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276B1 - Method for controlling schedule of devices in container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schedule of devices in container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276B1
KR101690276B1 KR1020140178637A KR20140178637A KR101690276B1 KR 101690276 B1 KR101690276 B1 KR 101690276B1 KR 1020140178637 A KR1020140178637 A KR 1020140178637A KR 20140178637 A KR20140178637 A KR 20140178637A KR 101690276 B1 KR101690276 B1 KR 101690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devices
equipment
job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0016A (en
Inventor
설성욱
이정호
이훈
Original Assignee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탈소프트뱅크 filed Critical (주)토탈소프트뱅크
Publication of KR2015007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0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2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방법으로서, 컨테이너 터미널 내 각종 물리적 객체정보, 각 장비들의 작업 통계정보 및 각 장비들의 동작정보 등을 바탕으로 하여 각 장비들이 미리 결정된 위치를 이동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고, 본선계획 및 자원계획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작업지연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을 감안하여 각 장비들의 개별 작업 수행시간을 예측하며, 예측된 각 장비들의 개별 작업 수행 소요시간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게이트의 반출입 작업 계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각 장비들에 대한 작업 스케줄링을 계획된 시간 안에 모두 완료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djusting the schedule of devices in a contain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measuring a time required for moving each devic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ased on various physical object information in a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statistics information of each device, Based on the input data of the ship plan and the resource plan, it is estimated that the individual operation time of each equipment is estimated considering the delay time of the oper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job scheduling for each equipment in the container terminal within the planned time.

Description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CHEDULE OF DEVICES IN CONTAINER TERMINAL}[0001] METHOD FOR CONTROLLING SCHEDULE OF DEVICES IN CONTAINER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안벽 크레인(QC), 야드 트럭(YT), 야드 크레인(YC) 및 터미널 출입 게이트와 같은 복수개의 장비들에 대한 지연시간이 적용된 작업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cheduling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adjusting the schedule of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heduling method for scheduling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that designs a task scheduling algorithm to which a delay time is applied.

일반적으로, 항만의 컨테이너 터미널은 복수개의 장비들을 통해 선박에 대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적재, 컨테이너의 보관, 컨테이너 반출입 등의 역할을 한다.Generally, a container terminal of a port plays a role of loading and unloading of a container to a ship, storage of a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of a container through a plurality of devices.

예를 들어, 이러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성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41682호(이하, '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such a container terminal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1682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즉, 일반적인 컨테이너 터미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 정박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안벽 크레인(Quay Crane; QC)들이 배치되고, 양하 및 적하될 컨테이너들이 적재된 야드 블록(Yard Block; yb)에 복수개의 야드 크레인(Yard crand; YC)들이 배치되며, 선박에서의 컨테이너 양하 및 적하 작업은 안벽 크레인(QC)에 의해 수행되고, 야드 블록(yb)에서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작업은 야드 크레인(YC)에 의해 수행되어 야드 트럭(Yard Truck; YT)을 통해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 a typical container terminal has a plurality of quay cranes (QCs) disposed at positions where vessels berth and a yard block (yb A plurality of yard crane YCs are disposed in the yard block yb and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of the container in the yard are performed by a quay crane QC and the operation of handling the containers in the yard block yb is performed by a yard crane YC) and can be transported through a Yard Truck (YT).

이때, 종래에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야드 트럭(YT) 및 반출입 게이트와 같은 장비들로부터 제공되는 작업 스케줄에 따른 이동시간 및 작업시간 등을 취합한 후 거시적인 통계를 내어 컨테이너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At this time, conventionally, the movement time and the operation time according to the job schedule provided from the equipments such as the quay crane (QC), the yard crane (YC), the yard truck (YT) We are operating a container terminal with statistics.

그러나, 위와 같이 각 장비에 대한 거시적인 통계에 의존하여 컨테이너 터미널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각 장비의 이동시간 및 작업시간 지연 등의 오류로 인해 선사측과의 양적하 완료 스케줄에 따른 계약기간을 제시간에 이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위약금을 물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container terminal is operated depending on the macroscopic statistics for each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act period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completion schedule with the shipowner due to the errors such as the movement time and the operation time delay of each equipment, It is necessary to pay a penalty fee.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야드 트럭(YT) 및 반출입 게이트 등과 같은 터미널 내의 여러 가지 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양적하 계획이 필수적이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 problems, a quantitative plan which can efficiently operate various equipment in a terminal such as a quay crane (QC), a yard crane (YC), a yard truck (YT) It is essential.

이에, 본 출원인은 컨테이너에 대한 양적하 계획의 일환으로서, 특허 제10-2013-0150735호(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작업 관리방법)를 출원한 바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150735 (a method of managing a work in a container terminal) as part of quantitative plans for containers.

즉, 상기 문헌 2는 접안 예정인 선박에 대한 복수 장비들의 양하 및 적하에 따른 작업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복수 장비들에 대한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 배치된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 트럭(YT)과 같은 복수개의 장비에 대하여 동시에 양적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양적하 작업의 비율이 특정 장비에 집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야드 트럭의 공차 주행거리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사용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더블 사이클링 발생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본선작업 계획을 세워서 운영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document 2 is a method for managing work on a plurality of equipments in a container terminal capable of establishing a work plan in accordance with unloading and loading of a plurality of equipments for a ship to be bound, ), A yard crane (YC) and a yard truck (YT), and at the same time, the ratio of the quantitative work is not concentrated on the specific equipment, An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double cycling that maximizes the utilization rate.

그러나, 상기 문헌 2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선박의 정박 위치 및 시간,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 트럭(YT)과 같은 장비의 이동시간 및 작업시간, 컨테이너 출입 게이트의 동작시간 등과 같은 모든 작업에 대한 스케줄에 대하여, 각 장비의 특성과 상황에 따른 작업의 지연시간 등은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은 바, 각 장비에 대한 작업의 지연시간 등을 모두 고려하여 스케줄 작성하고, 작성된 스케줄을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재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만, 상기 문헌 2는 본 출원발명에 대하여 출원시 공지된 선행기술은 아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document 2, the moving time and working time of the equipment such as the berth position and time of the ship, the quay crane (QC), the yard crane YC and the yard truck YT, The schedule of all the tasks such as the operation time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at al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quipment and the delay time of the task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readjust the created schedul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ituation.
However, the above-mentioned document 2 is not a prior art known at the time of filing the application.

