko)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KR102503650B1 (ko) 무선전력 송신모듈
JP2023516688A (ja) 高固有品質受信機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