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406B1 - Dual function bowel irrigation tool and system - Google Patents

Dual function bowel irrigation tool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406B1
KR101690406B1 KR1020150030377A KR20150030377A KR101690406B1 KR 101690406 B1 KR101690406 B1 KR 101690406B1 KR 1020150030377 A KR1020150030377 A KR 1020150030377A KR 20150030377 A KR20150030377 A KR 20150030377A KR 101690406 B1 KR101690406 B1 KR 101690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tool
long
control unit
suct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7525A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50030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406B1/en
Publication of KR2016010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5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4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83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at least two inner passageways, a first one for irrigating and a second for evacu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61M1/774Handpiece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suction as well as irrigation, either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배출과 흡입 두 가지 기능을 하는 장 세척도구에 있어서, 유압과 유로방향 조절이 가능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관체; 상기 관체에 연결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와 연결된 튜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체는 내부에 분리되어 형성된 흡입통로 및 배출통로와 일 단부에 형성된 안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배출통로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상기 배출통로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분사형태를 결정하는 장 세척도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서, 유체의 분사 형태 및 분사되는 강도가 조절가능하여, 장 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장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term cleaning tool having two functions of discharging fluid and sucking, which is a mechanism capable of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flow direction, comprising: a tubular body; A handle coupled to the tubular body; And a tube portion connected to the handle, wherein the tube body includes a suction passage and a discharge passage separately formed therein and a guide means formed at one end, the guide means being in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discharge passage, A long-term cleaning tool for determining the shape of an ejected fluid. In this way, the spraying shape of the fluid and the intensity of spraying can be adjusted to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intestines and to wash the inside of the intestines.

Description

이중기능을 갖는 장 세척도구 및 시스템{Dual function bowel irrigation tool and system}{Dual function bowel irrigation tool and system}

본 발명은 이중기능을 갖는 장 세척도구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체 배출과 흡입 두 가지 기능을 하는 장 세척도구에 있어서, 유압과 유로방향 조절이 가능한 도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term cleaning tool and system having dual functio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ng-term cleaning tool having two functions of fluid discharge and suction.

일반적으로 장을 세척해야하는 경우들이 수술 중이나 수술전에 많이 발생한다. 특히, 장을 세척할 때 장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향해 유체를 분사한 후 석션을 통해 이물질과 유체가 섞인 물질을 흡입시키는 과정을 통해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Generally, cases requiring the cleansing of the bowel occur during surgery or before surgery. Particularly, when cleaning the intestine, the fluid may be sprayed toward the inside of the intestines, and then the substance may be washed through a process of sucking the substance containing the foreign substance and the fluid through the suction.

종래 기술 중에 이러한 세척도구로서는 예를 들면 미국공개특허 제2005-0256464호가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05-0256464호는 수술 전에 결장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척액이 통과하는 원통형 몸체, 스트레이너가 구비된 몸체의 말단부,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부재를 포함한다. One such cleaning tool in the prior art is, for example, US-A-2005-0256464. US Patent Publication No. 2005-0256464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leaning the interior of a colon prior to surgery, which includes a cylindrical body through which a washing liquid passes, a distal end of a body provided with a strainer, and a suction member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이와 같이 세척액이 통과하는 몸체와 흡입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배변과 같은 장 내부의 이물질도 장으로부터 배출시키면서 세척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도구는 장 내부에서 세밀한 세척이 필요하거나 집중적인 유체의 분사가 필요할 경우에는 비효율적이며, 많은 유체가 흘러야지만 원하는 세척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 By providing the body and the suction member through which the cleaning liquid passes, it is possible to clean foreign substances in the intestines such as defecation while discharging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ntestines. However, such a tool is inefficient when fine cleaning is required inside the intestine or intensive fluid injection is required,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a desired cleaning result can be obtained even if a large amount of fluid flows.

