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667A -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 Google Patents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667A
KR20210074667A KR1020190165621A KR20190165621A KR20210074667A KR 20210074667 A KR20210074667 A KR 20210074667A KR 1020190165621 A KR1020190165621 A KR 1020190165621A KR 20190165621 A KR20190165621 A KR 20190165621A KR 20210074667 A KR20210074667 A KR 20210074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vane
curved pipe
gas turbine
cooling
turbin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희
김태우
방민호
손호성
김선호
박희승
김정주
최승영
김진훈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5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4667A/ko
Publication of KR2021007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23Transition ducts between combustor cans and first stage of the turbine in gas-turbine engines; their cooling 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8Hollow blades, i.e. blades with cooling or heating channels or cavities; Heating, heat-insulating or cooling means on blades
    • F01D5/187Convection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20Heat transfer, e.g.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냉각을 위해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유동부 중 냉각유체의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곡관부에 설치되어 냉각유체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 베인에 있어서, 가이드 베인에 의한 곡관부 벽면의 냉각성능 불균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Guide Vane of Gas Turbine Blade}
본 발명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냉각을 위해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유동부 중, 냉각유체의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곡관부에 설치되어 냉각유체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에 관한 것이다.
가스터빈은 효율 증대를 위해, 고온의 연소가스를 사용하게 되며,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해 가스터빈의 블레이드는 고온에 지속적으로 노출된다. 이에 가스터빈의 블레이드는 지속적으로 고온에 노출됨으로써, 열해에 의한 손상 또는 파손될 우려가 높다.
가스터빈의 블레이드가 고온에 의한 열해에 따라 손상 또는 파손될 경우, 가스터빈의 적용되는 발전소, 항공기 등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의 교체 또는 수리에 의한 물적 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가스터빈은 블레이드의 내부에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유로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스터빈의 블레이드가 열해에 의한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에는 냉각유체(일반적으로 냉각가스)가 유동하는 냉각유로부가 형성되는데, 블레이드의 균일한 냉각을 위해 냉각유로부는 블레이드 내부에서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의 반복되도록 유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냉각유로부에는 냉각유체의 유동 흐름이 급격하게 변하는 곡관부(23)가 존재한다.
곡관부(23)는 냉각유로부 중 제1유로부(21)를 통해 냉각유체가 유입되어 곡관부(23)의 벽면에 충돌 후, 냉각유로부 중 제2유로부(22)를 통해 냉각유체가 배출되므로 원활한 냉각유체의 유동이 어렵다.
이에, 곡관부(23)의 곡관부 벽면(23-1)으로부터 전면으로 일정 이격되며, 제1유로부(21)와 만나는 위치로부터 제2유로부(22)와 대응되는 위치까지 일정 길이를 가지고 완곡되는 형상의 가이드 베인(10)을 설치함으로써, 가이드 베인(10)의 전면을 따라 냉각유체의 일부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여, 곡관부(23)에서 냉각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이드 베인(10)은 곡관부(23)에서의 냉각유체로 하여금 원할한 흐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나, 가이드 베인(10)의 후면인 곡관부 벽면(23-1)에서는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인 일측과,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타측 간의 냉각 성능이 불균일해지므로, 이에 따른 블레이드의 냉각 효율 저하와 함께, 블레이드의 손상 또는 파손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특허등록번호 9903209호(2018.02.2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냉각을 위해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유동부 중 냉각유체의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곡관부에 설치되어 냉각유체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 베인에 있어서, 가이드 베인에 의한 곡관부 벽면의 냉각성능 불균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은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로부와,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제2유로부 및, 상기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를 연결하되, 내부에서 냉각유체의 유동 방향이 전환되는 곡관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베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제1유로부와 만나는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유로부와 만나는 타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되, 상기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와 마주하는 전면과의 반대 방향인 곡관부 벽면 방향으로 완곡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베인몸체; 및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선택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전면과 