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587B1 -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 Google Patents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587B1
KR101688587B1 KR1020100074690A KR20100074690A KR101688587B1 KR 101688587 B1 KR101688587 B1 KR 101688587B1 KR 1020100074690 A KR1020100074690 A KR 1020100074690A KR 20100074690 A KR20100074690 A KR 20100074690A KR 101688587 B1 KR101688587 B1 KR 101688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trip line
feeding
line
e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617A (ko
Inventor
김성주
이석곤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5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8Radiating ends of two-conductor microwave transmission lines, e.g. of coaxial lines, of micro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급전부(feeder); 상기 급전부와 연결되는 급전 스트립 선로; 상기 급전 스트립 선로의 제1 측면과 각각의 선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일정한 간격마다 각각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방사체 스트립; 및 상기 각 방사체 스트립 사이마다 상기 급전 스트립 선로 상에 각각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MICROSTRIP ANTENNA OF VEHICLE RADAR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전 스트립 선로의 주위에 배열되는 방사체 스트립을 상기 급전 스트립 선로의 원점을 기준으로 양 방향의 방사체 스트립이 서로 180도 회전된 형태로 대칭되게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빔포밍(beamforming)의 그레이팅 로브(grating lobe) 조절을 위해 방사체 스트립의 배열 간격으로 좁히는 경우에도 각각의 방사체 스트립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각 방사체 스트립의 좌우 비대칭 특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방사패턴의 왜곡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대역에서의 수십 미터 이내의 고해상도 레이더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근접해 있는 물체간의 거리를 판별하거나 분해할 수 있는 고해상도 레이더 시스템은 산업용, 군수용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실생활에서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이란, 지능형 교통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 기술로서 약 10m 내지 그 이상의 반경에서 움직이거나 정지해있는 다른 차량이나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열악한 기상조건 또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 가능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목적으로 개발된 차량의 안전 운행 시스템이다.
최근까지 70m 에서부터 200m 범위 내의 물체 탐지를 위하여, 76/77GHz 대역의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대역을 사용하고, 대략 70m 범위내의 물체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24GHz 대역의 서브 밀리미터파를 주로 사용한다.
종래의 고해상도 레이더 시스템은, 적은 탐지각 내에서 고해상도의 공간해상도를 얻기 위해 높은 이득을 갖는 다중 빔 안테나를 사용하여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전방의 물체를 탐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특히, 다중 빔 안테나는 각각의 안테나 또는 각각의 빔이 단지 하나의 목표물만을 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수의 목표물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고 이득을 갖는 안테나를 사용해야 하므로, 안테나 수가 증가하는 만큼 시스템의 부피가 커지게 되어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은 송수신 안테나로 높은 이득을 갖는 부피가 큰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고 있어 전체 시스템의 부피가 크고, 송수신되는 RF신호를 IF신호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여러 단의 중간주파수(IF) 변환과정을 거쳐야 하는 바 RF시스템이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이러한 RF시스템에 사용되는 RF 부품 각각의 가격이 매우 높아 전체 시스템의 단가가 높아져서 고해상도 레이더 시스템의 상용화에 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보다 간단하면서도 보다 최적의 성능을 갖는, 즉,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급전 스트립 선로의 주위에 배열되는 방사체 스트립을 상기 급전 스트립 선로의 원점을 기준으로 양 방향의 방사체 스트립이 서로 180도 회전된 형태로 대칭되게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빔포밍(beamforming)의 그레이팅 로브(grating lobe) 조절을 위해 방사체 스트립의 배열 간격으로 좁히는 경우에도 각각의 방사체 스트립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각 방사체 스트립의 좌우 비대칭 특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방사패턴의 왜곡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급전부(feeder); 상기 급전부와 연결되는 급전 스트립 선로; 상기 급전 스트립 선로의 제1 측면과 각각의 선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일정한 간격마다 각각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방사체 스트립; 및 상기 각 방사체 스트립 사이마다 상기 급전 스트립 선로 상에 각각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따르면, 빔포밍(beamforming)의 그레이팅 로브(grating lobe) 조절을 위해 방사체 스트립의 배열 간격으로 좁히는 경우에도 각각의 방사체 스트립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각 방사체 스트립의 좌우 비대칭 특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방사패턴의 왜곡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스트립 안테나가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110), 제2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20), 제3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30), 제4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40), 제5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50), 및 제6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60)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 내지 제6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60)는 각각 급전부, 제1 급전 스트립 선로, 제2 급전 스트립 선로, 하나 이상의 방사체 스트립, 하나 이상의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을 각각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110)는 급전부(111),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 하나 이상의 방사체 스트립(113 및 116), 하나 이상의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114 및 117)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있어서, 