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963B1 -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 Google Patents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963B1
KR101681963B1 KR1020160044040A KR20160044040A KR101681963B1 KR 101681963 B1 KR101681963 B1 KR 101681963B1 KR 1020160044040 A KR1020160044040 A KR 1020160044040A KR 20160044040 A KR20160044040 A KR 20160044040A KR 101681963 B1 KR101681963 B1 KR 101681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inder
link
waste
cyc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봉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에이티엠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에이티엠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에이티엠엔씨
Priority to KR102016004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and placing the materials, e.g. slurry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04Reconditioning or reprocessing bituminous mixtures, e.g. salvaged paving, fresh patching mixtures grown unserviceable; Recycling salvaged bituminous mixtures; Apparatus for the in-plant recyc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applying or spreading liquid materials, e.g. bitumen slur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포장도로에 형성된 포트홀, 망상균열, 길어깨 파손, 종방향 균열 등등 포장도로의 보수대상부위를 폐아스콘에 의해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인더 저장부와 골재저장부가 이동부에 탑재되고, 바인더 저장부내 바인더와 골재저장부내의 폐아스콘이 사이클론부를 통해 분사토출부로 이송되며, 분사토출부내에서 폐아스콘의 표면에 바인더가 도포코팅된 후 분사토출부의 외부로 토출되되, 상기 사이클론부에 의해 폐아스콘을 이송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자동조절된 후, 자동조절된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토출부의 외부로 폐아스콘이 이송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Spray Patching Equipment Using Screened Reclaimed Asphalt Pavement(RAP) For Repairing Damaged Road Surface}
본 발명은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이 가능한 차량에 장착되고 폐아스콘의 활용이 가능하며, 아스콘 포장도로의 부분적인 파손(포트홀)에 대한 보수작업 및 택코팅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실가스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급격한 환경변화로 인해 인류에게 많은 피해를 안겨주고 있으며 교토의정서 가입국들은 탄소배출권을 통하여 온실가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 제한을 통하여 환경 보호에 도움이 되고자 하고 있다. 이에 따른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도로포장 분야에서도 지속 가능한 친환경적인 도로포장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포장도로는 아스콘에 골재를 혼합하고 가열한 혼합물로 포장한 도로로, 유동성과 탄력성이 높아 차량의 주행성이 우수하고, 주행에 따른 소음의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아스콘의 경우 열에 취약하여 여름철과 같이 무더운 계절에 장기간 차량의 반복적인 무거운 하중을 받게 되면 균열이나 부분적인 파손 등이 쉽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교통량의 증가(특히 중차량의 증가) 및 이상기후에 의해 아스콘 도로포장은 설계수명에 이르지 못하고 조기에 유지보수가 진행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로포장의 유지보수에서 발생하는 폐아스콘은, 주요 건설폐기물로서 그 활용방안에 대해 사회문제로 이슈화되고 있으나, 현재 도로포장의 유지보수공사에서 발생하는 폐아스콘은 약 11%만이 다시 도로포장에서 재활용되어 귀중한 건설재료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환경적 문제까지 야기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아스콘에 균열이나 파손 등이 발생하면 균열, 파손된 보수예정부분을 파낸 다음 새로운 아스콘 혼합물을 포설하여 다짐하고 있으며, 도로에 형성된 포트홀을 보수하는 방법은 파손부위에 보수재를 채운 후 트럭으로 다짐 한 후 다음 보수 지점으로 이동(Throw and Roll)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이와 같은 보수장법은 가장 손쉬운 보수방법이지만 내구성 및 적용성에 한계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트홀을 보수하는 또다른 방법으로 파손부위를 보수재로 채우기 전 물과 잔해물을 제거하고 단부를 정리한 후 보수재를 채워 다짐기 등으로 다짐을 하고 다음 보수 지점으로 이동하는 방법(Semi-Permanent)이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기존 방법보다 수명에 있어 더 우수하지만, 많은 작업인원과 장비를 필요로 하고 있어, 작업진행의 더딤현상이 발생될 뿐 아니라, 전체적인 경제성이 저하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54948(2011.08.01)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127428(2015.11.17)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도로에 형성된 포트홀, 망상균열, 길어깨 파손, 종방향 균열 등의 보수대상부위를 폐아스콘에 의해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포트홀, 망상균열, 길어깨 파손, 종방향 균열 등의 보수작업시, 폐아스콘과 바인더의 혼합분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수재의 비산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인더 저장부와 골재저장부가 이동부에 탑재되고, 바인더 저장부내 바인더와 골재저장부내의 폐아스콘이 사이클론부를 통해 분사토출부로 이송되며, 분사토출부내에서 폐아스콘의 표면에 바인더가 도포코팅된 후 분사토출부의 외부로 토출되되, 상기 사이클론부에 의해 폐아스콘을 이송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자동조절된 후, 자동조절된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토출부의 외부로 폐아스콘이 이송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도로의 보수작업에 폐아스콘을 재활용할 수 있어, 폐아스콘 처리에 따른 비용절감 및, 이산화탄소 저감에 따른 환경보호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인더 저장부의 투입구에 이중커버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외부의 수분 또는 습기로부터 바인더탱크내의 바인더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인더 저장부의 바인더탱크내에 유압교반기 및 가열/보온을 위한 히팅부가 설치되어 있어, 다양한 타입의 바인더와 첨가제가 균질하게 혼합된다.
