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374B1 -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0374B1 KR101690374B1 KR1020140155559A KR20140155559A KR101690374B1 KR 101690374 B1 KR101690374 B1 KR 101690374B1 KR 1020140155559 A KR1020140155559 A KR 1020140155559A KR 20140155559 A KR20140155559 A KR 20140155559A KR 101690374 B1 KR101690374 B1 KR 1016903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upply
- housing
- power
- frame
- connec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81 depr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라인 타입 조명장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라인 타입 조명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이 마련되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양 측면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일측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타측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와 맞물려 결합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type lighting apparatus, wherein a line-typ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ne-type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a pair of spaced-apart And a power supply line dispos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and adapted to be powered by a power supply line and fixed to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And a line type lighting modu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having a power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to receive power and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is elastically supported at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through the opening, and at the same tim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is engaged with the opening to provide a coupling fo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모듈을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밀어넣는 것과 동시에 결합 및 전원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type ligh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e-type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pushing a lighting module into an accommodation space of a housing, and at the same time,
일반적인 조명등(lamp)으로 사용하고 있는 형광등은 조도가 낮고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이들보다 상대적으로 조도가 높고 소비전력이 낮은 조명등으로 발광다이오드(이하, "엘이디"라 통칭함)를 이용한 조명모듈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A fluorescent lamp used as a general lamp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has a low illuminance and low energy efficiency. Recently, a light emitting di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D" Lighting modules are widely used.
그러나, 이러한 엘이디 조명모듈은 대부분 기존의 형광등의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존의 형광등용 등기구에 형광등 대신 갈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탈착시 조명모듈의 양측 단부에 마련된 단자를 등기구의 소켓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등기구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기존의 형광등과 소켓 결합구조의 불편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most of these LED lighting modules are configured to replace existing fluorescent lamps with fluorescent lamps, while maintain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s.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convenience of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 and the socket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terminal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ighting module are inserted into the socket of the lamp during the detachment, .
또한, 이러한 엘이디 조명모듈을 이용해 라인 타입의 조명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조명모듈이 배치되는 영역과 소켓부분이 배치되는 영역 사이에 조도차이가 발생하여 연속되는 라인 형태의 조명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configuring the line type lighting using such an LED lighting module, there arises a difference in illuminance between the area where the lighting module is arranged and the area where the socket part is arranged,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로 단순하게 밀어넣는 것에 의해 결합 및 전원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ne type lighting module, which can be simply and pushed into an accommodation space through an opening of a housing, Type illumination device.
또한, 조명모듈의 전원접속단자가 하우징 측의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하우징의 개구부에 구조적으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ne-type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an assembled state without a separate coupling means by making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of the lighting module structurally engage with the opening of the housing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o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housing have.
또한, 조명모듈의 조명부가 미들커넥터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미들커넥터를 이용한 프레임간의 연결부위에서도 라인 타입의 조명광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of the lighting module is disposed in the lower area of the middle connector, so that the continuity of the line-type illumination light can be maintained even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rames using the middle connector.
또한, 영구자석을 이용해 조명모듈이 하우징측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조명모듈과 하우징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which can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ighting module and the housing by assembling the lighting module to the housing side in a detachable state by using permanent magnets.
또한, 스위치를 이용해 조명모듈의 전원접속단자를 출몰시키고, 전원접속단자가 돌출되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한 상태에서는 스위치가 전원접속단자의 후단을 가압 지지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접속단자가 임의로 위치 이동하여 조명모듈이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of the lighting module is projected and withdrawn by using the switch and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projected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the switch maintains the state where the rear end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pressed and supported, Type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rbitrarily shifting the position of the illumination module to prevent the illumination module from being inadvertently detach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또한, 엔드캡을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전원공급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과 동시에 프레임이 접지되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ne-type lighting apparatus which can apply power to a power supply line by connecting an end cap to an end portion of a frame and at the same time can make the frame grounded.
또한, 엔드캡의 전원단자와 접지단자에 전원선 및 접지선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면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e type lighting device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 power supply line and a ground line from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of an end cap while preventing them from being separated arbitrarily.
또한, 수용공간의 내부에 반사부재를 배치하여 수용공간의 내부를 향하는 조명모듈의 조명광이 수용공간의 개구를 향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조명광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in which a reflecting member is disposed in a receiving space to reflec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illumination module towar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ward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reby improving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illumination light.
또한, 연결블록이 삽입되는 연결홈부를 프레임의 측벽부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설치환경에 따라 내측의 연결홈부와 외측의 연결홈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블록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공이 간편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s into which the connection blocks are inserted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frame,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rames, Type lighting device which is easy to install.
