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687B1 - 마이크로 보링 바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보링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687B1
KR101685687B1 KR1020160035481A KR20160035481A KR101685687B1 KR 101685687 B1 KR101685687 B1 KR 101685687B1 KR 1020160035481 A KR1020160035481 A KR 1020160035481A KR 20160035481 A KR20160035481 A KR 20160035481A KR 101685687 B1 KR101685687 B1 KR 101685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bolt insertion
insertion hole
bolt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수
Original Assignee
(주)우남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남기공 filed Critical (주)우남기공
Priority to KR1020160035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2Boring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3Bor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3Boring heads
    • B23B29/034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 B23B29/03403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radially adjustable before starting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3Boring heads
    • B23B29/034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 B23B29/03403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radially adjustable before starting manufacturing
    • B23B29/03407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radially adjustable before starting manufacturing by means of screws and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30Chip guiding or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와 각도조절 홀만을 구비하여 가공 구멍 크기의 미세조정이 가능한 보링 머신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보링 바에 있어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바디부, 바디부의 끝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절삭부, 절삭부에서 빗면 또는 곡면으로 면취되어 형성되며, 절삭부에서 발생하는 칩의 배출을 유도하는 칩 포켓, 바디부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볼트, 바디부의 일측에 체결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볼트 삽입부 및 볼트 삽입부에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절삭부의 절삭각도가 조절되도록 바디부에 형성된 각도조절 갭;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보링 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보링 바 {MICRO BORING BAR}
본 발명은 마이크로 보링 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디에 한 개 이상의 볼트와 길이조절 홀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공작물에 원하는 크기의 홀을 형성할 수 있는 마이크로 보링 바에 관한 것이다.
보링 머신은 공작물에 드릴 작업 등으로 이미 형성된 홀 및 홈의 크기를 키우기 위해 내주면을 가공하는 장비이다. 따라서, 보링 머신의 보링 바 선단에는 공작물의 홀 및 홈의 내경을 절삭하기 위해 인서트의 날끝이 보링 바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보링 바는 소구경의 홀을 가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유닛에 인서트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또는 헤드에 삽입형 초경심봉을 결합하여 소구경 홀을 가공할 수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 유닛을 사용하는 보링 바는 마이크로 유닛 끝에 인서트가 장착되므로 인서트의 크기가 매우 작아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유닛을 교체하거나, 인서트를 교체하기에 작업이 번거로우며, 다양한 규격에 사용 가능하도록 특수 제작을 하기에 어렵다.
마이크로 보링 바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1993-0021303 (발명의 명칭 : 보링 공구)와 같은 발명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 발명 역시 제작 방법이 복잡하고,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볼트를 1 또는 2개를 사용하여 절삭하는 구멍의 크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제작이 쉽고, 인서트 교환이 간단하여 인서트 교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마이크로 보링 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링 머신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보링 바에 있어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끝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절삭부; 상기 절삭부에서 빗면 또는 곡면으로 면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삭부에서 발생하는 칩의 배출을 유도하는 칩 포켓; 상기 바디부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볼트;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볼트 삽입부; 및 상기 체결볼트 삽입부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절삭부의 