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133B1 - 기능성 플라스틱통 - Google Patents

기능성 플라스틱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133B1
KR101691133B1 KR1020160018396A KR20160018396A KR101691133B1 KR 101691133 B1 KR101691133 B1 KR 101691133B1 KR 1020160018396 A KR1020160018396 A KR 1020160018396A KR 20160018396 A KR20160018396 A KR 20160018396A KR 101691133 B1 KR101691133 B1 KR 101691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hose
injection port
fastening member
contents
plas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한산업
오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한산업, 오세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한산업
Priority to KR102016001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8Separ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3Closed containers provided with local cooperating element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e.g. projection and re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담겨있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구가 없이 주입구만 형성된 플라스틱통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되, 기밀을 유지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주입구와 체결부재의 사이에 결합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홀이 형성되며,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플렉시블 호스를 이용하여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을 외부로 누출없이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기능성 플라스틱통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일측 중앙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부 타측 중앙에 주입구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주입구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홀이 관통형성된 체결부재와 상기 주입구와 체결부재의 사이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로부터 이격형성되는 통기홀이 형성된 플렉시블 호스와 주입구와 플렉시블 호스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실링 및 플렉시블 호스와 체결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실링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기능성 플라스틱통이 제시된다.

Description

기능성 플라스틱통{Functional plastic barrel}
본 발명은 내부에 담겨있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구가 없이 주입구만 형성된 플라스틱통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되, 기밀을 유지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주입구와 체결부재의 사이에 결합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홀이 형성되며,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플렉시블 호스를 이용하여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을 외부로 누출없이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기능성 플라스틱통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내용물을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해 상부에 손잡이와 주입구가 형성된 용기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용기의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근래에는 운반의 용이성을 위해 합성수지 재질의 플라스틱통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특히, 종래의 플라스틱통은 약수물을 담기 위한 약수통과 기름 등을 담기 위한 기름통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고,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플라스틱통에 내용물을 채운 후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물을 필요한 곳에 배출하여 주입할 수 있도록 제작 및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소모성으로 주입되는 요소수를 일정한 규격의 플라스틱통에 채워 사용자가 차량에 요소수를 직접 주입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는 플라스틱통의 주입구에 플렉시블 호스를 결합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킨다.
상기와 연관하여, 종래의 플라스틱통에 플렉시블 호스를 연결하는 기술을 살펴보면,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8530호는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주입구(1')와 통기구(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주입구(1')에 플렉시블 호스(3')가 결합된다.
다른 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069048호 또한 상기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8530호와 마찬가지로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주입구(1")와 통기구(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주입구(1")에 플렉시블 호스(3")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8530호는 플렉시블 호스(3')의 하부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주입구(1')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미표시)가 형성되어 플렉기블 호스(3')가 주입구(1')에 결합되고, 상기 공개실용신안 제1998-0069048호는 주입구(1")에 나사결합되되, 플렉시블 호스(3")를 주입구(1")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4")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호스(3")가 주입구(1")에 결합된다.
