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979B1 -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979B1
KR101683979B1 KR1020140123883A KR20140123883A KR101683979B1 KR 101683979 B1 KR101683979 B1 KR 101683979B1 KR 1020140123883 A KR1020140123883 A KR 1020140123883A KR 20140123883 A KR20140123883 A KR 20140123883A KR 101683979 B1 KR101683979 B1 KR 101683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life
durability
valu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999A (ko
Inventor
강병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3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979B1/ko
Priority to US14/556,121 priority patent/US20160076972A1/en
Priority to DE102014225852.9A priority patent/DE102014225852A1/de
Priority to CN201410811759.8A priority patent/CN105787236A/zh
Publication of KR2016003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3Predictive maintenance, e.g. involving the monitoring of a system an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taking decisions on the maintenance schedule of the monitored system; Estimating remaining useful life [RU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두 강판을 접합하는 기준접합법이 적용된 두 강판 중 어느 한 강판의 두께값을 독립변수로 하고, 접합부의 내구 수명값을 추정할 수 있는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기준접합법보다 내구 수명값이 증대되는 타겟접합법이 적용된 두 강판 중 어느 한 강판의 두께값을 독립변수로 하고, 접합부의 내구 수명값을 추정할 수 있는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에서 독립변수가 특정 두께값일 때 산출되는 특정 내구 수명값과 동일한 내구 수명값을 산출하는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에서의 독립변수인 강판의 두께값을 도출할 수 있는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에 임의 타겟 수명값을 대입하여 임의 타겟 강판 두께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원래 접합부의 등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접합부를 이루는 강판의 두께를 얼마만큼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해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THE DATA ANALYSIS METHOD FOR RESULTS OF THE JOINT DURABILITY TEST}
본 발명은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래 접합부의 등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접합부를 이루는 강판의 두께를 얼마만큼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해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접합부 내구성에 대한 예측 없이 강판의 강도만을 고려하여 강판의 두께가 정해졌고, 정해진 강판 두께에 따라 차체 제작이 이뤄졌었다.
그러나, 강판의 강도를 올리고 두께를 저감하는 것은 모재 자체의 내구나 강도는 만족할 수 있었지만, 접합부의 내구성은 모재 강도가 상승하더라도 두께가 감소됨에 따라 감소 되었기 때문에, 원래 부품이 충분한 내구 마진이 없는 경우에, 실차 내구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여 최악의 경우 강판 두께를 원상태로 복원해야 하는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었다.
또한, 등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접합부를 이루는 강판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용이한 판단 기준과 분석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수백 개에 이르는 자동차의 차체 부품을 모두 고려하는데 있어서 검토 효율이 낮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1844호(2011.01.31.)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래 접합부의 등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접합부를 이루는 강판의 두께를 얼마만큼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해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은, 두 강판을 접합하는 기준접합법이 적용된 두 강판 중 어느 한 강판의 두께값을 독립변수로 하고, 접합부의 내구 수명값을 추정할 수 있는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기준접합법 보다 내구 수명값이 증대되는 타겟접합법이 적용된 두 강판 중 어느 한 강판의 두께값을 독립변수로 하고, 접합부의 내구 수명값을 추정할 수 있는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에서 독립변수가 특정 두께값일 때 산출되는 특정 내구 수명값과 동일한 내구 수명값을 산출하는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에서의 독립변수인 강판의 두께값을 도출할 수 있는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에 임의 타겟 수명값을 대입하여 임의 타겟 강판 두께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에 따르면, 원래 접합부의 등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접합부를 이루는 강판의 두께를 얼마만큼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해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준접합법과 타겟접합법과의 경량화 여부와 가능성에 대한 측정과 관리가 매우 손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체 경량화에 있어서 수백 개에 이르는 단위 부품들에 대한 1차 선별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의 절차도,
