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995B1 - 차량용 어닝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어닝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995B1
KR101681995B1 KR1020140054595A KR20140054595A KR101681995B1 KR 101681995 B1 KR101681995 B1 KR 101681995B1 KR 1020140054595 A KR1020140054595 A KR 1020140054595A KR 20140054595 A KR20140054595 A KR 20140054595A KR 101681995 B1 KR101681995 B1 KR 101681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ounting member
coupling
rot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7981A (ko
Inventor
남상규
Original Assignee
남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규 filed Critical 남상규
Priority to PCT/KR2014/00409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64869A1/ko
Priority to KR1020140054595A priority patent/KR10168199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어닝 거치대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로드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어닝(awning)과 결합되는 어닝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닝결합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에 힌지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어닝과 결합하는 어닝결합부; 및 일측이 상기 어닝결합부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며, 길이방향으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어닝 거치대{Awning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닝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차량의 이동시 설치된 어닝을 철거하여 차량에 적재하기가 용이한 차량용 어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생활환경이 경제적으로 윤택해짐에 따라 레저를 비롯한 다양한 여가생활이 늘어나고 있다. 자동차의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차량을 이용한 레저생활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힐링 붐이 일면서 건강과 휴식을 위한 아웃도어 레저가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최근 사람들은 차량에 텐트 등의 아웃도어 용품을 싣고 원하는 장소로 가서 텐트를 설치하고 휴식과 여가를 즐기는 생활을 일상적으로 즐기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차양, 비바람 막이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어닝(awning) 등을 더욱 간편하게 설치하기 위해, 차량을 이용하여 어닝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어닝 거치대가 개발되고 있다. 차량용 어닝 거치대는 어닝이 차량의 루프(roof)위에 설치되는 경우, 어닝이 차량을 지지대의 일부로 사용하여 설치되는 경우 등에 따라 구조와 기능을 달리한다.
차량용 어닝 거치대는 차량의 루프에 고정적으로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어닝이 차량을 지지대의 일부로 사용하여 설치되는 경우, 차량용 어닝 거치대는 세단형 차량 등 차량의 루프가 낮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차량 이동시, 차량용 어닝 거치대는 설치된 어닝을 철거하여 차량에 적재하기가 용이하고, 차량용 어닝 거치대와 차량에 적재되는 어닝은 차량의 주행 방해를 최소화하는 구조로 구비되어 차량의 주행안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닝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차량의 이동시 설치된 어닝을 철거하여 차량에 적재하기가 용이한 차량용 어닝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차량용 어닝 거치대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로드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어닝(awning)과 결합되는 어닝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닝결합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에 힌지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어닝과 결합하는 어닝결합부; 및 일측이 상기 어닝결합부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며, 길이방향으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로드바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어닝결합부재와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어닝결합부재가 폴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장착부재와 힌지결합하는 제1돌출부;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고,상기 어닝결합부재가 폴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에 안착되며, 상기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연결부가 결합하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중공을 가진 봉으로 형성되는 대경부재; 봉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재의 중공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대경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소경부재; 및 상기 대경부재의 단부에 구비되고, 회전식으로 작동하여 상기 소경부재의 상기 대경부재의 길이방향 이동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조임장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차량용 어닝 거치대는, 다양한 차종에 설치되는 경우 거치되는 어닝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루프의 높이가 낮은 차종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충분한 높이로 어닝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차량용 어닝 거치대는, 차량의 이동시, 설치된 어닝을 철거하여 차량에 적재하기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그 무게중심이 차량의 루프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하여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거치대가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거치대가 차량에 장착되어 어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거치대가 차량의 이동시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거치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때, 도 3에서는 장착부재(200)와 분리된 어닝결합부(100)의 정면도와, 로드바(20)의 정면도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차량용 어닝 거치대는 어닝결합부재(50) 및 장착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닝결합부재(50)는 장착부재(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어닝(10, 도 5 참조)과 결합되며, 어닝결합부(100), 회전부(300) 및 연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닝결합부(100)는 어닝 및 연결부(400)와 결합한다. 어닝결합부(100)는 어닝과 나사체결수단 등으로 고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다수의 결합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닝결합부(100)에는 연결부(400)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 제1삽입홈(110)이 형성되고, 제1삽입홈(110)에 연결부(400)의 단부가 삽입된다.
회전부(300)는 장착부재(200)에 힌지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고, 힌지회전체(310), 제1돌출부(320), 제2돌출부(330) 및 제2삽입홈(340)을 포함한다.
