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777B1 - 나노 구조체 제작을 위한 dna 템플릿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구조체 제작을 위한 dna 템플릿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777B1
KR101683777B1 KR1020150082789A KR20150082789A KR101683777B1 KR 101683777 B1 KR101683777 B1 KR 101683777B1 KR 1020150082789 A KR1020150082789 A KR 1020150082789A KR 20150082789 A KR20150082789 A KR 20150082789A KR 101683777 B1 KR101683777 B1 KR 10168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na
nanostructure
substrate
liquid crystal
dna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기
차윤정
김민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82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00Compounds of 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7/00Compounds of gol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9/00Compounds of zinc
    • C01G9/02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21/00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mononucleotide units having separate phosphate or polyphosphate groups linked by saccharide radicals of nucleoside groups, e.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1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one dimension, e.g. needle-like
    • C01P2004/16Nanowires or nanorods, i.e. solid nanofibres with two nearly equal dimensions between 1-100 nan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구조체 제작용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나노 구조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 상에 DNA를 함유하는 용액을 떨어뜨리는 단계; 상기 용액에 일정한 방향으로 전단력을 가하여 DNA를 배향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을 건조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DNA가 배향된 DNA 템플릿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 및 상기 DNA 템플릿을 배열한 다음, 배열된 기판 사이로 나노 구조체의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의 제작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 및 나노 구조체의 제작방법은 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대면적에서 가능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나노 구조체 제작을 위한 DNA 템플릿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DNA template for nano-structure fabrication}
본 발명은 대표적인 생물고분자인 Deoxyribonucleic acid(DNA)를 이용한 템플릿(template) 개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표면에 규칙적인 홈(groove)과 같은 구조적 특성을 지닌 DNA 고분자에 일정한 방향으로 전단력을 가하여 특정한 방향으로 제어하고, 대면적에서 균일하게 제어한 DNA 필름을 다른 유용한 물질들을 가이딩(guiding)하는 템플릿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NA는 자연계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고분자 생물 물질로 그 자체가 이중나선 구조에 의한 규칙적인 간격의 홈(groove) 구조를 가지며, 방향족 기(aromatic bases)로 이루어져 있는 염기쌍과 다음이온 인산 염 뼈대로 이루어져 있어 많은 결합 위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적, 화학적 특징에 의해 다른 물질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그 물질이 나노 스케일의 자기조립을 이룰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최근 DNA를 주형(template)으로 다른 유용한 물질들을 가이딩(guiding) 하여 패터닝하는 나노 제작(Nano fabrication)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또, DNA는 길이와 염기 순서를 조절할 수 있고, 증폭 방법이 잘 확립되어 합성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에(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18, 2444 (2008)), DNA를 주형으로 한 나노 제작은 복잡한 나노 구조를 빠르고, 저렴하고, 쉽게 할 수 있어 이상적인 나노 패터닝의 소재로써 이용될 수 있다. DNA를 템플릿으로 응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특정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에 보고된 배향 방법으로는 분자 코밍(molecular combing)(Science, 265, 2096(1994)), 자기장(J. Magn. Reson., Ser B, 109, 323(1995)) 및 지형학적으로 가두는 방법(topographic confinement)(Liq. Cryst., 39, 571(2012))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수십 나노미터에서 마이크론 수준의 국소 부분에서만 배향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계가 있으며, 코밍과 같은 방법에서는 기판의 전처리 과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2008년에는 DNA와 액정물질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었으며, 액정물질이 비대칭적 표면에 영향을 받아 이에 의해 가이딩 되어 특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 배향(inclined alignment)을 한다는 특성이 밝혀졌고(Langmuir, 24, 10390 2008), 27, 11767 2011), 본 발명자들도 DNA가 배향된 기판을 배향막으로 이용하여 IPS 모드의 액정 소자를 제작한 바 있다(한국고분자학회, 춘계학술대회, 2014).