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197B1 -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197B1
KR101691197B1 KR1020160057027A KR20160057027A KR101691197B1 KR 101691197 B1 KR101691197 B1 KR 101691197B1 KR 1020160057027 A KR1020160057027 A KR 1020160057027A KR 20160057027 A KR20160057027 A KR 20160057027A KR 101691197 B1 KR101691197 B1 KR 101691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main server
unit
communication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선경
Original Assignee
(주)에스케이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케이드림 filed Critical (주)에스케이드림
Priority to KR1020160057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75Fault management techniq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66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정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에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디바이드부를 통해 제2통신부로 절환하여 상기 메인서버에 데이터정보를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는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FEEDER REMOTE TERMINAL UNIT FOR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에서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지능화를 위하여 원격으로 감시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의 주장치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장치가 하드웨어적으로 파손 또는 소손된 경우에도 메인서버에 데이터정보를 원활하게 전송하여 감시하도록 하는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전지능화 시스템은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개폐기, 단말장치, 통신장치와 운영실에서 배전지능화 기기를 원격감시 제어하기 위한 주장치로 구성된다.
배전지능화 시스템은 주장치와 통신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현장에 설치된 단말장치로부터 배전선로의 각종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을 감시 관리하게 된다.
그러나 현장에 있는 통신장치에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운영실의 주장치에서 배전선로의 감시 및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다. 통신장치가 물리적으로 파손되거나 소손되었을 경우에는 교체가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단순히 전원을 리셋함으로써 통신장치가 정상으로 복구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단순 리셋으로 통신장치가 정상으로 복구되는 경우 이를 위하여 현장에 직접 출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장시간 통신불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2086호(2016.01.07.) "배전지능화용 단말장치"에 의하면 원격으로 통신장치를 리셋하여 작업자가 현장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통신불능의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기재한 바와 같이, 통신장치가 하드웨어적인 고장 즉, 물리적으로 파손 또는 소손된 경우에는 단순히 리셋하는 것으로 통신불능 상황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02086호(공개일:2016.01.17) "배전지능화용 단말장치"
본 발명은 주장치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장치가 하드웨어적으로 파손 또는 소손된 경우에도 원활하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은 전류값, 전압값, 고장전류의 발생 여부와 역률(power fac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전선로에 관한 데이터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제어함 내부에 설치되는 데이터 처리부와, 유무선통신망에 의해 상기 제어함 외부에 구비된 메인서버로 상기 데이터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함 내부에 설치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1통신부와 이웃하게 상기 제어함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통신부와 동일하게 유무선통신망에 의해 상기 메인서버로 상기 데이터정보를 전송하는 제2통신부 및 일측이 상기 데이터 처리부와 연결되되 획득한 상기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며, 타측은 상기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통신부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메인서버에서 전송되는 폴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통신부 또는 상기 제2통신부에 의해 상기 데이터정보가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메인서버에서 전송되는 전송완료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정보가 상기 제1통신부 또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절환하는 디바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데이터정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에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디바이드부를 통해 제2통신부로 절환하여 상기 메인서버에 데이터정보를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이 설치된 제어함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의 디바이드부에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절환은 다수의 통신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시키는 스위칭(switching)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은 크게 데이터 처리부(100), 메인서버(10)와 유무선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는 통신수단(200) 및 디바이드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설명에 앞서, 메인서버(10)는 상기 통신수단(200) 및 상기 디바이드부(30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정보를 전송받아 본 발명인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을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통합관리센터를 의미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100)는 메인서버(10)의 요청에 따라 전류값, 전압값, 고장전류의 발생 여부와 역률(power fac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전선로에 관한 데이터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데이터 처리부(100)는 전류값, 전압값, 고장전류의 발생 여부와 역률(power fac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전선로에 관한 데이터정보를 계측하여 획득하고, 이 획득한 데이터정보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바이드부(300)에 전송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데이터 처리부(100)는 데이터정보 이외에 고장표시기 및 단선/결상과 위상불일치 등의 계통과 설비에 대한 상태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100)는 제어함(20) 내부에 고정설치되되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바이드부(300) 이외에 개폐기(미도시)의 동작상태를 데이터 처리부(100)에 전달하고, 데이터 처리부(10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개폐기를 제어하는 조작부(30)와 연결된다.(도 2 참조)
그리고, 상기 통신수단(200)은 디바이드부(300)에 저장된 데이터정보를 유무선통신망에 의해 메인서버(10)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통신수단(200)은 제어함(20) 내부에 적어도 둘 이상의 유닛으로 구비되되 이 중 어느 하나가 하드웨어적으로 파손 또는 소손시에 다른 하나가 메인서버(10)에 데이터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통신부(210,220)로 설치된다.
