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923B1 -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923B1
KR101687923B1 KR1020150181780A KR20150181780A KR101687923B1 KR 101687923 B1 KR101687923 B1 KR 101687923B1 KR 1020150181780 A KR1020150181780 A KR 1020150181780A KR 20150181780 A KR20150181780 A KR 20150181780A KR 101687923 B1 KR101687923 B1 KR 101687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gypsum
mixtur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원영
Original Assignee
류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원영 filed Critical 류원영
Priority to KR1020150181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03Methods for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90Methods or apparatus for demoulding or discharging after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2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without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effecting the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5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engr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5Gyps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8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이 개시되는 것으로, 실리콘과 경화제를 혼합하여 몰드를 제조하는 제1공정(S1); 석고분말, 방향성오일, 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공정(S2); 제2공정(S2)에 의해 혼합된 혼합물을 제1공정에 의해 제조된 몰드에 부어주는 제3공정(S3); 제3공정(S3)에 의해 혼합물이 부어진 몰드를 상온 20℃ ~ 25℃의 응달에서 4시간 ~ 5시간 경화시키는 제4공정(S4); 제4공정(S4)에 의해 경화된 석고화분을 몰드로부터 탈형하는 제5공정(S5); 제5공정(S5)에 의해 몰드로부터 탈형된 석고화분의 표면에 문양을 그려 채색하여 문양부를 구비하는 제6공정(S6)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of plaster flower pot diffusing fragrance}
본 발명은 향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이 심어지는 화분을 석고로 제조하여 화분의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향을 추가하여 제조된 석고화분 자체적으로 향이 발산되도록 하여 실내의 악취제거는 물론 발산되는 향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을 심어 실내에 비치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의한 실내 인테리어 효과는 물론 실내정원을 가꾸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분은 대개 합성수지재 또는 도자기로 제조되고 있으며, 배수구멍이 뚫어진 화분몸체 내부에 흙을 담아 화초류나 난류 또는 분재용 식물을 실내에서 재배하도록 하고 있는 바, 특히 고층 아파트와 같은 도심의 거주공간이나 사무실의 경우 삭막한 실내공간을 자연환경에 가깝게 연출하기 위해 식물이 심어진 화분을 여러 개 비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화분은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여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도자기로 화분을 제조할 경우 외관이 미려하게 연출될 수 있는 반면 제조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화분은, 심어진 식물에 의한 자연환경적인 느낌만을 연출할 뿐 추가적인 기능은 전혀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파트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의 향취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방향제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이 방향제를 사용할 경우 방향제를 수시로 구입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구입에 따른 추가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화분에 꽃이나 허브와 같이 식물 자체적으로 향이 발산되도록 하는 식물을 심어 실내에 향이 발산되도록 할 수 있으나, 꽃의 경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시들어가는 문제점이 있고 허브와 같은 식물의 경우 향이 발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계속적으로 만져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0839006호인 향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분받침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화분을 내측에 안착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화분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화분받침대를 화분이 안착 되는 상측의 화분지지대커버와, 화분지지대커버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며 내부에 수용되는 향발생장치를 보호하는 하측의 화분지지대로 분할하여 상호 결합시킨 것과, 상기 화분받침대의 상측으로 장입되어 상단 일측이 화분지지대커버의 중앙에 장착되고 타측은 화분지지대의 내부에 매입되어 내부에 저장된 향액에 의해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향발생장치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화분받침대의 내부에 구비된 향 발생장치에 의해 향이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여 실내를 향기롭게 이루어지도록 하고는 있으나, 향발생장치에 향액을 채워주어야만 향이 발생되기 때문에 향액을 채워주는 불편함은 물론 향액을 구입하여 채워주어야 함에 따라 구입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39006호(2008.06.11.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78758호(2005.03.05. 등록)
