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530B1 - Supplementary battery for wireless charging - Google Patents

Supplementary battery for wireless charg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530B1
KR101691530B1 KR1020150131250A KR20150131250A KR101691530B1 KR 101691530 B1 KR101691530 B1 KR 101691530B1 KR 1020150131250 A KR1020150131250 A KR 1020150131250A KR 20150131250 A KR20150131250 A KR 20150131250A KR 101691530 B1 KR101691530 B1 KR 101691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coil
modul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석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스텍
Priority to KR102015013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5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5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lementary battery which includes: a battery; a first coil wirelessly receiving power from power supply including a transmission coil; a first module charging the battery by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first coil in a magnetic induction scheme or a magnetic resonance scheme; a second coil wirelessly provid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 second module provid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the second coil in the magnetic resonance scheme; a sens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battery or impact applied to the battery; a control part connected with the sensor, and deliver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the second coil by operating the second module when the movement of the battery is sensed; and a communication part connected with the control part, and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first device among the mobile devices. The control part makes the power of the battery delivered to the first device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second module based on a first signal when the communication part receives the first signal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charge amount of the first device. The control part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dule when a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is not high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The control part transmits first information about the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to the first device and then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dule when the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is not lower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which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first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is converted into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he mobile devices and then provided to a user.

Description

무선충전이 가능한 보조배터리{Supplementary battery for wireless charging}[0002] Supplementary battery for wireless charging [0003]

본 발명은 무선충전이 가능한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that can be charged wirelessly.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피씨(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의 모바일 기기는 그 크기는 작아지면서도, 많은 기능의 확보를 위해 각종부품 장착된다.Mobile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wearable device are mounted with various components in order to secure many functions while being reduced in size.

그리고 모바일 기기에는 각종부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된다.The mobile device is provided with a battery for operating various components.

이러한 배터리는 모바일 기기를 구동시키는 핵심부품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용량, 배터리의 사용시간, 배터리의 충전방법 등은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관심의 대상이 된다.Since such a battery is a key component for driving a mobile devic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the usage time of the battery, and the charging method of the battery are of interest to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supplementary battery)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Accordingly, interest of users in supplementary batteries capable of charging batteries provided in mobile devices is increasing.

최근에는 사용자의 배터리 충전의 편의성을 위해, 무선충전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가 출시되고 있다.Recently, a mobile device capable of charging wirelessly has been introduced for convenience of charging the battery of the user.

다만, 아직까지 무선충전이 가능한 보조배터리에 대한 기술개발은 활발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for the secondary battery which can still be charged wirelessly is not progressing actively.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499440에 개시된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y to be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499440.

본 발명은 무선충전을 위한 보조배터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xiliary battery for wireless charging.

본 발명의 보조배터리는 배터리; 송신코일을 구비한 전원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제공받는 제1코일; 상기 제1코일로부터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명방식으로 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모듈; 복수의 모바일 기기에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무선으로 제공하는 제2코일;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자기공명방식으로 상기 제2코일에 제공하는 제2모듈; 상기 배터리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상기 배터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상기 배터리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상기 배터리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2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제2코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 중 어느 하나인 제1기기와 무선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기기의 충전량에 관한 정보인 제1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상기 제1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모듈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제1기기로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이 설정된 제1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제2모듈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큰 제2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에 관한 제1정보를 상기 제1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모듈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제1기기에서 상기 제1정보는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의 개수에 관한 정보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한다.The auxili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ttery; A first coil receiving power wirelessly from a power source having a transmitting coil; A first module for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the first coil in a magnetic induction or magnetic resonance manner to charge the battery; A second coil that wirelessly supplies power of the battery to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 second module for provid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the second coil in a magnetic resonance manner; A sensor for detecting an impact applied to the battery or a movement of the battery;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sensor and operating the second module to control the power of the battery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il when an impact applied to the battery or a movement of the battery is sensed by the sensor; And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first device that is one of the plurality of mobile devices,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signal,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rged amount of the first device, The second module is selectively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first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to allow the power of the battery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and when the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t first reference value, And transmits first information on the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to the first device when the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second information is switched to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nd is provided to the user do.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보조배터리에 의하면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이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by the auxiliary battery which can be charged wirelessly.

그리고 사용자가 배터리의 방전 시점을 임의적으로 제어하거나 배터리의 방전 시점을 인식할 수 있다.The user can arbitrarily control the discharge time point of the battery or recognize the discharge time point of the battery.