절삭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각도조절 갭;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보링 바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절삭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인서트; 상기 인서트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가 안착되는 인서트 안착홈; 상기 인서트 안착홈에서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인서트 나사홀; 및 상기 인서트 및 상기 인서트 나사홀에 결합되어 상기 인서트 안착홈에 상기 인서트를 고정시키는 인서트 결합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 삽입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 일측에서부터 대향되는 외주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제1 접시볼트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 갭은 상기 제1 접시볼트 삽입홀의 상기 인서트 방향쪽 벽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시볼트 삽입홀과 수평하도록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 갭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서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다가 끝부분이 원형으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 갭은 'ㄴ'자 형상으로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볼트 삽입부는 제2 접시볼트 삽입홀 및 제1 렌치볼트 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각도조절 갭과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시볼트 삽입홀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각도조절 갭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치볼트 삽입홀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 일측에서 대향되는 반대쪽 외주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 갭은,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인서트가 형성된 끝단부에서부터 반대쪽 단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볼트 삽입부는 제3 접시볼트 삽입홀 및 제2 렌치볼트 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각도조절 갭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접시볼트 삽입홀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각도조절 갭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렌치볼트 삽입홀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 일측에서 반대쪽 외주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는 제작이 쉽고, 사용방법이 간편하며, 가공하고자 하는 구멍의 직경에 최대한 근접한 인서트를 사용할 수 있어 인서트 파손이 적고 마모 또한 적으므로 장시간 사용 가능하고, 인서트 교환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의 분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 보링 바는 바디부(10), 절삭부(20), 칩 포켓(30), 체결볼트(40), 볼트 삽입부(50) 및 각도조절 갭(6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일단에 보링머신의 보링 바 체결부에 결합되는 생크부(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와 생크부(11)의 사이에는 테이퍼부(12)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절삭부(20)는 바디부(10)의 끝단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절삭부(20)는 바디부(10)의 외주면에서 일부가 돌출되어 공작물에 형성된 홈 또는 홀을 원하는 크기로 확장가공할 수 있다. 절삭부(20)는 인서트(21), 인서트 안착홈(22), 인서트 나사홀(23), 인서트 결합나사(24)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21)는 바디부(10)와 나사 결합되되, 인서트(21)의 일부가 바디부(10)의 외주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링 작업을 수행 시 돌출된 인서트(21)가 공작물의 홀 또는 홈을 가공할 수 있다.
인서트 안착홈(22)은 인서트(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바디부(10)의 끝단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 나사홀(23)은 인서트 안착홈(22)의 중심부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 결합나사(24)는 인서트(21)를 인서트 안착홈(22)에 고정시키도록 인서트(21) 및 인서트 나사홀(23)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칩 포켓(30)은 절삭부(20)에서 발생한 공작물의 칩이 칩 포켓(30)을 따라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칩 포켓(30)은 절삭부(20)에서 연장되며, 빗면 또는 곡면으로 면취되어 공작물의 칩이 테이퍼부(12) 쪽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참고로, 공작물에서 발생하는 칩이란, 인서트(21)로 인해 절삭되어 깎이는 쇠 부스러기 또는 쇳가루를 의미한다.
체결볼트(40)는 바디부(10)의 일측에서 체결되어 절삭부(20)의 절삭각도가 변경되도록 바디부(10)를 변형시킬 수 있다. 체결볼트(40)는 접시, 무두 및 렌치 볼트 등의 다양한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볼트 삽입부(50)는 체결볼트(40)가 삽입되도록 바디부(10)를 관통하며, 내주면에 암나나산을 형성할 수 있다. 볼트 삽입부(50)는 체결볼트(4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체결볼트(40)의 일부가 바디부(10)의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 삽입부(50)는 바디부(10)에 다양한 위치 및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실시한다.
