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103B1 -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103B1
KR101690103B1 KR1020150119543A KR20150119543A KR101690103B1 KR 101690103 B1 KR101690103 B1 KR 101690103B1 KR 1020150119543 A KR1020150119543 A KR 1020150119543A KR 20150119543 A KR20150119543 A KR 20150119543A KR 101690103 B1 KR101690103 B1 KR 101690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unit
groun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원
송기찬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to KR102015011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25
    • G01R31/021
    • G01R31/024
    • G01R31/04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접지선이 불연속일 경우, 감전사고의 방지를 위해 전원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전기기계로의 전원 투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100); 상기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전원 생성부(200); 상기 전원을 감지하여 전원선의 상태를 감지하고 접지의 연속성 상태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부(300); 및 상기 신호 처리부의 감지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릴레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Device for Testing Continuous Grounding and Power Shut-down}
본 발명은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용 전기기계의 전원선과 접지와의 불연속성을 감지하여 감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현대생활에 있어서 전기는 필수 불가결한 자원중의 하나이지만, 전기에 감전되면 생명을 잃게 되는 등 사람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입히기도 한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전기설비를 작동시키거나 유지 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다 보면, 전기기계의 전원선과 접지와의 불연속이 발생하게 되어 작업자가 감전 재해나 화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특히, 특고압의 송배전 선로나 기기의 활선 상태에서 점검과 보수 작업을 할 때, 전기기계에서 접지와의 불연속성이 발생할 경우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사고와 설비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
최근 10년간의 감전재해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약 60% 이상의 재해가 소규모 건설업에서 발생하고 있고, 전기기기의 절연불량에 의한 감전사고가 약 30%를 점유하고 있다.
특히, 건설현장에서 이동용 전기기기에 의한 감전사망과 비산/접촉상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어, 이동용 전기기계/기구에서의 전기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접지 시설 및 누전차단기 설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접지의 경우에는 접지의 상태가 항상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접지식과 비접지식이 혼재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의 동작 불능 등 감전 예방을 위한 사각지대가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한 감전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서, 접지선의 연속성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접지 연속성 확인 장치로는, 저항계 및 멀티미터(도 1 참조), 확인 램프가 부착된 플러그 형태의 장치(도 2 참조), 이동형의 설비에 접지를 시켜 연속성을 확인하는 장치(도 3 참조) 등이 있다.
이러한 접지 연속성 확인 장치는, 산업 현장, 건설 현장의 전기공사, 보수, 점검시에 접지 연속성 상태를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장치들은, 가격이 고가이고 계측기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형태의 확인 장치는, 전기 기기가 동작하는 중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동형 설비에서 정전기 방전을 위해 접지 연속성을 확인하는 장치(도 3 참조)는,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크기가 커서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용 전기기계/기구로부터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 연속성 확인장치를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화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지선이 불연속일 경우, 감전 방지를 위해 전원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전기기계로의 전원 투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접지 연속성 확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지 연속성 확인 장치를, 기존의 휴대용, 고정용 누전 차단기, 과부하 차단기와 병합 및 일체화하여 혼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는,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전원 생성부; 전원을 감지하여 전원선의 상태를 감지하고 접지의 연속성 상태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부; 및 신호 처리부의 감지 상태에 대응하여 전원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원선의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선 감지부; 상기 전원선 감지부의 출력에 대응하여 상기 접지의 연속성 상태를 판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선의 상태 및 상기 접지의 