또한, 충전되고 있는 모바일 기기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mobile devices being charged may be provided to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가 전원 및 모바일 기기와 무선 연결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보조배터리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a mobile device wirelessly,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uxiliary battery of Fig. 1,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a complete disclos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가 전원 및 모바일 기기와 무선 연결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보조배터리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supplement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a mobile device,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upplementary battery of FIG. 1, A flowchart of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xampl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조배터리(20)는 전원(10)으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제공받아 충전된다.Referring to FIG. 1, the auxiliary battery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a power source 10 and is charged.

그리고 상기 보조배터리(2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피씨(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의 모바일 기기(30)에 전력을 무선으로 제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30)를 충전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20 provides power wirelessly to a mobile device 30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wearable device, Can be charged.

상기 전원(10)에는 송신코일(미도시)구비될 수 있는데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명방식으로 전력을 상기 보조배터리(20)에 제공할 수 있다.The power source 10 may be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coil (not shown), and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battery 20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magnetic resonance method.

여기서 자기유도방식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표준 및 PMA(Power Matters Alliance) 표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자기공명방식은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표준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도 같다.Here,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can use either the WPC (Wireless Power Consortium) standard or the PMA (Power Matters Alliance) standard, and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can use the A4WP (Alliance for Wireless Power) standard. The same is true for the following.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배터리(20)는, 배터리(21), 코일(22), 제1모듈(23) 및 제2모듈(2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uxiliary battery 20 includes a battery 21, a coil 22, a first module 23, and a second module 24.

상기 배터리(21)는 충전 또는 방전될 수 있다.The battery 21 may be charged or discharged.

즉, 상기 배터리(21)는 상기 전원(10)과 같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충전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30)와 같은 외부로 전력을 제공하여 방전될 수 있다.That is, the battery 21 may be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such as the power source 10, and may be discharged by providing electric power to the outside such as the mobile device 30.

상기 코일(22)은 제1모듈(23)과 제2모듈(2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coil 2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dule 23 and the second module 24,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코일(22)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제공받거나 외부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il 22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or may supply power to the outside.

예컨대, 상기 코일(22)은 상기 전원(10)의 송신코일(미도시)로부터 전력을 제공받거나 상기 모바일 기기(30)에 구비된 수신코일(미도시)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il 22 may be powered from a transmit coil (not shown) of the power source 10 or may provide power to a receive coil (not shown)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30.

이러한 코일(22)은 제1코일(221)과 제2코일(2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il 22 may include a first coil 221 and a second coil 222.

상기 제1코일(221)은 상기 전원(10)의 송신코일(미도시)로부터 전력을 제공받고, 상기 제2코일(222)은 상기 모바일 기기(30)에 구비된 수신코일(미도시)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coil 221 is supplied with power from a transmission coil (not shown) of the power source 10 and the second coil 222 is supplied with a reception coil (not shown) Power can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제1모듈(23)은 상기 제1코일(221)과 상기 배터리(21)를 연결하고, 상기 제2모듈(24)은 상기 배터리(21)와 상기 제2코일(222)을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module 23 connects the first coil 221 to the battery 21 and the second module 24 can connect the battery 21 and the second coil 222 to each other. have.

따라서, 상기 제1모듈(23)은 상기 제1코일(221)로부터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명방식으로 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21)를 충전할 수 있고, 상기 제2모듈(24)은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을 자기공명방식으로 상기 제2코일(222)에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module 23 can receive the electric power from the first coil 221 in a magnetic induction or magnetic resonance manner to charge the battery 21, and the second module 24 can charge the battery 21 The power of the battery 21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coil 222 in a magnetic resonance manner.

상기 보조배터리(20)는 센서(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2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25.

상기 센서(25)는 상기 배터리(2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21)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상기 배터리(21)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25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attery 21 to sense an impact applied to the battery 21 or a movement of the battery 21. [

또한, 상기 보조배터리(20)는 제어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battery 2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26.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센서(25)와 연결된다.The controller 26 is connected to the sensor 25.

그리고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센서(25)에서 상기 배터리(21)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지되거나 상기 배터리(21)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2모듈(24)을 작동시켜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이 상기 코일(22)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sensor 25 senses an impact applied to the battery 21 or senses the movement of the battery 21, the controller 26 operates the second module 24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battery 21 21 to be transmitted to the coil 22.

