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779B1 - 터치센서 - Google Patents

터치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779B1
KR101684779B1 KR1020150057855A KR20150057855A KR101684779B1 KR 101684779 B1 KR101684779 B1 KR 101684779B1 KR 1020150057855 A KR1020150057855 A KR 1020150057855A KR 20150057855 A KR20150057855 A KR 20150057855A KR 101684779 B1 KR101684779 B1 KR 101684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resonance
resonant
frequency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241A (ko
Inventor
임성준
최성진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779B1/ko
Priority to US15/550,521 priority patent/US10545618B2/en
Priority to PCT/KR2016/001568 priority patent/WO2016171381A1/ko
Publication of KR2016012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베이스 층; 및 상기 베이스 층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진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럴 패턴은 외부구조의 접촉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변화한다.

Description

터치센서{Touch sensor}
실시 예는 터치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센서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터치 센서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근에 플렉서블 장치로 발전하고 있고, 플렉서블 장치에 터치 센서가 적용되기 위해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에 터치 센서를 형성하여 터치를 감지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 터치 센서를 금속전극 등으로 구현하여 벤딩시 금속 전극이 손상되어 터치 센서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고, 상기 금속 전극으로 터치 센서 구현시 고온, 고압 및 진공 등의 조건이 필요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실시 예는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베이스 층; 및 상기 베이스 층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진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럴 패턴은 외부구조의 접촉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변화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어 간이한 구조의 터치 인식 수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종이에 잉크젯 방식으로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하고, 수율이 향상된 터치 인식 수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진패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진패턴의 공진주파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진패턴에 외부구조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외부구조가 접촉하였을 때 나타나는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공진패턴의 공진주파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공진패턴에 외부구조가 접촉하였을 때의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공진패턴에 외부구조가 접촉하였을 때의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베이스 층; 및 상기 베이스 층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진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럴 패턴은 외부구조의 접촉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변화한다.
상기 공진패턴은 제1 공진패턴 및 제2 공진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진패턴과 제2 공진패턴은 공진주파수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 및 제2 공진패턴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은 스파이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은 미앤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구조는 유전율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이상의 공진패턴은 하나의 도전패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층은 종이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층 하부에 형성되는 접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 패턴 상에 형성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층은 종이일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은 은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은 투명 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터치센서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진패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1)는 송신부(10) 및 수신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송신부(10) 및 수신부(20)는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송신부(10)는 상기 터치 센서(1)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10)는 교류전압을 상기 터치 센서(1)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10)는 RF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1)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20)는 상기 터치 센서(1)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20)는 상기 터치 센서(1)를 통해 출력되는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수신부(20)로부터 수신한 RF 신호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수신부(20)로부터 수신한 RF 신호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여 상기 터치 센서(1)의 터치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1)는 도전패턴(30) 및 공진패턴(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패턴(30)은 상기 송신부(10) 및 수신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기 공진패턴(40)은 상기 도전패턴(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전패턴(30)과 공진패턴(4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은 스파이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의 일단은 상기 도전패턴(30)과 연결되고, 상기 공진패턴(40)의 타단은 사각형상의 중앙영역을 향해 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은 사각형상의 스파이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이 스파이럴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공진패턴(40)의 