아울러 각각의 제1 또는 제2통신부(210,220)는 디바이드부(300)에 저장된 데이터정보를 개별제공받을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디바이드부(300)의 절환에 의해 메인서버(10)로 데이터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통신수단(200)은 제1 및 제2통신부(210,22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더 구비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드부(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진 통신수단(200)과 절환 가능하게 연결되되 데이터 처리부(100)와 연결되어 메인서버(1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통신수단(200)을 통해 데이터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저장부(310), 절환부(320) 및 송수신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장부(310)는 데이터 처리부(100)에서 획득한 데이터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절환부(320)는 저장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제1 및 제2통신부(220)와 절환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제1 또는 제2통신부(210,2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메인서버(10)에 데이터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절환부(320)는 평상시 제1통신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제1통신부(210)에 문제가 발생하여 메인서버(10)와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제2통신부(220)로 절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수신부(330)는 절환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메인서버(10)에서 데이터정보를 요청하는 폴링신호 및 상기 메인서버(10)에 데이터정보가 전송시에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전송완료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송수신부(330)는 제1 또는 제2통신부(210,220) 중 어느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여 절환부(320)를 통해 절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하드웨어적으로 문제가 발생한 제1 또는 제2통신부(210,220)에 관한 정보를 메인서버(10)에 전송하여 신속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디바이드부(300)는 메인서버(10)에서 전송(출력)하는 폴링신호가 송수신부(330)에 수신되면 제1통신부(210)를 통해 저장부(310)에 저장된 데이터정보를 메인서버(10)로 전송하고, 제1통신부(210)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정보를 메인서버(10)가 수신하면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전송완료신호를 송수신부(330)에 전송하여 데이터정보가 원만하게 수신되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반면, 제1통신부(210)에 하드웨어적인 파손 또는 소손이 발생한 경우, 폴링신호를 전송한 메인서버(10)에 데이터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송수신부(330)로는 폴링신호만 수신될 뿐, 전송완료신호는 미수신되게 된다.
하여, 절환부(320)는 제1통신부(210)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제2통신부(220)로 절환이 이루어지게 하여 메인서버(10)로 원활하게 데이터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절환부(320)는 송수신부(330)로 수신되는 전송완료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미수신된 경우에 제1통신부(210)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여 제2통신부(220)로 절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데이터정보를 메인서버(10)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210)에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디바이드부(300)를 통해 제2통신부(220)로 절환하여 상기 메인서버(10)에 데이터정보를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메인서버 20: 제어함
30: 조작부 100: 데이터 처리부
200: 통신수단 210: 제1통신부
220: 제2통신부 300: 디바이드부
310: 저장부 320: 절환부
330: 송수신부

Claims (1)

  1. 배전선로에 접속하여 전류값, 전압값, 고장전류의 발생 여부와 역률(power fac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전선로에 관한 데이터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제어함(20) 내부에 설치되는 데이터 처리부(100);
    상기 제어함(20) 내부에 설치되고 유무선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제어함(20) 외부에 구비된 메인서버(10)로 상기 데이터정보를 전송하는 제1통신부(210);
    상기 제1통신부(210)와 이웃하게 상기 제어함(2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통신부(210)와 동일하게 유무선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메인서버(10)로 상기 데이터정보를 전송하는 제2통신부(220); 및
    일측이 상기 데이터 처리부(100)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정보가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며, 타측은 상기 제1통신부(210)와 상기 제2통신부(220)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서버(10)로부터 출력되는 폴링신호를 수신 확인하고 상기 제1통신부(210)와 상기 제2통신부(2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정보가 상기 메인서버(1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절환하여 통신경로를 설정 연결시키고, 상기 메인서버(10)로부터 출력되는 전송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절환 선택되어 설정된 상기 제1통신부(210) 또는 상기 제2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데이터정보를 상기 메인서버(10)로 전송시키고, 상기 메인서버(10)로부터 수신완료신호가 미수신되는 경우 절환되어 선택되지 못했던 상기 제1통신부(210) 또는 상기 제2통신부(220)를 선택 절환하여 통신경로를 연결시키고 상기 데이터정보를 절환하여 연결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상기 메인서버(10)로 다시 전송시키고, 하드웨어적으로 문제가 발생한 제1 또는 제2통신부(210,220)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10)에 전송하는 디바이드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
