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121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121B1
KR101683121B1 KR1020150032706A KR20150032706A KR101683121B1 KR 101683121 B1 KR101683121 B1 KR 101683121B1 KR 1020150032706 A KR1020150032706 A KR 1020150032706A KR 20150032706 A KR20150032706 A KR 20150032706A KR 101683121 B1 KR101683121 B1 KR 101683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tor
load
drying
drum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054A (ko
Inventor
김충일
허남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121B1/ko
Priority to CN201610133000.8A priority patent/CN105951405B/zh
Priority to US15/064,690 priority patent/US10626544B2/en
Priority to EP16159338.9A priority patent/EP3067459A1/en
Publication of KR2016010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서 제공하는 열량을 조절하는 모듈레이터; 상기 모듈레이터의 산포 영향으로 발생되는 목표 열량과 실제 모듈레이터 조절에 의한 현재 열량 사이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관리자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건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의류가 수용된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가전기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기는 가정용뿐만 아니라 상업용으로도 공급된다.
상업용 건조기는 다수의 사용자가 요금을 지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건조기라 할 수 있다. 즉, 공급자가 제공한 건조기를 다수의 사용자가 요금을 지불하여 사용하는 건조기라 할 수 있다. 요금은 건조기를 사용할 때마다 지불할 수도 있고, 기숙사와 같은 장소에서는 별도의 관리비에 이러한 건조기 사용 요금이 포함될 수 있다.
상업용 건조기는 가정용 건조기와는 달리 건조 시간 및 에너지 사용량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많은 사람이 사용하되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하여, 건조기를 공급하는 공급자의 이윤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업용 건조기에서의 건조 시간은 가정용 건조기의 건조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서, 열량 및 풍량이 가정용 건조기에서보다 상업용 건조기에서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건조 시간 종료 후 건조 품질이 만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건조 시간이 종료하더라도 건조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 추가 건조를 위한 시간 및 비용 증가를 달가워하는 사용자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많은 경우, 상업용 건조기에서는 건조 대상인 의류의 양, 즉 부하와 무관하게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히터의 열량을 최대한 증가시켜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건조 완료는 건조도 센서를 통해 수행함이 일반적이다.
한편, 히터의 열량 제어는 모듈레이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히터가 가스 버너인 경우, 상기 모듈레이터는 상기 가스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목표 열량을 맞추기 위해서는 상기 모듈레이터의 조절에 대한 정확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특히 전기식 모듈레이터의 경우 이러한 정확도를 맞추는 것이 어렵다. 왜냐하면, 기계적인 조립 공차나 마찰력의 상이하거나 코일에 의한 전자기력의 상이로 인해 각각의 전기식 모듈레이터에 대해서 산포가 발생되게 된다. 즉, 기준치에서 특정 모듈레이터는 기준치를 상회하고 다른 특정 모듈레이터는 기준치를 하회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압력의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서 가스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산포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식 모듈레이터는 상한값과 하한값만을 수동으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영역에서의 가스 압력을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는 과도한 열량 낭비 또는 열량 부족을 야기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과건조 또는 부족 건조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기식 모듈레이터의 산포 영향을 최소화하여 보다 정밀하게 전기식 모듈레이터를 통한 열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많은 경우, 상업용 건조기는 부하와 무관하게 건조를 수행함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많은 문제들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안 중 하나가 상기 모듈레이터를 이용한 열량 제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레이터의 산포 영향을 해결하는 것이 보다 최적의 열량 제어를 위한 전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부하와 무관한 건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부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열량을 소모하는 대상인 의류가 많게 되며, 이는 열량을 소모하는 수분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건조 과정에서 고열량이 드럼 내부로 공급되더라도 드럼 내부의 온도나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크게 높지 않다. 물론, 건조가 충분히 수행되는 경우에는 예외라 할 수 있다.
한편, 부하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건조가 충분히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드럼 내부의 온도가 크게 상승할 수 있다. 즉 공급되는 열량이 건조에 충분히 소모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금속 재질이 아닌 플라스틱 재질의 부품들이 열손상될 우려가 있다. 특히, 드럼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그릴이 열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도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부하에 따라 건조 열량이나 풍량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하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의류의 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장착시키는 것은 비용 증가 및 제어의 어려움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매우 적은 부하, 예를 들어 1 kg 이하의 부하(이하 "극소량 부하"라 한다)를 센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극소량 부하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드럼이 구동됨에 따라 드럼 내의 극소량 부하는 쉽게 요동될 수 있다. 이때 공기의 유동이 수행되는 경우, 즉 열풍이나 냉풍이 드럼으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극소량 부하는 배기 그릴에 밀착할 수 있다. 수분을 머금은 부하는 배기 그릴에 밀착하여 공기의 유동 경로를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건조가 수행될 수 없고 덕트 막힘 에러가 자주 발생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나 공급자의 불만이 증가될 수 있고, 제품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건조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히터에서 공급하는 열량을 제어하는 모듈레이터의 산포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보다 정밀하게 열량을 제어하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가스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서 정밀하게 목표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 일반 사용자가 아닌 관리자가 용이하게 가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관리자 메뉴를 제공하여, 상기 관리자 메뉴를 통해서 상기 모듈레이터의 산포에 의한 가스의 압력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듈레이터를 통한 가스 공급 압력의 상하값과 하한값 사이에서의 실제 가스 공급 압력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선행 제어가 가능한 전기식 모듈레이터에서 관리자가 수동으로 실제 가스 공급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부하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판단된 부하에 따라 최적의 건조가 수행될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최적의 열량 제어를 수행하여 부하와 무관하게 과건조와 부족건조를 방지하고, 아울러, 에너지를 절감 및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소량부하 중에서도 특히 극소량부하를 판단하여 극소량부하에 의해서 배기 그릴이 막히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건조기의 초기 환경에 무관하게 부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부하 판단을 위해 추가되는 구성을 배제하고, 기구성 요소인 온도센서와 건조도센서를 통해 부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부하 판단 단계를 필요한 경우 복수 회 수행하되, 각각의 판단 단계에서 판단 팩터를 서로 달리하여 부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례로, 특정 판단 단계에서는 온도센서를 통한 온도 팩터를 통해 부하를 판단하고, 다른 특정 판단 단계에서는 건조도센서를 통한 건조도 팩터를 통해 부하를 판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필요한 경우 부하 판단 단계를 복수 회 수행하되,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후속 부하 판단 단계를 생략하여, 불필요하게 건조 시간이 증가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건조 수행 후 쿨링 시 팬 모터의 RPM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한 충격 소음을 방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서 제공하는 열량을 조절하는 모듈레이터; 상기 모듈레이터의 산포 영향으로 발생되는 목표 열량과 실제 모듈레이터 조절에 의한 현재 열량 사이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관리자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건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가스 버너이며 상기 모듈레이터는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가스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 압력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레이터는 최대압력과 최소압력을 수동으로 세팅하기 위한 세팅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레이터는 최대 개도와 최소 개소를 수동으로 세팅하기 위한 세팅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최대 개도일 때 최대압력으로 가스를 공급하게 되며, 최소 개도일 때 최소압력으로 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모듈레이터에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이 일정할 때, 상기 모듈레이터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모듈레이터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모듈레이터는 결선 터미널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나 전류값을 조절하여 상기 최대압력과 최소압력 사이에서 가스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레이터는 상기 결선 터미널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나 전류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가스 압력이 가변되도록 제어되는 선형 밸브임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모듈레이터에 공급되는 가스 압력이 일정한 경우, 모듈레이터의 개도와 모듈레이터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 압력 사이에는 비례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따라서, 50% 개도에 대응되는 가스 압력이 산출될 수 있다. 이때의 가스 압력이 목표 열량에 대응되는 경우, 컨트롤러는 목표 열량에 대응하여 모듈레이터가 50% 개도가 되도록 모듈레이터를 제어하게 된다. 