길이에 의해 인덕턴스가 정의되고, 공진패턴(40)의 인접하는 도전층에 의해 커패시턴스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의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에 의해 상기 공진패턴(40)의 공진 주파수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도전패턴(30)은 제1 폭(d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전패턴(30)은 1mm 내지 1.5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전패턴(30)은 바람직하게는 1.2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은 상기 도전패턴(30)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은 제2 폭(d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은 0.3mm 내지 0.7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은 바람직하게는 0.5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의 인접하는 도전층 간의 간극은 제3 폭(d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의 도전층 간의 간극과 공진패턴(40)의 폭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폭(d2)과 제3 폭(d3)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폭(d3)은 0.3mm 내지 0.7mm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진패턴(40)의 도전층 간의 간극은 0.5mm일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은 베이스층(41), 도전층(43), 커버층(45) 및 접지층(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43)은 상기 베이스층(41) 상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층(45)은 상기 도전층(43)이 도포된 상기 베이스층(4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층(47)은 상기 베이스층(4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41)은 종이일 수 있다.
상기 도전층(43)은 금속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43)은 은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43)은 상기 베이스층(41) 상에 잉크젯 프린트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43)은 은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잉크젯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층(41)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43)을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진공, 고온 또는 고압 공정없이 상온에서 간이한 방법으로 상기 도전층(43)을 형성할 수 있어 별도의 장비 없이 상기 도전층(43)을 형성하여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전층(43)은 투명 도전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43)이 투명 도전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시인되지 않아 사용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의 인접하는 도전층(43) 사이에는 간극을 가질 수 있다. 즉, 인접하는 상기 도전층(43)을 제1 도전층(43a) 및 제2 도전층(43b)으로 정의하면, 상기 제1 도전층(43a) 및 제2 도전층(43b)은 간극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43a) 및 제2 도전층(43b) 사이의 간극에는 유전율을 가지는 물질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43a) 및 제2 도전층(43b)은 공기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상기 제1 도전층(43a) 및 제2 도전층(43b)은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은 제1 커패시턴스(C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의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에 의해 상기 공진패턴(40)은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층(45)은 상기 도전층(43)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층(45)에 의해 공진주파수의 변화량이 커질 수 있다.
상기 접지층(47)은 상기 공진패턴(40)을 통해 흐르는 신호의 접지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접지층(47)은 상기 베이스층(41) 하부의 전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지층(47)은 상기 송신부(10) 및 수신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지층(47)은 상기 송신부(10) 및 수신부(20)의 접지구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진패턴(40)은 공진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은 공진패턴 자체의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에 의해 공진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패턴(40)의 공진주파수는 예를 들어, 0.92 GHz일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진패턴에 외부구조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외부구조가 접촉하였을 때 나타나는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진패턴(40)에 외부구조(60)가 접촉한다. 상기 외부구조(60)는 상기 커버층(45) 상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외부구조(60)는 유전율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외부구조(60)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외부구조(60)는 사용자의 손가락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외부구조(60)는 스타일러스 펜일 수 있다.
상기 외부구조(60)가 상기 공진패턴(40)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공진패턴(40)의 공진주파수가 변화한다. 상기 외부구조(60)는 유전체로써의 역할을 하므로, 상기 제1 도전층(43a) 및 제2 도전층(43b) 사이의 유전율이 변화하여 상기 제1 도전층(43a) 및 제2 도전층(43b) 간의 커패시턴스가 변화한다. 상기 외부구조(60)가 접촉하면, 상기 공진패턴(40)은 제2 커패시턴스(C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진주파수는 커패시턴스에 반비례 하므로, 상기 제1 도전층(43a) 및 제2 도전층(43b) 간의 커패시턴스가 변화하여 상기 커패시턴스의 변화에 의해 상기 공진패턴(40)의 공진주파수가 변화한다.
도 5와 같이 상기 외부구조(60)가 상기 공진패턴(40)에 접촉하면 공진주파수가 변화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구조(60)가 상기 공진패턴(40)에 접촉하면 공진주파수가 0.83GHz로 변화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공진패턴(40)에 외부구조(60)가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에는 상기 외부구조(60)가 접촉하기 전의 공진주파수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수신부(20)로부터 전달받은 공진주파수와 저장된 공진주파수를 비교하여 외부구조(60)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전달받은 공진주파수와 저장된 공진주파수를 비교하여 공진주파수에 변화가 있는 경우 외부구조(60)가 접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센서(101)는 도전패턴(130), 제1 공진패턴(148) 및 제2 공진패턴(14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148)과 제2 공진패턴(149)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148)은 제1 공진주파수(f1)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공진패턴(149)은 제2 공진주파수(f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주파수(f1)와 제2 공진주파수(f2)는 서로 다른 값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공진주파수(f1)는 0.92GHz일 수 있고, 상기 제2 공진주파수(f2)는 1.77GHz일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148)은 상기 제1 공진주파수(f1)뿐만 아니라, 상기 제1 공진주파수(f1)의 고조파 주파수(Harmonic of f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공진패턴(149) 또한 제2 공진주파수(f2)의 고조파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이를 생략하였다.