도 2는 접합부 내구력 측정방법에서 사용되는 접합시편의 예시도 및 인장하중 부여장치의 예시도,
도 3는 기준접합법 및 타겟접합법을 통해 접합된 접합부위의 하중 하한치에 관한 두께와 수명그래프,
도 4는 기준접합법 및 타겟접합법을 통해 접합된 접합부위의 하중 상한치에 관한 두께와 수명그래프,
도 5는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 및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그래프,
도 6은 기준접합법이 적용된 강판의 두께값과 임의 타겟 강판 두께값의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접합부의 내구성 시험 및 그 데이터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 하중을 받는 접합부 시편의 내구 수명 데이터에 있어서 강판 두께를 독립변수로 하는 내구 수명의 함수로 배열하고, 제3의 요소인 하중을 하한과 상한으로 나누어 라인을 구성하여 각 하중에서 내구 수명 등가 라인을 따라 임의의 원두께에서 타겟 두께를 정량적으로 산출해 내는 분석 방법이다. 이를 통해 기준 접합법과 타겟 접합법과의 경량화 여부와 가능성에 대한 측정과 관리가 매우 손쉬워지는 교화가 있으며, 차량 경량화에 있어서 수백개에 이르는 단위 부품들에 대한 1차 선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강판 두께 저감에 의한 차량 경량화 시 강판 두께 저감 부위를 결정하는 데 이어서 내구, 충돌, 강성 등의 고려 인자가 많다. 그 중 접합부의 내구가 가장 큰 인자이며, 통상 강판 두께가 작아 질수록 내구 수명은 급격히 지수적으로 줄어든다. 이에 접합부의 수명을 증대하기 위한 여러 생산 기술 요소들이 투입되고, 이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기존 접합방법 대비 변경된 방법의 유용성 평가는 매우 어렵고, 이를 통해 내구성의 희생 없이 강판 경량화를 얼마나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량적 가이드 라인이 없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은, 두 강판을 접합하는 기준접합법이 적용된 두 강판 중 어느 한 강판의 두께값을 독립변수로 하여 접합부의 내구 수명값을 추정할 수 있는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를 산출하는 단계(S300)와, 기준접합법 보다 내구 수명값이 증대되는 타겟접합법이 적용된 두 강판 중 어느 한 강판의 두께값을 독립변수로 하여 접합부의 내구 수명값을 추정할 수 있는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를 산출하는 단계(S400)와,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에서 독립변수가 특정 두께값일 때 산출되는 특정 내구 수명값과 동일한 내구 수명값을 산출하는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에서의 독립변수인 강판의 두께값을 도출할 수 있는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를 산출하는 단계(S500)와,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에 임의 타겟 수명값을 대입하여 임의 타겟 강판 두께값을 산출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이후,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독립변수인 강판의 원 두께값과,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에 의해 도출된 임의 타겟 강판 두께값이 대응되도록 그래프에 도시되는 대응도시 단계(S700)가 수행된다. 또한, 대응되도록 도시된 강판의 원 두께값과 임의 타켓 강판 두께값을 비교하여 경량화 가능 여부를 선별하게 된다(S800). 또한, 반복적으로 접합시편 내구 수명을 시험하고, 근사함수를 산출하여, 경량화 가능여부를 반복 판단하여 경량화 여력을 산출하게 된다(S900). 이때, 경량화 여력은, 원 강판 두께에 대한, 반복 도출된 임의 타켓 강판 두께값의 편차값이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을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구 수명 근사함수 및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는, 접합부 내구력 측정 방법을 통해 차량에 발생 가능한 하중 하한치 내지 하중 상한치에서 반복 측정된 다수개의 내구 수명값을 곡선 맞춤(CURVE FITTING)을 통해 강판의 두께값을 독립변수로 다수개의 내구 수명값을 도출하는 근사함수로 산출된다.
접합부 내구력 측정방법은, 실제 차량 접합부의 하중 상태를 모사하기 위해 수직 방향과 전단 방향으로 동시에 하중을 부여할 수 있도록, 특정 각도로 기울어진 접합 시편에 반복 하중을 부하함으로써 내구 수명 데이터를 얻는다. 다시 말해서, 접합부 내구력 측정 방법은, 접합된 두 강판에 수직방향과 전단방향으로 하중 하한치 내지 하중 상한치를 동시에 부여함으로써, 기준접합법이 적용된 접합부 시편 및 타겟접합법이 적용된 접합부 시편을 시험 하게 된다(S100). 시험을 통해 접합부의 내구 수명 데이터를 얻게 된다(S200).
접합시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W(EX. 100 밀리미터*25 밀리미터), 두께가 tlwr 내지 tupr(EX. 0.8 밀리미터 내지 1.4 밀리미터)인 단위 시편이 서로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며, 교차 중앙부가 접합된다. 십자형태의 접합시편에 도 2에 도시된 인장 하중 부여장치를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인장하중을 부여한다.
