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035B1 - 교정 기능을 갖춘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정 기능을 갖춘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035B1
KR101692035B1 KR1020140067832A KR20140067832A KR101692035B1 KR 101692035 B1 KR101692035 B1 KR 101692035B1 KR 1020140067832 A KR1020140067832 A KR 1020140067832A KR 20140067832 A KR20140067832 A KR 20140067832A KR 101692035 B1 KR101692035 B1 KR 101692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battery pack
module
target value
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346A (ko
Inventor
송인이
이연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67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03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구비된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기능 검증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는, 배터리 팩에 구비된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기능을 검증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 설정값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모듈로부터 출력된 상기 설정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데이터를 읽어오는 판독 모듈; 상기 수신 데이터와 목표값을 비교하는 비교 모듈; 및 상기 비교 모듈이 수행한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모듈이 출력한 상기 설정값을 교정한 후 교정된 설정값을 상기 출력 모듈로 전송하는 교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정 기능을 갖춘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battery pack having function of calibration}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을 시뮬레이션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에 구비된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기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설정값을 자동으로 교정함으로써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기능 검증이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교정 기능을 갖춘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 구동력을 얻기 때문에, 엔진만을 이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연비가 뛰어나고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핵심적 부품인 차량용 배터리에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단일의 배터리로 사용되기 보다는 배터리 팩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배터리 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진 셀 집합체와 이러한 배터리 셀 내지 배터리 팩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BMU(Battery Management Unit) 등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배터리 팩에 연결된 부하(load)에 대한 전력 공급 제어, 전류 또는 전압 등의 전기적 파라미터 측정, 충방전 제어, 전압의 평활화(equalization) 제어, SOC(State Of Charge) 추정, SOH(State Of Health) 추정 등 이차 전지의 상태를 전반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러한 배터리 팩 관리 장치는, 배터리 팩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이므로 배터리 팩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배터리 팩 관리 장치가 배터리 팩 내에서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을 경우, 이차 전지의 상태를 제대로 모니터링하지 못하게 되어 외부 장치로 적절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보호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면,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 관리 장치가 올바르게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능 검증이 필요하다. 그런데, 현재, 배터리 팩 관리 장치가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배터리 팩 관리 장치 자체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기능 검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볼 수 있다.
기능 검증은, 검증 대상이 되는 장치가 올바르게 동작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므로 검증의 정확성이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때,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기능을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요구로부터 창안된 것으로서, 배터리 팩에 구비된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기능 검증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는, 배터리 팩에 구비된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기능을 검증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 설정값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모듈로부터 출력된 상기 설정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데이터를 읽어오는 판독 모듈; 상기 수신 데이터와 목표값을 비교하는 비교 모듈; 및 상기 비교 모듈이 수행한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모듈이 출력한 상기 설정값을 교정한 후 교정된 설정값을 상기 출력 모듈로 전송하는 교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교정 모듈로부터 교정된 설정값을 전송받으면, 교정된 설정값을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교정 모듈은,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substraction)에 해당하는 차이값 만큼을 상기 설정값에 가감하여 상기 설정값을 교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목표값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목표값을 이용하여 초기 설정값을 결정하는 초기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설정 모듈은, 상기 초기 설정값에 상기 목표값을 그대로 할당하거나, 추정되는 오차값인 추정 오차값 만큼을 상기 목표값에 가감한 결과값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교정 모듈은, 상기 비교 모듈의 비교 결과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값 이하인 경우, 교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교정 모듈은, 상기 비교 모듈의 비교 결과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목표값과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목표값과 상기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이 저장되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상기 목표값과 상기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은, 상기 목표값이 변경될 경우, 초기 설정값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설정값은,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은, 배터리 팩에 구비된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기능을 검증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으로서,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 설정값을 출력하는 출력 단계;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설정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데이터를 읽어오는 판독 단계; 상기 수신 데이터를 목표값과 비교하는 비교 단계; 및 상기 비교 단계에서 수행된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설정값을 교정하는 교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 단계에서 상기 설정값이 교정되면, 상기 출력 단계는, 교정된 설정값을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 출력하고, 판독 단계, 비교 단계 및 교정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교정 단계는,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substraction)에 해당하는 차이값 만큼을 상기 설정값에 가감하여 상기 설정값을 교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출력 단계 이전에, 상기 목표값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목표값을 이용하여 초기 설정값을 결정하는 초기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설정 단계는, 상기 초기 설정값에 상기 목표값을 그대로 할당하거나, 추정되는 오차값인 추정 오차값 만큼을 상기 목표값에 가감한 결과값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교정 단계는, 상기 비교 단계에서 수행된 비교 결과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차값 이하인 경우, 교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비교 단계에서 수행된 비교 