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203B1 - 액체 디스펜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디스펜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6203B1 KR101686203B1 KR1020140190924A KR20140190924A KR101686203B1 KR 101686203 B1 KR101686203 B1 KR 101686203B1 KR 1020140190924 A KR1020140190924 A KR 1020140190924A KR 20140190924 A KR20140190924 A KR 20140190924A KR 101686203 B1 KR101686203 B1 KR 1016862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 valve
- flow path
- connection pipe
- dispens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는 내부에 유동로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 상기 유동로 내에 고정되며, 상기 액체 공급부로부터 상기 유동로 측으로 이동하는 액체만 통과시키는 제1밸브; 상기 유동로 내에서 상기 제1밸브와 대향되며, 상기 제1밸브와 사이의 공간인 가변공간의 체적을 증감시킴으로써 상기 가변공간 내의 액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밸브 또는 상기 제2밸브 중 적어도 하나는 정해진 이송방향으로의 액체만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단은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적용되는 밸브의 형상 및 구조를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원 또는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액체의 이송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여, 적용되는 밸브의 형상 및 구조를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원 또는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액체의 이송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체 디스펜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액체를 간편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페이스트 화장품이나 기타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에는 공기압력을 통해 액체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액체 디스펜싱 장치가 부설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를 이용하여 점성이 높은 액상의 화장품을 공급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점성으로 인하여 유동성 저하로 인하여 동작이 불편하고, 원하는 양의 화장품을 일정하게 공급받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종래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공급되지 않은 액체 중 일부가 공기에 노출되어 오염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재공급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용되는 밸브의 형상 및 구조를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원 또는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액체의 이송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및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유동로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 상기 유동로 내에 고정되며, 상기 액체 공급부로부터 상기 유동로 측으로 이동하는 액체만 통과시키는 제1밸브; 상기 유동로 내에서 상기 제1밸브와 대향되며, 상기 제1밸브와 사이의 공간인 가변공간의 체적을 증감시킴으로써 상기 가변공간 내의 액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밸브 또는 상기 제2밸브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밸브 또는 상기 제2밸브 중 적어도 하나는 정해진 이송방향으로의 액체만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단은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밸브 또는 상기 제2밸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절개선이 형성되되, 액체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개방되는 절개선에 의하여 액체를 통과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서 높이가 높아지는 돔(dome) 형상이며, 상기 절개선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액체가 유동하기 위한 이송로를 형성하고, 일단부는 상기 유동로에 수용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이송로 내의 액체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되, 외력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의 하강시 상기 가변공간의 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가변공간 내의 액체를 상기 이송로 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는 액체 유입로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로와 상기 유동로를 서로 연통시키되,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연결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액체 유입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연결관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탄성력을 상기 연결관에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상승시에 상기 제2밸브가 상기 가변공간의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액체 공급부의 액체는 상기 제1밸브를 통과하여 상기 가변공간 내에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밸브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내주면을 따라서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에는 둘레를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밸브가 상기 유동로 내벽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는 상기 유동로의 내벽면 측으로 돌출되는 실링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내주면을 따라서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동로 내에 마련되고, 액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되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고정홈을 형성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밸브가 상기 유동로 내벽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는 상기 유동로의 내벽면 측으로 돌출되는 실링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 액체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를 가압하는 레버;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를 분배하는 분배부; 상기 분배부로부터 분배된 액체가 도포되는 퍼프;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는 액상의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퍼프는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분배부는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와 상기 퍼프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와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액체를 상기 퍼프 측으로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토출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단이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가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구된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용되는 밸브의 형상 및 구조를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원 또는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액체의 이송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두께는 감소하되 액체가 유동하는 단면의 면적은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돔(dome) 형상의 구조물의 중앙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밸브를 제작함으로써 우수한 양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밸브 중 어느 하나는 양산성에 적합하도록 자체의 소재 특성을 이용하는 구조로 구성하고, 다른 하나는 고점성 액체의 제어에 적합한 구조물로 구성함으로써, 양산성 및 작동 신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 가압형으로 액상의 파우더를 퍼프에 공급받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제1밸브와 제2밸브를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제1밸브와 제2밸브 변형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자가 외력을 해제한 경우의 동작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연결관과 제2밸브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도 9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자가 외력을 해제한 경우의 동작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도 12의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제1밸브와 제2밸브를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제1밸브와 제2밸브 변형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자가 외력을 해제한 경우의 동작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연결관과 제2밸브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도 9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자가 외력을 해제한 경우의 동작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도 12의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의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100)는 저장된 액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액체 공급부(110)와 몸체부(120)와 고정축(130)과 제1밸브(140)와 연결관(150)과 플랜지부(160)와 탄성부재(170)와 제2밸브(180)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 공급부(110)는 사용자에게 액체를 공급하기 전에 액체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 공급부(110)는 유한한 체적의 탱크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용량의 제한 없이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20)는 상기 액체 공급부(110)와 연결되며, 액체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외부에 토출하기 전에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유동로(121)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즉, 몸체부(120)는 전체적으로는 관형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로를 형성한다.