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면적(센티미터 단위)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배향이 가능한 DNA 배향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일정한 방향으로 전단력을 가할 경우, 전단력의 방향과 평행하게 DNA가 배향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 필름을 대표적인 나노 구조체 중의 하나인 액정소자의 제작에 이용한 결과, 대면적의 액정소자를 제작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 구조체 제작용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DNA 템플릿을 이용한 나노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기판 상에 DNA를 함유하는 용액을 떨어뜨리는 단계; 및 (b) 상기 용액에 일정한 방향으로 전단력을 가하여 DNA를 배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 제작용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DNA 템플릿을 배열한 다음, 상기 배열된 기판 사이로 나노 구조체의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DNA 템플릿은 제조방법이 매우 빠르고 간편한 장점이 있고, 나노 구조체의 제작 면적이 획기적으로 증가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구조체의 예시로서 제작한 액정 소자의 경우, 상온에서 대면적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제작 가능하여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고온, 장시간 어닐링 공정이 없어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붓질(brushing)등의 일정한 방향으로 전단력을 가하여 DNA의 배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기판 위에 형성한 DNA 템플릿의 편광 현미경 관찰 사진(a, b)및 형광세기 변화 그래프(c)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기판 위에 형성한 DNA 템플릿 위에 배향한 네마틱 액정의 경사 배향(inclined alignment)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기판 위에 형성한 DNA 템플릿 위에 경사 배향된 네마틱 액정의 편광 현미경 이미지(a, b)와 액정의 경사 배향 각도를 측정한 그래프(c)이다.
도 5는 DNA 템플릿 기반의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 모식도이다. a와 b는 각각 비틀린 수직 배향 모드(Twisted nematic mode)와 IT 모드 (In-plane Switching Twisted nematic mode)의 구동 방식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NA 기반의 비틀림 수직 배향모드 액정 셀의 편광이미지로서, 전기장을 가하지 않았을 때(a), 가했을 때(b-d) 그리고 인가전압에 따른 DNA 배향 막 기반 액정 셀의 투과도 변화 그래프(e)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NA 기반의 IT모드 액정 셀의 편광이미지로서, 전기장을 가하지 않았을 때(a), 가했을 때(b-d) 그리고 인가전압에 따른 DNA 배향 막 기반 액정 셀의 투과도 변화 그래프(e)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 구조체 제작용 DNA 템플릿의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 상에 DNA를 함유하는 용액에 일정한 방향으로 전단력을 가하여 DNA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DNA 템플릿을 제작하였다(도 1). 그 결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DNA 템플릿은 DNA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것을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확인 하였으며(도 2), 분광기를 이용한 실험 결과, DNA가 전단력을 가한 방향과 평행하게 배향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2).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리 기판위에 DNA를 함유하는 용액을 떨어뜨리고, 일정한 방향으로 붓질(brushing)을 하여 전단력을 가한 후, 용액을 건조시켜 대면적에서 DNA가 전단력을 가한 방향과 평행하게 배향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a) 기판 상에 DNA를 함유하는 용액을 떨어뜨리는 단계; 및 (b) 상기 용액에 일정한 방향으로 전단력을 가하여 DNA를 배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 제작용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은 상기 (b)단계의 기판을 건조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DNA가 배향된 DNA 템플릿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판은 유리, 석영, 운모(Mica), ITO 피막 (Indium Tin Oxide Film), Si/SiO2, PET, PDMS, Polyimide(PI) 및 Ecoflex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평면 또는 유연기판 소재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액의 DNA 함량은 1~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단력은 일정한 방향으로 가할 수 있는 방법이면 모두 이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붓질(brushing), 에어브러시(air brushing), 흐름 유도 배향(Flow-induced alignment) 또는 증발 유도 배향(Evaporation-Induced Self-Alignment)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자 코밍(Molecular combing), 미세 유체 전달 배향 (Microfluidic transfer alignment), 닥터 블레이드 코팅(Doctor blade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및 딥 코팅(Dip-coating)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으로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붓질(brushing)로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붓질(brushing)은 기판 면적보다 작은 붓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Olive Young Shadow Brush #6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기판 1㎠ 당 10~20 회, 한 방향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NA의 배향은 전단력을 가한 방향과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DNA와 액정물질과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2008년에 액정물질이 DNA의 비대칭적 표면에 영향을 받아 DNA에 의해 가이딩되어 특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배향(inclined alignment)을 한다는 특성이 밝혀졌다(Langmuir, Vol. 24, 10390, 2008, Langmuir, Vol. 27, 11767, 2011).