이때, 시험조건은 하중 하한치로 0.1Pmin 내지 Pmin(EX. 120N 내지 1200N), 그리고 하중 상한치로 0.1Pmax 내지 Pmax(EX. 180N 내지 1800N)을 사용한다. Pmin과 Pmax는 접합부의 내구 상용 하중의 상한치 및 하한치로써 실제 차량이 도로에서 주행 됨에 따라 접합부에서 계측된 계측값과 빈도분석 및 내구 가혹도를 고려하여 결정된 값이며, 시편의 재질 및 접합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중 하한치에서 기준접합법과 타겟접합법을 각각 적용한 시편에 대해 각 두께에 따른 수명데이터를 얻고 하중 상한치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각 경우(CASE)별 수명 데이터를 얻게 된다.
기준접합법이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저항점용접 방법을 의미하나, 자동차에 사용되는 저항점용접, 프로젝션 용접, SPR, 리벳접합, 아크용접, 접착, 레이저용접, 마찰교반용접 등 모든 접합법이 가능하다.
타겟접합법이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저항점용접과 구조용접착제가 동시에 사용된 하이브리드(HYBRID) 접합법을 의미하나,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모든 접합법 중 기준접합법 보다 접합부의 내구성이 개선된 방법을 지칭한다.
아래 표 1은 tlwr 내지 tupr(EX. 0.8 밀리미터 내지 1.4 밀리미터)구간에서 양산두께(EX. 0.2 밀리미터) 간격으로 제작된 다수개의 시편을 기준접합법과 타겟접합법을 통해 접합시키고, 하중 하한치 및 하중 상한치의 인장 하중을 가한 결과표이다.
두꼐(mm) 하중 하한치(Pmin, 1200N) 하중 상한치(Pmax, 1800N)
기준접합법 타겟접합법 기준접합법 타겟접합법
tupr(1.4t) n4(97164) N4(피로한도 초과) n'4(18332) N'4(2558628)
t3(1.2t) n3(44928) N3(5000000) n'3(17232) N'3(341734)
t2(1.0t) n2(22505) N2(637131) n'2(8373) N'2(30780)
tlwr(0.8t) n1(10017) N1(77829) n'1(4966) N'1(12473)
기준접합법과 타겟접합법을 적용하고 차량에서 나타낼 수 있는 하중 하한치와 하중 상한치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시편 접합부의 내구 수명을 곡선 맞춤(CURVE FITTING)을 통해 시험편의 두께를 독립변수로 하는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 및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를 산출하게 된다(S300, S400); 도 3 및 도 4 참조).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 및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를 각각 그래프에 도시함으로써 기준 접합 선도에서 타겟 접합 선도로 등가 내구 수명 등가선을 그릴 수 있게 된다. 등가 내구 수명선은 아래 수학식 1로 표현가능하다.
Figure 112014088291625-pat00001
이때, Lb는 기준접합법에 의한 접합부 내구수명이고, LT는 타겟접합법에 의한 접합부 내구수명이고, fb(t)는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이고, fT(t)는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이고, t는 강판 두께이다.
표 1의 계측 데이터를 곡선 맞춤(CURVE FITTING)을 통해 두께를 독립변수로 하는 근사함수로 각 케이스(CASE)별로 아래와 같이 4개로 산출된다. 이때, 하나의 기준접합법에 의한 접합부에 대해 복수의 타겟접합법에 의한 접합부를 동시에 비교할 수 있다.
하중 하한치에서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는, Lb ,하한 = fb ,하한(t) = 18.991e10 .407t로 표현된다. 하중 하한치에서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는, LT ,하한 = fT,하한(t) = 506.94e3 .7538t로 표현된다. 하중 상한치에서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는, Lb ,상한 = fb ,상한(t) = 5.5162e9 .1891t로 표현된다. 하중 상한치에서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는, LT ,상한 = fT ,상한(t) = 834.3e2 .3199t로 표현된다.
이렇게 산출된 하중 하한치 및 하중 상한치의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와, 하중 하한치 및 하중 상한치의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를 동시에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 도 5이다.