문헌 1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41682호(명칭 :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1682 (Name: Calculation method of quantitative work plan of quay crane) 문헌 2 :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173736호(명칭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작업 관리방법)Document 2: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173736 (Titl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in container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양하 및 적하 작업에 이용되는 안벽 크레인(QC), 야드 트럭(YT), 야드 크레인(YC) 및 터미널 출입 게이트와 같은 복수개의 장비들에 대하여 작업의 지연시간까지도 고려한 작업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설계된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복수개의 장비들에 적용시킴으로써, 각 장비들의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각 장비들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terminal, including a quay crane (QC), a yard truck (YT), a yard crane (YC) A task scheduling algorithm considering the delay time of the apparatuses is designed and the designed scheduling algorithm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apparatuses to reduce the work time of each apparatus and improve the utilization of each apparatus And to provide a method for scheduling the devices in the terminal.

즉,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선박 및 장비들에 대한 각종 물리적 객체정보, 각 장비들의 작업 통계정보 및 동작정보 등을 바탕으로 하여 각 장비들이 미리 결정된 위치를 이동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고, 본선계획 및 자원계획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작업지연이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을 감안하여 각 장비들의 개별 작업 수행시간을 분석 및 예측하며, 예측된 각 장비들의 개별 작업 수행 소요시간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게이트의 반출입 작업 계획을 제시간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time required for each equipment to move a predetermined position based on various physical object information about vessels and equipment in the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statistics information of each equipment, and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data of the planning and resource planning, it is analyzed and predicted the individual operation time of each equipment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when the operation delay is expected to occur. So tha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schedule of carrying in and out of the gate on time.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ppended claim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의 양적하에 이용되는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야드 트럭(YT) 및 출입 게이트(GT)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장비(110); 및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복수개의 장비들(110)로부터 수신한 작업 스케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각 장비의 작업지연 시간을 적용한 작업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설계된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복수개의 장비들(110)에 전달하는 터미널 운영서버(200)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상기 복수개의 장비(110)로부터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입력받거나, 각 장비에 대한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210)와, 상기 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개의 장비(110)에 대한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2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의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판독하는 데이터 로더부(230)와, 상기 데이터 로더부(230)를 통해 판독되어 제공되는 복수개의 장비(110)에 대한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운영 및 관리하는 관리기능 모듈부(250)와, 상기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전달되는 복수개의 장비(110)의 운영에 따른 작업 스케줄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60)와, 상기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확정된 복수개의 장비(110)에 대한 작업 스케줄 정보를 각각의 장비(QC, YC, YT 및 GT)에 전달하는 신호 전송부(270)와,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80)로 구성되며, 상기 관리기능 모듈부(250)는, 선박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안벽 크레인(QC)의 이동위치 및 작업 소요시간을 계산하는 선박 매니저(251)와, 상기 복수개의 장비(110) 중,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 트럭(YT)의 경로, 동작가능 여부 및 이동 시간을 관리하는 YC/YT 매니저(252)와, 상기 복수개의 장비(110)를 작업 스케줄 운영시 작업지연 및 중단 사유별 발생시각 및 지속시간을 적용하여 작업 스케줄을 조정하는 중단통계 매니저(253)와, 상기 복수개의 장비(110)에 대한 작업 스케줄 정보를 각각의 장비 작업 단위로 분리시키는 플랜 분리기(254)와, 상기 복수개의 장비(110)의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에 대한 안벽 크레인(QC)의 이동시간 및 작업중단 정보를 통해 안벽 크레인(QC)의 예상 작업시간을 계산하고, 안벽 크레인(QC)의 작업과 연계된 야드 트럭(YT) 및 야드 크레인(YC) 작업의 마감 시간을 계산하는 QC 작업 사전 스케줄러(255)와, 상기 안벽 크레인(QC)의 작업지연 및 중단시간이 포함된 작업 스케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 트럭(YT)의 작업에 대한 스케줄을 작성하고, 작성된 스케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QC 작업 사전 스케줄러(255)의 작업들에 대한 마감시간을 조정하는 YC/YT 작업 스케줄러(256)와, 상기 복수개의 장비(110)의 작업 스케줄 정보에 따른 레포트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지연예측 리포터(257)와, 상기 지연예측 리포터(257)를 통해 작성된 복수개의 장비(110)의 작업 스케줄 정보를 바탕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의 출입 게이트(GT)에 대한 반입 및 반출 계획을 수립하는 게이트 플랜 생성기(258)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에서의,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A)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복수개의 장비(110)로부터 각 장비의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10); (B)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상기 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개의 장비(110)에 대한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는 단계(S320); (C)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복수개의 장비(110) 각각이 미리 결정된 위치를 이동하여 작업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330); (D)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복수개의 장비(110)의 실제 작업이 아닌 작업 스케줄 수행시 작업지연이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 (E) 상기 (D) 단계의 판단 결과, 복수개의 장비(110)에 대한 작업 스케줄에 작업지연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작업 스케줄 수행시 발생되는 작업지연 및 중단 사유별 발생시각 및 지속시간을 감안하여 각 장비의 작업 스케줄을 조정하는 단계(S350); (G)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관리기능 모듈부(250)로부터 전달되는 각 장비의 작업 스케줄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S370); 및 (H)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신호 전송부(270)를 통해 관리기능 모듈부(250)로부터 조정된 작업 스케줄 데이터를 각각의 장비(QC, YC, YT 및 GT)에 전달하는 단계(S380)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의 작업지연은,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의 외부에서 전송되어 오는 실제 작업 수행에서 발생하는 작업지연이 아니며,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복수개의 장비(110)의 작업 스케줄 수행시 예상되는 작업지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containers including a quay crane (QC), a yard crane (YC), a yard truck (YT), and a door gate (GT) Devices 110; And a task scheduling algorithm to which a task delay time of each equipment is applied based on task schedul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equipments 110 in the contain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designed scheduling algorithm to a plurality of equipments 110 Wherein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includes a terminal operating server 200 for receiving job schedule basic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110 or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basic job schedule information for each device A database 220 for storing job schedule basic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devices 110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and data for reading job schedule basic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220, A loader unit 230 and a plurality of pieces of equipment 110 read and provided through the data loader unit 230, A display unit 260 for outputting job schedu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devices 110 transmitted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on the screen, A signal transmission unit 270 for transmitting work schedule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equipment 110 determined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unit 250 to each of the equipment (QC, YC, YT and GT) And a control unit 280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operation server 200.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calculates the moving position of the pony crane (QC)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hip A YC / YT manager 252 for managing the path of the yard cranes YC and the yard truck YT among the plurality of the equipment 110 and the movement time of the yard cranes YC and YT, When a plurality of pieces of equipment 110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schedule of operation, A plan breaker 254 for dividing the work schedule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equipment 110 into each equipment work unit, (QC) through the movement time of the porthole crane (QC) and the work stop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work schedule basic information of the yard crane (QC) A yard crane (YC) YC and a yard crane (YC), and a yard crane (YC) A YC / YT job scheduler 256 for creating a schedule for the jobs of the yard truck YC and the yard truck YT and adjusting the deadline for the jobs of the QC job pre-scheduler 255 based on the created schedule, , A delay prediction reporter 257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report according to the job schedul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equipment 110 and a scheduling unit 257 for scheduling the job schedul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equipment 110 created through the delay prediction reporter 257 , A gate plan generator (258) for establishing a carry-in and take-out plan for an access gate (GT) of a container terminal (A)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collects job schedule basic information of each device from a plurality of devices 110 in the container terminal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S310); (B) storing (S 320) the job schedule basic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devices (110) input by the terminal operating server (200)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in the database (220); (C) calculating (S330) a time requir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110 to move and work through a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by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D) a step (S340) of judging whether a task delay occurs in performing a task schedule rather than an actual task of a plurality of devices (110)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unit (250) ; (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D) that a job delay occurs in a job schedule for a plurality of devices 110,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transmits, to the terminal management server 200, Adjusting a job schedule of each of the de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occurrence of a job delay occurring during the execution of the schedule and the occurrence time and duration of each reason for the interruption (S350); (G) outputting, on the screen, the job schedule data of each of the devices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unit 250 through the display unit 260 (S370); And (H) transmitting the job schedule data adjusted from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unit 250 to each of the devices (QC, YC, YT and GT) via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70 by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S380). The operation delay in the step (D) is not a delay in the actual operation performed in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And is an operation delay expected when a job schedule of a plurality of equipment 110 is performed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unit 250. [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방법에 따르면,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복수개의 장비들에 대하여 해당 장비의 작업지연시간까지도 고려한 작업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설계된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복수개의 장비들에 적용시킴으로써, 각 장비들의 작업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각 장비들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chedule adjustment method of the devices in the contain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ask scheduling algorithm considering a task delay time of a corresponding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is designed, and the designed scheduling algorithm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devices ,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orking time of each equipment and improve the utilization of each equipment.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 터미널 내 각종 물리적 객체정보, 각 장비들의 작업 통계정보 및 각 장비들의 동작정보 등을 바탕으로 하여 각 장비들이 미리 결정된 위치를 이동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고, 본선계획 및 자원계획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작업지연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을 감안하여 각 장비들의 개별 작업 수행시간을 예측하며, 예측된 각 장비들의 개별 작업 수행 소요시간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게이트의 반출입 작업 계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각 장비들에 대한 작업 스케줄링을 계획된 시간 안에 모두 완료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required for each device to move a predetermined position is calculated based on various physical object information in the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statistics information of each equipment, operation information of each equipment, Based on input data for resource planning,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individual operation time of each equipment considering the time when operation delay is expected to occur. Based on the result of individual operation execution time of each equipment, By performing the import / export operation plan,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job scheduling for each equipment in the container terminal within the planned time.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중단통계 매니저를 통해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작업 스케줄 정보를 입력받은 후의 예시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작업 스케줄 정보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예시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 a general container terminal;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chedule adjustment system of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chedule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a delay time through an interrupt statistic manag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schedules of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after receiving job schedule inform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n exemplary view for inputting log data for job schedule inform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djusting schedules of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give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with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can be changed to another embodiment.