즉, 상기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8530호와 제1998-0069048호는 프라스틱통의 주입구(1')(1")에 플렉시블 호스(3')(3")를 결합시킨 후 통기구(2')(2")를 개방하여 내용물이 배출될 때, 통기구(2')(2")를 통하여 공기가 플라스틱통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외부환경에 따라 통기구(2')(2")로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이 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플렉시블 호스(3')(3")와 주입구(1')(1")의 결합부위로 내용물이 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통에 통기구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주입구만을 형성한 후 통기구가 형성된 플렉시블 호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플렉시블 호스의 통기구 방향을 배출하는 상부방향으로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상기 통기구 방향을 맞추면 결합부위가 느슨해져 결합부위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플라스틱통은 상기와 같은 플렉시블 호스를 별도로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호스가 미리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고, 플라스틱통의 주입구를 밀폐하고 있던 마개 또한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하고 난 후 다시 결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의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플라스틱통은 손잡이와 주입구가 돌출형성되어 적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을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 또한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8530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06904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플라스틱통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플렉시블 호스는 통기구 방향을 맞추기 어려워 통기구로 내용물이 누출되거나, 통기구 방향을 맞추면 결합부위가 느슨해져 결합부위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문제와 플렉시블 호스를 별도로 보관하였다가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플라스틱통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주입구와 체결부재의 사이에 결합되어 쉽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되, 통기홀이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플렉시블 호스로 구현되는 한편, 플렉시블 호스를 플라스틱통과 함께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플라스틱통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부 일측 중앙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부 타측 중앙에 주입구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주입구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홀이 관통형성된 체결부재와 상기 주입구와 체결부재의 사이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로부터 이격형성되는 통기홀이 형성된 플렉시블 호스와 주입구와 플렉시블 호스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실링 및 플렉시블 호스와 체결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실링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기능성 플라스틱통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플렉시블 호스가 끼움결합되는 수용홈과 하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층홈을 더 포함하여 구현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주입구와의 결합면 사이에 결합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현되며, 상기 적층홈은 양측 내측면 각각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손잡이홈이 형성된 파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밀폐부재가 주입구와 체결부재의 사이에 결합될 때, 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주입구와 밀폐부재의 사이에 하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플라스틱통은 플라스틱통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주입구와 체결부재의 사이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배출부재를 이용하여 통기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을 누출 없이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와 플라스틱통의 보관시 용이하게 상부로 적층가능한 효과와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을 배출시 하부에 형성된 손잡이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 및 내구성 및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통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통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통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통이 적층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통이 적층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통이 적층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호스가 플라스틱통의 내부로 인입된 측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호스와 체결부재의 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호스와 체결부재의 측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호스와 체결부재가 주입구에 결합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호스의 측단면도.
도 1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의 측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A"부분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12의 "A"부분 확대도.
본 발명은 내부에 담겨있는 액체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구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주입구(10)만 형성된 플라스틱통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10)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20)와 상기 주입구(10)와 체결부재(20)의 사이에 쉽게 회전하여 조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통기홀(34a)이 형성된 플렉시블 호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내구성 및 기밀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는 한편, 플렉시블 호스(200)를 회전시켜 통기홀(34a)의 위치를 조절하여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을 체결부재(20)와 통기홀(34a)을 통해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효율적으로 플렉시블 호스(200)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는 플라스틱통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통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110)와 주입구(10)에 의해 적층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부에 적층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200)를 플라스틱통과 함께 보관가능하도록 플렉시블 호스(200)를 보관할 수 있는 수용홈(120)과 플렉시블 호스(200)를 플라스틱통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더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자동차용 기름 또는 요소수가 들어있는 플라스틱통의 주입구에 결합되어 기름 또는 요소수(이하, '내용물'이라 통칭한다.)