또 다른 예로서, 국내공개특허 제2010-0046649호가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10-0046649호와 같은 경우에는, 환자가 혼자서 배변을 해결할 수 없는 경우에 배변을 직장 내에서 직접 흡입하여 배설시켜줄 수 있는 배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구성에 있어서, 인체의 직장 내로 투입 가능하도록 자유 굴곡이 가능한 관 형태의 노즐부와, 노즐부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 및 노즐부의 흡입구를 개폐하거나 노즐부가 직장 내벽에 밀착 또는 이탈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부 등을 포함한다.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46649. In the case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46649,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ecation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inhaling and excreting defecation directly in the rectum when the patient can not solve the defecation alone. In this configuration, a tube-shaped nozzle part capable of being freely bendable so as to be able to enter into the rectum of a human body, a suction part connected to the nozzle part to provide suction force, and a suction part for opening or closing the suction port of the nozzle part, A pressure portion for providing pressure, and the like.

다만, 이와 같은 구성은 수술중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직장 내벽이 아닌, 개복수술이나 복강경을 통한 장 세척이 요구될 시에는 사용하기 부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어 한계가 있다. However, such a configuration is not suitable for use in an operation, and when the laparoscope is used instead of the inner wall of the rectum, it is inadequate to use the laparoscope.

이와 같이 이물질의 제거 및 장 내부의 세척을 위한 다양한 도구들이 종래에 개시되어 있으나, 특별히 개복 수술이나 복경강을 통한 수술에서 용이하게 특정 지점을 향하여 유체를 분사하거나 유압을 활용하여 용이하게 세척을 할 수 있는 장 세척 도구가 없어, 이러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Various tool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nd cleaning the interior of the intestine have been conventionally disclosed. However,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spray the fluid toward a specific point easily or to easily wash the fluid by using hydraulic pressure This technique is needed because there is no washing tool available.

USUS 2005-02564642005-0256464 A1A1 KRKR 2010-00466492010-0046649 A1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보다 구체적으로, 장 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장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유체의 분사 형태 및 분사되는 강도가 조절가능한 장 세척 도구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More particular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ng-term cleaning tool and system in which foreign matter in the intestine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 shape of the fluid and the intensity of the jet can be adjusted so that the inside of the intestine can be cleaned.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개복 수술 또는 복강경 수술 중에 장 내의 특정 부위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도구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l and a system that can easily clean a specific site in a field during a laparoscope operation or a laparoscopic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서, 관체(100); 상기 관체(100)에 연결된 손잡이(200); 상기 손잡이(200)와 연결된 튜브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관체(100)는 내부에 분리되어 형성된 흡입통로(110) 및 배출통로(120)와 일 단부에 형성된 안내수단(121)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수단(121)은 상기 배출통로(12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상기 배출통로(12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분사형태를 결정하는 장 세척도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bular body 100; A handle 200 connected to the body 100; The tubular body 100 includes a suction passage 110 and a discharge passage 120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guide unit 121 formed at one end of the tubular body 100. The tubular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handle 200, Wherein the guiding means (121) is in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discharge passage (120) to determine a spray shap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ssage (120).

또한, 상기 안내수단(121)은 상기 관체(100)의 단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means 121 is movable so as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end of the tube 100.

또한, 상기 안내수단(121)은 다수 개의 소정의 곡률을 갖는 부재들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means 12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또한, 상기 손잡이(200)는 일 측에 형성된 흡입조절부(210) 및 배출조절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수단(121)은 상기 배출조절부(220)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200 may include a suction control unit 210 and a discharge control unit 220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200. The guide unit 121 may be moved by the discharge control unit 220 .

또한, 상기 배출조절부(22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배출통로(120)를 통해 물질이 배출되며, 상기 배출조절부(2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안내수단(121)의 형상이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the discharge control unit 220 is pressed, the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20, and the shape of the guide unit 121 is changed as the discharge control unit 220 is rotated .

또한, 상기 안내수단(121)은 다수 개의 소정의 곡률을 갖는 부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재들은 상기 배출조절부(220)가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guide unit 1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mbers having predetermined curvatures, and the members may be sequentially rot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discharge control unit 220.

또한, 상기 배출조절부(220)의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배출되는 물질의 압력이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d substan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control unit 220.