본 발명은 골재저장부가 중간플레이트에 의해 제1,2호퍼로 분리형성되고, 선별이송부에 의해 서로다른 입도의 폐아스콘이 현장에서 선별분리되어 제1,2호포내로 공급저장되도록 되어 있어, 현장상황에 맞는 보수작업이 가능할 뿐아니라, 현장에서 발생된 폐아스콘을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골재저장부의 제1,2호퍼내에 하중지지패널이 더 설치되어 있어, 제1,2호퍼내 저장된 폐아스콘의 하중이 제1,2나선형 컨베이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2나선형 컨베이어에 의한 폐아스콘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폐아스콘이 압축공기에 의해 사이클론부 및 분사토출부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어, 폐아스콘의 이송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압력공기의 압력에 의해 폐아스콘이 분사토출부를 통해 분출되도록 되어 있어, 포트홀 등의 보수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폐이스콘이 압축공기와 함께 사이클론부를 통해 분사토출부로 공급되되, 사이클론부에 의한 압축공기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어, 폐아스콘이 설정압력조건에 맞추어 보수부위에 분사되도록 되게 되며, 이와 같은 압력공기의 압력조정에 의해, 폐아스콘의 비산현상이 방지되어, 작업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길이조절부에 의해 사이클론부 및 분사토출부가 약 4∼6m 내외의 작업반경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이동부의 작동없이도 넓은 범위에 대한 보수작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작업핸들의 일측에 작업을 조정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가 현장상황에 따라 신속하게 작업조건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분사토출부의 내부에 원형으로 설치된 복수의 바인더 내측노즐에 의해 폐아스콘에 바인더가 도포코팅되도록 되어 있어, 폐아스콘의 표면에 대한 바인더의 코팅효율이 향상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성을 보인 측면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성을 보인 평면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저장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저장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저장부의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공급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펼침상태)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접힘상태)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 제2링크의 연결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 제2링크의 작동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부 및 분사토출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내측노즐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을 이용한 보수작업을 보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이송부를 이용한 폐아스콘(골재)의 공급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이중스크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성을 보인 측면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성을 보인 평면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저장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저장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저장부의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공급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펼침상태)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접힘상태)를,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 제2링크의 연결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 제2링크의 작동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부 및 분사토출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내측노즐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3 은 본 발명을 이용한 보수작업을 보인 예시도를,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이송부를 이용한 폐아스콘(골재)의 공급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이중스크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바인더 저장부와 골재저장부가 이동부에 탑재되고, 바인더 저장부내 바인더와 골재저장부내의 폐아스콘이 사이클론부를 통해 분사토출부로 이송되며, 분사토출부내에서 폐아스콘의 표면에 바인더가 도포코팅된 후 분사토출부의 외부로 토출되되, 상기 사이클론부에 의해 폐아스콘을 이송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자동조절된 후, 자동조절된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토출부의 외부로 폐아스콘이 이송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액상바인더가 저장 및 이송시키는 바인더 저장부(100); 폐아스콘이 적재되는 제1,2호퍼를 구비하는 골재저장부(200); 골재저장부(200)의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폐아스콘을 이송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압공급부(300); 공압공급부에 연결설치되어 골재저장부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폐아스콘을 