본 발명은 화분을 석고로 제조하여 화분 제조공정의 단순화에 따른 제조성 및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석고화분 자체적으로 향이 발산되도록 하여 실내의 방향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은, 실리콘 100중량부와 경화제 3중량부를 혼합하여 몰드를 제조하는 제1공정; 석고분말, 방향성오일, 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공정; 제2공정에 의해 혼합된 혼합물을 제1공정에 의해 제조된 몰드에 부어주는 제3공정; 제3공정에 의해 혼합물이 부어진 몰드를 상온 20℃ ~ 25℃의 응달에서 4시간 ~ 5시간 경화시키는 제4공정; 제4공정에 의해 경화된 석고화분을 몰드로부터 탈형하는 제5공정; 제5공정에 의해 몰드로부터 탈형된 석고화분의 표면에 문양을 그려 채색하여 문양부를 구비하는 제6공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2공정에서의 혼합물은 석고분말 100중량부, 방향성오일 15중량부, 물 30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공정에서의 방향성오일은, 아로마오일, 라벤더오일, 에센셜오일, 프로그랜스오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석고분말과 방향성오일 및 물을 혼합하여 석고화분을 제조함에 따라 화분의 제조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석고화분의 표면에 채색된 문양부에 의해 석고화분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성오일에 의해 석고화분 자체적으로 향이 발산되기 때문에 실내의 방향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분의 일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 석고화분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향 발산 석고화분 제조방법은, 제1공정(S1), 제2공정(S2), 제3공정(S3), 제4공정(S4), 제5공정(S5) 및 제6공정(S6)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공정(S1)은, 실리콘 100중량부와 경화제 3중량부를 혼합하여 몰드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와 같이 실리콘 100중량부와 경화제 3중량부를 혼합하여 몰드를 제조함에 따라 실리콘 몰드를 제조하는 것으로, 실리콘 몰드를 제조하는 이유는 이후의 공정에서의 탈형시 석고화분과 몰드와의 탈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공정(S1)에서의 몰드 형상은 다양한 형상 즉 화분을 이루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제2공정(S2)은, 석고분말, 방향성오일, 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방향성오일 10중량부 15중량부 20중량부
석고분말 100중량부와 물 30중량부 약한 향이 은은하게 발산됨 최적의 향이 은은하게 발산됨 강한 향이 발산되어 향에 대한 거부감 반응이 있음
[표 1]과 같이 상기 제2공정(S2)에서의 혼합물은 석고분말 100중량부, 방향성오일 15중량부, 물 30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향 발산을 더욱 진하게 하거나 또는 향 발산을 약하게 할 경우 방향성오일의 중량부와 물의 중량부를 각각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발산되는 향이 너무 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석고분말 100중량부, 방향성오일 15중량부, 물 30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공정(S2)에서의 방향성오일은, 아로마오일, 라벤더오일, 에센셜오일, 프로그랜스오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아로마오일은, 두통과, 스트레스완화, 집중력향상, 피로감감소에 좋은 효능이 있음이 이미 입증된 바 있으며, 이와 같이 방향성오일을 아로마오일로 사용할 경우 석고화분으로부터 발산되는 아로마향에 의해 실내 거주자로 하여금 두통과, 스트레스완화, 집중력향상, 피로감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라벤더오일은, 불면증이나 근육완화는 물론 살균과 소독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방향성오일을 라벤더오일로 사용할 경우, 실내 거주자로 하여금 불면증 감소나 근육완화는 물론 스트레스 해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에센셜오일은 아로마오일이나 라벤더오일과 같이 식물이 갖고 있는 휘발성 방향오일을 말하는 것으로 아로마오일이나 라벤더오일 이외에 향이 좋은 로즈제라늄에센셜오일이나, 쟈스민에센셜오일과 같은 오일이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이 향이 좋은 에센셜오일을 본 발명의 방향성오일로 사용할 경우 실내에 에센셜오일향이 발산되어 실내의 방향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프로그랜스오일은, 여러 가지 화학성분을 사용해서 만든 화학적으로 합성된 방향성오일을 말하는 것으로, 방향성이 매우 뛰어나고 향이 오랫동안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2공정(S2)에서 방향성오일과 석고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함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석고화분 자체적으로 향이 발산될 수 있어 실내의 방향효과는 물론 방향성오일에 의한 효능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에 방향효과를 얻기 위해 방향제를 구입하거나 하지 않고도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석고화분에 의해 실내 방향효과를 얻을 수 있어 비용절감효과는 물론 식물을 심는 화분의 용도 이외에 방향기능을 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공정(S3)은, 제2공정(S2)에 의해 혼합된 혼합물을 제1공정에 의해 제조된 몰드에 부어 채워주는 공정으로, 이 때 몰드에 혼합물을 부어 채워줄 때 천천히 부어줌으로써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공정(S4)은, 제3공정(S3)에 의해 혼합물이 부어진 몰드를 상온 20℃ ~ 25℃의 응달에서 4시간 ~ 5시간 경화시키는 공정이다.
이와 같이 응달에서 경화시키는 이유는, 햇빛이 강한 양달에서 경화시킬 때 발생되는 크랙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20℃의 상온에서 경화시킬 경우에는 5시간 경화시키는 것이 가장 좋으며, 25℃의 상온에서 경화시킬 경우에는 4시간 경화시키더라도 경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5공정(S5)은, 제4공정(S4)에 의해 경화된 석고화분을 몰드로부터 탈형하는 공정이다.
이 때, 상기 몰드가 실리콘 100중량부와 경화제 3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실리콘몰드에 의해 벌어짐이 가능하여 석고화분과 몰드와의 탈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영과정에서 몰드와 석고화분과의 부딪힘에 의한 석고화분의 깨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공정(S6)은, 제5공정(S5)에 의해 몰드로부터 탈형된 석고화분의 표면에 문양을 그려 채색하여 문양부를 구비하는 공정이다.
