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014B1 - Hook connection device for extended range operation of crane and cran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ook connection device for extended range operation of crane and cran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014B1
KR101692014B1 KR1020140107956A KR20140107956A KR101692014B1 KR 101692014 B1 KR101692014 B1 KR 101692014B1 KR 1020140107956 A KR1020140107956 A KR 1020140107956A KR 20140107956 A KR20140107956 A KR 20140107956A KR 101692014 B1 KR101692014 B1 KR 101692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rane
working range
connection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2159A (en
Inventor
김호
Original Assignee
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 filed Critical 김호
Priority to KR1020140107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014B1/en
Publication of KR20160022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1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0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레인에 구비된 메인 후크에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연장시키는 후크 연결장치로서, 상기 메인 후크의 하부에서 가로 배치되며, 하향 연장된 연장 후크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과 상기 메인 후크의 선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삼각형상을 이루어 연결되되,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메인 후크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 hook connecting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and a crane including the hook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ok connecting device connected to a main hook provided in a crane for extending a working range of the crane, comprising: a main body hook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hook, ;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front end of the main hook;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n a triangular shape and connecting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ortion with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the hook connecting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can do.

Description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HOOK CONNECTION DEVICE FOR EXTENDED RANGE OPERATION OF CRANE AND CRANE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k connecting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a crane, and a crane including the hook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hook connecting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a crane and a crane including the hook connecting device.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및 좌우로, 또는 수평 또는 선회하는 방향으로 중량물을 운반하는 기계 또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Generally, a crane is a machine or machine that uses a power to han- dle a heavy object and transports it in up, down, left and right, or in a horizontal or pivoting direction.

이러한 크레인은 그 용도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지만, 그 구조, 형상,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고 있다. These cranes ar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itable for their use, but they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ir structures, shapes and uses.

예를 들면, 천장크레인, 지브 크레인, 다리형 크레인, 케이블 크레인 등이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크레인은 중량물을 운반하기 때문에 일단 사고가 발생하면 중대재해로 이어질 위험성이 커서 안전성의 문제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For example, ceiling cranes, jib cranes, leg cranes, and cable cranes are introduced. And since these cranes transport heavy objects, once the accident occurs, there is a great danger of leading to a serious disaster, so safety is an important issue.

한편, 이와 같은 크레인에는 대게 후크(hook)라는 연결 고리가 구비되는데, 중량물을 후크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로 설정된 위치까지 중량물을 옮기는 작업이 실시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 crane such as a hook is usually provided with a hook, and a heavy object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heavy object is hooked on the hook.

다만, 이와 같은 방식에 의존함에 따라, 상기 후크가 크레인 내에서 최대한 먼 거리상에 위치할 경우에도 작업 범위에 한계가 있었으며, 특히 작업장의 벽면에 근접한 위치로 중량물을 옮기거나 해당 위치에서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경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However, depending on such a method, the working range is limited even when the hook is located as far as possible in the crane. In particular, when the hook is moved to a position close to the wall surface of the workplace,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the case.

따라서, 기존의 크레인 내에 구비된 후크를 활용하여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extend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by utilizing the hook provided in the existing cran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700390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7-7003908

본 발명은 크레인 내의 후크에 간편하게 착탈 결합시켜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연장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ok connecting device and a crane including the hook connecting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a crane that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o and from a hook in a crane to extend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레인에 구비된 메인 후크에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연장시키는 후크 연결장치로서, 상기 메인 후크의 하부에서 가로 배치되며, 하향 연장된 연장 후크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과 상기 메인 후크의 선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삼각형상을 이루어 연결되되,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메인 후크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ok connecting device connected to a main hook provided in a crane for extending a working range of the crane, comprising: a main body hook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hook, ;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front end of the main hook;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n a triangular shape and connecting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ortion with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the hook connecting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can do.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 홈이 마련된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단을 통해 상기 연장 후크가 하향 돌출하여 결합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part may include guide rails provided with guide gro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And a moving block formed to be positionally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coupled with the extension hook protruding downward through a lower end thereof.