한편, 후술하는 제1밸브(140)와 제2밸브(180)의 사이 유동로(121) 공간의 체적은 제2밸브(180)의 이동에 의하여 변화하고, 이러한 공간을 가변공간(A)이라 정의한다.
몸체부(120)의 상단에는 외주면을 따라서 지지대(122)가 형성되고, 지지대 상에는 후술하는 플랜지부(160)가 거치되어 지지된다.
한편, 몸체부(120)에 형성되는 유동로(121)의 내경은 최종 토출되는 액체의 토출량, 삽입되는 연결관의 외경, 액체의 점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축(130)은 유동로(121)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1밸브(1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조물이다. 유동로(121)를 향하여 유동하는 액체의 유동 연속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고정축(130)의 중앙부는 관통된다.
또한, 고정축(130)에는 둘레면을 따라서 함몰되는 형태의 고정홈(131)이 형성되고, 고정홈(131) 내에서 후술하는 제1밸브(140)의 체결돌기(144)가 삽입됨으로써 제1밸브(140)가 고정축(130) 상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제1밸브와 제2밸브를 사시도이다.
도 3(a)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밸브(140)는 액체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제한하기 위한 밸브 구조물로서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마련되고, 상술한 고정축(130) 상에 고정되며, 본체부(141)와 연장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41)는 액체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가압되는 부분으로서,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중앙에는 소정 길이의 절개선(142)을 형성한다.
제1밸브(140)의 본체부(141)는 액체 공급부(110)로부터 유동로를 향하여(이하, '이송방향'이라 합니다) 이동하는 액체만을 통과시키고,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되는 액체의 통과는 제한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41)는 이송방향을 따라서 높이가 점점 높아지되, 상면과 하면이 곡률을 갖는 반구형의 돔(dome)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돔 형상의 본체부(141)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절개선(142)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함으로써, 열 십(十)자를 형성한다. 따라서, 액체가 이송방향을 따라 가압되는 경우에는 본체부(141)의 형상이 변형하여 절개선(142)이 개방되고, 액체가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는 절개선(142)이 개방되지 않고 차단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4(a)에서와 같이, 제1밸브(140)의 절개선(142)은 단일의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체부(141)의 두께, 곡률, 높이, 직경 등은 액체의 이송량, 유동로(121)의 내경, 액체의 점성, 가해지는 압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본체부(141)에 형성되는 절개선의 개수, 교차각도 역시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장부(143)는 본체부(141)의 둘레로부터 유동로(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유동로(121) 내벽면과 밀착됨으로써 실링을 유지하는 동시에, 고정축(130)에 체결되어 제1밸브(140) 전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연장부(143)의 내주면에는 체결돌기(144)가 형성되어, 고정축(130)의 고정홈(131)에 삽입, 고정된다. 또한, 연장부(143)의 외주면에는 실링돌기(145)가 형성되어 유동로(121)의 내벽면과 긴밀하게 접촉함으로써, 절개선(142)을 제외한 영역에서 액체가 의도하지 않게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돔 형상의 제1밸브(140)는 고정축(130)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유동로(121)의 내벽면에 밀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밸브(140)의 단면은 원형[도 3(a), 4(a)의 좌측]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밸브(140)는 타원형[도 3(a), 4(a)의 우측]일 수도 있다. 특히 제1밸브(140)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인 경우에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100) 전체적인 두께는 줄이되, 단면적은 늘림으로써 액체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삽입되는 공간의 두께가 제한된 경우에는 타원형의 제1밸브(140)가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제1밸브(14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에 따라서는 원형이 될 수도 있고, 다각형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관(150)은 유동로(121) 내에 수용되어 외력에 의하여 이동함으로써 후술하는 제2밸브(180)를 승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연결관(150)은 내부에 이송로(151)를 형성하는 관의 형태를 가지며, 상단은 유동로(1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영역으로서, 단부에는 유동로(121)로부터 이송로(151)를 거쳐 이송된 액체를 최종 토출할 수 있도록 토출구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토출구는 연결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토출구는 연결관의 외벽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액체를 토출하고자 하는 위치를 감안하여 최종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유동로(121) 내에 수용되는 연결관(150)의 하단에는 둘레를 따라서 체결홈(15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밸브(180)의 체결돌기(184)가 삽입된다.