또한,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배터리(21)의 전력 소모율이 설정된 제1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제2모듈(24)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이 상기 코일(2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6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dule 24 when the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21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first reference value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21 is supplied to the coil 22,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제1기준값은 상기 보조배터리(20)가 하나의 상기 모바일 기기(30)를 충전할 때의 전력 소모율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reference value may be a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auxiliary battery 20 when the mobile device 30 is char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정리하면, 상기 보조배터리(20)는 상기 배터리(21) 측으로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이 상기 센서(25)에 의해 감지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21)의 움직임이 상기 센서(25)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30)에 전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보조배터리(20)의 작동시점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uxiliary battery 20 can detect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battery 21 by the sensor 25 or detect the movement of the battery 21 by the external force The user can easily predict the operation timing of the auxiliary battery 20 becaus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mobile device 30. [

그리고 상기 모바일 기기(30)가 완충되거나 상기 보조배터리(20)의 주변에 상기 모바일 기기(30)가 존재하지 않아 상기 배터리(21)의 전력 소모율이 상기 제1기준값 이하일 경우, 상기 제2모듈(24)의 작동을 정지될 수 있어, 상기 보조배터리(20)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If the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21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because the mobile device 30 is fully charged or the mobile device 30 is not present around the auxiliary battery 20, 24 can be stopped,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20 can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제1코일(221)로 수신된 전력이 상기 제1모듈(23)에 의해 상기 배터리(21)에 충전될 때, 상기 제2모듈(24)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6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dule 24 when the power received by the first coil 221 is charged to the battery 21 by the first module 23 It is possible.

이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20)는 상기 배터리(21)의 충전중에는 상기 모바일 기기(30)에 전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21)의 충전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auxiliary battery 20 does not supply power to the mobile device 30 during the charging of the battery 21, the charging time of the battery 2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engthened.

한편, 상기 보조배터리(20)는 통신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2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7.

상기 통신부(27)는 상기 제어부(26)와 연결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30)와 무선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7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6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device 30 wirelessly.

그리고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제2코일(222)이 전력을 복수개의 상기 모바일 기기(30)에 동시에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21)의 전력 소모율이 제2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제2모듈(24)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27)를 제어하여 외부의 기기로 상기 배터리(21)의 전력 소모율 관한 제1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If the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2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by the second coil 222 simultaneously transmitt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mobile devices 30, The operation of the module 24 may be stopped and the first information on the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21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by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27. [

여기서 상기 제2기준값은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큰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정보를 전송받는 상기 외부의 기기는 복수개의 상기 모바일 기기(30) 중 상기 통신부(27)와 통신으로 연결된 어느 하나의 기기(이하, 이를 "제1기기"라고 함)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external device to which the fir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means any one of a plurality of the mobile devices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devic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27 .

그리고 상기 제1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제1기기는 상기 제1정보를 충전되는 모바일 기기(30)의 개수에 관한 정보로 전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receiving the first information may convert the first information into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mobile devices 30 to be charged and provide the converted information to the user.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21)가 자신의 모바일 기기 이외의 기기를 충전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배터리(21)의 전력 소모를 쉽게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ly, not only can the user know that the battery 21 is charged with a device other than his / her mobile device, but als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21 can be easily predicted.

그리고 상기 통신부(27)에 상기 모바일 기기(30)의 배터리가 완충되었다는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제2모듈(24)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이 상기 코일(2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20)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When the signal indicating that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30 is ful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7, the control unit 26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dule 24, It is possible to block transmission to the coil 22. Accordingly, the auxiliary battery 20 can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상기 통신부(27)는 상기 모바일 기기(30)의 배터리의 충전량에 관한 정보인 제1신호를 상기 모바일 기기(3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7 may receive a first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30, which is information on a charged amount of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30.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통신부(27)로 수신된 상기 제1신호 기초로 상기 제2모듈(24)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이 상기 코일(22)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6 may selectively operate the second module 24 based on the first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7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21 is transmitted to the coil 22 have.

예컨대, 상기 모바일 기기(30)의 배터리의 충전량이 낮다는 정보인 상기 제1신호를 상기 통신부(27)가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제2모듈(24)을 작동시켜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이 상기 모바일 기기(30)의 배터리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unit 27 receives the first signal, which i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battery charge of the mobile device 30 is low, the control unit 26 operates the second module 24, 21 can be transmitted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30. [

즉, 상기 보조배터리(20)는 상기 모바일 기기(30)의 배터리의 충전량이 낮을 때 상기 모바일 기기(30)의 배터리를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어, 상기 보조배터리(20)는 작동중인 상기 모바일 기기(30)가 배터리 방전으로 인하여 작동이 정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auxiliary battery 20 can automatically charge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30 when the charged amount of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30 is low,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20 can charge the mobile device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30 from being stopped due to the battery discharg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제어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xiliary batter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조배터리 제어방법은, 배터리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단계(S10, S15), 배터리의 전력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20) 및 배터리 전력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30, S35, S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xili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of sens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attery (S10, S15), transmitting power of the battery to the outside (S20) (S30, S35, S40).