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방법으로 제작한 DNA 템플릿의 경우, 액정물질이 DNA와 상호작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경사배향 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액정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방법으로 한 방향으로 배향시킨 DNA 템플릿 위에서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주로 사용되는 네마틱 액정인 5CB(4-cyano-4’-pentylbiphenyl)의 거동을 확인하였고(도 3, 도4). 이를 이용하여 비틀린 수직 배향 모드(Twisted nematic mode, TN) 및 TN 모드와 평면 정렬 스위칭 모드(IN-plane Switching mode, IPS)가 혼합된 IT(In-Plane Switching Twisted nematic mode) 모드(도 5)의 액정 소자를 제작한 결과, 대면적의 액정 소자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도 6,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작한 DNA 템플릿 기반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모드는 두 가지로, 하나는 광 투과 효율이 좋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틀린 수직 배향 모드 (Twisted nematic mode) 다른 하나는 광 시야각 등 많은 장점이 있는 평면 정렬 스위칭 모드(In-plane Switching(IPS) mode)의 구동 방식과 같으면서 액정 셀 안에서 액정이 꼬임 구조로 되어있는 비틀린 수직 배향 모드 (Twisted nematic mode)가 혼합된 IT 모드(In-plane Switching Twisted nematic mode)이다. IT 모드는 IPS 모드의 장점인 광시야 각은 그대로 가지면서, 단점인 색 변화 특성 및 셀 갭(gap) 변화에 따른 광 투과 변화 특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으며 두 가지 모드의 구동원리 모식도는 각각 도 5a 및 b에 개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액정 셀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액정 셀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하측 편광판을 통해 입사된 빛이 셀 안에서 꼬여있는 액정을 따라 가이딩(guiding)되어 비틀리게 되기 때문에 상측 편광판을 투과하게 된다. 그러나 충분히 높은 전계가 인가되면 액정의 방향자(Director)가 전계 방향으로 재 정렬되어 하측 편광판을 통과한 빛이 상측 편광판에 의해 모두 차단된다. 두 모드의 가장 큰 차이점은 비틀린 수직 배향 모드에서는 전계가 셀의 상하로, IT 모드에서는 셀의 평면으로 가해지는 것이다.
구동 모식도에 따라 제작된 DNA 템플릿 기반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기 광학 성능을 편광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 도 6 및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각 비틀린 수직 배향 모드와 IT 모드의 전기 광학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계를 가하지 않았을 때는 앞서 설명한 구동원리로 인하여 밝은 상태를 나타내며(도 6a, 7a), 전계가 가해짐에 따라 어두운 상태가 구현된다(도 6b-d, 7b-d). 또한 가해준 전압에 따른 투과도 그래프(도 6e, 7e)를 보면 인가 전압의 변화에 따라 투과도를 조절 할 수 있기 때문에, DNA를 기반으로 한 액정 디스플레이가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을 잘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DNA 템플릿을 배열한 다음, 상기 배열된 기판 사이로 나노 구조체의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5 내지 10um 간격으로 금, 백금, 은, 구리, 알루미늄, 징크옥사이드, 크롬, 또는 인듐 틴 옥사이드(IT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전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나노 구조체의 원료는 액정, 나노 막대 (nano rods) 및 막대기 형태의 생물 물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금/은 나노 막대(Gold/Ag -nano rods), 양자점 나노 막대 (Quantum dot nano rods), 산화 아연 나노 막대 (Zinc oxide (ZnO) nanorod), 나노 셀룰로오스 (Nanocrystalline cellulose), 키틴 위스커 (Chitin whisker),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TMV)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정은 파라아족시아니솔, 벤조산콜레스테린, 파라아족시페네톨, 파라메톡시신남산, 올레산나트륨 및 4-시아노-4‘-펜틸바이페닐(4-cyano-4’-pentylbiphenyl, 5CB)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나노 구조체는 DNA 그루브(groove)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DNA와 0~180도 각도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5도 각도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대면적으로 배향된 DNA 템플릿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액정의 배향막으로 이용하여 액정 셀로의 응용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기존에 국소적으로 배향된 DNA로는 실현할 수 없었던 새로운 나노 구조체 제작을 위한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대면적 DNA 템플릿의 제조
2cm X 2cm 크기의 유리 기판 또는 10um 너비의 ITO 전극이 10um 간격으로 패터닝된 2cm X 2cm 크기의 유리 기판위에 20 중량%의 이중나선 DNA(Chitose Institue of Science and Technology)를 함유하는 증류수를 10ul 떨어뜨린 뒤, 전극과 평행한 방향으로 메이크업 붓(Olive Young Shadow Brush #6, KC Korea)으로 10~20회 붓질 한 후, 상온에서 5분 동안 건조하였다(도 1).
