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825B1 - 피트니스 구조물 - Google Patents

피트니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825B1
KR101689825B1 KR1020150112671A KR20150112671A KR101689825B1 KR 101689825 B1 KR101689825 B1 KR 101689825B1 KR 1020150112671 A KR1020150112671 A KR 1020150112671A KR 20150112671 A KR20150112671 A KR 20150112671A KR 101689825 B1 KR101689825 B1 KR 101689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weight
cable
ro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9532A (ko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이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KR1020150112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8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63B21/01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including a rope or other flexible element moving relative to the surface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bar); 상기 바의 일 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1 로드부 및 제2 로드부; 상기 바의 일 단부 및 상기 제1 로드부와 각각 결합된 제1 케이블; 및 상기 바의 타 단부 및 상기 제2 로드부와 각각 결합된 제2 케이블;을 포함하는, 피트니스 구조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피트니스 구조물 {Fitness structur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트니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용과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근력을 향상시키고 균형 잡힌 신체를 만들기 위하여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ining)을 지속하는 헬스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바벨(barbell)이나 덤벨(dumbbell)과 같이 무게를 가진 물체를 이용해 근육을 단련시키고 그로 인한 체력 증진을 목표로 하는 운동이다.
웨이트 트레이닝에 사용되는 동작들은 벤치 프레스(bench press), 스쿼트(squat), 데드리프트(deadlift)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피트니스 클럽에는 이러한 동작들을 구현시키기 위한 다양한 헬스 기구들이 구비되어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사용하는 운동기구에 프리 웨이트와 머신운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리웨이트는 바벨과 덤벨을 사용하는 운동으로 균형근 및 보조근을 이용하여 신체 발란스 향상에 효과가 크다. 머신운동은 바벨 없이 중량추 및 도르래의 조합을 포함하는 헬스 기구를 사용하는 운동으로 쉽게 운동을 익힐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고, 하나의 구조물로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피트니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bar); 상기 바의 일 측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높이에 상기 바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바 거치 핀을 구비하는 한 쌍의 바 거치 부; 상기 바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로드부; 및 상기 바와 상기 로드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바의 높이에 따라 상기 로드부의 높이가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의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로드부에 하나 이상의 중량부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 거치부에는 복수 개의 높이에 각각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상기 바 거치 핀이 삽입되며, 상기 바 거치 핀에 의해 상기 바가 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 거치부의 일면 상에 제1 직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 거치부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 상에 제2 직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2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 거치 핀은,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직경 이하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직경부와, 상기 제1 직경부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직경 이하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직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바의 일 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1 로드부 및 제2 로드부를 포함하고,상기 케이블은, 상기 바의 일 단부 및 상기 제1 로드부와 각각 결합된 제1 케이블과, 상기 바의 타 단부 및 상기 제2 로드부와 각각 결합된 제2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의 제3 방향(Z축)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로드부 및 상기 제2 로드부가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부 및 상기 제2 로드부 각각은, 어느 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이동하는 승강부; 및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중량부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중량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부의 중량 결합부와 상기 제2 로드부의 중량 결합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구조물은, 상기 제1 로드부, 상기 제2 로드부,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이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중량부가 거치되는 하나 이상의 중량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중량 거치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풀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블, 상기 제1 로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풀리가 도르래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케이블, 상기 제2 로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풀리가 도르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 사이에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의 일 측에 형성되며,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제1 스탠딩 부재; 상기 바의 일 측에 상기 제1 스탠딩 부재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제2 스탠딩 부재; 및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바 지지부와, 상기 바 지지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삽탈부를 구비하는 캐쳐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탈부가 상기 제1 스탠딩 부재 및 제2 스탠딩 부재의 가이드 홈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추출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수행중인 운동의 종류, 운동의 횟수, 중량부의 중량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중량부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 중량부 또는 사용자 신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중량부 또는 사용자 신체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운동 시간을 감지하는 센서, 중량부 또는 사용자 신체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을 마친 사용자에 대해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해당 사용자별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인증을 마친 상기 사용자에 대해 개인화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피트니스 구조물에 의해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고, 하나의 구조물로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더블 케이블(Double Cable) 