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573B1 - 가동 발판을 구비한 신연장치 - Google Patents

가동 발판을 구비한 신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573B1
KR101692573B1 KR1020127010386A KR20127010386A KR101692573B1 KR 101692573 B1 KR101692573 B1 KR 101692573B1 KR 1020127010386 A KR1020127010386 A KR 1020127010386A KR 20127010386 A KR20127010386 A KR 20127010386A KR 101692573 B1 KR101692573 B1 KR 101692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delete delete
footrest
footplate
elon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726A (ko
Inventor
존 엠. 눈
리안 셀맨
티모시 엠. 셀러스
매튜 샤나맨
Original Assignee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신세스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2008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61B17/663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for jaw bones, e.g. subcutaneous distractors with external ac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 A61B17/7216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for bone lengthening or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 A61B17/7216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for bone lengthening or compression
    • A61B17/7225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for bone lengthening or compression for bone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04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means for distracting or compressing the bone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52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immobilised relative to screws by interlocking form of the heads and plate holes, e.g. conical or threaded
    • A61B17/8057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immobilised relative to screws by interlocking form of the heads and plate holes, e.g. conical or threaded the interlocking form comprising a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5Tools for expanding or compacting bones or discs or cavitie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ja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골 간극의 양 측에 있는 제1 골 세그먼트 및 제2 골 세그먼트를 신연시키도록 구성된 골 신연장치 조립체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신연장치 조립체는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를 갖는 신연장치, 상기 제1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 상기 제2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 및 상기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상기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로킹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은 각각 뼈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킹 기구는 튜브를 구비하며, 튜브가 제거되면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로부터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이 해제된다.

Description

가동 발판을 구비한 신연장치{DISTRACTOR WITH REMOVABLE FOOTPLATE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9년 9월 24일자로 출원되고 그 전체 내용이 원용되는 미국 가출원 제61/245,561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인간 두개골의 다양한 발달 장애는, 특정 뼈가 다른 뼈들에 대해 적절한 비율로 자라지 못하거나 특정 뼈들이 조기에 융합되는 두개안면 이상을 야기하며, 이는 안면 중앙 또는 하악골의 기형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피에르 로빈 증후군(Pierre Robin Sequence: PRS)과 같은 하나의 장애는 아이가 설하수증을 초래하는 소하악성 및/또는 하악후퇴성 하악골을 갖고 태어나서 호흡 곤란이 야기되는 복잡한 상태이다. 하악골 신연(distraction)은, 하악골이 전방으로 전진하여 혀를 앞으로 당기고 기도를 개방하는 치료 옵션이다.
PRS와 같은 특정 장애를 가진 아이를 치료하기 위해 내부 하악골 신연장치를 사용하는 외과의들의 주된 불만은 일부 신연장치의 경우 제거를 위해 이차 외과 수술을 요한다는 것이다. 제거 수술은 하기 이유로 어렵다: (1) 발판 위치가 치료 과정 중에 변경되므로 신연장치 실장을 위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절개를 통해서 발판에 접근하기가 어려워지고, (2) 치료 과정 중에 연질 및 경질 조직이 골 나사 위로 성장하므로 제거를 위해 나사드라이버 날을 나사 홈에 결합하기가 어려워진다.
이차 외과 수술을 피하기 위해 흡수성 발판을 사용하는 신연장치가 사용되었지만, 사용되는 현재의 신연장치가 갖는 불만이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신연장치는 두 개의 흡수성 발판과 결합하는 금속성 활성화 연장부를 갖는 금속성 드라이브 나사로 구성되며, 강화 국면의 종료 시에 금속성 드라이브 나사를 외부로부터 역전시키고 이를 경피적 활성화 포트를 통해서 제거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이러한 신연장치는 강도 및 골 세그먼트 안정성을 갖는 문제를 안고 있다.
골 간극의 양 측에 있는 제1 골 세그먼트 및 제2 골 세그먼트를 신연 및/또는 단축시키도록 구성된 골 신연장치 조립체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신연장치 조립체는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를 갖는 신연장치, 상기 제1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발판, 및 상기 제2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2 발판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은 뼈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립체는 신연장치에 대해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튜브를 구비하는 로킹 기구를 더 구비한다. 튜브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튜브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와 각각 결합 유지시킨다. 튜브가 언로크 위치에 있을 때,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은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로부터 각각 결합해제된다. 상기 조립체는, 튜브를 통해서 연장되고 신연장치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해제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하며, 따라서 제거 위치로의 해제 액추에이터 이동은 신연장치가 제1 발판 및 제2 발판으로부터 제거되게 만든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연장치 조립체는 제1 발판, 상기 제1 발판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 및 상기 제1 발판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연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발판은 트랙을 소지하는 연장부를 구비한다. 상기 신연장치는 제1 발판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며 활성화 웜 및 슬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활성화 웜은 트랙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웜의 회전은 제2 발판이 제1 발판에 대해 이동하게 만든다. 상기 슬리브는 활성화 웜을 제1 발판에 해제 가능하게 로크시키도록 구성되는 원위 결합 부분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연장치 조립체는 신연장치, 상기 신연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 및 상기 신연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발판 및 제2 발판 각각은 그 사이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중앙 브릿지 부분을 갖는다. 상기 신연장치는 보어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보어 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배럴, 및 상기 본체 주위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을 구비한다. 각각의 배럴은, 본체의 슬롯을 통해서 연장되고 각 발판의 오목부와 결합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각각의 레일은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의 돌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발판을 신연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연장치 조립체는 제1 커플러, 제2 커플러, 상기 제1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 및 상기 제2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 각각은 발판 결합 부분 및 상기 발판 결합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연장치 연결 부분을 갖는다. 상기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의 신연장치 연결 부분의 회전은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에 로크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연장치 조립체는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를 갖는 신연장치, 상기 제1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 및 상기 제2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을 구비한다. 상기 조립체는 적어도 제1 커플러 내로 연장되는 활성화 웜을 갖는 활성화 기구를 더 구비한다. 상기 활성화 기구에는 이를 통해서 연장되는 보어가 형성된다. 상기 조립체는 활성화 기구 주위에 배치되어 제1 커플러와 결합될 수 있는 슬리브, 및 활성화 기구의 보어를 통해서 연장되는 와이어를 더 구비한다. 제1 커플러로부터 슬리브의 결합해제는 제1 발판을 제1 커플러로부터 해제시키며, 와이어의 근위 이동은 신연장치를 제1 발판 및 제2 발판으로부터 원위로 견인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연장치 조립체는 제1 발판, 제2 발판, 커플러, 및 로킹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발판은 원위 연장 트랙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발판은 제1 발판의 트랙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중앙 브릿지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커플러는 제2 발판의 중앙 브릿지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로킹 기구는 커플러를 제2 발판의 중앙 브릿지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로크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킹 기구는 나사산을 갖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 및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로킹 부품을 구비한다. 상기 로킹 기구는 로킹 부품이 커플러와 결합하여 커플러를 제2 발판의 중앙 브릿지 부분에 로크시키는 제1 위치, 및 로킹 부품이 커플러로부터 결합해제되어 커플러를 제2 발판으로부터 해제시키는 제2 위치를 갖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연장치 조립체는 제1 발판, 제2 발판, 상기 제1 발판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플러, 및 상기 제2 발판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플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발판 및 제2 발판 각각은 중앙 브릿지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커플러는 제1 발판의 중앙 브릿지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핑거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커플러는 제2 발판의 중앙 브릿지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핑거를 구비한다. 상기 조립체는,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 위로 미끄러져 스프링 핑거를 중앙 브릿지 부분으로부터 결합해제하고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로부터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슬리브를 더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연장치 조립체는 신연장치, 제1 발판, 제2 발판, 및 상기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신연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더블 배럴 핀(double barrel pin)을 구비한다. 상기 신연장치는 제1 커플러, 제2 커플러, 및 제3 커플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커플러의 각각에는 한 쌍의 동축 보어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발판은 제1 커플러의 보어와 정렬되는 한 쌍의 동축 보어가 형성되는 중앙 브릿지 부분을 갖는다. 상기 제2 발판은 제2 커플러의 보어와 정렬되는 한 쌍의 동축 보어가 형성되는 중앙 브릿지 부분을 갖는다. 상기 더블 배럴 핀은 제1 커플러의 보어, 제2 커플러의 보어, 제3 커플러의 보어, 제1 발판의 보어, 및 제2 발판의 보어를 통해서 연장되어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로크시키도록 구성된다. 핀이 제거되면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로부터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이 해제된다.
도 1a는 신연장치, 상기 신연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 제거될 경우 상기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신연장치로부터 해제시키는 튜브를 구비하는 로킹 기구를 구비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1B-1B 선을 통한 측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신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d는 도 1c에 도시된 신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e는 도 1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의 평면도이다.
도 1f는 도 1e에 도시된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의 측면도이다.
도 1g는 도 1a의 신연장치 조립체의 단면도로서, 신연장치 및 발판과 결합하여 발판을 신연장치에 로크시키는 로킹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제1 발판, 상기 제1 발판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 및 상기 제1 발판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활성화 기구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2B-2B 선을 통한 측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활성화 기구의 원위 단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d는 도 2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확대 사시도로서, 제1 발판에 결합된 제2 발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제1 발판, 상기 제1 발판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 및 상기 제1 발판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활성화 기구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3B-3B 선을 통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제거될 경우 발판을 커플러로부터 해제시키는 튜브를 구비하는 로킹 기구에 의해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발판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발판의 정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발판의 저면도이다.
도 5d는 각각의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 5a에 도시된 발판 중 두 개의 저면도이다.
도 5e는 각각의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 5a에 도시된 발판과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저면도이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제1 커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제1 커플러의 배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제1 커플러의 정면도이다.
도 6d는 도 6a에 도시된 제1 커플러의 저면도이다.
도 6e는 도 6a에 도시된 제1 커플러의 6E-6E 선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4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제2 커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제2 커플러의 정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제2 커플러의 배면도이다.
도 7d는 도 7a에 도시된 제2 커플러의 저면도이다.
도 7e는 도 7a에 도시된 제2 커플러의 7E-7E 선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4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신연장치에 발판을 로크시키는 로킹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제거되고 있는 로킹 기구의 튜브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로서, 완전히 제거된 튜브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신연장치 조립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킹 기구의 평면도로서, 넓게 퍼진(flared) 단부를 갖는 더블 배럴 핀을 구비하는 로킹 기구의 도시도이다.
도 10a는 제3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더블 배럴 핀을 구비하는 로킹 기구에 의해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10B-10B 선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10C-10C 선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10d는 도 10a에 도시된 조립체의 단면도로서, 발판과 커플러를 결합시키는 더블 배럴 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발판에 의해 형성된 슬롯과 결합하는 족부(feet)를 갖는 스프링 핑거에 의해 제1 발판 및 제2 발판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제1 커플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1c는 도 11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에 사용되는 발판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2a는 로킹 핀을 구비하는 로킹 기구에 의해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과, 제거될 경우 상기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신연장치로부터 해제시키는 튜브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제1 발판과 제1 커플러의 결합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12d는 도 12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12e는 도 12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로킹 핀의 로킹 부분의 부분 측면 사시도이다.
도 12f는 도 12e에 도시된 로킹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13a는 제1 발판, 상기 제1 발판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 및 상기 제1 발판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활성화 기구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활성화 기구의 웜 기어의 유지 클립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3c는 도 12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13C-13C 선을 통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14a는 활성화 기구의 부착 시에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L-레일을 사용하여 신연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4c는 도 14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14d는 도 14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부분 측단면도로서, 신연장치 L-레일과 결합되는 활성화 연장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e는 도 14a에 도시된 조립체의 정면 단면도로서, 발판과 결합되는 L-레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f는 도 14a에 도시된 조립체의 정면 단면도로서, 발판으로부터 결합해제된 L-레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는 두 개의 결합 조립체에 의해 각각의 발판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신연장치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도시된 신연장치에 부착되는 제3 커플링의 측면도로서, 활성화 기구가 제1 커플링 및 제2 커플링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3 커플링의 도시도이다.
도 15c는 신연장치의 원치않는 회전을 방지하는 나사 로크(screw lock)를 구비하는, 도 15a에 도시된 제1 커플링의 측단면도이다.
도 15d는 로크 위치에 있음으로써 발판을 조립체에 부착 유지시키는, 도 15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제1 커플링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5e는 언로크 위치에 있음으로써 발판을 조립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도 15d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제1 커플링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6a는 흡수성 나사에 의해 발판에 부착되는 신연장치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부분 도시도로서, 나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a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신연장치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해제 가능한 정지부(stop)를 갖는 신연장치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조립체의 측단면도로서, 해제 가능한 정지부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 17c는 도 17a에 도시된 조립체의 부분 측단면도로서, 해제 가능한 정지부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 17d는 도 17a에 도시된 조립체의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의 평면도이다.
도 17e는 도 17d에 도시된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의 측면도이다.
도 18a는 해제 가능한 정지부가 튜브가 근위로 당겨질 때 신연장치 조립체로부터 해제되는 나사라는 것을 제외하고 도 17a에 도시된 조립체와 유사한 신연장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신연장치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튜브가 근위로 당겨져 나사로부터 결합해제된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 19a는 신연장치 본체에 활성화 기구가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때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신연장치 본체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신연장치 본체를 갖는 신연장치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9b는 도 19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9c는 도 19b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19C-19C 선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19d는 도 19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19e는 도 19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의 측면도이다.
도 19f는 도 19e에 도시된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의 평면도이다.
도 19g는 도 19e에 도시된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의 정면도이다.
도 20a는 곡선 트랙을 갖는 신연장치를 구비하는, 도 19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0b는 도 20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1a는 신연 장치, 및 제거될 경우 발판을 신연장치로부터 해제시키는 튜브를 갖는 로킹 기구에 의해 신연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1b는 도 21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21c는 도 21b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21d는 도 21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신연장치의 평면도로서, 발판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 21e는 도 21d에 도시된 신연장치의 저면도로서, 발판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 21f는 도 21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의 평면도이다.
도 21g는 도 21f에 도시된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의 측면도이다.
도 21h는 도 21f에 도시된 제2 발판의 정면도이다.
도 21i는 도 21f에 도시된 제1 발판의 정면도이다.