먼저, 본 발명과 관련된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 schedule adjustment system of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예의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중단통계 매니저를 통해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스케줄을 조정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chedule adjustment system of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a schedule in consideration of a delay time through an interrupt statistic manag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은,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110) 및 터미널 운영서버(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schedule adjustment system of the equipment in the container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equipment 110 in the container terminal and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구체적으로,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를 선박에서 양하하거나 선박에 적하하는 안벽 크레인(QC)과, 야드 블록(장치장)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야드 트럭(YT)에 싣거나 야드 트럭(YT)으로부터 전달받은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야드 크레인(YC)과, 안벽 크레인(QC) 및 야드 크레인(YC)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야드 트럭(YT)과,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야드 트럭(YT)의 입출력을 관리하는 출입 게이트(GT) 등으로 구성된다.3, the equipments 110 in the container terminal include a quay crane (QC) for releasing the container from the ship or dropping it onto the ship, and a container mounted on the yard block A yard cranes (YC) for loading containers placed on yard trucks (YT) or for yard trucks (YT), yard trucks (YT) for transporting containers between quay cranes (QC) and yard cranes (YC) An access gate GT for managing the input / output of the yard truck YT at the container terminal, and the like.

한편,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복수개의 장비들(110)로부터 수신한 작업 스케줄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장비의 작업지연시간을 적용한 작업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설계된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복수개의 장비들(110)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정보 입력부(210), 데이터베이스(220), 데이터 로더부(230), 캐시데이터 구성부(240), 관리기능 모듈부(250), 디스플레이부(260), 신호 전송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designes a task scheduling algorithm to which a task delay time of a corresponding device is applied based on task schedul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devices 110 in a container terminal, A data loader unit 230, a cache data configuration unit 240, a management function module unit 250, a display unit 250, and a display unit 260. 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the database 220, the data loader unit 230, A signal transmitter 260, a signal transmitter 270, and a controller 280.

상기 정보 입력부(210)는 각 장비들(110)에 설치된 단말기로부터 작업 예정정보를 입력받거나,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110)의 작업지연 및 중단시간이 포함된 각 장비에 대한 운영 계획, 각 장비의 양적하 작업에 필요한 통합 계획, 및 선박에 대한 본선작업 계획, 각 장비들에 대한 리소스 계획 및 게이트 운영 계획 등을 마우스 및 키보드 등을 통해 입력하여 프로그램화한다.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receives operation schedule information from a terminal installed in each of the devices 110 or receives an operation plan for each device including a delay time and a stop time of the devices 110 in the container terminal, The integration plan required for the quantitative work of the ship, and the ship work plan for the ship, the resource plan and the gate operation plan for each equipment are inputted and programmed through the mouse and the keyboard.