제1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되며 제1힌지를 구비하는 제1고정몸체; 일단부는 상기 제1고정몸체에 연결되되 상기 제1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는 끝단에 개방부위를 갖는 제1고리를 구비하되, 상기 제1고리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도록 탄성 지지된 제1고정편을 포함하는 제1고정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제1고리의 개방부위를 통해 삽입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후크의 선단 고리 쪽에 걸림 고정되는 제1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includes a first fixing body fixed to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art and having a first hinge; Wherein the first hinge has a first ring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body and rotatab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hinge and the other end having an opening at an end thereof, A first fixing member including a first fixing member; And a first support member inserted and fixed at one end thereof through the opening portion of the first hook,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being engaged with the end hook of the main hook.

상기 제2연결부는, 일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메인 후크의 후단에 아래에서 위로 연결되어 상단을 통해 핀 고정되어 직결되어 상기 타단부는 상기 메인 후크의 후단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며, 상기 일단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from the bottom to the top end of the main hook a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so tha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And a reinforcing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ne en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며 제2힌지를 구비하는 제2고정몸체; 일단부는 상기 제2고정몸체에 연결되되 상기 제2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는 끝단에 개방부위를 갖는 제2고리를 구비하되, 상기 제2고리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도록 탄성 지지된 제2고정편을 포함하는 제2고정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제2고리의 개방부위를 통해 삽입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후크의 후단에 마련된 후크 연결부에 착탈 체결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fixing body fix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second hinge; A second hing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body and rotatably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hinge and the other end having a second open end at an end thereof, A second fixing member including a second fixing piece; And a second support member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o a hook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main hook,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at one end thereof through the opening portion of the second loop.

상기 후크 연결부는, 상기 메인 후크의 후단에서 복수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되거나 분리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타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단 개방부위로부터 하단에서 설정높이까지 절개 형성되는 걸림공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hook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body which is fixed or separated from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by using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To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후크 연결부는, 상기 연결몸체의 상단 개방부위를 개폐하도록 탄성 지지된 제3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ok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third fixing piece elastically supported to open and close an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상기 연결몸체와 상기 메인 후크의 후단 사이에 접촉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몸체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 fasten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body and being fixed by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body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상기 걸림공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지게 연결되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reinforcing portion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hole and slantingly connected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상기 연장 후크에 매달린 중량물의 무게를 고려하여 상기 몸체부의 처짐을 보상하는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상기 연장 후크의 위치에 대응하여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And a counterweight for compensating deflection of the body portion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weight hanging from the extension hook, wherein the counterweight can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hook.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ane including a hook connecting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크레인 내의 후크에 간편하게 착탈 결합시켜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range of the crane can be extended by easily attaching and detaching it to the hook in the crane.

또한, 크레인 내의 후크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자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tability of work can be ensured by preventing free detachment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hook in a crane.

또한, 후크 연결장치에 구비된 연장 후크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hook provided in the hook connecting device can be changed.

또한, 후크 연결장치의 몸체부의 웨이트 밸런스를 고려하여 중량물에 의한 무게 처짐을 보상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eight deflection due to a heavy object can be compensated by considering the weight balan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hook connec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몸체부 내에 가이드레일 및 이동블록이 구성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A, B, C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몸체부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implified illustration of a hook connection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a cra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mplified illustration of a hook connection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a cra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ffect of extending a working range of a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guide rail and a moving block are formed in a body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to 7 are enlarged views of regions A, B, and C of Fig. 1; Fig.
8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various shapes of a body por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hook connecting device and a crane including the hook connecting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implified view of a hook connection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a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크레인(1)에 구비된 메인 후크(101)에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1)의 작업범위를 연장시키는 후크 연결장치(100)로서, 몸체부(110), 제1연결부(120), 제2연결부(130), 그리고 후크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hook connecting apparatus 100 connected to a main hook 101 provided in a crane 1 and extending a working range of the crane 1 includes a body 110, 120, a second connection part 130, and a hook connection part 140.

