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486B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486B1
KR101688486B1 KR1020130103149A KR20130103149A KR101688486B1 KR 101688486 B1 KR101688486 B1 KR 101688486B1 KR 1020130103149 A KR1020130103149 A KR 1020130103149A KR 20130103149 A KR20130103149 A KR 20130103149A KR 101688486 B1 KR101688486 B1 KR 10168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lange
guide
battery pack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560A (ko
Inventor
김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486B1/ko
Priority to US14/467,124 priority patent/US9590280B2/en
Priority to EP14182928.3A priority patent/EP2843724B1/en
Publication of KR20150025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베어셀; 상기 베어셀을 수납하고,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사이드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면에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사이드부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배터리 모듈이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고출력 배터리 모듈은 고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베어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한다.
배터리 모듈은 하나 이상을 하우징 내에 수납하여, 배터리 팩으로써 외부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베어셀은 가역적으로 충방전이 가능한 리튬 화합물을 포함한 이차 전지일 수 있다. 고전력의 발생하는 배터리 팩을 경량화함과 동시에 전기 화학적으로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하우징을 구비한 배터리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구조를 구비한 배터리 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베어셀; 상기 베어셀을 수납하고,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사이드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면에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사이드부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부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제1 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제1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 및 타단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 및 타단과 수직하게 접촉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프레임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끝단에서 제1 간격으로 내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프레임부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사이드부와 프레임부가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단면이 U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에는 제1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하는 제2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단부와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과 각각 접촉하는 제1 및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부에서 상기 제2 플랜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일단이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플랜지에 구비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2 플랜지에 구비되는 제2 단부가 서로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단부에 대한 수직한 단면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면에서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2 프레임과 접촉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프레임의 일부와 이격되도록 주변보다 얇은 두께로 구비되는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단부에 주변보다 낮은 단차로 구비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홈부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미만의 각도를 갖는 사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두개의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두개의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바텀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한 하우징을 구비한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구조를 구비한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배터리 팩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부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하부측에 프레임부가 구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B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배터리 팩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1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베어셀 (10); 상기 베어셀 (10)을 수납하고, 프레임부 (120)와 상기 프레임부 (120)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사이드부 (110)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면에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150)가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부 (150)는 상기 프레임부 (120)와 사이드부 (110)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 (120)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제1 프레임 (121)과, 상기 한쌍의 제1 프레임 (121)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 프레임 (1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부 (110)는 상기 프레임부 (120)의 일단 (120a) 및 타단 (120a)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셀 (10)은 복수개를 정렬시킨 후, 한쌍의 엔드플레이트 (18)와 상기 엔드플레이트 (18)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19)를 이용하여 한데 묶어 배터리 모듈 (20)로 제작하고, 배터리 모듈 (20)의 형태로 하우징 내부에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정렬된 베어셀 (10) 사이에는 격벽 (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 (50)은 이웃하는 베어셀 (10)을 이격시켜 열교환매체 등의 유체의 흐름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매체는 베어셀 (10)과 열교환하여, 베어셀 (10)의 온도를 제어할 할 수 있다.
베어셀 (10)은 가역적으로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일 수 있다. 상기 베어셀 (10)은 전지 케이스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수납된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는 양극단자 (11) 및 음극단자 (12)와 벤트 (13)를 구비한 캡 조립체 (14)에 의하여 밀폐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은 서로 반응하여 전기화학적인 에너지를 발생하고, 발생한 에너지는 양극단자 (11) 및 음극단자 (12)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상기 이웃하는 배어셀 (10)의 양극단자 (11) 및 음극단자 (12)는 버스바 (15)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버스바 (15)는 너트 (16) 등의 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벤트 (13)는 베어셀 (10)의 안전수단으로 상기 베어셀 (10)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로 작용한다.