즉, 컨트롤러(제어부)는 모듈레이터를 50% 개도시키기 위한 특정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모듈레이터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나, 모듈레이터의 산포로 인하여, 상기 특정 전압값에 대해서 특정 모듈레이터는 45% 개도가 되고 다른 특정 모듈레이터는 55% 개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표 개도와 실제 개도 사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이러한 목표 개도와 실제 개도 사이를 관리자가 수동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모듈레이터는 인렛 가스 압력과 아웃렛 가스 압력을 각각 체크할 수 있는 압력체크홀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복수 개의 버튼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버튼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관리자 메뉴 진입 및 상기 편차 보정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버튼은 복수 개의 코스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코스 버튼의 입력 패턴을 일반적인 패턴과 달리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메뉴로 진입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에게는 이러한 관리자 메뉴 진입이 어렵게 되며 특정 사용자, 즉 관리자는 이러한 관리자 메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현재의 건조 상태에 따라 상기 목표 열량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값이 상기 모듈레이터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열량 및 전압 또는 전류값의 대응 조합으로 이루어진 룩업 테이블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편차의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듈레이터가 기준치에 비해 개도가 큰 경향을 갖는 경우, 목표 열량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값을 기설정된 단위만큼 낮추고, 상기 모듈레이터가 기준치에 비해 개도가 작은 경향을 갖는 경우, 목표 열량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값을 기설정된 단위만큼 높임으로써, 상기 편차의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일률적으로 설정된 목표 열량(모듈레이터의 개도)와 지령 전압 또는 전류값의 조합을 특정 모듈레이터의 상태에 맞게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관리자가 직접 모듈레이터를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고, 관리자 메뉴를 통해서 프로그램적으로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시키는 드럼 모터; 상기 드럼 모터와 별도로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배기유로;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상기 드럼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와의 접촉 빈도를 통해 건조도를 센싱하는 건조도센서;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서 제공하는 열량을 조절하는 모듈레이터; 현재의 건조 상태에 따라 목표 열량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값이 상기 모듈레이터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모듈레이터의 산포 영향으로 목표 열량과 실제 상기 모듈레이터 조절에 의한 현재 열량 사이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관리자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건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메뉴를 통하여 목표 열량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값이 변경함으로써 상기 편차가 보정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직접 모듈레이터를 조작하지 않고, 모듈레이터에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값을 조절하여 상기 편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센싱되는 온도값에 따라 상기 의류에 의한 부하가 잠정소량부하인지 중다량부하인지 판단하고, 잠정소량부하인 경우 상기 건조도 센서에서 센싱되는 값에 따라 상기 의류에 의한 부하가 소량부하인지 극소량부하인지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부하들에 따라 서로 다른 열량으로 건조가 수행되도록 상기 히터 및 모듈레이터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부하가 큰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목표 열량이 크게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소량부하 및 극소량부하인 경우 상기 모듈레이터가 소정 개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대량부하인 경우 상기 모듈레이터가 개도를 가변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소량부하 및 극소량의 경우 모듈레이터의 소정 개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일정한 열량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모듈레이터의 산포 영향으로 목표 열량 보다 다소 높거나 낮은 열량이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부하량이 작기 때문에 부족건조나 과건조의 우려가 적다. 왜냐하면, 중다량부하에 비해 공급되는 기본 목표 열량이 작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목표 열량과 실제 열량 사이에 어느 정도의 편차가 발생되어도 에너지가 낭비 우려도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대량부하인 경우 건조초기에는 최대 열량이 공급되도록 상기 모듈레이터의 개도를 최대로 제어하며, 상기 건조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건조도가 증가함에 따라 열량 공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모듈레이터의 개도가 감소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대량부하인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목표 열량이 높다. 따라서, 목표 열량보다 실제 공급 열량이 낮은 경우 부족 건조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에는 과건조 및 에너지 낭비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대량부하인 경우에는 모듈레이터의 개도가 조절된다. 즉, 건조도에 따라 개도가 조절된다. 따라서, 목표 열량과 실제 공급 열량의 편차가 큰 경우에는 정확한 열량 제어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건조도에 따라 모듈레이터의 개도가 조절되는 경우, 목표 개도와 실제 개도 사이의 편차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관리자메뉴를 통해 상기 편차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복수 개의 코스 각각을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코스 선택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코스 선택 버튼은 코스 선택 시와는 다른 입력 패턴을 통해 상기 관리자 메뉴로 진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메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관리자 메뉴 항목을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히터에서 공급하는 열량을 제어하는 모듈레이터의 산포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보다 정밀하게 열량을 제어하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가스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서 정밀하게 목표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 일반 사용자가 아닌 관리자가 용이하게 가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관리자 메뉴를 제공하여, 상기 관리자 메뉴를 통해서 상기 모듈레이터의 산포에 의한 가스의 압력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듈레이터를 통한 가스 공급 압력의 상하값과 하한값 사이에서의 실제 가스 공급 압력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선행 제어가 가능한 전기식 모듈레이터에서 관리자가 수동으로 실제 가스 공급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부하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판단된 부하에 따라 최적의 건조가 수행될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최적의 열량 제어를 수행하여 부하와 무관하게 과건조와 부족건조를 방지하고, 아울러, 에너지를 절감 및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소량부하 중에서도 특히 극소량부하를 판단하여 극소량부하에 의해서 배기 그릴이 막히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건조기의 초기 환경에 무관하게 부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부하 판단을 위해 추가되는 구성을 배제하고, 기구성 요소인 온도센서와 건조도센서를 통해 부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 또한, 부하 판단 단계를 필요한 경우 복수 회 수행하되, 각각의 판단 단계에서 판단 팩터를 서로 달리하여 부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특정 판단 단계에서는 온도센서를 통한 온도 팩터를 통해 부하를 판단하고, 다른 특정 판단 단계에서는 건조도센서를 통한 건조도 팩터를 통해 부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필요한 경우 부하 판단 단계를 복수 회 수행하되,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후속 부하 판단 단계를 생략하여, 불필요하게 건조 시간이 증가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건조 수행 후 쿨링 시 팬 모터의 RPM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한 충격 소음을 방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초기온도 감지단계의 일례에 대한 세부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3에 도시된 1차부하 판단단계의 일례에 대한 세부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5에 도시된 RPM 설정단계의 일례에 대한 세부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3에 도시된 2차부하 판단단계의 일례에 대한 세부 플로우차트,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쿨링단계의 일례에 대한 세부 플로우차트,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의 전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그리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모듈레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2), 상기 드럼에 가열공기(열풍) 또는 미가열공기(냉풍)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3),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드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유로(4),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어셈블리(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투입구(111)가 구비된 전방패널(11), 상기 드럼(2) 내부와 연통하는 공기유입구(131)가 구비된 후방패널(13), 상기 전방패널(11)과 후방패널(13)이 지지되며 상기 드럼(2)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패널(1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은 미도시된 측방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사용자는 의류를 드럼(2)에 투입하거나 드럼에서 인출할 수 있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전방패널(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1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건조기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 건조기의 제어내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된 컨트롤패널(1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15)의 일례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후방패널(13)은 상기 전방패널을 마주보도록 상기 전방패널의 반대방향에 구비되는데 상기 공기유입구(131)는 후방패널(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공급부(3)에서 공급된 공기가 드럼(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후방패널(13)에는 배기유로(4)를 통해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공기배출구(13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패널(13)에는 드럼(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지지 플랜지(13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베이스패널(15)은 건조기(100)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수단으로 전방패널(11)과 후방패널(13)은 상기 베이스패널(15)에 고정된다.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는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드럼지지부(17)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드럼지지부(17)는 캐비닛(1)의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바디(171), 상기 지지바디(17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투입구(111)와 드럼(2) 내부를 연통시키는 지지부 관통홀(173)을 포함한다.
따라서, 투입구(111)를 통해 캐비닛(1)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물을 지지부 관통홀(173)을 거쳐 드럼(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드럼지지부(17)는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지지 플랜지(17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전방지지 플랜지(175)는 지지부 관통홀(173)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다.
이 경우 전방지지 플랜지(175)의 지름은 드럼(2)의 지름에 따라 지지부 관통홀(173)의 지름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의 전방면은 전방지지 플랜지(17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드럼의 후방면은 후방지지 플랜지(1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드럼(2)은 드럼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드럼구동부는 드럼모터(21), 상기 드럼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드럼(2)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벨트(2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 모터가 구동된다.