힌지회전체(310)는 연결부(400)가 결합하고, 제1돌출부(320)와 제2돌출부(330) 사이를 연결하며, 장착부재(200)에 대하여 힌지회전하도록 구비된다. 힌지회전체(310)에는 제2삽입홈(340)이 형성되고, 제2삽입홈(340)에 연결부(400)의 단부가 삽입되어, 힌지회전체(310)와 연결부(400)는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제1돌출부(320)는 힌지회전체(310)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장착부재(200)와 힌지결합한다. 제1돌출부(320)는 회전부(300)가 장착부재(200)와 힌지결합하는 부위인데, 회전부(300)가 펼쳐지는 경우 즉, 회전부(300)가 회전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1돌출부(320)의 일면과 장착부재(200)의 플레이트결합부(220)의 일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고, 회전부(300)는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회전이 제한된다.
제2돌출부(330)는 제1돌출부(32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힌지회전체(310)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어닝결합부재(50)가 폴딩된 상태 즉,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태에서 고정부재(240)에 안착되며, 고정수단(500)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331)이 형성된다. 제1관통홀(331)은 회전부(300)가 폴딩되는 경우 장착부재(200)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231)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이동 등을 위해 펼쳐진 어닝을 철거하는 경우, 회전부(300)를 폴딩한 후 고정수단(500)을 제1관통홀(331) 및 제2관통홀(231)에 삽입하면, 회전부(300)는 차량이동 등으로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자유회전이 제한된다.
장착부재(200)는 차량의 루프에 구비되는 로드바(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플레이트(210) 및 고정부재(240)를 포함한다.
결합플레이트(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에 구비되는 로드바(20)의 레일홈(21)에 슬라이딩 되어 결합함으로써 장착부재(200)를 로드바(20) 결합시키는 부위이다. 결합플레이트(210)는 판형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일측이 결합플레이트(2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타측이 고정부재(240)의 플레이트결합부(220)를 관통하는 볼트(211)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장착부재(200)는, 결합플레이트(210)가 로드바(20)의 레일홈(21)에 삽입되어 로드바(20)의 레일(22)이 고정부재(240)와 결합플레이트(210) 사이로 위치된 상태에서, 볼트(211)에 결합되는 너트(21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너트(212)를 조이면 로드바(20)와 장착부재(200)는 견고하게 결합한다. 한편, 볼트(211)는 복수로 구비되고, 어닝결합부재(50)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211) 및 너트(212)의 결합체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부(3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어닝결합부재(50)가 폴딩된 상태에서 너트(212)를 완전히 풀 수 없으므로 어닝 거치대를 차량의 로드바(20)로부터 분리할 수 없어, 어닝 거치대 및 어닝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240)는 결합플레이트(210)와 결합되고, 어닝결합부재(50)와 힌지로 연결되며, 어닝결합부재(50)가 폴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플레이트결합부(220), 힌지결합부(230) 및 수용홈(241)을 포함한다.
플레이트결합부(220)는 결합플레이트(210)가 볼트결합하고, 회전부(300)가 접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1돌출부(320) 및 제2돌출부(330)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어닝을 설치하기 위해 회전부(300)를 펼쳐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 설치된 어닝이 그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회전부(300)는 장착부의 반대쪽 방향으로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회전부(300)가 펼쳐지는 경우, 플레이트결합부(220)의 상면 일부와 제1돌출부(320)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접촉하게 되고, 이때 플레이트결합부(220)는 회전부(300)가 장착부의 반대쪽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플레이트결합부(220)는 어닝결합부재(50)가 장착부재(200)로부터 설정된 각도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한수단의 역할을 한다.
힌지결합부(230)는 플레이트결합부(220) 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고, 회전부(300)가 접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1돌출부(320) 및 제2돌출부(330)의 일부를 감싸며, 고정수단(500)이 삽입되는 제2관통홀(231)이 형성되고, 제1돌출부(320)와 힌지결합한다.
제2관통홀(231)은 한 쌍의 힌지결합부(230) 각각에 형성되고, 각각의 제2관통홀(231)은 고정수단(5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제2관통홀(231) 중 하나에는 고정수단(5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된다.
회전부(300)가 폴딩되는 경우 힌지결합부(230)의 제2관통홀(231)과 제2돌출부(330)의 제1관통홀(331)은 서로 연통되고, 제1관통홀(331)과 제2관통홀(231)에 고정수단(500)이 삽입되고, 고정수단(5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와 제2관통홀(231)에 형성되는 암나사는 서로 나사결합하여 회전부(300)가 자유회전하지 않도록 회전부(300)와 장착부재(200)를 서로 결합시킨다.