도 22a는 신연장치, 제1 발판, 제2 발판, 및 슬리브, 상기 슬리브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 및 커플러 및 제1 발판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발판을 신연장치에 로크시키도록 구성되는 로킹 부품을 구비하는 로킹 기구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연장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2b는 도 22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2c는 도 22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제1 발판 및 커플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2d는 도 22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2e는 도 22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로킹 부품이 커플러 및 제1 발판과 결합된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 22f는 도 22e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로킹 부품이 커플러 및 제1 발판으로부터 결합해제된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 22g는 도 22a에 도시된 신연장치 조립체의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의 평면도이다.
도 22h는 도 22g에 도시된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의 저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g는 특정 두개안면 이상을 교정하도록 구성되는 신연장치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0)는 길이 방향(L)으로 세장형이며 원위 단부(D)와 근위 단부(P)를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0)는 신연장치(14), 상기 신연장치(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18), 및 상기 제1 발판(18)에 대해 먼 위치에서 신연장치(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22)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신연장치 조립체(10)는 골 간극의 양 측에 있는 제1 골 세그먼트 및 제2 골 세그먼트에 개별 발판(18, 22)을 부착함으로써 작동된다. 골 간극은 외상적 사건, 절골에 의해 생성되는 골절일 수 있거나, 또는 관절유합술에서 접합될 두 개의 개별 뼈의 접합부의 괴사조직제거의 결과일 수 있다. 신연장치 조립체(10)의 식립에 이어지는 대기 기간 이후에, 발판(18, 22) 중 하나 또는 양자가 다른 하나에 대해 병진이동됨으로써 골 간극의 양 측에 있는 뼈를 상호 이격시킨다. 소정 양의 신연이 달성된 후에, 새로운 골 성장이 충분히 강화될 수 있으려면 다른 대기 기간이 요구된다. 이후 신연장치(14)는 제거된다. 발판(18, 22)은 흡수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가 사용되면, 발판(18, 22)은 뒤에 남겨질 수 있으며, 뼈 안에 흡수될 것이다. 발판(18, 22)은 또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1c 및 도 1d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0)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18, 22)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연장치 본체(34)를 갖는 신연장치(14), 및 제2 발판(22)을 제1 발판(18)에 대해 원위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활성화 기구(38)를 구비한다. 신연장치 조립체(10)는 신연장치 본체(34)를 제1 발판 및 제2 발판(18, 22)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로킹 기구(42)를 더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14)는 길이 방향(L)으로 세장형이며, 신연장치(14)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심축(A)을 갖는다. 신연장치(14)는 일반적으로 생체친화적 재료로 제조된다.
도 1c 및 도 1d에 가장 잘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본체(34)는 제1 본체 부분(50), 및 상기 제1 본체 부분(50)에 대해 원위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 본체 부분(54)을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제1 본체 부분(50)은 길이 방향(L)으로 세장형이며, 상기 본체 부분(50)을 통해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채널(58)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1 본체 부분(50)은 채널(58)이 형성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두 개의 수직 연장 측벽(62)에 의해 형성된다. 도 1c에 도시하듯이, 오목부 또는 홈(66)은 제1 본체 부분(50)의 종방향 길이의 주요 부분을 따라서 종방향(L)으로 각 측벽(62)의 상단부를 따라서 연장된다. 오목부(66)는 제2 본체 부분(54)이 제1 본체 부분(50)과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본체 부분(50)에 대해 이동되게 할 수 있도록 제2 본체 부분(54)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측벽(62)의 원위 단부 근처에는 스프링 핑거(72)가 추가로 형성된다. 도 1g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스프링 핑거(72) 각각은 그 각 단부에 외측 연장 돌출부(76)를 구비한다. 즉, 각각의 핑거(72)는 신연장치(14)의 중심축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76)를 구비한다. 핑거(72)는 튀어나가서 제1 발판(18)과 결합하고 그로인해 제1 발판(18)을 제1 본체 부분(50)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제1 본체 부분(50)은 제1 발판(18)을 신연장치(14)에 결합하기 위한 제1 커플러로 간주될 수 있다.
제2 본체 부분(54)은 역시 길이 방향(L)으로 세장형이며, 홀딩 부분(82) 및 상기 홀딩 부분(82)으로부터 근위로 연장되는 활성화 트랙(86)을 구비한다. 홀딩 부분(82)은, 이 홀딩 부분(82)을 통해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채널(98)이 형성되는 측벽(94)을 구비한다. 제2 본체 부분(54)의 채널(98)은 제1 본체 부분(50)의 채널(58)과 정렬된다. 각각의 측벽(94)의 원위 단부 근처에는 스프링 핑거(102)가 형성된다. 도 1g에 가장 잘 도시하듯이, 스프링 핑거(102) 각각은 그 각 단부에 외측 연장 돌출부(106)를 구비한다. 즉, 각각의 핑거(102)는 신연장치(14)의 중심축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원위로 연장되는 돌출부(106)를 구비한다. 핑거(102)는 튀어나가서 제2 발판(22)과 결합하고 그로인해 제2 발판(22)을 제2 본체 부분(54)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제2 본체 부분(54)은 제2 발판(22)을 신연장치(14)에 결합하기 위한 제2 커플러로 간주될 수 있다.
제2 본체 부분(54)의 활성화 트랙(86)은 홀딩 부분(82)으로부터 연장되어 나가고, 제1 본체 부분(50)의 오목부(66)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1c에 도시하듯이, 활성화 트랙(86)에는 제1 본체 부분(50)의 채널(58)에 노출되는 다수의 홈(110)이 형성된다. 홈(110)은 활성화 트랙(86)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서 배치되며, 활성화 기구(38)에 형성되는 외부 나사산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1c 및 도 1d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14)는 신연장치(14)의 제2 본체 부분(54)과 그로인해 제2 발판(22)을 제1 본체 부분(50)에 대해 병진이동시키기 위한 활성화 기구(38)를 구비한다. 활성화 기구(38)는 길이 방향(L)으로 세장형이며 제1 본체 부분(50)의 채널(58) 내로 연장된다. 도시하듯이, 활성화 기구(38)는 내측 슬리브(120) 및 상기 내측 슬리브(120)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는 활성화 웜(124)을 구비한다. 내측 슬리브(120)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보어(132)가 형성되는 튜브형 본체(128)를 구비하며, 상기 보어는 본체(128)를 통해서 연장된다. 내측 슬리브(120)는 그 근위 단부에 형성되는 육각형과 같은 결합 특징부(129)를 더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내측 슬리브(120)의 근위 단부와 그로인한 결합 특징부(129)는 제1 본체 부분(50)의 근위 단부로부터 돌출한다. 돌출하는 결합 특징부(129)는 이후 드라이버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하거나 활성화 기구(38)를 구동할 수 있다.
내측 슬리브(120)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는 활성화 웜(124)은 일반적으로, 관통 연장되는 종방향 보어(134)가 형성되는 원통형 본체(133), 및 상기 본체의 외표면 주위에 제공되는 외부 나사산(136)을 구비한다. 보어(134)는 내측 슬리브(120)의 보어(132)와 정렬된다. 외부 나사산(136)은 제2 본체 부분의 활성화 트랙(86)의 다수의 홈(110)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활성화 기구(38)가 회전되고 그로인해 활성화 웜(124)이 회전됨에 따라, 제2 본체 부분(54)은 제1 본체 부분(50)에 대해 병진이동된다.
도 1c에 도시하듯이, 활성화 기구(38)는 또한, 관통 연장되는 종방향 보어(146)를 갖는 외측 슬리브(142)를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외측 슬리브(142)는 제1 본체 부분(50)의 채널(58)의 근위 단부 내에 유지되며, 내측 슬리브(120)는 외측 슬리브(142)의 보어(146) 내로 이 보어를 통해서 연장된다. 외측 슬리브(142)의 일부는 제1 본체 부분(50)의 채널(58)의 근위 단부로부터 돌출하고, 대직경 부분(150)으로 형성된다. 대직경 부분(150)은 신연장치(14)가 삽입되는 경피 포트를 장치 제거 중에 신연장치(14)가 이 포트를 통과할 수 있는 충분히 큰 크기로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내측 슬리브(120)와 외측 슬리브(142) 양자는 신연장치(14)의 축외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측 슬리브(120)와 외측 슬리브(142)는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내측 슬리브(120)와 외측 슬리브(142)는 레이저 컷에 의해 설계될 수 있다.
신연장치 조립체(10)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18, 22)을 신연장치(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로킹 기구(42)를 더 구비한다. 특히 로킹 기구(42)는 로크 위치에 있을 때 발판(18, 22)을 신연장치(14)에 로크시키거나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며, 언로크 위치에 있을 때 발판(18, 22)을 신연장치로부터 해제시키거나 결합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도시하듯이, 로킹 기구(42)는 내측 슬리브(120)의 보어(132), 활성화 웜(124)의 보어(134), 및 제2 본체 부분(54)의 채널(98)의 각각을 통해서 연장된다. 도시하듯이, 로킹 기구(42)는 관통 연장되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보어(158)가 형성되는 튜브(154), 및 보어(158)를 통해서 완전히 연장되는 제거 액추에이터(16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튜브(154)는 니티놀(nitinol)과 같은 형상 기억 재료로 제조되며, 액추에이터(162)는 티타늄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와이어이다. 액추에이터(162)의 원위 단부는 제2 본체 부분의 채널(98)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대 부분 또는 페룰(ferrule)(166)을 구비한다. 액추에이터(162)의 근위 단부는 튜브(154)의 근위 단부로부터 돌출하며, 또한 페룰을 구비하여 튜브(154)를 액추에이터(162) 상에 트랩시킨다.
로크 위치에 있을 때, 로킹 기구(42)의 튜브(154)는, 핑거(72, 102)의 돌출부(76, 106)가 각각의 발판(18, 22)과 결합하여 발판(18, 22)을 신연장치(14)와 결합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1 및 제2 본체 부분(50, 54)의 핑거(72, 102)를 측방향 외측으로 압박한다. 언로크 위치에 있을 때, 튜브(154)는, 핑거(72, 102)가 내측으로 튀어서 돌출부(76, 106)가 발판(18, 22)으로부터 결합해제됨으로써 발판(18, 22)을 신연장치(14)로부터 해제 또는 결합해제시키도록 제거된다. 발판이 신연장치(14)로부터 결합해제되면, 액추에이터(162)는 이동(즉, 견인)됨으로써 신연장치(14)를 발판(18, 22)으로부터 제거하고 발판(18, 22)을 뼈 안에 흡수되도록 뒤에 남겨둘 수 있다.
신연장치(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할 제1 발판 및 제2 발판(18, 22)은 도 1a, 도 1b, 도 1e, 도 1f, 도 1g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도 1e 및 도 1f에 도시하듯이, 제1 발판(18)은 중앙 브릿지 부분(174)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한 쌍의 날개(170)를 구비한다. 각각의 날개(170)는 실질적으로 평면적이며, 날개(170)를 뼈에 고정하기 위해 골 나사를 관통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 구멍(178)을 구비하고, 날개(170)는 골 면에 인접하여 편평하게 놓인다. 날개를 뼈에 체결하기 위해 1.3mm 또는 1.5mm 흡수성 나사가 사용될 수 있다.
중앙 브릿지 부분(174)은 도 1a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종방향 채널(182)을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채널(182)은 한 쌍의 대향 종방향 측벽(184)을 갖는다. 각각의 측벽(184)은, 도 1g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제1 본체 부분(50)의 각 스프링 핑거(72)의 돌출부(76)를 수용하여 제1 발판(18)을 신연장치(14)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측방 개구(185)를 구비한다. 브릿지 부분(174)은 이 브릿지 부분(174)의 근위 표면(190)으로부터 근위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선도 래칫 탭(leading ratchet tab)(186), 및 상기 브릿지 부분(174)의 원위 표면(198)으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한 세트의 지체(lagging) 래칫 탭(194)을 더 구비한다.
선도 래칫 탭(186)은 신연장치(14)가 제거된 후 제1 발판(18)에 대한 제2 발판(22)의 우발적인 전방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e에 도시하듯이, 각각의 선도 래칫 탭(186)은 채널(182)의 각 측부에서 근위 표면(190)의 하측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각각의 선도 래칫 탭(186)은 브릿지(174)의 종방향 중심축을 향해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02)를 그 근위 단부에 구비한다. 사용 시에, 탭(186)은 휘어지고 제2 발판(22)과 함께 래칫으로서 기능한다.
지체 래칫 탭(194)은 제2 발판(22)이 제1 발판(18)에 대해 병진이동되면 역진 슬라이딩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듯이, 지체 래칫 탭(194)은 채널(182)의 각 측부에, 브릿지 부분(174)의 원위 표면(198)으로부터 경사져서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 탭(206)을 구비한다. 지체 래칫 탭(194)은 채널(182)의 각 측부에, 브릿지 부분(174)의 원위 표면(198)으로부터 경사져서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 탭(208)을 더 구비한다. 사용 시에, 탭(194)은 휘어지고 제2 발판(22)과 함께 래칫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1e 및 도 1f에 도시하듯이, 제2 발판(22)은 중앙 브릿지 부분(214)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한 쌍의 날개(210)를 구비한다. 각각의 날개(210)는 실질적으로 평면적이며, 날개(210)를 뼈에 고정하기 위해 골 나사를 관통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 구멍(218)을 구비하고, 날개(210)는 골 면에 인접하여 편평하게 놓인다. 날개(210)를 뼈에 체결하기 위해 1.3mm 또는 1.5mm 흡수성 나사가 사용될 수 있다.
중앙 브릿지 부분(214)은 도 1a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종방향 채널(222)을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채널(222)은 한 쌍의 대향 종방향 측벽(224)을 갖는다. 각각의 측벽(224)은, 도 1g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제2 본체 부분(54)의 각 스프링 핑거(102)의 돌출부(106)를 수용하여 제2 발판(22)을 신연장치(14)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측방 개구(226)를 구비한다.