또한, 하우징의 설치환경에 따라 판형의 마감커버와 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마감커버를 선택적으로 프레임의 외측면에 조립함으로써, 용이하게 용도를 변경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which can easily change its use by selectively attaching a finish cover having a plate-like finish cover and a flange portion at the lower end thereof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housing.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라인 타입 조명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이 마련되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양 측면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일측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타측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와 맞물려 결합력을 제공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achieved by a line-type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spaced apart on both sides so as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line- And a power supply line dispos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to apply power to the housing, the housing being fixed to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And a line type lighting modu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having a power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to receive power and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Type lighting apparatus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and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is elastically supported at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through the opening and at the same time engaging with the opening to provide a coupling force.
본 발명은 양 단부가 인접한 한 쌍의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미들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iddle connector inserted into a receiving space of the pair of housings at both ends to electrically connect power supply lines of the pair of housings.
또한, 상기 미들커넥터는 프레임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몸체와, 상기 삽입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iddle connector preferably includes an insertion body inserted into a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body and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또한, 상기 미들커넥터는 복수 마련되는 삽입몸체의 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iddle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cab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connection terminals of a plurality of insertion bodies.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판부 내측면과 상기 미들커넥터의 삽입몸체 상측면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engaging portion and a third engaging portion,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of the middle connector.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는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갖는 자성체와 영구자석, 또는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third coupling portions are composed of a magnetic body having a coupling force by a magnetic force, a permanent magnet, or a pair of permanent magnets.
또한, 상기 조명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 발광부가 배치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몸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ing module may include a lighting unit having a light emitting portion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body portion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lighting unit. Preferably,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조명부는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서 미들커넥터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미들커넥터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부의 상측면 중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illumination unit is disposed in a lower area of the middle connector in a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and the body unit is disposed in a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illumination uni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iddle connector.
또한, 상기 조명부는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서 미들커넥터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미들커넥터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부의 상측면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llumination unit is disposed in a lower area of the middle connector in a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and the body unit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illumination uni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iddle connector.
또한, 상기 발광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말단부에 배치되는 발광다이오드와 조명부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배치간격에 대하여 1/2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end of the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is set to 1/2 .
또한,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원공급라인을 향해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위치에 의해 후단부가 돌출방향으로 지지 또는 지지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and retract from the body portion toward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rear end portion is supported or disengaged in the projecting direction by the switch.
또한, 상기 스위치는 후단부가 조명모듈의 저면으로 돌출되고, 원터치 방식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전원접속단자의 후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witch has a rear end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ing module and selectively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while reciprocating in a one-touch mann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단자가 마련되어 하우징의 단부에 조립되는 엔드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nd cap provided with a power terminal for a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line and assembled to the end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엔드캡에는 외부 전원라인이 삽입되는 접속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단자는 접속홀 내에 하향 경사배치되는 경사편과, 상기 경사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 cap may be formed with a connection hole into which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is inserted. The power supply terminal may include an inclined piece disposed downwardly inclined in the connection hole, and a sloped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loped part to correspond to a power supply line of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terminal portion that is disposed in the position.
또한, 상기 엔드캡의 경사편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상기 경사편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pinhole is formed through the end cap at a position facing the inclined piece so as to press the inclined piece.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엔드캡에는 외부 접지선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접속하는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rame is made of a conductor, and the end cap is provided with a ground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ground line and connected to the frame.
또한, 상기 엔드캡에는 프레임의 단부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편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은 수용공간의 개구측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프레임 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nd cap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iec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an end of the frame, and the insertion piece is fixed to the frame side by a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프레임과 전원공급라인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절연부재에는 전원접속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이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insulat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power supply line, and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insulating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so that the power supply line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또한, 상기 하우징은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조명광을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on member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and reflecting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illumination module toward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space.
또한, 상기 프레임의 측벽부에는 연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부에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block may include a connection groove formed in a side wall of the frame, and a connection block inserted in the connection groove and connecting the pair of neighboring frames.
또한, 상기 연결홈부는 각각 전방이 개구되어 측벽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연결홈부와 측벽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은 판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홈부의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스크류가 양단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groove portion that is opened at the front side and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that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w is exposed at both end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연결홈부를 마감하는 마감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nishing cover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to finish the first connecting groove portion.
