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095B1 -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 - Google Patents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095B1
KR101691095B1 KR1020150055473A KR20150055473A KR101691095B1 KR 101691095 B1 KR101691095 B1 KR 101691095B1 KR 1020150055473 A KR1020150055473 A KR 1020150055473A KR 20150055473 A KR20150055473 A KR 20150055473A KR 101691095 B1 KR101691095 B1 KR 101691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vane
flow path
gas turbine
turbine blade
ben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4594A (ko
Inventor
조형희
최석민
정의엽
한솔
우타관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성일터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성일터빈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5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09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8Hollow blades, i.e. blades with cooling or heating channels or cavities; Heating, heat-insulating or cooling means on blades
    • F01D5/187Convection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8Hollow blades, i.e. blades with cooling or heating channels or cavities; Heating, heat-insulating or cooling means on blades
    • F01D5/187Convection cooling
    • F01D5/188Convection cooling with an insert in the blade cavity to guide the cooling fluid, e.g. forming a separation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6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 F02C7/18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the medium being gaseous,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24Rotors fo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20Heat transfer, e.g. cooling
    • F05D2260/205Cooling fluid recirculation, i.e. after cooling one or more components is the cooling fluid recovered and used elsewhere for othe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는 냉각 기체가 유입되는 제 1 유로, 냉각 기체가 유출되는 제 2 유로, 상기 제 1, 2 유로를 연결시키며, 내부에서 기체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곡관부, 및 상기 곡관부와 상기 제 1 유로가 만나는 지점부터 상기 곡관부와 제 2 유로가 만나는 지점에 걸쳐 설치되는 가이드베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Structure of discrete guide vane in the internal cooling channel to control local cooling performance on internal surface}
본 발명은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을 국소적으로 조절하여, 열부하의 편차에 따른 냉각 성능 조절을 통해 파손 방지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이드 베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발전, 항공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는 가스터빈은 그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온의 연소가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스터빈 블레이드는 고온의 연소가스에 노출되며, 고온에 의한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품이다. 이러한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파손 시, 기동 정지로 인한 손실뿐 아니라 안전성 면에서도 큰 위험이 따르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가스터빈 블레이드를 고온의 연소가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내부의 냉각유로를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내에는 유체가 급격한 회전을 하는 곡관부(18, 22)가 존재한다. 곡관부(18, 22)에는 유동이 잘 흐르도록 도와주는 가이드 베인(Guide Vane)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40) 구조를 적용하여 제 1, 2 유로의 내부 유동 형태를 실험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가이드 베인(40)은 'ㄴ'자 형태의 가이드베인(40)으로서 곡관부(300) 내부에 위치한다.
종래의 가이드 베인(40)은 곡관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동이 곡관부로 진입되는 제 1 유로뿐만 아니라 유동이 곡관부를 빠져나오는 제 2 유로에서도 흡입면과 압력면으로의 열전달이 대체로 대칭적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블레이드 표면이 국소적으로 다른 온도분포가 존재할 때, 냉각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없다.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 표면이 국소적으로 다른 온도분포가 존재할 때, 흡입면과 압력면이 냉각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이드베인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는 냉각 기체가 유입되는 제 1 유로; 냉각 기체가 유출되는 제 2 유로; 상기 제 1, 2 유로를 연결시키며, 내부에서 기체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곡관부; 및 상기 곡관부와 상기 제 1 유로가 만나는 지점부터 상기 곡관부와 제 2 유로가 만나는 지점에 걸쳐 설치되는 가이드베인;을 포함하고,상기 가이드베인은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곡관부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 1 절편부; 상기 제 2 유로와 상기 곡관부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 2 절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절편부 및 상기 제 2 절편부는 서로 단락되어 있고, 상기 제 1 절편부와 제 2 절편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 끝단은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며, 상기 제 1 절편부의 일측면이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압력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절편부의 일측면이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흡입면에 접하고, 상기 제 1 절편부의 일측면이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흡입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절편부의 일측면이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압력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 1 절편부와 제 2 절편부는 상기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압력면 또는 흡입면 측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C"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베인(400)의 폭(w1)은 곡관부(300)의 폭(w2)의 0.45 ~ 0. 