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437B1 -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437B1
KR101685437B1 KR1020150108826A KR20150108826A KR101685437B1 KR 101685437 B1 KR101685437 B1 KR 101685437B1 KR 1020150108826 A KR1020150108826 A KR 1020150108826A KR 20150108826 A KR20150108826 A KR 20150108826A KR 101685437 B1 KR101685437 B1 KR 101685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
wrinkle
user
wrinkles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재
서석태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0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G06K9/0033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1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pay-per-view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기기;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에 구비되어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용자의 얼굴 영상을 통해 연령을 판단하여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연령 판단 기기;를 포함하여, 청소년, 및 영·유아 들이 관람 불가한 무분별한 컨텐츠에 노출되거나, 결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SYSTEM FOR PROVIDING AGE LIMIT SERVICE USING FACE EDTECTING SENSOR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TV나 컴퓨터의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로 이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의 연령대를 추정하여, TV나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제한하고, 동시에 컨텐츠 구매에 따른 결제를 제한하는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TV이나 컴퓨터에서는 비밀번호나 주민번호 등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컨텐츠 제공과 구매를 제한하고 있지만, 이런 종래 비밀번호나 주민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연령을 제한하는 방식은 상기 비밀번호나 주민번호가 노출되는 경우 연령의 제한 없이 제한된 누구나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9099호(2013. 05. 1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TV나 컴퓨터의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로 이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의 연령대를 추정하여, TV나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제한하고, 동시에 컨텐츠 구매에 따른 결제를 제한하는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기기;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에 구비되어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용자의 얼굴 영상을 통해 연령을 판단하여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연령 판단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컨텐츠 제공 기기가 이용자의 시청 또는 관람하고자 선택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카메라가 상기 컨텐츠 정보에 따라 연령제한이 있는 경우, 상기 이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와 연동된 연령 판단 기기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이용자의 얼굴 영상을 수신하고, 얼굴의 주름 정보를 검출하여 이용자의 연령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추출된 연령에 따라 상기 컨테츠 제공 기기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c)단계는 (c-1) 상기 연령 판단 기기의 송/수신부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용자의 얼굴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c-2) 성별 판별부가 상기 얼굴 영상을 통해 남성인지 여성인지 판별하는 단계; (c-3) 주름 개수 추출부가 상기 얼굴 영상에서 명암을 통해 주름이 있는 영역과 주름이 없는 영역을 판별하여 주름 개수를 추출하는 단계; (c-4) 주름 깊이 추출부가 상기 주름의 중심 픽셀의 색상과 주름의 경계선에 존재하는 픽셀의 색상차이를 이용하여 주름 깊이를 검출하는 단계; 및 (c-5) 주제어부가 상기 주름 개수 추출부가 추출한 주름의 개수와 상기 주름 깊이 추출부가 추출한 주름의 깊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용자의 연령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청소년, 및 영·유아 들이 관람 불가한 무분별한 컨텐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연령 판단 기기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한 연령추출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TV나 컴퓨터와 같은 컨텐츠 제공 기기(100)에 이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센서(200)가 구비되어, 컨텐츠 이용을 위해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와 마주한 이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면, 상기 이용자 얼굴의 나이를 분석하여, 이용자가 관람하기에 적당한지 판단하여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 기기(100), 카메라(200), 연령 판단 기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는 TV나 컴퓨터와 같은 기기 장치로 각종 컨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200)는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관람하는 이용자의 얼굴을 촬영한다.
상기 연령 판단 기기(300)는 상기 카메라(200)가 촬영한 이용자의 얼굴 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이용자의 연령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연령 판단 기기(300)는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다른 컨텐츠 제공 기기(100)와 호환될 수 있도록 외부에 별도의 외장기기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연령 판단 기기(300)에 의한 이용자의 연령판단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연령 판단 기기의 블록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연령 판단 기기(300)는 송/수신부(310), 성별 판별부(320), 주름 개수 추출부(330), 주름 깊이 추출부(340), 주제어부(350), 데이터 베이스부(360), 및 카메라 제어부(37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송/수신부(310)는 상기 카메라(200)가 촬영한 이용자의 얼굴 영상을 수신한다.
상기 성별 판별부(320)는 상기 송/수신부(310)가 수신한 영상을 전달받아, 헤어스타일(스포츠 머리, 긴 생머리, 파마머리, 단발머리 등), 옷 착용상태(옷의 스타일, 색상 등), 액세서리(안경, 목걸이, 귀걸이, 각종 피어싱 등)의 착용위치, 및 착용한 액세서리의 종류 등을 통해 영상 속 이용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 판단한다.