상기 공기공급부(3)는, 드럼(2)에 가열공기 또는 미가열공기를 공급하여 세탁물과 공기의 열교환을 유도하는 수단으로, 후방패널(13)에 구비되는 히터하우징(31), 상기 히터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가열수단, 33), 상기 배기유로(4) 또는 상기 배기유로 인근에 구비되는 팬모터(3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35)가 구동되면 상기 팬모터(35)는 공기를 흡입하는데, 이를 통해 외부 공기가 하우징 유입구(311), 공기유입구(131), 드럼(2), 연결덕트(41), 필터어셈블리(5) 그리고 배기덕트(43)를 따라 순차적으로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팬모터(35)는 외부 공기를 상기 구성들을 따라 흡입한 후 상기 배기유로(4)를 통해 외부로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하우징(31)은 후방패널에 구비된 공기유입구(131)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히터하우징(31)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하우징 유입구(311)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히터하우징(31)을 캐비닛(1) 내부에 구비시키지 않고 캐비닛(1)의 외부에 구비시킨 것은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세탁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많은 양의 공기를 드럼(2) 내부로 공급하여야만 일정 시간 내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는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많은 양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대용량 히터(가열수단)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캐비닛(1)의 내부에 대용량 히터를 구비시킨다면 캐비닛(1)의 외형이 커질 뿐만 아니라 대용량 히터에 의해 캐비닛(1) 내부의 온도가 증가하여 건조기 내부 부품들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공급부(3)를 캐비닛(1)의 외부에 고정시킨 것이라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조 및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가 요구되는 상업용 건조기에 적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부(3)는 고열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가스 버너 타입의 히터(3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전기식 히터가 아닌 가스 버너 히터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가스배관(37)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히터(33)에 공급되는 가스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레이터(3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에 공급되는 가스 압력이 높을수록 고열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기유로(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으로 드럼(2)의 높이방향(드럼의 회전축(C)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덕트(41) 그리고 상기 드럼(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연결덕트(4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모터(35)는 상기 배기덕트(43) 또는 상기 배기덕트 인근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41)는 투입구(111)의 하방(지지부 관통홀(173)의 전방)에 위치하여 드럼(2) 내부의 공기를 배출덕트(43)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한편, 상기 배기덕트(43)는 상기 연결덕트(41)와 공기배출구(133)를 연결하여 연결덕트(41)를 통해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공급부(3)에 구비된 팬(35)은 캐비닛(1)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배출덕트(43)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서는 큰 풍량의 확보가 필수적인데 제한된 크기를 가진 캐비닛(1)의 내부에 대용량 팬을 설치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패널(13)에 팬모터(35)을 고정시키되 팬모터(35)가 공기배출구(133)를 통해 드럼(2)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캐비닛(1)의 크기 변화 없이도 대용량 팬의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에 구비되는 필터어셈블리(5)는 드럼의 회전축(C)에 나란한 방향(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는 상기 연결덕트(41)가 아니라 상기 배기덕트(43)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종래 건조기의 경우 상기 연결덕트(41)에 필터가 구비되었는데 건조기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는 한 연결덕트(41)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없어 필터의 여과용량을 확장시키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드럼(2)의 길이방향(드럼의 회전축(C)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배출덕트(43)에 필터어셈블리(5)가 구비되므로 필터어셈블리의 여과용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는 세탁물의 빠른 건조 및 대용량 세탁물의 건조가 요구되는 상업용 건조기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어셈블리(5)는 상기 배출덕트(4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전방패널(11)에는 필터지지패널(1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41)의 상부에는 배기 그릴(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 그릴(50)은 메쉬 형태로 형성되어 큰 이물질이나 의류가 상기 연결덕트(4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배기 그릴(5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극소량 부하 시 의류가 상기 배기 그릴(50)을 막는 상황이 종종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의 유동 경로가 막히게 되어 팬모터(35)의 과부하와 고온 상승으로 인한 구성 요소들의 열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기 그릴(50)이 열손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유동 경로가 막히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에어플로우센서(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플로우센서(70)는 히터하우징(31)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유동 경로가 막히면 상기 히터하우징(31) 내부에서 음압이 더욱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플로우센서(70)에서는 이러한 음압의 상승을 감지하여 공기 유동 경로가 막힌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동 경로가 막히는 것은 상기 배기 그릴(50)뿐만 아니라 연결덕트(41), 필터어셈블리(5) 그리고 배기유로(4) 등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배기 타입의 건조기라 할 수 있다. 즉,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는 타입의 건조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다는 것은 과건조가 수행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아울러 에너지가 낭비됨을 의미하게 된다. 그러므로, 열량 및/또는 풍량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에는 온도센서(8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온도센서(8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온도센서(80)는 배기유로(4)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온도센서(80)는 배기덕트(43)나 이의 인근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건조기 주변의 온도 환경을 용이하게 센싱함과 아울러 건조기 내부의 온도 환경도 용이하게 센싱할 수 있다. 특히, 건조기가 작동 직후 인지 아니면 작동 후 많은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와 같은 환경도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80)를 통해서 건조기가 작동을 시작할 때 초기 환경 팩터를 반영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하 감지에 매우 중요한 팩터가 될 수 있다.
건조 도중 건조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수단, 예를 들어 건조도를 센싱하는 수단은 매우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드럼 내의 젖은 의류와 접촉하는 빈도수 및/또는 수분 함유량을 이용하여 건조도를 센싱하는 건조도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도 센서는 전극 센서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빈도수 및/또는 수분 함유량에 비례하는 출력값, 예를 들어 저항값의 고저를 통해서 건조도를 센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0)에도 이러한 건조도 센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도 센서(60)는 드럼(2)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드럼(2)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센서(60)를 통해서 부하 감지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매우 적은양의 부하, 즉 극소량부하 감지에 매우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구성 요소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건조기(100)는 기본적으로 건조기의 각종 제어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10)는 드럼 모터(21)의 작동 여부와 작동 RPM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0)는 사용자인터페이스(20)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인터페이스(2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반영하여 건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20)는 사용자가 건조기에 각종 입력을 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건조기에서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0)는 에어플로우스위치(AFS, 70)를 통해 센싱되는 공기 유동 경로의 막힘 정보를 통해 건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 유동 경로의 막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에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0)는 온도센서(80)를 통해 센싱되는 온도를 통해 건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10)는 상기 온도센서(80)에서 센싱되는 온도 정보를 통해 부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0)는 팬모터(35)의 작동 여부와 작동 RPM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35)가 작동하면 열풍 또는 냉풍이 드럼 내부로 공급된다. 아울러, 작동 RPM을 증가시키면 공급되는 열풍 또는 냉풍의 풍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모터(21)와 팬모터(3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드럼의 구동과 공기의 유동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는 드럼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공기의 유동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드럼만 구동되는 경우에 공기의 유동의 발생을 정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독립적인 제어를 통해, 극소량부하에서 극소량부하가 배기 그릴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10)는 히터(33)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33)에서 공급하는 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히터(33)가 가스 버너 타입 히터인 경우, 상기 히터(33)로 공급되는 가스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모듈레이터(3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10)는 상기 모듈레이터(36)를 제어함으로써 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듈레이터(36)는 전기식 모듈레이터로 입력되는 전류값이나 전압값에 비례하여 가스 압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식 모듈레이터의 개도를 가변시킴으로써 가스 압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식 모듈레이터는 선형제어가 가능한 전기식 모듈레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레이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류값을 증가시킴에 따라 개도를 증가시켜 상기 히터(33)로 공급되는 가스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모듈레이터의 최대 개방 위치 및 최소 개방 위치는 기계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최대 개방 위치와 최소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인가되는 전류값을 증감시킴으로써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이를 통해서 가스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건조기(10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요금을 지불함으로써 건조기가 건조 동작을 시작(S10)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사용자는 복수 개의 건조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S20)하게 된다. 이러한 코스 선택을 입력 받으면 선택된 코스를 부하에 따라 달리 수행하기 위해 부하 판단(S300)을 하게 된다. 물론, 코스 선택 후 시작 입력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코스 선택에서는 복수 개의 건조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건조 대상인 의류의 재질에 따라 건조 코스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건조 코스는 의류에 공급되는 열량이 높낮이로 나뉠 수 있다. 청바지와 같은 무겁고 질긴 의류의 건조를 위해서는 고온 코스, 일반적인 캐쥬얼 의류의 건조를 위해서는 중온 코스, 합성 섬유 의류의 건조를 위해서는 저온 코스 그리고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의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무열풍 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코스 선택 등과 같은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코스 선택(S200)과 부하 판단(S300)이 완료되면, 컨트롤러는 판단된 부하와 선택된 코스에 따라 건조(S400)를 수행한다. 상기 건조는 일반적으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열풍의 열량 및 풍량은 선택된 코스에 따라 달리 제어될 수 있다. 물론, 무열풍 코스에서는 냉풍만 공급함으로써 건조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건조(S400)가 완료되면 냉풍을 의류에 공급함으로써 쿨링(S500)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쿨링(S500)은 추가 건조 및 의류나 드럼과 같은 건조기의 구성 요소를 냉각시키기 위함이다.
쿨링(S500)이 종료됨으로써 건조기의 작동이 종료(S600)하게 된다.
코스 선택(S200), 건조(S400) 그리고 쿨링(S500) 순서로 진행되는 건조기의 작동은 일반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건조(S400) 전에 부하 판단(S300)을 수행하여 판단된 부하에 따라 건조(S400)에서의 열량 및 풍량 제어 패턴을 서로 달리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정확한 부하 판단(S300)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복수 개의 판단 단계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부하 판단(S300)은 적어도 두단계의 부하 판단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부하를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단계의 부하 판단단계는 최종 부하를 판단하는 단계가 아니고 후속하는 부하 판단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전제 단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잠정소량부하인지 중다량부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1차부하 판단단계(S33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부하 판단단계(S330)에서 최종적으로 중다량부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잠정적으로 소량부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잠정소량부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이는 최종 소량부하가 아니고, 최종 소량부하일 수도 있으며 극소량부하일 수도 있는 판단 보류 상태를 의미하게 된다.