또한, 상기 마감커버의 하단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flange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nishing cover.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판부 내측면과 상기 조명모듈의 상측면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first engaging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ing module.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갖는 자성체와 영구자석, 또는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comprise a magnetic body having a coupling force by a magnetic force, a permanent magnet, or a pair of permanent magnets.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로 단순하게 밀어넣는 것에 의해 결합 및 전원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ne-type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making a connection and a power connection by simply pushing a line-type lighting module into an accommodation space through an opening of a housing.
또한, 조명모듈의 전원접속단자가 하우징 측의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하우징의 개구부에 구조적으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Also, there is provided a line-type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the assembled state without a separate coupling means by making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of the lighting module structurally engage with the opening of the housing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o the power supply line on the housing side .
또한, 조명모듈의 조명부가 미들커넥터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미들커넥터를 이용한 프레임간의 연결부위에서도 라인 타입의 조명광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 lighting unit of the lighting module is disposed in a lower area of the middle connector, thereby providing a line-type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continuity of line-type illumination light even in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frames using a middle connector.
또한, 영구자석을 이용해 조명모듈이 하우징측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조명모듈과 하우징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Further, there is provided a line-type lighting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ighting module and the housing by allowing the lighting module to be assembled in a detachable state on the housing side using the permanent magnet.
또한, 스위치를 이용해 조명모듈의 전원접속단자를 출몰시키고, 전원접속단자가 돌출되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한 상태에서는 스위치가 전원접속단자의 후단을 가압 지지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접속단자가 임의로 위치 이동하여 조명모듈이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of the lighting module is projected and withdrawn by using the switch and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projected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the switch maintains the state where the rear end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pressed and supported, There is provided a line-type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arbitrarily moving to prevent the lighting module from being inadvertently detached from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또한, 엔드캡을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전원공급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과 동시에 프레임이 접지되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There is also provided a line-type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causing the frame to be grounded while simultaneously a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line by coupling the end cap to the end of the frame.
또한, 엔드캡의 전원단자와 접지단자에 전원선 및 접지선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면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Further, there is provided a line-type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 power supply line and a ground line from a power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of an end cap while easily separating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ground line.
또한, 수용공간의 내부에 반사부재를 배치하여 수용공간의 내부를 향하는 조명모듈의 조명광이 수용공간의 개구를 향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조명광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There is also provided a line-type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illumination light by arranging a reflection membe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illumination module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s reflected toward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연결블록이 삽입되는 연결홈부를 프레임의 측벽부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설치환경에 따라 내측의 연결홈부와 외측의 연결홈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블록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공이 간편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s into which the connection blocks are inserted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frame,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rames, Type lighting apparatus which is easy to construct.
또한, 하우징의 설치환경에 따라 판형의 마감커버와 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마감커버를 선택적으로 프레임의 외측면에 조립함으로써, 용이하게 용도를 변경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Further, a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is provided which can be easily changed in use by selectively assembling a finish cover having a plate-like finish cover and a flange portion at the lower end thereof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housing.
도 1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조명모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엔드캡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엔드캡에 외부도선을 삽입/분리하는 작용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조명모듈의 전원접속단자를 출몰시키는 스위치의 작용도,
도 13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마감커버를 선택하여 적용한 작용도,
도 14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조명모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하우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of the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ing module of the line type illumin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nd cap of the line type illumin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the line type illumin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5,
FIGS. 8 to 9 illustrate the operation of inserting / separating external leads into the end caps of the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1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action diagram of a switch for projecting and retracting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of the lighting module of the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selecting and applying the finishing cove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lighting module of the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housing of the line-type illumin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line type illumin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하우징(1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조명모듈(12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엔드캡(14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는 크게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110),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120), 엔드캡(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하우징(110)은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측벽부(111a)와 측벽부(111a)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111b)에 의해 대략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 프레임(111)과, 수용공간을 향하는 면에 개구부(112a)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111a)의 내벽면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절연부재(112)와, 상기 절연부재(112)의 내부에 삽입되어 개구부(112a)를 통해 노출되는 전원공급라인(113)과, 상기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판형의 제1마감커버(160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내측면에는 수용공간을 향해 일부 영역이 개구된 제1연결홈부(114a)가 형성되고,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외측면에는 외측을 향해 일부 영역이 개구된 제2연결홈부(114b)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11)은 구조적 강성 및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The