구조가 적용된 피트니스 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 로딩(Air Loading) 구조가 적용된 피트니스 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피트니스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피트니스 구조물의 바 거치부 및 바 거치 핀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피트니스 구조물의 캐쳐바 거치부의 제1 스탠딩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피트니스 구조물의 캐쳐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7의 캐쳐바가 제1 스탠딩 부재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7의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하여 데드 리프트를 수행하는 사용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7의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하여 스쿼트를 수행하는 사용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7의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스쿼트와 데드 리프트, 오버헤드 프레스를 수행할 때 바의 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블 케이블(Double Cable)>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더블 케이블(Double Cable) 구조가 적용된 피트니스 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피트니스 구조물의 경우, 바(bar)의 양쪽에 중량부(중량 원판 등)를 끼우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바벨의 바의 길이는 2m 20cm이므로, 바의 양쪽에 중량부를 끼우기 위한 공간을 30cm만 고려해도 필요 공간은 3m에 이른다. 또한 중량 원판을 바꾸기 위해 사용자가 피트니스 구조물의 양쪽으로 번갈아가며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케이블에 중량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피트니스 구조물도 일부 개발된 바 있으나, 케이블과 중량부를 연결하기 위해 배치된 풀리가 로드(rod)와 붙어 있어서, 운동 시 간섭에 의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존재하였다. 또한, 실제로 많은 운동의 궤적은 수직에서 벗어날 때가 많기 때문에, 피트니스 구조물의 프레임 등의 구조물은 바의 운동 경로와 이격되어서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은 더블 케이블(Double Cable) 구조를 채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1a)은 바(20)의 양쪽에 각각 제1 케이블(31) 및 제2 케이블(32)을 연결하고, 제1 케이블(31) 및 제2 케이블(32)의 반대쪽 끝에는 각각 로드부(40a)를 연결하여, 두 개의 케이블(31, 32)을 이용하여 프리웨이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1a)은 바(20), 제1 케이블(31), 제2 케이블(32) 및 두 개의 로드부(40a)를 포함한다.
바(20)는 바 본체(21)와, 바 본체(21)의 양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부(22)를 포함한다. 바 본체(21)의 일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부(22)에는 제1 케이블(31)이 연결되고, 바 본체(21)의 타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부(22)에는 제2 케이블(32)이 연결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고정부(22)의 내부에는 베이링(미도시)이 수용되어, 바 본체(21)가 케이블 고정부(22)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베어링에 의해 운동 시,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케이블(31)의 일 단부는 상술한 바(20)의 케이블 고정부(22)에 결합되고, 제1 케이블(31)의 타 단부는 일 측의 로드부(40a)에 결합된다. 한편, 제2 케이블(32)의 일 단부는 상술한 바(20)의 케이블 고정부(22)에 결합되고, 제2 케이블(32)의 타 단부는 타 측의 로드부(40a)에 결합된다. 이때 케이블이 바와 로드부를 연결하는 중간에는 하나 이상의 풀리들이 배치되며, 이들 풀리는 사용자가 가하는 힘을 로드부로 전달하면서 그 방향을 전환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부(40a)는 스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핀(미도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로드부(40a)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각 케이블(31, 32)과 각 로드부(40a) 및 복수 개의 풀리들이 결합되어 고정 도르래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케이블, 풀리 및 로드부의 배치에 따라, 움직 도르래 및 복합 도르래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부(40b)는 중량 결합부(43b)가 형성된 승강부(42b)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중량 결합부(43b)에 하나 이상의 중량부(90)가 탈부착되어 로드부(40b)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각 로드부(40b)의 중량 결합부(43b)가 전체 피트니스 구조물(1b)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두 개의 로드부(40b)의 중량 결합부(43b)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트니스 구조물(1b) 외부에 중량부(90)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케이블, 풀리 및 로드부의 배치에 따라, 고정 도르래, 움직 도르래 및 복합 도르래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이 서로 결합되고, 단일의 로드부(40c)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케이블, 풀리 및 로드부의 배치에 따라, 고정 도르래, 움직 도르래 및 복합 도르래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더블 케이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공간 효율이 극대화된 피트니스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바벨이나 스미스 머신은 좌우로 3m 정도의 공간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1a, 1b, 1c)의 경우, 사용자가 운동 중 잡게 되는 부분은 바의 중심 1.1m 이내이기 때문에 기구의 좌우 폭을 1.5m 이하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1a, 1b, 1c)에 의해, 사용자가 바와 지면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스쿼트(Squat), 데드 리프트(dead lift), 벤치 프레스(Bench Press), 바벨 컬(barbell Curl), 바벨 로우(barbell Row), 클린 앤 저크(역도의 용상), 스내치(인상) 등의 다양한 운동을, 본 발명의 피트니스 구조물(1a, 1b, 1c)에 의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피트니스 구조물(1a, 1b, 1c)은 별도의 가이드부가 없기 때문에, 바가 특정한 이동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가한 힘의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는 프리웨이트 운동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균형근을 단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1a, 1b, 1c)은 운동 중에 바와 간섭을 일으킬 가이드 로드 등의 설치물이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중량의 강도 조절을 위해 사용자가 바의 양쪽으로 왕래할 필요 없이 가운데에서 중량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필요한 움직임이 줄어들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더블 케이블(Double Cable) 구조가 적용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7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에어 로딩(Air Loading)>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 로딩(Air Loading) 구조가 적용된 피트니스 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피트니스 구조물의 경우, 운동의 다양한 시작 위치에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세히, 운동에 따라, 그리고 사람의 체형에 따라 운동을 시작하는 바나 핸들의 위치가 다르지만, 기존의 웨이트 머신은 그 시작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랫풀 다운의 경우, 키가 큰 사람에 맞춰 핸들을 설치했을 때, 키가 작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케이블로 전달되는 중량의 힘이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는 기구들 역시 바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운동에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한편, 바의 위치를 바꿀 수 있는 어드저스터블 풀리가 개발되었으나, 블록 구조의 한계로 수행하기 어려운 운동이 많다.