상기 플랜지부(160)는 몸체부(1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대(122)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하단이 유동로(121)에 일부 수용됨으로써 연결관(150)의 이동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부재이다.
유동로(121) 내에 수용되는 플랜지부(160)의 하단은 내경이 점점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플랜지부(160)와 연결관(150)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결합시에는 연결관(150)을 플랜지부(160) 내에 밀어 끝까지 밀어 넣는다.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연결관(150)이 플랜지부(160)를 완전히 통과한 후에는 연결관(150)은 유동로(121) 내에 최종적으로 수용된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관(150)의 하단에는 제2밸브(180)가 장착되고, 탄성부재(170)로부터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하여 연결관(150)이 상승하는 경우에, 제2밸브(180)가 플랜지부(160)의 하단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연결관(150)이 유동로(121)에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외력에 의하여 하강하는 연결관(150)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70)는 플랜지부(160)와 연결관(150) 사이에 개재되며, 압축 스프링으로 마련되나, 탄성부재(170)는 연결관(150)에 탄성력을 가하는 구조물은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도 3(b)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밸브(180)는 상술한 제1밸브(140)와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어 액체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제한하기 위한 밸브로서,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마련되고, 상술한 연결관(150)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본체부(181)와 연장부(18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81)는 액체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가압되는 부분으로서,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중앙에는 소정 길이의 절개선(182)을 형성한다.
제2밸브(180)의 본체부(181)는 기본적으로 제1밸브(140)의 구조 및 형상과 동일하며, 이송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려는 액체만을 통과시키고,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되는 액체의 통과는 제한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81)는 이송방향을 따라서 높이가 점점 높아지되, 상면과 하면이 곡률을 갖는 반구형의 돔(dome)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돔 형상의 본체부(181)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절개선(182)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열 십(十)자를 형성한다. 따라서, 액체가 이송방향을 따라 가압되는 경우에는 본체부(181)의 형상이 변형하여 절개선(182)이 개방되고, 액체가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는 절개선(182)이 개방되지 않고 차단상태를 유지한다. 뿐만 아니라, 도 4(b)에서와 같이, 제2밸브(180)의 절개선(182)은 단일의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체부(181)의 두께, 곡률, 높이, 직경 등은 액체의 이송량, 유동로의 내경, 액체의 점성, 가해지는 압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본체부(181)에 형성되는 절개선(182)의 개수, 교차각도 역시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장부(183)는 본체부(181)의 둘레로부터 유동로(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유동로(121) 내벽면과 밀착되어 실링을 유지하는 동시에, 연결관(150)의 하단에 체결되어 제2밸브(180) 전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연장부(183)의 내주면에는 체결돌기(184)가 형성되어, 연결관(150)의 체결홈(152)에 삽입, 고정된다. 또한, 연장부(183)의 외주면에는 실링돌기(185)가 형성되어 유동로(121)의 내벽면과 긴밀하게 접촉함으로써, 절개선(182)을 제외한 영역에서 액체가 의도하지 않게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돔 형상의 제2밸브(180)는 연결관(150)의 하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유동로(121)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관(150)의 승강에 따라 같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밸브(180)의 단면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제1밸브와 같이 원형[도 3(b), 4(b)의 좌측]이거나, 타원형[도 3(b), 4(b)의 우측]일 수도 있다.