한편, 상기와 같은 하우징(110)은 복수의 프레임(111)이 연결되어 원하는 길이로 연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111)을 구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블록(150)과, 인접한 한 쌍의 하우징(110)의 전원공급라인(11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미들커넥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록(150)은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에 마련된 제1연결홈부(114a) 또는 제2연결홈부(114b)에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양 단부에는 연결블록(150)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홈부(114a) 또는 제2연결홈부(114b)의 개구를 통해 헤드부가 노출되는 스크류(151)가 형성된다. 상기 미들커넥터(130)는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111)의 단부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몸체(131)와, 상기 삽입몸체(131)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전원공급라인(113)에 접속하는 연결단자(132)와, 상기 복수의 삽입몸체(131)의 연결단자(1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133)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상기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광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명모듈(120)은 길이방향을 따라 발광부(123)가 배치되는 조명부(122)와, 상기 조명부(122)의 상측에 형성되는 몸체부(124)와, 상기 몸체부(124)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라인(113)에 접속하는 전원접속단자(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When the
특히, 상기 전원접속단자(121)의 후단부는 조명모듈(120)측에 고정 지지되고, 선단부는 몸체부(12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자유단 형태로 배치되므로 전원공급라인(113)을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은 물론, 외력에 의해 탄성 압축되면서 구부러져 몸체부(124)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모듈(120)을 프레임(111)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밀어넣으면, 전원접속단자(121)의 선단부가 절연부재(112)를 타고 넘어가면서 탄력적으로 압축되었다가 개구부(112a)의 위치에 도달하는 순간 탄성 복원되면서 전원공급라인(113)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개구부(112a)와 맞물리면서 결합되어 조명모듈(120)이 프레임(111)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전원접속단자(121)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수용공간 내의 조명모듈(120)을 개구측으로 잡아당기면, 전원접속단자(121)가 개구부(112a)로부터 이탈하므로 필요에 따라 조명모듈(120)을 프레임(111)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Particularly, the rear end of the
또한, 상기 조명부(122)는 하우징(110)의 수용공간 내에서 미들커넥터(130)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발광부(123)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말단부에 배치되는 발광다이오드와 조명부(122)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배치간격에 대하여 1/2로 설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조명모듈(120)을 밀착 배치하였을 때, 조명모듈(120)의 연결부위에서도 발광다이오드의 배치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라인 형태의 조명이 일정한 조도로 연결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몸체부(124)는 미들커넥터(130)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부(122)의 상측면 중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조명부(122)의 상측에 조명부(122)보다 길이가 짧은 몸체부(124)를 배치하여,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조명모듈(120)의 몸체부(124) 사이에 미들커넥터(1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미들커넥터(130)를 이용해 복수의 프레임(111)들을 연결하더라도, 조명모듈(120)의 조명부(122)를 통한 라인 조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조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조명모듈(120)의 몸체부(124) 내에는 전원공급라인(113)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발광부(123)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내장될 수 있다. A power supply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for stably supplying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상기 엔드캡(140)은 프레임(111)의 일측 단부에 조립되어 전원공급라인(113)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세 개의 접속홀(141)이 형성되고 프레임(111)과 마주하는 전면에는 삽입편(143)이 형성된다. 세 개의 접속홀(141) 중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접속홀(141)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원공급라인(113)에 외부 전원도선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전원단자(144)가 배치되고, 중앙의 접속홀(141)에는 상기 프레임(111)에 외부 접지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접지단자(148)가 배치된다. The
상기와 같은 전원단자(144)와 접지단자(148)는 각각 접속홀(141) 내에 배치되는 접속부(145)와, 상기 접속부(145)와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가지며 상기 삽입편(143)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전원공급라인(113) 또는 프레임(111)에 접속하는 단자부(147)와, 접속부(145)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접속홀(141) 내에 경사 배치되는 경사편(146)으로 구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도선 또는 접지도선은 접속홀(141) 내에서 경사편(146)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삽입측 방향으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The
또한, 상기 엔드캡(140)의 삽입편(143)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에는 경사편(14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경사편(146)을 가압하기 위한 핀홀(14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A
또한, 상기 엔드캡(140)의 삽입편(143)에 대응하여 프레임(111)의 단부에는 삽입편(143)이 삽입되는 삽입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엔드캡(140)의 삽입편(143)은 상기 프레임(111)의 수용공간 개구를 통해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프레임(111)측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111)의 개구를 통해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엔드캡(140)을 고정함에 따라, 조명모듈(120)의 외측면에 체결부재의 헤드부나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구멍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n end portion of the
지금부터는 상술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line-type light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엔드캡(140)에 외부도선을 삽입/분리하는 작용도이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8 to 9 are action diagrams for inserting / separating external leads into the
먼저, 도 8은 엔드캡(140)에 전원도선 또는 접지도선을 엔드캡(140)의 접속홀(141)에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전원도선을 삽입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도선을 접속홀(141)에 삽입하면, 전원도선의 선단부가 전원단자(144)의 경사편(146)의 경사면에 의해 경사편(146)과 접속홀(141) 내벽 사이로 끼워지는 형태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경사편(146)은 전원도선의 삽입에 의해 구부러져 탄성 압축되고, 전원도선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전원도선을 맞은편의 접속홀(141) 내벽을 향해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전원도선이 접속홀(141)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8 shows a process of inserting a power lead or a ground lead into the
특히, 이러한 상태에서는 전원도선에 삽입측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경사편(146)에 의해 전원도선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경사편(146)이 쐐기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전원도선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Particularly, even in such a state, even if a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inserting side to the power conductor, the position of the power conductor is firmly fixed by the
이어서, 도 9는 엔드캡(140)의 접속홀(141)로부터 전원도선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캡(140)의 핀홀(142)에 가늘고 긴 공구를 삽입하여 경사편(146)을 가압하면, 가압편이 전원도선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원도선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전원도선을 삽입측으로 잡아당기면 접속홀(14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다.