결과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차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목표값과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을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상기 목표값과 상기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은, 상기 목표값이 변경될 경우, 초기 설정값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설정값은,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기능을 보다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팩 관리 장치가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로부터 출력된 설정값을 정확하게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가 수신한 데이터를 읽어온 다음, 출력된 설정값을 적절히 교정하여 목표로 하는 설정값이 배터리 팩 관리 장치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정확한 기능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교정 작업을 수 회 반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기증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동일한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교정 정도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교정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 기능 검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의 교정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 기능 검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에 대한 기능 검증 시스템은, 배터리 팩(100) 및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팩(100)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B) 및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팩(100)은, 충방전 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충방전 단자를 통해 외부의 부하(load, L)로 전력을 공급하거나(방전) 외부의 충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충전).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는, 배터리 팩(100)에 연결된 부하(L)에 대한 전력 공급 제어, 전류 또는 전압 등의 전기적 파라미터 측정 및 제어(충방전 전류, 전압 제어), 온도 또는 습도 등 배터리 팩(100)의 사용 환경 측정 및 제어, 전압의 평활화(equalization) 제어, SOC(State Of Charge) 추정, SOH(State Of Health) 추정 등 이차 전지의 상태를 전반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와 연결되어,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가 출력한 설정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가 출력한 설정값에 따라 셋팅(setting)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값은,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가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를 셋팅하고자 하는 다양한 파라미터값일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값은 주로 전류, 전압 등과 같은 전기적 파라미터값에 해당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 내지 배터리 팩(100)의 냉각 온도 등이 상기 파라미터에 해당할 수도 있다.
상기 설정값이 상기 배터리 팩(100)이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전력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서, 예컨대, 100W의 출력 전력을 외부 부하(L)로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100W에 해당하는 출력 전력을 설정값으로 설정하여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로부터 100W라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배터리 팩(100)이 외부로 100W의 출력 전력을 출력하도록 배터리 팩(100)을 제어한다.
그런데,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가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출력한 상기 설정값과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수신한 수신 데이터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와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를 연결하는 통신 라인(C)에 오차가 발생하거나 이외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설정값과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수신한 데이터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예에서,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100W의 설정값을 출력하였지만,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는 오차가 발생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3W의 오차가 발생하여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는 97W라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는 배터리 팩(100)이 외부로 목표로 한 100W가 아닌 97W의 출력 전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되므로,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의 정확한 기능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설정값과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인식하는 수신 데이터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의 기능을 보다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배터리 팩(100)에 구비된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와 연결되어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설정값을 출력하여,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를 상기 설정값으로 셋팅하고, 설정값을 변경하면서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의 기능을 검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설정값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상기 설정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로서,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수신한 수신 데이터를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부터 읽어올 수 있다. 그리고, 목표로 하는 설정값(이하, 목표값)에 도달하도록 적절한 교정 과정을 거쳐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목표값으로 셋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출력 모듈(220), 판독 모듈(230), 비교 모듈(240) 및 교정 모듈(250)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 모듈(220)은,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설정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 모듈(2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라인(C)을 통해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설정값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모듈(220)로부터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출력되는 설정값은, 최초로 출력되는 초기 설정값일 수도 있고, 교정 과정을 거친 교정된 설정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 모듈(220)로부터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설정값이 출력되면,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는, 출력된 상기 설정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판독 모듈(230)은,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부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수신한 수신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다. 즉, 상기 판독 모듈(230)은,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상기 출력 모듈(220)로부터 출력된 상기 설정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부터 상기 수신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독 모듈(230)은, 상기 통신 라인(C)과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상기 수신 데이터를 읽어오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와 상기 판독 모듈(230) 사이에는 상기 통신 라인(C)과는 구별되는 별도의 통신 채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은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일 수 있으며, 공지된 다양한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채널은 디지털 통신 채널인 것이 좋다. 디지털 통신 채널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판독 모듈(230)은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부터 상기 수신 데이터를 오차 없이 읽어오거나, 오차를 최소화하여 읽어올 수 있다.