도 5의 torg가 강판의 두께이다. 두께 torg에 해당되는 하중 하한치의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 그래프에서의 내구수명은 L1이다. 이와 동일한 내구수명을 가지도록 L1의 등가선을 따라 하중 하한치의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 그래프에서 하중 하한치의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 그래프로 선을 그어 보면, 하중 하한치의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 그래프에서 내구수명이 L1일 때 두께가 t1인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torg의 두께를 갖는 강판이 기준접합법을 통해 접합 됐을 때의 내구수명이 t1의 두께를 갖는 강판이 타겟접합법을 통해 접합 됐을 때의 내구수명과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중 상한치 내구 수명 근사함수에서 강판의 두께가 두께 torg 일 때, 내구수명인 L2의 등가선을 따라 하중 상한치의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 그래프에서 하중 상한치의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 그래프로 선을 그어 보면, 하중 상한치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 그래프에서 내구수명이 L2일 때 두께가 t2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등가 내구수명 유지를 전제로 하중 상한치 및 하중 하한치를 모두 고려하여 임의의 강판 두께에서 타겟 두께를 매우 쉽고 정량적으로 찾아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를 산출한다(S500). 그 후, 임의 내구 수명 즉, 타겟 수명을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에 대입하여 궁극적으로 타겟 접합법으로 가공시 임의 내구 수명을 발생시키는 강판의 두께, 즉 타겟 두께를 산출하게 된다(S600). 이를 일반적인 함수 형태로 나타내면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4088291625-pat00002
이때, tT ,하한과 tT ,상한을 구하여 타겟 두께를 산출하게 된다. 그래프에서의 개념적인 내용을 구체적인 수치로 환산하려면 다음과 같은 계산 과정이 필요하다. 먼저, 위의 tT ,하한과 tT ,상한을 구체적인 함수로 환산하기 위해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에 원두께의 함수로 표현한 기준 접합 선도에서의 내구 수명을 대입하며 하중 하한치와 하중 상한치에서의 등가수명 타겟 두께 함수를 구하면 아래와 같다.
하중 하한치에서의 등가수명 타겟 두께는, (LN(506.94*EXP(3.7538*원두께))-LN(18.991))/10.407로 계산된다. 이때, tT ,하한=f-1 T,하한(fb ,하한(tb))이다. 하중 상한치에서의 등가수명 타겟 두께는, (LN(834.3*EXP(2.3199*원두께))-LN(5.5162))/9.1891로 계산된다. 이때, tT ,상한=f-1 T,상한(fb ,상한(tb))이다.
위 하중 하한치에서의 등가수명 타겟 두께와, 하중 상한치에서의 등가수명 타겟 두께를 구하는 식에 자동차 차체에서 사용하는 모든 강판 두께를 대입하면 아래 표 2와 같다.
원두께(tb1) 등가수명 타겟 두께 타겟 두께
(양산강판대응)
경량화
판정
하한치(tT ,하한) 상한치(tT ,상한)
tb10(2.3t) tT10 ,하한(1.15) tT10 ,상한(1.13) tT10(1.2t) 가능
tb9(2.0t) tT9 ,하한(1.04) tT9 ,상한(1.05) tT9(1.2t) 가능
tb8(1.8t) tT8 ,하한(0.96) tT8 ,상한(1.00) tT8(1.0t) 가능
tb7(1.6t) tT7 ,하한(0.89) tT7 ,상한(0.95) tT7(1.0t) 가능
tb6(1.4t) tT6 ,하한(0.82) tT6 ,상한(0.90) tT6(1.0t) 가능
tb5(1.2t) tT5 ,하한(0.75) tT5 ,상한(0.85) tT5(1.0t) 가능
tb4(1.0t) tT4 ,하한(0.68) tT4 ,상한(0.80) tT4(0.8t) 가능
tb3(0.9t) tT3 ,하한(0.64) tT3 ,상한(0.77) tT3(0.8t) 가능
tb2(0.8t) tT2 ,하한(0.60) tT2 ,상한(0.75) tT2(0.8t) 불가
tb1(0.7t) tT1 ,하한(0.57) tT1 ,상한(0.72) tT0(0.8t) 불가
여기서, 하중 하한치와 하중 상한치에서의 등가 수명 타겟 두께 중 더 큰 두께를 취하면 마진을 고려한 실제 타겟 두께가 되는데, 실제 양산되는 강판 두께는 대략 0.1t 이상의 경우 0.2 밀리미터 단위로, 0.1 밀리미터 단위로 생산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최종 타겟 두께 즉, 임의 타겟 강판 두께값을 양산 가능한 강판 두께로 정량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표 2에서 tb2(EX. 0.8t) 이하의 강판은 원두께에 비해 타겟 두께가 오히려 크거나 같으므로, 경량화 측면에서 의미 없는 결과가 된다. 그러므로, 경량화 불가판정을 받게 된다. tb3(0.9t) 이상의 강판은 원두께에 비해 타겟 두께가 작으므로 경량화 가능 판정을 받게 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하중 하한치와 상한 하한치의 타겟 강판 두께를 고려한 최종 타겟 두께가 원강판 두께 보다 작으면, 경량화가 가능하지만, 최종 타겟 두께가 원강판 두께 보다 작으면 경량화가 불가능하다. 즉, 본 발명을 통하여 경량화 가능 판정이 용이해 진다.