상기 배터리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단계(S10, S15)에서는, 상기 모바일 기기(30)가 상기 보조배터리(20)에 접촉될 때 등 상기 배터리(21)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기 센서(25)가 감지하거나, 상기 보조배터리(20)가 사용자의 가방 등에 담겨 이동될 때의 등 상기 배터리(21)의 움직임을 상기 센서(25)가 감지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ens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attery (S 10 and S 15), an impact applied to the battery 21, such as when the mobile device 30 contacts the auxiliary battery 20, The sensor 25 can sense the movement of the battery 21, such as when the auxiliary battery 20 is detected or when the auxiliary battery 20 is moved into the user's bag or the like.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20)에서는 상기 배터리(21)에 가해지는 충격이 상기 센서(25)에 의해 감지되거나, 상기 배터리(21)의 움직임이 상기 센서(25)에 의해 감지될 경우, 자기공명방식으로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을 외부로 전송한다.In the step S20 of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the outside, the impact applied to the battery 21 is detected by the sensor 25 or the movement of the battery 21 is detected by the sensor 25 The power of the battery 21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in a magnetic resonance manner.

따라서 상기 보조배터리(20)가 움직이거나 상기 보조배터리(20)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보조배터리(20)는 상기 모바일 기기(30)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uxiliary battery 20 moves or an impact is applied to the auxiliary battery 20, the auxiliary battery 20 can charge the mobile device 30 wirelessly.

상기 배터리 전력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30, S35, S40)에서는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소모 비율에 따라 외부로 전송되는 상기 배터리(21) 전력의 차단 여부를 결정한다.In the steps S30, S35, and S40 of determining whether the battery power is block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ower of the battery 21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is blocked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21.

상기 배터리 전력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30, S35, S40)는, 배터리의 전력소모 비율을 측정하는 단계(S30), 배터리 전력의 외부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35, S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s S30, S35, and S40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shut down the battery power include a step S30 of measuring a power consumption ratio of the battery, and a step S35 or S40 of determining whether the battery power is transmitted or not .

상기 배터리의 전력소모 비율을 측정하는 단계(S30)에서는,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이 외부로 전송됨에 따른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소모 비율을 측정된다.In step S30 of measuring the power consumption ratio of the battery, the power consumption ratio of the battery 21 as the power of the battery 21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is measured.

그리고 상기 배터리 전력의 외부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35, S40)에서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소모 비율을 측정하는 단계(S30)에서 측정된 상기 전력소모 비율에 따라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의 외부 전송 여부를 결정된다.In step S35 and step S4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attery power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21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ratio measured in step S30 of measuring the power consumption ratio of the battery.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transmit.

예컨대, 측정된 상기 전력소모 비율이 상기 제1기준값 이하일 경우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의 외부전송은 중지되고, 측정된 상기 전력소모 비율이 상기 제1기준값 보다 클 경우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의 외부전송은 유지된다.For example, when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ratio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external transmission of the power of the battery 21 is stopped, and when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ratio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Lt; / RTI > is maintained.

또한, 측정된 상기 전력소모 비율이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제2모듈(24)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37). 이때 상기 통신부(27)는 상기 제1기기로 상기 배터리(21)의 전력 소모율 관한 상기 제1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ratio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dule 24 may be stopped (S37).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27 may transmit the first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21 to the first device.

상기 보조배터리 제어방법은 상기 배터리(21)가 충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battery 21 is being charged (S25).