압축공기에 의해 이송하는 이송배관부(400); 바인더 저장부, 골재저장부 및 공압공급부가 탑재되는 베이스 프레임(800); 베이스 프레임에 일측단이 연결설치되고 이송배관부가 연결지지되는 길이조절부(500); 길이조절부의 타측단에 연결설치되고 이송배관부가 연결설치되는 사이클론부(600); 사이클론부(6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길이조절부(500)의 타측단에 연결설치되고 이송된 폐아스콘의 표면에 바인더 저장부(100)로부터 공급받은 바인더를 도포코팅하여 하부방향으로 토출시키는 분사토출부(700); 바인더 저장부(100), 골재저장부(200), 공압공급부(300), 이송배관부(400) 및, 길이조절부(500)에 의해 사이클론부(600)와 분사토출부(700)가 연결설치된 베이스 프레임(800)이 탑재되는 이동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 저장부(10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바인더가 투입, 저장되는 바인더탱크(110)와, 상기 바인더탱크(110)내에 설치되어 액상 바인더를 교반시키는 유압교반기(120)와, 바인더탱크(120)내의 액상 바인더를 소정온도로 가열 및 보온시키는 히팅부(130)와, 바인더탱크(120)내의 바인더를 분사토출부(700)로 이송시키는 바인더 이송펌프(140)를 포함한다.
상기 히팅부(130)는 전기식 가열방식 또는 버너식 가열방식 또는 열풍식 가열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인더탱크를 직접적으로 가열하기 보다는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간접가열방식의 히팅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인더 저장부(100)는 외부의 수분 또는 습기로부터 바인더탱크(110)내의 액상혼합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액상 바인더가 투입되는 투입구 즉, 바인터탱크의 투입구(111)에 이중커버(150)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중커버(15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더탱크의 투입구(111)에 설치되어 투입구를 직접적으로 개폐시키는 내부밀폐커버(151)와, 상기 내부밀폐커버(151)가 내포되도록 바인더탱크(110)에 설치되는 외부보호커버(15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인더 저장부(100)는 바인더탱크(110)에서 분사토출부(700)로 이송되는 바인더의 역류를 막기 위하여 바인더배관(160)에 역류방지형 필터(1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골재저장부(200)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플레이트(270)에 의해 분리형성되어 폐아스콘이 저장되는 제1,2호퍼(210,220)와, 상기 제1,2호퍼(210,2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제1,2호퍼(210,220)내 저장된 폐아스콘을 이송시키는 제1,2 나선형 컨베이어(230,240)와, 상기 제1,2 나선형 컨베이어(230,240)를 각각 구동시키는 구동부(2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골재저장부(200)는 중간플레이트(260)를 중심으로 양측에 제1,2호퍼(210,220)가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제1,2호퍼(210,220)내의 폐아스콘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제1,2호퍼(210,220)의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폐아스콘을 배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2 나선형 컨베이어(230,24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2호퍼(210,220)는 서로 다른 규격의 폐아스콘이 각각 저장될 수 있다. 일예로, 제1호퍼(210)에는 2∼5㎜ 규격의 폐아스콘이, 제2호퍼(220)에는 5∼10㎜ 규격의 폐아스콘이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호퍼(210,220)내에는 동일한 규격의 폐아스콘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2호퍼(210,220)내에 저장되는 폐아스콘은 하부에 설치된 제1,2 나선형 컨베이어(230,240)에 의해, 배출구(270)로 이송되어 배출구(270)와 연결된 이송배관부(400)를 통해 사이클론부(600)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1,2호퍼(210,220)내에 설치된 제1,2나선형 컨베이어(230,240)는 구동부(250)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거나, 구동부내에 각각의 모터를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별도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270)는 제1,2나선형 컨베이어(230,24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제1,2호퍼(210,220)내의 폐아스콘이 동시 또는 각각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270)에는 도 4, 도 5,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공급부(275)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균일공급부(275)는 배출구(270)로 공급된 폐아스콘이 이송배관부(400)로 일정량씩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상기 균일공급부(275)는 배출구(270)와 하우징몸체(278)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몸체(278)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물레방아 형식으로 이루어진 회전축(276)이 회전구동부(277)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되어 배출구(270)로부터 배출된 폐아스콘을 하우징몸체(278)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결설치된 이송배관부(400)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호퍼(210,220)내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나선형 컨베이어(230,240)에 의한 폐아스콘의 이송력이 일정하도록 또한 