상세히, 근육은 고무줄과 같아 늘어나면 원래대로 돌아오려는 성질이 있다. 그 성질을 신장 반사(stretch reflex)라고 하는데, 기지개를 편 상태에서 힘을 빼면 돌아오는 것은 가슴 근육(대흉근)의 신장 반사 때문이다.
웨이트트레이닝에는 신장 반사를 이용한 운동과 그렇지 않은 운동이 있다. 루마니안 데드 리프트, 스쿼트는 햄스트링의 신장 반사를, 벤치프레스는 가슴의 신장 반사를, 케이블 트라이셉스 푸쉬다운은 삼두근의 신장반사를 이용한 운동이다. 반면 바벨컬이나 데드 리프트, 턱걸이 등은 바에 힘을 가하지 않은, 즉 안정된 상태에서 운동을 시작하는, 신장 반사를 이용하지 않는 운동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량물을 들어올린 상태(가력한 상태)에서 중량물을 내렸다가 다시 들어올리는 신장반사를 이용한 운동을 '탑-다운 운동'이라고 하고, 반대로 힘을 빼고 중량물을 내린 안정된 상태에서 시작하여 중량물을 위로 들어올리는 운동을 '다운-탑 운동'이라고 한다.
신장 반사를 이용하는 이유는 그냥 들어올리는 것에 비해 더 많은 중량을 들 수 있고, 실제 일상 생활에서 신체의 움직임과 유사해 훈련의 효과가 높기 때문이다. 스쿼트는 중량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시작해, 내렸다가 들어올리는 탑-다운 운동인데, 만약 주저앉은 상태에서 운동을 시작해서 들어올리게 된다면(이를 박스에 앉아서 한다고 하여 Box Squat라고 함), 즉 다운-탑으로 운동하면 현저하게 적은 무게 밖에 들지 못한다.
어드저스터블 풀리 등과 같이 미리 쌓여있는 복수 개의 블록에 로딩 부재를 관통시키고 중량핀을 이용해 사용할 중량을 선택하는 방법은 다운-탑 운동은 가능하지만 탑-다운 운동은 불가하다. 왜냐하면 스쿼트와 같은 탑-다운 운동의 경우, 운동 중 사용하는 중량 블록이 거치되어 있는 블록에 접촉되면 안 되기 때문에, 운동의 시작 자세를 취할 때 운동 경로의 가장 낮은 지점보다 낮은 위치, 즉 블록이 거치되어 있는 위치에서 운동 경로의 가장 높은 위치로 중량물을 들어올려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스쿼트나 루마니안 데드 리프트처럼 자신의 몸무게 이상의 무거운 중량물을 이용하는 운동의 경우, 운동의 시작 자세를 취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어드저스터블 풀리의 경우, 핸들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로드가 있어서 운동 시 간섭이 일어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운동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기존의 블록과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블록을 원래 위치로 내려놓을 때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사용하지 않는 블록도 함께 설치해야 하여 조립과 이동이 어렵고 불필요하게 비용이 발생하였다. 또한 다양한 운동 시작 위치에 대응하기 위해 스미스 머신이 개발되었으나, 운동의 경로가 가이드 레일을 벗어날 수 없어, 균형근 발달을 위한 프리웨이트 운동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은 에어 로딩(air loading) 구조를 채용하여, 바(20)가 어느 위치에 있던지 중량부(미도시)를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1d)은 바(20), 케이블(30), 로드부(40d), 바 거치부(50) 및 바 거치핀(60)을 포함한다. 이때, 스탠딩 구조의 바 거치부(50)와, 바 거치부(50)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바 거치핀(60)을 구비하여, 바(20)를 다양한 높이에 거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로드부(40d)는 케이블(30)을 통해 바(20)에 연결되며, 바(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높이)가 바뀌도록 형성된다. 이때, 로드부(40d)는 중량 결합부(43d)가 형성된 승강부(42d)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중량 결합부(43d)에 하나 이상의 중량부(미도시)가 결합되어 로드부(40d)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높이)가 바뀌는 로드부(40d)를 구비함으로써, 바(20)가 어느 위치에 있던지 중량부(미도시)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1d)은 바(20)를 가장 아래로 내렸을 때에도 로드부(40d)가 피트니스 구조물(1d)에 닿지 않고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 거치부(50)의 경우, 스탠딩 구조가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할 수도 있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20)와 로드부(40d)를 연결하는 케이블(30)이 바(20)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20)와 로드부(40e)를 연결하는 케이블(30)이 바(20)로부터 위 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케이블(30)의 방향과 무관하게, 케이블(30)이 연결된 바(20)를 다양한 위치에 거치할 수 있고, 또한 그 바(20)의 위치에 따라 로드부(40)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이와 무관하게 중량을 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31, 32)이 구비되어, 바(20)의 양쪽에 각각 제1 케이블(31) 및 제2 케이블(32)을 연결하고, 제1 케이블(31) 및 제2 케이블(32)의 반대쪽 끝에는 각각 로드부(40f)를 연결하여, 두 개의 케이블(31, 32)을 이용하여 프리웨이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각 로드부(40f)는 중량 결합부(43f)가 형성된 승강부(42f)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중량 결합부(43f)에 하나 이상의 중량부(미도시)가 결합되어 로드부(40f)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각 로드부(40f)의 중량 결합부(43f)가 전체 피트니스 구조물(1f)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두 개의 로드부(40f)의 중량 결합부(43f)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각 케이블(31, 32)과 각 로드부(40f) 및 복수 개의 풀리들이 결합되어 고정 도르래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케이블, 풀리 및 로드부의 배치에 따라, 움직 도르래 및 복합 도르래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에어 로딩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각기 시작점이 다른 운동에 대응하여 다양한 높이에서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자의 체형에 맞는 적절한 높이로 시작점을 설정해서 피트니스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바벨컬, 루마니안 데드 리프트, 데드 리프트, 바벨 로우 등의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지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부하를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풀리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간섭 없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트니스 구조물(1d, 1e, 1f)은 종래의 스미스 