제2 발판(22)은 중앙 브릿지 부분(214)의 근위 표면(234)으로부터 근위로 연장되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연장부(230)를 더 구비한다. 도 1f에 도시하듯이, 연장부(230)는 채널(222) 아래의 중앙 브릿지 부분(214)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발판의 중앙 브릿지 부분(174)의 채널(182)을 통해서 연장된다. 연장부(230)에는 대향 측부(240), 및 대향 상면과 하면(244, 248)이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측부(240)에는 제1 발판의 선도 래칫 탭(186)의 돌출부(202)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치형부(252)와 같은 결합 특징부가 형성된다. 상면(244)과 하면(248)에도 지체 래칫 탭(194)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치형부(256)와 같은 결합 특징부가 형성된다. 특히, 상면(244)은 상부 탭(206)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두 줄의 치형부를 구비하며, 하면(248)은 하부 탭(208)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두 줄의 치형부(252)를 구비한다.
작동 시에, 신연장치 조립체(10)는 삽입되며 제1 발판 및 제2 발판(18, 22)은 골 간극의 양 측에서 뼈에 부착된다. 신연장치 조립체(10)의 식립에 이어지는 대기 기간 이후에, 제2 발판(22)이 제1 발판(18)에 대해 병진이동됨으로써 골 간극의 양 측에 있는 뼈를 상호 이격시킨다. 제2 발판(22)은 활성화 기구(38)를 회전시킴으로써 병진이동된다. 활성화 기구(38)가 회전되면, 활성화 웜(124)의 외부 나사산(136)이 신연장치 제2 본체 부분(54)의 경사진 홈(110)과 결합하여 제2 본체 부분(54)을 제1 본체 부분(50)으로부터 원위로 이동시킨다. 이는 발판(18, 22)의 소정 분리가 달성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신연장치 제거 시에, 외과의사는, 신연장치(14)로부터 근위로 환자의 피부를 통해서 연장되는 로킹 기구의 액추에이터(162)의 근위 페룰을 한 쌍의 와이어 커터로 절단할 것이다. 근위 페룰이 절단되면, 튜브(154)가 제거되어 본체 부분(50, 54)과 각각의 발판(18, 22) 사이에 액추에이터(162)만 남겨질 수 있으며, 이는 핑거(72, 102)의 편향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직경이 아니다. 따라서, 핑거(72, 102)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18, 22)의 개구(185, 226)와 더 이상 결합되지 않으며, 따라서 제1 발판 및 제2 발판(18, 22)은 신연장치(14)로부터 해제되거나 결합해제된다. 이후 액추에이터(162)를 제거 위치로 이동(즉, 견인)시킴으로써, 외과의사는 신연장치(14)를 착탈식 발판(18, 22)으로부터 제거하여, 착탈식 발판(18, 22)만 여전히 환자에게 부착된 상태로 남겨둘 것이다. 신연장치(14)의 제거는 로킹 기구(42)가 관통 연장되는 경피 포트를 통해서 이루어질 것이다.
착탈식 발판이 뒤에 남기 때문에, 이들 발판은 1년 내지 2년의 흡수 기간에 걸쳐서 흡수될 흡수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착탈식 발판(18, 22)은 티타늄일 수 있다는 것이 의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a 내지 도 2d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제2 발판과 직접 결합하여 제2 발판을 제1 발판 쪽으로 병진이동시키는 활성화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310)는 신연장치(314), 상기 신연장치(3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318), 및 상기 제1 발판(318)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322)을 구비한다. 신연장치(314)가 회전될 때, 제2 발판(322)은 제1 발판(318)에 대해 원위로 병진이동된다.
도 2b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314)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본체(326)에 의해 형성되는 활성화 기구를 구비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체(326)는 그 근위 단부에 결합 부재(330)를 구비하고 그 원위 단부에 활성화 웜(334)을 구비한다. 결합 부재(330)는 신연장치(314)가 회전될 수 있도록 드라이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육각형 커플링일 수 있다. 본체(326)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활성화 웜(334)은 외부 나사산(342)을 갖는 원위 연장 원추 헤드(338)를 구비한다. 외부 나사산(342)은 제2 발판(322)과 결합하여 제2 발판을 제1 발판(318)에 대해 원위로 병진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신연장치(314)는 본체(326) 주위에 배치되는 슬리브(346)를 더 구비한다. 슬리브(346)의 원위 부분에는, 제1 발판(318)에 형성된 내부 나사산과 결합하여 신연장치(314)를 제1 발판(318)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외부 나사산(350)을 구비하는 결합 부분이 형성된다. 슬리브의 나사형성된 부분의 근위 단부 근처에는, 신연장치(314)가 제1 발판(318)에 결합될 때 제1 발판(318)의 외표면과 맞닿도록 구성되는 외측 연장 숄더(354)가 제공된다.
도 2a 내지 도 2b 및 도 2d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310)는 신연장치(3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318, 322)을 더 구비한다. 제1 발판(318)은 신연장치(314)에 대해 정지 상태에 있지만, 제2 발판(322)은 신연장치(314) 및 제1 발판(318)에 대해 병진이동 가능하다.
도시하듯이, 제1 발판(318)은 중앙 브릿지 부분(374)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한 쌍의 날개(370)를 구비한다. 각각의 날개(370)는 실질적으로 평면적이며, 날개(370)를 뼈에 고정하기 위해 골 나사를 관통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 구멍(378)을 구비하고, 날개(370)는 골 면에 인접하여 편평하게 놓인다. 날개를 뼈에 체결하기 위해 1.3mm 또는 1.5mm 흡수성 나사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발판(318)의 중앙 브릿지 부분(374)은 도 2b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3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종방향 채널(382)을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채널(382)은 제2 발판(322)에 대해 경사져서 연장된다. 따라서, 신연장치(314)는 제1 발판(318)으로부터 경사져서 연장되어 나간다. 중앙 브릿지 부분(374)은 제1 채널(382) 아래의 브릿지 부분(374)을 통해서 완전히 연장되는 제2 종방향 채널(386)을 더 구비한다. 제2 채널(386)은 제2 발판(322)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신연장치(314)가 제2 발판(322)과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채널(382)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브릿지 부분(374)은 브릿지 부분(374)의 원위 표면(398)으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지체 래칫 탭(394)을 더 구비한다.
지체 래칫 탭(394)은 래칫으로서 작용하며, 제2 발판(322)이 제1 발판(318)에 대해 병진이동되면 역진 슬라이딩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듯이, 지체 래칫 탭(394)은 브릿지 부분(374)의 원위 표면(398)으로부터 경사져서 하향 연장된다. 사용 시에, 탭(394)은 휘어지고 제2 발판(322)이 제1 발판(318)에 대해 병진이동됨에 따라 제2 발판(322)과 함께 래칫으로서 기능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듯이, 제2 발판(322)은 중앙 브릿지 부분(414)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한 쌍의 날개(410)를 구비한다. 각각의 날개(410)는 실질적으로 평면적이며, 날개(410)를 뼈에 고정하기 위해 골 나사를 관통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 구멍(418)을 구비하고, 날개(410)는 골 면에 인접하여 편평하게 놓인다. 날개(410)를 뼈에 체결하기 위해 1.3mm 또는 1.5mm 흡수성 나사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발판(422)의 중앙 브릿지 부분(414)은 제1 발판(318)을 향해서 근위로 연장되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연장부(422)를 구비한다. 특히, 연장부(422)는 제1 발판(318)의 제2 채널(386)을 통해서 연장된다. 도 2d에 도시하듯이, 연장부(422)의 상면은 신연장치(314)의 외부 나사산(342)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홈(426)을 구비한다. 이런 식으로 연장부(422)는 트랙을 소지한다. 또한, 홈(426)은 제1 발판(318)에 대한 제2 발판(322)의 역진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발판(318)의 탭(394)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작동 시에, 신연장치 조립체(310)는 삽입되며 제1 발판 및 제2 발판(318, 322)은 골 간극의 양 측에서 뼈에 부착된다. 신연장치 조립체(310)의 식립에 이어지는 대기 기간 이후에, 제2 발판(322)이 제1 발판(318)에 대해 병진이동됨으로써 골 간극의 양 측에 있는 뼈를 상호 이격시킨다. 제2 발판(322)은 본체(326)를 회전시킴으로써 병진이동된다. 본체(326)가 회전되면, 활성화 웜(334)의 외부 나사산(342)이 제2 발판(322)의 홈(426)과 결합하여 제2 발판(322)을 제1 발판(318)으로부터 원위로 이동시킨다. 이는 발판(318, 322)의 소정 분리가 달성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신연장치(314) 제거 시에, 외과의사는 신연장치(314)가 제거될 수 있을 때까지 신연장치(314)의 슬리브(346)를 회전시킬 것이다. 제1 발판 및 제2 발판(318, 322)은 뒤에 남아서 뼈 안에 흡수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a 및 도 3b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지만, 신연장치를 발판에 결합하기 위한 다른 구조, 및 제2 발판 연장부의 양 측에서 치형부와 결합하는 래칫 탭을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430)는 신연장치(434), 상기 신연장치(43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438), 및 상기 제1 발판(438)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442)을 구비한다. 신연장치(434)는, 신연장치(434)가 편향 가능한 탭을 사용하여 제1 발판(438)에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 신연장치와 유사하다. 마찬가지로, 제1 발판 및 제2 발판(438, 442)은 유사하지만, 신연이 일어난 후 제1 발판(438)에 대한 제2 발판(442)의 역진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구조를 구비한다.
그와 관련하여, 신연장치(434)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본체(443) 및 상기 본체(443)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활성화 웜(444)에 의해 형성되는 활성화 기구를 구비한다. 웜(444)의 근위 단부는 제1 발판(438)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편향성 핑거(445)를 구비한다. 신연장치(434)는 본체(443)의 원위 부분에 형성되는 외부 나사산과 결합되는 내부 나사산(447)이 형성되는 원위 결합 부분을 형성하는 슬리브(446)를 더 구비한다. 슬리브(446)가 원위로 전진되면, 핑거(445)는 편향되어 신연장치(434)를 제1 발판(438)에 결합시키거나 로크시킨다. 슬리브가 근위로 철회되면, 핑거(445)는 편향될 수 있으며 신연장치(434)는 제1 발판(438)으로부터 견인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하듯이, 제1 발판(438)은 중앙 브릿지 부분(454)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한 쌍의 날개(450)를 구비한다. 중앙 브릿지 부분(454)은 도 3b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43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종방향 채널(458)을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채널(458)은 제2 발판(442)에 대해 경사져서 연장된다. 따라서, 신연장치(434)는 제1 발판(438)으로부터 경사져서 연장되어 나간다. 중앙 브릿지 부분(454)은 제1 채널(458) 아래의 브릿지 부분(454)을 통해서 완전히 연장되는 제2 종방향 채널(462)을 더 구비한다. 제2 채널(462)은 제2 발판(442)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신연장치(434)가 제2 발판(442)과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채널(458)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브릿지 부분(454)은 브릿지 부분(454)의 원위 표면(472)으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체 래칫 탭(468)을 더 구비한다.
지체 래칫 탭(468)은 래칫으로서 작용하며, 제2 발판(442)이 제1 발판(438)에 대해 병진이동되면 역진 슬라이딩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듯이, 지체 래칫 탭은 제2 채널(462)의 양 측에서 브릿지 부분(454)의 원위 표면(472)으로부터 원위로 연장된다. 각각의 탭(468)은 각 탭(468)의 돌출부(476)가 다른 것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돌출부(476)를 구비한다. 사용 시에, 탭(468)은 휘어지고 제2 발판(442)이 제1 발판(338)에 대해 병진이동됨에 따라 제2 발판(442)과 함께 래칫으로서 기능한다.
도 3a 및 도 3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제2 발판(442)은 중앙 브릿지 부분(484)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한 쌍의 날개(480)를 구비한다. 중앙 브릿지 부분(484)은 제1 발판(438)을 향해서 근위로 연장되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연장부(488)를 구비한다. 특히, 연장부(488)는 제1 발판(438)의 제2 채널(462)을 통해서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488)의 상면은 신연장치(434)의 외부 나사산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홈(492)을 구비한다. 이런 식으로 연장부(488)에는 트랙이 형성된다. 추가로, 연장부(488)의 측방향 측면에는, 제1 발판(438)에 대한 제2 발판(442)의 역진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발판(438)의 탭(468)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치형부(494)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발판을 신연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각각의 발판과 결합되는 커플러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510)는 신연장치(514), 상기 신연장치(5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518), 및 상기 제1 발판(518)에 대해 원위에 있는 위치에서 신연장치(5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522)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발판(518)은 제2 발판(522)에 대해 근위로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514)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본체(526), 제1 발판(518)을 신연장치 본체(526)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제1 커플러(530), 및 제2 발판(522)을 신연장치 본체(526)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제2 커플러(534)를 구비한다. 신연장치(514)는 제1 발판(518)을 제2 발판(522)에 대해 병진이동시키기 위한 활성화 기구(538)를 더 구비한다.
신연장치 본체(526)는 이 본체(526)를 통해서 연장되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채널(546)을 구비한다. 채널(546)은 도 4에 도시하듯이 활성화 기구(53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체(526)에는 이 본체(526)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슬롯(550)이 추가로 형성된다. 특히, 슬롯(550)은 본체(526)의 바닥을 따라서 연장되며, 채널(546)에 대해 그 전체 길이를 따라서 접근을 제공한다. 그와 관련하여, 제1 커플러(530)는 슬롯(550)을 통해서 채널(546) 내로 연장되며, 채널(546) 내에서 활성화 기구(538)에 결합된다. 따라서 슬롯(550)은 제1 커플러(530)가 어떠한 간섭도 없이 본체(526)를 따라서 병진이동하게 할 수 있다.
제1 발판(518)은 도 5a 내지 도 5c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도시하듯이, 제1 발판(518)은 중앙 브릿지 부분(584)으로부터 연장되어 나가는 한 쌍의 날개(580)를 구비한다. 각각의 날개(580)는 실질적으로 평면적이며, 날개(580)를 뼈에 고정하기 위해 골 나사를 관통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 구멍(588)을 구비하고, 날개(580)는 골 면에 인접하여 편평하게 놓인다. 예를 들어 날개(580)를 뼈에 체결하기 위해 1.3mm 또는 1.5mm 흡수성 나사가 사용될 수 있다. 중앙 브릿지 부분(584)은 본체 부분(590), 및 상기 본체 부분(59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내측 연장 플랜지(596)에서 종료되는 한 쌍의 상향 연장 돌출부(592)를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플랜지(596)를 구비하는 돌출부(592)에는 T-슬롯(600)이 형성된다. 본체 부분(590)의 상면에는 그 원위 단부 근처에 멈춤쇠(detent)(604)가 형성된다.