한편, 회전부(300)는 제1돌출부(320)에 의해 장착부재(200)와 힌지결합하므로, 회전부(300)가 펼쳐지는 경우 제1돌출부(320)로 인해 회전부(300)는 장착부재(20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하게 된다.
수용홈(241)은 플레이트결합부(220)와 힌지결합부(230)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이고, 어닝결합부(1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의 역할을 한다.
연결부(400)는 일측이 어닝결합부(100)와 결합하고 타측이 회전부(300)와 결합하며, 회전부(300)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어닝결합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대경부재(410), 소경부재(420) 및 조임장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닝을 설치하기 위해 회전부(300)를 펼쳐 연결부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 연결부(40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루프의 높이가 낮은 차량의 경우에도 연결부(400)를 길게 늘여 어닝을 설치하면, 어닝의 상부 높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어닝의 내부공간을 넓힐 수 있다.
대경부재(410)는 중공을 가진 봉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회전부(300)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34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회전부(300)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대경부재(410)의 타측에는 조임장치(430)가 구비된다.
소경부재(420)는 봉으로 형성되고 대경부재(410)의 중공부위에 삽입되어 대경부재(4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소경부재(420)는 대경부재(410)의 중공부위에 삽입되기 위해 그 외경이 대경부재(410)의 중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소경부재(420)의 대경부재(410)에 삽입되지 않는 측의 단부는 어닝결합부(100)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11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어닝결합부(100)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조임장치(430)는 대경부재(410)의 단부에 구비되고, 회전식으로 작동하여 소경부재(420)의 대경부재(410)의 길이방향 이동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제1피스(431) 및 제2피스(432)를 포함한다.
제1피스(431)는 대경부재(410)의 단부에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하고, 제2피스(432)와 나사결합하는 부위가 형성된다. 제2피스(432)는 제1피스(431)와 나사결합하고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2피스(43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임장치(430)는 소경부가 대경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고, 제2피스(43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소경부는 대경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부(400)를 원하는 길이로 늘인 후 조임장치(430)를 조이면 연결부(400)는 어닝을 설치하기에 적절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수단(500)은 회전부(300)가 폴딩되는 경우 회전부(30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회전부(300) 및 장착부재(200)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고정수단(500)은 사용자의 손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수단(500)의 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수나사와 제2관통홀(231)에 형성되는 암나사는 서로 나사결합하여 회전부(300)가 자유회전하지 않도록 회전부(300)와 장착부재(200)를 서로 결합시킨다.
제1잠금장치(600)는 어닝결합부(100)와 연결부(400) 사이에서 라킹 및 언라킹을 수행하며, 키(key, 미도시)가 삽입되는 제1키홈(610)을 가진다. 따라서, 연결부(400)의 대경부재(410)의 단부를 어닝결합부(100)의 제1삽입홈(110)에 삽입하고 제1잠금장치(600)를 잠그면 어닝결합부(100)와 연결부(40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고, 제1잠금장치(600)의 잠금을 해제하면 어닝결합부(100)와 연결부(4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2잠금장치(700)는 연결부(400)와 회전부(300) 사이에서 라킹 및 언라킹을 수행하며, 키가 삽입되는 제2키홈(710)을 가진다. 따라서, 연결부(400)의 대경부의 단부를 회전부(300)의 제2삽입홈(340)에 삽입하고 제2잠금장치(700)를 잠그면, 회전부(300)와 연결부(40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고, 제2잠금장치(700)의 잠금을 해제하면 회전부(300)와 연결부(4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2잠금장치(700)의 구조의 일 실시예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2잠금장치(700)는 키에 의해 회전하는 라커(7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라커(720)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400)의 대경부재(410)가 라킹 또는 언라킹되도록 하는 라커홈(440)이 형성된다. 도 2b의 (a)에서 라커(730)가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대경부재(410)가 회전부(300)에 삽입된다.
회전부(300)에 대경부재(410)가 삽입된 후, 키를 사용하여 라커(720)를 회전시키면 라커(720')는 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십자형의 라커홈(440)의 수평부위에 일부가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대경부재(410)는 회전부(3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라킹된다. 라킹된 상태에서 키를 사용하여 라커(720')를 회전시키면 라커(720)는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이로 인해 대경부재(410)는 회전부(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언라킹된다.