제작한 DNA 템플릿의 배향방향을 depolarized transmitted light microscopy(DTLM, LV100POL, Nik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ITO 전극 기판 위에 형성된 DNA 템플릿의 이미지를 관찰한 결과, 편광 현미경에서 DNA 분자 방향과 편광자의 방향이 일치하면, 이미지에서 투과된 빛의 세기가 가장 낮아 검게 보이고, 샘플을 돌려 편광자와 DNA 방향이 45 ° 각도를 이루면, 투과 빛의 세기가 가장 높으며 한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DNA 필름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2a, b). 또한, DNA 염기쌍에 평행하게 끼어 들어가는 형광 물질(Acridine Orange, Sigma aldrich)을 이용하여 DNA 염기쌍과 편광자가 이루는 각도에 따른 형광 세기의 변화를 USB-2000+ spectrometer (Ocean Optics)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도 2c). 그 결과, 형광물질은 DNA 염기쌍과 평행하므로, 편광자와 DNA 염기쌍이 이루는 각도가 평행할 경우, 560nm에서의 형광세기가 가장 크고, 수직 일 경우, 형광 세기가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c). 이는 DNA가 붓질 방향과 평행하게 배향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 제작한 DNA 템플릿을 이용한 나노 구조체-액정 소자 제작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유리 기판에 배향시킨 DNA 템플릿과 ITO 전극이 패터닝된 유리 기판에 배향시킨 DNA 템플릿을 2um 간격으로 마주보게 배열한 다음, 40℃에서 네마틱 액정(4-cyano-4’-pentylbiphenyl, 5CB, Aldrich)을 주입하여 액정 소자를 제작하였다(도 3).
일축 방향으로 정렬된 DNA 필름 위에 네마틱 액정이 배향된 것을 DTLM으로 관찰한 결과, DNA만 있을 때는 DNA 분자 방향과 편광자가 일치할 때 이미지가 어둡게 보이고, 대각선으로 돌렸을 때 밝게 보이지만, 그 위에 네마틱 액정을 배향시키면 정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DNA 방향과 편광자가 일치하면 밝게 보이고(도 4a), 일치하지 않을 때 어둡게 보이게 되는(도 4b)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네마틱 액정이 DNA 사슬방향(nDNA)과 평행하게 배향되지 않고 특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 배향을 이루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solid-state light source(SPECTRA X, Lumencor)를 이용한 네마틱 액정의 각도에 따른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 DNA 사슬과 액정의 방향자는 35° 각도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c).
실시예 3. 제작한 DNA 템플릿 기반 나노 구조체-액정 소자의 성능 확인
실시예 2에서 제작한 액정 소자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도 5와 같이 선택하였다. 도 5a와 5b는 각각 비틀린 수직 배향 모드(Twisted nematic mode)와 IT 모드 (In-plane Switching Twisted nematic mode)의 구동 방식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비틀린 수직 배향 모드에서는 전계가 가해지지 않았을 때 액정 셀 안의 액정이 꼬임 구조로 되어 입사된 빛이 그대로 투과 된다. 반면 충분한 전계가 셀의 위아래 방향으로 가해지면 전기장 방향으로 액정이 재정렬 되면서 하측 편광자를 통과한 빛이 상측 편광자에 흡수되어 빛이 차단되게 된다.