Next, FIG. 9 shows a process of separating the power lead from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따른 다양한 변형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1변형예><First Modification>
첨부도면 중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0 to 11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line-type illumin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조명모듈(120)의 전원접속단자(121)가 하우징(110)의 전원공급라인(113) 전방에 마련된 개구부(112a)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조명모듈(120)이 하우징(110)에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조명모듈(120)과 하우징(110)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제1결합부(115)와 제2결합부(125)를 배치할 수 있다. The power
즉, 상기 프레임(111)의 상판부(111b) 내측면에 철과 같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15)를 배치하고, 상기 조명모듈(120)의 상측면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2결합부(125)를 배치한 다음, 조명모듈(120)이 하우징(110)의 수용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결합부(115)와 제2결합부(125)가 서로 맞닿도록 구성함으로써,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a
또한, 하우징(110)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미들커넥터(130) 역시 삽입몸체(131)의 상측면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제3결합부(134)를 배치함으로써,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115)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부(125)와 제3결합부(134)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결합부(115)와 제2결합부(125) 및 제3결합부(134)를 모두 영구자석으로 구성하거나, 제1결합부(115)를 영구자석으로 구성하고 제2결합부(125) 및 제3결합부(134)를 강자성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the
<제 2변형예>≪ Second Modified Example &
첨부도면 중 도 12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조명모듈(120)의 전원접속단자(121)를 출몰시키는 스위치(126)의 작용도이다. 12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는 조명모듈(120)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 하로 왕복 이동하는 스위치(126)를 부가하여, 스위치(126)의 위치에 따라 전원접속단자(121)가 조명모듈(120)의 측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구체적으로, 조명모듈(120)의 전원접속단자(121)는 일단부가 조명모듈(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자유단의 형태로 배치되며, 별도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타단부가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power
또한, 도 12의 (a)와 같이 상기 스위치(126)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전원접속단자(121)로부터 이격되고, 도 12의 (b)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전원접속단자(121)의 타단부 후단을 가압하여 전원접속단자(121)의 타단부가 조명모듈(12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12 (a), the
따라서, 사용자가 조명모듈(120)을 프레임(111)의 수용공간 내에 삽입한 다음, 스위치(126)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원접속단자(121)가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전원접속단자(121)의 타단부가 전원공급단자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절연부재(112)의 개구부(112a)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전원접속단자(121)의 타단부는 스위치(126)에 의해 후단부가 가압 지지되어 돌출된 상태이므로, 임의로 함몰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조명모듈(120)이 수용공간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5, when the user inserts the
반대로, 사용자가 조명모듈(120)을 프레임(111)의 수용공간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스위치(126)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위치(126)가 전원접속단자(121)의 타단부 후단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에는 전원접속단자(121)의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타단부가 함몰방향으로 위치이동하면서 절연부재(112)의 개구부(112a)로부터 이탈하게 되므로, 조명모듈(120)을 프레임(111)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user moves the
한편, 도면에서는 스위치(126)가 단순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해제가 가능한 원터치 방식 스토퍼를 통해 위치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the meantime, although the
<제 3변형예>≪ Third Modified Example &
첨부도면 중 도 13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제2마감커버(160b)를 적용한 작용도이다. 13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the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는 설치용도에 따라 프레임(111)의 외측면에 제1마감커버(160a) 대신 제2마감커버(160b)를 채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by employing a
도 13에 도시된 라인 타입 조명장치는 천장과 같은 설치대상면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 일측에 플랜지부(161)가 형성된 제2마감커버(160b)를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외측면에 조립함으로써, 제1실시예와 동일한 단면의 프레임(111)을 매립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1)의 외측면에 제2마감커버(160b)를 조립한 상태에서, 프레임(111)의 상단을 설치대상면의 개구홈으로 삽입하면, 제2마감커버(160b)의 플랜지부(161)가 설치대상면의 개구홈 주변에 밀착 지지되어 프레임(111)의 삽입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The line-type lighting apparatus shown in FIG. 13 is embedded in a mounting target surface such as a ceiling, and a
즉, 프레임(111)을 매립형과 노출형으로 구분하지 않고 일정한 형태로 제작한 다음, 용도에 따라 프레임(111)의 외측에 조립되는 판형의 제1마감커버(160a)와 플랜지부(161)가 형성된 제2마감커버(16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채용하여 조립하면, 프레임(111)의 용도에 따라 각각 제작하여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유통이 간편하고, 재고확보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상기와 같이 하우징(110)을 매립하는 경우에는,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외측에 형성된 제1연결홈부(114a)가 천장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여기에 복수의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연결블록(150)을 삽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내측면에 형성된 제2연결홈부(114b)에 연결블록(150)을 삽입하고, 수용공간의 개구를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스크류(151)를 조임으로써 연결블록(150)이 제2연결홈부(114b)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상기와 같이 측벽부(111a)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제1연결홈부(114a)와 제2연결홈부(114b)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10)이 매립된 상태에서는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내측에 형성된 제2연결홈부(114b)에 연결블록(150)을 삽입 고정하여 복수의 프레임(111)을 연결하고, 도 5와 같이 하우징(110)이 노출된 상태에서는 측벽부(111a)의 외측에 형성된 제1연결홈부(114a)에 연결블록(150)을 삽입 고정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제 4변형예>≪ Fourth Modified Example &