또한, 상기 안내수단(12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안내면(12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o include a guide surface 122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guide means 121.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는 복강경 수술도구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testinal irri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laparoscopic surgical instrument.

본 발명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와, 상기 튜브부(300)와 연통하여 상기 튜브부(3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A long wash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inside the tube unit 300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e unit 300.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강경 세척도구의 손잡이(200)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be operated by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from the handle 200 of the laparoscopic washing tool.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 세척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하면, 유체의 분사 형태 및 분사되는 강도가 조절가능하여, 장 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장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ong-term cleaning tool and the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jection form of the fluid and the intensity of the jet can be adjust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 the intestines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 inside of the intestines can be cleaned.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개복 수술 또는 복강경 수술 중에 장 내의 특정 부위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 specific site in the intestines can be easily cleaned during an open surgery or laparoscopic surge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의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의 관체에서 안내수단이 관체 내부로 위치된 경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의 관체에서 안내수단이 관체 외부로 위치된 경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의 관체에서 안내수단이 관체 내부로 위치된 경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의 관체에서 안내수단이 관체 외부로 위치된 경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의 관체에서 안내수단이 관체 외부로 위치된 경우에서 제1 형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의 관체에서 안내수단이 관체 외부로 위치된 경우에서 제2 형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ng-term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ndle of a long-term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where guiding means is located inside a tube in a tube body of a long-term wash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where guiding means is located outside the tubular body in the tubular body of the intestinal washing to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tubular body of a long-term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guiding means is located inside the tubular body.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guiding means is located outside the tubular body in the tubular body of the long-neck washing to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in a case where guiding means is located outside the tube body in the tube body of a long-term wash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in a case where guiding means is located outside the tubular body in the tubular body of the long-neck wash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장 세척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가능하다.The long-term clean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ystem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tegrally or individually as needed. In addition,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usage form.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장 세척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owel wash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to 6, the overall structure of a long-term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00), 관체(100)에 연결된 손잡이(200), 및 손잡이(200)와 연결된 튜브부(300)를 포함한다.1 and 2, a long-term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ular body 100, a handle 200 connected to the tubular body 100, and a tube portion 300 connected to the handle 200. [ .

도 2를 참조하여 손잡이(200) 및 튜브부(300)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handle 200 and the tube portion 300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손잡이(200)의 일측은 관체(100)와 연결되고 타측은 튜브부(300)와 연결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200)는 흡입조절부(210) 및 배출조절부(220)를 포함한다. One side of the handle 200 is connected to the tube 1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tube 300. The handle 200 includes a suction controller 210 and a discharge controller 220 .

흡입조절부(210)는 흡입통로(110)에 제공되는 흡입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가압됨으로써 흡입튜브(310)로부터 흡입력을 흡입통로(11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조절부(220)는 배출통로(120)에 제공되는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는 것으로, 가압됨으로써 배출튜브(320)로부터 유체가 유체통로(120)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suction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suction force provided to the suction passage 110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suction force from the suction tube 310 to the suction passage 110 by being pressurized. The discharge regulator 2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regulate the flow of fluid provided to the discharge passage 120 such that fluid is delivered from the discharge tube 320 to the fluid passage 120 by being pressurized.

배출조절부(220)는 가압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조절될 수 있으며,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유체가 분사되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조절부(220)는 안내수단(121)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안내수단(121)과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regulating unit 220 may be pressurized to regulate the flow of the fluid, and may be formed so that the pressure at which the fluid is injected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urization. The discharge control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guiding unit 121 so as to change the shape of the guiding unit 121.

튜브부(300)는 각각 흡입통로(110) 및 배출통로(120)와 연통하며 손잡이(200)와 연결된 흡입튜브(310) 및 배출튜브(320)를 포함한다. 흡입튜브(310)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장치와 연결되며, 배출튜브(320)는 유체와 유체에 작용할 수 있는 압력을 제공하는 장치와 연결된다. The tube portion 300 includes a suction tube 310 and a discharge tube 320 connected to the handle 2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110 and the discharge passage 120, respectively. The suction tube 310 is connected to a device that provides a suction force, and the discharge tube 320 is connected to a device that provides a pressure that can act on fluid and fluid.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여 관체(100)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관체(100)는 내부에 분리되어 형성된 흡입통로(110) 및 배출통로(120)와, 관체(100)의 일 단부에 형성된 안내수단(121)을 포함한다. 3 and 4, the tub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tubular body 100 includes a suction passage 110 and a discharge passage 120 separately formed therein and a guide means 121 formed at one end of the tubular body 100.