IT 모드에서는 전계가 가해지지 않았을 때 비틀린 수직 배향 모드와 같은 원리로 빛이 그대로 투과되어 밝은 상태를 나타내며, 전기장을 가할 때는 앞의 모드와 달리 평면 방향으로 전기장을 가하여 액정이 평면 전기장 방향으로 재배향 되면서 선 편광된 빛이 상측 편광자에 흡수되어 빛이 투과 되지 못하게 되는 원리이다.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DNA 기반의 비틀림 수직 배향모드 액정 셀의 경우, 전기장을 걸지 않았을 때, 셀은 밝은 상태였다가 전기장을 가함에 따라, 어두운 상태가 구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a 내지 6d). 또한, 할로겐 램프, 함수 발생기(function generator, 33210A, Agilent), 전압 증폭기(voltage amplifier, A400, FLC Electronics), 실리콘 광검출기(silicon photodetector, S-025-H, Electro-Optical Systems), 및 로크인 앰프(lock-in amplifier, SR830, Stanford Research Systems)로 구성된 테스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rectangular pulses of frequency f = 1kHz)를 가하여 인가전압에 따른 DNA 배향 막 기반 액정 셀의 투과도를 관찰한 결과, 인가전압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셀의 투과도는 점차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6e), 이것은 DNA 템플릿 기반의 액정 셀이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을 잘 구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도7에 개시된 바와 같이 DNA 기반의 IT 모드 액정 셀의 경우에도 동일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a) 기판 상에 DNA를 함유하는 용액을 떨어뜨리는 단계; 및
    (b) 상기 용액에 일정한 방향으로 전단력을 가하여 DNA를 배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 제작용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용액의 DNA 함량은 5~30중량%이고,
    상기 전단력은 기판 1㎠ 당 10-20회 붓질(brushing)을 수행하여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은 상기 (b)단계의 기판을 건조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DNA가 배향된 DNA 템플릿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리, 석영, 운모(Mica), ITO 피막 (Indium Tin Oxide Film), Si/SiO2, PET, PDMS, Polyimide(PI) 및 Ecoflex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NA의 배향은 전단력이 가해진 방향과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NA 템플릿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DNA 템플릿을 배열한 다음, 상기 배열된 기판 사이로 나노 구조체의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의 제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5 내지 10um 간격으로 금, 백금, 은, 구리, 알루미늄, 징크옥사이드, 크롬, 또는 인듐 틴 옥사이드(ITO)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전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작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구조체의 원료는 액정, 금/은 나노 막대(Gold/Ag -nano rods), 양자점 나노 막대 (Quantum dot nano rods), 산화 아연 나노 막대 (Zinc oxide (ZnO) nanorod), 나노 셀룰로오스 (Nanocrystalline cellulose), 키틴 위스커 (Chitin whisker),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co mosaic virus,TMV)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은 파라아족시아니솔, 벤조산콜레스테린, 파라아족시페네톨, 파라메톡시신남산, 올레산나트륨 및 4-시아노-4‘-펜틸바이페닐(4-cyano-4’-pentylbiphenyl, 5CB)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작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제작된 상기 나노 구조체는 DNA 그루브(groove) 사이에 위치하여, DNA와 0 내지 180도 각도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작방법.