제2 발판(522)은 도 5d에 도시하듯이 제1 발판(518)과 반대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제1 발판과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발판(522)은 신연장치(514)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날개를 구비하는 것과 반대로 도 5e에 도시하듯이 단일 대형 날개(606)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하듯이, 제1 커플러(530)는 제1 발판(518)을 신연장치 본체(526)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하듯이, 제1 커플러(530)는 신연장치 연결 부분(608), 및 수직 배향된 받침대(616)에 의해 상기 신연장치 연결 부분(608)에 연결되는 발판 결합 부분(612)을 구비한다. 연결 부분(608)은 본체(620)를 통해서 완전히 연장되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보어(624)가 형성되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본체(620)를 구비한다. 보어(624)는 활성화 기구(538)에 형성된 외부 나사산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나사산을 구비한다. 보어(624)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방향은 제1 발판(518)이 병진이동되어야 할 방향에 종속될 것이다.
발판 결합 부분(612)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제1 발판(518)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듯이, 발판 결합 부분(612)은 본체(630)를 통해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634)가 형성되는 본체(630)를 구비한다. 보어(634)의 바닥을 형성하는 본체(630)의 일부에는, 핑거(638)가 휘어질 수 있게 하는 자유 단부(642)를 갖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핑거(638)가 형성된다. 도 6d에 도시하듯이, 가요성 핑거(638)의 자유 단부(642)에 가까운 가요성 핑거(638)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부(646)가 하향 연장된다. 돌출부(646)는 제1 발판(518)의 브릿지 부분(584)에 형성된 멈춤쇠(604)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본체(630)는 본체(630)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대향 외측 연장 플랜지(650)를 더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본체(630)와 특히 플랜지(650)는 제1 발판(518)에 형성된 T-슬롯(600)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T-형상을 형성한다.
제1 발판(518)을 제1 커플러(530)에 연결하기 위해, 제1 커플러(530)의 플랜지(650)는 발판(518)의 T-슬롯(600)과 슬라이딩 결합한다. 제1 발판(518)이 제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동안, 가요성 핑거(638)는 핑거(638)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돌출부(646)가 발판 중앙 브릿지 부분(584)의 상면을 가로질러 끌어당겨짐에 따라 상방향으로 휘어질 것이다. 핑거(638)의 돌출부(646)가 멈춤쇠(604) 위에 배치되면, 핑거(638)는 그 정상 위치로 복귀하여 돌출부(646)를 멈춤쇠(604) 내에 배치시킬 것이다. 이 시점에서, 제1 발판(518)은 제1 커플러(530)에 대해 느슨하게 유지된다. 발판(518)을 제1 커플러(530)에 로크시키기 위해, 후술될 로킹 기구가 발판 결합 부분의 보어(634)를 통해서 연장되어 돌출부(646)를 발판 멈춤쇠(604) 내로 압박하고 발판(518)을 제1 커플러(530)에 로크시킨다.
도 4 및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하듯이, 제2 커플러(534)는 제2 발판(522)을 신연장치 본체(526)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하듯이, 제2 커플러(534)는 신연장치 연결 부분(658) 및 상기 신연장치 연결 부분(658)에 연결되는 발판 결합 부분(662)을 구비한다. 연결 부분(658)은 본체(670)를 구비하며, 이 본체에는 본체(670) 내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674)이 형성된다. 공동(674)은 장방형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신연장치(514)의 본체(52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공동(674)의 후방은 관통 보어(686)가 제공된 정지판(682)을 구비한다. 정지판(682)은 제2 커플링(534)이 신연장치 본체(526)의 단부 상에 확실히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이 구성에서, 제1 커플러(530)와 그로인한 제1 발판(518)이 병진이동하는 동안 제2 커플러(534)와 그로인한 제2 발판(522)은 정지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발판 결합 부분(662)은 제2 발판(522)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듯이, 발판 결합 부분(662)은 본체(690)를 통해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694)가 형성되는 본체(690)를 구비한다. 보어(694)의 바닥을 형성하는 본체(690)의 일부에는, 핑거(698)가 휘어질 수 있게 하는 자유 단부(702)를 갖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핑거(698)가 형성된다. 도 7d에 도시하듯이, 가요성 핑거(698)의 자유 단부(702)에 가까운 가요성 핑거(698)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부(706)가 하향 연장된다. 돌출부(706)는 제1 발판(518)의 브릿지 부분(584)에 형성된 멈춤쇠(604)와 유사한, 제2 발판에 형성된 멈춤쇠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본체(690)는 본체(690)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대향 외측 연장 플랜지(710)를 더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본체(690)와 특히 플랜지(710)는, 제1 발판(518)에 형성된 T-슬롯(600)과 유사한, 제2 발판(522)의 T-슬롯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T-형상을 형성한다.
제2 발판(522)을 제2 커플러(534)에 연결하기 위해, 제2 커플러(534)의 플랜지(710)는 발판(522)의 T-슬롯과 슬라이딩 결합한다. 제2 발판(522)이 제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동안, 가요성 핑거(698)는 핑거(698)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돌출부(706)가 발판 중앙 브릿지 부분의 상면을 가로질러 끌어당겨짐에 따라 상방향으로 휘어질 것이다. 핑거(698)의 돌출부(706)가 멈춤쇠 위에 배치되면, 핑거(698)는 그 정상 위치로 복귀하여 돌출부(706)를 제2 발판(522)의 멈춤쇠 내에 배치시킬 것이다. 이 시점에서, 제2 발판(522)은 제2 커플러(534)에 대해 느슨하게 유지된다. 발판(522)을 제2 커플러(534)에 로크시키기 위해, 후술될 로킹 기구가 발판 결합 부분의 보어(694)를 통해서 연장되어 돌출부(706)를 제2 발판의 멈춤쇠 내로 압박하고 발판(522)을 제2 커플러(534)에 로크시킨다.
도 4 및 도 8a 내지 도 8c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신연장치 조립체(510)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518, 522)이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530, 534)와 결합 유지되는 로크 위치와 발판(518, 522)이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530, 534)로부터 결합해제되는 언로크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로킹 기구(542)를 더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로킹 기구(542)는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530, 534)의 보어(634, 694)를 통해서 연장되며,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보어(720)가 형성되는 튜브(724), 및 상기 보어(720)를 통해서 연장되는 제거 액추에이터(716)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튜브(724)는 니티놀과 같은 형상 기억 재료로 제조되며, 액추에이터(716)는 티타늄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와이어이다. 액추에이터(716)의 원위 단부는 튜브(724)로부터 돌출하며, 제2 커플러의 보어(69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대 부분 또는 페룰(728)을 구비한다. 액추에이터(716)의 근위 단부 또한 튜브(724)로부터 돌출하며, 확대 부분 또는 페룰(732)을 구비하여 튜브(724)를 두 개의 페룰(728, 732) 사이에 트랩시킨다.
로크 위치에 있을 때, 로킹 기구(542)의 튜브(724)는, 핑거(638, 698)의 돌출부(646, 706)가 발판(518, 522)의 각 멈춤쇠와 결합하여 발판(518, 522)을 신연장치(514)와 결합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530, 534)의 핑거(638, 698)를 외측으로 압박한다. 즉, 튜브(724)의 직경이 핑거(638, 698)의 편향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크기 때문에, 핑거(638, 698)의 돌출부(646, 706)는 각각, 그 각각의 발판(518, 522)의 멈춤쇠 내에 유지되어, 신연장치(514)가 발판(518, 522)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게 할 것이다. 사용 시에 로킹 기구(542)는 활성화 기구(538)와 마찬가지로 연질 조직 내에 수동적으로 놓인다.
신연장치 제거 시에, 외과의사는, 환자의 피부를 통해서 연장되는 근위 페룰(732)을 한 쌍의 와이어 커터로 절단할 것이며, 이로 인해 튜브(724)는 도 8b에 도시하듯이 액추에이터(71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결과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530, 534)와 착탈식 발판(518, 522) 사이에 액추에이터(716)만 남겨질 것인 바, 이는 핑거(638, 698)의 편향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직경이 아니다. 이후 액추에이터(716)를 언로크 위치로 이동(즉, 견인)시킴으로써, 외과의사는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530, 534)를 착탈식 발판(518, 522)으로부터 결합해제시켜, 착탈식 발판(518, 522)만 여전히 환자에게 부착된 상태로 남겨둘 것이다. 신연장치(514)의 제거는 로킹 기구(542)가 관통 연장되는 경피 포트를 통해서 이루어질 것이다.
로킹 기구(542)는 환자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환자 밖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부착될 수도 있다. 이는 환자가 로킹 기구(542)에 접근하여 이를 조기에 절취할(이는 신연장치의 분리를 초래할 수 있음) 가능성을 방지하지만, 제거 시에 외과의사는 이에 대해 접근하기 위해 절개를 해야 할 것이다. 이는 조기 분리에 대해 더 큰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 다른 절개를 희생하는 것에 이의가 없는 일부 외과의사에게서 선호될 수 있다.
도 9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로킹 기구를 도시한다. 도시하듯이, 로킹 기구(800)는, 신연장치의 전체 길이를 지나서 연장되고 연질 조직 아래에 매설 유지되는 솔리드 핀(solid pin)(804)일 수 있다. 이 솔리드 핀(804)의 단부는 정상 하중 하에서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플레어(flare)(808)를 구비할 수 있다. 신연장치 제거 시에, 외과의사는 신연장치를 재노출시키기 위해 절개부를 생성해야할 것이지만, 신연장치를 발판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핀(804)에 접근하여 이를 인출하기만 하면 될 것이다. 이는 하악골 신연 중에 측두하악 관절 부위에서 골나사에 대한 접근이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0a 내지 도 10d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발판을 신연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더블 배럴 핀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810)는 신연장치(814), 상기 신연장치(8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818), 및 상기 제1 발판(818)에 대해 원위에 있는 위치에서 신연장치(8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822)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발판(818)은 제2 발판(822)에 대해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10a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814)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본체(826), 제1 발판(818)을 신연장치 본체(826)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1 커플러(830), 제2 발판(822)을 신연장치 본체(826)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2 커플러(834), 및 제1 발판 및 제2 발판(818, 822)을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830, 834)에 로크시키도록 구성되는 로킹 기구(842)를 고정하기 위한 제3 커플러(840)를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로킹 기구(842)는 두 개의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배럴(848)을 갖는 더블 배럴 핀(846)이다. 신연장치(814)는 제1 발판(818)을 제2 발판(822)으로 병진이동시키기 위해 본체(826)의 채널 내에 배치되는 활성화 기구를 더 구비한다.
도 10b 및 도 10d에 도시하듯이, 제1 발판 및 제2 발판(818, 822) 각각은 중앙 브릿지 부분(854)으로부터 연장되어 나가는 한 쌍의 날개(850)를 구비한다. 중앙 브릿지 부분(854)은 본체 부분(860)을 통해서 완전히 연장되는 한 쌍의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연장 보어(864)가 형성되는 본체 부분(860)을 구비한다. 제1 발판 및 제2 발판(818, 822) 각각의 보어(864)는 로킹 기구(84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d에 도시하듯이,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830, 834)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818, 822)을 신연장치 본체(826)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도시하듯이,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830, 834) 각각은 각각의 신연장치 연결 부분(868)[도 4 내지 도 8c에 도시된 실시예의 신연장치 연결 부분(608, 658) 각각과 유사] 및 상기 신연장치 연결 부분(868)에 연결되는 발판 결합 부분(862)을 구비한다. 신연장치 연결 부분(868)이 도 4 내지 도 8c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제1 커플러(830) 및 그로인한 제1 발판(818)은 제2 커플러(834)에 대해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발판 결합 부분(862)은 제1 발판 및 제2 발판(818, 822)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듯이, 발판 결합 부분(862) 각각은, 본체(870)를 통해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보어(874)가 형성되는 본체(870)를 구비한다.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830, 834) 양자의 보어(874)는 로킹 기구(84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발판을 신연장치에 결합시키기 위해, 제1 발판 및 제2 발판(818, 822)의 보어(864)는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830, 834)의 보어(874)와 정렬되며, 핀(846)은 핀(846)의 배럴(848)이 발판(818, 822) 및 커플러(830, 834)의 각각의 보어를 통과하도록 삽입된다.
도 10a 및 도 10c에 도시하듯이, 제3 커플러(840)는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830, 834) 양자로부터 가까운 위치에서 신연장치 본체(826)에 부착된다. 도시하듯이, 도 10c에서, 제3 커플러(840)는 제3 커플러(840)를 신연장치 본체(826)에 연결하기 위한 신연장치 연결 부분(878), 및 제3 커플러를 로킹 기구(842)[즉, 핀(846)]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 부분(882)을 구비한다. 그와 관련하여, 결합 부분(882)에는 또한 핀(846)의 각 배럴(848)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보어(886)가 형성된다. 보어(864, 874)와 핀(846) 사이의 끼워맞춤보다 큰 마찰 끼워맞춤을 제3 커플링(840)과 핀(846) 사이에 생성하기 위해 보어(886)는 보어(864, 874)보다 직경이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트한 끼워맞춤은 핀(846)이 의도치 않게 제거되지 않도록 보장할 것이다.