를 배출할 때, 주입구(10)와 체결부재(20) 및 플렉시블 호스(200)의 결합부위 또는 통기홀(34a)을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게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상부 일측 중앙에 손잡이(110)가 구비되고, 상부 타측 중앙에 주입구(10)가 구비된 몸체(100);와 상기 주입구(10)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홀(21)이 관통형성된 체결부재(20);와 상기 주입구(10)와 체결부재(20)의 사이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20)의 상부로부터 이격형성되는 통기홀(34a)이 형성된 플렉시블 호스(200);와 주입구(10)와 플렉시블 호스(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실링(40);과 플렉시블 호스(200)와 체결부재(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실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0)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플렉시블 호스(200)가 끼움결합되는 수용홈(120);과 하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층홈(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재(20)는 주입구(10)와의 결합면 사이에 결합되는 밀폐부재(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적층홈(130)은 양측 내측면 각각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손잡이홈(132)이 형성된 파지부(1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플렉시블 호스(200)는 상기 밀폐부재(22)가 주입구(10)와 체결부재(20)의 사이에 결합될 때, 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주입구(10)와 밀폐부재(22)의 사이에 하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플렉시블 호스(200)는 하부 말단에 외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돌출부(31)를 구비하는 끼움부(32);와 끼움부(32)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고, 하부에 통기홀(34a)이 형성된 배출부(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31)는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돌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31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33)는 끼움부(32)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타측으로 돌출형성된 통기몸체(34)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몸체(34)의 하부에 통기홀(34a)이 형성된 확장부(35);와 확장부(35)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는 주름부(36); 및 주름부(36)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상부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면(37a)이 형성된 배출관(3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통기몸체(34)는 상부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2실링(40)(5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돌출부(31)의 가압돌기(31a)와 대응되어 형성된 가압홈(41)(5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3 내지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플렉시블 호스(200)가 결합되는 플라스틱통은 내용물이 배출되는 주입구(10)가 형성되되, 주입구(10)를 통하여 내용물이 배출될 때 외부의 공기가 플라스틱통으로 유입되는 통기구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서,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통의 상부에 손잡이(미표시)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이격되어 주입구(10)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플렉시블 호스(200)가 결합되는 플라스틱통은 별도의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입구(10)만을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시 주입구(10)로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고, 내용물의 배출시 사방으로 내용물이 튈 수 있어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를 위험에 노출 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구성 요소인 몸체(100)는
플라스틱통을 이루는 주요 구성으로서, 상부 일측 중앙에 손잡이(100)가 구비되고, 상부 타측 중앙에 주입구(10)가 구비되며, 내부에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보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100)는 도면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플렉시블 호스(200)가 끼움결합되는 수용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평상시 도면 6의 상부에 적층된 플라스틱통처럼 상기 수용홈(120)에 플렉시블 호스(200)를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시 주입구(10)에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수용홈(120)의 형태는 몸체(1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지만, 가장 간단하고 편리하게 플렉시블 호스(200)를 보관할 수 있도록, 도면에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형태를 이루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몸체(100)는 하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층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면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플라스틱통의 상부에 다른 하나의 플라스틱통이 안정적으로 적층됨으로써, 다수의 플라스틱통의 보관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적층홈(130)은 플라스틱통 즉, 몸체(100)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110)와 주입구(10)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손잡이(110)와 주입구(10)가 형성된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플라스틱통을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하나의 플라스틱통과 다른 하나의 플라스틱통이 반복적으로 엇갈리게 적층됨으로써, 좌우 충격에도 쉽게 쓰러지지 않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적층홈(130)은 양측 내측면 각각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손잡이홈(132)이 형성된 파지부(1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10)에 의해 손잡이(110)의 두께 즉,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적층홈(130)의 폭을 작게 만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흔들림에도 쉽게 파지부(134)의 말단이 손잡이(10)에 걸리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으로 적층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파지부(134)의 손잡이홈(132)은 적층홈(130)의 양측에 형성되는 파지부(134)에 모두 형성되어 사용자가 플라스틱통을 운반 또는 내용물을 배출시 안정적으로 플라스틱통을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구성 요소인 체결부재(20)는