급전부는 전체 급전 스트립 선로 상에 있어 제1 급전 스트립 선로와 제2 급전 스트립 선로를 구분하는 일종의 원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급전부는 실제 급전 스트립 선로에 전류를 공급하는 급전부로도 구현될 수 있지만, 단순히 원점을 표기하는 일종의 표식부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급전 스트립 선로 중 원점(중심점)에 일종의 표식부를 설치하고, 상기 표식부를 중심으로 각 방향에 따라 제1 급전 스트립 선로 및 제2 급전 스트립 선로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체 급전 스트립 선로의 원점이 급전부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급전부(111)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는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 및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는 급전부(111)를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는 급전부(111)로부터 제1 방향인 상측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는 급전부(111)를 중심으로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가 배열되는 상기 제2 방향은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가 배열되는 상기 제1 방향과 180도의 반대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가 급전부(111)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배열된다면,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는 급전부(11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방사체 스트립(113 및 116)는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의 제1 측면 및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의 제2 측면과 각각 선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일정한 간격마다 각각 배열될 수 있다.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의 상기 제1 측면 및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의 상기 제2 측면은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방사체 스트립(113)이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의 왼쪽 방향인 제1 측면 방향에 배열되는 경우, 제2-1 방사체 스트립(116)은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의 오른쪽 방향인 제2 측면 방향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의 왼쪽 방향인 제1 측면 방향에 배열되는 제1-1 방사체 스트립(113)에 유도되는 전류의 방향과,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의 오른쪽 방향인 제2 측면 방향에 배열되는 제2-1 방사체 스트립(116)에 유도되는 전류의 방향은 서로 동일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구조상, 안테나를 서로 동위상으로 동작시키기 위하여 전류가 위쪽이나 아래쪽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1 방사체 스트립(113)과 제2-1 방사체 스트립(116)에 유도되는 전류를 순간적으로 동시에 위쪽이나 아래쪽의 어느 하나의 동일한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의 제1 측면 및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의 제2 측면에 각각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방사체 스트립은 각각 서로 다른 면적을 갖고, 상기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 또는 상기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 및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는 하나 이상의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114 및 117)을 각각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114 및 117)는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 및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의 각 측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배열되는 상기 각 방사체 스트립 사이마다 상기 각 급전 스트립 선로 상에 각각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114)은 제1-1 방사체 스트립(112) 및 제1-2 방사체 스트립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급전 스트립 선로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2-1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117)은 제2-1 방사체 스트립(116) 및 제2-2 방사체 스트립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급전 스트립 선로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은 각각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 및 상기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의 관내파장의 1/2 값의 관내파장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각 방사체 스트립의 결합에 의한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제1 급전 스트립 선로(112) 및 상기 제2 급전 스트립 선로(115)에 1/2 관내파장의 길이를 갖는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이 추가로 각 급전 스트립 선로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제1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제2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20), 제3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30), 제4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40), 제5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50), 및 제6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6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가 제1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10) 내지 제6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160)의 6개 안테나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개수는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개수와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급전부(201), 급전부(201)와 연결되는 급전 스트립 선로(202), 급전 스트립 선로(202)의 제1 측면과 각각의 선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일정한 간격마다 각각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방사체 스트립(211 내지 218), 및 각 방사체 스트립(211 내지 218) 사이마다 급전 스트립 선로(202) 상에 각각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221 내지 228)을 포함한다.
급전부(201)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는 제1 급전 스트립 선로(202)를 따라 진행되어 나가면서 에너지 분배를 일으킨다. 즉, 제1 급전 스트립 선로(202)를 따라 진행되는 전류는 제1 방사체 스트립(211), 제2 방사체 스트립(212), 제3 방사체 스트립(213), 제4 방사체 스트립(214), 제5 방사체 스트립(215), 제6 방사체 스트립(216), 제7 방사체 스트립(217), 제1 방사체 스트립(218)로 분배되어 공기 중으로 방사될 수 있다.