후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전면으로 유동하는 냉각유체의 일부를 상기 곡관부 벽면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냉각제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제어홀의 길이 방향 중심은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길이 방향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제어홀의 길이 방향 중심은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길이 방향 중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제어홀은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제어홀은 상기 곡관부 벽면의 선택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제어홀은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은 가이드 베인에 의한 곡관부 벽면의 냉각성능 불균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은 곡관부에서의 냉각성능 불균형을 최소화하여 열해에 의해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은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손상 또는 파손을 최소화함으로써, 이에 적용되는 항공기, 발전소 등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은 곡관부 벽면에서의 냉각성능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구성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베인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브 베인을 평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가이드 베인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곡관부 벽면에서의 열전달 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가이드 베인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곡관부에서의 평균 열전달, 압력 손실 계수, 열 성능 계수를 비교한 도면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의 형상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브 베인을 평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100)은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의 곡관부(230)에 구비되는 가이드 베인(100)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로부(210),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제2유로부(220) 및,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를 연결하되, 유체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곡관부(230)에 있어서, 제1유로부(210)와 곡관부(230)가 만나는 지점부터 제2유로부(220)와 곡관부(230)가 만나는 지점에 걸쳐 형성되는 가이드 베인(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100)은 크게 가이드베인몸체(110)와, 냉각제어홀(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베인몸체(110)는 제1유로부(210)와 만나는 일측으로부터 제2유로부(220)와 만나는 타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되, 가이드베인몸체(110)는 제1유로부(210)와 제2유로부(220)와 마주하는 전면과의 반대 방향인 곡관부 벽면(231)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고 완곡되어 형성된다.
즉 가이드베인몸체(110)는 곡관부 벽면(231)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고 완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유로부(210)를 통해 유입된 냉각유체 중 일부가 가이드베인몸체(110)의 전면을 따라 제2유로부(220)를 통해 배출된다. 이는 냉각유체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곡관부(230)에서의 냉각유체가 원활하게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한다.
냉각제어홀(120)은 가이드베인몸체(110)의 선택되는 위치에 가이드베인몸체(110)의 전면과 후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유로부(210)를 통해 유입되어 가이드베인몸체(110)의 전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유체의 일부를 가이드베인몸체(110)의 후면 방향인 곡관부 벽면(231)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한다.
즉, 종래의 가이드 베인은 냉각유체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곡관부에 완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냉각유체가 급격한 흐름 변화에도 원활하게 제2유동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가이드 베인 후면 방향인 곡관부의 벽면에는 불규일한 냉각성능을 야기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종래의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곡관부에서는 제1유로부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유체가 제1유로부에 대응하는 곡관부 벽면의 일측에 충돌하고, 충돌 후 제2유로부로 터닝하여 유동함으로써, 곡관부 벽면에서의 냉각성능 차이가 발생한다. 곡관부 벽면에서의 불균일한 냉각성능은 열 응력을 초래하므로, 이에 따라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손상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100)은 가이드베인몸체(110)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냉각제어홀(120)을 포함하고, 냉각제어홀(120)을 통해 가이드베인몸체(110)의 전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유체의 일부를 곡관부의 벽면(231)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곡관부 벽면(231)에서의 제1유로부(210)에 대응하는 위치의 일측과 제2유로부(220)에 대응하는 위치의 타측 간 냉각성능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의 가이드 베인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곡관부 벽면에서의 열전달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곡관부 벽면에는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위치의 곡관부 벽면 일측(1st pass)이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위치의 곡관부 벽면 타측(2nd pass)보다 열전달이 잘 이루어진다. 