첨부도면 중 도 14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조명모듈(12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모듈(120)은 몸체부(124)가 조명부(122)의 상측면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즉, 몸체부(124)가 미들커넥터(130)와 간섭되지 않도록 조명부(122)의 상측면 양측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몸체부(124)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미들커넥터(130)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미들커넥터(130)가 위치한 프레임(111)의 연결부분에서 조명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미들커넥터(130)에 의해 조명모듈(120)의 설치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s the
<제 5변형예>≪ Modified Example 5 &
첨부도면 중 도 15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하우징(11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프레임(111)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모듈(120)로부터 제공되는 조명광을 수용공간의 개구부(112a)를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부재(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내벽면 양측에 반사부재(117)를 경사 배치함으로써, 조명모듈(120)의 발광부(123)로부터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내벽면을 향하는 조명광이 개구부(112a)를 향하도록 반사시켜 조명광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상기 반사부재(117)는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광 반사 물질을 도포 또는 코팅하거나, 광 반사효율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reflectance, the
또한, 반사부재(117)가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반사부재(117)에 의해 측벽부(111a)의 내측면에 위치한 제2연결홈부(114b)에 연결블록(15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반사부재(117)가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10:하우징, 111:프레임, 111a:측벽부, 111b:상판부, 112:절연부재,
112a:개구부, 113:전원공급라인, 114a:제1연결홈부, 114b:제2연결홈부,
115:제1결합부, 116:삽입홈, 117:반사부재, 120:조명모듈,
121:전원접속단자, 122:조명부, 123:발광부, 124:몸체부, 125:제2결합부,
126:스위치, 130:미들커넥터, 131:삽입몸체, 132:연결단자, 133:케이블,
134:제3결합부, 140:엔드캡, 141:접속홀, 142:핀홀, 143:삽입편,
144:전원단자, 145:접속부, 146:경사편, 147:단자부, 148:접지단자,
150:연결블록, 151:스크류, 160a:제1마감커버, 160b:제2마감커버,
161:플랜지부110: housing, 111: frame, 111a: side wall portion, 111b: upper plate portion, 112:
112a: opening portion, 113: power supply line, 114a: first connection groove portion, 114b: second connection groove portion,
115: first coupling portion, 116: insertion groove, 117: reflective member, 120: lighting module,
121: power connection terminal, 122: illumination part, 123: light emitting part, 124: body part, 125:
126: switch, 130: middle connector, 131: insertion body, 132: connection terminal, 133: cabl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through hole,
144: power supply terminal, 145: connecting portion, 146: inclined piece, 147: terminal portion, 148:
150: connecting block, 151: screw, 160a: first finishing cover, 160b: second finishing cover,
161: flange portion
Claims (25)
중앙에 라인 타입 조명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이 마련되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양 측면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단자가 마련되어 하우징의 단부에 조립되는 엔드캡;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일측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타측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와 맞물리고,
상기 엔드캡에는 외부 전원라인이 삽입되는 접속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단자는 접속홀 내에 하향 경사배치되는 경사편과, 상기 경사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In a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A frame having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ine type lighting module in the center and an upper plat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A housing disposed on a wall surface and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line to which power is supplied, the housing being fixed to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A line type lighting modul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with a power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to be supplied with power and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And
And an end cap provided with a power terminal for a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line and assembled to an end of the housing,
Wherei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is elastically support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through the opening and is engaged with the opening,
The end cap is formed with a connection hole into which an external power line is inserted,
Wherein the power terminal includes an inclined piece that is inclined downwardly in a connection hole and a terminal portio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clined piece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wer supply line of the housing.