상기 주름 개수 추출부(330)는 상기 영상에서, 명암을 통해 주름이 있는 영역과 없는 영역을 판별하여 주름의 개수를 추출한다.
즉, 상기 얼굴 영상에서 상기 얼굴 영상의 전체 픽셀 중 가장 어두운 색상의 픽셀이 상하 ±α픽셀영역 내에서 소정의 길이 이상만큼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주름이 있는 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가장 어두운 색상의 픽셀이 분포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을 주름이 없는 영역으로 판단하여 주름을 판별하여 주름의 개수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름 깊이 추출부(340)는 주름이 깊을수록 광원의 간섭으로 인해 더 어두운 색상을 가지게 되는 특징을 고려하여, 주름의 중심 픽셀의 색상과 주름의 경계선에 존재하는 픽셀의 색상차이를 이용하여 주름 깊이를 검출한다.
상기 주제어부(350)는 상기 주름 개수 추출부(330)가 추출한 주름의 개수와 상기 주름 깊이 추출부(340)가 추출한 주름의 깊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용자의 연령을 산출한다.
즉, 상기 주제어부(350)는 상기 주름 개수 정보와 상기 주름 깊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성별 판별부(320)가 판별한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60)의 성별연령DB를 기초로 상기 이용자의 연령을 추출해 낸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60)는 남성연령DB(361)와 여성연령DB(362)를 포함하되, 상기 남성연령DB(361)와 상기 여성연령DB(362)는 나이에 따라 대응되는 주름의 개수, 그리고 해당 주름의 깊이 정보를 관리한다.
이때, 상기 남성연령DB(361)와 상기 여성연령DB(362)는 과거 및 현재 이용자들의 주름정보와 나이를 누적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연령을 더욱 정확히 추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한 연령 제한 서비스를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먼저, 이용자가 선택하여 관람 또는 시청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18세 이상으로 연령제한이 필요한 경우, 상기 주제어부(350)는 상기 주름 개수 정보와 상기 주름 깊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성별 판별부(320)에 의해 판별된 이용자가 남성인 경우, 상기 남성연령DB(361)을 검색하여, 상기 주름 개수 정보 및 상기 주름 깊이 정보와 대응되는 연령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주제어부(350)는 추출된 이용자의 연령이 18세 이상이 경우 해당 컨텐츠의 관람을 허용하고, 18세 이하인 경우 상기 컨텐츠의 관람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령을 추출하여, 홈쇼핑에서의 물품구매와 게임에서의 아이템 구매에 따른 결제를 제한한다.
상기 카메라 제어부(370)는 상기 카메라(200)가 줌인과 줌아웃 되도록 제어신호를 보내거나, 상기 카메라(200)가 촬영방향을 바꾸도록 제어신호를 보낸다.
즉, 상기 카메라 제어부(370)는 이용자의 주름 개수 및 깊이를 추출하기 곤란한 경우, 상기 카메라(200)를 줌인시켜 주름이 발생한 부분을 더욱 가까이 촬영하도록 하고, 얼굴에 생긴 주름만으로 연령 추출이 어려운 경우, 상기 카메라(200)가 목 등으로 촬영방향을 바꿔 촬영하도록 제어하며, 줌아웃 기능을 통해 이용자의 얼굴, 목을 포함하는 상체 전반에 걸쳐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는 이용자가 시청 또는 관람하고자 선택한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상기 컨텐츠의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연령제한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에 설치된 카메라(200)는 상기 이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0).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와 연동된, 상기 연령 판단 기기(200)는 상기 카메라(200)가 촬영한 이용자의 영상을 수신하여, 얼굴의 주름 정보를 통해 이용자의 연령을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0).
도 5를 참조하여, 얼굴의 주름 정보를 통해 이용자의 연령을 추출하는 상기단계 `S300`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한 연령추출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상기 송/수신부(310)는 상기 카메라(200)가 촬영한 이용자의 얼굴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310).
상기 성별 판별부(320)는 상기 송/수신부(310)가 수신한 영상을 전달받아, 헤어스타일, 옷 착용상태, 액세서리의 착용위치, 및 착용한 액세서리의 종류 등을 통해 영상 속 이용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20).
상기 주름 개수 추출부(330)는 상기 영상에서 명암을 통해 주름이 있는 영역과 주름이 없는 영역을 판별하여 주름 개수를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30).