즉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위치의 곡관부 벽면 일측(1st pass)이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위치의 곡관부 벽면 타측(2nd pass)보다 냉각성능이 높게 나타나며, 이는 곡관부 벽면의 일측과 타측 간 불균일한 냉각성능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100)의 구비된 곡관부의 벽면(231)에서는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위치의 곡관부 벽면(231) 일측(1st pass)으로 냉각유체가 유동하여 충돌함과 함께, 가이드베인몸체(110)의 전면에서 유동하는 냉각유체의 일부가 냉각제어홀(120)을 통해 가이드베인몸체(110) 후면 방향인 곡관부 벽면(231)으로 유동함으로써, 곡관부 벽면(231) 타측(2nd pass)에서의 냉각 성능이 증대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종래의 가이드 베인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곡관부에서의 평균 열전달, 압력 손실 계수, 열 성능 계수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곡관부에서는 종래의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곡관부보다 평균 열전달이 7.4% 향상됨이 나타났고, 도 6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곡관부에서는 종래의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곡관부보다 압력 손실이 증대되나, 도 6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곡관부에서는 종래의 가이드 베인이 구비된 곡관부보다 최종 열성능계수가 약 5%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의 형상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100)의 냉각제어홀(120)은 가이드베인몸체(110)의 길이 방향 중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곡관부 벽면(231)으로 유동하는 냉각유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의 (A)는 냉각제어홀의 길이 방향 중심이 가이드베인몸체의 중심에 위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와 도 4의 (C)는 냉각제어홀(120)의 길이 방향 중심이 곡관부 벽면(231) 일측 방향으로 일정 이동되어 형성되는 구성과 냉각제어홀(120)의 길이 방향 중심이 곡관부(231) 벽면 타측 방향으로 일정 이동되어 형성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D)와 도 4의 (E)는 냉각제어홀(120)의 길이 방향 일단이 가이드베인몸체(110)의 길이 방향 일단이 연통되도록 냉각제어홀(120)이 곡관부 벽면(231) 일측 방향으로 이동된 구성과, 냉각제어홀(120)의 길이 방향 타단이 가이드베인몸체(110)의 길이 방향 타단이 연통되도록 냉각제어홀(120)이 곡관부 벽면(231) 타측으로 이동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100)은 곡관부 벽면(231) 중 선택되는 방향으로 냉각제어홀(120)을 통해 유동하도록 다양한 위치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100)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제어홀(120)의 면적을 감소시키거나, 도 7의(C)와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제어홀(120)의 면적을 증대시키는 실시예를 수행함으로써, 곡관부 벽면(231)으로 유동하는 냉각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도 7의 (D)에 도시된 가이드 베인(100)의 경우, 곡관부 벽면(231)의 높이 방향으로의 면적 증대에 따라 높이 방향으로 고르게 냉각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높이 방향으로의 면적 증대에 따라 곡관부 벽면(231) 타측에서의 냉각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높이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가이드 베인 및 곡관부 벽면을 설명하기 위한 방향으로서, 실 예로는 블레이드 내부의 내부유로부로서 높이 방향으로 정의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100)은 냉각제어홀(120)이 가이드베인몸체(110)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가이드 베인(100)은 곡관부 벽면(231)의 타측으로만 냉각유체가 유동되도록 하는 것이 아닌, 곡관부 벽면(231)의 일측으로도 냉각유체 일부를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 베인(100)이 설치된 후면에서의 곡관부 벽면(231)의 냉각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100)은 도 9에 도시된 형상에 더해 냉각제어홀(120)이 가이드베인몸체(110)에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가이드 베인(100)은 곡관부 벽면(231)의 일측과 타측으로 고르게 냉각유체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곡관부 벽면(231)으로의 고른 유체 공급을 통해 냉각 성능을 고르게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된 사각형 형상의 냉각제어홀(120) 뿐만 아니라, 필요시에 원형의 냉각제어홀(120)을 다수 형성하여 고른 냉각 유체의 공급을 통해 냉각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냉각제어홀(120)은 곡관부 벽면(231)의 선택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곡관부 벽면의 일측과 타측으로 냉각유체를 공급하게 되면, 냉각 성능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바, 곡관부 벽면 일측에도 냉각유체를 일부 유동시키되, 상대적으로 더 많은 냉각유체를 곡관부 벽면의 타측으로 유동시키도록 냉각제어홀(120)이 곡관부 벽면의 타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실시예가 가능하여 곡관부 벽면(231)에서의 냉각 성능 증대와 함께, 곡관부 벽면(231)의 일측과 타측 간 냉각 성능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100)은 냉각제어홀(120)의 가이드베인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높이 방향은 상술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가이드 베인 및 곡관부 벽면을 설명하기 위한 방향으로서, 실 예로는 블레이드 내부의 내부유로부로서 높이 방향으로 정의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베인(100)은 냉각제어홀(120)이 가이드베인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곡관부 벽면(231)의 높이 방향으로의 냉각유체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곡관부 벽면(231)의 높이 방향의 냉각 성능의 불균일성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냉각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100)은 하나의 가이드베인몸체(110)에 다양한 형상 실시예를 가지는 냉각제어홀(120)을 형성함으로써, 곡관부 벽면(231)에서의 일측과 타측 간 냉각 성능 차이를 최소화함과 함께, 다양한 형상 실시예에 따라 곡관부 벽면(231)에서의 냉각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되는 형상을 가지는 냉각제어홀(120)을 가이드베인몸체(110)에 형성한 후, 블레이드 내부의 곡관부(230)에 가이드 베인(100)을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베인(100)을 설치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이드 베인(100)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ㅎ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가이드 베인