상기 데이터베이스(220)는 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인 선박 위치 및 물량에 대한 정보, 야드 블록에 대한 차량 경로 정보, 각 장비의 동작시간, 작업위치 및 작업시간과 같이 양적하 작업에 필요한 물리적인 객체들에 대한 장비 운영 데이터와, 각 장비의 양적하 작업에 발생되는 작업지연 및 중단시간, 시간대별 야드 트럭의 게이트 진입빈도 등이 취합된 통계 데이터와,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서 이루어지는 전체 양적하 작업에 필요한 본선 작업계획 및 장비 투입 계획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플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The database 220 is used for quantitative operations such as information on the ship position and quantity, information on the yard block, vehicle route information, operation time of each equipment, operation position and operation time, which are input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Statistical data including the equipment operation data on the necessary physical objects, the delay and downtime of the operations occurring in the quantitative work of each equipment, the frequency of gate entry of the yard trucks by the time of day, and the total quantitative And plan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hip's work plan and equipment input plan required for the under work.

상기 데이터 로더부(230)는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의 장비 운영 데이터, 통계 데이터 및 플랜 데이터를 판독하여 캐시 정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data loader unit 230 reads equipment operation data, statistical data, and plan data from the database 220 to configure cache information.

상기 캐시데이터 구성부(240)는 데이터 로더부(230)를 통해 판독된 장비 운영 데이터, 통계 데이터 및 플랜 데이터를 터미널 운영서버(200)를 통해 전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속 기억장치이다.The cache data configuration unit 240 is a high-speed storage device that allows equipment operation data, statistical data, and plan data read through the data loader unit 230 to be exclusively executed through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상기 관리기능 모듈부(250)는 캐시데이터 구성부(240)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즉 선박 정보, 야드 블록 및 경로, 작업지연 및 중단 통계, 양적하 계획 정보, 안벽 크레인, 야드 크레인 및 야드 트럭, 지연 예측 보고 및 게이트 반출입 등의 정보 데이터를 운영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 모듈로서, 선박 매니저(251), YC/YT 매니저(252), 중단통계 매니저(253), 플랜 분리기(254), QC 작업 사전 스케줄러(255), YC/YT 작업 스케줄러(256), 지연예측 리포터(257) 및 게이트 플랜 생성기(258)로 구성된다.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includes data provided through the cache data construction unit 240 such as ship information, yard blocks and paths, operation delay and stop statistics, quantitative planning information, quay cranes, yard cranes, A YC / YT manager 252, an abort statistics manager 253, a plan separator 254, a QC operation dictionary 253, A scheduler 255, a YC / YT task scheduler 256, a delay prediction reporter 257, and a gate plan generator 258.

즉, 상기 선박 매니저(251)는 선박의 정박 위치 및 접안 방향, 해치 커버 개수 및 위치, 컨테이터 통과 위치 등의 선박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여, 선박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안벽 크레인(QC)의 이동위치 및 소요시간을 계산할 수 있게 한다.That is, the ship manager 251 manag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hip such as the anchorag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ship,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hatch cover, and the passage position of the vessel, So tha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moving position and the required time.

상기 YC/YT 매니저(252)는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 트럭(YT)의 경로, 동작가능 여부 및 이동 시간을 관리한다.The YC / YT manager 252 manages the path of the yard crane YC and the yard truck YT, the availability of the yard truck YT, and the movement time.

상기 중단통계 매니저(253)는 각 장비들(110)을 통해 양적하 작업시 작업지연 및 중단 사유별 발생시각 및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작업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The stop statistic manager 253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job schedule in consideration of the delays in the quantitative work and the occurrence time and the duration according to the reason for stopping through the respective devices 110. [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작업에 대하여 스케줄이 확정된 구간(적색 부분)에 작업지연 및 중단시간(황색 부분, Y)이 발생되면, 추후에 진행될 작업 구간(청색 부분)에 대한 각 장비들(110)의 작업 스케줄을 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재조정할 수 있게 한다.4, if a job delay and a halt time (yellow portion, Y) are generated in a period (red portion) in which a schedule is determined for a previous job, a work interval (blue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readjust the work schedule of each of the devices 110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상기 플랜 분리기(254)는 양적하 계획 정보를 개별 장비 작업 단위로 분리시켜서, 안벽 크레인(QC) 작업은 후술하는 QC 작업 사전 스케줄러(255)로 입력되게 하고,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 트럭(YT) 작업은 후술하는 YC/TY 작업 스케줄러(256)로 입력되게 한다.The plan separator 254 separates the quantitative plan information into individual equipment work units so that the quay crane (QC) operation is input to the QC operation pre-scheduler 255 described later, and the yard crane (YC) and the yard truck YT) job to be input to the YC / TY job scheduler 256 described later.

상기 QC 작업 사전 스케줄러(255)는 양적하 작업에 대한 안벽 크레인(QC)의 이동시간 및 작업중단 정보를 감안하여 안벽 크레인(QC)의 예상 작업시간을 계산하고, 안벽 크레인(QC)의 작업과 연계된 야드 트럭(YT) 및 야드 크레인(YC) 작업의 마감 시간을 계산한 후, 후술하는 YC/TY 작업 스케줄러(256)의 작업에 대한 입력값을 갱신한다. The QC operation pre-scheduler 255 calculates an estimated operation time of the quay crane (QC)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time and the operation stop information of the quay crane (QC) for the quantitative operation, Calculates the deadline for the associated yard truck (YT) and yard crane (YC) operations, and then updates the input values for the operations of the YC / TY job scheduler (256), described below.

상기 YC/YT 작업 스케줄러(256)는 상기 안벽 크레인(QC)의 작업지연 및 중단시간이 포함된 작업 스케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 트럭(YT)의 작업에 대한 스케줄을 작성하고, 작성된 스케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QC 작업 사전 스케줄러(255)의 작업들에 대한 마감시간을 조정한다.The YC / YT job scheduler 256 schedules schedules for the operations of the yard cranes YC and yard trucks YC based on the job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the job delay and suspension time of the quay crane (QC) And adjusts the deadline for the tasks of the QC job pre-scheduler 255 based on the created schedule.