본 보조배터리 제어방법은 상기 배터리(21)가 충전되고 있을 경우, 상기 배터리(21)의 전력의 외부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S40).In this auxiliary battery control method, when the battery 21 is being charged, external transmission of the power of the battery 21 may be stopped (S4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전원
20:보조배터리
21:배터리
22:코일
23:제1모듈
24:제2모듈
30:모바일 기기
10: Power supply
20: auxiliary battery
21: Battery
22: Coil
23: First module
24: Second module
30: Mobile devices

Claims (11)

배터리;
송신코일을 구비한 전원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제공받는 제1코일;
상기 제1코일로부터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명방식으로 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모듈;
복수의 모바일 기기에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무선으로 제공하는 제2코일;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자기공명방식으로 상기 제2코일에 제공하는 제2모듈;
상기 배터리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상기 배터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상기 배터리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상기 배터리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2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제2코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 중 어느 하나인 제1기기와 무선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기기의 충전량에 관한 정보인 제1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상기 제1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모듈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제1기기로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이 설정된 제1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제2모듈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큰 제2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에 관한 제1정보를 상기 제1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모듈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제1기기에서 상기 제1정보는 상기 복수의 모바일 기기의 개수에 관한 정보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배터리.
battery;
A first coil receiving power wirelessly from a power source having a transmitting coil;
A first module for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the first coil in a magnetic induction or magnetic resonance manner to charge the battery;
A second coil that wirelessly supplies power of the battery to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 second module for provid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the second coil in a magnetic resonance manner;
A sensor for detecting an impact applied to the battery or a movement of the battery;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sensor and operating the second module to control the power of the battery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il when an impact applied to the battery or a movement of the battery is sensed by the sensor;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evice,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mobile devices,
Wherein,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selectively operates the second module based on the first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first signal, which i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rged amount of the first device, is received, Lt; / RTI >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dule is stopped when the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t first reference value,
Transmitting first information on a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to the first device when the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batter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reference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n the first device is converted into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nd is provided to the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31250A 2015-09-16 2015-09-16 Supplementary battery for wireless charging KR1016915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250A KR101691530B1 (en) 2015-09-16 2015-09-16 Supplementary battery for wireless char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250A KR101691530B1 (en) 2015-09-16 2015-09-16 Supplementary battery for wireless charg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530B1 true KR101691530B1 (en) 2016-12-30

Family

ID=5773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250A KR101691530B1 (en) 2015-09-16 2015-09-16 Supplementary battery for wireless charg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53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304A (en) * 2017-12-07 201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battery charge stat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200046585A (en) 2018-10-25 2020-05-07 로보티즈 인코포레이티드 Smart Device Docking Device With Remote Control and IoT Func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1557A (en) * 2012-07-17 2014-01-29 주식회사 이랜텍 Wireless electric power link transmitter of resonance type comprising battery part
KR20140129897A (en) *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KR20150056421A (en) * 2013-11-15 2015-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ransmitter apparatus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50087707A (en) * 2014-01-22 2015-07-3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System for charging battery of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1557A (en) * 2012-07-17 2014-01-29 주식회사 이랜텍 Wireless electric power link transmitter of resonance type comprising battery part
KR20140129897A (en) *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KR20150056421A (en) * 2013-11-15 2015-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ransmitter apparatus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50087707A (en) * 2014-01-22 2015-07-3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System for charging battery of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304A (en) * 2017-12-07 201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battery charge stat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2425886B1 (en) 2017-12-07 2022-07-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battery charge stat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200046585A (en) 2018-10-25 2020-05-07 로보티즈 인코포레이티드 Smart Device Docking Device With Remote Control and IoT Func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8280B2 (en) Mobile terminal, peripheral devic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US20150054458A1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95091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user indications in WPC based wireless charging system
JP4544338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power reception device, power transmission method, program,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EP3148053B1 (en) Wireless power multi-charging method and power transmitter
KR102542279B1 (en) Spectacles having wireless charging receiver circuit, spectacle case for spectacles, and system
US20120280650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Methods
KR101476103B1 (en) Smart phone for wireless-charging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of the same
US20140184149A1 (en) Method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9254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energy reception and apparatus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EP2985851B1 (en)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23409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transmitting wirelessly
JP2005151609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597747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charging energy to recharge a portable power supply
US20170294794A1 (en) Electronic system and charging method
CN105229888A (en) Wireless charger
KR101691530B1 (en) Supplementary battery for wireless charging
CN105098890A (en) Charging data line and charger
KR101835007B1 (en) Apparatus and mathod for controlling charge current in portable terminal
KR101200985B1 (en) Radio set combined with host device
KR1019734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KR1017651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noise in no contact charging system
KR200406308Y1 (en) Headset charging device having two charging ports
KR101311436B1 (en) Clouding recharging system by micro wave network of wireless electric power
US7317297B1 (en) Battery temperature sensor pin used as communication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