양 단부가 인접한 한 쌍의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미들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iddle connector inserted into a receiving space of the pair of housings, both ends of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to electrically connect power supply lines of the pair of housings.
상기 미들커넥터는 프레임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몸체와, 상기 삽입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iddle connector includes an insertion body inserted into a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body and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상기 미들커넥터는 복수 마련되는 삽입몸체의 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iddle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cab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connection terminals of a plurality of insertion bodies provided.
상기 프레임의 상판부 내측면과 상기 미들커넥터의 삽입몸체 상측면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가 형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first engaging portion and a third engaging portion are detachably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fram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of the middle connector.
상기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는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갖는 자성체와 영구자석, 또는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are composed of a magnetic body having a coupling force by a magnetic force, a permanent magnet, or a pair of permanent magnets.
상기 조명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 발광부가 배치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몸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ing module includes a lighting part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body part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lighting part, wherei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상기 조명부는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서 미들커넥터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미들커넥터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부의 상측면 중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llumination portion is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middle connector in a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and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illumination por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iddle connector.
상기 조명부는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서 미들커넥터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미들커넥터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부의 상측면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llumination portion is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middle connector in a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and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illumination por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iddle connector.
상기 발광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말단부에 배치되는 발광다이오드와 조명부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배치간격에 대하여 1/2로 설정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end of the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is set to 1/2 with respect to the spacing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Line type lighting device.
중앙에 라인 타입 조명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이 마련되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양 측면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일측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타측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와 맞물리고,
상기 조명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 발광부가 배치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몸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원공급라인을 향해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위치에 의해 후단부가 돌출방향으로 지지 또는 지지해제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In a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A frame having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ine type lighting module in the center and an upper plat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A housing disposed on a wall surface and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line to which power is supplied, the housing being fixed to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And
And a line type lighting modu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and receiving power, and being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is elastically support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through the opening and is engaged with the opening,
Wherein the lighting module includes a lighting part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body part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lighting part, wherei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Wherein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is disposed so as to be capable of projecting and retracting from the body portion toward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rear end is supported or released in the projecting direction by the switch.
상기 스위치는 후단부가 조명모듈의 저면으로 돌출되고, 원터치 방식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전원접속단자의 후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 지지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witch has a rear end protruding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lighting module and selectively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while reciprocating in a one-touch manner.
상기 엔드캡의 경사편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상기 경사편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inhole is formed through the end cap at a position facing the inclined piece so as to press the inclined piece.
상기 프레임은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엔드캡에는 외부 접지선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접속하는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is made of a conductor, and the end cap is provided with a ground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ground line and connected to the frame.
상기 엔드캡에는 프레임의 단부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편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은 수용공간의 개구측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프레임 측에 고정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 cap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iece to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an end of the frame, and the insertion piece is fixed to the frame side by a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opening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프레임과 전원공급라인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절연부재에는 전원접속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이 노출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sulat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power supply line,
Wherein the insul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line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중앙에 라인 타입 조명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이 마련되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양 측면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일측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타측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와 맞물리고,
상기 하우징은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조명광을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In a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A frame having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ine type lighting module in the center and an upper plat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A housing disposed on a wall surface and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line to which power is supplied, the housing being fixed to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And
And a line type lighting modu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and receiving power, and being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is elastically support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through the opening and is engaged with the opening,
Wherein the housing further comprises a reflecting member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and reflecting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illumination module toward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space.
중앙에 라인 타입 조명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이 마련되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양 측면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일측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타측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와 맞물리고,
상기 프레임의 측벽부에는 연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부에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블록;을 더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In a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A frame having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ine type lighting module in the center and an upper plat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A housing disposed on a wall surface and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line to which power is supplied, the housing being fixed to an installation target surface; And
And a line type lighting modu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and receiving power, and being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is elastically support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through the opening and is engaged with the opening,
A connecting groove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frame,
And a connection block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and connecting a pair of neighboring frames.