예를 들어, 중다량부하는 부하가 3 kg을 초과하는 부하를 의미할 수 있다. 소량부하는 부하가 3 kg 이하인 부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소량부하 중 1 kg 이하인 부하를 극소량부하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를 나누는 기준은 건조기의 사이즈, 히터의 열용량, 그리고 드럼의 사이즈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일례로,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중다량부하는 3 kg 초과, 소량부하는 1 kg 이상 3 kg 미만 그리고 극소량부하는 1kg 미만인 부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잠정소량부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최종 소량부하인지 최종 극소량부하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가 후속될 수 있다.
중다량부하와 소량부하의 구분 여부는 과도한 열량 공급으로 인한 에너지 절감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소량부하에서도 극소량부하를 구분하는 것은 과도한 열량 방지 및 열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극소량부하에서 배기 그릴(50)이 막히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1차부하 판단단계(S330)에서는 드럼 구동과 함께 팬모터를 구동하게 된다. 즉,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아울러, 드럼 내의 의류는 드럼 구동으로 인해 텀블링될 수 있다. 드럼 구동과 열풍 공급을 수행하면서 온도센서(80)를 통해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 온도를 센싱한다. 이러한 온도의 변화를 통하여, 상기 드럼(2) 내에 수용된 의류에 의한 부하가 잠정소량부하인지 중다량부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부하가 많다는 것은 열량을 흡수하는 대상물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센싱되는 온도가 높다거나 센싱되는 온도의 상승률이 크다는 것은 반대로 부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 온도의 변화를 통하여 잠정소량부하인지 중다량부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1차부하 판단단계(S330)에서 중다량부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최종 판단되는 부하가 중다량부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하는 부하 판단단계는 생략되어 곧바로 건조(S40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중다량부하에 따른 건조(S40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불필요한 부하 판단단계로 인한 건조기의 작동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차부하 판단단계(S330)에서 잠정소량부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최종적으로 소량부하인지 극소량부하인지를 판단하는 2차부하 판단단계(S35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2차부하 판단단계(S350)는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상기 2차부하 판단단계(S350)에서는 열풍 공급을 중단하고 드럼을 구동함이 바람직하다. 열풍 공급의 중단은 열량 및 풍량 공급을 중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33)와 팬모터(35)의 구동은 정지하고 드럼 모터(210)만 구동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팬모터(35)의 작동 정지는 공기 유동에 의해 의류가 배기 그릴(5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1차부하 판단단계(S330)에서 배기 그릴(50)로 이동한 의류가 상기 배기 그릴(50)에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때, 상기 드럼은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즉, 바람이 아닌 드럼 구동만을 통해 의류가 드럼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하여 배기 그릴(50)에서 의류가 분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2차부하 판단단계(S350)는 잠정소량부하를 전제로 하므로, 극소량부하인지 여부만 판단하면 된다. 즉, 극소량부하가 아닌 경우는 당연히 극소량부하와 중다량부하 사이의 부하인 소량부하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극소량부하인 경우, 1차부하 판단단계(S330)에서 의류가 배기 그릴(50) 측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드럼 내부에서 차지하는 극소량부하의 체적은 매우 작다. 물론, 의류가 함유하는 수분도 상대적으로 작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드럼만 구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극소량부하가 건조도센서(일례로 습도센서 또는 전극센서)와 접하는 빈도수가 매우 작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도 센서(60)에서 센싱되는 값을 통해서, 극소량부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차부하 판단단계(S350)에서 최종적으로 극소량부하인지 소량부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2단계의 부하 판단단계에서 다른 센서에서 감지된 값을 통해 최종적으로 부하를 판단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부하의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복수 개의 부하 판단단계가 항상 모두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건조기의 작동시간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가장 긴 건조 시간을 요하는 중다량부하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1차부하 판단단계(S330)만 수행하기 때문에, 2차부하 판단단계(S350)로 인해 건조기의 작동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2차부하 판단단계(S350)는 고정시간 동안만 수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극소량부하 및 소량부하 여부와 무관하게 고정시간 동안만 수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고정시간은 일례로 1분일 수 있다. 따라서, 2차부하 판단단계(S350)는 고정된 1분동안 수행되어 최종적으로 극소량부하인지 소량부하인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2차부하 판단단계의 수행으로 인해 건조기의 작동시간이 지나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하가 판단되면, 판단된 부하에 따라 서로 다른 열량 및 풍량을 공급하여 건조(S400)가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쿨링(S400)에서도 마찬가지 일 수 있다. 그러나, 쿨링(S400)의 경우 에너지 소비량이 크지 않고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쿨링(S400)에서의 풍량은 부하와 무관하게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1차부하 판단단계(S330)은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변화를 통해서 부하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의 온도 변화는 부하뿐만 아니라 초기 온도에 대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동일 부하에서, 건조기의 초기 온도가 매우 낮은 경우 초기 온도가 매우 높은 경우보다 온도 상승폭이 클 수 있다. 즉, 건조기의 초기 온도가 낮은 경우 열량 공급으로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보다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기의 초기 온도에 따라 부하 판단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건조기의 초기 온도는 건조기가 놓인 장소의 온도 조건, 계절 조건 또는 건조기가 바로 직전 사용되었는지 오래전에 사용되었는지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 환경에서 쿨링이 수행되기 전 건조가 중단된 후 재차 건조기를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초기 온도는 매우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동일 부하를 전제로, 초기 온도가 매우 낮은 경우보다 온도 상승폭이 작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초기 온도를 감안하여 1차부하 판단단계(S330)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초기 온도의 가변으로 인한 부하 판단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초기온도 감지단계(S31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초기온도 감지단계(S310)는 부하 판단(S300)에서 가장 먼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코스 선택(S200)이 완료되면 컨트롤러(S10)는 온도센서(80)를 통해 초기 온도값을 수신받는다. 이때 수신된 온도값을 반영하여 후속하는 부하 판단 단계들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초기온도 감지단계(S310)는 건조기의 초기 환경을 센싱하기 위한 것이므로, 히터의 구동이 배제된다. 그리고 팬모터(35)와 드럼 모터(21)가 구동된다. 상기 초기온도 감지단계(S310)가 시작된 후 기설정시간이 경과되면(일례로 5초) 상기 온도센서(80)를 통해 초기 온도를 감지한다. 이러한 기설정시간은 드럼 구동 및 냉풍 공급으로 건조기 자체의 초기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초기온도 감지단계(S310), 1차부하 판단단계(S330) 그리고 2차부하 판단단계(S350)는 필요한 경우 순차적으로 연속된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 0구간, 1구간 그리고 2구간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초기온도 감지단계 또는 초기온도 감지구간(0구간, S3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초기온도 감지구간에 진입(S311)하면, 초기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단계(S312)를 수행한다. 이 단계에서, 열량 공급을 배재하고 냉풍이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드럼이 구동되도록 제어된다. 이를 위해서, 히터(33) 오프, 팬모터 온 그리고 드럼 모터가 온 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팬모터는 풍량을 중상 정도가 되도록 일례로 2000 RPM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조성 단계가 시작된 후 소정 시간 대기(S313)하여 초기 온도를 센싱한다. 즉, 온도센서(80)를 통해서 건조기의 초기 온도를 센싱하게 된다.
상기 센싱된 초기 온도를 복수 개의 온도 범위로 구분하는 단계(S314, S316, S318, S320)가 수행된다. 이러한 온도 범위는 일례로 4가지로 나뉠 수 있다.
먼저, 가장 낮은 온도 범위인 섭씨 29도 이하임을 판단하는 단계(S314)가 수행될 수 있다. 섭씨 29도는 상온과 유사한 온도이며 가장 일반적인 초기 온도 상태를 대변할 수 있다. 따라서, 섭씨 29도는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초기 온도가 섭씨 29도 이하를 만족하면, 초기온도 감지단계가 종료(S315)되며, 이 온도 범위에 해당하는 1차부하 판단단계(S330)로 진입(S331)로 진입하게 된다.
초기 온도가 섭씨 29도를 초과하는 경우, 초기 온도가 섭씨 39도 이하임을 판단하는 단계(S316)가 수행될 수 있다. 섭씨 39도는 매우 무더운 환경 또는 건조기가 작동 종료 후 일정 시간 동안 경과된 정도를 대변할 수 있다. 따라서, 섭씨 39도는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초기 온도가 섭씨 39도 이하를 만족하면, 초기온도 감지단계가 종료(S317)되며, 이 온도 범위에 해당하는 1차부하 판단단계(S330)로 진입(S331)하게 된다.