각도조절 갭(60)은 볼트 삽입부(50)에 체결볼트(40)가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절삭부(20)의 절삭각도가 미세하게 조정되도록 바디부(10)의 일측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볼트 삽입부(50)에 체결볼트(40)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 각도조절 갭(60)에서 미세한 휘어짐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인서트(21)의 각도가 조절되므로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의 홀 또는 홈을 공작물에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실시한다. 체결볼트(40), 볼트 체결부(50) 및 각도조절 갭(60)의 구성에 대한 차이가 있을 뿐, 이 외의 구성요소는 상기 설명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의 볼트 삽입부(50)는 제1 접시볼트(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접시볼트 삽입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시볼트 삽입홀(51)의 머리 중심은 바디부(10)의 끝단에서 21.5mm 내지 22mm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1.7mm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 접시볼트 삽입홀(51)의 축선은 바디부(10)의 끝단에서 20.5mm 내지 21mm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21mm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제1 접시볼트 삽입홀(51)의 머리 중심과 축선은 어긋나도록 형성되되, 축선이 절삭부(20)와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시볼트(41)는 나사규격으로 규정된 M6 접시볼트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제1 실시예의 각도조절 갭(60)은 상기 바디부(10) 끝단에서 17mm 내지 19mm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 갭(60)은 폭이 0.4mm 내지 0.6mm로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디부(10)의 끝단에서 17.5mm 이격된 부분에서 각도조절 갭(60)이 형성되되 0.5mm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각도조절 갭(60)은 제1 접시볼트 삽입홀(51)의 인서트(21) 방향쪽 벽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제1 접시볼트 삽입홀(51)과 수평하도록 바디부(10)의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 갭(60)은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다가 각도조절 갭(60)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끝단이 원형으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제1 접시볼트 삽입홀(51)에 제1 접시볼트(41)가 깊이 체결될수록 각도조절 갭(60)이 넓어지며 인서트(21)가 가공하는 홀의 직경이 커질 수 있다. 즉, 제1 접시볼트 삽입홀(51)의 머리 중심과 축선이 어긋나 있으므로 제1 접시볼트(41)가 체결되면서 각도조절 갭(60) 측의 벽을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시볼트(41)를 깊이 체결하여 벽을 많이 밀어낼수록 가공되는 홀이 커지고, 반대로 제1 접시볼트(41)를 풀면 가공되는 홀을 작게 할 수 있어, 제1 접시볼트(41)의 체결 정도에 따라 공작물에 형성되는 홀 및 홈의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의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는 바디부(10), 절삭부(20), 칩 포켓(30), 체결나사(40), 볼트 삽입부(50), 각도조절 갭(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와 대비하여 체결나사(40), 볼트 삽입부(50), 각도조절 갭(60)의 형태 및 구성의 차이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볼트 삽입부(50)는 바디부(10)의 일측에 인서트(21)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트 삽입부(50)는 1 또는 2개의 체결볼트(40)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볼트 삽입부(50)는 제2 접시볼트(42)가 삽입되는 제2 접시볼트 삽입홀(52)과 제1 렌치볼트(43)가 삽입되는 제1 렌치볼트 삽입홀(53)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시볼트 삽입홀(52)은 중심이 바디부(10)의 끝단에서부터 16.5mm 내지 17.5mm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시볼트 삽입홀(52)은 바디부(10)의 외주면에서 바디부(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각도조절 갭(60)과 접하는 부분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시볼트(42)는 나사규격으로 규정된 M4*0.5 접시볼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렌치볼트 삽입홀(53)은 중심이 바디부(10)의 끝단에서부터 24.5mm 내지 25.5mm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치볼트 삽입홀(53)은 제2 접시볼트 삽입홀(52)과 수평하게 형성되며, 바디부(10)의 외주면 일측에서부터 대향되는 반대쪽 외주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렌치볼트(43)는 나사규격으로 규정된 M4 렌치볼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조절 갭(60)은 볼트 삽입부(50)에 체결볼트(40)가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절삭부(20)의 절삭각도가 조정되도록 바디부(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 갭(60)은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 갭(60)의 폭은 0.5mm 내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도조절 갭(60)은 헤드부의 끝단에서 10.5mm 내지 11.5mm 이격되어 형성되며, 바디부(10)의 외주면 일측에서부터 바디부(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다가 테이퍼부(20)를 향해 수직으로 꺾여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인서트(21)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원리는 제2 접시볼트 삽입홀(52)에 제2 접시볼트(42)가 체결되면서 각도조절 갭(60)의 측벽을 밀어내면 벽이 밀리면서 인서트(21)가 형성하는 홀의 외경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제1 렌치볼트 삽입홀(53)에 렌치볼트가 바디부(10)를 관통하여 체결되면 제2 접시볼트(42)가 밀어낸 벽을 잡아당겨 단단히 고정시켜 줌으로써 인서트(21)의 진동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의 분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보링 바는 바디부(10), 절삭부(20), 칩 포켓(30), 체결나사(40), 볼트 삽입부(50), 각도조절 갭(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 및 도 2와 대비하여 체결나사(40), 볼트 삽입부(50), 각도조절 갭(60)의 형태 및 구성의 차이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각도조절 갭(60)은 볼트 삽입부(50)에 체결볼트(40)가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절삭부(20)의 절삭각도가 조정되도록 바디부(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 갭(60)은 바디부(10)의 끝단부에서 테이퍼부(20)를 향하여 60도 내지 75도 기울기로 형성되며, 폭이 0.5mm 내지 1mm로 형성될 수 있다.
