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840B1 - Anode assembly for plating apparatus and maintaining method for anode using the anode assembly - Google Patents

Anode assembly for plating apparatus and maintaining method for anode using the anod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840B1
KR101683840B1 KR1020160032071A KR20160032071A KR101683840B1 KR 101683840 B1 KR101683840 B1 KR 101683840B1 KR 1020160032071 A KR1020160032071 A KR 1020160032071A KR 20160032071 A KR20160032071 A KR 20160032071A KR 101683840 B1 KR101683840 B1 KR 101683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bus bar
power cable
vise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지훈
Original Assignee
삼일금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일금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일금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8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8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5Contac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7Current direc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n anode assembly for a plating apparatus, which is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and washing of an anode in a plating apparatus, and a maintenance method for an anode using the same. The anode assembly for a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one or more anodes; a bus bar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nodes to supply currents to the anodes; a power cable which supplies the currents to the bus bar; and a vise plier which connects the bus bar and the power cable to each other to apply the currents.

Description

도금 장치의 양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양극 보수 방법{ANODE ASSEMBLY FOR PLATING APPARATUS AND MAINTAINING METHOD FOR ANODE USING THE ANODE ASSEMBLY}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ve electrode assembly for a plating apparatus and an anode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도금 장치에 사용되는 양극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양극에 부착되는 석출물의 제거를 위한 양극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양극 어셈블리, 그리고 이를 이용한 양극 보수 작업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ve electrode assembly used in an automatic pl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itive electrode assembly capable of facilitating an anode repair work for removing precipitates adhered to an anode, and an anode repair work using the same.

현재 다양한 부품들에 대해서는 도금을 통해 표면 특성을 높이거나 산화를 방지하거나 미관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도금에 사용되는 도금 장치는 도금조 내에 피도금물을 침지한 상태에서 피도금물에 도금막을 형성한다. Currently, various parts are plated to improve surface characteristics, prevent oxidation or improve the appearance. The plating apparatus used for such plating forms a plating film on the object to be plated while the object to be plated is immersed in the plating vessel.

이러한 도금 장치 중 전해도금 장치의 경우 도금조 내에 전기를 통전시킴으로써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도금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양극과 음극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인 도금장치의 경우 피도금물에 전류를 주기 위하여 불용성 양극이 사용되며, 또 다수의 양극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부스바가 구비되어 있다. 부스바는 도금조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다수의 양극 각각은 부스바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양극은 도금조 내에 침지되어 도금 공정이 이루어진다. Among the plating apparatuses, in the case of the electroplating apparatus, plating is performed by electrochemical reaction by supplying electricity in the plating vessel, and thus, the plating apparatus includes an anode and a cathode. In the case of a general plating apparatus, an insoluble anode is used to give electric current to the object to be plated, and a bus bar for supplying current to a plurality of anodes is provided. The bus bar extends from one end of the plating vessel to the other en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anodes is coupled to the bus bar by bolts at regular intervals. In this state, the anode is immersed in the plating bath to perform the plating process.

한편, 도금 공정이 반복되면 상기 불용성 양극에 석출물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전기화학반응에 참여하는 양극의 표면적을 축소시키게 된다. 아연니켈합금 도금을 예로 들면, 도금 중 발생하는 탄산염이나 망초염이, 피도금물에 전류를 주기 위하여 설치된 불용성 양극(Ni, Fe)의 표면에 침착되어 작업시간이 경과하면서 양극의 표면에 석출된다. 이는 곧 도금 효율, 따라서 전체 작업 생산성을 낮추는 요인이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ting process is repeated, precipitates start to form on the insoluble anode, thereby reducing the surface area of the anode involved in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In the case of zinc-nickel alloy plating, a carbonate or manganese salt generated during plating i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an insoluble anode (Ni, Fe) provided to give electric current to the object to be plated, and i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anode over time . This is a factor in lowering the plating efficiency and therefore the overall work productivity.