초기 온도가 섭씨 39도를 초과하는 경우, 초기 온도가 섭씨 44도 이하임을 판단하는 단계(S318)가 수행될 수 있다. 섭씨 44도는 건조기의 작동 종료 직후 또는 건조 도중 일시 정지 상태를 대변할 수 있다. 따라서, 섭씨 44도는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초기 온도가 섭씨 44도 이하를 만족하면, 초기온도 감지단계가 종료(S319)되며, 이 온도 범위에 해당하는 1차부하 판단단계(S330)로 진입(S331')하게 된다.
한편, 초기 온도가 섭씨 44도를 초과하는 경우 소정시간 동안 온도가 하강하여 섭씨 44도 이하를 만족하는지 판단하게 된다. 즉, 소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S320)하고 이때까지 온도가 하강하여 섭씨 44도를 만족하지 못하면 초기온도 감지단계가 종료(S321)되며, 1차부하 판단단계(S330)가 생략된다. 즉, 1차부하 판단단계(S330)가 수행되지 않고 곧바로 2차부하 판단단계(S350)로 진입(S351)하게 된다. 그리고, 소정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온도가 하강하여 섭씨 44도를 만족하는 경우, 섭씨 44도 이하 온도 범위에 해당하는 1차부하 판단단계(S330)로 진입(S331")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시간은 일례로 5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소정시간은 냉풍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중다량부하에서 충분한 온도 하강을 보장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소정시간 동안 냉풍 공급으로 온도가 일례로 섭씨 44도 이하로 하강하지 않는 경우, 이는 부하가 많지 않음을 의미하게 된다. 만약 부하가 중다량부하인 경우에는 수분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드럼에서 배출되는 온도는 급격히 하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정시간 동안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 내로 하강하지 않는 경우, 잠정소량부하로 판단하게 된다. 물론,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초기온도 감지단계를 반복(S320)하게 된다. 즉, 지속적으로 초기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가 상기 기설정돈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초기온도가 기설정온도(일례로 섭씨 44도) 이하인 경우에는 1차부하 판단단계(S330)가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초기 온도가 기설정시간(일례로 5분) 내에 상기 기설정온도 이하를 만족하지 않지 않는 경우, 1차부하 판단단계(S330)는 생략되고 2차부하 판단단계(S350)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초기온도 감지단계(S310)에서는 초기 온도 및/또는 이의 변화를 통해 최적으로 부하를 판단할 수 있는 전제를 마련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즉, 초기 온도를 복수 개의 범위로 나누고, 나눠진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으로 부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초기온도 감지단계(S310)는 명확히 중다량부하가 아닌 것을 판단할 수 있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즉, 초기 온도가 기설정시간 동안에도 기설정 온도로 하강하지 않은 경우, 명백히 중다량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후속하는 1차부하 판단단계를 생략하고 곧바로 2차부하 판단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초기온도 감지단계를 0차부하 판단단계라고도 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서, 1차부하 판단단계(S3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초기온도 감지단계(S310)에서 복수 개의 온도 범위로 구분되면, 구분된 각각의 온도 범위에 따라 1차부하 판단단계(S33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3 개의 온도 범위로 구분된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부하를 판단하는 개념은 서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기 온도에 따라 온도 상승 기울기는 달라질 수 있다. 열량을 공급함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는 기울기는 초기 온도가 높을수록 작다. 반대로, 초기 온도가 낮을수록 온도 상승 기울기는 커지게 된다.
먼저, 첫번째 온도 범위인 일례로 초기 온도가 섭씨 29도 이하인 범위에 따른 1차부하 판단단계(S330)를 설명한다.
1차부하 판단단계(S330)에 진입(S331)하면, RPM 설정(S332)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열량을 공급하게 되며, 풍량은 0차부하 판단단계에서와 동일한 풍량이 되도록 팬모터(35)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열량은 최대 열량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열량이 5500 Btu/h가 되도록 히터(33) 및 모듈레이터(36)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1차부하 판단단계(S330)는 부하판단뿐만 아니라 초기 건조를 수행하는 구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최대 열량을 공급하여 후속하는 건조(S)에서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RPM 설정(S332)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열풍이 공급되므로 1차부하 판단단계(S330)에서는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부하에 따라서 온도 상승률 즉 온도 기울기는 달라지게 된다. 부하가 중다량부하인 경우에는 온도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고 부하가 소량부하 또는 극소량부하인 경우에는 온도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온도 상승률은 다양하게 산출할 수 있으며, 소정 시간 동안 온도 상승폭을 통해 산출하거나 소정 온도 상승폭을 발생되는 경과 시간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절대적인 온도 상승률을 산출할 필요는 없고, 중다량부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값을 통해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온도 범위 섭씨 29도 이하에서는 온도 범위의 상한값이 29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열풍이 공급되면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때의 기준온도 즉 제1기준온도를 섭씨 30도라 할 수 있다. 해당 온도 범위의 상한값보다 큰 제1기준온도, 일례로 섭씨 1도 높은 제1기준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RPM 설정(S332) 후 온도센서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제1기준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S333)하게 된다. 그리고, 제1기준온도 이상이 아닌 경우, 1차부하 판단단계의 진입 후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S334)하게 된다. 일례로 제1설정시간은 2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제1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1기준온도 이상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이는 부하가 충분히 많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중다량부하로 판단(S337)하여, 건조(S400)가 수행된다. 물론, 이때의 건조는 중다량부하에 따른 건조라 할 수 있다.
RPM 설정(S332) 후 온도센서(80)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제1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제2설정시간 내에 제2설정온도를 만족하는지 판단(S335)하게 된다. 여기서, 제2설정시간은 일례로 30초일 수 있으며, 제2설정온도는 제1설정온도보다 섭씨 5도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설정온도와 제2설정온도의 차이는 섭씨 5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설정시간 내에 섭씨 5도 상승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제2설정시간 내에 섭씨 5도 상승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온도 상승률이 충분히 큰 것으로 판단하며, 따라서 잠정소량부하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설정시간 내에 섭시 5도 상승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온도 상승률이 작은 것으로 판단하며, 따라서 중다량부하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잠정소량부하로 판단하는 경우는 극소량부하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하는 2차부하 감지단계로 진입(S336)하게 된다. 아울러, 중다량부하로 판단하는 경우, 2차부하 감지단계를 생략하고 건조가 곧바로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이때의 건조는 중다량부하에 따른 건조라 할 수 있다.