각 방사체 스트립으로의 에너지 분배는 제1 급전 스트립 선로(202)와 각 방사체 스트립 간의 간격에 따른 용량성 결합으로 인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급전 스트립 선로(202)와 방사체 스트립 간의 간격이 좁거나, 방사체 스트립의 표면적이 클수록 방사체 스트립으로 공급되는 에너지는 증가될 수 있다. 이에, 급전 스트립 선로 및 방사체 스트립 간의 간격이나 방사체 스트립의 표면적은, 안테나의 설계시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기술(Taylor 분포, 체비세프 분포)과 같이 배열소자의 진폭을 조정하기 위해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스트립은, 제1 스트립, 제2 스트립, 및 제3 스트립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사체 스트립은 제1-1 스트립(2111), 제1-2 스트립(2112), 및 제3 스트립(2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스트립(2111)은 제1 급전 스트립 선로(202)와 선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2 스트립(2112)은 제1-1 스트립(2111)과 연결되고, 제1 급전 스트립 선로(202)와는 45도 방향으로 틸팅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1-3 스트립(2113)은 제1-2 스트립(2112)과 연결되고, 제1 급전 스트립 선로(202)와는 90도 방향으로 틸팅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사체 스트립의 배열방향에 의해 방사체 스트립의 전체 길이에 대한 전류분포의 벡터합은 급전 스트립 선로와 45도 방향으로 틸팅된 형태로 분포될 수 있으므로,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서 마주오는 차량용 레이더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45도 편파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221) 내지 제8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228)은 각각의 방사체 스트립(211 내지 218)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급전 스트립 선로(202)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제1 급전 스트립 선로(202) 관내파장의 1/2 관내파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급전 스트립 선로(301)의 양 측면에 방사체 스트립이 각각 배열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사체 스트립(321) 및 제3 방사체 스트립(323)은 급전 스트립 선로(301)의 왼쪽 측면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고, 제2 방사체 스트립(322) 및 제4 방사체 스트립(324)은 급전 스트립 선로(301)의 오른쪽 측면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제2 방사체 스트립(322) 및 제4 방사체 스트립(324)은 급전 스트립 선로(301)를 기준으로 제1 방사체 스트립(321) 및 제3 방사체 스트립(323)과 각각 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제2 방사체 스트립(322) 및 제4 방사체 스트립(324)으로 분배되는 전류는 제1 방사체 스트립(321) 및 제3 방사체 스트립(323)으로 분배되는 전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311) 내지 제3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313)은 급전 스트립 선로(301) 관내파장의 1/2 관내파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빔포밍의 그레이팅 로브 조절을 위해 각 방사체 스트립 간의 배열 간격을 좁히게 되면, 급전 스트립 선로의 좌우에 대칭되어 배열되는 각각의 방사체 스트립은 서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급전부를 원점으로 각각의 급전 스트립 선로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방사체 스트립을 배열함으로써, 각 방사체 스트립이 서로 주고받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방사체 스트립 간의 좌우 비대칭 특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방사패턴의 왜곡을 최소한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제1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111: 제1 급전부
112: 제1 급전 스트립 선로 113: 제1-1 방사체 스트립
114: 제1-1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 115: 제2 급전 스트립 선로
116: 제2-1 방사체 스트립 117: 제2-1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
120: 제2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121: 제2 급전부
130: 제3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131: 제3 급전부
140: 제4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141: 제4 급전부
150: 제5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151: 제5 급전부
160: 제6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161: 제6 급전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급전부(feeder);
    상기 급전부를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급전 스트립 선로(strip line);
    상기 급전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과 180도의 방향을 갖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급전 스트립 선로;
    상기 제1 급전 스트립 선로의 제1 측면과 각각의 선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일정한 간격마다 각각 배열되고, 상기 제2 급전 스트립 선로의 제2 측면과 각각의 선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일정한 간격마다 각각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방사체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 스트립은,
    상기 제1 급전 스트립 선로 또는 상기 제2 급전 스트립 선로와 수평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선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1 스트립;