볼트 삽입부(50)는 바디부(10)의 일측에 인서트(21)와 수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트 삽입부(50)는 1 또는 2개의 체결볼트(40)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볼트 삽입부(50)는 제3 접시볼트(45)가 삽입되는 제3 접시볼트 삽입홀(55)과 제2 렌치볼트(44)가 삽입되는 제2 렌치볼트 삽입홀(54)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접시볼트 삽입홀(55)은 중심이 각도조절 갭(60)의 시작점에서 11mm 내지 13mm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접시볼트 삽입홀(55)은 각도조절 갭(60)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바디부(10)의 외주면에서부터 각도조절 갭(60)과 만나는 지점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접시볼트(45)는 나사규격으로 규정된 M4*0.5 접시볼트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 렌치볼트 삽입홀(54)은 중심이 각도조절 갭(60)의 시작점에서 19mm 내지 21mm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치볼트 삽입홀(54)은 각도조절 갭(60)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바디부(10)의 외주면에서부터 각도조절 갭(60)을 지나 반대쪽 외주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치볼트(44)는 나사규격으로 규정된 M4 렌치볼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 인서트(21)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원리는 제3 접시볼트 삽입홀(55)에 제3 접시볼트(45)가 체결되면서 각도조절 갭(60)의 측벽을 밀어내면 벽이 밀리면서 인서트(21)가 형성하는 홀의 외경이 커질 수 있다. 이 때, 제2 렌치볼트(44)를 제2 렌치볼트 삽입홀(54)에 체결하면, 제2 접시볼트(42)가 각도조절 갭(60)의 양측 바디부(10)를 단단히 고정시켜 줌으로써 안정된 절삭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치수 및 요소한정은 각 실시예의 형태에 대한 구조 해석 시뮬레이션 결과값과 이에 따른 파일럿 제품의 강도 및 진동 시험에 따른 최종 결과값이므로 해당 치수범위 내로 제품 제작 시 마이크로 보링 바의 내구도가 높아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삭부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바디부
11 : 생크부
12 : 테이퍼부
20 : 절삭부
21 : 인서트
22 : 인서트 안착홈
23 : 인서트 나사홀
24 : 인서트 결합나사
30 : 칩 포켓
40 : 체결볼트
41 : 제1 접시볼트
42 : 제2 접시볼트
43 : 제1 렌치볼트
44 : 제2 렌치볼트
45 : 제3 접시볼트
50 : 볼트 삽입부
51 : 제1 접시볼트 삽입홀
52 : 제2 접시볼트 삽입홀
53 : 제1 렌치볼트 삽입홀
54 : 제2 렌치볼트 삽입홀
55 : 제3 접시볼트 삽입홀
60 : 각도조절 갭

Claims (8)

  1. 보링 머신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보링 바에 있어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끝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절삭부;
    상기 절삭부에서 빗면 또는 곡면으로 면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삭부에서 발생하는 칩의 배출을 유도하는 칩 포켓;
    상기 바디부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볼트;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볼트 삽입부; 및
    상기 볼트 삽입부에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절삭부의 절삭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각도조절 갭;을 포함하고,
    상기 절삭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인서트;
    상기 인서트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가 안착되는 인서트 안착홈;
    상기 인서트 안착홈에서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인서트 나사홀; 및
    상기 인서트 및 상기 인서트 나사홀에 결합되어 상기 인서트 안착홈에 상기 인서트를 고정시키는 인서트 결합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 삽입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 일측에서부터 대향되는 외주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제1 접시볼트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 갭은,
    상기 제1 접시볼트 삽입홀의 상기 인서트 방향쪽 벽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시볼트 삽입홀과 수평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서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다가 끝부분이 원형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끝단에서 17mm~19mm 이격되어 형성되고, 폭은 0.4mm~0.6mm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시볼트 삽입홀은,