상기 주입구(10)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홀(21)이 관통형성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플라스틱통의 주입구(10)에 결합되는 마개(미도시)를 제거한 후 주입구(10)의 외주연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마개와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홀(21)은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플렉시블 호스(200)의 하부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면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호스(200)가 결합홀(21)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되, 밀폐가 유지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 호스(200)의 하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체결부재(20)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통의 주입구(10)에 결합되는 마개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도면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0)의 하부로 인입되어 결합되되, 결합홀(21)을 폐쇄할 수 있는 밀폐부재(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폐부재(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이 형성되어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홀(21)을 폐쇄함으로써, 플렉시블 호스(200)가 평상시 몸체(100)의 수용홈(120)에 보관될 때, 주입구(10)의 마개와 같은 효과를 실현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구성 요소인 플렉시블 호스(200)는
상기 주입구(10)와 체결부재(20)의 사이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20)의 상부로부터 이격형성되는 통기홀(34a)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부 말단에 외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돌출부(31)에 의해 플라스틱통의 주입구(10)와 체결부재(20)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31)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통기홀(3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호스(200)는 도면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10)의 상부말단과 체결부재(20)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되, 체결부재(20)와 주입구(10)의 체결력을 조절하여 쉽게 회전됨으로써, 통기홀(34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플렉시블 호스(200)는 플라스틱통의 내용물 배출시 플라스틱통을 기울이는 상부로 통기홀(34a)을 위치시켜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플라스틱통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됨으로써, 플라스틱통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되고, 이에 따라 통기홀(34a) 및 체결부재(20)와 주입구(10)의 결합부위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호스(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기홀(34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후에 설명될 주름부(36)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려 사용함으로써, 플라스틱통의 내용물 배출시 통기홀(34a)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호스(200)는 하부 말단에 외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돌출부(31)를 구비하는 끼움부(32)와 끼움부(32)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고, 하부에 통기홀(34a)이 형성된 배출부(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끼움부(32)는 하부 말단에 외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주입구(10)의 상부직경 및 체결부재(20)의 내주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31)가 주입구(10)의 상부말단과 체결부재(20)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기밀이 유지되며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33)는 끼움부(32)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실현하고, 일측방향 즉, 이후에 설명될 통기몸체(34)의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됨으로써, 더욱더 효과적으로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을 누출 없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배출부(33)는 끼움부(32)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타측으로 돌출형성된 통기몸체(34)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몸체(34)의 하부에 통기홀(34a)이 형성된 확장부(35)와 확장부(35)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는 주름부(36) 및 주름부(36)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상부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면(37a)이 형성된 배출관(3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확장부(35)는 도면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방향 즉,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기울이는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통기몸체(34)를 구비함으로써, 통기몸체(34)에 형성된 통기홀(34a)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통기몸체(34)는 상부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내용물의 급작스런 배출시에도 내용물이 통기홀(34a)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통기홀(34a)은 도면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형성된 통기몸체(34)의 하부 즉,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의 배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더욱더 통기홀(34a)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부(36)는 확장부(35)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내용물을 원하는 곳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37)은 도면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부(36)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상부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면(37a)이 형성되어 주름부(36)를 통과한 내용물이 더욱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플렉시블 호스(200)는 도면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22)가 주입구(10)와 체결부재(20)의 사이에 결합될 때, 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주입구(10)와 밀폐부재(22)의 사이에 하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체결부재(20)의 밀폐부재(22)를 이용하여 결합홀(21)을 밀폐하는 한편,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제1,2실링(40)(50)에 의해 기밀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플렉시블 호스(200)를 플라스틱통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용홈(120)에 의해 플라스틱통 내부의 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주요구성 요소인 제1실링(40)은
주입구(10)와 플렉시블 호스(200)의 돌출부(31)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주입구(10)의 상부말단과 플렉시블 호스(200)의 돌출부(31)의 하부말단 사이로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실링(40)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실링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체결부재(20)가 주입구(10)와 결합될 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더욱더 효율적인 기밀성을 유지하여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구성 요소인 제2실링(50)은