배터리 모듈 (20)의 형태로 제작된 베어셀 (10)은 프레임부 (120) 및 사이드부 (110)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 (120)는 제1 방향 (z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제1 프레임 (121)과, 상기 한쌍의 제1 프레임 (121)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프레임 (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레임부 (12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단면은 U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 (120)는 대략 박스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박스형태에서, 상부면과, 양측면인 프레임부 (120)의 일단 (120a) 및 타단 (120b)이 개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 (110)는 상기 프레임부 (120)의 일단 (120a) 및 타단 (120a)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이드부 (110)는 상기 프레임부 (120)의 개구된 일단 (120a) 및 타단 (120a)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 (110)에는 열교환매체의 인렛 및 아웃렛으로 작용하는 관통홀 (110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 (20)은 상기 배터리 모듈 (20)의 측면이 관통홀 (110a)과 대면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대면하는 사이드부 (110)에서, 열교환매체는 일측 사이드부 (110)의 관통홀 (110a)을 통하여 유입되어 격벽 (50)에 의하여 이격된 베어셀 (1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고, 이어서 타측 사이드부 (110)의 관통홀 (110a)을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매체는 베어셀 (10)과 열교환하여 상기 베어셀 (1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고, 베어셀 (10)의 발열을 제어하여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 (110)는 상기 프레임부 (120)의 일단 (120a) 및 타단 (120b)과 수직하게 접촉하는 베이스부 (111)와, 상기 베이스부 (111)에서 상기 프레임부 (120)를 향하여 돌출되는 플랜지부 (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 (112)는 상기 베이스부 (111)의 끝단에서 제1 간격 (d)으로 내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간격 (d)은 상기 프레임부 (120)의 두께 (t)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 (110)의 플랜지부 (112)는 상기 프레임부 (120)와 중첩되도록, 상기 프레임부 (12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부 (120)의 일단 (120a) 및 타단 (120b)은 상기 베이스부 (111)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간격 (d)과 프레임부 (120)의 두께 (t)는 서로 유사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프레임부 (120)는 상기 사이드부 (110)의 말단에 대하여 돌출되지 않고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 (112)에는 제1 체결부 (171)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 (120)에는 상기 제1 체결부 (171)와 체결하는 제2 체결부 (1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 (171, 172)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볼트 또는 스터드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 (30)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100)은 가이드부 (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 (150)는 상기 사이드부 (110)와 프레임부 (120)가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이드부 (150)는 상기 사이드부 (110)의 플랜지부 (112)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플랜지부 (112)가 상기 프레임부 (120)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에는, 상기 플랜지부 (112)의 외면과 상기 프레임부 (120)의 내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 (120)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부 (12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 (120)는 스테인리스강으로 구비되어, 배터리 팩 (100)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배터리 팩 (100)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작은 사이드부 (120)는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상기 플라스틱은 형상 구현이 용이하므로 상기 사이드부 (120)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도2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부측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하부측에 프레임부가 구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B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 (150)는 상기 플랜지부 (112)에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부 (120)의 단부와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이드부 (150)는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 (120)는 양측면에서 대면하는 한쌍의 제1 프레임 (121)과, 바닥면에서 상기 한쌍의 제1 프레임 (121)을 연결하는 제2 프레임 (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 (112)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121, 122)과 각각 접촉하는 제1 및 제2 플랜지 (112a, 112b)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 (150)는 상기 제1 플랜지 (112a)의 하부에서 상기 제2 플랜지 (112b)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 (150)는 적어도 일단이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 (150)는 상기 제1 플랜지 (112a)에서 제2 플랜지 (112a, 112b)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플랜지 (112a)에 구비되는 끝단을 제1 단부 (151)이라 하고, 상기 제2 플랜지 (112b)에 구비되는 끝단을 제2 단부 (152)라 할 때, 상기 가이드부 (150)는 상기 제1 끝단 (151)에서 제2 끝단 (152)으로 서로 연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 (150)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 (112a, 112b)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단부 (151)에 대한 수직한 단면은 상기 제1 플랜지 (112a)의 외면에서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경사부 (151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부 (151)를 시작으로 상기 제1 플랜지 (112a)의 외면에서 점차적으로 사선의 형태를 갖도록 경사부 (151a)를 거처서 오목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 (111)는 상기 제2 프레임 (122)과 접촉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프레임 (122)의 일부와 이격되도록 주변보다 얇은 두께로 구비되는 홈부 (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베이스부 (111)에서 상기 홈부 (140)의 두께 (s2)는 상기 홈부 (140)의 주변부의 두께 (s1)보다 얇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 (140)는 상기 가이드부 (1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가이드부 (150)의 제2 단부 (152)와 상기 홈부 (140)의 끝부분이 나란하도록 서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 (120)는 말단에서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구비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프레임 (122)은 상기 제2 프레임 (122)의 단부에 주변보다 낮은 단차로 구비되는 단차부 (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 (130)는 상기 홈부 (140)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이드부 (150)의 제2 단부 (152)에 대응할 수 있다.