본 발명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의 단부가 세척이 필요한 장 내부에 위치되면 흡입통로(110)를 통하여 장 내부의 이물질이 흡입되어 제거가 가능하다. 흡입통로(110)는 튜브부(300)의 흡입튜브(310)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통로(110)를 형성하는 흡입관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으로서 관체(100) 내부에 수용되고, 관체(100)의 내측과 흡입관의 외측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통로(110)를 형성하는 흡입관은 관체(100) 내부에서 관체(10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end of the long intestinal irrig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inside the intestine requiring clean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intestine can be sucked and removed through the inhalation passageway (110). The suction passage 110 is preferably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tube 310 of the tube portion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pipe forming the suction passage 110 is accommodated in the tube 100 as a tub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inside of the tube 100 and the outside of the suction tube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pipe forming the suction passage 110 is a tube formed to be slidable forward and rearward of the tube 100 within the tube 10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통로(110)를 통해 흡입이 이루어질 경우에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루어져서 이물질이 흡입튜브(310)를 거쳐 장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흡입통로(11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흡입통로(110) 내측에 개폐수단(11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su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10, it is preferable that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through the suction tube 310 to the outside of the room. Closing means 111 may be formed inside the suction passage 110 so as to close the suction passage 110 when the suction is not performed.

개폐수단(111)의 흡입통로(110)의 내측 일부에 형성되어 흡입통로(110) 내측으로 흡입조절부(210)이 작동함에 따라 흡입통로(11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수단(111)에 흡입력이 작용할 경우에 흡입력에 의해 흡입통로(110) 내측으로 개폐수단(111)이 개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수단(111)에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밸브 형태의 개폐수단일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passage 110 is formed in an inner part of the suction passage 110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11 so as to open or close the suction passage 110 as the suction adjusting section 210 operates inside the suction passage 110 Do.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 closing means 111 is formed to be openable to the inside of the suction passage 110 by a suction force when a suction force acts on the opening / closing means 111. Further, it may be a valve-type opening / closing means capable of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when no suction force acts on the opening / closing means 111.

배출통로(120)는 흡입통로(110)와 분리되어 형성되어 생리식염수나 세척수와 같은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배출조절부(220)에 의해 배출튜브(320)로부터 유체가 배출통로(120)로 유입되어 장 내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통로(120)는 흡입통로(110)를 형성하는 흡입관의 외측과 관체(100)의 내측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charge passage 12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suction passage 110 and may be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a fluid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or washing water can flow. Fluid can be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assage 120 from the discharge tube 320 by the discharge regulating portion 220 and discharged into the chamber. At this time, the discharge passage 120 is preferably a space form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suction pipe forming the suction passage 110 and the inside of the tube 100.

안내수단(121)은 배출통로(12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배출통로(12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분사형태를 결정하는 것으로, 흡입통로(110)를 형성하는 흡입관의 일 단부와 연결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수단(121)은 흡입통로(110)를 형성하는 흡입관의 일 단부와 연결됨으로써 흡입관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안내수단(121)도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여 관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한편으로, 안내수단(121)과 흡입관의 결합관계에 있어서 다른 변형예들이 가능하나, 안내수단(121)은 관체(100)의 단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ing means 121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ction pipe forming the suction passage 110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fluid to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ssage 120 in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discharge passage 120, . The guiding means 12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ction pipe forming the suction passage 110 so that the guiding means 121 slidingly moves together with the suction pipe as it slides so as to be protruded outside the tubular body 100 .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ing means 121 is movable so as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end portion of the tube 100, although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upling relation between the guiding means 121 and the suction pipe.