플렉시블 호스(200)의 돌출부(31)와 체결부재(2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실링(40)과 마찬가지로 플렉시블 호스(200)의 돌출부(31)의 상부말단과 체결부재(20)의 상부 내측면 사이로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2실링(50)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실링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제1실링(40)과 같은 재질 즉,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체결부재(20)가 주입구(10)와 결합될 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더욱더 효율적인 기밀성을 유지하여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플렉시블 호스(200)의 돌출부(31) 즉, 끼움부(32)의 하부말단에 형성되는 돌출부(31)는 도면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돌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31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2실링(40)(50)을 더욱 효율적으로 가압하여 기밀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압돌기(31a)는 돌출부(31)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앙에 돌출형성되어 제1,2실링(40)(50)의 중앙을 가압함으로써, 제1,2실링(40)(50)이 가압되어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기밀성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2실링(40)(50)은 상기 가압돌기(31a)와 대응되도록 각각의 상부면과 하부면 즉, 제1실링(40)의 상부면과 제2실링(50)의 하부면에 가압홈(41)(51)이 형성되어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하고, 이때, 상기 가압홈(41)(51)은 가압돌기(31a)의 크기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가압돌기(31a)에 의해 제1,2실링(40)(50)이 충분히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체결부재(20)는 종래에 사용되는 주입구(10)에 결합되는 마개와 같은 재질의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플렉시블 호스(200)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주입구(10)와 체결부재(20)의 사이에 결합되어 기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한편,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체결부재(20)와 플렉시블 호스(200)의 내주면에는 기름 또는 화학성분의 내용물에 의해 쉽게 변질되지 않는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코팅제는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나며 가격이 저렴한 코팅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용 조성물은 실란 화합물 100~15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중 어느 하나의 알코올 70~120 중량부, 콜로이드 실리카 50~80 중량부, 불소수지 1~5 중량부, 경화촉매(트리메틸아민) 5~10 중량부의 비율로 조성한 코팅액을 사용한다. 이러한 코팅용 조성물은 본 발명에서 체결부재(20)와 플렉시블 호스(200)의 재질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때, 이러한 합성수지 성형물의 표면에 스프레이나 함침에 의해 간단히 코팅될 수 있고, 코팅된 후에는 충분한 내구성과 내화학성을 발휘하여 장기간 사용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코팅용 조성물은 발수성이 있으므로, 외부에서 수분이 침투하지 않아 내용물을 옮기는 도중 자동차에 들어가서는 안 되는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지해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란 화합물 100g, 에탄올 70g, 콜로이드 실리카 50g, 불소수지(PTFE) 2g, 트리메틸아민 6g으로 조성된 코팅용 조성물을 본 발명의 체결부재(20) 및 플렉시블 호스(200)에 스프레이 코팅한 후, KS D6711 기준의 연필경도 측정에서 8H 이상의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으며, 10%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700시간 침적시킨 후에도 코팅막의 손상이 없어 내화학성이 뛰어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0) 및 플렉시블 호스(200)의 표면에 스프레이로 물을 분사한 후 관찰하면 표면에 부착된 습기가 관찰되지 않아 발수성이 뛰어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상기 코팅용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생산단가의 상승 없이도 호스의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플렉시블 호스(200)를 내부에 보관하기 위해 상기 코팅용 조성물을 플렉시블 호스(200)의 외부에도 도파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합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능성 플라스틱통은 내용물을 배출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배출할 수 있도록 쉽게 구부러지고, 통기홀(34a)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한편,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체결부재(20)와 제1,2실링(40)(50) 및 플렉시블 호스(200)의 돌출부(31)를 이용하여 기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함으로써, 사용자가 플라스틱통의 내용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주입구 20 : 체결부재
21 : 결합홀 22 : 밀폐부재
200 : 플렉시블 호스 31 : 돌출부
31a: 가압돌기 32 : 끼움부
33 : 배출부 34 : 통기몸체
34a : 통기홀 35 : 확장부
36 : 주름부 37 : 배출관
37a : 경사면 40 : 제1실링
41,51 : 가압홈 50 : 제2실링
100 : 몸체 110 : 손잡이
120 : 수용홈 130 : 적층홈
132 : 손잡이홈 134 : 파지부

Claims (7)

  1. 상부 일측 중앙에 손잡이(110)가 구비되고, 상부 타측 중앙에 주입구(10)가 구비된 몸체(100);와
    상기 주입구(10)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상부에 결합홀(21)이 관통형성된 체결부재(20);와
    상기 주입구(10)와 체결부재(20)의 사이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20)의 상부로부터 이격형성되는 통기홀(34a)이 형성된 플렉시블 호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100)는 하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손잡이(110)와 주입구(10)가 형성된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층홈(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적층홈(130)은 양측 내측면 각각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손잡이홈(132)이 형성된 파지부(1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플렉시블 호스(200)는 하부 말단에 외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돌출부(31)를 구비하는 끼움부(32);와 끼움부(32)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고,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부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통기몸체(34)를 구비하며, 상기 통기몸체(34)의 하부에 형성되되 내용물의 배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통기홀(34a)이 형성된 확장부(35)를 구비하는 배출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플라스틱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플라스틱통은
    주입구(10)와 플렉시블 호스(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실링(40);과
    플렉시블 호스(200)와 체결부재(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실링(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플라스틱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플렉시블 호스(200)가 끼움결합되는 수용홈(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플라스틱통.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는
    주입구(10)와의 결합면 사이에 결합되는 밀폐부재(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플라스틱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호스(200)는
    상기 밀폐부재(22)가 주입구(10)와 체결부재(20)의 사이에 결합될 때, 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주입구(10)와 밀폐부재(22)의 사이에 하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플라스틱통.