초기 온도가 섭씨 29도 이하인 온도 범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초기 온도가 섭씨 39도 이하인 온도 범위 그리고 초기 온도가 섭씨 44도 이하인 온도 범위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중다량부하인지 잠정소량부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S331 내지 S373 단계와 동일하게 S331' 내지 S337' 단계 또는 S331" 내지 S337"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온도 범위의 상한값이 높아질수록 제2기준온도와 제1기준온도의 차이는 작아짐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온도 범위의 상한값이 섭씨 39도인 경우, 제1기준온도인 섭씨 40도와 제2기준온도인 섭씨 44도의 차이는 섭씨 4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범위의 상한값이 섭씨 44도인 경우, 제1기준온도인 섭씨 45도와 제2기준온도인 섭씨 48도의 차이는 섭씨 3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온도 범위의 상한값이 높아질수록 제1기준온도와 제2기준온도의 차이는 작아지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초기 온도가 높을수록, 동일 부하와 동일 열량 공급을 전제로, 온도 상승률이 점차 감소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상기 S335 단계에서는 섭씨 5도 상승 여부, 상기 S335' 단계에서는 섭씨 4도 상승 여부 그리고 상기 S335"단계에서는 섭씨 3도 상승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온도를 복수 개의 온도 범위로 나누어 잠정소량부하인지 중다량부하인지를 판단하기 때문에, 초기 온도로 인한 부하 판단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즉, 초기 온도와 무관하게 보다 정확한 부하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온도 범위의 상한값과 관계없이 제2기설정시간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범위의 상한값과 관계없이 1차부하 판단단계에 소요되는 시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1차부하 판단단계는 잠정소량부하인지 중다량부하인지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이므로, 절대적인 부하에 따라 소요시간은 편차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1 kg의 극소량부하인 경우에는 1차부하 판단단계가 수행된 후 일례로 30초 경과 후 잠정소량부하로 판단될 수 있고, 2.5 kg의 극소량부하인 경우에는 1차부하 판단단계가 수행된 후 일례로 2분 22초 경과 후 잠정소량부하로 판단될 수 있으며, 5 kg의 중다량부하인 경우에는 1차부하 판단단계가 수행된 후 2분 30초가 경과된 후에야 중다량부하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RPM 설정 단계(S332, S332', S33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1차부하 판단단계(S330)에서 상기 RPM 설정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먼저 RPM 설정 단계로 진입(S341)하면, 팬모터의 RPM을 중간 풍량 이상인 일례로 2000RPM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팬모터의 최대 RPM은 일례로 3000RPM일 수 있다. 그리고, 열량을 최대인 일례로 5500 Btu/h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초기에 상대적으로 높은 풍량 및 최대 열량으로 건조와 동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팬모터의 RPM을 설정한 후 에어플로우스위치(70)를 통해 막힘 여부를 감지(S342)하게 된다. 막힌 것으로 판단하거나 막힘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풍량에 의해서 의류가 배기 그릴을 덮는 경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1차부하 판단단계 종료 시까지 RPM을 변동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막힘 우려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풍량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2600RPM으로 최대 풍량에 근접하게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풍량의 상승은 계단식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막힘 우려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1차부하 판단단계 종료 시까지 RPM을 계단식으로 상승시킴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막힌 것으로 판단하거나 막힘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에어로 플로우스위치의 닫힘/열림으로 판단될 수 있다. RPM 설정 구간 진입시 소정 시간 내, 일례로 10초 내에 에어로플로우스위치의 닫힘이 감지되면, 배기 그릴이 막힌 것으로 판단되거나 막힐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반면, RPM 설정 구간 진입시 소정 시간 내에 에어로플로우스위치가 닫히지 않은 경우에는, 배기 그릴이 막히 우려가 없다고 판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RPM 설정 단계는 전술한 복수 개의 온도 범위와 무관하게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RPM 설정 단계(S332, S332', S333")를 통해 초기부터 고열량 및 고풍량을 의류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특히 극소량부하인 경우에 배기 그릴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거나 막히더라도 상대적으로 낮은 풍량을 짧은 시간 동안에만 유지함으로써 히터와 팬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2차부하 판단단계(S35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2차부하 판단단계(S350)는 1차부하 판단단계(S330)에서 잠정소량부하로 판단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수행된다. 즉, 1차부하 판단단계(S330)에서 중다량부하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차부하 판단단계의 수행이 생략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2차부하 판단단계는 온도센서가 아닌 건조도센서를 통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1차부하 판단단계에서와는 다른 센서를 통해 부하를 판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부하 판단단계는 잠정소량부하에서 최종적으로 소량부하인지 극소량부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또한, 극소량부하인 경우 의류가 배기 그릴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물론, 배기 그릴에 의류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배기 그릴에서 의류를 분리시키는 단계라 할 수 있다. 2차부하 판단단계를 통해서 배기 그릴에 의류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러 방지 및 건조기의 구성 부품 특히 배기 그릴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차부하 판단단계(S350)가 진입(S351)하면, 히터 오프, 팬모터 오프로 제어되며 드럼 구동을 위한 드럼 모터가 온되도록 제어(S352)됨이 바람직하다. 즉, 텀블링만 수행되며 열풍 및 냉풍 공급이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의류가 전방으로 치우치지 않고 드럼 내부에 텀블링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텀블링 동작을 소정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일례로 1분 동안 텀블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텀블링 동작 중 에어플로우센서를 통한 막힘 감지는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짧은 시간 동안 배기 그릴이 막혀있는 경우에 텀블링 동작으로 배기 그릴에서 의류를 분리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막힘 원인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막힘을 감지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텀블링 동작 중 전극센서(60)를 통해서 극소량부하 여부를 판단(S353)하게 된다. 극소량부하의 경우 전극센서(60)에서 센싱되는 값이 크게 된다. 즉, 수분을 포함하는 의류의 체적이 작기 때문에 상기 전극센서와 접촉하는 빈도수가 매우 작게 된다. 따라서, 건조센서인 전극센서의 양단에서의 저항값은 매우 크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전극센서의 값을 소정시간 평균값으로 환산하여 극소량부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일례로 무차원 값이 전극센서의 평균값이 135 이상인 경우, 극소량 부하로 판단하게 되고, 135 미만인 경우에는 소량부하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2차부하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부하에 따라 건조(S400)가 진행되게 된다. 물론, 이때의 건조는 극소량부하인 경우와 소량부하인 경우 서로 다른 열량 및 풍량이 공급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2차부하 판단단계(S350)에 소요되는 시간은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1분 내지 2분간 진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요 시간은 극소량부하인지 아니면 소량부하인지와 무관하게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열풍 공급이 배제된 2차부하 판단단계로 인하여 건조기의 작동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1분 내지 2분간 2차부하 판단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충분히 극소량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배기 그릴에서 극소량 부하가 부착된 것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복수 개의 부하감지단계(S310, S330, S350)에서 팬모터, 히터(모듈레이터 포함) 그리고 드럼 모터의 제어가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감지된 부하에 따라 상기 팬모터, 히터(모듈레이터 포함) 그리고 드럼 모터가 어떻게 제어되는지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팬모터(35)와 드럼 모터(21)가 서로 개별적으로 구비되므로 독립적으로 풍량 및 드럼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복수 개의 부하감지단계, 건조단계 그리고 쿨링단계에서의 드럼 구동은 드럼이 동일 RPM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건조단계에서의 열량 제어는 상기 부하감지단계들에서와는 다른 양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극소량부하인 경우, 상기 건조(S400)은 일정한 풍량으로 일정한 열량이 드럼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중간 정도의 풍량(예를 들어 1500RPM)으로 중간 정도의 열량(예를 들어 3000 Btu/h)의 열량이 공급되도록 팬모터(35), 히터(33) 그리고 모듈레이터(36)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듈레이터(36)의 제어는 열량 가변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극소량부하인 경우에는 동일 전류값 등을 상기 모듈레이터(36)로 인가하여, 모듈레이터의 개도가 가변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소량부하인 경우, 상기 극소량부하와 마찬가지로 건조(S400)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소량부하인 경우에 비하여 열량 및 풍량을 증가시킴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중상 정도의 풍량(예를 들어 2100RPM)으로 중상 정도의 열량(예를 들어 3500 Btu/h)의 열량이 공급되도록 팬모터(35), 히터(33) 그리고 모듈레이터(36)를 제어할 수 있다.여기서, 상기 모듈레이터(36)의 제어는 열량 가변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소량부하인 경우에는 동일 전류값 등을 상기 모듈레이터(36)로 인가하여, 모듈레이터의 개도가 가변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극소량부하와 소량부하인 경우에는 모듈레이터의 열림량 가변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다량부하인 경우, 풍량과 열량이 가변되도록 건조(S40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건조(S400) 시작 후 초기 구간, 예를 들어 10분 정도가 경과될 때까지는 열량을 증대시키고 풍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건조기 시스템 자체가 갖는 열량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열풍이 공급되어 배출되는 전체 시스템의 골고루 가열하기 위함이다. 이 구간에서는 최대 열량, 예를 들어 5000 Btu/h의 열량이 공급되도록 모듈레이터의 개도가 최대로 유지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 구간에서의 풍량은 최대 RPM, 예를 들어 3000 RPM 미만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2600 RPM 이상으로 풍량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건조(S400)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 예를 들어 10분 정도가 경과된 이후에는 건조 시간 단축을 위해서 풍량이 증가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습기가 매우 신속하게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구간에서는 수분 증발이 급격히 수행되기 때문에 습기 배출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이 구간에서는 최적 열량 제어를 위해 상기 모듈레이터의 개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공급 열량을 증감시키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풍량의 제어는 드럼 모터(21)와 팬모터(35)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개별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열량 제어는 선형밸브 타입의 전기식 모듈레이터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다량부하 건조에서 풍량과 열량은 기본적으로 상기 소량부하 및 극소량부하 건조에서 풍량과 열량보다 높게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량 제어는 에너지의 낭비를 감소시키는 한편 건조 시간을 단축시켜 매우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열량 제어는 온도센서(80)뿐만 아니라 건조도센서(60)에서 센싱되는 인자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부하에 따라 서로 다른 열량과 풍량이 공급되어 건조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부하와 무관하게 최적 건조 및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조(S400)가 종료되면 쿨링(S500)이 수행된다. 상기 건조(S400)의 종료 후 곧바로 쿨링(S500)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쿨링(S500)은 냉풍을 공급하면서 드럼을 구동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차적으로는 의류의 온도를 하강시키고 이차적으로는 건조기 시스템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쿨링(S500)에서의 풍량은 일정하도록 제어되었다. 예를 들어서, 쿨링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최대 풍량(일례로 3000RPM)으로 쿨링이 수행되었다. 또한, 최대 풍량은 부하와 무관되게 일정하게 설정되었다. 이로 인해 급격한 충격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가 구동을 시작하는 경우 충격 소음, 즉 팬모터의 RPM의 급작스런 변화에 의한 소음은 사용자에게 익숙하다. 예를 들어, 건조기가 구동을 시작할 때 0 RPM에서 3000 RPM으로 팬모터가 작동하는 경우 발생되는 충격 소음에 사용자는 익숙하다. 즉, 이제 건조기가 구동을 시작하는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건조기의 구동이 진행되는 도중 팬모터의 급작스런 RPM 변화에 사용자는 혼동할 수 있다. 즉, 건조기에 문제가 있는지를 의심하게 된다. 특히, 쿨링이 시작될 때 급격한 RPM의 변화에 의한 충격 소음은 사용자에게 익숙하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부하에 따라 서로 다른 풍량 제어 RPM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부하가 클수록 높은 풍량 제어 RPM으로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중다량 부하에서는 3000RPM, 소량부하에서는 2100RPM 그리고 극소량부하에서는 1500RPM으로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에서는 상기 쿨링(S500)에서의 풍량 제어 RPM이 직전 건조(S400)에서의 풍량 제어 RPM과 동일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여 쿨링(S5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건조(S400)가 종료되면 쿨링(S500)으로 진입(S501)하여 현재 온도를 측정(S502)한다. 즉, 온도센서(80)를 통해 건조기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기설정된 쿨링(S500)의 소요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S503)한다. 즉, 잔여시간이 0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잔여시간이 0인 경우에는 쿨링(S500)이 종료(S504)된다. 그리고, 잔여시간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상기 측정된 현재 온도와 쿨링 목표 온도를 비교(S505)한다. 물론, 현재 온도가 쿨링 목표 온도보다 작은 경우 쿨링(S500)이 종료(S504)된다.