또한, 제1밸브 및 제2밸브의 본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돔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제1밸브와 제2밸브 변형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밸브(140')와 제2밸브(180')의 변형례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1밸브(140')와 제2밸브(180')의 본체부는 액체의 이송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제1밸브(140')와 제2밸브(180')의 절개선은 열십(十)자 형태가 아니라 단일의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110) 내에 소정의 액체를 저장한다. 사용자가 필요에 의하여 저장된 액체를 공급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170)에 의하여 지지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결관(150)의 상단부를 가압한다.
연결관(150)은 사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하강하고, 연결관(150)의 하강과 함께 제2밸브(180)도 하강하게 됨으로써, 유동로(121) 내에서 제1밸브(140)와 제2밸브(180)의 사이에서 정의되는 공간, 즉, 가변공간(A)의 체적이 감소하게 된다.
가변공간(A)의 체적이 감소함과 동시에 가변공간(A)의 내압은 증가하고, 가변공간(A) 내에 수용되어 있던 액체는 제2밸브(180)의 본체부(181)를 가압한다. 액체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제2밸브(180)의 본체부(181)의 형상이 일시적으로 변형되면서 여기에 형성된 절개선(182)은 개방되고, 개방된 절개선(182) 사이로 액체가 토출되어, 액체는 이송로(151) 내로 토출된다.
이때, 체적 감소로 인하여 가변공간(A) 내의 액체는 제2밸브(180) 뿐만 아니라,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1밸브(140) 역시 가압하게 된다. 다만, 돔(dome) 형상의 본체부(141) 상단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도 제1밸브(140)의 형상은 변형 없이 유지되며, 제1밸브(140)의 절개선(142)은 개방되지 않음으로써, 액체의 통과로를 견고하게 차단한다.
결과적으로는 연결관(150)의 하강에 의하여 가변공간(A) 내의 액체가 제2밸브(180)를 통과하여 연결관(150) 내부의 이송로(151) 측으로 유동하여, 사용자에게 최종 공급된다.
도 8은 도 1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자가 외력을 해제한 경우의 동작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결관(150)에 가하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탄성부재(170)가 연결관(150)을 상승시키고, 이 과정에서 가변공간(A)의 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가변공간(A)은 체적 증가로 인하여 내압이 감소하고, 액체 공급부(110)에 저장된 액체가 이송방향을 따라서 제1밸브(140)를 가압한다.
액체 공급부(11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제1밸브(140)의 절개선(142)은 개방되고, 액체는 가변공간(A) 내로 흘러들어온다. 사용자가 필요에 이하여 연결관(150)을 재가압할 때까지 액체는 가변공간(A) 내에 임시적으로 저장된다.
즉, 본원발명에 의하면, 돔(dome) 구조의 제1밸브(140) 및 제2밸브(180)의 구조적 특징만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액체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이송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는 저장된 액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액체 공급부(110)와 몸체부(120)와 고정축(130)과 제1밸브(140)와 연결관(250)과 플랜지부(160)와 탄성부재(170)와 제2밸브(28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액체 공급부(110)와 몸체부(120)와 고정축(130)과 제1밸브(140)와 플랜지부(160)와 탄성부재(17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하고,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는 다른 구성인 연결관(250)과 제2밸브(28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연결관과 제2밸브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상기 연결관(250)은 하단은 마감되고 상단은 개구되되, 내부에는 액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중공의 이송로(151)가 형성되는 것으로, 대경부(251)와 소경부(252)와 걸림부(254)를 포함한다.