상기 비교 모듈(240)은, 수신 데이터와 목표값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데이터는, 상기 판독 모듈(230)이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부터 읽어온 데이터로서, 상기 출력 모듈(220)이 출력한 설정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라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목표값은,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가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를 셋팅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설정값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목표값은 전술한 예를 참고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예에서,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의 기능 검증을 위해 배터리 팩(100)이 100W의 출력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가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를 셋팅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설정값인 100W가 목표값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비교 모듈(240)은, 이러한 목표값과 상기 판독 모듈(230)이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부터 읽어온 상기 수신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교 모듈(240)이 수행하는 비교는, 단순히 목표값과 수신 데이터의 대소를 비교하는 것일 수도 있고, 목표값과 수신 데이터의 대소를 비교하는 것뿐만 아니라 비교 후 큰 값에서 작은 값의 차이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교 모듈(240)은, 목표값과 수신 데이터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차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교정 모듈(250)은, 상기 출력 모듈(220)이 출력한 설정값을 교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정 모듈(250)은, 상기 비교 모듈(240)이 수행한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값을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정 모듈(250)은, 출력 모듈(220)이 출력한 설정값을 교정한 다음, 교정된 설정값을 상기 출력 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상기 출력 모듈(220)은, 교정된 설정값을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교정 방법의 예시는 아래와 같다.
일 예로, 상기 교정 모듈(250)은, 상기 비교 모듈(240)이 수행한 비교 결과를 이용하되, 단순히 목표값과 수신 데이터의 대소를 이용하여 설정값을 교정할 수 있다. 즉, 목표값이 수신 데이터보다 큰 경우, 미리 정해진 기준값만큼을 설정값에 합산하여 상기 설정값을 교정하고, 목표값이 수신 데이터보다 작은 경우, 미리 정해진 기준값 만큼을 설정값에서 차감하여 상기 교정값을 교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교정 모듈(250)은, 목표값과 수신 데이터의 차이(substraction)에 해당하는 차이값만큼을 설정값에 합산하거나 차감하여 설정값을 교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체적인 교정 방법은 하나의 예시로서, 상기 교정 모듈(250)은, 이외의 다양한 교정 방법으로 설정값을 교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 모듈(250)은, 상기 비교 모듈(240)의 비교 결과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값 이하인 경우, 교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교정 모듈(250)은, 상기 비교 모듈(240)의 비교 결과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목표값과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최후 교정값이란,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값 이하인 경우 상기 수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설정값에 해당한다. 바꾸어 말하면, 최후 교정값은, 교정 동작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출력 모듈(220)이 출력한 설정값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이러한 차이값, 즉 목표값과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을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모듈에는 목표값과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값, 즉 목표값과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은 목표값이 변경 내지 재설정될 경우, 초기 설정값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교정 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는, 초기 설정 모듈(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설정 모듈(210)은, 상기 설정값 중 초기 설정값을 결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상술한 출력 모듈(220)은,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설정값을 출력하는데, 상기 설정값은 크게 초기 설정값과 교정된 설정값으로 구분될 수 있다. 초기 설정값은, 특정 목표값에 대해 출력 모듈(220)이 첫번째로 출력하는 설정값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교정된 설정값은 초기 설정값이 출력된 이후에 교정 모듈(250)에 의해 적어도 1회 이상 교정된 설정값으로서, 초기 설정값이 아닌 설정값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설정 모듈(210)은, 초기 설정값을 결정함에 있어서, 목표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초기 설정 모듈(210)은,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사용자로부터 목표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초기 설정 모듈(210)은, 목표값을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받은 목표값을 이용하여 초기 설정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기 설정 모듈(210)은, 입력받은 목표값을 그대로 초기 설정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입력받은 목표값을 적절히 수정하여 초기 설정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초기 설정 모듈(210)은, 상기 초기 설정값에 상기 목표값을 그대로 할당하거나, 추정되는 오차값(이하, 추정 오차값) 만큼을 상기 목표 값에 미리 가감하여 가감한 결과값을 상기 초기 설정값에 할당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목표값과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이 상기 초기 설정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교정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의 교정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정값은, 배터리 팩(100)의 충전 전류이고, 목표값은, 3000mA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사용자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충전 전류량을 제대로 제어하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에 목표값인 3000mA를 입력한다. 상기 초기 설정 모듈(210)은, 3000mA의 목표값을 입력받고(S201) 입력받은 목표값을 이용하여 초기 설정값을 결정한다(S203). 본 실시예에서, 초기 설정 모듈(210)은, 목표값을 그대로 초기 설정값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초기 설정값은 3000mA가 된다.