도 6은 기준접합법이 적용된 강판의 원 두께값과 임의 타겟 강판 두께값이 대응되도록 도시된 그래프로써, 표 2의 데이터가 도시되었다(S700). 도 6과 같은, 비교 그래프를 통해서, 각각의 원두께 강판에서 등가 수명 타겟 두께의 상한치와 강판의 양산을 고려한 최종 타겟 두께의 차이를 가시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경량화 가능여부를 선별할 수 있게 된다(S800). 이를 두께 마진으로 정의하였을 때, 각 강판 사양별로 두께 마진을 한눈에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복적으로 접합시편 내구 수명을 시험하고, 근사함수를 산출하여 그래프에 도시하고, 경량화 가능여부를 반복 판단하여 경량화 여력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S900).
본 발명은, 강판의 강도와는 다른 접합부의 내구 특성을 시편 레벨에서 예측한 결과를 이용하게 된다. 실차 시험 전, 임의 두께를 가진 강판이, 접합부의 등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얼마나 두께를 줄일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두께가 줄어 듬에 따른 정량적인 경량화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구성 데이터 선도의 함수화와 역함수 대입이라는 기계적 과정을 통해 수백 개에 이르는 차체 단위 부품에 대해 경량화 관점의 1차 선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S300: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를 산출하는 단계
S400: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를 산출하는 단계
S500: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를 산출하는 단계
S600: 타겟 강판 두께값을 산출하는 단계
S700: 대응도시 단계

Claims (4)

  1. 두 강판을 접합하는 기준접합법이 적용된 상기 두 강판 중 어느 한 강판의 두께값을 독립변수로 하여 접합부의 내구 수명값을 추정할 수 있는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접합법보다 내구 수명값이 증대되는 타겟접합법이 적용된 두 강판 중 어느 한 강판의 두께값을 독립변수로 하여 접합부의 내구 수명값을 추정할 수 있는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에서 독립변수가 특정 두께값일 때 산출되는 특정 내구 수명값과 동일한 내구 수명값을 산출하는 상기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에서의 독립변수인 강판의 두께값을 도출할 수 있는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에 임의 타겟 수명값을 대입하여 임의 타겟 강판 두께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구 수명 근사함수 및 상기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는,
    접합부 내구력 측정 방법을 통해 차량에 발생가능한 하중 하한치 내지 하중 상한치에서 반복 측정된 다수개의 내구 수명값을 곡선 맞춤(CURVE FITTING)을 통해 상기 강판의 두께값을 독립변수로 상기 다수개의 내구 수명값을 도출하는 근사함수로 산출된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 내구력 측정 방법은,
    접합된 상기 두 강판에 수직방향과 전단방향으로 상기 하중 하한치 내지 상기 하중 상한치를 동시에 부여하는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독립변수인 상기 강판의 두께값과, 상기 타겟 내구 수명 근사함수의 역함수에 의해 도출된 상기 임의 타겟 강판 두께값이 대응되도록 도시되는 대응도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
KR1020140123883A 2014-09-17 2014-09-17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 KR101683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883A KR101683979B1 (ko) 2014-09-17 2014-09-17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
US14/556,121 US20160076972A1 (en) 2014-09-17 2014-11-29 Method of analyzing bonded part durability test result data
DE102014225852.9A DE102014225852A1 (de) 2014-09-17 2014-12-15 Verfahren zum Analysieren von Verbundteil-Haltbarkeitstest-Ergebnisdaten
CN201410811759.8A CN105787236A (zh) 2014-09-17 2014-12-22 分析粘合件耐用性测试结果数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883A KR101683979B1 (ko) 2014-09-17 2014-09-17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999A KR20160032999A (ko) 2016-03-25
KR101683979B1 true KR101683979B1 (ko) 2016-12-07

Family

ID=5540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883A KR101683979B1 (ko) 2014-09-17 2014-09-17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76972A1 (ko)
KR (1) KR101683979B1 (ko)
CN (1) CN105787236A (ko)
DE (1) DE1020142258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2306A1 (de) * 2015-04-08 2016-10-1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fizierten Kraftfahrzeugs
CN109664010B (zh) * 2018-12-17 2021-02-19 中国航发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丝网的储能缝焊焊接方法
EP4198488A1 (en) * 2021-12-20 2023-06-21 Bostik SA Fixtures for preparing cross-bonded specime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269A (ja) 2001-04-19 2002-10-29 Nissan Motor Co Ltd スポット溶接のモニタリング装置