KR1020160018396A 2016-02-17 2016-02-17 기능성 플라스틱통 KR101691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396A KR101691133B1 (ko) 2016-02-17 2016-02-17 기능성 플라스틱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396A KR101691133B1 (ko) 2016-02-17 2016-02-17 기능성 플라스틱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133B1 true KR101691133B1 (ko) 2016-12-29

Family

ID=5773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396A KR101691133B1 (ko) 2016-02-17 2016-02-17 기능성 플라스틱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1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48A (ko) 1997-02-26 1998-10-26 김광호 정전기 보호용 반도체 장치
KR19990038530A (ko) 1997-11-06 1999-06-05 윤종용 스캐너 램프 점등 제어 회로
JP2013052897A (ja) * 2011-09-02 2013-03-21 Suntory Shopping Club Ltd 液体注出具
KR20130059664A (ko) * 2011-11-29 2013-06-07 전영아 배출호스용 보관홈을 갖는 저장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48A (ko) 1997-02-26 1998-10-26 김광호 정전기 보호용 반도체 장치
KR19990038530A (ko) 1997-11-06 1999-06-05 윤종용 스캐너 램프 점등 제어 회로
JP2013052897A (ja) * 2011-09-02 2013-03-21 Suntory Shopping Club Ltd 液体注出具
KR20130059664A (ko) * 2011-11-29 2013-06-07 전영아 배출호스용 보관홈을 갖는 저장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8212C (zh) 具有可调整分配特征的溶剂识别瓶
US20140263436A1 (en) Container
US20060144875A1 (en) Flexible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product, and a process for making a liquid-filled, flexible container
EP3173151A1 (en) Handheld applicator suitable for gun valve containers
KR20090004924A (ko) 진공 저장 용기
BRPI0815844B1 (pt) dispensador, e, método para prender uma válvula em um recipiente
US5947319A (en) Paint can lid with wire handle engagement
EP3665098B1 (en) Front push tap
JP2007146834A5 (ko)
CN101292810A (zh) 具有自动封盖的化妆品分配器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TWI725586B (zh) 用於流體容器之多件配件
US9511908B2 (en) Vented insert for a liquid pouch fitment
KR101046327B1 (ko) 압력분사용기의 에어졸 밸브와 파우치를 연결하는 어댑터
JP2011063304A (ja) 詰替容器、詰替容器用注出口、流動体詰替機構
KR101691133B1 (ko) 기능성 플라스틱통
US11787620B2 (en) Valve holding device for pocket refill, pocket refill and refillable dispenser casing comprising same
US10926942B2 (en) Aerosol valve configurations
US20110168717A1 (en) Container for water-based paint
KR101621459B1 (ko) 플라스틱통용 플렉시블 호스
KR200451631Y1 (ko) 이중 구조의 저장용기
KR101780741B1 (ko) 플라스틱통용 플렉시블 호스
US20060175360A1 (en) Container with a surface storage cavity
US20180105330A1 (en) Snap cap with deep plug and seal overmold
CN109071098A (zh) 用于流体产品分配装置的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