KR1020150082789A 2015-06-11 2015-06-11 나노 구조체 제작을 위한 dna 템플릿 제조 방법 KR101683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789A KR101683777B1 (ko) 2015-06-11 2015-06-11 나노 구조체 제작을 위한 dna 템플릿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789A KR101683777B1 (ko) 2015-06-11 2015-06-11 나노 구조체 제작을 위한 dna 템플릿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777B1 true KR101683777B1 (ko) 2016-12-08

Family

ID=5757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789A KR101683777B1 (ko) 2015-06-11 2015-06-11 나노 구조체 제작을 위한 dna 템플릿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7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818A (ko) * 2017-08-18 2019-02-27 한국과학기술원 유방성 액정으로 나노물질의 배향이 제어된 코팅막 제조방법
CN110003919A (zh) * 2019-03-25 2019-07-12 武汉大学 一种无溶剂纳米纤维素流体及其制备方法
US11112546B2 (en) 2017-08-18 2021-09-07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for preparing coating layer having highly aligned nanomaterial in lyotropic liquid crystal matrix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320A (ko) * 2003-06-05 2004-12-16 한국과학기술원 10나노 이하 사이즈의 바이오 나노어레이 제조방법
KR101188434B1 (ko) * 2010-10-07 2012-10-08 한국과학기술원 액정 상 및 결함 구조를 이용한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320A (ko) * 2003-06-05 2004-12-16 한국과학기술원 10나노 이하 사이즈의 바이오 나노어레이 제조방법
KR101188434B1 (ko) * 2010-10-07 2012-10-08 한국과학기술원 액정 상 및 결함 구조를 이용한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angmuir, 2008, Vol. 24, No. 18, 10390-10394* *
Liquid Crystals, 2012, Vol. 39, No. 5, 571-577.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818A (ko) * 2017-08-18 2019-02-27 한국과학기술원 유방성 액정으로 나노물질의 배향이 제어된 코팅막 제조방법
KR102096470B1 (ko) 2017-08-18 2020-04-02 한국과학기술원 유방성 액정으로 나노물질의 배향이 제어된 코팅막 제조방법
US11112546B2 (en) 2017-08-18 2021-09-07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for preparing coating layer having highly aligned nanomaterial in lyotropic liquid crystal matrix
CN110003919A (zh) * 2019-03-25 2019-07-12 武汉大学 一种无溶剂纳米纤维素流体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Liquid crystal-templated chiral nanomaterials: from chiral plasmonics to circularly polarized luminescence
Wu et al. CdS nanorods imbedded in liquid crystal cells for smart optoelectronic devices
Du et al. Combination of photoinduced alignment and self-assembly to realize polarized emission from ordered semiconductor nanorods
Hu et al. Three-dimensional self-organization of supramolecular self-assembled porphyrin hollow hexagonal nanoprisms
Choudhary et al. Advances in gold nanoparticle–liquid crystal composites
Qi et al. Liquid crystal–gold nanoparticle composites
Chung et al. Biomimetic self-templating supramolecular structures
Chu et al. Optically tunable chiral plasmonic guest–host cellulose films weaved with long-range ordered silver nanowires
Chung et al. Tunable surface wettability of ZnO nanoparticle arrays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liquid crystals
KR101683777B1 (ko) 나노 구조체 제작을 위한 dna 템플릿 제조 방법
Ma et al. Light‐activated liquid crystalline hierarchical architecture toward photonics
Chu et al. Structure evolution and drying dynamics in sliding cholesteric cellulose nanocrystals
Gim et al. Highly polarized fluorescent illumination using liquid crystal phase
Mukhina et al. Electrically controlled polarized photoluminescence of CdSe/ZnS nanorods embedded in a liquid crystal template
Enz et al. Confinement-sensitive optical response of cholesteric liquid crystals in electrospun fibers
Duan et al. Chiral mesostructured inorganic materials with optical chiral response
Matczyszyn et al. DNA as scaffolding for nanophotonic structures
Liu et al. Ion beam fabrication of aluminum-doped zinc oxide layer for high-performance liquid crystals alignment
Ok et al. Control of periodic defect arrays of 8CB (4′-n-octyl-4-cyano-biphenyl) liquid crystals by multi-directional rubbing
US10053626B2 (en) Methods of fabricating PDLC thin films
Ge et al. Linearly polarized photoluminescence from anisotropic perovskite nanostructures: emerging materials for display technology
Subedi et al. Electrically switchable anisometric carbon quantum dots exhibiting linearly polarized photoluminescence: syntheses, anisotropic properties, and facile control of uniaxial orientation
Liang et al. Influence of ZnO NPs on morphological and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s
Duan et al. Self-assembly of chiral nematic-like films with chiral nanorods directed by chiral molecules
Xie et al. Controllable epitaxial crystallization and reversible oriented patterning of two-dimensional colloidal cryst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