상기 대경부(251)는 후술하는 소경부(25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소경부(252)는 대경부(25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대경부(25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한편, 소경부(252)의 외면에는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액체 유입홀(25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에 의하여 연결관(250)은 전체적으로 직경이 서로 다른 두 영역으로 나뉘며, 이러한 직경 차이로 인하여 단차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이송로(15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54)는 소경부(252)의 하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소경부(252)에 설치되는 제2밸브(280)의 이동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밸브(280)는 소경부(25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제2밸브(280)는 연결관(25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액체 유입홀(253)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2밸브(280)의 외주면은 유동로(121)에 밀착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는 전체적으로 단면이 원형(도 10 좌측)일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타원형(도 10 우측)일 수도 있다.
특히,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의 단면이 타원형인 경우에는, 단축방향의 길이를 줄여 두께를 감소시키고, 장축방향의 길이를 늘려 단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두께를 줄이되 액체의 유동면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도 9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110) 내에 소정의 액체를 저장한다. 사용자가 필요에 의하여 저장된 액체를 공급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170)에 의하여 지지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결관(250)의 상단부를 가압한다.
연결관(250)은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고, 연결관(250)의 하강과 함께 제2밸브(280)도 하강하게 됨으로써, 가변공간(A)의 체적은 감소하게 된다.
이때, 제2밸브(280)는 연결관(250)의 소경부(252) 상에서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액체 유입홀(253)을 개방하는 제2밸브(280)의 소경부(252) 상에서의 위치를 제1위치라 정의하고, 액체 유입홀(253)을 완전히 차단하는 제2밸브(280)의 소경부(252) 상에서의 위치를 제2위치라 정의하여 작동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유동로(121)에 밀착된 상태의 제2밸브(280)는 제1위치에서 액체 유입홀(253)을 개방한 상태로 연결관과 함께 하강한다. 이때, 가변공간(A) 내의 액체는 개방된 액체 유입홀(253)을 통하여 연결관(250) 내부의 이송로(151)로 흘러들어감으로써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도 12는 도 9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자가 외력을 해제한 경우의 동작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결관(250)의 단부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면, 탄성부재(170)가 연결관(250)을 상승시키고, 연결관(250)의 소경부(252)에 설치되는 제2밸브(280)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액체 유입홀(253)을 차단한 상태에서 연결관(250)과 함께 상승한다. 액체 유입홀(253)가 차단됨에 따라 가변공간(A) 내의 액체가 연결관(250) 내부의 이송로(151) 측으로 유입되는 경로는 차단된다.
이 과정에서 가변공간(A)의 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내압은 감소하고, 액체 공급부(110)에 저장된 액체는 제1밸브(140)를 가압한다.
액체 공급부(110)로의 액체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제1밸브(140)의 절개선(142)이 개방되고, 액체는 가변공간(A) 내로 흘러들어오며, 사용자가 연결관(250)을 다시 가압할 때까지 액체는 가변공간(A) 내에 임시적으로 저장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밸브(280) 자체가 연결관(250) 상에서 위치 이동하여 액체가 유입되는 통로를 물리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함으로써, 보다 고점성의 액체의 유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가 포함된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도 12의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300)는 액상의 파우더를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장치로서, 액체 디스펜싱 장치(100, 200)와 케이스(310)와 개폐부(320)와 레버(330)와 분배부(340)와 퍼프(350)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디스펜싱 장치(100, 200)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300)는 상술한 제2실시예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하나, 제1실시예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100)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는 길이방향이 지면과 나란하도록 배열되며,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에 포함되는 액체 공급부(110) 역시 지면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액체 공급부(110) 내에는 후술하는 퍼프(350)에 도포될 수 있도록 액상(液狀) 파우더가 저장된다.
특히, 도 15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는 단면이 타원형으로 구성된다. 즉,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가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장축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배치하여,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가 차지하는 두께를 줄이되, 액상 파우더의 유동량은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파우더 용기의 전체 두께가 감소될 수 있고 컴팩트 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의 단면이 타원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는 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310)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를 거치한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외장 구조물이다. 케이스(310)의 상단 및 하단은 개구되며, 하단은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의 액체 공급부(110)에 의하며 마감되고, 상단은 후술하는 개폐부(320)에 의하여 마감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310) 내에 장착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는 길이방향과 지면이 나란한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케이스(310)는 후술하는 퍼프(35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개폐부(320)는 케이스(310)의 개구된 상단을 마감함과 동시에, 하부에 놓여지는 퍼프(350)를 감싸기 위한 부재이다. 따라서, 개폐부(320)에 의하여 마감되는 케이스(310)의 내부에는 퍼프(350), 분배부(340),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가 순서대로 적층된다.