크레인(1)의 끝단에 메인 케이블(3)이 마련되고, 메인 케이블(3)의 하단에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5)가 고정되며, 이 연결구(5)를 통해 후크(이하, 메인 후크라 함)(101)가 고정될 수 있다. A main cable 3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rane 1 and various types of connection ports 5 ar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cable 3. A hook ) 101 may be fixed.

상기 메인 후크(101)는 상기 크레인(1)의 끝단까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크레인(1)의 구조 상 메인 후크(101)가 도달하지 못하는 영역, 예를 들면 작업장의 벽면에 근접한 구석장소 등에 중량물을 놓거나 해당 장소에서 중량물을 들어올리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The main hook 101 may be movable to an end of the crane 1. However, it is difficult to place a heavy object in a region where the main hook 101 can not reach the structure of the crane 1, for example, a corner near a wall surface of a workplace, or to lift a heavy object at the plac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후크(101)에 연결시킬 수 있는 몸체부(110), 제1, 2연결부(120, 130), 그리고 후크 연결부(140)를 포함하는 후크 연결장치(100)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연장시킬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connecting device 100 including the body 110,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rts 120 and 130, and the hook connecting part 140,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hook 101, So that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can be extended.

몸체부(110)는 상기 메인 후크(101)의 하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로(즉, 가로 방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에는 하향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또 하나의 후크(이하, 연결 후크라 함)(111)가 구비될 수 있다.The body 110 may be disposed laterally (i.e., transverse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hook 101. Further, another hoo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necting hook) 111 protruding downward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상기 몸체부(110)는 구조적으로 강성이 확보될 수 있어야 하므로, 고강도의 강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형상은 도시된 형태에 제한될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되어 이용될 수 있다. Since the body portion 110 should be structurally rigid, a high strength steel or the like may be used, and various materials may be used. Further, the shape of the body 110 need not be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 and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제1연결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일측(즉, 도 1의 좌측)과 상기 메인 후크(101)의 선단(즉, 고리가 형성된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serves to connect betwee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110 (i.e., the left side in FIG. 1) and a front end of the main hook 101 (i.e., a looped end).

제2연결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제1연결부(120)와 삼각형상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타측(즉, 도 1의 우측)과 상기 메인 후크(101)의 후단(더욱 구체적으로는 후크 연결부(140)를 가리킴)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연결부(130)는 핀(pin) 형태의 강재이거나, 바(bar) 형태의 강재를 이용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11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n a triangular shape. 1)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101 (more specifically, the hook connecting portion 140).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may be a pin-shaped steel or a bar-shaped steel.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제1, 2연결부(120, 130)가 메인 후크(101)에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 끝단에 마련된 연장 후크(111)의 작업 범위는 메인 후크(101)의 작업 범위보다 길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120 and 130 are firmly fixed to the main hook 101, the working range of the extending hook 111 provided at the end of the body portion 110 is Can be longer than the working range of the main hook 101.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simplified view of a hook connection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a cra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타측과 메인 후크(101)의 후단 사이에 제2연결부(130)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2연결부(130)가 바 형태의 강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is vertically connected between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art 110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101.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is formed of a bar-shaped steel.

즉, 상기 제2연결부(130)의 일단부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메인 후크(101)의 후단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연결되어 상하로 체결되는 핀에 의해 고정되어 직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연결부(130)의 타단부는 상기 메인 후크(101)의 후단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2연결부(130)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부(110))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보강부재(R)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강부재(R)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is fixed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hook 101 through a rear end of the main hook 101, And may be fixed and directly connected by a fastener. Thu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can be vertically detachable through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101. In order to secure structural rigidity, a reinforcing member R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 and the body portion 110. The reinforcing member R May have various shapes.

이 경우, 상기 제2연결부(130)와 상기 메인 후크(101)가 연장 후크(111)에 매달린 중량물의 무게하중을 대부분 지탱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2연결부(130)의 길이는 비교적 짧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굵기는 더욱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main hook 101 can support most of the weight of the weight suspended from the extension hook 111. For this purpose,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0 is relatively short ,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s further increas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ffect of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a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기존의 메인 후크(101)가 도달할 수 있는 작업범위가 L이라고 가정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연결장치(100)를 이용할 경우 연장 후크(111)에 의해 L'의 거리만큼 작업범위가 더욱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is assumed that a working range in which a conventional main hook 101 can reach is L, when using the hook conn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that the working range is further extended by the distance L 'can be obtained.