신연장치(814)로부터 발판(818, 822)을 결합해제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해, 핀(846)의 단부를 잡아당겨 핀(846)을 커플러(830, 834, 840)로부터 결합해제시킴으로써 핀(846)이 제거된다. 로킹 기구(846)가 환자 외부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핀(846)에 부착되어 경피 절개부를 통해서 가져올 수 있다. 이는 그러나 신연장치가 조기에 결합해제될 가능성을 방지하는 와이어-래핑 시술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커플러(840)는 또한 보어(886) 위의 결합 부분(882)을 통해서 연장되는 보어(890)를 구비할 수 있다. 와이어가 보어(890)를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a 내지 도 11c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로킹 기구가 통합되어 있는 커플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910)는 신연장치(914), 상기 신연장치(9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918), 및 상기 제1 발판(918)에 대해 원위에 있는 위치에서 신연장치(9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922)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발판(918)은 제2 발판(922)에 대해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11a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914)는 본체(926), 상기 본체(926)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커플러(930), 및 상기 본체(926)의 원위 부분에 부착되는 제2 커플러(934)를 구비한다. 상기 신연장치(914)는 본체(926)의 채널 내로 연장되는 활성화 기구를 더 구비한다. 상기 활성화 기구는 제1 커플러(930) 및 그로인한 제1 발판(918)을 몰아내거나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11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930, 934) 각각은 본체(942)를 통해서 연장되는 종방향 연장 보어 또는 채널(946)이 형성되는 보어(942)를 구비한다. 채널(946)은 신연장치(9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체(942)에는 본체(942)의 하면 내로 상향 연장되는 오목부(948)가 더 형성된다. 오목부(948)는 발판에 의해 형성되는 융기된 기하구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커플러(930, 934)는 또한, 본체(942)의 상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스프링 핑거(950)를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스프링 핑거(950)는 본체(942)의 각 측방향 측부로부터 연장된다. 각각의 스프링 핑거(950)의 하단부는 측방향으로 외측 연장되는 족부(954)를 구비한다. 스프링 핑거(950) 및 특히 족부(954)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918, 922)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11c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각각의 발판(918, 922)은 중앙 브릿지 부분(96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958)를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중앙 브릿지 부분(962)에는 융기된 기하구조 또는 돌출부(966) 및 한 쌍의 슬롯(970)이 형성된다. 도시하듯이, 융기된 돌출부(966)의 각각의 측방향 측부에는 슬롯(970)이 형성된다. 융기된 돌출부(966)는 커플러(930, 934) 중 하나의 오목부(948)와 결합하여 발판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슬롯(970)은 각각의 스프링 핑거(950)의 족부(954)를 수용하여 발판을 커플러에 로크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스프링 핑거(950)는 로킹 기구로 간주될 수 있다. 조립은 외과의사가 커플러(930, 934)를 착탈식 발판(918, 922) 상에 스냅시키고 이후 커플러(930, 934)를 신연장치 본체(926)에 부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신연장치(914)의 제거는 스프링 핑거(950)에 접근하기 위한 제2 절개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 핑거(950)는 수술실에서 입수 가능한 표준 핀셋에 의해 압착되어 커플러(930, 934)를 발판(918, 922)으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2 절개가 이루어지지만, 제2 절개를 하지 않고도 커플러(930, 934)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핑거(950)를 측방향으로 밀어넣어 커플러(930, 934)를 발판(918, 922)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커플러(930, 934) 위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가능한 튜브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2a 내지 도 12e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발판을 신연장치에 로크시키기 위해 중공 로킹 핀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010)는 신연장치(1014), 상기 신연장치(10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1018), 및 상기 신연장치(10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1022)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발판(1018)은 제2 발판(1022)에 대해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12a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1014)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신연장치 본체(1026), 상기 본체(1026)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커플러(1030), 상기 제1 커플러(1030)에 대해 원위에 있는 위치에서 본체(1026)에 부착되는 제2 커플러(1034), 및 상기 제1 커플러(1030)에 대해 근위에 있는 위치에서 본체(1026)에 부착되는 제3 커플러(1040)를 구비한다. 제1 커플러는 제1 발판(1018)을 신연장치 본체(1026)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며, 제2 커플러는 제2 발판(1022)을 신연장치 본체(1026)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신연장치(1014)는 제1 커플러(1030) 및 그로인한 제1 발판(1018)을 근위 방향으로 몰아내기 위한 활성화 기구를 더 구비한다. 로킹 기구(1042)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1018, 1022)을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1030, 1034)에 로크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2b에 도시하듯이, 각각의 발판(1018, 1022)은 융기된 본체(1050)를 갖는 중앙 브릿지 부분(1046)을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융기된 본체(1050)에는 이 본체(1050)를 통해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1054)가 형성된다. 또한 도 12b에 도시하듯이,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1030, 1034) 각각은 결합 부분(1058)을 통해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1062)가 형성되는 발판 결합 부분(1058)을 구비한다. 결합 부분(1058)에는 추가로, 결합 부분(1058)의 하면 내로 연장되는 오목부(1066)가 형성된다. 오목부(1066)는 융기된 본체(1050)의 보어(1054)가 결합 부분(1058)의 보어(1062)와 정렬되도록 발판 중 하나의 융기된 본체(105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정렬된 보어(1054, 1062)는 로킹 기구(104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2a, 도 12c 및 도 12d를 참조하면, 제3 커플러(1040)는 결합 부분(1072)을 통해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1076)가 형성되는 결합 부분(1072)을 구비한다. 도 12d에 도시하듯이, 보어(1076)는 보어(1054, 1062)보다 약간 크며, 보어(1076)의 표면 내로 연장되는 오목부(1078)가 형성된다. 도 12c에 도시하듯이, 보어(1076)는 로킹 기구(104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2c 내지 도 12e에 도시하듯이, 로킹 기구(1042)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로킹 핀(1080), 상기 로킹 핀(1080)의 종방향 연장 보어(1088)를 통해서 연장되는 제거 액추에이터(1084), 및 로킹 핀(1080)을 제3 커플러(1040)에 로크시키도록 구성된 튜브(1092)를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로킹 핀(1080)은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1030, 1034)의 보어(1062)를 통해서 연장되는 결합 부분(1096), 및 제3 커플러(1040)의 보어(1076) 내에 배치되는 로킹 부분(1100)을 구비한다. 도 12e 내지 도 12f에 도시하듯이, 로킹 부분(1100)은 제3 커플러(1040)의 보어(1076) 내로 통과하도록 편향되는 네 개의 편향 가능한 핑거(1104)를 구비한다. 각각의 핑거(1104)는 제3 커플러(1040)의 보어(1076)에 형성된 오목부(1078)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1108)를 구비한다.
로킹 기구(1042)는 로킹 핀(1080)을 발판(1018, 1022)과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1030, 1034)의 보어(1054, 1062)를 통해서 또한 제3 커플러(1040)의 보어(1076)를 통해서 통과시킴으로써 조립된다. 설치되면, 로킹 핀(1080)의 결합 부분(1096)은, 로킹 핀(1080)의 로킹 부분(1100)이 제3 커플러(1040)의 보어(1076) 내에 배치되는 동안, 발판과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의 보어(1054, 1062) 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 시점에서, 액추에이터(1084)는 로킹 핀(1080)의 보어(1088) 내에 배치된다. 튜브(1092)는 이후 액추에이터(1084) 위로 또한 로킹 핀(1080)의 보어(1088) 내로 슬라이딩되어 핑거(1104)의 편향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튜브(1092)는 로크 위치에 있다. 튜브(1092)가 삽입될 때, 핑거(1104)의 돌출부(1108)는 제3 커플러의 보어(1076)의 오목부(1078)와 결합해야 한다. 이는 로킹 핀(1080)을 제3 커플러(1040) 내에 포획시키고 발판(1018, 1022)을 신연장치(1014)에 고정시킨다. 니티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 튜브(1092)는 이후 페룰 상에 크림핑(crimping)됨으로써 액추에이터(1084) 상에 축방향으로 유지된다.
신연장치(1014)의 제거는 페룰을 환자의 신체 외부에서 절취하고, 튜브(1092)를 언로크 위치로 제거한 후, 액추에이터(1084)를 이동(즉, 견인)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액추에이터는 이후 제3 커플러(1040)로부터 로킹 핀(1080)을 끄집어낸다. 이로 인해 커플러(1030, 1034)가 그 각각의 발판(1018, 102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발판을 뒤에 남겨두고 신연장치(1014)가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3a 내지 도 13c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통합되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과, 상기 제1 발판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활성화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110)는 신연장치(1114), 상기 신연장치(1114)에 결합되는 제1 발판(1118), 및 상기 제1 발판(1118)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1122)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발판(1122)은 제1 발판(1118)에 대해 병진이동한다.
도 13a 및 도 13c에 도시하듯이, 제1 발판(1118)은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본체(1130)를 갖는 중앙 브릿지 부분(1126)을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본체(1130)에는 이 본체(1130)를 통해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1134)가 형성된다. 보어(1134)는 적어도 하나의 편평면(1138)을 갖도록 성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어(1134)는 두 개의 대향하는 편평면(1138)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보어(1134)는 키고정(keyed) 기하구조를 갖는다고 일컬어진다.
제2 발판(1122)은 제1 발판(1118)을 향하여 근위로 연장되는 연장부(1146)를 갖는 중앙 브릿지 부분(1142)을 구비한다. 도 13c에 도시하듯이, 연장부(1146)는 제1 발판의 보어(1134)의 키고정 기하구조에 끼워맞춤되도록 성형된다. 그와 관련하여, 연장부(1146)는 두 개의 편평 측부(1150)를 가지며, 제1 발판(1118)의 보어(1134)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연장부(1146)에는 또한, 이 연장부(1146)를 통해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1154)가 형성된다. 보어(1154)의 내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런 식으로 연장부(1146)는 나사식 트랙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13a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1114)는 본체(1174)의 원위 단부에서 결합 기구(1186)에 의해 활성화 웜(1178)에 연결되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본체(1174)를 갖는 활성화 기구(1170)를 구비한다. 활성화 기구(1170)는 본체(1174)를 따라서 병진이동 가능한 슬리브(1188)를 더 구비한다. 슬리브(1188)는 슬리브(1188)가 원위 제1 위치에 있을 때 활성화 기구(1170)를 제1 발판(1118)에 로크시키고 슬리브(1188)가 근위 제2 위치에 있을 때 활성화 기구(1170)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듯이, 활성화 웜(1178)은 제2 발판(1122)의 보어(1154) 내로 연장되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신연 나사(1190)를 구비한다. 신연 나사(1190)는 보어(1154)의 내부 나사산과 결합하는 외부 나사산을 구비한다. 활성화 웜(1178)은 공동(1200)이 형성되는 그 근위 단부에 스프링 핑거(1194)를 더 구비한다. 공동(1200)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은, 본체(1174)의 결합 기구(1186)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기구(1204)이다.
사용 시에 활성화 웜(1178)은 제2 발판(1122)의 보어(1154) 내에 삽입된다. 본체(1174)가 공동(1200)에 삽입되어 활성화 웜(1178)에 결합되고 슬리브(1188)가 그 원위 위치에 있을 때, 활성화 웜(1178)의 스프링 핑거(1194)는 제1 발판(1118)의 보어(1134)의 플랜지(1208)와 결합하여 내측 편향이 방지된다. 스프링 핑거(1194)의 내측 편향이 방지되기 때문에, 활성화 웜(1178)은 제1 발판(1118)에 로크된다.
신연장치(1114)를 활성화시켜 제2 발판(1122)을 제1 발판(1118)에 대해 병진이동시키는 것은, 토크를 본체(1174)에 인가하고 이어서 활성화 웜(1178)에 인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2 발판의 연장부(1146)와 제1 발판의 보어(1134) 사이의 키고정 관계로 인해 제2 발판(1122)은 병진이동한다. 연장부(1146)가 키고정 구조로 인해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연장부는 신연 나사(1190)를 따라서 병진이동한다. 키고정 기하구조는 연장부(1146) 및 보어(1134)의 형상에 고유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핀/슬롯 조합도 작용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신연장치(1114)의 제거는 슬리브(1188)를 근위로 슬라이딩시키고 활성화 웜(1178)의 핑거(1194)가 더 이상 편향되지 않도록 본체(1174)를 활성화 웜(1178)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시점에서, 활성화 웜(1178)은 조립체의 잔여부를 뒤에 남겨두고 경피 절개부를 통해서 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4a 내지 도 14f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착탈식 발판과 신연장치 본체 사이에 로킹 부품으로서 사용되는 활성화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210)는 신연장치(1214), 상기 신연장치(12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1218), 및 상기 제1 발판(1218)에 대해 원위 위치에서 신연장치(12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1222)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발판 및 제2 발판(1218, 1222) 양자는 서로에 대해 병진이동한다.
도 14e 및 도 14f에 도시하듯이, 각각의 발판(1218, 1222)은 두 개의 이격된 상향 연장 돌출부(1230)를 갖는 중앙 브릿지 부분(1226)을 구비한다. 각각의 돌출부(1230)의 상단부에는 외측 연장 플랜지(1234)가 형성된다. 돌출부(1230)는 두 개의 돌출부(1230) 사이에 오목부(1238)가 형성되도록 이격된다.
도 14a 내지 도 14f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1214)는 종방향 연장 외부 하우징(1242), 상기 하우징(1242)의 내부에 단단히 결합되는 종방향 연장 본체(1246), 및 상기 본체(1246)의 보어(1254) 내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각각의 발판(1218, 1222)을 위한 배럴(1250)을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보어(1254)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이며, 상기 보어에는 본체(1246)의 하부를 통해서 슬롯(1258)이 형성되고, 이 슬롯은 보어(1254)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배럴(1250)은 보어(1254) 내에 배치되는 결합 부분(1262), 및 상기 결합 부분(1262)으로부터 슬롯(1258)을 통해서 하향 연장되는 돌출부(1266)를 구비한다. 각각의 돌출부(1266)는 각각의 발판(1218, 1222)의 오목부(1238)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결합 부분(1262)에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 부분(1262)을 통해서 연장되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보어(1270)가 형성된다. 보어(1270) 각각에는 내부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의 방향은 배럴(1250)이 병진이동하는 방향을 결정할 것이다.
신연장치는 배럴(1250)의 보어(1270)를 통해서 연장되는 활성화 웜(1274)을 갖는 활성화 기구를 더 구비한다. 활성화 웜(1274)은 배럴 보어(1270)의 내부 나사산과 결합하기 위한 외부 나사산을 구비한다. 활성화 웜(1274)은 또한 그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결합 부재(1278)를 구비한다. 활성화 웜(1274)이 회전됨에 따라, 배럴(1250)은 그 각각의 방향으로 병진이동할 것이다.
신연장치(1214)는, 하우징(1242) 내에서 본체(1246) 주위에 배치되는 한 쌍의 L-레일(1280)을 더 구비한다. L-레일(1280)은 길이 방향으로 세장형이며 각각의 L-레일은 내측 연장 플랜지(1284)를 구비한다. L-레일(1280)의 플랜지(1284)는 발판(1218, 1222)의 플랜지(1234)와 결합하여 발판(1218, 1222)을 신연장치(1214)에 로크시키도록 구성된다. L-레일(1280)은 하우징(1242) 내에 수용된 스프링(1292)에 의해 이격 편향된다. 각각의 L-레일(1280)은 그 근위 단부에 램프(ramp)(1300)를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램프(1300)는 길이 방향으로 원위로 연장될수록 측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다.