머신과는 다르게 별도의 가이드부가 없기 때문에, 바가 특정한 이동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가한 힘의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는 프리웨이트 운동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균형근을 단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피트니스 구조물(1d, 1e, 1f)은 중량 블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와 조립 및 이동이 용이하며, 피트니스 클럽의 경우 기존의 중량 원판을 활용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운동을 완료한 후 바를 내려놓을 때 중량 블록끼리 부딪히지 않으므로 소음과 진동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 로딩 구조가 적용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7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피트니스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7의 피트니스 구조물의 바 거치부 및 바 거치 핀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7의 피트니스 구조물의 캐쳐바 거치부의 제1 스탠딩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7의 피트니스 구조물의 캐쳐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7의 캐쳐바가 제1 스탠딩 부재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100)은 프레임(110), 바(bar)(120), 제1 케이블(131), 제2 케이블(132), 로드부(140), 바 거치부(150), 바 거치 핀(160), 캐쳐바(170), 캐쳐바 거치부(180) 및 중량부(190)를 포함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10)은 피트니스 구조물(100)의 기저부를 이루며, 후술할 각 구성 요소들이 형성되는 동시에 각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레임(110)의 각 구성은 강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데 철(Fe) 또는 철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11),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제2 프레임(112), 상기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의 연결부로부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나아가, 프레임(110)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3 프레임(113)을 연결하는 제4 프레임(11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3 프레임(113)과 제4 프레임(114)의 연결부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5 프레임(11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각 프레임들(111~115)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원형 기둥 또는 다각 기둥 등 피트니스 구조물(100)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 길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각 프레임들(111~115)이 서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피트니스 구조물(100)의 구조에 따라 서로에 대해 수직이 아닌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프레임(111)의 일 단부에는 바(120)가 안착되기 위한 바 안착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바 안착부(111a)는 제1 프레임(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프레임(111)의 일 단부에 별도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프레임(110)은 복수 개의 다리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리부(116)는 프레임(110)을 지면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위치, 길이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프레임(110)에는 하나 이상의 중량 거치부(1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중량 거치부(117)는 전체 피트니스 구조물(1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트니스 구조물(100) 외부에 중량부(190)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바(120)는 바 본체(121)와, 바 본체(121)의 양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 본체(121)의 일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부(122)에는 제1 케이블(131)이 연결되고, 바 본체(121)의 타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부(122)에는 제2 케이블(132)이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운동 자세에서 바(120)를 잡고 로드부(140)의 하중 이상의 힘을 가하여 바(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바(120)는 특정한 이동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가한 힘의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바(120)를 이용하여 프리웨이트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고정부(122)의 내부에는 베이링(미도시)이 수용되어, 바 본체(121)가 케이블 고정부(122)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베어링에 의해 운동 시,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케이블(131)의 일 단부는 바(120)의 일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부(122)에 결합되고, 제1 케이블(131)의 타 단부는 일 측의 로드부(140)를 거쳐 제5 프레임(115)의 고정부(115a)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케이블(132)의 일 단부는 바(120)의 타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부(122)에 결합되고, 제2 케이블(132)의 타 단부는 타 측의 로드부(140)를 거쳐 제5 프레임(115)의 고정부(115a)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블(131)의 일 단부에는 고리 형태의 연결 부재(131a)가 더 형성되어, 제1 케이블(131)과 바(1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케이블(132)의 일 단부에도 고리 형태의 연결 부재(미도시)가 더 형성되어, 제2 케이블(132)과 바(1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케이블(131, 132)이 바(120)와 로드부(140)를 연결하는 중간에는 하나 이상의 풀리들(135, 136, 137, 138, 139)이 배치되며, 이들 풀리들(135, 136, 137, 138, 139)은 사용자가 바(120)에 가하는 힘을 로드부(140)로 전달하면서 그 방향을 전환한다. 