불용성 양극은 상당히 고가의 부품이므로, 이렇게 석출물이 형성된 경우에 폐기할 수 없으며, 주기적으로 표면의 석출물을 제거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석출물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작업자가 도금조 위에 올라가서, 볼트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정류기와 부스바를 분해하고, 이어서 부스바로부터 양극을 분해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전류의 안정적인 접속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이를 분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작업자가 도금액에 수용된 도금조 위에서 작업을 수행하였는데, 작업자가 도금조 내에 빠질 위험성도 높았다. Since the insoluble anode is a very expensive component, it can not be disposed of when the precipitate is formed, and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remove the precipitate on the surface. In order to remove the precipitate, conventionally, an operator climbs on the plating bath to disassemble the rectifier and the bus bar which are strongly connected by the bolt, and then the anode is disassembled from the booth bar. This method helps to maintain a stable connection of the current, but it takes a long time to disassemble the current,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workability is poor. Especially, the worker performed the work on the plating vessel contained in the plating liquid, and the risk of the worker falling into the plating vessel was also high.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도금 장치에서 양극의 분리 및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이스 플라이어를 이용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부스바와 양극을 도금조에서 분리할 수 있는 양극 어셈블리, 이러한 양극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극 보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ode assembly capable of separating a bus bar and an anode from a plating bath in a simple manner using a vise plier for facilitating separation and cleaning of an anode in the conventional plat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And an anode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전술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양극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itive electrode assembly having the following structure.

도금 장치에 사용되는 양극 어셈블리로서, An anode assembly for use in a plating apparatus,

하나 이상의 양극; At least one anode;

상기 양극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부스바; A bus bar detachably coupled to the anode to supply current;

상기 부스바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A power cable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bus bar;

상기 부스바와 상기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여 통전시키는 바이스 플라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어셈블리. And a vise plier for connecting the bus bar and the power cable to each other.

또 본 발명은 상기 양극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금조가 구비된 도금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la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plating bath including the positive electrode assembly.

본 명세서에서 양극 어셈블리는 양극, 양극과 결합된 부스바, 바이스 플라이어, 그리고 바이스 플라이어에 의해 결합되는 전원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 정의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anode assembly is defined as a component consisting of an anode, a bus bar coupled with an anode, a vise flyer, and a power cable coupled by a vise flyer.

상기 양극은 일반적인 도금용 양극으로서 바(bar) 형상이며, 부스바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공이 상부에 형성된다. The anode is a general anode for plating and has a bar shape, and a through hole for coupling the bus bar is formed on the upper part.

다수의 양극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부스바는 양극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A bus bar for supplying current to a plurality of anodes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with through holes for coupling with the anode.

도금 작업이 반복되면 양극에 생기는 석출물을 제거하기 위해 양극을 분리할 수 있도록, 부스바와 양극은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plating operation is repe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busbar and the anode are coupled with a bolt and a nut so that the anode can be separated to remove precipitates formed on the anode.

부스바의 일단에는 전원 케이블이 연결된다. 전원 케이블의 단부에는 판형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케이블의 판형 단자와 부스바를 접하게 하고 이들을 함께 바이스 플라이어에 물려 조인다. 이에 따라 부스바와 전원 케이블은 통전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단단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 power cabl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us bar. It is preferable that a plate-shaped terminal is formed at an end of the power cable. Touch the plate terminal of the power cable to the bus bar and tighten them together with the vise flyer. As a result, the booth bar and the power cable can be energized and maintained in a tightly coupled state.

바이스 플라이어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전원 케이블의 판형 단자와 부스바의 두께를 고려할 때 클램프형 바이스 플라이어라고도 하는 C형 바이스 플라이어가 특히 바람직하다. The type of the vise fr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C-type vise flyer, which is also called a clamp type vise flyer, is particularly preferable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plate terminal and the bus bar of the power cable.