이와 같이 제6공정(S6)에 의해 석고화분 표면에 채색된 다양한 모양의 문양부가 구비됨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석고화분의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 : 제1공정 S2 : 제2공정
S3 : 제3공정 S4 : 제4공정
S5 : 제5공정 S6 : 제6공정

Claims (3)

  1. 실리콘 100중량부와 경화제 3중량부를 혼합하여 몰드를 제조하는 제1공정(S1); 석고분말, 방향성오일, 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공정(S2); 제2공정(S2)에 의해 혼합된 혼합물을 제1공정에 의해 제조된 몰드에 부어주는 제3공정(S3); 제3공정(S3)에 의해 혼합물이 부어진 몰드를 경화시키는 제4공정(S4); 제4공정(S4)에 의해 경화된 석고화분을 몰드로부터 탈형하는 제5공정(S5)을 포함하는 석고화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S4)의 혼합물이 부어진 몰드를 상온 20℃ ~ 25℃의 응달에서 4시간 ~ 5시간 경화시키고,
    상기 제5공정(S5)에 의해 몰드로부터 탈형된 석고화분의 표면에 문양을 그려 채색하여 문양부를 구비하는 제6공정(S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공정(S2)에서의 혼합물은 석고분말 100중량부, 방향성오일 15중량부, 물 30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S2)에서의 방향성오일은,
    아로마오일, 라벤더오일, 에센셜오일, 프로그랜스오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
KR1020150181780A 2015-12-18 2015-12-18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 KR101687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780A KR101687923B1 (ko) 2015-12-18 2015-12-18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780A KR101687923B1 (ko) 2015-12-18 2015-12-18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923B1 true KR101687923B1 (ko) 2016-12-19

Family

ID=5773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780A KR101687923B1 (ko) 2015-12-18 2015-12-18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9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889A (ko)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맥한신소재 투수성 및 흡습성이 우수한 성형제품
KR20220000166A (ko) * 2020-06-25 2022-01-03 권미숙 향기나는 화기 방향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758Y1 (ko) 2004-10-28 2005-03-18 양원동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난초 화분의 충 전재
KR20070089109A (ko) * 2007-08-08 2007-08-30 엄경자 벽면부착용 액자형 황토 타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39006B1 (ko) 2008-01-30 2008-06-17 염영철 향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758Y1 (ko) 2004-10-28 2005-03-18 양원동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난초 화분의 충 전재
KR20070089109A (ko) * 2007-08-08 2007-08-30 엄경자 벽면부착용 액자형 황토 타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39006B1 (ko) 2008-01-30 2008-06-17 염영철 향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석고방향제 원데이클래스 요기미테 공방 (2014.12.30.)* *
네이버 블로그, 수제 실리콘 몰드 만들기 (2015.08.20.)* *
네이버 블로그, 초간단 석고방향제 만들기 (2015.07.30.)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889A (ko)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맥한신소재 투수성 및 흡습성이 우수한 성형제품
KR20220000166A (ko) * 2020-06-25 2022-01-03 권미숙 향기나는 화기 방향제
KR102364014B1 (ko) * 2020-06-25 2022-02-16 권미숙 향기나는 화기 방향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923B1 (ko) 향 발산 석고화분의 제조방법
CN105884311B (zh) 一种环保壁材及其制备方法
US4293602A (en) Natural botanical ornament
CN105885304A (zh) 一种花盆用木塑材料及其制备方法
US20050232959A1 (en) Item with decorative voids
KR20030089620A (ko) 황토 화분의 제조방법
CN201781814U (zh) 一种装饰净化车内空气小型盆栽花卉
KR20100119248A (ko) 방향성(芳香性)을 갖는 장식용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장식용 도자기
KR102034933B1 (ko)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
CN105109262A (zh) 一种人造琥珀玻璃工艺品的制作方法
KR200405473Y1 (ko) 기능성 인조대리석
JP2005053103A (ja) 炭材による水墨画風オブジェ
CN102450890A (zh) 一种带保健功能相框的制作方法
KR101477062B1 (ko) 화분 및 화분 제조방법
CN102450889A (zh) 一种保健相框的制作方法
KR200425182Y1 (ko) 욕조
KR200308397Y1 (ko) 방향액과 도색이 착색된 도자기자갈
EP2500450A2 (en) Crystal growing ornament
KR20160134406A (ko) 조화용 천연왁스 화병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888945A (zh) 无土培养基及制备方法
TWM570150U (zh) 傢飾型多功能擴香
KR200427147Y1 (ko) 실내장식용 화분커버
TWM656034U (zh) 揮發容器
KR19990064852A (ko) 황토불상의 제조방법
KR200439139Y1 (ko) 무늬형성물질로 장식된 전등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