도면에는 각 케이블(131, 132)과 각 로드부(140) 및 복수 개의 풀리들(135, 136, 137, 138, 139)이 결합되어 고정 도르래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케이블, 풀리 및 로드부의 배치에 따라, 움직 도르래 및 복합 도르래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로드부(140)는 중량부(19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피트니스 구조물(100)을 사용시에 사용자의 가력에 대항하는 하중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로드부(140)는 사용자의 하중에 대항하는 힘을 발생하는 구성으로 특정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블록 중에서 사용자가 블록을 선택하여 중량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탄성을 변형할 수 있는 용수철을 사용하여 탄성력의 강도를 조절하거나, 탄성계수가 상이한 고무밴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탄성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로드부(140)로써 유압이나 공기압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부하 장치도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로드부(140)는 복수의 원판 모양의 중량부(190)를 결합하여 중량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로드부(140)는 각각 가이드부(141), 승강부(142) 및 중량 결합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41)는 하나 이상의 로드(rod) 형태로 형성되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승강부(142)의 제3 방향(Z축 방향)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승강부(142)는 소정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부(141)를 따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다. 중량 결합부(143)는 승강부(142)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중량부(190)가 탈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중량 결합부(143)에 하나 이상의 중량부(190)가 탈부착되어 로드부(140)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각 로드부(140)의 중량 결합부(143)가 전체 피트니스 구조물(10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두 개의 로드부(140)의 중량 결합부(143)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트니스 구조물(100) 외부에 중량부(190)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바 거치부(150) 및 바 거치 핀(160)은 바(120)가 다양한 높이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바 거치부(150) 속이 빈 프레임 형태의 거치 프레임(151)을 포함하고, 거치 프레임(151)의 일면(상면) 상에는 제1 삽입홀(152)이 형성되고, 거치 프레임(151)의 타면(하면) 상에는 제2 삽입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 프레임(151)의 상부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일정 정도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거치 프레임(151)의 하부는 대략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거치 프레임(151)의 상부 프레임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프레임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 거치부(150)의 프레임(151)의 상면에 형성된 제1 삽입홀(152)은 제1 직경(D1)을 갖도록 형성되고, 프레임(151)의 하면에 형성된 제2 삽입홀(153)은 제2 직경(D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홀(152)과 제2 삽입홀(153)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바 거치 핀(160)이 관통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 거치 핀(160)은 거치 프레임(151)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헤드부(161), 제1 직경부(162) 및 제2 직경부(163)를 포함한다. 헤드부(161)는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바 거치부(150)에 바(120)가 거치된 상태에서 바(120)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헤드부(161)의 일 측에는 제1 직경부(162)가 형성되고, 제1 직경부(162)의 일 측에는 제2 직경부(163)가 형성된다. 이때 제1 직경부(162)의 직경은 제1 삽입홀(152)의 제1 직경(D1)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도록 형성되고, 제2 직경부(163)의 직경은 제2 삽입홀(153)의 제2 직경(D2)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 거치 핀(160)은 각각의 거치 프레임(151)에서, 어느 하나의 제1 삽입홀(152) 및 이와 대응되는 제2 삽입홀(153)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바 거치 핀(160)은 한 쌍의 바 거치부(150)에 각각 하나씩,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바 거치 핀(160)이 바 거치부(150)에 삽입되는 경우, 제2 직경부(163)는 제2 삽입홀(153)을 앞쪽에서 뒤쪽 방향으로 관통한다. 이 경우, 제2 삽입홀(153)의 제2 직경(D2)보다 제1 직경부(162)의 직경이 더 크기 때문에, 제1 직경부(162)는 제2 삽입홀(153)을 관통하지 못하며, 따라서 바 거치 핀(16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61)는 프레임(15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정도 돌출 형성되며, 헤드부(161)와 프레임(151)의 사이에 바(12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삽입홀(152)의 형상과 제1 직경부(162)의 단면의 형상, 또는 제2 삽입홀(153)의 형상과 제2 직경부(163)의 단면의 형상은 각각 서로 닮음인 도형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도형은 다각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10 내지 13을 참조하면, 캐쳐바 거치부(180)는 캐쳐바(17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캐쳐바(170)는 사용자가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 중 바를 손에서 놓치는 경우와 같이 바에 대한 통제력을 잃은 상황(예컨대, 바를 짊어진 채 뒤로 넘어지려는 상황 등)에서, 바를 소정의 높이에서 지탱해줌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행태에 따라, 캐쳐바(170)는 상면에 바(120)가 거치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캐쳐바(170)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바 지지부(171)와, 바 지지부(171)의 양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삽탈부(172)를 포함한다. 