또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양극 어셈블리를 이용한 도금 장치의 양극 보수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repairing an anode of a plating apparatus using the anode assembly, comprising the steps of:

결합된 양극 어셈블리에서 바이스 플라이어를 풀어서 전원 케이블의 판형 단자와 부스바를 분리하는 단계;Separating the plate terminal of the power cable and the bus bar by loosening the vise pliers in the coupled anode assembly;

상기 부스바에 결합된 양극을 분리하는 단계;Separating the positive electrode coupled to the bus bar;

상기 양극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금 장치의 양극 보수 방법. And washing the anod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양극 어셈블리에 의하면, 바이스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부스바와 전원 케이블을 간단히 연결 및 해제할 수 있어, 양극 분해 시 원터치 작업이 가능하다. 또 바이스의 특성 상 강한 결합이 제공될 수 있어, 전원 공급위 안정성도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nod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bar and the power cable can be connected and disconnected easily by using the vise flyer, so that the one-touch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en the anode is disassembled. Further, strong coupling can be provid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e, and stability in power supply can be maintained.

또 본 발명의 양극 보수 방법에 의하면, 도금 과정에서 생성된 양극 석출물을 제거할 때, 작업자는 도금조 외부에서 양극 어셈블리로부터 양극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도금조에 빠질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양극 분리 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node repai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node precipitate produced in the plating process is removed, the operator can separate the anode from the anode assembly outside the plating vessel. Thus, it is possible to exclude a dangerous situation in which the operator may fall into the plating bath. In addition, the anode separa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극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양극 어셈블리에서 바이스 플라이어, 전원 케이블, 부스바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양극 어셈블리가 도금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극 어셈블리에서 바이스 플라이어, 전원 케이블, 부스바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thode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vise flyer, a power cable, and a busbar are connected to the anode assembly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ode assembly of FIG. 1 is coupled to a plating bath.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ise flyer, a power cable, and a busbar ar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의 양극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thode assembly of a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양극 어셈블리(100)는 부스바(110), 양극(120), 바이스 플라이어(130), 전원 케이블(140)로 이루어진다. The positive electrode assembly 100 includes a bus bar 110, a positive electrode 120, a vise plier 130, and a power cable 140.

부스바(110)는 바(bar) 형상이며, 중간에 양극(120)을 결합시키기 위한 관통구가 결합될 양극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The bus bar 110 has a bar shape and is formed in the middle by the number of the positive electrodes to which the through holes for coupling the positive electrode 120 are to be coupled.

양극(120) 역시 바(bar) 형상이며, 상부에 부스바(110)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양극(120)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The anode 120 is also in the form of a bar, and a through hole for coupling with the bus bar 11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he number of the positive electrodes 120 is not limited.

부스바(110)의 일단부에는 전원 케이블(140)이 바이스 플라이어(130)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A power cable 14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us bar 110 by a vise flier 130.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부스바(110)와 전원 케이블(14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부스바(110)와 전원 케이블(140)이 바이스 플라이어(13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us bar 110 and the power cable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s bar 110 and the power cable 140 are coupled by the vise flier 130.

본 실시예에서 바이스 플라이어(130)는 C형 바이스 플라이어이다. 바이스 플라이어(130)는 클램프(132), 2개의 물림부(134), 손잡이(136), 조절나사(138)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this embodiment, the vise flyer 130 is a C-type vise flyer. The vise plier 130 includes a clamp 132, two engaging portions 134, a handle 136, an adjusting screw 138, and the like.