도 14c 및 도 14d에 도시하듯이, 활성화 기구는 활성화 웜(1274)을 회전시키기 위한 본체(1304)를 더 구비한다. 본체(1304)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이며, 그 원위 단부에 결합 부재(1312)를 구비한다. 결합 부재(1312)는 활성화 웜(1274)의 결합 부재(1278)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공동(1316)으로서 형성된다. 도시하듯이, 공동(1316)에는 L-레일(1280)의 램프(1300)를 타고 오르도록 구성된 외부 림(1320)이 형성된다.
도 14d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활성화 기구 본체(1304)는 활성화 웜(1274) 상에 삽입된다. 활성화 기구 본체(1304)가 배치되어감에 따라, 활성화 기구 본체(1304)의 림(1320)은 L-레일(1280)의 램프(1300)를 타고 올라감으로써 L-레일(1280)을 함께 압축한다. L-레일(1280)이 압축될 때 발판(1218, 1222)은 도 14e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1214)에 결합된다. 결합되면, 활성화 기구 본체(1304)는 회전됨으로써 배럴(1250)을 병진이동시킬 수 있고 따라서 발판(1218, 1222)을 서로에 대해 병진이동시킬 수 있다.
신연이 완료되면, 활성화 기구 본체(1304)를 활성화 웜(1274)으로부터 완화시킴으로써 제거가 이루어지며, 이는 도 14f에 도시하듯이 발판(1218)으로부터 L-레일(1280, 1222)의 해제를 초래한다. 이는 이후 신연장치(1214)가 경피 절개부를 통해서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5a 내지 도 15e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활성화 기구의 회전이 발판을 커플러에 로크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도 6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커플러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410)는 신연장치(1414), 상기 신연장치(14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1418), 및 제1 발판(1418)에 대해 원위에 있는 위치에서 신연장치(14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1422)을 구비한다. 발판(1418, 1422)은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발판과 유사하다.
신연장치(1414)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본체(1426), 상기 본체(1426)에 부착되는 제1 커플러(1430), 및 상기 본체(1426)에 부착되는 제2 커플러(1434)를 구비한다. 제1 커플러(1430)는 제1 발판(1418)을 본체(1426)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며, 제2 커플러(1434)는 제2 발판(1422)을 본체(1426)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5c 내지 도 15e에 도시하듯이, 각각의 커플러(1430, 1434)는 발판 결합 부분(1438) 및 상기 발판 결합 부분(143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연장치 연결 부분(1442)을 구비한다. 신연장치 연결 부분(1442)에는 본체(1426)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보어(1444)가 형성된다. 도시하듯이, 보어(1444)와 본체(1426)는 본체(1426)가 회전될 때 신연장치 연결 부분(1442)이 회전하도록 키고정된다. 신연장치 연결 부분(1442)에는 발판 결합 부분(1438)과 상호작용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외측 연장 볼록부(1445) 및 내측 연장 오목부(1446)가 추가로 형성된다.
발판 결합 부분(1438)에는 종방향 연장 가요성 핑거(1448)가 형성되며, 상기 핑거(1448)는 휘어질 수 있도록 자유 단부(1450)를 갖는다. 도 15d에 도시하듯이, 가요성 핑거(1448)의 자유 단부(1450)에 가까운 가요성 핑거(1448)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부(1454)가 하향 연장된다. 돌출부(1454)는 발판(518)의 브릿지 부분(584)에 형성된 멈춤쇠(604)와 같은, 발판에 형성된 멈춤쇠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발판 결합 부분(1438)은, 발판(518)에 형성되는 T-슬롯(600)과 같은, 발판에 형성되는 T-슬롯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T-형상을 형성하는 대향하는 외측 연장 플랜지(1458)를 더 구비한다. 발판 결합 부분(1438)이 제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동안, 가요성 핑거(1448)는 핑거(1448)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돌출부(1454)가 발판 중앙 브릿지의 상면을 가로질러 끌어당겨짐에 따라 상방향으로 휘어질 것이다. 돌출부(1454)가 멈춤쇠(604) 위에 배치되면, 핑거(1448)는 그 정상 위치로 복귀하여 돌출부(1454)를 멈춤쇠(604) 내에 배치시킬 것이다. 이 시점에서, 발판은 커플러(1430, 1434)에 대해 느슨하게 유지된다.
발판(1418, 1422)을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1430, 1434)에 로크시키기 위해, 본체(1426)는 180도 회전됨으로써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1430, 1434)의 신연장치 결합 부분(1442)을 회전시켜 각각의 볼록부(1445)를 발판 결합 부분(1438)의 핑거(1448) 위에 배치시킨다. 볼록부(1445)는 핑거(1448)의 편향을 방지하여 발판(1418, 1422)을 신연장치(1414)에 로크시킬 것이다. 역으로, 발판(1418, 1422)을 언로크시키기 위해, 본체(1426)는 180도 회전됨으로써 오목부(1446)가 그 각각의 핑거(1448) 위에 배치되어 핑거(1448)가 휘어질 수 있게 한다. 제거 이전에 이 회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성 나사(1460)가 사용되어 신연장치 결합 부분(1442)과 그 각각의 발판 결합 부분(1438)을 함께 로크시킨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1414)는 제3 커플러(1474)에 의해 본체(1426)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활성화 기구(1470)를 더 구비한다. 커플러(1474)는 활성화 기구(1470)가 발판(1418, 1422) 중 하나의 발판을 다른 발판에 대해 병진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신연이 완료되면, 활성화 기구(1470)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 반경방향 치형부(1478)는 본체(1426)의 근위 단부에 형성된 반경방향 치형부(1482)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본체(1426)에 토크가 전달될 수 있으며 따라서 흡수성 나사(1460)가 파괴되어 신연장치 결합 부분(1442)을 회전시키고 핑거(1448)를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신연장치(1414)는 이후 착탈식 발판(1418, 1422)으로부터 경피 절개부를 통해서 인출되고, 발판(1418, 1422)을 환자에게 남겨둔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6a 및 도 16b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발판을 신연장치에 로크시키기 위해 흡수성 나사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510)는 신연장치(1514), 상기 신연장치(15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1518), 및 상기 제1 발판(1518)에 대해 원위에 있는 위치에서 신연장치(15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1522)을 구비한다. 적어도 제2 발판(1522)을 신연장치(1514)에 로크시키기 위해 흡수성 나사(1526)가 사용된다. 신연 및 강화 과정에 걸쳐서, 흡수성 나사(1526)는 신연장치(1514)가 상기 정규 기술에 의해 발판(1522)으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기에 충분히 약해질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7a 내지 도 17e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해제될 경우 발판을 신연장치로부터 결합해제시킬 수 있는 해제 가능한 정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610)는 신연장치(1614), 상기 신연장치(16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1618), 및 상기 제1 발판(1618)에 대해 원위에 있는 위치에서 신연장치(16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1622)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발판(1618)은 제2 발판(1622)에 대해 근위로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1614)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본체(1626), 및 상기 신연장치 본체(1626)에 형성된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채널(1634) 내로 연장되는 활성화 기구(1630)를 구비한다. 도 17b 및 도 17c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신연장치 본체(1626)는 그 원위 단부에 개구(1638)가 형성되며, 상기 원위 개구(1638)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해제 가능한 정지부(1642)를 구비한다. 신연장치 본체(1626)에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슬롯(1646)이 신연장치 본체(1626)의 저부를 따라서 추가로 형성된다. 슬롯(1646)은 제1 발판 및 제2 발판(1618, 162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해제 가능한 정지부(1642)는 피봇(1654) 주위로 피봇 가능한 힌지형 도어(1650)이다. 도시하듯이, 도어(1650)에는 로킹 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로킹 기구 수용 보어(1658)가 형성된다. 도어(1650)가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을 때 보어(1658)는 길이 방향에 평행하다. 예를 들어, 도 17b에 도시하듯이, 도어(1650)가 신연장치의 근위 단부를 향해서 경사져 있을 때, 보어(1658)는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고 로킹 기구를 수용할 수 있다.
활성화 기구(1630)는 가요성 활성화 연장부(1662), 및 적어도 하나의 발판과 결합하여 이를 활성화 웜(1666)의 활성화 시에 다른 발판에 대해 병진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활성화 웜(1666)을 구비한다.
도 17d 및 도 17e에 도시하듯이, 제1 발판(1618)은 중앙 브릿지 부분(1674)으로부터 연장되어 나가는 한 쌍의 날개(1670)를 구비한다. 각각의 날개(1670)는 실질적으로 평면적이며, 날개(1670)를 뼈에 고정하기 위해 골 나사를 관통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 구멍을 구비하고, 날개(1670)는 골 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날개(1670)를 뼈에 체결하기 위해 1.3mm 또는 1.5mm 흡수성 나사가 사용될 수 있다. 중앙 브릿지 부분(1674)은 종방향 연장 채널(1684)이 형성되는 본체 부분(1680)을 구비한다. 채널(1684)에는, 활성화 기구(1630)가 회전될 때 제1 발판이 근위로 병진이동하도록 활성화 기구(1630)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17c에 도시하듯이, 본체 부분(1680)은 슬롯(1646)을 통해서 연장되며 본체(1626)의 채널(1634) 내에 수용된다. 이런 식으로, 신연장치(1614)는 제1 커플러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마찬가지로 제2 발판(1622)은 중앙 브릿지 부분(1690) 및 상기 중앙 브릿지 부분(1690)의 양측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날개(1694)를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중앙 브릿지 부분(1690)은 로킹 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종방향 연장 채널(1698)이 형성되는 본체 부분(1696)을 구비한다.
도 17b 및 도 17c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610)는 활성화 기구의 보어를 통해서, 제1 발판 및 제2 발판(1618, 1622)의 보어를 통해서, 및 힌지형 도어(1650)의 보어(1658)를 통해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로킹 기구(1700)를 더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킹 기구(1700)는 니티놀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튜브(1704)이다.
작동 시에, 신연장치(1614)를 제거할 준비가 되면, 튜브(1704)를 보어(1658)로부터 결합해제시키기 위해 튜브(1704)가 힌지형 도어(1650)의 근위로 당겨진다. 결합해제되면, 도어(1650)는 자유롭게 스윙할 수 있으며 활성화 기구(1630)의 역회전은 제1 발판 및 제2 발판(1618, 1622)을 신연장치 본체(1626)의 원위 개구(1638)로부터 병진이동시킬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8a 및 도 18b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나사가 형성되는 해제 가능한 정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듯이, 해제 가능한 정지부는 튜브(1704)에 의해 적소에 유지되는 나사(1706)일 수 있다. 나사(1706)는, 편향되어 신연장치 본체(1626)의 측부에 있는 개구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핑거(1708)를 구비한다. 튜브(1704)가 제거될 때, 착탈식 나사는 본체(1626)로부터 결합해제되어 떨어져나갈 수 있다. 나사가 환자의 체내에 남겨지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나사(1706)의 측부는, 환자로부터 인출될 때 나사(1706)가 신연장치 본체(1626)를 따르게 할 수 있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에 의해 신연장치 본체(1626)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9a 내지 도 19g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추가 특징부를 갖는 신연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710)는 신연장치(1714), 상기 신연장치(1714)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발판(1718), 및 상기 제1 발판(1718)에 대해 원위에서 신연장치(1714)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며 제1 발판(1718)에 대해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발판(1722)을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1714)는 제1 발판(1718)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제1 본체 부분(1726) 및 제2 발판(1722)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제2 본체 부분(1730)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본체 부분(1730) 및 그로인한 제2 발판(1722)은 제1 본체 부분(1726)에 대해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듯이, 제1 본체 부분(1726)은 본체(1734), 및 상기 본체(1734)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트랙(1738)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734)에는 관통 연장되는 종방향 채널(1740), 채널(1740)이 형성되는 측벽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홈(1742), 및 제1 발판(1718)을 향해서 하향 연장되는 볼 멈춤쇠(1742)가 형성된다. 상기 볼 멈춤쇠(1742)는 제1 발판(1718)과 결합하여 제1 발판(1718)을 제1 본체 부분(1726)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제1 본체 부분(1726)은 제1 발판(1718)을 신연장치(1714)에 결합하기 위한 제1 커플러로 간주될 수 있다.
제2 본체 부분(1730)은 관통 연장되는 채널(1750)이 형성되는 본체(1746), 및 상기 채널(1740)이 형성되는 측벽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홈(1742)을 구비한다. 본체(1746)는 채널(1750)의 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스프링 핑거(1754)를 더 구비한다. 스프링 핑거(1754)는 발판이 제2 본체 부분(1730) 상에 배치될 때 측방향 내측으로 튀어나가고 이후 발판이 적절히 배치될 때 발판(1722)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 핑거(1754)가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본체 부분(1730)은 핑거(1754)를 차단하는 채널(1750) 내에 배치되는 로크 부품(1758)을 구비한다. 스프링(1760)은 의도적으로 당겨지지 않는 한 로크 부품(1758)이 근위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한다. 신연장치(1714)를 제거할 때가 되면, 로크 부품(1758)은 근위로 당겨짐으로써 스프링 핑거(1754)가 다시 내측으로 휘어지게 할 수 있고 제2 발판(1722)이 제2 본체 부분(1730)으로부터 결합해제되게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제2 본체 부분(1730)은 제2 발판(1722)을 신연장치(1714)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커플러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9d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트랙(1738)은 제2 본체 부분(1730)의 채널(1750)을 통해서 원위로 연장된다. 트랙(1750)은, 활성화 웜이 회전될 때 제2 본체 부분(1730)이 원위로 병진이동하도록 활성화 웜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홈을 구비한다. 트랙(1738)은 트랙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치형부를 더 구비하며, 이들 치형부는 제2 발판(1718)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래칫 탭에 의해 결합되어 가동 발판의 역진 슬라이딩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9a 내지 도 19d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1714)는 활성화 연장부(1768) 및 상기 활성화 연장부(1768)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활성화 웜(1770)을 갖는 활성화 기구(1766)를 더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활성화 기구(1766) 또는 적어도 활성화 웜(1770)은 제1 본체 부분(1726)의 채널(1740)을 통해서 제2 본체 부분(1730)의 채널(1750) 내로 연장된다. 도 19d에 도시하듯이, 활성화 웜(1770)은 트랙(1738)의 홈과 결합하는 외부 나사산을 구비한다. 활성화 연장부(1768) 및 활성화 웜(1770)에는 이를 관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1774)가 형성된다. 보어(1774)는 활성화 기구(1766)를 통해서, 로크 부품(1758)을 통해서 및 제2 본체 부분(1730)의 원위 단부 밖으로 완전히 연장되는 제거 액추에이터(177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액추에이터(1778)는 당겨질 때 제1 발판 및 제2 발판(1718, 1722)을 제1 및 제2 본체 부분(1726, 1730)으로부터 결합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도 19f 내지 도 19h에 도시하듯이, 제1 발판 및 제2 발판(1718, 1722) 각각은 중앙 브릿지 부분(1786)에 의해 분리되는 한 쌍의 날개(1782)를 구비한다. 각각의 중앙 브릿지 부분(1786)은 각각의 본체 부분(1726, 17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1794)이 형성되는 한 쌍의 종방향 연장 벽(1790)을 구비한다. 적어도 제1 발판(1718)의 중앙 브릿지 부분(1786)에는, 제1 본체 부분(1726)의 볼 멈춤쇠(1742)를 수용하여 제1 발판(1718)을 제1 본체 부분(1726)에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채널(1794) 내의 오목부(1796)가 형성된다. 제1 발판 및 제2 발판(1718, 1722)의 벽(1790)은 제1 및 제2 본체 부분(1726, 1730)의 홈(1742)과 결합하여 신연장치(1714)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특징부(1798)를 구비한다. 제2 본체 부분(1730)의 스프링 핑거(1754)는 제2 발판(1722) 외부에 안착하여 신연장치(1714)의 제거를 방지한다.