상기 제1 공진주파수(f1)의 고조파 주파수는 2.76GHz일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148)과 제2 공진패턴(149)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148) 및 제2 공진패턴(149)는 각각 수회 절곡되며 형성되며, 상기 제1 공진패턴(148) 및 제2 공진패턴(149)의 길이에 의해 인덕턴스 값이 결정된다. 상기 제1 공진패턴(148) 및 제2 공진패턴(149)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짐으로써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가지고, 공진주파수는 인덕턴스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제1 공진패턴(148)과 제2 공진패턴(149)의 길이의 차이에 의해 공진주파수의 차이가 발생한다.
상기 제1 공진패턴(148)은 상기 제2 공진패턴(149)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148)과 상기 제2 공진패턴(149)은 각각의 중앙영역을 향해 수회 절곡된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제1 공진패턴(148)은 상기 제2 공진패턴(149)에 비해 많은 절곡영역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6에서 상기 제1 공진패턴(148)은 12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공진패턴(149)은 8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148) 및 제2 공진패턴(149)은 하나의 도전패턴(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전패턴(130)은 송신부 및 수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RF 신호가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고, 제어부는 상기 RF신호를 통해 공진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제1 공진패턴에 외부구조가 접촉하였을 때의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제2 공진패턴에 외부구조가 접촉하였을 때의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제1 공진패턴(148)에 외부구조(60)가 접촉하였을 때의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1 공진패턴(148)의 제1 공진주파수(f1)는 상기 외부구조(60)가 접촉하기 전에 0.92GHz이며, 상기 외부구조(60)가 상기 제1 공진패턴(148)에 접촉하면 공진주파수가 변화한다. 상기 외부구조(60)가 상기 제1 공진패턴(148)에 접촉하면 제1 공진주파수(f1)는 0.83GHz로 변화한다. 상기 제1 공진주파수(f1)의 고조파 주파수 또한 변화한다. 이 때, 상기 제2 공진패턴(149)의 제2 공진주파수(f2)는 1.77GHz를 유지한다.
도 9는 제2 공진패턴(149)에 외부구조(60)가 접촉하였을 때의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2 공진패턴(149)의 제2 공진주파수(f2)는 상기 외부구조(60)가 접촉하기 전에 1.77GHz의 공진주파수를 가진다. 상기 외부구조(60)가 상기 제2 공진패턴(149)에 접촉하면 공진주파수가 변화한다. 상기 외부구조(60)가 상기 제2 공진패턴(149)에 접촉하면 제2 공진주파수(f2)는 1.55GHz로 변화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공진주파수(f2)의 고조파 주파수 또한 변화한다. 이 때, 상기 제1 공진패턴(148)의 제1 공진주파수(f1)는 0.92GHz를 유지하고, 상기 제1 공진주파수(f1)의 고조파 주파수 또한 2.76GHz를 유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외부구조가 어느 영역에 터치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주파수(f1)가 변화된 것으로 측정된 경우 외부구조가 상기 제1 공진패턴(148)에 접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2 공진주파수(f2)가 변화된 것으로 측정된 경우 외부구조가 상기 제2 공진패턴(149)에 접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1개의 도전패턴에 연결된 2개의 공진패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1개의 도전패턴에 2개 이상의 다수개의 공진패턴을 연결하고, 각각의 공진패턴의 공진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다수개의 영역에서의 외부구조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도전패턴을 평행하도록 형성하고, 다수의 도전패턴의 각각에 연결된 공진패턴을 형성한 후 각각의 공진패턴의 공진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2차원 면 상의 외부구조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다수의 도전패턴 및 공진주파수가 다른 다수의 공진패턴을 이용하여 면상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제1 및 제2 실시 예와 비교하여 공진패턴의 형상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201)는 도전패턴(230), 제1 공진패턴(248) 및 제2 공진패턴(24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248) 및 제2 공진패턴(249)은 상기 도전패턴(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248) 및 제2 공진패턴(249)은 미앤더(meande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248) 및 제2 공진패턴(249)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248) 및 제2 공진패턴(249)은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248)은 상기 제2 공진패턴(249) 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248)은 상기 제2 공진패턴(249)에 비해 더 많은 절곡 회수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248)은 상기 제2 공진패턴(249)에 비해 많은 절곡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248) 및 제2 공진패턴(249)의 일측은 상기 도전패턴(230)에 접촉하고, 상기 도전패턴(230)의 수직방향, 수평방향으로 교번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공진패턴(248) 및 제2 공진패턴(249)에서 상기 도전패턴(230)의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또는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영역을 절곡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패턴(248) 및 제2 공진패턴(249)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인덕턴스 값을 가지며, 결론적으로 상기 제1 공진패턴(248) 및 제2 공진패턴(249)의 공진주파수가 다르도록 설계된다.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통해 외부구조의 접촉영역을 검출할 수 있고, 터치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터치 센서
10: 송신부
20: 수신부
30: 도전패턴
40: 공진패턴
41: 베이스 층
43: 도전층
45: 커버층
47: 접지층
60: 외부구조