    상기 제1 스트립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급전 스트립 선로 또는 상기 제2 급전 스트립 선로와 45도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스트립;
    상기 제2 스트립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급전 스트립 선로 또는 상기 제2 급전 스트립 선로와 90도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전 스트립 선로의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급전 스트립 선로의 상기 제2 측면은 각 급전 스트립 선로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의 측면으로 구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방사체 스트립 중, 상기 제1 급전 스트립 선로의 상기 제1 측면에 배열되는 방사체 스트립으로 유도되는 전류의 방향과 상기 제2 급전 스트립 선로의 상기 제2 측면에 배열되는 방사체 스트립으로 유도되는 전류의 방향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사체 스트립은 각각 서로 다른 면적을 갖고, 상기 제1 급전 스트립 선로 또는 상기 제2 급전 스트립 선로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전 스트립 선로 및 상기 제2 급전 스트립 선로는, 각 측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배열되는 상기 각 방사체 스트립 사이마다 상기 각 급전 스트립 선로 상에 각각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임피던스 매칭 스트립의 관내파장은 상기 제1 급전 스트립 선로 및 상기 제2 급전 스트립 선로의 관내파장의 1/2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KR1020100074690A 2010-08-02 2010-08-02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KR101688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690A KR101688587B1 (ko) 2010-08-02 2010-08-02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690A KR101688587B1 (ko) 2010-08-02 2010-08-02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617A KR20120012617A (ko) 2012-02-10
KR101688587B1 true KR101688587B1 (ko) 2016-12-22

Family

ID=4583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690A KR101688587B1 (ko) 2010-08-02 2010-08-02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902B1 (ko) * 2014-02-04 2020-03-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KR102352470B1 (ko) 2015-06-17 2022-01-19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어레이 안테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KR102378478B1 (ko) 2015-08-31 2022-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KR102415784B1 (ko) * 2015-11-13 2022-07-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JP6712765B2 (ja) * 2016-05-31 2020-06-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高周波基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1336A (ja) 1999-10-08 2001-04-20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レーアンテナ
JP2009188683A (ja) 2008-02-05 2009-08-20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709A (ko) * 2000-09-06 2002-03-13 민경식 전자기결합 다이폴을 이용한 직선편파 안테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1336A (ja) 1999-10-08 2001-04-20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レーアンテナ
JP2009188683A (ja) 2008-02-05 2009-08-20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617A (ko) 201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3959B2 (en) Vehicle radar system using shaped antenna patterns
US9553362B2 (en) Array antenna device
US10197671B2 (en) Virtual radar configuration for 2D array
US9070967B2 (en) Antenna and combination antenna
KR20150017976A (ko) 차량용 레이더 및 그 운용 방법
KR101673200B1 (ko) 중장비 차량용 근거리 패치배열 레이더 안테나
US9124006B2 (en) Antenna array for ultra wide band radar applications
KR101688587B1 (ko)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US20160372832A1 (en) Array antenna and radar system for vehicles having the same
CN107453043A (zh) 一种汽车侧后方雷达天线阵列以及天线面阵
US20160047907A1 (en) Modular Planar Multi-Sector 90 Degrees FOV Radar Antenna Architecture
US10135135B2 (en) Array antenna and antenna system
CN208570944U (zh) 一种应用于汽车侧后方探测雷达的微带阵列天线
CN107515399B (zh) 车用雷达系统
KR20170092906A (ko) 레이더 장치
CN113078467A (zh) 用于改善表面波影响与增加波束宽的天线
TWI674703B (zh) 寬波束高增益陣列天線
CN212848783U (zh) 天线单元、收发天线、传感器及设有传感器的设备
CN210778965U (zh) 一种用于77GHz毫米波车载雷达的波束形成天线
WO2017187341A1 (en) Vehicle radar system using shaped antenna patterns
KR101679553B1 (ko) 빔 틸트 편차를 개선한 진행파 안테나
US11977146B2 (en) Radar device and detection method of target position of radar device
TW202043801A (zh) 車用雷達系統及其設計方法
CN110620297B (zh) 多模式雷达天线
CN210296625U (zh) 一种车载毫米波宽带基片集成波导缝隙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