한편, 상기 연장 후크(111)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hook 111 can be provided in a position-adjustable form.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에 가이드레일(11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이동 가능한 형태의 이동블록(11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115)의 하단을 통해 상기 연장 후크(111)가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guide rail 113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110, and a moving block 115 may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113. And the extension hook 111 may be coupl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moving block 115. [

상기 가이드레일(113)은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의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이동블록(115)의 상단은 직선 주행만이 가능한 상태로 구속되어 상기 연장 후크(111)의 위치 조정이 가능해 질 수 있다. The guide rail 113 may include a linear guide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The upper end of the movement block 115 may be linearly movabl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hook 111 can be adjusted.

한편, 제1연결부(120)는 제1고정몸체(121), 제1고정부재(123) 및 제1지지부재(125)를 포함한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ncludes a first fixing body 121, a first fixing member 123, and a first supporting member 125.

그리고 제2연결부(130)는 제2고정몸체(131), 제2고정부재(133) 및 제2지지부재(135)를 포함한다.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 includes a second fixing body 131, a second fixing member 133, and a second supporting member 135.

다음으로, 상기 제1연결부, 제2연결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연결부(120)의 바람직한 예시적 형태가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A in FIG. 1, and a preferable exemplary form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s specifically show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결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일측과 메인 후크의 선단을 연결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connects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110 with a front end of the main hook.

이를 위해, 상기 제1연결부(120)는 제1고정몸체(121), 제1고정부재(123) 및 제1지지부재(125)를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ncludes a first fixing body 121, a first fixing member 123, and a first supporting member 125. The first fixing body 121, the first fixing member 123,

제1고정몸체(121)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힌지(121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body 121 may be fixed to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110. And a first hinge 121a.

제1고정부재(123)는 상기 제1고정몸체(121)에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힌지(121a)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fixing member 12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body 121 at one end thereof.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be rotatab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hinge 121a.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123)의 타단부 끝단에는 개방부위를 갖는 제1고리(12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리(124)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도록 탄성 지지된 제1고정편(124a)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ixing member 123 may have a first ring 124 having an opening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first fixing piece 124a elastically support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portion of the first loop 124. [

제1지지부재(125)는 상기 제1고리(124)의 개방부위를 통해 일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지지부재(125)의 타단부는 메인 후크의 선단 고리 쪽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지지부재(125)는 와이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양한 형태의 강재가 이용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member 125 may be inserted and fixed at one end through the opening of the first ring 124.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25 may be engaged with the end hook of the main hook. For example, a wire or the like may be used for the first support member 125, and various types of steels may be used.

이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125)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 길이방향 일측에 손쉽게 고정될 수 있으며, 작업 후 손쉽게 분리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irst support member 125 can be easily fixed to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and is easily separated and disassembled after the operation.

도 6은 도 1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연결부(130)의 바람직한 예시적 형태가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B in FIG. 1, and a preferable exemplary form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 is specifically show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연결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타측과 메인 후크의 후단을 연결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connects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art 110 with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이를 위해, 상기 제2연결부(130)는 제2고정몸체(131), 제2고정부재(133) 및 제2지지부재(135)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includes a second fixing body 131, a second fixing member 133, and a second supporting member 135.

제2고정몸체(131)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힌지(131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fixing body 131 may be fix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body 110. And a second hinge 131a.

제2고정부재(133)는 상기 제2고정몸체(131)에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힌지(131a)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end of the second fixing member 13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body 13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be rotatably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hinge 131a.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재(133)의 타단부 끝단에는 개방부위를 갖는 제2고리(13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리(134)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도록 탄성 지지된 제2고정편(134a)을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loop 134 having an open portion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xing member 133. And a second fixing piece 134a elastically support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portion of the second loop 134. [

제2지지부재(135)는 상기 제2고리(134)의 개방부위를 통해 일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2지지부재(135)의 타단부는 메인 후크의 후단, 특히 후크 연결부에 착탈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member 135 may be inserted and fixed at one end through the opening of the second ring 134.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35 can be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in particular, to the hook connection portion in a detachable manner.