상기 레버(330)는 상기 케이스(3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액상 파우더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를 조작하기 위한 부재이다. 레버(3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케이스(310)의 측면에서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의 연결관(250)을 직, 간접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배부(340)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로부터 토출되는 액상 파우더를 균일하게 배분하여 퍼프(35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분배부(340)는 소정 두께의 판형으로 구성되며,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와 후술하는 퍼프(350)의 사이에 개재되며, 전면에 복수개의 토출공(34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배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서로 교차하는 여러 개의 가상의 직선을 따라서 복수개의 토출공(341)이 배치되나, 토출공(341)의 배열과 개수 및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퍼프(350)는 원형으로 분배부(340)의 상측에 밀착되며, 개폐부(320)의 하측에 배치된다. 퍼프(35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우더용 퍼프와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3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케이스(310)의 측면에 설치된 레버(330)에 힘을 가하여 누르면, 레버(330)가 케이스(31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의 연결관(250)을 가압한다.
연결관(250)이 가압됨과 동시에 액체 공급부(110)에 저장된 액상 파우더가 제2밸브(280)를 통과하여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의 외부로 토출되고, 액상 파우더는 토출압에 의하여 디스펜싱 장치(200)와 분배부(340) 사이의 통로를 따라 분배부(340)의 하측에 도달한다.
분배부(340)에 도달한 액상 파우더는 여러 개의 토출공(341)을 따라 퍼프(350) 측으로 균일하게 분배되고, 퍼프(350) 전면(全面)에는 액체가 균일하게 도포된다.
사용자는 필요한 양의 액상 파우더가 퍼프(350)에 도포된 후에 케이스(310)로부터 개폐부(320)를 개방한 후에 케이스(310)로부터 퍼프(350)를 이탈시킨 후에, 퍼프(350)에 도포된 액상 파우더를 이용항 화장을 한다.
또한, 액체 공급부(110)에 저장된 액상 파우더가 완전히 소모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개폐부(320)를 개방한 상태에서 액체 공급부(110)를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케이스로(310)부터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를 상방으로 분리시킨 후에 액상 파우더가 재공급된 별도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200)를 장착함으로써 재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액체 공급부 120 : 몸체부
130 : 고정축 140 : 제1밸브
150 : 연결관 160 : 플랜지부
170 : 탄성부재 180 : 제2밸브
130 : 고정축 140 : 제1밸브
150 : 연결관 160 : 플랜지부
170 : 탄성부재 180 : 제2밸브
Claims (16)
- 내부에 유동로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
상기 유동로 내에 고정되며, 상기 액체 공급부로부터 상기 유동로 측으로 이동하는 액체만 통과시키는 제1밸브;
상기 유동로 내에서 상기 제1밸브와 대향되며, 상기 제1밸브와 사이의 공간인 가변공간의 체적을 증감시킴으로써 상기 가변공간 내의 액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밸브; 및
상기 제2밸브가 일단부에 설치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밸브는 액체를 통과시키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내주면을 따라서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일단부에 둘레를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또는 상기 제2밸브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인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또는 상기 제2밸브 중 적어도 하나는,
정해진 이송방향으로의 액체만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단은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선을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절개선이 형성되되, 액체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개방되는 절개선에 의하여 액체를 통과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절개선이 형성되되, 액체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개방되는 절개선에 의하여 액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서 높이가 높아지는 돔(dome) 형상이며,
상기 절개선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내부에 액체가 유동하기 위한 이송로가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유동로에 수용되며, 타단부에 상기 이송로 내의 액체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되, 외력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연결관의 하강시 상기 가변공간의 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가변공간 내의 액체를 상기 이송로 측으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는 액체 유입로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로와 상기 유동로를 서로 연통시키되,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연결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액체 유입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연결관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탄성력을 상기 연결관에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상승시에 상기 제2밸브가 상기 가변공간의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액체 공급부의 액체는 상기 제1밸브를 통과하여 상기 가변공간 내에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가 상기 유동로 내벽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는 상기 유동로의 내벽면 측으로 돌출되는 실링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내주면을 따라서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동로 내에 마련되고, 액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되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고정홈을 형성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가 상기 유동로 내벽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는 상기 유동로의 내벽면 측으로 돌출되는 실링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싱 장치. - 제1항의 액체 디스펜싱 장치;