상기 연결홈부는 각각 전방이 개구되어 측벽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연결홈부와 측벽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은 판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홈부의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스크류가 양단부에 마련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groove portion opened at a front side and disposed at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disposed at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The connection block passes through the plate surface, And the exposed screw is provided at both ends.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연결홈부를 마감하는 마감커버;를 더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22. The method of claim 21,
And a finishing cover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to finish the first connecting groove portion.
상기 마감커버의 하단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23. The method of claim 22,
And a flange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nishing cover.
상기 프레임의 상판부 내측면과 상기 조명모듈의 상측면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engaging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are detachably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fram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ing module.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갖는 자성체와 영구자석, 또는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composed of a magnetic body having a coupling force by a magnetic force, a permanent magnet, or a pair of permanent magnet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5559A KR101690374B1 (en) | 2014-11-10 | 2014-11-10 |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5559A KR101690374B1 (en) | 2014-11-10 | 2014-11-10 |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5575A KR20160055575A (en) | 2016-05-18 |
KR101690374B1 true KR101690374B1 (en) | 2016-12-27 |
Family
ID=5611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5559A KR101690374B1 (en) | 2014-11-10 | 2014-11-10 |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037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E201900026A (en) * | 2019-11-05 | 2021-07-15 | Osaühing Vecta Design | Attachment profile for a lighting system of suspended ceil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587692B1 (en) * | 2018-06-25 | 2023-03-29 | Grandi Srl | System for partitioning a space |
IT201800006631A1 (en) * | 2018-06-25 | 2019-12-25 | SYSTEM FOR THE PARTITION OF AN ENVIRONMENT | |
KR102235275B1 (en) * | 2019-03-28 | 2021-04-05 | 주식회사 스마트전기조명 | Rail and connector for led lighting |
KR102418333B1 (en) * | 2020-10-07 | 2022-07-08 | 주식회사 토탈에이플러스조명 |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
KR102253822B1 (en) * | 2020-11-02 | 2021-05-20 |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 Straight-type led lighting apparatu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976Y1 (en) * | 2008-07-22 | 2010-06-09 | 주식회사 씨엠텍 | LED lighting fixtures attachable to fluorescent lamp unit |
KR101351358B1 (en) * | 2013-03-05 | 2014-01-23 | 주식회사 린노 | Line-type light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22803A (en) | 2004-02-05 | 2005-08-18 | Kunihiro Tsuji | Speaker and its electric apparatus holding device |
-
2014
- 2014-11-10 KR KR1020140155559A patent/KR10169037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976Y1 (en) * | 2008-07-22 | 2010-06-09 | 주식회사 씨엠텍 | LED lighting fixtures attachable to fluorescent lamp unit |
KR101351358B1 (en) * | 2013-03-05 | 2014-01-23 | 주식회사 린노 | Line-type lighting apparatu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E201900026A (en) * | 2019-11-05 | 2021-07-15 | Osaühing Vecta Design | Attachment profile for a lighting system of suspended ceil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5575A (en) | 2016-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0374B1 (en) |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 |
KR101351358B1 (en) | Line-type lighting apparatus | |
EP3040599B1 (en) |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 |
US8814383B2 (en) | Lighting module | |
KR20160095484A (en) | Line type lighting device | |
KR102044663B1 (en) | LED lighting for rail system | |
KR101622022B1 (en) |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 |
US20180062126A1 (en) | Multi-functional battery box | |
KR101111531B1 (en) | Led lighting device | |
EP3040610A1 (en) | Led streetlamp | |
KR101531751B1 (en) | Line type lighting device | |
KR101475888B1 (en) | Led lighting apparatus | |
KR101748681B1 (en) | Ceiling coupled device for lighting apparatus | |
KR20180092059A (en) | LED Lighting Device | |
KR101177470B1 (en) | Lighting apparatus | |
KR20200114287A (en) | Rail and connector for led lighting | |
KR101713963B1 (en) | Indirect lighting device | |
US9512967B2 (en) | Straight type lamp | |
KR101843060B1 (en) | Surface light emitting device using light emitting diode | |
KR102118890B1 (en) | Led light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structure | |
KR200465943Y1 (en) | Led lighting device having limit switch | |
US20160298812A1 (en) | LED light bulb | |
KR100982429B1 (en) | Light control device having ground plate | |
TWI458913B (en) |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 emitting diode lamp thereof | |
JP5788255B2 (en) | Lighting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