여기서, 잔여시간이 남아 있고 현재온도가 쿨링 목표 온도보다 높은 경우, 냉풍을 공급하면서 쿨링이 수행(S506)된다. 즉, 비로소 쿨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거나 지속될 수 있다.
상기 쿨링의 시작 및/또는 지속(S506)에서의 풍량 제어 RPM은 기설정되지 않고 직전 풍량 제어 RPM으로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건조가 1500 RPM으로 종료되는 경우 쿨링에서의 풍량 제어 RPM은 1500 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건조가 3000 RPM으로 종료되는 경우 쿨링에서의 풍량 제어 RPM은 3000 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건조에서 쿨링으로 이어질 때 팬 모터의 RPM이 유지되어 충격 소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건조기의 고장을 의심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2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115)의 전면에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위한 각종 버튼이나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인터페이스(200)은 컨트롤러(10)를 통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건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숭 lT다
먼저, 상태 LED(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덕트의 막힘 여부나 현재 진행 중인 건조 단계가 무엇인지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다. 즉, 건조(S400)이 진행 중인지 쿨링(S500)이 진행 중인지 파악할 수 있다.
코스 또는 사이클 버튼(2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230)은 각각의 코스 또는 사이클별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고온 코스 버튼(231), 중온 코스 버튼(232), 저온 코스 버튼(233) 그리고 무열량 코스 버튼(2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들은 사용자가 해당 코스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들(231, 232, 233, 2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용자 메뉴 또는 서비스 메뉴로 진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LED(2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수행하는 건조 코스의 잔여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LED는 네자리수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LED(220)는 후술하는 서비스 메뉴 진입 후 프로그램 인자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코스가 선택되는 건조의 수행 시작을 입력하는 스타트 버튼(240)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코스 버튼(230)을 통해 특정 코스를 선택하고 스타트 버튼(240)을 통해 시작 명령을 가하면, 컨트롤러(10)는 선택된 특정 코스에 따라 건조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적용될 수 있는 전기식 모듈레이터(36)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모듈레이터(36)은 바디(36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일측에 인렛(365) 타측에 아웃렛(3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렛을 통해서 가스가 유입된 후 상기 아웃렛을 통해 가스가 배출된다. 배출된 가스는 히터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이 높을수록 히터에 의한 열량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바디 상측에는 가스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인렛 가스 압력을 체크하기 위한 압력체크홀(36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체크홀(366)에는 스크류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를 풀어 압력 게이지가 상기 압력체크홀(366)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서 인렛 가스 압력을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아웃렛 가스 압력을 체크하기 위한 압력체크홀(367)이 구비될 수 있다. 구조 및 압력 체크 방식은 인렛 가스 압력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인렛 가스 압력과 아웃렛 가스 압력을 체크하면, 아웃렛 가스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히터로 공급되는 가스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압력 조절은 모듈레이터의 개도를 기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바디(360)에는 상기 가스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가스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최대압력세팅너트(363)과 최소압력세팅너트(36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소압력세팅너트(361)와 최대압력세팅너트(361) 상하로 위치되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캡(361)가 구비될 수 있다.
가스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먼저 보호 캡(361)을 들어 내어 상기 최대압력세팅너트(363)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이러한 너트(363)의 조임은 최대 개도를 줄이는 것으로 최대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너트(363)를 느슨하게 하는 것은 최대 개도를 키우는 것으로 최대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최소압력세팅너트(361)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최소 개도를 증감시킬 수 있다. 최소 개도의 감소는 최소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이며 반대로 최소 개도의 증가는 최소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즉, 이러한 너트(363)의 조작으로 최대압력과 최소압력을 달리 세팅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최대압력세팅과 최소압력세팅은 상기 건조기의 제작 현장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건조기가 직접 사용되는 현장에서 상기 최대압력세팅을 조절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를 위해서는 건조기의 패널들을 분리해야 하고, 아울러 충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외부 가스 압력, 즉 건조기로 공급되는 외부의 가스 압력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데 있다. 또한, 외부의 가스 압력이 일정하더라도 모듈레이터의 산포로 인해 실제로 히터로 공급되는 가스 압력이 가변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레이터(36)는 전기식 모듈레이터로 인가되는 전류값이나 전압값에 비례하여 개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가스 밸브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식 모듈레이터는 수동으로 가스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가 없다. 즉, 최대압력값과 최소압력값만을 수동을 조절하는 장치만 구비될뿐, 최대압력값과 최소압력값 사이에서의 압력값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장치가 없다. 따라서, 모듈레이터의 개도를 수동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모듈레이터(36)에는 결선 터미널(368)이 구비된다. 이러한 결선 터미널(368)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나 전류값을 조절함에 따라 가스 공급 압력은 최대압력값과 최소압력값 사이에서 제어될 수 있다.
문제는, 예를 들어 일정한 전압값을 인가하는 경우 동일한 개도, 즉 동일한 가스 압력이 제공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모듈레이터 자체의 산포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모듈레이터 내부 코일에 의한 전자기력의 편차 내지는 밸브 자체의 기계적인 공차 등에 의해서 목표하는 가스 압력을 만족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일례로, 최대 열량(5000 Btu/h) 공급을 위해 상기 결선 터미널(368) 양단에 16.5V 그리고 중간 열량(2500 Btu/h) 공급을 위해 8.24V를 인가하도록 기프로그램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0)에서 필요한 열량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상기 모듈레이터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레이터의 산포 영향으로 인해 열량값과 전압값 사이의 룩업 테이블은 정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러(10)에서 지시하는 열량(기설정된 전압값 인가를 통해)을 모듈레이터가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게 된다. 일례로, 열량이 지시 열량보다 커지도록 개도가 증가되거나 반대로 열량이 지시 열량보다 작아지도록 개도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따르면, 전기식 모듈레이터의 산포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모듈레이터에 의한 공급 압력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물론, 이러한 모듈레이터의 개도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것은 관리자에게만 허가되어야 한다. 즉, 일반 사용자는 이러한 조절이 어렵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 따르면, 관리자 메뉴를 통하여 모듈레이터의 개도를 조절하여 긍국적으로는 열량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관리자 메뉴의 진입은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다. 건조기 내부에 구비되는 토글 스위치(일반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구비되는)를 통해서 관리자 메뉴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인터페이스(200)를 통해서 관리자 메뉴의 진입 및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에는 일반적인 사용방법이 아닌 특수한 사용방법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서비스 카드를 입력함으로써 관리자 메뉴로 진입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 코스 버튼(231)과 저온 코스 버튼(233)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관리자 메뉴로 진입할 수 있다. 더욱 복잡하게는 고온 코스 버튼(231)과 저온 코스 버튼(233)을 동시에 누른 후, 중온 코스 버튼(232)를 세번 누름으로써 관리자 메뉴로 진입할 수 있다. 즉, 히든 키 또는 히든 버튼 형태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 메뉴로 진입할 수 있다.