출력 모듈(220)은, 초기 설정값인 3000mA에 해당하는 설정값을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출력한다(S205). 상기 출력 모듈(220)은, 3000mA에 해당하는 설정값을 출력하였으나, 통신 선로(C)의 오차 등에 의해,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는, 3012mA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S207)고 가정한다. 따라서, 판독 모듈(230)은,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부터 상기 수신 데이터인 3012mA를 읽어오게 된다(S209).
이어서, 비교 모듈(240)은, 상기 수신 데이터인 3012mA와 목표값인 3000mA를 비교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교 모듈(240)은,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를 산출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비교 모듈(240)은, 목표값인 3000mA에서 수신 데이터인 3012mA를 뺀 -12mA를 산출한다(S211).
다음으로, 교정 모듈(250)은, 상기 비교 모듈(240)이 수행한 비교 결과에 따른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값인 12mA를 설정값에 가감한다(S213). 즉, 목표값이 수신 데이터보다 작기 때문에 12mA만큼을 초기 설정값인 3000mA에서 차감한다. 그러면, 2988mA(3000mA - 12mA = 2988mA)가 교정된 설정값이 된다. 교정 모듈(250)은, 이렇게 교정된 설정값을 출력 모듈(220)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회의 교정이 완료된다.
출력 모듈(220)은, 교정 모듈(250)로부터 교정된 설정값을 전송받으면, 교정된 설정값을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출력한다(S215). 즉, 출력 모듈(220)은, 처음에는 초기 설정값을 출력하고, 이후부터는 교정된 설정값을 출력한다. 1회 교정이 완료된 후 출력 모듈(220)이 출력하는 설정값은 교정된 설정값으로서, 2988mA이다.
출력 모듈(220)이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2988mA의 설정값을 출력하면,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는 2988mA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S217). 직전의 전류 설정값 출력에서 12mA의 오차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2988mA를 출력하게 되면,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3000mA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다양한 간섭이 존재하므로, 반드시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3000mA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고 보장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출력 모듈(220)이 2988mA를 출력할 경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2997mA를 수신하다고 가정한다. 제1회의 교정을 통해 비록 오차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3mA의 오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교정 작업이 더 수행될 필요가 있다.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수신한 수신 데이터가 2997mA이므로, 판독 모듈(230)은,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부터 2997mA의 수신 데이터를 읽어오게 된다(S219).
이어서, 비교 모듈(240)은, 상기 수신 데이터인 2997mA와 목표값인 3000mA를 비교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교 모듈(240)은 목표값과 수신 데이터의 차이를 산출하므로, 목표값인 3000mA에서 수신 데이터인 2997mA를 뺀 +3mA를 산출한다(S221).
다음으로, 교정 모듈(250)은, 상기 비교 모듈(240)이 수행한 비교 결과에 따른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값인 3mA를 설정값에 가감한다. 즉, 목표값이 수신 데이터보다 크기 때문에 3mA만큼을 제1회 교정된 설정값인 2988mA에 합산한다. 그러면, 2991mA(2988mA + 3mA = 2991mA)가 교정된 설정값이 된다(S223). 교정 모듈(250)은, 이렇게 교정된 설정값을 출력 모듈(220)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2회의 교정이 완료된다.
이러한 교정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에서 수신하는 수신 데이터가 목표값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목표값과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수신하는 수신 데이터가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이 좋으나, 양자가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교정작업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리소스가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 모듈(240)의 비교 결과 목표값과 수신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값 이하인 경우, 교정 모듈(250)은 더 이상 교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출력 모듈(220)은, 2회 교정에 따라 교정된 설정값인 2991mA를 교정 모듈(250)로부터 전송받은 다음 교정된 설정값인 2991mA를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출력한다(S225).
출력 모듈(220)이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2991mA의 설정값을 출력하면,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는 2991mA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S227). 본 실시예에서 출력 모듈(220)이 2991mA를 출력할 경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2999.9mA를 수신하다고 가정한다.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수신한 수신 데이터가 2999.9mA이므로, 판독 모듈(230)은,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부터 2999.9mA의 수신 데이터를 읽어오게 된다(S229).
이어서, 비교 모듈(240)은, 상기 수신 데이터인 2999.9mA와 목표값인 3000mA를 비교한다(S231). 본 실시예에서, 비교 모듈(240)은 목표값과 수신 데이터의 차이를 산출하므로, 목표값인 3000mA에서 수신 데이터인 2999.9mA를 뺀 0.1mA를 산출한다.