110 : 가이드베인몸체
120 : 냉각제어홀
210 : 제1유로부
220 : 제2유로부
230 : 곡관부
231 : 곡관부 벽면

Claims (6)

  1.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로부와,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제2유로부 및, 상기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를 연결하되, 내부에서 냉각유체의 유동 방향이 전환되는 곡관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베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제1유로부와 만나는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유로부와 만나는 타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되, 상기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와 마주하는 전면과의 반대 방향인 곡관부 벽면 방향으로 완곡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베인몸체; 및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선택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전면과 후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전면으로 유동하는 냉각유체의 일부를 상기 곡관부 벽면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냉각제어홀;을 포함하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어홀의 길이 방향 중심은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길이 방향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어홀의 길이 방향 중심은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길이 방향 중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어홀은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어홀은
    상기 곡관부 벽면의 선택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어홀은
    상기 가이드베인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KR1020190165621A 2019-12-12 2019-12-12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KR20210074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21A KR20210074667A (ko) 2019-12-12 2019-12-12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21A KR20210074667A (ko) 2019-12-12 2019-12-12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67A true KR20210074667A (ko) 2021-06-22

Family

ID=7660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621A KR20210074667A (ko) 2019-12-12 2019-12-12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46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3209B2 (en) 2013-12-20 2018-02-27 Ansaldo Energia Switzerland AG Rotor blade and guide vane airfoil for a gas turbine eng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3209B2 (en) 2013-12-20 2018-02-27 Ansaldo Energia Switzerland AG Rotor blade and guide vane airfoil for a gas turbine eng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5053B2 (en) Turbine blade cooling system having multiple serpentine trailing edge cooling channels
US7195458B2 (en) Impingement cooling system for a turbine blade
US8851848B1 (en) Turbine blade with showerhead film cooling slots
US8944763B2 (en) Turbine blade cooling system with bifurcated mid-chord cooling chamber
US20170089207A1 (en) Turbine airfoil cooling system with leading edge impingement cooling system and nearwall impingement system
EP2162598B1 (en) Turbine airfoil cooling system with rotor impingement cooling
US10030537B2 (en) Turbine nozzle with inner band and outer band cooling
US9341069B2 (en) Gas turbine
CN103104300A (zh) 膜孔沟槽
JP2012137089A (ja) タービン翼
US20150013345A1 (en) Gas turbine shroud cooling
KR102005546B1 (ko) 가스 터빈용 터빈 블레이드 내부 냉각채널 유로
US20150184537A1 (en) Interior cooling circuits in turbine blades
US7281895B2 (en) Cooling system for a turbine vane
WO2015157780A1 (en) Internal cooling system with insert forming nearwall cooling channels in an aft cooling cavity of a gas turbine airfoil including heat dissipating ribs
CN104791018A (zh) 具有涡流冷却通道的涡轮叶片及其冷却方法
EP2949865B1 (en) Fastback vorticor pin
KR102505046B1 (ko) 터빈 블레이드용 에어포일
US20170227222A1 (en) Impingement cooled wall arrangement
US10746027B2 (en) Blade airfoil for an internally cooled turbine rotor blad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210074667A (ko)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가이드 베인
US10006294B2 (en) Article and method of cooling an article
WO2015195088A1 (en) Turbine airfoil cooling system with leading edge impingement cooling system
KR100733383B1 (ko)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의 냉각유로 구조
US11047243B2 (en) Gas turbine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