이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135)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 길이방향 타측에 손쉽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제1, 2지지부재(125, 13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상을 이루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135 can be easily fixed to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and the body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125, 135 can be stably connected in a tri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제2지지부재(135)의 타단부는 메인 후크의 후단, 특히 후크 연결부에 착탈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데,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Meanwhil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35 may be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in particular, to the hook connection portion in a detachable manner. Referring to FIG.

도 7은 도 1의 C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후크 연결부(140)의 바람직한 예시적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C in FIG. 1, showing a preferred exemplary shape of the hook connecting portion 140. FIG.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후크(101)의 선단 고리 쪽에는 제1연결부의 제1지지부재(125)가 걸림 고정되고, 이와 달리 제2연결부의 제2지지부재(135)는 상기 메인 후크(101)의 후단에 마련된 후크 연결부(140)를 통해 착탈 고정될 수 있다. 7, the first support member 125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hook 10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35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fastened to the main hook And can be detached and fixed through a hook connecting portion 140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hook 101.

후크 연결부(140)는 상기 메인 후크(101)의 후단에서 복수의 체결부재(145)(예를 들면, 고정 볼트 등)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미사용 시 해체되어 분리 가능한 연결몸체(141)를 포함한다.The hook connecting portion 140 may b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101 using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45 (for example, fixing bolts or the like) .

그리고, 상기 연결몸체(141)는 상기 제2지지부재(135)의 타단부가 삽입 고정되기 위해, 상단 개방부위로부터 하단에서 설정높이까지 절개 형성된 걸림공(142)을 포함한다.The connecting body 141 includes a locking hole 14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135 to be inserted and fixed from the lower end to a predetermined height for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135 to be inserted and fixed.

그리고 상기 걸림공(142)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제2지지부재(135)의 타단부가 상기 걸림공(142)의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연결몸체(141)의 상단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제3고정편(143)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35 inserted inward through the locking hole 142 from slipping out of the locking hole 142, And a third fixing piece 143 for fixing the second fixing part.

예컨대, 상기 제3고정편(143)은 소정의 탄성력 제공수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축(143a)을 기준으로 길이 끝단을 아래로 가압할 경우, 소정 범위 회동하여 상기 걸림공(142)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가압한 힘을 제거할 경우 원 위치로 복원 회동하여 상기 걸림공(142)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걸림공(142) 내부에 삽입된 제2지지부재(135)를 고정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rd fixing piece 143 may be supported by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providing means. As a result, when the end of the length is press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haft 143a, the engaging hole 142 can be opened by rotating 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moved, the locking hole 142 can be closed by restoring to the original position. Thus, the second support member 135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142 can be fixed.

한편, 상기 연결몸체(141)와 상기 메인 후크(101)의 후단 사이에는 체결부(141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coupling part 141b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body 141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101. [

상기 체결부(141b)는 상기 연결몸체(141)와 상기 메인 후크(101)의 후단 사이에 접촉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145)에 의해 상기 메인 후크의 후단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ortion 141b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body 141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101 and may b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by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45. [

또한, 상기 연결몸체(141)에는 상기 걸림공(142)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141b)의 반대편에 형성된 보강부(14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ody 141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ortion 141a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141b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hole 142. [

예컨대, 상기 보강부(141a)는 상기 연결몸체(141)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는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공(142)의 하단에 연결된 제2지지부재(135)로부터 인장하중이 발생될 때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위를 보강해 줄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inforcing portion 141a may have an inclined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141. Accordingly, when a tensile load is generated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135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atching hole 142, the structurally weak portion can be reinforc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몸체부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에 도시된 몸체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의 길이에 대해 두께가 동일한 빔 형상의 부재가 이용된 모습을 보여준다.The body 110 shown in FIG. 8 (a) shows a state in which a beam-shaped member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length of the body is used as described above.