액체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를 가압하는 레버;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를 분배하는 분배부;
상기 분배부로부터 분배된 액체가 도포되는 퍼프;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는 액상의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는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분배부는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와 상기 퍼프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와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액체를 상기 퍼프 측으로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토출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단이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가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디스펜싱 장치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구된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0924A KR101686203B1 (ko) | 2014-12-26 | 2014-12-26 | 액체 디스펜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0924A KR101686203B1 (ko) | 2014-12-26 | 2014-12-26 | 액체 디스펜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9493A KR20160079493A (ko) | 2016-07-06 |
KR101686203B1 true KR101686203B1 (ko) | 2016-12-13 |
Family
ID=5650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0924A KR101686203B1 (ko) | 2014-12-26 | 2014-12-26 | 액체 디스펜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620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1499B1 (ko) | 2006-01-11 | 2007-03-29 | 김길수 | 펌핑 장치를 일체화한 고무제 유체 분사 뚜껑 |
KR101337069B1 (ko) | 2013-07-05 | 2013-12-06 | 정상열 | 화장품 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1786B1 (ko) * | 2011-03-14 | 2013-02-08 | (주)톨리코리아 |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
KR101387624B1 (ko) * | 2012-04-13 | 2014-04-21 | 김길수 |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립글로스 화장품 용기 |
-
2014
- 2014-12-26 KR KR1020140190924A patent/KR1016862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1499B1 (ko) | 2006-01-11 | 2007-03-29 | 김길수 | 펌핑 장치를 일체화한 고무제 유체 분사 뚜껑 |
KR101337069B1 (ko) | 2013-07-05 | 2013-12-06 | 정상열 | 화장품 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9493A (ko) | 2016-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91350B2 (ja) | 充填マシンの調節可能なフローバルブ | |
EP3081111B1 (en) | Tube-type cosmetics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contents in drop form | |
KR101969461B1 (ko) |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 |
KR101750307B1 (ko) |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 |
KR101708387B1 (ko) | 계량 장치 | |
KR101446762B1 (ko) | 화장품 용기 | |
KR20140138258A (ko) | 내부 부스트 통로를 갖는 스프레이 건 | |
JP2004522562A (ja) | フォーム発生装置 | |
EP3851411B1 (en) | Two-piece foam piston pump | |
JP3211236U (ja) | マルチフロー用量キャップ | |
JP2009524558A (ja) | 吐出装置 | |
JP4542867B2 (ja) | 物質を包装し塗布する装置 | |
BR112015000079B1 (pt) | conjunto de distribuição para distribuir uma espuma e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de espuma | |
EP3357827A1 (en) | Foam-jetting tube container | |
KR102408343B1 (ko) | 조형면에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 용기 | |
CN110291036B (zh) | 液体分配头 | |
KR101686203B1 (ko) | 액체 디스펜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액상 파우더 공급용기 | |
KR101597076B1 (ko) | 화장품 용기 | |
CN109279170B (zh) | 用于分配多种流体产品的装置 | |
JP6219240B2 (ja) | 泡噴出容器 | |
US7201295B1 (en) | Fitment assembly for a liquid dispenser | |
JP2016068998A (ja) | 二重容器 | |
ES2848202T3 (es) | Válvula de dispensación que incorpora una válvula de dosificación | |
JP7271291B2 (ja) | ミスト供給装置のための液体再充填/排出システムおよびそのようなシステムを備える装置 | |
JP6397761B2 (ja) | 吐出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