손잡이(136)는 전원 케이블(140)과 부스바(110)를 연결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바이스 플라이어를 파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손잡이(136)로부터는 클램프(132)가 연장되어 있고, 클램프(132)의 단부에는 물림부(134)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손잡이(136)의 단부에는 조절나사(138)가 위치하는데, 조절나사(138)를 돌림으로써 물림부(134) 사이의 간격이 넓혀지거나 좁혀질 수 있다. The handle 136 is a portion for the operator to grasp the vise flyer to connect the power cable 140 and the bus bar 110. [ A clamp 132 extends from the knob 136 and an end 134 of the clamp 132 is provided. 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the handle 136, an adjusting screw 138 is located, and by turning the adjusting screw 138, the distance between the engaging portions 134 can be widened or narrowed.

전원 케이블(140)은 정류기로부터의 전류를 부스바(110)를 통해 양극(12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케이블의 단부에는 부스바(110)와의 결합을 위한 단자(144)가 결합되어 있다. 단자(144)는 끝 부분이 판형으로 이루어진다. The power cable 140 serves to supply the current from the rectifier to the anode 120 through the bus bar 110. A terminal 144 for coupling with the bus bar 110 is coupled to an end of the power cable. The terminal 144 has a plate-like shape at an end portion thereof.

이하, 이러한 구조의 양극 어셈블리(100)를 결합시키기 위해 부스바(110)와 전원 케이블(140)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necting the bus bar 110 and the power cable 140 to connect the positive electrode assembly 100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스바(110) 단부의 양쪽 표면에 전원 케이블(140)의 판형 단자(144)를 각각 위치시킨다. 그리고 그 위에 바이스 플라이어(130)의 물림부(134)를 정렬시킨다. 이후 바이스 플라이어(130)의 조절나사(138)를 조여서 물림부(134)를 좁힘으로써, 전원 케이블(140)과 부스바(110)가 단단히 결합이 되어 통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 The plate terminals 144 of the power cable 140 are respectively positioned on both surfaces of the ends of the bus bar 11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ligns the engaging portion 134 of the vise plier 130 thereon. The power supply cable 140 and the bus bar 110 are tightly coupled by tightening the adjusting screw 138 of the vise flier 130 to narrow the engaging part 134 so that the power cable 140 can be energized.

도 3은 부스바(110), 양극(120), 바이스 플라이어(130), 전원 케이블(140)이 결합된 양극 어셈블리(100)가 도금조(10)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3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anode assembly 100 to which the bus bar 110, the anode 120, the vise plier 130, and the power cable 140 are coupled is coupled to the plating vessel 10.

도금조(10)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아연니켈 합금 도금조이다. 도면에서 도금조(10)의 양쪽 상부에는 각각 지지대(20)가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대(20)는 두 개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각 돌출부는 부스바(110)의 폭보다 약간 넓은 정도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간극에 부스바(110)의 단부를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양극 어셈블리(100)가 도금조(10)에 결합되며, 이 상태에서 도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 kind of the plating bath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 general zinc nickel alloy plating bath. In the drawing, support rods 20 are formed on both upper portions of the plating tank 10, respectively. Each of the support rods 20 is formed of two protrusions, and each of the protrusions is disposed with a gap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us bar 110. And an end of the bus bar 110 is inserted into the gap. Accordingly, the anode assembly 100 is coupled to the plating tank 10, and the pla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this state.

이러한 상태에서 도금 작업이 여러 번 진행됨에 따라 양극(120)에 석출물이 쌓이게 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면, 양극(120)을 분리시켜 석출물을 제거하는 보수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In this state, as the plating operation progresses several times, precipitates accumulate on the anode 120, and if the operation efficiency decreases,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maintenance work for separating the anode 120 and removing the precipitat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를 위해서는, 먼저 바이스 플라이어(130)의 조절나사(138)를 풀어서 부스바(110)와 전원 케이블(140)을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부스바(110)는 전기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게 된다. 이어서 부스바(110)를 도금조(10)의 지지대(20)로부터 꺼냄으로써, 부스바(110)와 양극(120)의 결합체가 도금조(10)로부터 분리된다. 이후에는 간단히 볼트를 풀어서 부스바(110)로부터 양극(120)들을 분리하고, 분리된 양극(120)에 대해 세척 작업을 수행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the adjusting screw 138 of the vise flier 130 is loosened to separate the bus bar 110 from the power cable 140. As a result, the bus bar 110 is safe because electricity does not pass through it. The combined assembly of the bus bar 110 and the anode 120 is separated from the plating tank 10 by removing the bus bar 110 from the support 20 of the plating vessel 10. Thereafter, the bolts are simply loosened to separate the anodes 120 from the bus bar 110, and a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separated anodes 120.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이스 플라이어(130)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4는 전원 케이블(140)과의 결합을 좀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한 형태의 바이스 플라이어를 나타낸다. For example, FIG. 4 shows a vise plier in a form for facilitating coupling with the power cable 140. The vise plier 130 shown in FIG.