바 지지부(171)의 상면은 바(120)와의 마찰면적을 늘리기 위해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 지지부(171)의 상면에는 고무패드 등이 부착될 수도 있다. 캐쳐바(170)는 한 쌍의 삽탈부(172)가 각각 제1 스탠딩 부재(181)와 제2 스탠딩 부재(182)의 가이드 홈들에 삽입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캐쳐바 거치부(180)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1 스탠딩 부재(181)와 제2 스탠딩 부재(182)를 포함하며, 나아가 제1 스탠딩 부재(181)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서포트 부재(183)와, 제2 스탠딩 부재(182)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부재(1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탠딩 부재(181)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가이드 홈(guiding groove)(181a)을 포함하며, 제2 스탠딩 부재(182)도 제1 가이드 홈(181a)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제2 스탠딩 부재(182)의 가이드 홈은 제1 스탠딩 부재(181)의 제1 가이드 홈(181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스탠딩 부재(182)의 가이드 홈들은 이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스탠딩 부재(181)의 가이드 홈(181a)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각각의 제1 및 제2 스탠딩 부재(181, 182)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4 개의 가이드 홈들을 포함하는 모습이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스탠딩 부재(181, 182)에 포함되는 가이드 홈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스탠딩 부재(181)는 소정의 내부 공간으로 움푹 파인 가이드 홈(181a)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181a)은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에 이어지는 수평홈 및 상기 수평홈에 이어지는 수직홈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홈의 하단에는 안착부가 위치하며, 안착부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가이드 홈(181a)은 수평홈 및 수직홈을 포함하는 '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캐쳐바(170)는, 삽탈부(172)가 가이드 홈(181a)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화살표 A1을 따라 수평하게 끼워지고, 이후 화살표 A2를 따라 수직하게 끼워져서 가이드 홈(181a)의 바닥면에 안착됨으로써, 제1 스탠딩 부재(181)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100)의 캐쳐바 거치부(180)는 'ㄱ' 형상의 가이드 홈(181a)을 구비하며, 가이드 홈(181a)에 삽입되는 캐쳐바(170)는 수직 단면이 사각 형상인 삽탈부(17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캐쳐바(170) 및 캐쳐바 거치부(180)의 구성에 의해 캐쳐바(170)가 캐쳐바 거치부(18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바(12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탠딩 부재(181, 182)가 서로 다른 높이의 다수의 가이드 홈(181a)을 포함함으로써, 여러 사용자들이 동일한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하더라도 각자의 체형에 맞는 높이에 캐쳐바(17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하여 데드 리프트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에 의해, 바가 특정한 이동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가한 힘의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는 프리웨이트 운동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균형근을 단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하여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에 의해, 다수의 삽입홀들을 포함하는 스탠딩 구조에 대하여, 적절한 높이에 위치한 삽입홀에 삽입핀을 삽입함으로써, 여러 사용자들이 동일한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하더라도 각자의 신장에 맞게 바벨을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도 7의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2)은 운동 관리 서버(200) 및 운동 분석 장치(300)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운동 분석 장치(300)들과 운동 관리 서버(200)를 연결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한다.
운동 관리 서버(200)는 인터페이스부(210), 제어부(220) 및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인터페이스부(210)는 통신망(400)과 연동하여 운동 관리 서버(200)와 운동 분석 장치(3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부(220)는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운동 분석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각 개인의 운동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분석 결과를 운동 분석 장치(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230)는 운동 분석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각 개인의 운동 데이터 및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23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데이터베이스는 운동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등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 등 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서버(200)는 메모리와, 입/출력부와, 프로그램 저장부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동 분석 장치(3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1), 메모리(303), 입출력부(305), 제어부(309), 측정부(311), 분석부(313), 사용자 인증부(315) 등을 포함한다.