JP2010156668A (ja) 2008-05-09 2010-07-15 Nippon Steel Corp 溶接構造物の疲労寿命推定装置、溶接構造物の疲労寿命推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191121A (ja) * 2010-03-12 2011-09-29 Ntn Corp 転動疲労寿命打切り試験の設計・解釈方法,装置,プログラム
JP2014134416A (ja) * 2013-01-09 2014-07-2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鋳鋼溶接部き裂進展予測手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6011B1 (en) * 1999-07-06 2001-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analyzing spot welded structures
AU2003304096A1 (en) 2003-05-12 2004-11-26 Nihon University Method for predicting fatigue life of spot-welded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269A (ja) 2001-04-19 2002-10-29 Nissan Motor Co Ltd スポット溶接のモニタリング装置
JP2010156668A (ja) 2008-05-09 2010-07-15 Nippon Steel Corp 溶接構造物の疲労寿命推定装置、溶接構造物の疲労寿命推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191121A (ja) * 2010-03-12 2011-09-29 Ntn Corp 転動疲労寿命打切り試験の設計・解釈方法,装置,プログラム
JP2014134416A (ja) * 2013-01-09 2014-07-2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鋳鋼溶接部き裂進展予測手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999A (ko) 2016-03-25
CN105787236A (zh) 2016-07-20
US20160076972A1 (en) 2016-03-17
DE102014225852A1 (de)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lva et al. Combined analytical-numerical methodologies for the evaluation of mixed-mode (I+ II) fatigue crack growth rates in structural steels
KR101683979B1 (ko) 접합부 내구성 시험 결과 데이터 분석 방법
MXPA06011709A (es) Dispositivo para predecir fracturas para partes de soldadura por puntos, metodo del mismo, programa de computadora y medio de registro legible por computadora.
Moraes et al. High cycle fatigue mechanisms of aluminum self‐piercing riveted joints
JP6070514B2 (ja) レーザ重ね溶接継手の疲労寿命予測方法
Santos et al. Mixed-mode fracture analysis of composite bonded joints considering adhesives of different ductility
CN110909431A (zh) 一种汽车用异种材料连接结构的设计方法及其连接结构
Antelo et al. Fatigue life evaluation of adhesive joints in a real structural component
CN105916660B (zh) 用于接合多个工件部件的方法以及接合工具
Shi et al. Fatigue performance and fatigue damage parameter estimation of spot welded joints of aluminium alloys 6111‐T4 and 5754
Ghazali et al. Effect of process parameter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failure behavior of spot welded low carbon steel
Eklind et al. High cycle fatigue crack growth in Mode I of adhesive layers: modelling, simulation and experiments
KR20150144138A (ko) 링 프로젝션 용접의 용접품질 평가방법
WO20232804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test coupon specification for predicting fatigue life of a component
JP2017062206A (ja) 溶接部の破断限界線の導出方法、溶接部を備えた部材の製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851148B1 (ko) 자동차용 강판의 용접부 내구해석 방법
Folgar et al. Joining TWIP-Steel simulation models
Weiß et al. Development of a special specimen geometry for the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fracture mechanical parameters of clinchable metal sheets
US11281818B2 (en) Method for evaluating an adhesive for a vehicular joint
Seto et al. Fatigue properties of arc‐welded lap joints with weld start and end points
Baek et al. Reliability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a fatigue design criterion for the gas-welded joints
Lanzerath et al. Benefit of structural adhesives in full car crash applications
CN114264484B (zh) 一种后处理器零部件疲劳耐久试验方法及系统
KR100254222B1 (ko) 점용접부의 내구 수명 예측 방법
Gadallah et al. Measurement of Residual Stress Distribution at the Weld Root for a U-rib Specimen Using the Contour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