55 배로 형성되어, 가이드베인(400)의 폭(w1)이 곡관부(300)의 폭(w2)을 대체로 절반 정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구체적으로는, 제 1 절편부의 일측면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압력면에 접해 있고 상기 제 2 절편부의 일측면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흡입면에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 1 절편부의 일측면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흡입면에 접해 있고 상기 제 2 절편부의 일측면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압력면에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외부 열부하가 압력면측에 높게 나타나는 경우는 상기 제 2 절편부의 일측면이 압력면에 접하여 설치되고,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외부 열부하가 흡입면측에 높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절편부의 일측면이 흡입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는 블레이드 표면이 국소적으로 다른 온도분포가 존재할 때, 흡입면과 압력면이 냉각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전체적인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 구조를 적용하였을 때, 제 1, 2 유로의 내부 유동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a), (b), (c), (d)는 본 발명의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a), (b), (c), (d)는 본 발명의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 구조를 적용하였을 때, 제 2 유로 내부 유동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종래 및 본 발명의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 구조를 적용하였을 때,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의 열전달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종래기술과의 비교/대조를 위한 보조요소로서 제 1, 2 유로에는 주 유동의 방향과 사선으로 요철(30)을 배치하여 이차적인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a), (b), (c), (d)는 본 발명의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300)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는 냉각 기체가 유입되는 제 1 유로(100), 냉각 기체가 유출되는 제 2 유로(200), 상기 제 1, 2 유로를 연결시키며, 내부에서 기체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곡관부(300) 및 상기 곡관부(300)와 상기 제 1 유로(100)가 만나는 지점부터 상기 곡관부(300)와 제 2 유로(200)가 만나는 지점에 걸쳐 설치되는 가이드베인(400)을 포함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ㄴ'자형 가이드베인(40)은 그 폭이 곡관부(300)의 폭과 대략 동일하고 곡관부(300)에 끼워진 형태로 내설된다. 따라서, 제 1 유로에서 기체가 유입되면 제 1 유로에서 열전달이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제 2 유로에서의 유동형태 또한 열전달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베인(400)의 폭(w1)은 곡관부(300)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가이드베인(400)의 폭(w1)이 곡관부(300)의 폭(w2) 보다 작으면, 추가적인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고 유동의 형태를 비대칭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베인(400)의 폭(w1)은 곡관부(300)의 폭(w2)의 0.45 ~ 0. 55 배로 형성되어, 가이드베인(400)의 폭(w1)이 곡관부(300)의 폭(w2)을 대체로 절반 정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b)는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400)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실시예의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400) 구조는 가이드베인(400)이 일체의 C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베인(400)의 일측면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압력면(20)에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실시예의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400) 구조는 가이드베인(400)이 일체의 C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베인(400)의 일측면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흡입면(10)에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여기서의 "C형"은 내부유로를 측면에서 보아 가이드베인(400)의 단면이 대략 알파벳 C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 여기서의 "일체(一體)"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한 몸"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c), (d)는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400)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은 제 1 유로(100)와 곡관부(300)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 1 절편부(410) 및 제 2 유로(200)와 곡관부(300)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 2 절편부(420)를 포함한다. 제 1 절편부(410) 및 제 2 절편부(420)는 서로 단락되어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의 제 1 절편부(410)의 일측면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압력면(20)에 접해 있고 상기 제 2 절편부(420)의 일측면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흡입면(10)에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의 제 1 절편부(410)의 일측면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흡입면(10)에 접해 있고 상기 제 2 절편부(420)의 일측면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압력면(20)에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a), (b), (c), (d)는 본 발명의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400) 구조를 적용하였을 때, 제 2 유로(200) 내부 유동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실시예(도 4a) 및 제 4 실시예(도 4d)의 경우, 제 2 유로(200) 내부에서 압력면(20)측에 형성된 대류 흐름의 크기가 흡입면(10)측에 형성된 대류 흐름의 크기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도 4b) 및 제 3 실시예(도 4c)의 경우, 제 2 유로(200) 내부에서 흡입면(10)측에 형성된 대류 흐름의 크기가 압력면(20)측에 형성된 대류 흐름의 크기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외부 열부하가 압력면(20)측에 크게 걸리는 경우에는, 제 1, 4 실시예의 가이드 베인 구조를 적용하고 외부 열부하가 흡입면(10)측에 크게 걸리는 경우에는 제 2, 3 실시예의 가이드 베인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가스터빈 블레이드 전체 냉각 성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종래 및 본 발명의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유로 및 가이드베인(400) 구조를 적용하였을 때, 제 1 유로(100) 및 제 2 유로(200)의 열전달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가로축은 차례대로 종래의 가이드베인(400) 구조, 제 3 실시예, 제 4 실시예,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이며, 세로축은 대류의 정도를 나타내는 Nusselt 수의 비이다.