안내수단(121)이 관체(100)의 단부의 내측으로 위치할 경우에는, 배출통로(120)를 통과하는 유체가 그대로 관체(100)의 내측 표면과 흡입관 및 적어도 일부 안내수단(121)의 외측 표면을 따라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체가 배출되는 방향인 유로방향 B의 일직선상의 분사가 가능하다. 이때 안내수단(121)이 관체(100)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이동되면, 안내수단(121)의 형태에 따라 유체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수단(121)의 굴곡진 표면을 따라 넓은 영역으로의 분사가 가능하다.When the guiding means 121 is positioned inside the end portion of the tube 100,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20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100 and the suction pipe and the outside of at least part of the guiding means 121 Can be sprayed along the surfa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ject on a straight line in the flow direction B, which is a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is substantially discharge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when the guiding means 121 is moved outwardly from the end of the tubular body 100,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guiding means 121, the fluid flows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guiding means 121 It is possible to inject into a large area.

이때 안내수단(121)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금속, 합금 또는 합성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료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관체(100) 내부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ing means 121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alloy or synthetic plastic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thus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the tube 100.

또한, 안내수단(121)은 다수 개의 소정의 곡률을 갖는 부재들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수단(121)의 굴곡진 표면에 따라 배출통로(120)로부터 유동되는 유체의 분사 형태가 형성되며, 분사 형태에 따라 유체가 한 곳으로 집중되어 분사되거나 넓은 영역에 분사될 수도 있다. 이때 안내수단(121)이 다수 개의 소정의 곡률을 갖는 부재들로 형성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00)의 직경보다 큰 영역에 걸친 분사가 가능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00)의 직경보다 작은 영역에 집중된 분사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유압과 유체가 흐르는 방향인 유로방향 B의 조절이 가능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ing means 121 comprises a plurality of members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shape of the fluid flowing from the discharge passage 120 is forme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guiding means 121 and the fluid may be concentrated to one location or may be sprayed over a wide area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pray. At this time, since the guide means 121 is formed of a plurality of members having predetermined curvatures, it is possible to spray over an area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ube 100 as shown in FIG. 7,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injection focused on the area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nozzle 1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low direction B,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fluid flow.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 세척도구의 관체(100)의 일 단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들이다. 도 7은 안내수단(121)이 관체(100) 외부로 위치된 경우에서 제1 형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8은 안내수단(121)이 관체(100) 외부로 위치된 경우에서 제2 형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FIGS. 7 and 8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one end of the tubular body 100 of the long-term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guiding means 121 is located outside the tubular body 100 and Fig.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guiding means 121 when the guiding means 121 is located outside the tubular body 100, Fi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 세척도구의 안내수단(121)은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안내면(12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면(122)은 내구성이 양호한 얇은 가요성의 막으로 형성되어 안내수단(121)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면(122) 감싸져 있음으로써 배출통로(120)를 통과하는 유체와 같은 물질의 분사형태가 더 용이하게 조절이 될 수 있다.The guiding means 121 of the intestinal irrigation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guiding surface 122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surface 122 is formed of a thin flexible film having good durability an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guide means 121. [ By wrapping the guide surface 122, the form of injection of a substance such as fluid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20 can be more easily adjusted.

안내수단(121)은 다수 개의 소정의 곡률을 갖는 부재들로 이루어지며, 부재들은 배출조절부(220)가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각각의 안내수단(121)의 일부는 흡입통로(110)를 형성하는 흡입관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조절부(220)가 회전되면서 순차적으로 안내수단(121)의 부재들이 회전되어 각각의 곡률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이 도 7의 형상으로부터 도 8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The guiding unit 12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 members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equentially rot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discharge regulating unit 220. For example, a part of each guiding means 121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a suction pipe forming the suction passage 110, so that the discharge regulating unit 220 is sequentially rotated, The shape of each member formed by the respective curvatures may be changed from the shape of FIG. 7 to the shape of FIG.

상술된 바와 같은 장 세척도구는 복강경 수술도구인 것이 바람직하며, 복강격 수술시에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장으로부터 제거하고 장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는 튜브부(300)와 연통하여 튜브부(3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The long-term cleaning tool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a laparoscopic surgical instrument, and effectively removes foreign matter from the bowel and cleans the inside of the bowel during the abdominal operation. The long-term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ystem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ressure inside the tube unit 300 by communicating with the tube unit 300.