제2회의 교정을 통해 비록 오차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0.1mA의 오차가 존재한다. 그러나, 0.1mA의 오차는 충분히 작은값으로 고려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값이 0.2mA라고 가정하면, 0.1mA는 0.2mA 이하의 값으로서, 오차 범위내의 값에 해당한다. 따라서, 교정 모듈(250)은, 더 이상 교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S233).
그리고, 상기 교정 모듈(250)은, 목표값(3000mA)과 수신 데이터(2999.9mA)의 차이(0.1mA)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값(0.2mA) 이하이므로(0.1mA ≤ 0.2mA), 최후 교정값(2991mA)과 목표값(3000mA)의 차이값인 9mA(2991mA - 3000mA= -9mA)를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S235). 이때, 이러한 차이값과 설정값으로 사용된 파라미터가 출력 전류라는 것을 동시에 저장하는 것이 좋다.
한편, 이러한 차이값은, 목표값이 변경될 경우에 초기 설정값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차이값이 상술한 추정 오차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충전 전류량을 제대로 제어하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3000mA가 아닌 2000mA를 목표값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목표값인 2000mA를 그대로 초기 설정값에 할당하게 되면, 교정 작업이 여러 번 수행될 것이다. 따라서, 종전의 교정 작업 결과에 의해 도출된 목표값과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재설정된 목표값을 보정한 결과를 초기 설정값으로 할당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예에서, 차이값은 -9mA이므로, 초기 설정 모듈(210)은, 재설정된 2000mA에 -9mA를 가감한 1991mA를 초기 설정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전의 교정 작업의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교정 작업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차이값은 다양한 파라미터 별로 구별되는 것이 좋다. 즉, 전류에 대해서는 전류 별로, 전압에 대해서는 전압 별로, 온도에 대해서는 온도 별로 각각 구별해서 사용되는 것이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서,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상술한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하면, 먼저 목표값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목표값을 이용하여 초기 설정값을 결정한다(S310). 이때 목표값은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사용자가 입력한 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기 설정 단계(S310)는, 입력받은 목표값을 그대로 초기 설정값에 할당하거나, 추정 오차값 만큼을 상기 목표값에 가감한 결과값을 초기 설정값에 할당할 수 있다.
이어서,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설정값(초기 설정값)을 출력한다(S320). 다음으로,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출력 단계(S320)에서 출력된 상기 설정값(초기 설정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읽어온다(S330). 그 다음으로, 상기 수신 데이터와 목표값을 비교한다(S340). 그 다음으로, 상기 비교 단계(S340)에서 수행된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출력 단계에서 출력된 설정값(초기 설정값)을 교정한다(S350). 구체적인 교정 방법의 일 예로는, 목표값과 수신 데이터의 차이에 해당하는 차이값 만큼을 설정값(초기 설정값)에 가감하여 설정값(초기 설정값)을 교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교정 과정을 거친 후 교정된 설정값을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 출력한다(S320).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된 설정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로부터 상기 수신 데이터를 읽어온다(S330). 그리고, 수신 데이터와 목표값을 비교하고, 비교 단계에서 수행된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된 설정값을 교정한다.
이러한 출력 단계, 판독 단계, 교정 단계가 반복됨으로써, 배터리 팩 관리 장치(110)가 목표값에 근접하는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비교 단계에서 수행된 비교 결과 목표값과 수신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차값 이하인 경우, 교정 단계는 더 이상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S360). 그리고, 목표값과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을 저장할 수 있다(S370). 그리고, 상기 저장 단계(S370)에서 저장된 목표값과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은, 목표값이 변경될 경우, 초기 설정값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비교 모듈', '교정 모듈' 등과 같이 '모듈'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배터리 팩
110: 배터리 팩 관리 장치
B: 배터리 셀
200: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210: 초기 설정 모듈
220: 출력 모듈
230: 판독 모듈
240: 비교 모듈
250: 교정 모듈

Claims (19)

  1. 배터리 팩에 구비된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기능을 검증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목표값을 입력받고, 상기 목표값을 이용하여 초기 설정값을 결정하는 초기 설정 모듈;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 상기 초기 설정값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모듈로부터 출력된 상기 초기 설정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데이터를 읽어오는 판독 모듈;
    상기 수신 데이터와 상기 목표값을 비교하는 비교 모듈; 및
    상기 비교 모듈이 수행한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모듈이 출력한 상기 초기 설정값을 교정한 후 교정된 설정값을 상기 출력 모듈로 전송하는 교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초기 설정 모듈은, 상기 초기 설정값에 상기 목표값을 그대로 할당하거나, 추정되는 오차값인 추정 오차값만큼을 상기 목표값에 가감한 결과값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교정 모듈로부터 교정된 설정값을 전송받으면, 교정된 설정값을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모듈은,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substraction)에 해당하는 차이값 만큼을 상기 초기 설정값에 가감하여 상기 초기 설정값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모듈은, 상기 비교 모듈의 비교 결과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값 이하인 경우, 교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모듈은, 상기 비교 모듈의 비교 결과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오차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목표값과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값과 상기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이 저장되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상기 목표값과 상기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은, 상기 목표값이 변경될 경우, 초기 설정값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설정값은,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11. 