한편, 라커(720)만으로 회전부(300)와 연결부(400)를 결합하면 서로 간 결합이 견고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개수의 보조체결구(730)를 사용하여 회전부(300)와 연결부(400)를 결합시켜 서로 간 결합을 견고히 할 수도 있다. 또한, 대경부재(410)의 하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회전부(300)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나사결합구조인 경우, 제2잠금장치(700)는 키를 사용하여 라킹하는 경우 회전부의 내측으로 전진하도록 구비되어 라커(720)에 의해 대경부재(410)가 회전부(300)에 삽입되는 것을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잠금장치(600)도 전술한 제2잠금장치(700)와 유사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잠금장치(600)와 제2잠금장치(700)는 어닝결합부(100)와 연결부(400), 연결부(400)와 회전부(300)가 서로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인해 어닝 거치대에 결합하는 어닝 등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거치대가 차량에 장착되어 어닝(10)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장착부재(200)는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로드바(20)에 수평방향으로 결합하고, 회전부(300)는 펼쳐져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연결부(400)는 어닝(10)을 설치하기 위해 적당한 높이로 고정된다. 어닝결합부(100)에는 어닝(10)의 일부가 고정되는데, 구체적으로 어닝결합부(100)의 결합홀(120)에 볼트 및 너트, 핀 등의 결합기구를 끼워넣어 어닝(10)을 고정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어닝(1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30) 등의 추가적인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프레임(30)만 도시되었지만, 어닝(1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는 추가적인 장치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어닝(10)의 일부는 차량의 차체와 어닝 거치대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어닝 거치대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로드바(20)는 적어도 어닝 거치대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차량에 구비되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거치대가 차량의 이동시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차량의 이동시 설치된 어닝은 철거되어 수용부(40)에 수용된다. 수용부(40)는 어닝 거치대의 어닝결합부(10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서도 수용부(40)가 어닝결합부(10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나, 어닝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수용부(40)의 도시를 생략했다. 수용부(40)에는 어닝 이외에 어닝의 설치에 필요한 프레임(3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수용부(40)의 일 실시예로, 지퍼로 개폐되는 구조가 개시되었으나, 어닝 등을 수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의 수용부(40)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수용부(40)는 차량의 이동시 차량의 이동시 그 무게중심이 루프의 일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차량의 루프 상측에 배치된다.
어닝 등이 수용부(40)에 수용되고, 회전부(300)가 접혀 연결부 및 회전부(30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고정수단(500)에 의해 회전부(300)가 자유회전 하지 않도록 장착부재(200)에 결합하면 차량이동 준비가 완료된다. 이때, 수용부(40)와 어닝 거치대 결합체의 무게중심은 차량 루프의 중앙부에 가깝게 위치한다. 차량용 어닝 거치대는 차량 루프의 일측 부위에만 설치하는 경우 그 무게중심이 루프의 중앙부에서 멀어질수록 차량의 이동시 주행의 불안을 유발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닝 거치대는 차량의 이동시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무게중심이 차량 루프의 중앙부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 어닝 20: 로드바
21: 레일홈 22: 레일
30: 프레임 40: 수용부
50: 어닝결합부재 100: 어닝결합부
110: 제1삽입홈 120: 결합홀
200: 장착부재 210: 결합플레이트
211: 볼트 212: 너트
220: 플레이트결합부 230: 힌지결합부
231: 제2관통홀 240: 고정부재
241: 수용홈 300: 회전부
310: 힌지회전체 320: 제1돌출부
330: 제2돌출부 331: 제1관통홀
340: 제2삽입홈 400: 연결부
410: 대경부재 420: 소경부재
430: 조임장치 431: 제1피스
432: 제2피스 440: 라커홈
500: 고정수단 600: 제1잠금장치
610: 제1키홈 700: 제2잠금장치
710: 제2키홈 720: 라커
730: 보조체결구

Claims (14)

  1.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로드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어닝과 결합되는 어닝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어닝 결합부재는,
    상기 장착 부재에 힌지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어닝과 결합하는 어닝결합부; 및
    일측이 상기 어닝결합부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로드바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어닝결합부재와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어닝결합부재가 폴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결합하고, 상기 회전부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의 일부를 감싸며, 상기 회전부가 설정된 각도에서 상기 회전부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플레이트결합부; 및
    상기 플레이트결합부 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가 폴딩된 상태에서 회전부의 일부를 감싸며,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거치대.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닝결합부재가 폴딩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은 상기 회전부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체결수단은 일측이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상기 로드바의 레일홈에 삽입되어 상기 로드바의 레일이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결합플레이트 사이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거치대.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어닝결합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어닝결합부재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어닝결합부재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거치대.