연속성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기 릴레이부의 스위칭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선 감지부는, 접지전위를 중성으로 하여 전류가 유입되는 선과 전원으로 복귀하는 선을 구분하고, 전류 인입선과 접지와의 전위차가 전원전압과 같은 경우를 판단하여 상기 전원선의 정상분, 역상분, 전원 공급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선 감지부는, 분할된 저항값을 출력하는 복수의 저항; 상기 전원선과 연결되고 출력신호가 피드백 입력되며, 상기 전원선의 신호와 상기 피드백 입력된 신호를 비교하는 복수의 비교부; 및 상기 복수의 비교부의 출력과 상기 분할된 저항값을 비교하는 복수의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전원선과 상기 접지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접지선의 전압이 그라운드 전압 레벨인 경우 정상으로 판단하고, 접지선의 전압이 전원전압 레벨로 검지되는 경우 상기 접지선이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전기기기의 사용 중 상기 전원선이 무접지 상태인 경우 상기 릴레이부를 턴 오프시켜 입력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기기의 전원 투입 전에 상기 전원선이 무접지 상태인 경우 상기 입력전원이 투입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접지의 연속성 확인 및 상기 전원선의 상태를 외부의 휴대폰에 원격으로 전송하는 통신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기는,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접지의 연속성 확인 및 상기 전원선의 상태를 상기 휴대폰에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 외부의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하는 입력 제어부; 및 상기 레귤레이터, 상기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입력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용 전기기계/기구로부터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 연속성 확인장치를 휴대 가능하도록 소형화시킴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용 전기기계/기구의 전원선과 접지와의 불연속성을 감지하여 전원선과 접지선이 불연속일 경우, 전기기계로의 전원 투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기기의 사용 중에 접지선의 이탈 등 접지의 불연속 상태가 되면, 전기설비의 전원을 차단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지 연속성 확인장치를, 기존의 휴대용, 고정용 누전 차단기, 과부하 차단기와의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감전 재해를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전기로 인한 중대재해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지선 연속성 확인 장치에 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의 외형 사진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와 스마트폰을 융합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의 통신 제어기의 상세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융합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이동용 전기기계/기구 등 전기설비와 전원선의 접지와의 불연성을 감지하여, 접지의 연속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이동용 전기기계기구로의 전원 투입이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기기계/기구가 사용 중이더라도 접지 불연속 상태가 인지되는 경우에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입력부(100), 직류전원 생성부(200), 신호 처리부(300) 및 릴레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 입력부(100)는 입력전원인 교류전원(예를 들어, AC 220V)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직류전원 생성부(200)는 전원 입력부(100)로부터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압(예를 들어, 5V)으로 변환하여 반도체 소자 등 전자회로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직류전원 생성부(200)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트랜스(210)와, 트랜스(210)의 출력전압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정류하는 정류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300)는, 전원선 감지부(310),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이하, MCU라 함)(320), 표시부(330) 및 구동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선 감지부(310)는, 전원선의 정상상태(정상분, 역상분)을 판별하여 정상, 역상, 전원 인가 상태 등을 감지한다.
전원 입력부(100)와 연결된 전원선은 접지전위를 중성으로 볼 때, 전류가 전기기기로 흘러 들어가는 선과, 전기기기를 구동한 후 다시 전원으로 복귀(귀로)하는 선으로 구분된다.
이 경우 전류 인입선과 접지와의 전위차는 전원전압과 같게 되나 전류 귀로선과 접지와의 전위는 0이 되는데, 전원선 감지부(310)는 이를 감지하여 논리회로로 판별한다.
상기 전원선 감지부(310)는, 전원 입력부(100)의 전원선과 연결되고, 출력신호가 피드백 입력되며, 이 두 신호를 비교하는 복수의 비교부 A1, A2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선 감지부(310)는, 전단의 출력신호와 저항 분할된 신호를 비교하는 복수의 비교부 A3~A6 및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았을 때 서로 일치하면 정상분, 일치하지 않으면 역상분으로 표시부(330)에 표시된다.
그리고, 전원 입력부(1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이를 전원으로 표시하며, 표시부(330)의 표시 동작은 전원선 감지부(310)에서 감지되어 MCU(320)에서 제어된다.
상기 MCU(320)는 무접지(접지 불연속성) 상태를 검지하는데, 예를 들어 전원선과 접지선의 전압을 항상 모니터링한다.
접지선이 정상이라면 접지선과 전원으로 복귀(귀로)하는 선과의 전압은 0V가 된다. 그리고, 접지전이 끊어지게 되면 전원전압(220V의 경우)과 그 전압 레벨(예를 들어, 220V)이 동일하게 검지된다.