배터리 팩을 사용하다 보면, 상기 배터리 팩의 외면에 물방울 등의 웅축수가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배터리 팩과의 열교환 등을 위하여 배터리 팩의 외면에 냉수 등을 분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은 예컨대 프레임부 (120)와 사이드부 (110)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서 침투한 수분은 배수되지 못하고 고이게 된다. 이러한 수분은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된 프레임부 (120)를 녹슬게 하는 등의 문제를 일을 킬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베어셀과 단락을 일으킬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서는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이드부 (110)와 프레임부 (120) 사이에 접촉하는 부분에서 수분 등은 하부로 흐르다가, 상기 사이드부 (110)의 플랜지부 (112)에 구비되는 가이드부 (150) 내로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 (150)의 제1 단부 (151)에는 경사부 (151a)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수분은 상기 제1 단부 (151)에서 상기 경사부 (151a)를 따라서 흐름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은 가이드부 (150)를 따라서 하부측으로 흐를 수 있으며, 하부측에서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단부 (152)와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부 (111)에는 홈부 (140)가 구비되므로, 상기 수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 (120)에 구비된 단차부 (130)는 상기 수분 배출 통로를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수분의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의 하우징에서 프레임부 (120)와 사이드부 (110)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침투된 수분의 흐름을 가이드하여 수분의 배출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 팩의 사용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부 (210)는 베이스부 (211)와 플랜지부 (2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 (212)는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내면과 중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 (212)의 외면에는 수분 등의 유체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부 (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 (250)의 일단인 제1 단부 (251)는 상기 베이스부 (211)에 대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미만의 각도 (r1)를 갖는 사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부 (210)와 프레임부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틈 사이를 통하여 침투한 수분은 상기 가이드부 (250)에 의하여 흐름이 가이드되어 하부로 흐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 (250)의 제1 단부 (251)가 90도 미만의 각도 (r1)를 갖는 사선으로 구비됨으로써, 침투된 수분은 상기 사선의 방향에 의하여 그 흐름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침투된 수분은 상기 제1 단부 (251)의 사선에 의하여 그 흐름이 가로막히게 되므로, 프레임부의 내부 깊숙한 부분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그 흐름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1 단부가 90도 초과의 각도 (r2)를 갖는 사선 (251')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침투된 수분은 상기 90도 초과의 각도 (r2)를 갖는 사선 (251')에 따라 흐름이 가이드되므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서, 가이드부 (250)의 제1 단부 (251)는 상기 베이스부 (211)에 대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미만의 각도 (r1)를 갖는 사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서, 사이드부 (310) 및 프레임부 (320)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사이드부 (310)에는 상기 프레임부 (320)와 중첩되는 부분에 가이드부 (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 (310)는 베이스부 (311)와 상기 베이스부 (311)에 대하여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부 (320)의 내면과 중첩되는 플랜지부 (3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 (320)은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는 한쌍의 제1 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제1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 프레임 (3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 (310)는 상기 베이스부 (311)의 하단에는 상기 제2 프레임 (322)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 (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 (312)는 베이스부 (311)와 연결되되, 상기 베이스부 (311)의 끝단에서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 (311)는 상기 베이스부 (311)의 끝단 (310a)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 (312)에 나란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로 나란하도록 구비되는 플랜지부 (312)와 지지부 (313) 사이에는 이격되어 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 (322)은 상기 플랜지부 (312)와 상기 지지부 (311) 사이에 삽입되므로, 상기 제2 프레임 (322)의 끝단 (322a)는 상기 베이스부 (311)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311)는 상기 프레임부 (320)의 하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무게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사이드부 (310)와 프레임부 (32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 (313)는 상기 제2 프레임 (322)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두개의 지지부 (313)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두개의 지지부 (313) 사이에 구비되어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바텀가이드부 (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가이드부 (360)는 상기 제2 프레임 (322)과 지지부 (313) 사이에 개재되어, 빈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 (322)과 지지부 (313) 사이에 침투한 수분은 상기 바텀가이드부 (360)로 그 흐름이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으며, 배터리 팩에서의 하부측 수분의 배출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어셀 20 : 배터리 모듈
30 : 체결부재 100 : 배터리 팩
110, 210, 310 : 사이드부 120, 320 : 프레임부
150, 250, 350 : 가이드부

Claims (19)

  1.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베어셀;
    상기 베어셀을 수납하고,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사이드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면에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사이드부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사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 및 타단과 수직하게 접촉하는 것으로 열교환매체의 인렛 및 아웃렛으로 작용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프레임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에 대해 중첩된 플랜지부와 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제1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하는 제2 체결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제1 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제1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 및 타단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팩.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끝단에서 제1 간격으로 내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배터리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프레임부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팩.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팩.