상기 지연예측 리포터(257)는 양적하 작업에 대한 각 장비들(110)의 스케줄에 따른 평가 및 레포트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The delay prediction reporter 257 generates an evaluation and a report according to a schedule of each equipment 110 for a subtitling work so that it can be displayed.

상기 게이트 플랜 생성기(258)는 상기 지연예측 리포터(257)를 통해 평가 및 작성된 각 장비들(110)의 스케줄을 바탕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의 출입 게이트(GT)에 대한 반입 및 반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The gate plan generator 258 may be configured to establish a loading and unloading plan for the access gate GT of the container terminal based on the schedule of each of the devices 110 evaluated and created through the delay prediction reporter 257 do.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26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전달되는 각 장비들(110)의 운영에 따른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하여 관리자가 확인 및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260 displays data on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devices 110 transmitted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n the screen so that the manager can check and readjust .

또한, 상기 신호 전송부(270)는 상기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정된 각 장비들(110)의 양적하 작업 스케줄 데이터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장비(QC, YC, YT 및 GT)에 전달하여, 양적하 작업 스케줄에 따라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70 transmits the quantitative job schedule data of each of the devices 110 finally determined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to each of the devices QC, YT and GT) so that they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quantitative work schedules.

그리고, 상기 제어부(280)는 상술한 정보 입력부(210), 데이터베이스(220), 데이터 로더부(230), 캐시데이터 구성부(240), 관리기능 모듈부(250), 디스플레이부(260) 및 신호 전송부(270)의 기능을 제어하여,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110)이 계획된 스케줄에 따라 가동될 수 있게 한다.The control unit 280 includes 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the database 220, the data loader unit 230, the cache data configuration unit 240,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the display unit 260, And controls the function of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70 so that the devices 110 in the container terminal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scheduled schedule.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방법을 상술한 도 2 내지 4, 그리고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djusting the schedule of the equipment in the contain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nd FIGS. 5 to 7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작업 스케줄 정보를 입력받은 후의 예시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작업 스케줄 정보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예시도면이다.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schedule of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after receiving job schedule inform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of a job schedule information As shown in FIG.

먼저,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안벽 크레인(QC), 야드 트럭(YT), 야드 크레인(YC) 및 터미널 출입 게이트(GT)와 같은 복수개의 장비들(110)로부터 각 장비의 동작시간, 작업위치 및 작업시간과 같은 작업 스케줄에 필요한 통계정보를 수집한다(S310).First,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transmits a plurality of pieces of equipment such as a quay crane (QC), a yard truck (YT), a yard crane (YC) and a terminal access gate (GT) 110, the operation time of each device, the work location, and the work time (S310).

이때, 상기 정보 입력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장비들(110)에 설치된 단말기로부터 작업 스케줄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입력 화면을 통해 작업 스케줄에 대한 각 장비들(110)의 운영 계획, 각 장비의 양적하 작업에 필요한 통합 통계계획, 및 선박에 대한 본선작업 계획, 각 장비들에 대한 리소스 계획 및 게이트 운영 계획 등을 포함하는 플랜 계획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6, 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may receive job schedule information from a terminal installed in each of the devices 110, and may input the job schedule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screen shown in FIG. A log of the plan plan including the operational plan of each equipment (110), the integrated statistical plan required for the quantitative operation of each equipment, and the ship work plan for the vessel, resource plan for each equipment and gate operation plan Data can also be received from the administrator.

다음에,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각 장비들(110)에 대한 운영 계획 데이터, 각 장비의 양적하 작업시 발생되는 정보가 취합된 통계 데이터와,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서 이루어지는 전체 양적하 작업에 필요한 본선 작업계획 및 장비 투입 계획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플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한다(S320).Next,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transmits operation plan data for each of the devices 110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statistical data including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quantitative work of each device, And the plan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a ship operation plan and an equipment input plan required for the entire subcontracting work performed in the database 220 (S320).

이때,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데이터 로더부(23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의 장비 운영 데이터, 통계 데이터 및 플랜 데이터를 판독하고, 캐시데이터 구성부(240)를 통해 터미널 운영서버(200)에서 상기 장비 운영 데이터, 통계 데이터 및 플랜 데이터를 고속으로 판독할 수 있도록 캐시 정보를 구성한다.At this time,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reads the equipment operation data, the statistical data and the plan data from the database 220 through the data loader unit 230, ) Constitute cache information so that the equipment operation data, statistical data and plan data can be read out at high speed.

그 다음,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각 장비들(110)이 미리 결정된 위치를 이동하여 작업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한다(S330).
예를들어, 도 4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제1 야드트럭(제1 YT)(도 4의 (a) 참조) 및 제2 야드트럭(제2 YT)(도 4의 (b) 참조)이 11번째 컨테이너 내지 17번째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스케줄과 대비하여, 도 4의 (c)는 "각 장비별 Pre-schedule Gantt Chart"(도 6 참조)의 일례인바, 제1 안벽 크레인(제1 QC)이 11번째 컨테이너 내지 17번째 컨테이너를 중단없이 선적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스케줄을 나타낸다. 도 4의 (a)에서 "11(S-1)"은 11번째 컨테이너를 제1 야드트럭이 운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고, "13(S-1)"은 13번째 컨테이너를 제1 야드트럭이 운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며, 그 사이의 회색 공간은 공차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더불 스케줄링은 고려하지 않음). 마찬가지로 도 4의 (b)에서 "12(S-1)"은 12번째 컨테이너를 제2 야드트럭이 운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고, "15(S-1)"은 15번째 컨테이너를 제2 야드트럭이 운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며, 그 사이의 회색 공간은 공차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도 4의 (c)에서 "11(S)"은 11번째 컨테이너를 제1 안벽 크레인이 적하(혹은 양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고, "12(S)"은 12번째 컨테이너를 제1 안벽 크레인이 적하(혹은 양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며, 그 사이의 회색 공간은 크레인의 스프레더가 공차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Next,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calculates the time required for each of the devices 110 to move and work through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S330).
4 (a)) and a second yard truck (second YT) (see Fig. 4 (a)), as shown in Figs. 4 4C shows the "Pre-schedule Gantt Chart for Each Equipment" (see FIG. 6), in contrast to the schedule representing the time required to transport the 11th container to the 17th container, The first quay crane (first QC) is a schedule showing the time required for uninterrupted shipment of the eleventh container to the seventeenth container. In FIG. 4A, " 11 (S-1) "indicates the time required for the first yard truck to transport the eleventh container," 13 And the gray space between them indicates the time required to move to the tolerance (in this specification, the scheduling is not considered in this specification). Similarly, "12 (S-1)" in FIG. 4 (b) represents the time required for the second yard truck to carry the 12th container, and "15 It represents the time it takes for the truck to transport, and the gray space between them represents the time it takes to travel by tolerance. Similarly, "11 (S)" in Fig. 4C represents the time required for the first quay crane to load (or unload) the eleventh container, and "12 1 It represents the time required for the crane crane to load (or unload), and the gray space between the crane crane and the crane represents the time required for the crane spreader to move to the tolerance.