제1 발판 및 제2 발판(1718, 1722)의 벽(1790)은 경사진 원위 및 근위 측부(1802)를 구비한다. 제1 발판(1718)의 경사진 측부(1802)는 신연장치(1714)의 제거 중에 제2 본체 부분(1730)이 제1 발판(1718)을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게 한다.
제1 발판(1718)을 제1 본체 부분(1726)에 로크시키기 위해, 신연장치 조립체(1710)는, 활성화 연장부(1768) 주위에 배치되고 제1 본체 부분(1726)에 결합되는 슬리브(1810)가 형성되는 로킹 기구(1806)를 구비한다. 특히, 슬리브(1810)는 제1 본체 부분(1726)의 내부 나사산(1818)과 결합하는 외부 나사산(1814)을 구비한다. 결합될 때, 제1 본체 부분(1726)의 볼 멈춤쇠(1742)는 제1 발판(1718)의 오목부(1796)로부터 결합해제가 방지됨으로써 제1 발판(1718)을 제1 본체 부분(1726)에 로크시킨다. 슬리브(1810)는 특대형 튜브로 간주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신연장치(1714)를 제거하고 발판(1718, 1722)을 뒤에 남겨두기 위해, 슬리브(1810)는 제1 본체 부분(1726)으로부터 결합해제되거나 제거되어 볼 멈춤쇠(1742)를 오목부(1796)로부터 결합해제되게 할 수 있다. 슬리브가 결합해제되면, 액추에이터(1778)가 견인하며 이는 다시 로크 부품(1758)을 근위로 견인하여 핑거(1754)가 제2 발판(1730)으로부터 결합해제되게 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제1 발판 및 제2 발판(1718, 1722)은 신연장치(1714)로부터 해제되며 액추에이터(1778)의 추가 견인은 제1 발판 및 제2 발판(1718, 1722)이 뒤에 남겨진 상태에서 신연장치(1714)를 환자로부터 인출한다. 제2 본체 부분(1730)이 제1 발판(1718)을 통해서 견인될 수 없기 때문에, 제2 본체 부분(1730)은 근위로 견인될 때 제1 발판의 중앙 브릿지 부분(1786)의 경사진 측부(1802)를 타고 올라간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710)는 소정 반경과 같은 특정 반경을 따라서 만곡되는 곡선 트랙(1850)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 연장부(1768), 활성화 웜(1770), 액추에이터(1778) 및 슬리브(1810)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가요성이도록 레이저 커팅되는 강성 재료로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1a 내지 도 21i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튜브가 제거될 때 발판을 신연장치로부터 결합해제하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910)는 신연장치(1914), 상기 신연장치(1914)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발판(1918), 및 상기 제1 발판(1918)에 대해 원위에서 신연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발판(1922)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발판(1918)은 제2 발판(1922)에 대해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21a 내지 도 21i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신연장치(1914)는 제1 발판(1918)을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본체 부분(1950), 및 상기 제1 본체 부분(1950)에 대해 원위에 위치하고 제2 발판(1922)을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본체 부분(1954)을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제1 본체 부분(1950)은 길이 방향(L)으로 세장형이며, 제1 본체 부분(1950)을 통해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채널(1958)을 구비한다.
채널(1958)의 상벽에는, 제1 발판(1918)과 결합하여 제1 발판(1918)을 제1 본체 부분(1950)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핑거(1972)가 형성된다. 도 21c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스프링 핑거(1972)는 그 단부에 상향 연장 돌출부(1976)를 구비한다. 즉, 핑거(1972)는 신연장치(1914)의 중심축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976)를 구비한다. 핑거(1972)는 튀어나가서 제1 발판(1918)과 결합함으로써 제1 발판(1918)을 제1 본체 부분(1950)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제1 본체 부분(1950)은 제1 발판(1918)을 신연장치(1914)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 커플러로 간주될 수 있다.
도 21h 및 도 21i에 도시하듯이, 제1 본체 부분(1950)의 근위 부분에는 활성화 트랙에 형성된 치형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측방향 래칫 탭(1979)이 형성된다. 래칫 탭(1979)은 제1 발판(1918)의 역진 슬라이딩을 방지한다. 제1 본체 부분(1950)의 근위 부분은 또한, 신연장치(1914)의 제거 중에 래칫 탭(1979)을 외측으로 압박하는 해제 클립(1980)을 구비한다.
제2 본체 부분(1954)은 또한 길이 방향(L)으로 세장형이며, 유지 부분(1982) 및 상기 유지 부분(1982)으로부터 근위로 연장되는 활성화 트랙(1986)을 구비한다. 유지 부분(1982)은 세장형 채널(1998)을 구비하며, 이 채널은 유지 부분(1982)을 통해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다. 제2 본체 부분(1954)의 채널(1998)은 제1 본체 부분(1950)의 채널(1958)과 정렬된다. 채널(1998)의 상벽에는, 그 단부에 상향 연장 돌출부(2006)를 갖는 스프링 핑거(2002)가 형성된다. 즉, 핑거(2002)는 신연장치(1914)의 중심축으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돌출부(2006)를 구비한다. 핑거(2002)는 튀어나가서 제2 발판(1922)과 결합하여 제2 발판(1922)을 제2 본체 부분(1954)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제2 본체 부분(1954)은 제2 발판(1922)을 신연장치(1914)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커플러로 간주될 수 있다.
제2 본체 부분(1954)의 활성화 트랙(1986)은 유지 부분(1982)으로부터 연장되어 나가며, 제1 발판의 중앙 브릿지 부분의 하측 부분에 형성된 채널을 통해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21c에 도시하듯이, 활성화 트랙(1986)에는 제1 본체 부분(1950)의 채널(1958)에 노출되는 다수의 홈(2010)이 형성된다. 홈(2010)은 활성화 트랙(1986)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서 배치되며, 활성화 기구에 형성된 외부 나사산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21a 내지 도 21i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1914)는 활성화 연장부(2018) 및 상기 활성화 연장부(2018)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활성화 웜(2022)을 갖는 활성화 기구(2014)를 더 구비한다. 활성화 연장부(2018)와 활성화 웜(2022) 양자에는 이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종방향으로 세장형인 보어(2024)가 형성된다. 도 21c에 도시하듯이, 활성화 웜(2022)은 제1 본체 부분(1950)의 채널(1958) 내로 연장되며, 활성화 트랙(1986) 상에 형성된 홈(2010)과 결합한다. 특히, 활성화 웜(2022)은, 활성화 웜(2022)의 회전이 제1 본체 부분(1950) 및 그로인한 제1 발판(1918)의 근위로의 병진이동을 초래하도록 트랙의 홈(2010)과 결합하는 나사산(2026)을 구비한다.
도 21c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1910)는 활성화 연장부(2018)에 형성된 보어(2024) 및 활성화 웜(2022)을 통해서, 제2 본체 부분(1954)의 채널(1998)을 통해서, 및 신연장치(1914)의 원위 단부 밖으로 연장되는 로킹 기구(2030)를 더 구비한다. 로킹 기구(2030)는 튜브(2034) 및 상기 튜브(2034)를 통해서 완전히 연장되는 제거 액추에이터(2038)를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액추에이터(2038)의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는 넓어진(widened) 부분(2042)을 구비한다. 넓어진 부분(2042)은 액추에이터 상에 크림핑되는 페룰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2038)로부터 튜브(2034)를 제거하기 위해, 근위 페룰(2042)이 제거되며, 따라서 튜브(2034)가 근위로 견인될 수 있다.
도 21f 내지 도 21i에 도시하듯이, 제1 발판 및 제2 발판(1918, 1922) 각각은 중앙 브릿지 부분(2042) 및 상기 브릿지 부분(2042)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날개(2046)를 구비한다. 각각의 중앙 브릿지 부분(2042)은 종방향 연장 채널(2054)이 형성되는 본체(2050)를 구비한다. 채널(2054)은 신연장치(1914)의 제1 및 제2 본체 부분(1950, 195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21i에 도시하듯이, 제1 발판의 채널(2054)의 하측 부분은 실질적으로 장방형이며, 제2 본체 부분(1954)으로부터 연장되는 활성화 트랙(198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치는 제1 본체 부분(1950)이 소정 라인을 따라서 트랙(1986)을 따라 병진이동하게 할 수 있다.
발판(1918, 1922)을 신연장치(1914)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로킹 기구(2030)의 튜브(2034)가 제거되며 따라서 제1 및 제2 본체 부분(1950, 1954)의 스프링 핑거가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액추에이터(2038)가 근위로 견인될 때, 신연장치(1914)는 발판(1918, 1922)을 뒤에 남겨두고 액추에이터(2038)와 함께 근위로 견인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2a 내지 도 22h와 관련하여, 신연장치 조립체는 신연장치를 발판에 로크시키는 로킹 부품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듯이, 신연장치 조립체(2110)는 신연장치(2114), 상기 신연장치(21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2118), 및 상기 제1 발판(2118)에 결합되는 제2 발판(2122)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발판(2118)은 제2 발판(2122)에 대해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22b 내지 도 22d에 도시하듯이, 신연장치(2114)는 제1 발판(2118)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2126)를 구비한다. 커플러(2126)는 그 하면을 따라서 T-슬롯(2134)이 형성되는 본체(2130)를 구비한다. T-슬롯(2134)은 두 개의 하향 연장 벽(2138)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벽(2138)은 측방향 내측 연장 플랜지(2142)를 갖는다. T-슬롯(2134)은 제1 발판(2118)의 일부를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커플러(2126)의 상측 부분은 종방향 연장 보어(2146)를 구비한다. 보어(2146) 아래에는 근위로 연장되는 클립(2150)이 제공되며, 이 클립은 활성화 기구 상에 클립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신연장치(2114)는 제1 발판(2118)을 제2 발판(2122)에 대해 몰아내도록 구성되는 활성화 기구(2160)를 더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활성화 기구(2160)는 활성화 연장부(2164) 및 상기 활성화 연장부(2164)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활성화 웜(2168)을 구비한다. 상기 웜(2168)은 제2 발판으로부터 연장되는 트랙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나사산을 구비한다. 도 21a에 도시하듯이, 커플러(2126)의 클립(2150)은 활성화 웜(2168)이 완전히 삽입될 때 활성화 웜(2168)과 결합한다. 이는 활성화 기구(2160)를 커플러(2126)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는 또한 무부하 하에서 우발적인 회전을 방지한다.
도 22c, 도 22g 및 도 22h에 도시하듯이, 제1 발판(2118)은 중앙 브릿지 부분(2170) 및 상기 중앙 브릿지 부분(2170)의 각 측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날개(2174)를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중앙 브릿지 부분(2170)은 관통 연장되는 채널(2182)이 형성되는 본체(2178)를 구비한다. 채널(2182)의 상벽에는 이 상벽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슬롯(2186)이 형성된다. 채널(2182)의 하벽에는 래칫 탭(2190)이 형성된다. 본체(2178)에는 커플러(2126)의 플랜지(2142)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대향하는 종방향 세장형 슬롯(2194)이 추가로 형성된다.
제2 발판(2122)은 중앙 브릿지 부분(2200) 및 상기 중앙 브릿지 부분(2200)의 양 측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날개(2204)를 구비한다. 도시하듯이, 중앙 브릿지 부분(2200)은 제1 발판(2118)의 채널(2182)을 통해서 원위로 연장되는 트랙(2208)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랙(2208)은 소정 원호를 따라서 구부러진다. 도시하듯이, 트랙(2208)은 활성화 웜(2168)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홈(2212)을 구비하며 따라서 상기 웜(2168)의 회전은 제1 발판(2118)이 트랙(2208)을 따라서 병진이동하도록 초래한다. 트랙(2208)의 하면은 신연 이후 제1 발판(2118)의 역진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발판(2118)의 래칫 탭(2190)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치형부(2228)와 같은 결합 특징부를 구비한다.
신연장치(2114)를 제1 발판(2118)에 로크시키기 위해, 신연장치 조립체(2110)는 로킹 기구(2234)를 구비한다. 로킹 기구(2234)는, 활성화 연장부(2164) 주위에 배치되고 외부 나사산(2250)이 형성되는 슬리브(2238)를 구비한다. 로킹 기구(2234)는 슬리브(2238)의 외부 나사산(2250)과 결합하는 내부 나사산(2258)을 갖는 너트(2254)를 더 구비한다. 너트(2254)로부터 원위 연장되는 것은, 제1 발판(2118)과 결합하여 제1 발판(2118)을 커플러(2126)에 로크시키도록 구성되는 로킹 부품(2262)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크 부품(2262)은, 너트(2254)로부터 원위로 커플러(2126)의 보어(2146)를 통해서 연장되는 샤프트(2266)를 구비한다. 샤프트(2266)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것은, 제1 발판(2118)의 채널(2182)과 결합하고 제1 발판(2118)을 커플러(2126)에 대해 압박하여 제1 발판(2118)을 커플러(2126)에 로크시키도록 구성되는 판(2274)이 형성되는 결합 특징부(2270)이다.