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단면이 U자형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팩.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단부와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과 각각 접촉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부에서 상기 제2 플랜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일단이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플랜지에 구비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2 플랜지에 구비되는 제2 단부가 서로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단부에 대한 수직한 단면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면에서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팩.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2 프레임과 접촉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 프레임의 일부와 이격되도록 주변보다 얇은 두께로 구비되는 홈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단부에 주변보다 낮은 단차로 구비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홈부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팩.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미만의 각도를 갖는 사선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팩.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삽입되는 배터리 팩.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두개의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두개의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바텀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130103149A 2013-08-29 2013-08-29 배터리 팩 KR10168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149A KR101688486B1 (ko) 2013-08-29 2013-08-29 배터리 팩
US14/467,124 US9590280B2 (en) 2013-08-29 2014-08-25 Battery pack
EP14182928.3A EP2843724B1 (en) 2013-08-29 2014-08-29 A housing for battery pack with a drainag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149A KR101688486B1 (ko) 2013-08-29 2013-08-29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560A KR20150025560A (ko) 2015-03-11
KR101688486B1 true KR101688486B1 (ko) 2016-12-21

Family

ID=5145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149A KR101688486B1 (ko) 2013-08-29 2013-08-29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90280B2 (ko)
EP (1) EP2843724B1 (ko)
KR (1) KR101688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723B1 (ko) 2017-03-21 2021-11-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의 냉각 장치
KR102065105B1 (ko) 2017-04-14 2020-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서랍형 배터리 팩
KR102106376B1 (ko) * 2018-07-11 2020-05-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수전지용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US11799150B2 (en) 2020-07-17 2023-10-2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oling structure for hybrid-electric vehicle battery cell assemblies
DE102021205960A1 (de) 2021-06-11 2022-12-1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Gehäuseanordnung für ein Batteriemodul, Elektronikgehäuse, Batteriegehäuse und Batteriemodul
DE102021207363A1 (de) 2021-07-12 2023-01-1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Gehäuseanordnung für ein Batteriemodul, Elektronikgehäuse, Batteriegehäuse und Batteriemodul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898U (ko) 1996-10-24 1998-07-15 김영귀 전기 자동차용 구동배터리의 배터리 수납함
KR20000015883U (ko) 1999-01-19 2000-08-16 정몽규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US8632898B2 (en) 2003-10-28 2014-01-2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system including batteries that have a plurality of positive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negative terminals
JP4251204B2 (ja) 2006-08-31 2009-04-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TW200835028A (en) * 2007-02-15 2008-08-16 Simplo Technology Co Ltd Closed packing process of extra thin battery and product thereof
JP5092657B2 (ja) 2007-09-28 2012-12-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
JP5372449B2 (ja) 2008-09-24 2013-12-18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DE102009040197A1 (de) 2009-09-07 2011-03-10 Behr Gmbh & Co. Kg Modularer Batterieaufbau
JP4952777B2 (ja) 2009-11-12 2012-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US8383260B2 (en) 2010-02-26 2013-0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U-formed cooling plate with solid fins for lithium pouch cells
KR101209684B1 (ko) 2010-11-17 2012-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분배 가이드를 갖는 스택 매니폴드 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WO2012133709A1 (ja) 2011-03-31 2012-10-0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DE102011082562A1 (de) 2011-09-13 2013-03-14 Sb Limotive Company Ltd. Batteriemodul mit zumindest einer Batteriezelle und direkter Kühlmittelkühlung sowie Kraftfahrzeug
JP6083170B2 (ja) * 2011-10-26 2017-02-2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KR101658027B1 (ko) * 2011-11-22 2016-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2015028839A (ja) 2011-11-25 2015-02-1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3724A1 (en) 2015-03-04
KR20150025560A (ko) 2015-03-11
US20150064522A1 (en) 2015-03-05
EP2843724B1 (en) 2016-11-09
US9590280B2 (en)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486B1 (ko) 배터리 팩
US8883336B2 (en) Battery pack
US9166260B2 (en) Battery module
US8734979B2 (en) Battery module
KR101749191B1 (ko) 배터리 모듈
KR101219226B1 (ko) 배터리 팩
US8748021B2 (en) Battery module
KR102507879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261736B1 (ko) 배터리 팩
US8932749B2 (en) Battery module
KR101730960B1 (ko) 서로 맞물리는 결합이 적용된 배터리 모듈
US8999545B2 (en) Battery module
KR101084055B1 (ko) 이차 전지
KR101883915B1 (ko)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9484607B2 (en) Battery module
KR101252950B1 (ko) 엔드 플레이트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KR20120055770A (ko) 배터리 모듈
CN107534107A (zh) 电池组及其制造方法
US20140356664A1 (en) Battery module
KR20120123945A (ko) 배터리 모듈
JP2016103378A (ja) 組電池
US9356326B2 (en) Top cover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JPWO2015162938A1 (ja) 組電池、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KR20140123757A (ko) 배터리 팩
KR101688487B1 (ko)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