또한, 시스템은 흡입력을 제공하는 장치, 유체를 제공하는 장치, 유체에 작용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통하여서 사용자가 흡입튜브(310)에 의한 흡입력 또는 배출튜브(320)로부터 배출통로(120)로 전달되어 분사되는 물질의 압력 및 분사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suction force,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flui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pressure acting on the fluid, and the like. Through such a system, the user can control the suction force by the suction tube 310 or the pressure and the injection shape of the substance to be delivered to the discharge passage 120 from the discharge tube 320.

더 나아가, 제어부는 장 세척도구의 손잡이(200)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200)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격으로도 직접 흡입력과 분사되는 유체에 작용하는 압력, 즉 유압을 조절할 수 있다. 손잡이(200) 상에는 이러한 조절이 더 용이하도록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는 적외선 모듈과 연결된 버튼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is operated by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from the grip 200 of the intestinal flushing tool. Since the infrared signal can be received from the handle 200,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direct suction force and the pressure acting on the fluid to be sprayed, that is, the hydraulic pressure. On the handle 200, a button connected to an infrared module for transmitting an infrared signal may be further formed to facilitate the adjustment.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르는 장 세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하여서 더 용이한 장 내의 세척 작업이 가능하다.
Through the intestinal cleansing apparatus and the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easier intestinal cleansing operation.

100: 관체
110: 흡입통로
111: 개폐수단
120: 배출통로
121: 안내수단
122: 안내면
200: 손잡이
210: 흡입조절부
220: 배출조절부
300: 튜브부
310: 흡입튜브
320: 배출튜브
100: tubular body
110: suction passage
111: opening / closing means
120: discharge passage
121: Guide means
122: guide surface
200: Handle
210:
220:
300: tube portion
310: Suction tube
320: discharge tube

Claims (11)

관체(100);
상기 관체(100)에 연결된 손잡이(200);
상기 손잡이(200)와 연결된 튜브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관체(100)는 내부에 분리되어 형성된 흡입통로(110) 및 배출통로(120)와 일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체(100)의 단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이동가능한 안내수단(121)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수단(121)은 상기 배출통로(12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상기 배출통로(12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분사형태를 결정하는,
장 세척도구.
A tubular body 100;
A handle 200 connected to the body 100;
And a tube portion (300) connected to the handle (200)
The tubular body 100 includes a suction passage 110 and a discharge passage 120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guide means 121 formed at one end and movable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end of the tubular body 100 ≪ / RTI &
The guide means (121) is adapted to contact at least a part of the discharge passage (120)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discharg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ssage (120)
Long cleaning too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121)은 다수 개의 소정의 곡률을 갖는 부재들로 이루어진,
장 세척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ans 121 comprises a plurality of members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Long cleaning to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0)는 일 측에 형성된 흡입조절부(210) 및 배출조절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수단(121)은 상기 배출조절부(220)에 의해 이동되는,
장 세척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200 includes a suction control unit 210 and a discharge control unit 220 formed on one side thereof,
The guide unit 121 is moved by the discharge control unit 220,
Long cleaning too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절부(22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배출통로(120)를 통해 물질이 배출되며, 상기 배출조절부(2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안내수단(121)의 형상이 달라지는,
장 세척도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charge control unit 220 discharges the material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20 as the discharge control unit 220 is pressed and the shape of the guide unit 121 changes as the discharge control unit 220 rotates.
Long cleaning too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121)은 다수 개의 소정의 곡률을 갖는 부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재들은 상기 배출조절부(220)가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회전하는,
장 세척도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means 121 comprises a plurality of members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 members are sequentially rot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discharge control unit 220,
Long cleaning too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절부(220)의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배출되는 물질의 압력이 달라지는,
장 세척도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d material chang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control unit 220,
Long cleaning to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12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안내면(122)을 포함하는,
장 세척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uide surface (122)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said guide means (121)
Long cleaning tool.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가 복강경 수술도구인,
장 세척도구.
A long-term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8,
Long cleaning tool.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장 세척도구와, 상기 튜브부(300)와 연통하여 상기 튜브부(3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A long flushing too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a control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inside the tube part (300)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e part (300).
syste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 세척도구의 손잡이(200)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되는,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nfrared signal from the grip 200 of the long-
system.
KR1020150030377A 2015-03-04 2015-03-04 Dual function bowel irrigation tool and system KR1016904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377A KR101690406B1 (en) 2015-03-04 2015-03-04 Dual function bowel irrigation tool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377A KR101690406B1 (en) 2015-03-04 2015-03-04 Dual function bowel irrigation tool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25A KR20160107525A (en) 2016-09-19
KR101690406B1 true KR101690406B1 (en) 2016-12-27