이때, 상기 얼굴 영상에서 상기 얼굴 영상의 전체 픽셀 중 가장 어두운 색상의 픽셀이 상하 ±α픽셀영역 내에서 소정의 길이 이상만큼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주름이 있는 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가장 어두운 색상의 픽셀이 분포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을 주름이 없는 영역으로 판단하여 주름을 판별하여 주름의 개수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주름 깊이 추출부(340)는 주름이 깊을수록 광원의 간섭으로 인해 더 어두운 색상을 가지게 되는 특징을 고려하여, 주름의 중심 픽셀의 색상과 주름의 경계선에 존재하는 픽셀의 색상차이를 이용하여 주름 깊이를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40).
상기 주제어부(350)는 상기 주름 개수 추출부(330)가 추출한 주름의 개수와 상기 주름 깊이 추출부(340)가 추출한 주름의 깊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용자의 연령을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50).
이때, 상기 주제어부(350)는 상기 주름 개수 정보와 상기 주름 깊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성별 판별부(320)가 판별한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60)의 성별연령DB를 기초로 상기 이용자의 연령을 추출해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60)는 남성연령DB(361)와 여성연령DB(362)를 포함하되, 상기 남성연령DB(361)와 상기 여성연령DB(362)는 나이가 많을수록 주름의 개수가 많고, 깊이가 깊다는 일반적인 신체구조가 적용되어, 나이에 따라 대응되는 주름의 개수, 그리고 해당 주름의 깊이 정보를 관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얼굴의 주름 정보를 통해 이용자의 연령을 추출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는 상기 연령 판단 기기(200)가 추출한 이용자의 연령에 따라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제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컨텐츠 제공 기기
200 : 카메라
300 : 연령 판단 기기
310 : 송/수신부
320 : 성별 판별부
330 : 주름 개수 추출부
340 : 주름 깊이 추출부
350 : 주제어부
360 : 데이터 베이스부
370 : 카메라 제어부

Claims (14)

  1.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기기(100);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에 구비되어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200); 및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200)가 촬영한 이용자의 얼굴 영상을 통해 연령을 판단하여 상기 컨텐츠의 이용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연령 판단 기기(300);를 포함하되,
    상기 연령 판단 기기(300)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얼굴 영상을 수신하는 송/수신부(310);
    상기 얼굴 영상에서 명암을 통해 주름이 있는 영역과 없는 영역을 통해 주름의 개수를 추출하는 주름 개수 추출부(330);
    상기 주름의 중심 픽셀의 색상과 상기 주름의 경계선에 존재하는 픽셀의 색상차이를 이용하여 주름 깊이를 검출하는 주름 깊이 추출부(340); 및
    상기 주름의 개수와 상기 주름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연령을 산출하는 주제어부(350);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 개수 추출부(330)는
    상기 얼굴 영상의 전체 픽셀 중 가장 어두운 색상의 픽셀이 상하 ±α픽셀영역 내에서 소정의 길이 이상만큼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주름이 있는 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가장 어두운 색상의 픽셀이 분포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을 주름이 없는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령 판단 기기(300)는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를 통해 상기 이용자의 결제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이용자의 얼굴 영상을 통해 연령을 판단하여 상기 결제요청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310)가 수신한 얼굴 영상을 통해 이용자의 성별을 판별하는 성별 판별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연령에 따라 대응되는 주름의 개수, 주름의 깊이 정보를 남성과 여성 각각 별도로 남성연령DB(361)와 여성연령DB(362)에 저장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350)는
    상기 주름 개수 추출부(330)에 의해 추출된 상기 주름의 개수와 상기 주름 깊이 추출부(340)에 의해 추출된 상기 주름의 깊이를 각각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60)에 저장된 주름의 개수와 주름의 깊이 비교를 통해 연령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200)의 줌인, 줌아웃,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부(3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a) 컨텐츠 제공 기기(100)가 이용자의 시청 또는 관람하고자 선택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카메라(200)가 상기 컨텐츠 정보에 따라 연령제한이 있는 경우, 상기 이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와 연동된 연령 판단 기기(300)가 상기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상기 이용자의 얼굴 영상을 수신하고, 얼굴의 주름 정보를 검출하여 이용자의 연령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추출된 연령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가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연령 판단 기기(300)의 송/수신부(310)가 상기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이용자의 얼굴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c-3) 주름 개수 추출부(330)가 상기 얼굴 영상에서 명암을 통해 주름이 있는 영역과 주름이 없는 영역을 판별하여 주름 개수를 추출하는 단계;
    (c-4) 주름 깊이 추출부(340)가 상기 주름의 중심 픽셀의 색상과 상기 주름의 경계선에 존재하는 픽셀의 색상차이를 이용하여 주름 깊이를 검출하는 단계; 및
    (c-5) 주제어부(350)가 상기 주름 개수 추출부(330)가 추출한 주름의 개수와 상기 주름 깊이 추출부(340)가 추출한 주름의 깊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용자의 연령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3)단계에서
    상기 주름 개수 추출부(330)는
    상기 얼굴 영상의 전체 픽셀 중 가장 어두운 색상의 픽셀이 상하 ±α픽셀영역 내에서 소정의 길이 이상만큼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주름이 있는 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가장 어두운 색상의 픽셀이 분포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을 주름이 없는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이용자가 상기 컨텐츠 제공 기기(100)를 통해 결제요청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b) 내지 (d)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1)단계 이후에,