도 4의 결합 상태도는 기본적으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하지만 전원 케이블(140)과 바이스 플라이어(130)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해 나사(135)를 이용한다. 이때 나사는 접시머리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케이블(140)의 판형 단자(144)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바이스 플라이어(130)의 물림부(134) 중앙에도 나사 홈이 파여져 있다. 나사(135)를 판형 단자(144)를 통과시킨 뒤 물림부(134)의 홈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전원 케이블(140)과 바이스 플라이어(130)는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두 판형 단자(144) 사이에 부스바(110)를 물리고 바이스 플라이어(130)의 조절나사(138)를 조여, 양극 어셈블리(100)를 결합한다. The coupling state diagram of Fig. 4 is basically similar to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However, a screw 135 is used to make the connection of the power cable 140 and the vise flier 130 more robust. At this time, the screw is preferably a dish head screw.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late-shaped terminal 144 of the power cable 140. Also, a screw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ngaging portion 134 of the vise flier 130. The power cable 140 and the vise plier 130 are integrally and tightly coupled by passing the screw 135 through the plate terminal 144 and then into the groove of the engaging portion 134. [ In this state, the bus bar 110 is inserted between the two plate-shaped terminals 144 and the adjustment screw 138 of the vise plier 130 is tightened, thereby coupling the anode assembly 100.

한편, 이때 판형 단자(144)의 부스바(110)와 접하는 면보다 접시머리나사(135)가 조금, 바람직하게는 약 2mm 정도 더 깊게 삽입되게 하면, 판형 단자(144)와 부스바(110)가 접할 때, 접시머리나사(135)가 돌출되어 접촉 면적을 좁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if the plate head screw 135 is inserted slightly, preferably about 2 mm deeper than the surface of the plate-shaped terminal 144 in contact with the bus bar 110, the plate-like terminal 144 and the bus bar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ate head screw 135 from protruding to narrow the contact area. As a result, energization is performed more smoothly.

10: 도금조 20: 지지대
100: 양극 어셈블리 110: 부스바
120: 양극 130: 바이스 플라이어
132: 클램프 134: 물림부
135: 접시머리나사 136: 손잡이
138: 조절나사 140: 전원 케이블
144: 판형 단자
10: Plating tank 20: Support
100: anode assembly 110: booth bar
120: anode 130: vise flyer
132: clamp 134:
135: Plate head screw 136: Handle
138: Adjustment screw 140: Power cable
144: plate type terminal

Claims (10)