    머리 중심과 축선이 어긋나도록 상기 제1 접시볼트 삽입홀의 머리 중심은 상기 바디부의 끝단에서 21.5mm~22mm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시볼트 삽입홀의 축선은 상기 바디부의 끝단에서 20.5mm~21mm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시볼트 삽입홀의 축선이 상기 제1 접시볼트 삽입홀의 머리 중심보다 상기 절삭부에 가깝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시볼트 삽입홀에 제1 접시볼트가 깊이 체결될수록 상기 제1 접시볼트가 상기 각도조절 갭 측의 벽을 밀어내어 상기 각도조절 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보링 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35481A 2016-03-24 2016-03-24 마이크로 보링 바 KR101685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481A KR101685687B1 (ko) 2016-03-24 2016-03-24 마이크로 보링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481A KR101685687B1 (ko) 2016-03-24 2016-03-24 마이크로 보링 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687B1 true KR101685687B1 (ko) 2016-12-12

Family

ID=5757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481A KR101685687B1 (ko) 2016-03-24 2016-03-24 마이크로 보링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6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3807A2 (en) * 1990-11-02 1992-05-06 Kiyoshi Miyashita Boring bar
JPH05305504A (ja) * 1992-05-06 1993-11-19 Toyo A Tec Kk 中ぐり工具の刃先径調節装置
JPH05305503A (ja) * 1992-05-06 1993-11-19 Toyo A Tec Kk 中ぐり工具の刃先径調節装置
KR101102064B1 (ko) * 2011-06-27 2012-01-04 이선우 카트리지 타입 마이크로 보링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3807A2 (en) * 1990-11-02 1992-05-06 Kiyoshi Miyashita Boring bar
JPH05305504A (ja) * 1992-05-06 1993-11-19 Toyo A Tec Kk 中ぐり工具の刃先径調節装置
JPH05305503A (ja) * 1992-05-06 1993-11-19 Toyo A Tec Kk 中ぐり工具の刃先径調節装置
KR101102064B1 (ko) * 2011-06-27 2012-01-04 이선우 카트리지 타입 마이크로 보링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401B2 (en) Boring tool with adjustable chamfer cutter
US8985914B2 (en) Cutting tool,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chip removing machining with spring members for biasing a clamping body
JP2015509854A5 (ko)
US9895754B2 (en) Cutting tool with replaceable cutting insert and inclined attachment elements
CZ295011B6 (cs) Řezná hlava a řezný nástroj s touto řeznou hlavou
JP2015509854A (ja) ねじ回し工具およびこのようなねじ回し工具のための工具ホルダ
JP2005199424A (ja) 切屑を排除して切削加工するための回転工具
US8672592B2 (en) Milling collet having pull-out preventer for retaining a fluted milling tool
US4118138A (en) Cutting tool
KR101276401B1 (ko) 엔드 밀링 커터
JP6808540B2 (ja) ポリゴン加工用工具
KR102025532B1 (ko)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JP6447746B2 (ja) 刃先交換式切削工具
KR101685687B1 (ko) 마이크로 보링 바
KR101965935B1 (ko) 복합 기능을 갖춘 면취 절삭 공구
US4116579A (en) End mill tool holder body and tool
KR101997374B1 (ko) 기계 가공 공구
KR101963780B1 (ko) 정밀 편심 부싱 보링 툴
EP2358492A1 (en) Tool for chip removal machining, with removable inserts
EP3708294A1 (en) Modular device for clamping and/or supporting a piece to be worked
TWI572428B (zh) 可調式車刀座
EP2719489B1 (en) Toolholder with moving ball clamping arrangement and cutting tool having a toolholder and a replaceable cutting head
EP2719488B1 (en) Toolholder with elastic finger clamping arrangement and cutting tool having a toolholder and a replaceable cutting head
JP4359922B2 (ja) 切削工具
WO2020152040A1 (de) Maschinenwerkze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