Family

ID=5710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377A KR101690406B1 (en) 2015-03-04 2015-03-04 Dual function bowel irrigation tool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4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69B1 (en) * 2019-02-21 2021-04-08 한정민 Apparatus inducing defecation for a serious case
CN112690750A (en) * 2021-01-12 2021-04-23 上海海慧生物科技有限公司 Clean device of fiberoptic bronchoscope respiratory track ti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8134A (en) 2005-12-05 2009-05-07 ポッシス 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Exhaust pressure actuated balloon catheter system
US20110092892A1 (en) * 2008-04-08 2011-04-21 Jetprep Ltd. Body passage cleansing device
US20120101336A1 (en) * 2009-05-27 2012-04-26 Yoav Hirsch Endoscopic system with fluid cleaning
US20140005602A1 (en) * 2012-06-29 2014-01-02 Dentsply International Inc. Motorized irrig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8352B1 (en) 2002-04-11 2004-07-16 Gilbert Pallas COLON WASHING APPARATUS DURING OPEN BELLY AND CLOSED COLON SURGERY
KR20100046649A (en) 2008-10-28 2010-05-07 큐렉소 주식회사 Apparatus for evacu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8134A (en) 2005-12-05 2009-05-07 ポッシス 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Exhaust pressure actuated balloon catheter system
US20110092892A1 (en) * 2008-04-08 2011-04-21 Jetprep Ltd. Body passage cleansing device
US20120101336A1 (en) * 2009-05-27 2012-04-26 Yoav Hirsch Endoscopic system with fluid cleaning
US20140005602A1 (en) * 2012-06-29 2014-01-02 Dentsply International Inc. Motorized irrig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25A (en)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10351B2 (en) Colonic cleansing device
JP5735908B2 (en) Body passage cleaning device
JP2009504302A (en) Endoscope fluid supply device
US20100256447A1 (en) Virtual channel enabling device for use in endoscopic instrument insertion and body cavity cleansing
US20120101337A1 (en) Endoscope cleaner
US20070082317A1 (en) Atomization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a human cavity tissue
CN105377116A (en) Rigid head for a body passage device
JP5663602B2 (en) Catheter for performing image-based colonoscopy
KR20080043771A (en) Improved control system for supplying fluid medium to endoscope
KR20070002158A (en) Bidet for toilet pan
EP1491223A1 (en) A device and method for rectal lavage
JP2003010324A (en) Colon irrigation apparatus and method
CN207462044U (en) Lens device is wiped in a kind of flushing of hysteroscope camera lens
CN1083671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shing
KR101690406B1 (en) Dual function bowel irrigation tool and system
KR101421477B1 (en) Medical instrument for cleaning large intestine
US9872612B2 (en) Endoscope reprocessor
JP2005000567A (en) Observation window cleaning device for endoscope
KR20020038662A (en) Endoscop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ction and irrigation
JP3954387B2 (en) Endoscope cleaning water injection device
KR200288827Y1 (en) Endoscope apparatus for processing suction and irrigation
WO2010140977A1 (en) Vagina cleaning device
KR200399990Y1 (en) Bidet for Toilet Pan
JP3267400B2 (en) Endoscope with air supply connector
JPWO2016194456A1 (en) Endoscope re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