이후,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각 장비들(110)의 작업 스케줄 수행시 작업지연 (실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작업지연이 아님) 여부를 예측하게 되는바, 즉, 상기 작업 스케줄 수행시의 작업지연이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40).Thereafter,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a job delay (not a work delay occurring when an operation is performed in an actual container terminal) is performed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when performing a job schedule of each of the devices 110 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whether a job delay occurs in performing the job schedule (S340).

이때, 상기 S340 단계의 판단 결과, 각 장비들(110)의 작업 스케줄에 작업지연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작업 스케줄 수행시 발생되는 작업지연 및 중단 사유별 발생시각 및 지속시간을 감안하여 각 장비들(110)의 작업 스케줄을 조정한다(S350).
상기 예에서, 각 야드 트럭 및 안벽 크레인이 도 4에서와 같이 작업을 시작했을 경우로 스케줄링을 해 본다면, 11번째 컨테이너 및 12번째 컨테이너는 각각, 안벽 크레인이 작업할 시기에 맞추어 제1 및 제2 야드트럭이 운반을 완료하였기에 문제가 없으나 (도 4의 x1, x2 참조), 13번째 및 15번째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안벽 크레인이 작업할 시기에 맞추어 제1 야드트럭이 운반을 완료하지 못하였기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4의 y1, y2 참조). 이에, 관리기능 모듈부(25)는, 13번째 컨테이너를 제1 야드트럭이 운반을 완료한 시점(13(S-1))에 제1 안벽 크레인의 작업 시점을 강제로 맞추어야 하는바 (도 4의 z1 참조), 따라서 도 4의 (d)에서 처럼, 'Y' 만큼의 작업지연시간(노란색 부분)이 발생된다. 결국, 도 4의 (c) 처럼 제1 안벽 크레인의 스케줄을 조율하여 스케줄을 확정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도 4의 (d) 및 (e)에서 적색 부분으로 표시된다. 한편, 이상의 13번째 컨테이너에 대해 스케줄을 조정한 결과, 제1 안벽 크레인의 작업이 'Y'만큼 지연되므로, 15번째 컨테이너의 작업 지연 문제는 자동으로 해소되었다. 그리하여, 각 시간대 별로 반복하여 수행하게 되고, 모두 완료하면 스케줄링을 종료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조정된 작업 스케줄은 도 6의 "각 QC 장비별 조율 결과 schedule Gantt Chart"에서 확인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40 that a task delay occurs in the task schedule of each of the devices 110,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may generate a task schedule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The operation schedule of each of the devices 110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occurrence delay time and the occurrence time and the duration time of each device 110 in operation S350.
In the above example, if scheduling is performed when each yard truck and quay crane start work as shown in FIG. 4, the eleventh container and the twelfth container are respectively set to the first and second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yard truck being completed (see x1 and x2 in FIG. 4), but in the case of the 13th and 15th containers, the first yard truck did not complete the transportation (See y1 and y2 in Fig. 4). Therefore,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 must force the operation time of the first quay crane at the time point 13 (S-1) when the first yard truck completes the transportation of the thirteenth container (Fig. 4 (Yellow portion) of " Y "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4 (d).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tune the schedule of the first quay crane to determine the schedule as shown in FIG. 4 (c), which is indicated by the red part in FIGS. 4 (d) and 4 (e). Meanwhile, as a result of adjusting the schedule for the thirteenth container, since the operation of the first crane crane is delayed by 'Y', the operation delay problem of the fifteenth container is automatically resolved. Thus, it is repeatedly performed for each time zone, and when all is completed, the scheduling is ended. The adjusted work schedule can be found in the "Schedule Gantt Chart for Each QC Equipment" in FIG.

즉,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각 장비들(110)의 작업 스케줄에 따른 통계 및 플랜 정보에 따라 (각 장비들이 실제 작업을 수행한 결과로서 발생되는 작업지연이 아닌 스케줄링 과정에서의) 작업지연이 발생되면, 각 장비들(110)의 개별 작업 수행시간을 예측하고 작업지연 시간에 따라 작업 스케줄을 수정하거나 다른 장비를 투입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조정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and the pla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job schedules of the respective devices 110, the terminal operating server 200 may notify the terminal of the operation delay (in the scheduling process, not the operation delay generated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actual operation of each device) The schedule for each task 110 is predicted and the task schedul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task delay time or the schedule is adjusted so that the task can be performed by inputting other equipment.

다음에,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재조정된 각 장비들(110)의 작업 스케줄을 바탕으로 하여,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외부의 컨테이너에 대한 출입 게이트(GT)의 반출 및 반입 계획에 대한 스케줄을 조정한다(S360). 다만, 이 과정은 터미널 외부의 상황과 맞물리므로 서버가 임의로 조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Next,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determines, based on the work schedule of each of the devices 110 read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The schedule for the carry-in and carry-in plans is adjusted (S360). However, this process is intertwined with the situation outside the terminal, so the server can not arbitrarily adjust it.

그 다음,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관리기능 모듈부(250)로부터 전달되는 각 장비들(110)의 작업 스케줄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관리자가 확인 후 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작업 시간 및 장비들의 작동 순서를 조율할 수 있도록 한다(S370).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then outputs the job schedule data of each of the devices 110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through the display unit 260 to 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to coordinate the operation time and the operation order of the equipment (S370).