도금 장치에 사용되는 양극 어셈블리로서,
하나 이상의 양극;
상기 양극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부스바;
상기 부스바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
상기 부스바와 상기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여 통전시키는 바이스 플라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스 플라이어가,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연결된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연결되어 전원 케이블 물기 위한 물림부, 상기 물림부를 확장 또는 축소하기 위한 조절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케이블의 단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스 플라이어의 물림부 중앙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와 홈을 통해 나사가 삽입되어 전원 케이블과 바이스 플라이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어셈블리.
An anode assembly for use in a plating apparatus,
At least one anode;
A bus bar detachably coupled to the anode to supply current;
A power cable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bus bar;
And a vise flyer for connecting the bus bar and the power cable to each other,
Wherein the vise plier includes a handle, a clamp connected to the handle, an engagement portion connected to the clamp to receive a power cable, and an adjustment screw for expanding or contracting the engagement por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power cable,
A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vise flyer,
And a screw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groove to connect the power cable and the vise fr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의 일단부와 상기 전원 케이블의 단부가 상기 바이스 플라이어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bus bar and the end of the power cable are coupled by the vise fl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 케이블의 단부가 판형 단자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nd of the power cable is formed as a plate-like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 플라이어가 C형 바이스 플라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se flyer is a C-type vise fl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사가 상기 물림부의 상기 부스바와 접하는 표면보다 깊게 상기 물림부의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w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engaging portion deeper than a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which abuts against the booster b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32071A 2016-03-17 2016-03-17 Anode assembly for plating apparatus and maintaining method for anode using the anode assembly KR1016838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071A KR101683840B1 (en) 2016-03-17 2016-03-17 Anode assembly for plating apparatus and maintaining method for anode using the anod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071A KR101683840B1 (en) 2016-03-17 2016-03-17 Anode assembly for plating apparatus and maintaining method for anode using the anode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840B1 true KR101683840B1 (en) 2016-12-08

Family

ID=5757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071A KR101683840B1 (en) 2016-03-17 2016-03-17 Anode assembly for plating apparatus and maintaining method for anode using the anod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84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501A (en) * 2002-01-17 2003-07-28 주식회사 플라텍 Pla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y and pl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658659B1 (en) * 2005-12-30 2006-12-15 이용돈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for relay terminal station
KR20090012442A (en) * 2007-07-30 2009-02-04 임은종 A plating system for a flexible flat cable
KR20110120757A (en) * 2010-04-29 2011-1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node assembly for electro pla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501A (en) * 2002-01-17 2003-07-28 주식회사 플라텍 Pla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y and pl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658659B1 (en) * 2005-12-30 2006-12-15 이용돈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for relay terminal station
KR20090012442A (en) * 2007-07-30 2009-02-04 임은종 A plating system for a flexible flat cable
KR20110120757A (en) * 2010-04-29 2011-1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node assembly for electro pla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840B1 (en) Anode assembly for plating apparatus and maintaining method for anode using the anode assembly
JP4904097B2 (en) Insoluble anode for metal wire plating and metal wire plating method using the same
JP5691135B2 (en) Anodized film and anodizing method
KR101040571B1 (en) Busb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39288B1 (en) Electroplating apparatus
US4844779A (en) Metal treatment clamp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CN112981515B (en) Current regulation and control method
JP2615863B2 (en) Cathode plate for electrolysis
JP2011080138A (en) Jig for anodic oxidation of aluminum alloy screw and bolt and screw and bolt produced by jig
EP0058506B1 (en) Bipolar refining of lead
CN215906294U (en) Micro-arc oxidation fixture device
KR102535569B1 (en) High Efficiency Plating Device for Coil Steel Plates
KR20010073546A (en) Cathode plate for electrolytic refining
CA2446644C (en) Method for repairing electrolysis cathodes
CN219218213U (en) Electrolytic frame tool
JPH06210299A (en) Electric power feeder to electrode plate in electroyltic tempering tank
US20220228279A1 (en) Electrode assembly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and method of restoring the same
CN220520674U (en) Conductive frame, electroplating clamp and electroplating equipment
CN215328409U (en) Easily-replaced pole plate assembly
WO1998017845A1 (en) Electrolyzer
CN216550784U (en) Copper plating clamp suitable for production of flexible microwave high-frequency dielectric substrate
JP2008007832A (en) Insoluble anode for plating metal wir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re material
CN204825081U (en) Device is electroplated to circuit board
RU2322748C1 (en) Power supply unit for electrochemical process
US30173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mi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