관리자 메뉴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LED(220)에 특정 표시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표시를 통해 관리자 메뉴 진입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LED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LED 디스플레이가 아닌 LCD 디스플레이이거나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LED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이므로 디스플레이 LED(220)로 명명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를 디스플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동일부호 220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20)은 건조기의 작동 잔여 시간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코스 수행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시간과 분을 표시하기 위하여 4 자리로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문자나 숫자 조합을 표현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사용자에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잔여 시간만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관리자 메뉴에서는 약속된 특정 문자나 숫자, 그리고 이들 조합이 표시될 수 있다. 관리자는 이러한 문자나 표시를 보고 관리자 메뉴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관리자 메뉴 진입 후, 상기 버튼들을 적절히 누름으로써 원하는 모듈레이터 개도 조절 메뉴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LED(220)에 표시되는 특정 표시들을 확인하면서 상기 버튼들을 적절히 누름으로써 모듈레이터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설정된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펄스값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레이터의 개도가 기준치보다 큰 경향을 갖는 경우, 관리자 메뉴에서 전압값을 낮출 수 있다. 반대로 모듈레이터의 개도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향을 갖는 경우, 관리자 메뉴에서 전압값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열량 및 복수 개의 열량 각각에 대응되는 전압값 테이블을 기준으로, 모듈레이터의 개도가 기준치보다 큰 경향을 갖는 경우 각각의 전압값을 기설정된 단위만큼 낮출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에는 기설정된 단위만큼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리자 메뉴를 통해 새로운 테이블 또는 보정된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모듈레이터의 산포에도 불구하고 보다 정확한 열량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모듈레이터의 산포 영향은 전술한 아웃렛 가스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열량이 필요한 시점에서 아웃렛 가스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아웃렛 가스 압력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 모듈레이터의 산포에 의해 개도가 기준치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작은 경우 개도가 기준치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에서는 모듈레이터의 개도를 통해 열량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설정된 열량에 맞게 모듈레이터의 개도가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과건조 방지, 부족 건조 방지 그리고 에너지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중다량부하인 경우 개도가 가변되도록 조절되는 데, 이러한 관리자 메뉴를 통한 개도 조절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열량 제어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100 : 건조기 1 : 캐비닛
2 : 드럼 3 : 공기공급부
10 : 컨트롤러 21 : 드럼 모터
33 : 히터 35 : 팬모터
36 : 모듈레이터 60 : 건조도센서
70 : 에어플로우스위치 80 : 온도센서
200 : 사용자인터페이스

Claims (17)

  1.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서 제공하는 열량을 조절하는 모듈레이터;
    상기 모듈레이터에 구비되어 인렛 가스 압력과 아웃렛 가스 압력을 각각 체크할 수 있는 압력체크홀;
    상기 모듈레이터의 산포 영향으로 발생되는 목표 열량과 실제 모듈레이터 조절에 의한 현재 열량 사이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관리자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열량과 현재 열량의 편차는 상기 압력체크홀에서 감지된 가스 압력과 목표한 가스 압력의 편차를 통해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가스 버너이며 상기 모듈레이터는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가스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 압력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레이터는 최대압력과 최소압력을 수동으로 세팅하기 위한 세팅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레이터는 결선 터미널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나 전류값을 조절하여 상기 최대압력과 최소압력 사이에서 가스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레이터는 상기 결선 터미널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나 전류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가스 압력이 가변되도록 제어되는 선형 밸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복수 개의 버튼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버튼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관리자 메뉴 진입 및 상기 편차 보정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버튼은 복수 개의 코스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코스 버튼의 입력 패턴을 일반적인 패턴과 달리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메뉴로 진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재의 건조 상태에 따라 상기 목표 열량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값이 상기 모듈레이터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열량 및 전압 또는 전류값의 대응 조합으로 이루어진 룩업 테이블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편차의 보정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레이터가 기준치에 비해 개도가 큰 경향을 갖는 경우, 목표 열량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값을 기설정된 단위만큼 낮추고, 상기 모듈레이터가 기준치에 비해 개도가 작은 경향을 갖는 경우, 목표 열량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값을 기설정된 단위만큼 높임으로써, 상기 편차의 보정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시키는 드럼 모터;
    상기 드럼 모터와 별도로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배기유로;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상기 드럼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와의 접촉 빈도를 통해 건조도를 센싱하는 건조도센서;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서 제공하는 열량을 조절하는 모듈레이터;
    상기 모듈레이터에 구비되어 인렛 가스 압력과 아웃렛 가스 압력을 각각 체크할 수 있는 압력체크홀;
    현재의 건조 상태에 따라 목표 열량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값이 상기 모듈레이터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모듈레이터의 산포 영향으로 목표 열량과 실제 상기 모듈레이터 조절에 의한 현재 열량 사이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관리자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열량과 현재 열량의 편차는 상기 압력체크홀에서 감지된 가스 압력과 목표한 가스 압력의 편차를 통해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메뉴를 통하여 목표 열량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값이 변경함으로써 상기 편차가 보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센싱되는 온도값에 따라 상기 의류에 의한 부하가 잠정소량부하인지 중다량부하인지 판단하고, 잠정소량부하인 경우 상기 건조도 센서에서 센싱되는 값에 따라 상기 의류에 의한 부하가 소량부하인지 극소량부하인지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부하들에 따라 서로 다른 열량으로 건조가 수행되도록 상기 히터 및 모듈레이터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소량부하 및 극소량부하인 경우 상기 모듈레이터가 소정 개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중다량부하인 경우 상기 모듈레이터가 개도를 가변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중다량부하인 경우 건조초기에는 최대 열량이 공급되도록 상기 모듈레이터의 개도를 최대로 제어하며, 상기 건조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건조도가 증가함에 따라 열량 공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모듈레이터의 개도가 감소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복수 개의 코스 각각을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코스 선택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코스 선택 버튼은 코스 선택 시와는 다른 입력 패턴을 통해 상기 관리자 메뉴로 진입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메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관리자 메뉴 항목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150032706A 2015-03-09 2015-03-09 건조기 KR101683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706A KR101683121B1 (ko) 2015-03-09 2015-03-09 건조기
CN201610133000.8A CN105951405B (zh) 2015-03-09 2016-03-09 烘干机
US15/064,690 US10626544B2 (en) 2015-03-09 2016-03-09 Drying machine
EP16159338.9A EP3067459A1 (en) 2015-03-09 2016-03-09 Dry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706A KR101683121B1 (ko) 2015-03-09 2015-03-09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054A KR20160109054A (ko) 2016-09-21
KR101683121B1 true KR101683121B1 (ko) 2016-12-20

Family

ID=5708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706A KR101683121B1 (ko) 2015-03-09 2015-03-09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1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0199B2 (ja) * 1991-03-29 1999-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
KR100583242B1 (ko) * 2004-08-14 2006-05-25 (주)제이엠씨텍 가스절환장치를 갖는 의류건조기
KR101114206B1 (ko) * 2005-03-19 2012-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건조도 조정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263A (ko) * 2012-11-21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풍공급장치를 갖는 의류처리기 및 그의 운전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0199B2 (ja) * 1991-03-29 1999-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
KR100583242B1 (ko) * 2004-08-14 2006-05-25 (주)제이엠씨텍 가스절환장치를 갖는 의류건조기
KR101114206B1 (ko) * 2005-03-19 2012-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건조도 조정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054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122B1 (ko) 건조기
US6199300B1 (en) Method for energy efficient control of a dryer of clothes
KR100866884B1 (ko) 건조기의 포량 결정 제어방법 및 그 건조기
US7594343B2 (en) Drying mode for automatic clothes dryer
US7080464B1 (en) Detection of synthetic fabric loads in an automatic dryer
CA2373976C (en) Self programming clothes dryer system
US6745495B1 (en) Clothes dryer apparatus and method
US4763425A (en) Automatic clothes dryer
US9091014B2 (en) Clothing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64268A (ko)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8112902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ad quantity in a spin dryer and spin dryer
KR100664289B1 (ko) 의류 건조기의 건조 방법
US20090260256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lothes dryer
KR20140120980A (ko)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EP2458078B2 (en) Rotatable-drum laundry dr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otatable-drum laundry drier
US10626544B2 (en) Drying machine
EP2441880B1 (en) Method for drying clothes in a drier and a moisture estimation control to obtain an automatic cycle termination
KR101683121B1 (ko) 건조기
KR100930896B1 (ko) 세탁장치에서 스팀발생기로의 급수 제어방법 및 그세탁장치
JP2009198047A (ja) 穀粒乾燥機
KR20190057659A (ko)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101565405B1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20220662A1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50122469A (ko) 자동 건조 드럼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038149B1 (ko) 건조기 및 그 히터 에러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