이와 동시에,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신호 전송부(270)를 통해 상기 관리기능 모듈부(250)로부터 확정된 작업 스케줄 데이터를 각각의 장비(QC, YC, YT 및 GT)에 전달하여 양적하 작업 스케줄에 따라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S380).At the same time,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transmits the job schedule data confirmed by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to the respective devices (QC, YC, YT and GT) through the signal transfer unit 270, So that it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job schedule (S380).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 터미널 내 각종 물리적 객체정보, 각 장비들의 작업지연 시간이 적용된 작업 통계정보 및 각 장비들의 동작정보 등을 바탕으로 하여,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각 장비들에 대한 작업 스케줄링을 계획된 시간 안에 모두 완료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리 예측된 작업지연 시간에 따라 스케줄을 조정함으로써, 실제 작업시 각 장비들의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각 장비들의 활용도를 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job scheduling for each device in the container terminal based on various physical object information in the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to which the operation delay time of each devic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complete all the tasks in the planned time and to adjust the schedule according to the predicted work delay time so as to shorten the working time of each equipment during actual work and optimally improve the utilization of each equipm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110 : 터미널 내 장비 QC : 안벽 크레인
YC : 야드 크레인 YT : 야드 트럭
GT : 출입 게이트 200 : 터미널 운영서버
210 : 정보 입력부 220 : 데이터베이스
230 : 데이터 로더부 240 : 캐시데이터 구성부
250 : 관리기능 모듈부 260 : 디스플레이부
270 : 신호 전송부 280 : 제어부
110: Equipment in terminal QC: Pallet crane
YC: Yard crane YT: Yard truck
GT: Access gate 200: Terminal operation server
210: Information input unit 220:
230: Data loader unit 240: Cache data forming unit
250: management function module unit 260: display unit
270: Signal transmission unit 280: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의 양적하에 이용되는 안벽 크레인(QC), 야드 크레인(YC), 야드 트럭(YT) 및 출입 게이트(GT)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장비(110); 및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복수개의 장비들(110)로부터 수신한 작업 스케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각 장비의 작업지연 시간을 적용한 작업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설계된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복수개의 장비들(110)에 전달하는 터미널 운영서버(200)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는,
상기 복수개의 장비(110)로부터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입력받거나, 각 장비에 대한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210)와,
상기 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개의 장비(110)에 대한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2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의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판독하는 데이터 로더부(230)와,
상기 데이터 로더부(230)를 통해 판독되어 제공되는 복수개의 장비(110)에 대한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운영 및 관리하는 관리기능 모듈부(250)와,
상기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전달되는 복수개의 장비(110)의 운영에 따른 작업 스케줄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60)와,
상기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확정된 복수개의 장비(110)에 대한 작업 스케줄 정보를 각각의 장비(QC, YC, YT 및 GT)에 전달하는 신호 전송부(270)와,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80)로 구성되며,
상기 관리기능 모듈부(250)는,
선박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안벽 크레인(QC)의 이동위치 및 작업 소요시간을 계산하는 선박 매니저(251)와,
상기 복수개의 장비(110) 중,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 트럭(YT)의 경로, 동작가능 여부 및 이동 시간을 관리하는 YC/YT 매니저(252)와,
상기 복수개의 장비(110)를 작업 스케줄 운영시 작업지연 및 중단 사유별 발생시각 및 지속시간을 적용하여 작업 스케줄을 조정하는 중단통계 매니저(253)와,
상기 복수개의 장비(110)에 대한 작업 스케줄 정보를 각각의 장비 작업 단위로 분리시키는 플랜 분리기(254)와,
상기 복수개의 장비(110)의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에 대한 안벽 크레인(QC)의 이동시간 및 작업중단 정보를 통해 안벽 크레인(QC)의 예상 작업시간을 계산하고, 안벽 크레인(QC)의 작업과 연계된 야드 트럭(YT) 및 야드 크레인(YC) 작업의 마감 시간을 계산하는 QC 작업 사전 스케줄러(255)와,
상기 안벽 크레인(QC)의 작업지연 및 중단시간이 포함된 작업 스케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야드 크레인(YC) 및 야드 트럭(YT)의 작업에 대한 스케줄을 작성하고, 작성된 스케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QC 작업 사전 스케줄러(255)의 작업들에 대한 마감시간을 조정하는 YC/YT 작업 스케줄러(256)와,
상기 복수개의 장비(110)의 작업 스케줄 정보에 따른 레포트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지연예측 리포터(257)와,
상기 지연예측 리포터(257)를 통해 작성된 복수개의 장비(110)의 작업 스케줄 정보를 바탕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의 출입 게이트(GT)에 대한 반입 및 반출 계획을 수립하는 게이트 플랜 생성기(258)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에서의,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A)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컨테이너 터미널 내의 복수개의 장비(110)로부터 각 장비의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10);
(B)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상기 정보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개의 장비(110)에 대한 작업 스케줄 기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는 단계(S320);
(C)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복수개의 장비(110) 각각이 미리 결정된 위치를 이동하여 작업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330);
(D)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복수개의 장비(110)의 실제 작업이 아닌 작업 스케줄 수행시 작업지연이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
(E) 상기 (D) 단계의 판단 결과, 복수개의 장비(110)에 대한 작업 스케줄에 작업지연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작업 스케줄 수행시 발생되는 작업지연 및 중단 사유별 발생시각 및 지속시간을 감안하여 각 장비의 작업 스케줄을 조정하는 단계(S350);
(G)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관리기능 모듈부(250)로부터 전달되는 각 장비의 작업 스케줄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S370); 및
(H)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신호 전송부(270)를 통해 관리기능 모듈부(250)로부터 조정된 작업 스케줄 데이터를 각각의 장비(QC, YC, YT 및 GT)에 전달하는 단계(S380)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의 작업지연은,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의 외부에서 전송되어 오는 실제 작업 수행에서 발생하는 작업지연이 아니며, 상기 터미널 운영서버(200)가 관리기능 모듈부(250)를 통해, 복수개의 장비(110)의 작업 스케줄 수행시 예상되는 작업지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방법.
A plurality of equipment (110) including a quay crane (QC), a yard crane (YC), a yard truck (YT) and an entrance gate (GT) used in a container terminal quantitatively; And
A task scheduling algorithm that applies a task delay time of each device based on task schedul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devices 110 in the container terminal is designed and a designed scheduling algorithm is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devices 110 A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The terminal operating server 200,
An information input unit 210 for receiving job schedule basic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110 or receiving job schedule basic information for each device,
A database 220 for storing job schedule basic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devices 110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A data loader unit 230 for reading job schedule basic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220,
A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for operating and managing job schedule basic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devices 110 read and provided through the data loader 230,
A display unit 260 for outputting job schedu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devices 110 transmitted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on a screen,
A signal transmission unit 270 for transmitting work schedule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equipment 110 determined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unit 250 to each of the equipment (QC, YC, YT and GT)
And a control unit 280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A ship manager 251 for calculating the moving position and the operation time of the quay crane QC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ship,
YC / YT manager 252 manages the path of the yard cranes YC and the yard trucks YT among the plurality of equipments 110,
An abort statistic manager 253 that adjusts the work schedule by applying the occurrence time and the duration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quipment 110 according to a job delay and an interruption reason during operation of the job schedule,
A plan separator 254 for separating work schedule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equipment 110 into each equipment work unit,
The estimated operation time of the quay crane (QC) is calculated through the movement time and the operation stop information of the quay crane (QC) with respect to the work schedule basic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equipment (110) A QC job pre-scheduler 255 for calculating a deadline of the yard truck YT and yard cranes YC,
A schedule for the work of the yard crane YC and the yard truck YT is created based on the job schedule information including the work delay and the downtime of the quay crane QC, A YC / YT job scheduler 256 that adjusts the deadline for jobs of the QC job pre-scheduler 255,
A delay prediction predictor 257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report according to job schedul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110,
And a gate plan generator (258) for establishing a carry-in and take-out plan for the access gate (GT) of the container terminal based on the job schedul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equipment (110) created through the delay prediction reporter (257) CLAIMS 1. A method for scheduling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in a scheduling system of equipment in a container terminal,
(A) a step (S310) of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collecting job schedule basic information of each device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110 in the container terminal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B) storing (S 320) the job schedule basic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devices (110) input by the terminal operating server (200)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210) in the database (220);
(C) calculating (S330) a time requir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110 to move and work through a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by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D) a step (S340) of judging whether a task delay occurs in performing a task schedule rather than an actual task of a plurality of devices (110) through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unit (250) ;
(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D) that a job delay occurs in a job schedule for a plurality of devices 110,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transmits, to the terminal management server 200, Adjusting a job schedule of each of the de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occurrence of a job delay occurring during the execution of the schedule and the occurrence time and duration of each reason for the interruption (S350);
(G) outputting, on the screen, the job schedule data of each of the devices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unit 250 through the display unit 260 (S370); And
(H) The terminal operating server 200 transmits the adjusted job schedule data from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to each of the devices (QC, YC, YT and GT) through the signal transferring unit 270 S380)
The operation delay in the step (D) is not a delay in the actual operation performed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terminal operation server 200 transmits the operation delay to the management function module 250, Wherein the scheduling of equipment scheduling in the container terminal is a delay in operation expected when performing a job schedule of a plurality of equipment (110) through the plurality of devices (11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78637A 2013-12-13 2014-12-11 Method for controlling schedule of devices in container terminal KR10169027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384 2013-12-13
KR20130155384 2013-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016A KR20150070016A (en) 2015-06-24
KR101690276B1 true KR101690276B1 (en) 2016-12-27