이와 달리, 도 8의 (b)에 도시된 몸체부(110)에는 연장 후크(111)가 위치 고정된 반대편에 카운터웨이트(153)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연장 후크(111)에 매달린 중량물의 무게를 고려하여, 몸체부(110)의 처짐을 보상하여 보다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안착 핀(151)을 설치하여 이를 통해 적정 무게의 카운터웨이터(153)를 설치할 수 있다. In contrast, the body 110 shown in FIG. 8 (b) shows a state where the extension hook 111 is fixed and the counterweight 153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This is to compensate for the deflection of the body 110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hanging hook 111, so as to perform a more stable operation. A separate seat pin 151 is installed, A waiter 153 may be provided.

한편, 도 8의 (c)에 도시된 몸체부(110)는 길이에 대해 두께가 달라지는 빔 형상의 부재를 이용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경우, 연장 후크(111)의 위치를 고려하여 몸체부(110)의 반대편 중량을 키운 형태로서, 도시된 형태와 달리 조금씩 그 형상 및 구조를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body 110 shown in FIG. 8 (c) uses a beam-shaped member whose thickness varies with respect to its length. In this case, the weight of the opposite side of the body 110 is increas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hook 111, and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body 110 can be changed little by littl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크레인 내의 후크에 간편하게 착탈 결합시켜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o the hook in the crane, thereby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또한, 크레인 내의 후크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자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tability of work can be ensured by preventing free detachment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hook in a crane.

또한, 후크 연결장치에 구비된 연장 후크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hook provided in the hook connecting device can be changed.

또한, 후크 연결장치의 몸체부의 웨이트 밸런스를 고려하여 중량물에 의한 무게 처짐을 보상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eight deflection due to a heavy object can be compensated by considering the weight balan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hook connecting device.

지금까지 본 발명인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a hook connecting device and a crane including the hook connecting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할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크레인
3: 메인 케이블
5: 연결구
100: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
101: 후크
110: 몸체부
111: 연장 후크
113: 가이드레일
115: 이동블록
120: 제1연결부
121: 제1고정몸체
121a: 제1힌지
123: 제1고정부재
124: 제1고리
124a: 제1고정편
125: 제1지지부재
130: 제2연결부
131: 제2고정몸체
131a: 제2힌지
133: 제2고정부재
134: 제2고리
134a: 제2고정편
135: 제2지지부재
140: 후크 연결부
141: 연결몸체
141a: 보강부
141b: 체결부
142: 걸림공
143: 제3고정편
145: 체결부재
151: 안착 핀
153: 카운터웨이트
1: Crane
3: Main cable
5: Connector
100: hook connection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101: Hook
110:
111: Extension hook
113: Guide rail
115: Moving block
120: first connection part
121: first fixing body
121a: first hinge
123: first fixing member
124: 1st ring
124a: first fixing piece
125: first supporting member
130: second connection portion
131: second fixing body
131a: second hinge
133: second fixing member
134: second ring
134a: second fixing piece
135: second supporting member
140: hook connection
141: Connecting body
141a:
141b:
142:
143: third fixing piece
145: fastening member
151:
153: Counterweight

Claims (10)