표시부(330)는, 전원선의 상태 및 접지연속성 상태를 표시등(LED)을 통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구동부(340)는 MCU(320)의 제어에 따라 릴레이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구동부(340)는 광에 의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부(400)는, 전원 입력부(100)와 구동부(340)와 연결되며, 구동부(340)의 출력에 대응하여 스위치 상태가 제어되어 헤더(Header)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즉, MCU(320)는 전기기기의 사용 중 전원선의 상태가 무접지(접지 불연속성) 상태인 경우, 릴레이부(400)를 통하여 입력전원(220V)을 차단한다.
상기 MCU(320)는 전기기기의 전원 투입 전에 전원선이 무접지(접지 불연속성) 상태인 경우, 입력전원이 투입되지 않도록 방지회로를 통하여 통제한다. 그리고, 전원선이 정상상태인 경우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의 휴대형 누전차단기와의 기술 병합을 통하여 일체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용 전기기계/기구를 포함하는 모든 전기설비로부터의 누전으로 인한 감전 재해에 대한 근원적 예방에 기여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용 전기기계/기구 등 전기기기로부터의 접지 연속성을 상시 확인하여, 작업 중에라도 접지선의 이탈/단선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감전 위험성을 미리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지 불연속일 때 전기기기의 입력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누전의 조기감지 및 사전조치를 취하게 하여 감전 재해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지연속성 확인 및 안전차단장치는, 양수기, 열풍기, 이동형 발전기, 철근 절곡기, 콤프레셔 등의 이동식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의 외형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와 연결되는 콘센트 삽입단자와, 중성(Neutral) 단자, 라인(Line) 단자, 접지(Earth)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중성 단자 및 라인 단자는 기존의 휴대형 누전차단기에 삽입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원 차단장치는, 본체 외부에 무접지 상태 및 전원이 차단됨을 표시하는 무접지 및 전원 차단 표시등, 액상 표시등, 전원 표시등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콘센트 전원의 통전시 전원 활선 표시 및 확인이 가능하고, 접지선 단락/단선시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접지 연속성에서 접지선의 단선 시, 전원의 차단 및 전원의 투입 불가 기능의 표시 및 그 확인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원 및 중성선(L1, N상 및 L1, L2, L3, N상)의 표시 및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전원을 리셋시키는 기능 복귀 스위치(리셋용) 기능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화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와 스마트폰을 융합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과 연계하여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차단 상태를 원격에서 인지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 아닌 무선 단말기(이하 통칭하여 '휴대폰'이라 한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휴대폰(B)과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차단장치(C)를 결합하여 스마트폰 융합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차단장치(D)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 장치 기능을 휴대폰에 추가하여도, 기존 휴대폰의 고유 기능은 상실되거나 제거되지 않는다.
이 경우 근로자들이 휴대하는 휴대폰에, 블루투스 모듈, 메시지 전송 기능, 메지 전송용 연락처 설정 메뉴, 단락 확인 표시 및 누전 차단 확인 표시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휴대폰과의 접지연속성 확인 및 전원차단장치는, 상호 블루투스 통신(양방향, 근거리)을 통해 각 기기의 접지연속성 확인 및 전원차단 상태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근로자 휴대폰에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안전차단장치와 통신기능, 어플리케이션 설정 기능이 내장된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은 직렬 포트 프로파일(SPP; Serial Port Profile)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폰에는 메뉴 선택기능에 의한 통신 개시 기능이 구비되고, 사용자 구분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락상태의 유무 확인 시, 메시지 발송을 위한 연락처 저장 기능메뉴(예를 들어, 2명 이상)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락상황 발생 시 관리자 단말기로 메지시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 기능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근로자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관리자 휴대폰을 통해 각각의 근로자들로부터 접지연속성 확인 및 안전차단 상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각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체크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는, 이동용 전기기계/기구와 전원선 접지와의 불연속성을 감지하여, 접지의 연속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전기기계/기구로의 전원 투입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인지된 연속/불연속 상태의 신호는 휴대폰으로 전송되어 근로자/감독자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의 화면 또는 스피커를 통해 경보/경광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원차단장치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신하여 단락의 유무를 확인한 후, 프로그램에 등록된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메시지 전송하기 위한 통신프로그램(예를 들어, 3G, LTE, Wi-fi)이 구비되어야 한다.