상세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1)는 통신망(400)과 연동하여 운동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메모리(303)는 제어부(309)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운동 분석 장치(300)에서 측정 또는 분석한 운동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입출력부(305)는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 및 기타 입출력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와 송수신한다. 또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며,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는 파워 및 스피커, 마이크로폰과 같은 기타 주변 기기의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출력부(305)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제어부(309)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운동 분석 장치(300)에서 운동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09)는 프로그램 저장부(307)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측정부(311)를 제어하여 측정부(311)에 포함된 각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추출하고, 분석부(313)를 제어하여 측정부(311)에서 추출된 측정값으로부터 운동의 종류, 운동의 횟수 또는 운동 중량을 분석하고, 사용자 인증부(315)를 제어하여 현재 피트니스 구조물(도 7의 100 참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인증하여 분석부(313)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별로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측정부(311)는 제어부(309)의 제어하에 측정부(311)에 포함된 각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추출한다. 여기서, 측정부(311)는 중량부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 중량부 또는 사용자 신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중량부 또는 사용자 신체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운동 시간을 감지하는 센서, 중량부 또는 사용자 신체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수행중인 운동의 종류, 운동의 횟수 또는 운동 중량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되는 센서라면 상기 나열한 센서뿐만 아니라 어떤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부(311)는 중량부 또는 사용자 신체(예를 들어 손목)의 방향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동 기기를 이동 방향 및 속도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가속도 값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량부 또는 사용자 신체(예를 들어 손목)의 회전 각도 및 위치, 방향 등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측정부(311)는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부(311)의 센서들은 피트니스 구조물(도 7의 100 참조)의 중량부 등에 부착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기기 등의 단말에 내장될 수도 있다.
분석부(313)는 제어부(309)의 제어하에, 측정부(311)에서 추출된 측정값으로부터 운동의 종류, 중량 또는 운동의 횟수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바벨을 이용한 훈련은 바 또는 케이블 또는 로드부 등의 이동 경로로부터 운동 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쿼트와 데드 리프트, 오버헤드 프레스를 수행할 때 바의 운동 경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르다. 따라서, 측정부(311)에서 측정한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수행중인 운동의 종류, 운동의 횟수 또는 운동 중량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 인증부(315)는 제어부(309)의 제어하에 현재 피트니스 구조물(도 7의 100 참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인증하여 분석부(313)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별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출력부(305)를 통해 소정의 ID 및/또는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면 사용자 인증부(315)를 입력받은 ID 및/또는 패스워드로부터 현재 피트니스 구조물(도 7의 100 참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인증한다. 이를 통해 운동 결과를 사용자별로 분석 또는 저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에게 본인의 운동 히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별로 개인화된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피트니스 구조물
110: 프레임
120: 바(bar)
131: 제1 케이블
132: 제2 케이블
140: 로드부
150: 바 거치부
160: 바 거치 핀
170: 캐쳐바
180: 캐쳐바 거치부
190: 중량부

Claims (16)

  1. 바(bar);
    상기 바의 일 측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높이에 상기 바를 거치할 수 있도록 바 거치 핀을 구비하는 한 쌍의 바 거치 부;
    상기 바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로드부; 및
    상기 바와 상기 로드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에 의해 상기 바와 연결된 상기 로드부의 높이는 상기 바의 높이 이동과 연동하여 가변하며,
    상기 바가 상기 복수의 바 거치 핀 중 어느 일 거치 핀에 거치되어 있어 상기 로드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로드부에 하나 이상의 중량부가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바의 일 측에 형성되며,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제1 스탠딩 부재;
    상기 바의 일 측에 상기 제1 스탠딩 부재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제2 스탠딩 부재; 및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바 지지부와, 상기 바 지지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삽탈부를 구비하는 캐쳐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탈부가 상기 제1 스탠딩 부재 및 제2 스탠딩 부재의 가이드 홈에 각각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 거치부에는 복수 개의 높이에 각각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상기 바 거치 핀이 삽입되며,
    상기 바 거치 핀에 의해 상기 바가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바의 일 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1 로드부 및 제2 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바의 일 단부 및 상기 제1 로드부와 각각 결합된 제1 케이블과, 상기 바의 타 단부 및 상기 제2 로드부와 각각 결합된 제2 케이블을 포함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제3 방향(Z축)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로드부 및 상기 제2 로드부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부 및 상기 제2 로드부 각각은,
    어느 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이동하는 승강부; 및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중량부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중량 결합부;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부의 중량 결합부와 상기 제2 로드부의 중량 결합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구조물은,
    상기 제1 로드부, 상기 제2 로드부,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이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중량부가 거치되는 하나 이상의 중량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중량 거치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풀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블, 상기 제1 로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풀리가 도르래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케이블, 상기 제2 로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풀리가 도르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 사이에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추출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수행중인 운동의 종류, 운동의 횟수, 중량부의 중량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중량부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 중량부 또는 사용자 신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중량부 또는 사용자 신체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운동 시간을 감지하는 센서, 중량부 또는 사용자 신체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을 마친 사용자에 대해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해당 사용자별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인증을 마친 상기 사용자에 대해 개인화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피트니스 구조물.