  9. 삭제
  10.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로드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어닝(awning)과 결합되는 어닝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어닝결합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에 힌지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어닝과 결합하는 어닝결합부; 및
    일측이 상기 어닝결합부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로드바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어닝결합부재와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어닝결합부재가 폴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장착부재와 힌지결합하는 제1돌출부;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고,상기 어닝결합부재가 폴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에 안착되며,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연결부가 결합하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회전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거치대.
  11. 제1, 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중공을 가진 봉으로 형성되는 대경부재;
    봉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재의 중공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대경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소경부재; 및
    상기 대경부재의 단부에 구비되고, 회전식으로 작동하여 상기 소경부재의 상기 대경부재의 길이방향 이동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조임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거치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로드바의 레일홈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거치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닝결합부재가 차량 루프상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거치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닝결합부재가 상기 장착부재로부터 설정된 각도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닝 거치대.
KR1020140054595A 2013-10-29 2014-05-08 차량용 어닝 거치대 KR101681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4090 WO2015064869A1 (ko) 2013-10-29 2014-05-08 차량용 어닝 거치대
KR1020140054595A KR101681995B1 (ko) 2014-05-08 2014-05-08 차량용 어닝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595A KR101681995B1 (ko) 2014-05-08 2014-05-08 차량용 어닝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981A KR20150127981A (ko) 2015-11-18
KR101681995B1 true KR101681995B1 (ko) 2016-12-02

Family

ID=5483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595A KR101681995B1 (ko) 2013-10-29 2014-05-08 차량용 어닝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6783B2 (en) 2016-12-23 2021-10-05 Patriot Campers Holdings Pty Ltd. Vehicle awning support and method of use
WO2018112520A1 (en) * 2016-12-23 2018-06-28 Patriot Campers Pty Ltd A vehicle awning support and method of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293B1 (ja) * 1999-06-01 2000-09-04 烱 泰 呉 小型直流溶接機
CN102310750A (zh) * 2011-06-15 2012-01-11 重庆金冠汽车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气动式车载遮阳棚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3293A (ja) * 1989-08-25 1991-04-09 Mitsubishi Electric Corp 内容参照メモリセル
JP2587394B2 (ja) * 1994-11-28 1997-03-05 典子 丹羽 一般車輛用ロ−ルテン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293B1 (ja) * 1999-06-01 2000-09-04 烱 泰 呉 小型直流溶接機
CN102310750A (zh) * 2011-06-15 2012-01-11 重庆金冠汽车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气动式车载遮阳棚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981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0260A (en) Bicycle carrier
RU2357877C2 (ru) Сиденье для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с переворачиваем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для сидения
US7121573B2 (en) Vehicle accessory mounting system
US6681970B2 (en) Deployable roof mounted equipment rack for tall vehicles
US10035465B2 (en) Vehicle platform and barrier
KR101618011B1 (ko) 탈착형 캠핑카 지지장치
US20060279071A1 (en) Folding Trailer
KR101990732B1 (ko) 공간확장형 캠핑카
US3375836A (en) Folding and automobile-transportable camping tent
US8328266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US20140103183A1 (en) Auto locks stay rod for cabin of a vehicle
US20160311356A1 (en) Tailgate assembly with a step assist handle
CN101332798A (zh) 货物限制网
KR101681995B1 (ko) 차량용 어닝 거치대
US20060108179A1 (en) Portable vehicle ladder system and method
US20060022003A1 (en) Detachable mounting device for mobile auto entertainment unit
CN112823231A (zh) 车顶帐篷的固定装置
US9067517B1 (en) Cantilevered vehicular seat with force distributing locks
WO2020243780A1 (en) A roof rack coupler
KR200412701Y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US89856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the bed of a pickup truck
KR20210133654A (ko) 픽업차량용 적재함의 형상 변형이 용이한 가변형 롤바
US20030000431A1 (en) Device for detachable mounting of a table
CA298578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ing an area in a vehicle, methods of making devices for securing an area in a vehicle, and vehicles with a device for securing an area
RU2749743C2 (ru) Шарнирное устройство-кронштейн для крепления запасного колес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устройство этого ти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