크레인에 구비된 메인 후크에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연장시키는 후크 연결장치로서,
상기 메인 후크의 하부에서 가로 배치되며, 하향 연장된 연장 후크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과 상기 메인 후크의 선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삼각형상을 이루어 연결되되,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메인 후크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일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 길이방향 타측에서 상기 몸체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메인 후크의 후단에 마련된 후크 연결부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착탈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 사이에는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다수의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
A hook connecting device connected to a main hook provided on a crane to extend a working range of the crane,
A body portion horizontally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hook and having a downwardly extending extension hook;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front end of the main hook; And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in a triangular shape and connecting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art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ok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hook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are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ortions so that the cross-
Hook connection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 홈이 마련된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단을 통해 상기 연장 후크가 하향 돌출하여 결합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A guide rail provided with guide gro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nd a moving block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coupled with the extension hook protruding downward through a lower end thereof,
Hook connection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제1항에 있어서,
제1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되며 제1힌지를 구비하는 제1고정몸체;
일단부는 상기 제1고정몸체에 연결되되 상기 제1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는 끝단에 개방부위를 갖는 제1고리를 구비하되, 상기 제1고리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도록 탄성 지지된 제1고정편을 포함하는 제1고정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제1고리의 개방부위를 통해 삽입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후크의 선단 고리 쪽에 걸림 고정되는 제1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ixing body fixed to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first hinge;
And a first ring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body and rotatab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hinge and having an opening at an end of the first ring, A first fixing member including a first fixing member; And
And a first support member,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opening portion of the first loop,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astened to the end ring side of the main hook,
Hook connection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후크에 매달린 중량물의 무게를 고려하여 상기 몸체부의 처짐을 보상하는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상기 연장 후크의 위치에 대응하여 반대편에 위치하는,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unterweight for compensating deflection of the body portion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weight hanging from the extension hook,
Wherein the counterweight is located opposite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hook,
Hook connection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제1항 내지 제3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크레인의 작업범위 연장을 위한 후크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A hook connection device for extend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of any one of claims 1 to 3,
crane.
KR1020140107956A 2014-08-19 2014-08-19 Hook connection device for extended range operation of crane and crane having the same KR101692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56A KR101692014B1 (en) 2014-08-19 2014-08-19 Hook connection device for extended range operation of crane and cra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56A KR101692014B1 (en) 2014-08-19 2014-08-19 Hook connection device for extended range operation of crane and cran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59A KR20160022159A (en) 2016-02-29
KR101692014B1 true KR101692014B1 (en) 2017-01-03

Family

ID=5544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956A KR101692014B1 (en) 2014-08-19 2014-08-19 Hook connection device for extended range operation of crane and cran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01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6291A (en) * 2002-04-12 2003-10-28 Daido Steel Co Ltd Engagement implement for lifting heavy object such as steel plate
JP2004155538A (en) * 2002-11-05 2004-06-03 Yoshiharu Miyoshi Suspension tool
KR100622450B1 (en) * 2005-03-25 2006-09-13 현대제철 주식회사 Scrap charging magnet with apparatus for charging of subsidiary material ba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1259A (en) * 1976-01-26 1977-08-01 Masakatsu Makino Twoothrow hoo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6291A (en) * 2002-04-12 2003-10-28 Daido Steel Co Ltd Engagement implement for lifting heavy object such as steel plate
JP2004155538A (en) * 2002-11-05 2004-06-03 Yoshiharu Miyoshi Suspension tool
KR100622450B1 (en) * 2005-03-25 2006-09-13 현대제철 주식회사 Scrap charging magnet with apparatus for charging of subsidiary material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59A (en)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5446A1 (en) Intermediate support holder for construction machinery
KR200476243Y1 (en) Anchor frame for tower crain
CN209957239U (en) Lifting appliance for portal crane
KR101692014B1 (en) Hook connection device for extended range operation of crane and crane having the same
US10119248B2 (en) Guardrail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101379302B1 (en) Automatic safety device for quick coupler
JP2019072424A (en) Structure for mounting chest belt of harness type safety belt
CN211447715U (en) Bearing stores pylon for civil engineering
KR200463378Y1 (en) A coupling device for tractor instrument
CN205724576U (en) Converter module replacing frock
KR200452488Y1 (en) Wheel for Working
US20100308000A1 (en) Compensator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construction form tables
JP3208213U (en) Electric lifting machine lifting aid
KR101102515B1 (en) A coupling device for tractor instrument
CN204938629U (en) A kind of to pouring weight and counterweight
CN104531176A (en) Coke jar cover of dry quenching lifter
CN210379180U (en) Lock and train tail safety protection device
CN213738184U (en) Steel wire rope hoisting rigging with adjusting structure
CN210446601U (en) Multifunctional hanging rack for building safety civilized construction
CN214298796U (en) Positioning device
CN204138292U (en) For the counter weight device of Telescopic handler afterbody
KR200476956Y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rain
JP2010209589A (en) Structure for mounting hanging rail
PH22017050320U1 (en) Vehicle and cab fastening structure for vehicle
KR20150002689U (en) Hand Rail having foot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