  16. 삭제
KR1020150112671A 2015-08-10 2015-08-10 피트니스 구조물 KR101689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671A KR101689825B1 (ko) 2015-08-10 2015-08-10 피트니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671A KR101689825B1 (ko) 2015-08-10 2015-08-10 피트니스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487 Division 2014-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532A KR20160039532A (ko) 2016-04-11
KR101689825B1 true KR101689825B1 (ko) 2016-12-26

Family

ID=5580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671A KR101689825B1 (ko) 2015-08-10 2015-08-10 피트니스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507B1 (ko) 2022-08-24 2023-04-05 (주)뉴텍웰니스 어드저스터블 로우 풀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30Y1 (ko) 2016-07-08 2017-01-23 (주)뉴텍웰니스 모노리프트
KR101819146B1 (ko) * 2016-09-07 2018-01-16 주식회사 론픽 보조힘 판단이 가능한 운동보조장치 및 운동보조장치를 구비한 피지컬 피트니스 장비
KR101970984B1 (ko) 2017-11-28 2019-04-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이트 안전 운동기구
KR102143445B1 (ko) * 2019-02-18 2020-08-11 (주)투파이브 목 근력운동장치 및 목 근력운동장치를 이용한 목 운동정보 제공시스템
KR102340922B1 (ko) * 2020-04-28 2021-12-17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랫풀다운 운동이 가능한 웨이트 운동기구
KR102321713B1 (ko) * 2021-04-19 2021-11-03 주형진 턱걸이 기구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546368B (zh) * 2021-07-21 2022-04-26 湖南科技大学 一种可切换多种健身模式的健身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9030A1 (en) * 2006-02-01 2007-08-02 Slawinski Michael D Combination free and stack-weight fitness apparatus
KR101346471B1 (ko) * 2013-05-15 2014-01-02 이기원 피트니스 구조물
KR101432129B1 (ko) * 2013-07-02 2014-08-22 주식회사 메디시온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용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9272B1 (en) * 2001-05-11 2005-09-06 Qingping Wu Bend and stretch abdominal and lower back exercise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9030A1 (en) * 2006-02-01 2007-08-02 Slawinski Michael D Combination free and stack-weight fitness apparatus
KR101346471B1 (ko) * 2013-05-15 2014-01-02 이기원 피트니스 구조물
KR101432129B1 (ko) * 2013-07-02 2014-08-22 주식회사 메디시온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용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507B1 (ko) 2022-08-24 2023-04-05 (주)뉴텍웰니스 어드저스터블 로우 풀리
WO2024043408A1 (ko) 2022-08-24 2024-02-29 (주)뉴텍웰니스 어드저스터블 로우 풀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532A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825B1 (ko) 피트니스 구조물
US10080916B2 (en) Fitness structure
US10918901B2 (en) Sensor equipped resistance training grip
KR101394117B1 (ko) 케이블 운동기구
US20210387038A1 (en) Electric motor based physical training technology and devices
KR101607748B1 (ko) 운동 기구 및 운동량 측정 시스템
US201301024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pound function static exercise machine with feedback information
US20160074695A1 (en) Fitness structure
KR101986179B1 (ko) 야외용 근력 측정기
CN202136742U (zh) 前臂训练机
KR102163557B1 (ko) 근력측정장치
KR101707620B1 (ko)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벤치프레스 운동기구
KR101626945B1 (ko) 복합 운동 기구
US9427618B2 (en) Multi-functional barbell
KR102040412B1 (ko) 운동 관리 시스템
US20120083392A1 (en) Variable grip and resistance exercise machine
CN203724690U (zh) 一种手臂力量锻炼器
EP3320955A1 (en) Weight training machine
KR20160136954A (ko) 사용자 맞춤형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
KR101247562B1 (ko) 운동기구
KR20080056707A (ko) 웨이트 머신 운동기의 중량설정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69482B1 (ko)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근력 운동 머신 운동량 분석 및 자동측정 기기
KR101549608B1 (ko)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용 모니터링 시스템
CN106110566A (zh) 一种多功能力量训练架
CN111282249A (zh) 一种瑜伽健身辅助器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