도 8은 이러한 통신 제어기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통신제어기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내장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그리고, 통신사양으로는 탑(TOP) 영역(500)에 레귤레이터(510),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520)을 포함하고, 버텀(Bottom) 영역(600)에 입력 제어부(610)와, 제어기(620)를 포함한다.
상기 레귤레이터(510)는 저전압 출력(LDO; Low Drop Output) 전압 레귤레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520)은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차단 상태를 원격으로 휴대폰에 전송한다.
또한, 입력 제어부(610)는 외부의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 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제어기(620)는 탑 영역(500)과 버텀 영역(600)의 회로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을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폰은 블루투스와의 통신을 통해 접지 연속성 및 전원 차단 상태를 수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은 필요 시 전원차단장치와의 페어링을 통해 정상적인 통신 상태의 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은 안전차단장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및 화면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도 9는 휴대폰 융합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휴대폰(스마트폰)의 동작 모드를 설명한다.
휴대폰의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로고 화면이 나타난다.
이어서 실행 초기 화면이 나타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화면이 나타난다.
그리고, 설정 선택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면, 그에 대한 결과가 화면상에 표시된다.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 상태가 감지되면,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화면에 특정 색상(예를 들면, 붉은색)의 글자로 무접지, 누전, 정상, 역상 등의 경보 또는 경광 신호를 발생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휴대폰의 경보 출력부는, 휴대폰의 화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시각적, 청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상에 무접지가 표시되는 경우 이동형 전기기계가 무접지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화면상에 누전 상태가 표시되는 경우 이동형 전기기계가 누전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화면상에 역상 상태가 표시되는 경우 이동형 전기기계의 주파수가 역상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화면상에 정상 상태가 표시되는 경우 이동형 전기기계의 상태가 정상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휴대폰에는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차단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경보 및 경광 기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메뉴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휴대폰의 화면에 표시된다.
최근 들어 휴대폰은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현장에서 재난 정보를 알리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가 재난안전센터는 재난속보를 제공하고 있고,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사고포착 등의 앱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을 활용하여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및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간편하게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건설현장의 감독자 또는 근로자가 현장에 존재하는 다양한 전기 공급 전선에서의 접지 상태 및 전원 차단 상태를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휴대폰을 활용하여 용이하게 검지할 수가 있다.
또한, 휴대폰을 활용하여 접촉 또는 비접촉식으로 무접지 상태 및 전원 차단 상태를 검지한 후 휴대폰을 통해 경보 또는 경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설현장의 감독자 또는 근로자는, 휴대폰의 경보 또는 경광을 통해 위험을 인지하여 사전에 감전 방지 조치를 취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전원 입력부
200 : 직류전원 생성부
300 : 신호 처리부
310 : 전원선 감지부
320 :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330 : 표시부
340 : 구동부
400 : 릴레이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100);
    상기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전원 생성부(200);
    상기 전원을 감지하여 전원선의 상태를 감지하고 접지의 연속성 상태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부(300); 및
    상기 신호 처리부의 감지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릴레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300)는,
    상기 전원선의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선 감지부(310);