Family

ID=5351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637A KR101690276B1 (en) 2013-12-13 2014-12-11 Method for controlling schedule of devices in container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2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048B1 (en) * 2015-07-07 2016-07-01 주식회사 비씨엠피 Device for controlling heavy equipment schedule in underground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2571740B1 (en) * 2021-04-15 2023-08-29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Method for work management of trailer
KR102544614B1 (en) * 2022-11-30 2023-06-20 (주)토탈소프트뱅크 Apparatus for path planning of port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07B1 (en) 2007-12-21 2008-07-10 주식회사 케이엘넷 Multi-planner operation planning system and method of container terminal
KR100970168B1 (en) * 2009-12-10 2010-07-14 주식회사 케이엘넷 Exception management and handl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and plann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011A (en) * 2001-07-12 2003-01-24 (주)토탈소프트뱅크 3D VR Port Simulator
KR20060126819A (en) * 2006-09-12 2006-12-08 톰슨 라이센싱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downloading in a cached network environment
KR100841682B1 (en) 2007-02-13 2008-06-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generating loading and unloading schedule of quay crane
KR101679826B1 (en) 2013-12-05 2016-11-25 (주)토탈소프트뱅크 Method for controlling workflow of a plurality of device in container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07B1 (en) 2007-12-21 2008-07-10 주식회사 케이엘넷 Multi-planner operation planning system and method of container terminal
KR100970168B1 (en) * 2009-12-10 2010-07-14 주식회사 케이엘넷 Exception management and handl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and plan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016A (en)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g et al. Dispatching automated guided vehicles in a container terminal
Gelareh et al. Scheduling of intelligent and autonomous vehicles under pairing/unpairing collaboration strategy in container terminals
Grunow et al. Strategies for dispatching AGVs at automated seaport container terminals
Bielli et al. Object oriented model for container terminal distributed simulation
Moorthy et al. Cyclic deadlock prediction and avoidance for zone-controlled AGV system
Kim et al.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current trends and future challenges
CN110516976A (en) A kind of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AGV dispatching method of optional handling completion date
Song et al. Study on berth planning problem in a container seaport: Using an integrated programming approach
Guericke et al. Liner shipping cargo allocation with service levels and speed optimization
KR20150124958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two automated non-passing rail mounted gantry cranes
KR10169027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chedule of devices in container terminal
Kulak et al. Strategies for improving a long-established terminal’s performance: a simulation study of a Turkish container terminal
Zhou et al. A simulation-based vessel-truck coordination strategy for lighterage terminals
Ahmed et al. Synchronized scheduling model for container terminals using simulated double-cycling strategy
Jaehn et al. Scheduling cooperative gantry cranes with seaside and landside jobs
Zehendner et al. Optimized allocation of straddle carriers to reduce overall delays at multimodal container terminals
JP5686072B2 (en) Warehouse work plan creation device
Sharif et al. Yard crane scheduling at container terminals: A comparative study of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approaches
KR100297095B1 (en) Simulation method in designing of container terminal
Li et al. Planning and scheduling for maritime container yards
Falsafi et al. A decision-support model for dock and transport management after inbound logistics disruptions in the automotive sector
Klerides et al. Modelling and solution approaches to the multi-load AGV dispatching problem in container terminals
JP2010001114A (en) Vessel service schedule preparation method and device
Guo et al. A global intermodal shipment matching problem under travel time uncertainty
KR20220145104A (en) A method for scheduling works of yardcranes in container terminal using a simulation-based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