제 1 유로(100)의 경우, 유동이 곡관부(300)를 지나기 전이므로 종래의 경우뿐만 아니라 모든 실시예에서 흡입면(10)과 압력면(20)측에서 Nusselt 수의 비가 거의 유사하여, 압력면(20)과 흡입면(10)으로의 열전달이 대칭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 2 유로(200)의 경우, 종래의 경우는 흡입면(10)과 압력면(20)측에서 Nusselt 수의 비가 거의 유사하지만 제 1, 4 실시예의 경우는 압력면(20)측의 Nusselt 수의 비가 흡입면(10)의 그것보다 높게 도출되어 흡입면(10)측보다 압력면(20)측의 열전달이 더욱 활발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2, 3 실시예의 경우는 흡입면(10)측의 Nusselt 수의 비가 압력면(20)의 그것보다 높게 도출되어 압력면(20)측보다 흡입면(10)측의 열전달이 더욱 활발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를 이용하여,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외부의 열부하가 압력면(20)측에 높게 나타는 경우는 제 1, 4 실시예의 가이드 베인 구조를 적용하고 외부의 열부하가 흡입면(10)측에 높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제 2, 3 실시예의 가이드 베인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냉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냉각 효율의 증대는 나아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파손 방지 및 수명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흡입면 20 : 압력면
30 : 요철 40 : 종래 가이드 베인
100 : 제 1 유로 200 : 제 2 유로
300 : 곡관부 400 : 가이드베인
410 : 제 1 절편부 420 : 제 2 절편부

Claims (10)

  1. 냉각 기체가 유입되는 제 1 유로;
    냉각 기체가 유출되는 제 2 유로;
    상기 제 1, 2 유로를 연결시키며, 내부에서 기체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곡관부; 및
    상기 곡관부와 상기 제 1 유로가 만나는 지점부터 상기 곡관부와 제 2 유로가 만나는 지점에 걸쳐 설치되는 가이드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베인은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곡관부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 1 절편부;
    상기 제 2 유로와 상기 곡관부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 2 절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절편부 및 상기 제 2 절편부는 서로 단락되어 있고,
    상기 제 1 절편부와 제 2 절편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 끝단은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며,
    상기 제 1 절편부의 일측면이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압력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절편부의 일측면이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흡입면에 접하고, 상기 제 1 절편부의 일측면이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흡입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절편부의 일측면이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압력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 1 절편부와 제 2 절편부는 상기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압력면 또는 흡입면 측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C"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베인의 폭(w1)은 상기 곡관부의 폭(w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55473A 2015-04-20 2015-04-20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 KR10169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473A KR101691095B1 (ko) 2015-04-20 2015-04-20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473A KR101691095B1 (ko) 2015-04-20 2015-04-20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594A KR20160124594A (ko) 2016-10-28
KR101691095B1 true KR101691095B1 (ko) 2016-12-29

Family

ID=5724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473A KR101691095B1 (ko) 2015-04-20 2015-04-20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240A (ko) 2018-03-14 2019-09-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고장 감지 장치, 가스터빈 및 고장 감지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2096A1 (en) * 2001-12-10 2005-02-24 Kenneth Hall Thermally loaded component
WO2008155248A1 (de) 2007-06-20 2008-12-24 Alstom Technology Ltd Kühlung der leitschaufel einer gasturbine
US20130259704A1 (en) * 2012-03-30 2013-10-03 Luzeng ZHANG Turbine cool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2405A (ja) * 1997-03-13 1998-09-22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却動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2096A1 (en) * 2001-12-10 2005-02-24 Kenneth Hall Thermally loaded component
WO2008155248A1 (de) 2007-06-20 2008-12-24 Alstom Technology Ltd Kühlung der leitschaufel einer gasturbine
US20130259704A1 (en) * 2012-03-30 2013-10-03 Luzeng ZHANG Turbine cool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240A (ko) 2018-03-14 2019-09-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고장 감지 장치, 가스터빈 및 고장 감지 방법
US11085815B2 (en) 2018-03-14 2021-08-10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Fault detecting apparatus, gas turbine, and method of detecting fau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594A (ko)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4763B2 (en) Turbine blade cooling system with bifurcated mid-chord cooling chamber
US7510367B2 (en) Turbine airfoil with endwall horseshoe cooling slot
US8668453B2 (en) Cooling system having reduced mass pin fins for components in a gas turbine engine
US8147196B2 (en) Turbine airfoil with a compliant outer wall
US7163373B2 (en) Vortex dissipation device for a cooling system within a turbine blade of a turbine engine
US9121291B2 (en) Turbine blade and gas turbine
US10577942B2 (en) Double impingement slot cap assembly
EP1870561A2 (en) Leading edge cooling of a gas turbine component using staggered turbulator strips
US20130223987A1 (en) Turbine Nozzle Insert
US10577936B2 (en) Mateface surfaces having a geometry on turbomachinery hardware
JP2010509532A (ja) タービン翼
US8920124B2 (en) Turbine blade with contoured chamfered squealer tip
US8465255B2 (en) Gas turbine blade and gas turbine having the same
US20170370232A1 (en) Turbine airfoil cooling system with chordwise extending squealer tip cooling channel
KR101691095B1 (ko)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곡관부 이후의 냉각 성능 국소 조절을 위한 가이드 베인 구조
US10619487B2 (en) Cooling assembly for a turbine assembly
JP6239127B2 (ja) 圧力降下が減じられたトリップストリップを有する内部冷却系を備えるタービン翼
US20120292856A1 (en) Blade outer seal for a gas turbine engine having non-parallel segment confronting faces
US20110033311A1 (en) Turbine Airfoil Cooling System with Pin Fin Cooling Chambers
CN105673087B (zh) 用于涡轮叶片平台-翼型件接头的冷却
KR101623303B1 (ko) 가스터빈용 블레이드 링 세그먼트
WO2015156816A1 (en) Turbine airfoil with an internal cooling system having turbulators with anti-vortex ribs
WO2016133513A1 (en) Turbine airfoil with a segmented internal wall
WO2016039716A1 (en) Insulating system for surface of gas turbine engine component
KR20210074667A (ko)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