배터리 팩에 구비된 배터리 팩 관리 장치의 기능을 검증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목표값을 입력받고, 상기 목표값을 이용하여 초기 설정값을 결정하는 초기 설정 단계;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 상기 초기 설정값을 출력하는 출력 단계;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초기 설정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데이터를 읽어오는 판독 단계;
    상기 수신 데이터를 목표값과 비교하는 비교 단계; 및
    상기 비교 단계에서 수행된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초기 설정값을 교정하는 교정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초기 설정 단계는, 상기 초기 설정값에 상기 목표값을 그대로 할당하거나, 추정되는 오차값인 추정 오차값 만큼을 상기 목표값에 가감한 결과값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단계에서 상기 초기 설정값이 교정되면, 상기 출력 단계는, 교정된 설정값을 상기 배터리 팩 관리 장치로 출력하고, 판독 단계, 비교 단계 및 교정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단계는,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substraction)에 해당하는 차이값 만큼을 상기 초기 설정값에 가감하여 상기 초기 설정값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단계는, 상기 비교 단계에서 수행된 비교 결과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차값 이하인 경우, 교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에서 수행된 비교 결과 상기 목표값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차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목표값과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을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상기 목표값과 상기 최후 교정값의 차이값은, 상기 목표값이 변경될 경우, 초기 설정값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설정값은,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140067832A 2014-06-03 2014-06-03 교정 기능을 갖춘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692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832A KR101692035B1 (ko) 2014-06-03 2014-06-03 교정 기능을 갖춘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832A KR101692035B1 (ko) 2014-06-03 2014-06-03 교정 기능을 갖춘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346A KR20150139346A (ko) 2015-12-11
KR101692035B1 true KR101692035B1 (ko) 2017-01-03

Family

ID=5502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832A KR101692035B1 (ko) 2014-06-03 2014-06-03 교정 기능을 갖춘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832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관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0623A1 (de) * 2017-10-25 2019-05-15 Seibt Kristl & Co Gmbh Vorrichtung zum Kalibrieren eines Batteriesimulato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932B1 (ko) * 2009-09-17 201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30066283A (ko) * 2011-12-12 2013-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832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346A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02226B (zh) 电池管理装置和方法
CN108574317B (zh) 充放电控制装置以及蓄电系统
KR101486470B1 (ko) 배터리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US8965722B2 (en) Apparatus for calculating residual capacity of secondary battery
US10527656B2 (en) Method for preventing battery overcharge and overdischarge and increasing battery efficiency
US10718814B2 (en) Batter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782175A (zh) 电动汽车电池容量校正测试方法及电子设备
KR102333330B1 (ko) 에너지 축적기 에뮬레이터 및 에너지 축적기 에뮬레이터의 에뮬레이션을 위한 방법
CN104937431A (zh) 充电率估计装置及充电率估计方法
JP6958965B2 (ja) バッテリーsoc推定装置及び方法
Aizpuru et al. Passive balancing design for Li-ion battery packs based on single cell experimental tests for a CCCV charging mode
EP3742539A1 (en) Battery control method and battery control device
KR102448627B1 (ko) 차량용 배터리 충전 상태(soc) 추정 장치 및 방법
Soto et al. Analysis of the main battery characterization techniques and experimental comparison of commercial 18650 Li-ion cells
KR101664246B1 (ko) 배터리 랙에 포함된 전압 센서 보정 방법
CN105745811A (zh) 用于校正电池soc的系统和方法
US20220034972A1 (en) Test equipment and test method of battery management system
KR20200102923A (ko) 배터리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US20230168292A1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692035B1 (ko) 교정 기능을 갖춘 배터리 팩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037149B1 (ko) 온도 별 저항 값을 이용한 전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23091A (ko) 배터리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00025495A (ko) 이차 전지의 충전 시간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69384A (ko) 배터리 모듈 시뮬레이션 장치
KR20160081249A (ko) 차량의 배터리 최대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