Claims (14)

  1. 베이스 층;
    상기 베이스 층의 일면에 구비되는 도전패턴;
    상기 도전패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도전패턴에 RF신호(Radio Frequency Signal)를 인가하는 송신부;
    상기 도전 패턴의 일부에서 연장되어 미리 정해진 길이와 폭으로 구비되며, 연장되는 형태에 따라 고유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패턴; 및
    상기 도전패턴의 타단에 연결되고, 외부구조가 상기 공진패턴에 접촉되면 상기 고유의 공진 주파수가 변화된 변경된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RF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구조의 접촉은 상기 공진패턴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키고,
    상기 공진패턴은 스파이럴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패턴은 제1 공진패턴 및 제2 공진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진패턴과 제2 공진패턴은 고유의 공진주파수가 상이한 터치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패턴 및 제2 공진패턴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터치센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패턴은 미앤더 구조를 가지는 터치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구조는 유전율을 가지는 구조인 터치센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은 종이인 터치센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 하부에 형성되는 접지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패턴 상에 형성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종이인 터치센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패턴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패턴은 은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터치센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패턴은 투명 도전물질로 형성된 터치센서.
KR1020150057855A 2015-04-24 2015-04-24 터치센서 KR101684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855A KR101684779B1 (ko) 2015-04-24 2015-04-24 터치센서
US15/550,521 US10545618B2 (en) 2015-04-24 2016-02-16 Touch sensor including a resonance pattern having resonant frequency
PCT/KR2016/001568 WO2016171381A1 (ko) 2015-04-24 2016-02-16 터치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855A KR101684779B1 (ko) 2015-04-24 2015-04-24 터치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241A KR20160127241A (ko) 2016-11-03
KR101684779B1 true KR101684779B1 (ko) 2016-12-09

Family

ID=57143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855A KR101684779B1 (ko) 2015-04-24 2015-04-24 터치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45618B2 (ko)
KR (1) KR101684779B1 (ko)
WO (1) WO201617138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5448A (ja) 2011-07-19 2013-02-04 Toppan Printing Co Ltd タッチセンサー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13237D0 (en) 2002-06-07 2002-07-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nput system
US7884804B2 (en) * 2003-04-30 2011-02-08 Microsoft Corporation Keyboard with input-sensitive display device
KR101864893B1 (ko) 2011-06-03 201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수 채널을 이용하는 전자기 공진 센싱 장치
KR101711668B1 (ko) * 2011-06-03 201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을 공유하는 전자기 공진 센싱 장치
WO2013063445A2 (en) * 2011-10-28 2013-05-02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apacitive, paper-based accelerometers and touch sensors
US9024910B2 (en) * 2012-04-23 2015-05-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Touchscreen with bridged force-sensitive resistors
JP6169258B2 (ja) * 2013-05-07 2017-07-26 ザ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プリンストン ユニヴァーシティ 人の手の3d位置・ジェスチャ検知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90173B1 (ko) * 2014-01-16 2015-02-11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5448A (ja) 2011-07-19 2013-02-04 Toppan Printing Co Ltd タッチセンサー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1381A1 (ko) 2016-10-27
US10545618B2 (en) 2020-01-28
US20180052543A1 (en) 2018-02-22
KR20160127241A (ko)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4651B2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KR102050444B1 (ko) 터치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US10466852B2 (en) Touch 3D-signal input equipment and multi-function touch panel
EP3073236B1 (en) Pressure sensor
US20150022224A1 (en) Touch sensing device and a detection method
US20160188092A1 (en) Touchscreen antenna system and design method thereof
US8378994B2 (en) Touch screen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5055172B2 (ja) 静電容量型近接センサ
EP2474841A1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proximity sensor
CN107544701B (zh) 由柔性衬底构造成的电容性触摸压力传感器
KR20110100565A (ko) 터치스크린
CN106662942A (zh) 带触摸面板的显示装置
KR101727453B1 (ko) 지문 인식 가능한 터치 검출 장치
US11281329B2 (en) Device for detecting touch
US20120075215A1 (en) Single layer implemented two dimensional touchpad
KR101573521B1 (ko) 필압의 감지가 가능한 터치 펜
EP3066546A1 (en) Apparatus having touch and bending sensing functions
KR101684779B1 (ko) 터치센서
KR101763589B1 (ko) 정전용량방식 센서장치
TWI641980B (zh) 壓力感測模組、電子裝置及時序控制方法
KR101578036B1 (ko) 용량성 터치입력장치를 이용한 압력감지방법
KR102153915B1 (ko) 입력 시스템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CN111007967A (zh) 触控面板和电子设备
KR102293936B1 (ko) 터치센서 모듈
US20130342503A1 (en) Signal Enhancing Method for Capacitive Touch Panel of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