    상기 전원선 감지부의 출력에 대응하여 상기 접지의 연속성 상태를 판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320);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선의 상태 및 상기 접지의 연속성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330);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기 릴레이부의 스위칭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구동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선 감지부(310)는,
    접지전위를 중성으로 하여 전류가 유입되는 선과 전원으로 복귀하는 선을 구분하고, 전류 인입선과 접지와의 전위차가 전원전압과 같은 경우를 판단하여 상기 전원선의 정상분, 역상분, 전원 공급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 감지부(310)는,
    분할된 저항값을 출력하는 복수의 저항;
    상기 전원선과 연결되고 출력신호가 피드백 입력되며, 상기 전원선의 신호와 상기 피드백 입력된 신호를 비교하는 복수의 비교부; 및
    상기 복수의 비교부의 출력과 상기 분할된 저항값을 비교하는 복수의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320)은,
    상기 전원선과 상기 접지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접지선의 전압이 그라운드 전압 레벨인 경우 정상으로 판단하고, 접지선의 전압이 전원전압 레벨로 검지되는 경우 상기 접지선이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320)은,
    전기기기의 사용 중 상기 전원선이 무접지 상태인 경우 상기 릴레이부를 턴 오프시켜 입력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기기의 전원 투입 전에 상기 전원선이 무접지 상태인 경우에 상기 입력전원이 투입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300)는,
    상기 접지의 연속성 확인 및 상기 전원선의 상태를 외부의 휴대폰에 원격으로 전송하는 통신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기는,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접지의 연속성 확인 및 상기 전원선의 상태를 상기 휴대폰에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
    외부의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하는 입력 제어부; 및
    상기 레귤레이터, 상기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입력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
KR1020150119543A 2015-08-25 2015-08-25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 KR101690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543A KR101690103B1 (ko) 2015-08-25 2015-08-25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543A KR101690103B1 (ko) 2015-08-25 2015-08-25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103B1 true KR101690103B1 (ko) 2017-01-09

Family

ID=5781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543A KR101690103B1 (ko) 2015-08-25 2015-08-25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1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943B1 (ko) * 1996-08-26 1999-12-15 덴턴 마이클 죤 안전접지검출기
KR20120022076A (ko) * 2009-04-17 2012-03-09 오로라 에너지 피티와이 엘티디 전기 회로의 액티브 라인, 중성 리턴 라인, 또는 접지 경로에서의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943B1 (ko) * 1996-08-26 1999-12-15 덴턴 마이클 죤 안전접지검출기
KR20120022076A (ko) * 2009-04-17 2012-03-09 오로라 에너지 피티와이 엘티디 전기 회로의 액티브 라인, 중성 리턴 라인, 또는 접지 경로에서의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8239B2 (en) Electric shock warning distribution board system including wearable device for warning electric shock and distribution board linked thereto
KR101705090B1 (ko) 접지단선 감지 및 전원보호장치
CN105675966A (zh) 一种基于差值计算方式的故障电弧检测方法及其保护装置
KR101773705B1 (ko) 접지상태 감시장치
KR20170138172A (ko) 학습기능을 이용한 전기 안전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690103B1 (ko) 접지 연속성 확인 및 전원 차단장치
KR102077217B1 (ko) 접지단선 감지에 의한 전력 차단기 작동 기반 부하차단 장치
KR102314282B1 (ko) 전력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414929B1 (ko) 수배전반의 전압감지 표시 제어장치
US10324437B2 (en) Electrical system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CN107276024B (zh) 一种漏电监控设备
KR102505108B1 (ko) 배관 피복 손상부 탐사를 위한 원격 제어형 스마트 정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CN216699500U (zh) 一种智能安全用电保护装置
KR101735892B1 (ko) 모터보호 계전기 테스트 장치
JP4895909B2 (ja) 作業用接地線検出装置、作業用接地線検出システム、及び作業用接地線
JP2018102024A (ja) 作業用接地外し確認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CN107069344A (zh) 一种基于网络的智能插座
CN111064160B (zh) 移动配电箱
KR20180123334A (ko) 전류감시보드
KR20050080716A (ko) 감전 재해 예방용 경보장치
CN210463310U (zh) 漏电保护装置、控制器和空调器
CN110611293A (zh) 一种便携式自动报警断电的保护装置
CN112952769A (zh) 一种断路器的设置方法、装置和配电系统
CN204832390U (zh) 一种电力检测系统
KR102412696B1 (ko) 역가압 방지 경고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