KR1020160057027A 2016-05-10 2016-05-10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 KR101691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027A KR101691197B1 (ko) 2016-05-10 2016-05-10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027A KR101691197B1 (ko) 2016-05-10 2016-05-10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197B1 true KR101691197B1 (ko) 2016-12-30

Family

ID=5773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027A KR101691197B1 (ko) 2016-05-10 2016-05-10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238A (ko) 2017-10-27 2019-05-08 한국전력공사 배전지능화시스템용 trs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391B1 (ko) * 2011-05-03 2012-04-09 이승철 배전반, 자동제어 플랜트 설비의 원격감시제어장치 및 원격감시제어방법
JP2012182649A (ja) * 2011-03-01 2012-09-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配電系の監視制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
KR20130127819A (ko) * 2012-05-15 2013-11-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스마트 감시장치
KR20140129402A (ko) * 2013-04-23 2014-11-07 주식회사 이고 회생 기능을 갖는 버스정보 단말기
KR20160002086A (ko) 2014-06-30 2016-01-0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지능화용 단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2649A (ja) * 2011-03-01 2012-09-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配電系の監視制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
KR101134391B1 (ko) * 2011-05-03 2012-04-09 이승철 배전반, 자동제어 플랜트 설비의 원격감시제어장치 및 원격감시제어방법
KR20130127819A (ko) * 2012-05-15 2013-11-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스마트 감시장치
KR20140129402A (ko) * 2013-04-23 2014-11-07 주식회사 이고 회생 기능을 갖는 버스정보 단말기
KR20160002086A (ko) 2014-06-30 2016-01-0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지능화용 단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238A (ko) 2017-10-27 2019-05-08 한국전력공사 배전지능화시스템용 trs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0415B2 (ja) ネットワークのケーブルインタフェース接続を監視するシステム
US20150311714A1 (en) Resilient Communication for an Electric Power Delivery System
KR100938738B1 (ko) 전자 패치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동작 방법
KR101720376B1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동기화 방법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KR101691197B1 (ko)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
US9344327B2 (en) Wireless-based network management
KR101733621B1 (ko)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
KR101748420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전기 제어설비 모니터링용 서버
KR20100016197A (ko) 전력을 분배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파라미터화가능한 디바이스
US20180145508A1 (en)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US11334131B2 (en) Power management in power adapters to deliver power to a power output coupled to an electronic device in accordance with power supply capability information
KR20190065076A (ko) 배전반에서 IoT 엔진을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시스템
KR20160002086A (ko) 배전지능화용 단말장치
JP2011077712A (ja) 機器管理システム
KR101890679B1 (ko) 디지털 계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감시 시스템
US202201235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unit
EP3430840A1 (en) Distributed wireless intercom audio routing over ethernet with synchornization and roaming
KR20230019637A (ko) 이종의 배전운영시스템의 병행운전을 위한 장치
KR20230065392A (ko) 원격 전원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스위치,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102338113B1 (ko) 디지털 보호계전기
KR20240009123A (ko) 전시관용 스마트 멀티탭 장치
JP2016208750A (ja) 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監視制御方法
KR101488817B1 (ko)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감시용 제어기의 분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4713A (ko) 산업장비간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