    (c-2) 성별 판별부(320)가 상기 얼굴 영상을 통해 남성인지 여성인지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5)단계에서
    상기 주제어부(350)는
    상기 주름 개수 추출부(330)에 의해 추출된 상기 주름의 개수와 상기 주름 깊이 추출부(340)에 의해 추출된 상기 주름의 깊이를 각각 데이터 베이스부(360)에 저장된 주름의 개수와 주름의 깊이 비교를 통해 연령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350)는
    상기 (c-2)단계에서 판별된 얼굴 영상이 남성인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60)의 남성연령DB(361)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고, 여성인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360)의 여성연령DB(362)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50108826A 2015-07-31 2015-07-31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68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826A KR101685437B1 (ko) 2015-07-31 2015-07-31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826A KR101685437B1 (ko) 2015-07-31 2015-07-31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437B1 true KR101685437B1 (ko) 2016-12-28

Family

ID=5772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826A KR101685437B1 (ko) 2015-07-31 2015-07-31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4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927A (ko) *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엘토브 O2O(On-line to Off-line) 기반 고객 맞춤 정보를 제안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2115859A (zh) * 2020-09-18 2020-12-22 深圳市迈航信息技术有限公司 智慧图书馆的管理方法、装置、系统以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8060A (ja) * 2011-09-08 2013-03-28 Dainippon Printing Co Ltd 人物属性推定装置、人物属性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49099A (ko) 2011-11-03 2013-05-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얼굴 영상을 이용하여 나이 또는 성별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00026A (ko) * 2013-06-20 2015-01-02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인식기능을 이용하는 스마트 모바일 디지털 사이니지
JP2015073286A (ja) * 2007-11-21 2015-04-16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バイスアクセス制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3286A (ja) * 2007-11-21 2015-04-16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バイスアクセス制御
JP2013058060A (ja) * 2011-09-08 2013-03-28 Dainippon Printing Co Ltd 人物属性推定装置、人物属性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49099A (ko) 2011-11-03 2013-05-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얼굴 영상을 이용하여 나이 또는 성별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00026A (ko) * 2013-06-20 2015-01-02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인식기능을 이용하는 스마트 모바일 디지털 사이니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927A (ko) *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엘토브 O2O(On-line to Off-line) 기반 고객 맞춤 정보를 제안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74861B1 (ko) * 2019-05-07 2022-03-17 주식회사 엘토브 O2O(On-line to Off-line) 기반 고객 맞춤 정보를 제안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2115859A (zh) * 2020-09-18 2020-12-22 深圳市迈航信息技术有限公司 智慧图书馆的管理方法、装置、系统以及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0248B2 (en) Digital image captu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8848985B2 (en) Face-image registration device, face-image registration method, face-image registration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9652663B2 (en) Using facial data for device authentication or subject identification
CN106464806B (zh) 自适应低光识别
EP2787463B1 (en)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user certification and method thereof
CN105705993B (zh) 利用面部检测来控制摄像机
JP7026225B2 (ja) 生体検出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電子機器並びに記憶媒体
CN102843509B (zh) 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方法
US20070113099A1 (en)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CN109726694B (zh) 一种虹膜图像采集方法及装置
US20110267374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CN105763917B (zh) 一种终端开机的控制方法和系统
US20120120271A1 (en) Multimedia device, multiple image sensors having different typ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564271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120051209A (ko)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화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US10061982B2 (en) Hand-attachable wearable device capable of iris recognition indoors and/or outdoors
KR20120033723A (ko) 3d 안경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00380674A1 (en) Imag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CN105407257B (zh) 检测装置、检测方法以及记录介质
KR101685437B1 (ko) 얼굴 인식 센서를 활용한 연령 제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N113010126A (zh) 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JP2010014783A (ja) 撮影装置
JP2010176510A (ja) 情報表示装置
JP2011193325A (ja) 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デジタル写真表示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567369B2 (ja) 改札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