작동 시에, 로킹 기구(2234)는 결합 특징부(2270)가 도 22e에 도시하듯이 제1 발판(2118)을 커플러(2126)에 로크시키는 제1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1 발판(2118)을 커플러(2126)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 슬리브(2238)가 회전됨으로써 너트(2254)를 원위로 병진이동시킨다. 너트(2254)가 병진이동함에 따라, 결합 특징부(2270)도 원위로 병진이동되고 도 22f에 도시하듯이 커플러(2126)로부터 결합해제된다. 이 시점에서 발판(2118, 2122)이 신연장치(2114)로부터 해제되며 신연장치(2114)는 발판(2118, 2122)이 뒤에 남겨져 있는 동안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몇 가지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당업자가 이해하게 될 상기 실시예 및 그 자연스러운 변형예의 특징부의 임의의 조합을 망라한다. 추가로 특정 특징부를 제1 및 제2로 기술했으나, 어느 것이든 제1 또는 제2로 고려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발판을 상이한 특징부를 갖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으로서 기술했지만, 어느 발판이든 제1 발판 또는 제2 발판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추가로, 신연장치는 골 세그먼트를 상호 이격되도록 압박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개시된 신연장치는 단축(즉, 골 세그먼트를 서로를 향해 압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94)

  1. 골 간극에 의해 분리되는 제1 골 세그먼트 및 제2 골 세그먼트를 신연시키도록 구성된 골 신연장치 조립체이며,
    제1 커플러 및 상기 제1 커플러에 대해 원위에 있는 제2 커플러를 갖는 신연장치;
    상기 제1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뼈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제1 발판;
    상기 제2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뼈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제2 발판;
    상기 신연장치에 대해 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튜브를 구비하는 로킹 기구로서, 튜브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튜브는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와 각각 결합 유지시키며 튜브가 언로크 위치에 있을 때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은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로부터 각각 결합해제되는 로킹 기구; 및
    상기 튜브를 통해서 연장되고 상기 신연장치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해제 액추에이터로서, 제거 위치로의 그 이동이 신연장치를 제1 발판 및 제2 발판으로부터 제거되게 만드는 해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제1 커플러는 튜브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제1 발판의 중앙 브릿지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핑거를 구비하거나, (ii) 상기 제2 커플러는 튜브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제2 발판의 중앙 브릿지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핑거를 구비하거나, 또는 (i) 상기 제1 커플러는 튜브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제1 발판의 중앙 브릿지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핑거를 구비하며 (ii) 상기 제2 커플러는 튜브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제2 발판의 중앙 브릿지 부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핑거를 구비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는 활성화 기구에 형성된 외부 나사산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나사산을 갖는 보어가 형성되는 신연장치 연결 부분을 구비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플러는 제1 커플러에 대해 원위로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제1 커플러는 제2 커플러에 대해 근위로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커플러는 제1 커플러에 대해 원위로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커플러는 제2 커플러에 대해 근위로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i) 상기 제1 커플러는 각각 종방향 홈이 형성되는 대향한 측벽들에 의해 형성되는 종방향 채널을 구비하고, (ⅱ) 상기 제2 커플러는 제1 커플러의 홈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근위로 연장되는 활성화 트랙을 구비하며, (ⅲ) 상기 활성화 트랙에는 제1 커플러의 채널에 노출되고 활성화 기구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연장치는 제1 커플러와 제2 커플러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병진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활성화 웜을 구비하는 활성화 기구를 더 포함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16. 삭제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판은 중앙 브릿지 부분 및 상기 중앙 브릿지 부분으로부터 근위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에는 다수의 치형부가 형성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은 흡수성 재료로 제조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23.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로킹 기구는 관통 연장되는 보어와 근위 로킹 부분을 갖는 로킹 핀을 더 구비하고, (ⅱ) 상기 액추에이터는 로킹 핀의 보어를 통해서 연장되며, (ⅲ) 상기 튜브는 로킹 핀의 로킹 부분으로 연장되어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을 신연장치에 로크시키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제2 커플러는 제1 커플러를 통해서 근위로 연장되는 트랙을 구비하고, (ⅱ) 상기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 각각은 튜브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발판과 결합하는 스프링 핑거를 구비하며, (ⅲ) 활성화 기구는 트랙과 결합하여 제2 발판을 제1 발판에 대해 병진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연장치는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가 형성되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발판과 제2 발판은 본체에 형성된 보어 내로 연장되는 신연장치 결합 부분을 구비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골 간극에 의해 분리되는 제1 골 세그먼트 및 제2 골 세그먼트를 신연시키도록 구성된 골 신연장치 조립체이며,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를 갖는 신연장치;
    상기 제1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발판;
    상기 제2 커플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발판;
    적어도 제1 커플러 내로 연장되는 활성화 웜을 갖는 활성화 기구로서, 관통 연장되는 보어가 형성되는 활성화 기구;
    상기 활성화 기구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커플러와 결합될 수 있는 슬리브; 및
    상기 활성화 기구의 보어를 통해서 연장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플러로부터 슬리브가 결합해제되면 제1 커플러로부터 제1 발판이 해제되며, 상기 액추에이터가 근위로 병진이동되면 제1 발판 및 제2 발판으로부터 신연장치가 제거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는 원위로 연장되는 트랙을 구비하며, 상기 활성화 기구는 상기 트랙과 결합하는 활성화 웜을 구비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68. 삭제
  69.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는 제1 발판에 형성된 오목부와 결합하는 멈춤쇠를 구비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70.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판은 대향한 측벽들을 갖는 중앙 브릿지 부분을 구비하며, 각각의 측벽은 경사진 원위 측부를 갖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71.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플러는, 제2 발판과 결합하여 제2 발판을 제2 커플러에 로크시키는 스프링 핑거를 구비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제1 커플러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위 부분을 구비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은 흡수성 재료로 제조되는 골 신연장치 조립체.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KR1020127010386A 2009-09-24 2010-09-24 가동 발판을 구비한 신연장치 KR101692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556109P 2009-09-24 2009-09-24
US61/245,561 2009-09-24
PCT/US2010/050172 WO2011038209A2 (en) 2009-09-24 2010-09-24 Distractor with removable footpl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726A KR20120088726A (ko) 2012-08-08
KR101692573B1 true KR101692573B1 (ko) 2017-01-03

Family

ID=4308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386A KR101692573B1 (ko) 2009-09-24 2010-09-24 가동 발판을 구비한 신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858566B2 (ko)
EP (1) EP2512356B1 (ko)
JP (2) JP5710622B2 (ko)
KR (1) KR101692573B1 (ko)
CN (2) CN104665904B (ko)
CA (1) CA2775147C (ko)
WO (1) WO20110382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2356B1 (en) 2009-09-24 2014-12-10 Synthes GmbH Distractor with removable footplates
WO2012149087A1 (en) * 2011-04-26 2012-11-01 Synthes Usa, Llc Hinged fixation devices for combined upper jaw correction
IN2014KN01321A (ko) * 2011-11-25 2015-10-16 Univ Cape Town
KR101270535B1 (ko) 2012-01-05 2013-06-03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골신장기
EP2742883B1 (en) * 2012-12-12 2016-07-27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Surgical distance adjusting assembly for a bone distractor
US9186180B2 (en) * 2013-03-08 2015-11-17 Stryker Trauma Sa Rose gear for external fixation clamp
WO2015065306A1 (en) * 2013-11-04 2015-05-07 Tosun Zekeriya Distractor to use in extension operations of hand and jaw bones
EP3125792B1 (en) 2014-03-28 2019-01-02 DePuy Synthes Products, Inc. Bone distraction system
AU2015343001B2 (en) * 2014-11-05 2019-01-24 Kls-Martin, L.P. Detachable actuator arm for distraction devices
KR200482206Y1 (ko) * 2015-04-09 2016-12-29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플레이트 분리형 골신장기
US9649132B1 (en) * 2015-04-20 2017-05-16 Donald W. Linck Bone distractor
US10030961B2 (en) * 2015-11-27 2018-07-24 General Electric Company Gap measuring device
TWI561206B (en) * 2016-04-01 2016-12-11 E Da Hospital A regulatable external fixator
US9622801B1 (en) 2016-04-28 2017-04-18 King Saud University Mandibular distractor device
WO2020113055A1 (en) * 2018-11-30 2020-06-04 The Methodist Hospital System Customizable helical telescoping internal craniofacial distractor
US20230263556A1 (en) * 2022-02-23 2023-08-24 DePuy Synthes Products, Inc. Three dimensional distracto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7994A1 (en) 2002-08-29 2004-05-06 Loubert Suddaby Mechanical bone tamping device for repair of osteoporotic bone fractures
US20050256526A1 (en) 2004-05-13 2005-11-17 Johnston Thomas S Bone distractor and method
US20060079902A1 (en) 2004-10-08 2006-04-13 Johnston Thomas S Bone distractor apparatus
US20070043370A1 (en) 2003-05-07 2007-02-22 Minoru Ueda Callus elongating/regener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05964B1 (es) 1995-04-11 1998-06-01 Plaza Fernandez Rafael De Expansor lineal para correccion progresiva de deformaciones craneofaciales.
US5885290A (en) 1996-12-09 1999-03-23 Guerrero; Cesar A. Intra-oral bone distraction device
US6113599A (en) 1997-06-04 2000-09-05 Kalpa Engineering, Inc. Apparatus for internal mandibular distraction
CN2354513Y (zh) 1997-10-08 1999-12-22 王洪武 多功能微型下颌骨骨折复位外固定器
DE19856062A1 (de) 1998-12-04 2000-06-15 Wittenstein Gmbh & Co Kg Distraktionsvorrichtung
US6423069B1 (en) * 1999-03-23 2002-07-23 Synthes (Usa) Orthopedic system having detachable bone anchors
US6383189B1 (en) 1999-09-13 2002-05-07 Brian Schumacher Driver tool for bone distractor with shaft extension
US6277124B1 (en) * 1999-10-27 2001-08-21 Synthes (Usa) Method and apparatus for ratcheting adjustment of bone segments
US7771427B2 (en) 1999-12-09 2010-08-10 Macropore Partially resorbable connective tissue distraction devices and techniques
US6293947B1 (en) 2000-01-28 2001-09-25 Daniel Buchbinder Distraction osteogenesis device and method
US6471706B1 (en) 2000-04-18 2002-10-29 Walter Lorenz Surgical, Inc. Resorbable bone distractor and method
DE20012536U1 (de) 2000-07-19 2001-01-11 Leibinger Medizintech Vorrichtung zur Distraktion von mindestens zwei Knochensegmenten
AR033840A1 (es) 2000-10-04 2004-01-07 Synthes Ag Un aparato ortopedico para modificar la distancia entre el maxilar y el cigoma de un paciente
US6972020B1 (en) 2001-06-01 2005-12-06 New York University Multi-directional internal distraction osteogenesis device
CN2497722Y (zh) * 2001-10-10 2002-07-03 张弘韬 可调式医用牵开器
WO2003084414A1 (de) 2002-04-09 2003-10-16 Medartis Ag Distraktor
US20030233093A1 (en) 2002-06-13 2003-12-18 Randall Moles Osteogenic distraction device
FR2867965B1 (fr) * 2004-03-23 2006-06-02 Gerard Scortecci Dispositif de distraction de l'os d'une machoire
US7875033B2 (en) 2004-07-19 2011-01-25 Synthes Usa, Llc Bone distraction apparatus
US20060058798A1 (en) * 2004-08-24 2006-03-16 Roman Shawn D Bone distractor with ratchet mechanism
US20070162045A1 (en) 2005-12-22 2007-07-12 Osteomed L.P. Curve linear and straight mandibular distractor with occlusion correction feature
CN200954122Y (zh) * 2006-09-15 2007-10-03 刘鸿箫 改进的胸骨牵开器
EP2512356B1 (en) 2009-09-24 2014-12-10 Synthes GmbH Distractor with removable footplat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7994A1 (en) 2002-08-29 2004-05-06 Loubert Suddaby Mechanical bone tamping device for repair of osteoporotic bone fractures
US20070043370A1 (en) 2003-05-07 2007-02-22 Minoru Ueda Callus elongating/regenerating device
US20050256526A1 (en) 2004-05-13 2005-11-17 Johnston Thomas S Bone distractor and method
US20060079902A1 (en) 2004-10-08 2006-04-13 Johnston Thomas S Bone distrac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78983A1 (en) 2014-12-25
WO2011038209A2 (en) 2011-03-31
CA2775147C (en) 2018-01-30
CN102695464B (zh) 2015-03-04
CN104665904A (zh) 2015-06-03
WO2011038209A3 (en) 2011-06-09
EP2512356B1 (en) 2014-12-10
CN102695464A (zh) 2012-09-26
CN104665904B (zh) 2019-01-18
EP2512356A2 (en) 2012-10-24
WO2011038209A8 (en) 2012-05-31
US20110125162A1 (en) 2011-05-26
CA2775147A1 (en) 2011-03-31
JP2013505784A (ja) 2013-02-21
JP5710622B2 (ja) 2015-04-30
JP2015110058A (ja) 2015-06-18
US8858566B2 (en) 2014-10-14
JP6131435B2 (ja) 2017-05-24
KR20120088726A (ko) 2012-08-08
US9271780B2 (en)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573B1 (ko) 가동 발판을 구비한 신연장치
JP4357123B2 (ja) 着脱自在な骨固定具を有する整形外科システム
US9693761B2 (en) Retractor device and method
US8961523B2 (en) Rod reduc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9301785B2 (en) Spinal buttress plate
JP2019521790A (ja) 骨アンカーアセンブリ及び関連する器具
KR20070041453A (ko) 후두부 고정 시스템 및 사용 방법
CN107205757B (zh) 用于牵引装置的可脱离的致动器臂
CN104490459A (zh) 寰枢椎脱位复位内固定装置
KR102108106B1 (ko) 골 신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