이송력이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하중지지패널(280)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중지지패널(280)은 제1,2나선형 컨베이어(230,240) 상측에 위치하도록 제1,2호퍼(210,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2호퍼(210,220)내에 저장된 폐아스콘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제1,2나선형 컨베이어(230,24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폐아스콘의 하중으로 인한 제1,2나선형 컨베이어(230,240)의 작동력 저하 및 고장발생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하중지지패널(280)은 소정의 경사를 구비하는 제1,2호퍼(210,220)의 내측경사면(211,221)과 중간플레이트(260)에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제1,2호퍼의 내측경사면(211,221)과 하중지지패널(280) 사이공간 및, 하중지지패널(280)과 중간플레이트(260) 사이공간을 통해 폐아스콘이 제1,2나선형 컨베이어(230,240)로 자중에 의해 이송되도록 복수의 지지대(281)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하중지지패널(280)은 '∧'자 형상의 단면구조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단면구조에 의해 하중지지패널(280) 상측에 폐아스콘이 적재되지 않고, 하중지지패널(280)의 양측으로 흘러내려 이송되게 된다.
상기 골재저장부(200)는 제1,2호퍼(210,220)내로 비산먼지 및 빗물 등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호퍼덮개(290)가 더 설치되어, 제1,2호퍼(210,220)내 폐아스콘이 적정 수분함수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압공급부(300)는 골재저장부의 배출구(270)와 연통되도록 연결설치되어, 배출구(270)를 통해 배출되는 폐아스콘을 압축공기에 의해 사이클론부(600)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공압공급부(30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생성기(310)와, 상기 압축공기생성기(310)에 일측이 연결설치되고 타측이 골재저장부의 배출구(27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이송시키는 공기이송관(320)을 포함한다. 상기 압축공기 생성기(310)는 공기압축기, 블로어 등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압공급부(300)의 압축공기 생성기(310) 및 바인더 저장부(100)의 이송펌프(140) 및 필터(160) 등은 모두 골재저장부의 하우징(201) 내부 즉, 제1,2호퍼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01)내에 설치되고, 작동시에는 하우징(201)의 도어(도시없음)를 오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도시없음)는 상부방향으로 오픈되는 윙도어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배관부(400)는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이 공압공급부(300)의 공기이송관(320) 및 골재저장부(200)의 배출구(270) 또는 배출구(270)에 연결된 균일공급부(275)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사이클론부(6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출구(270)를 통해 배출된 폐아스콘을 공기이송관(320)을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사이클론부(600)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이송배관부(400)는 길이가변 및 폐아스콘의 이송시 소음발생이 없도록 후렉시블한 합성수지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간부분이 길이조절부(500)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송배관부(400)는 압축공기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공기이송관(320)과 일자형으로 연통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골재저장부의 배출구(270)는 공기이송관(320) 및 이송배관부(400)에 수직되도록 연결되어, 폐아스콘이 자중에 의해 공기이송관(320)과 이송배관부(400)의 연결부위내로 공급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사이클론부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이송배관부(400)와 공기이송관(320) 및 골재저장부의 배출구(270) 또는 균일공급부(275)는 ⊥자 형상으로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500)는 링크구조에 의해 약 4∼5m의 범위내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사이클론부(600) 및 분사토출부(70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500)는 베이스 프레임(800)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링크(510)와, 제1링크(5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승하강실린더(550)가 설치된 연결링크(530)와, 연결링크(530)에 일단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승하강 실린더(550)의 로드에 연결설치되는 제2링크(520)와, 제2링크(520)에 일단이 연결되고 사이클론부(600) 및 분사토출부(700)를 지지하는 고정링크(5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링크(51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800)의 끝단프레임(85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연결링크(530)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링크(510)는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고, 그 후단부(511) 즉, 연결링크(530)와 연결되는 후단부(511)가 연결링크(530)의 절첩시, 제1링크(510)에 연결링크(530) 및 제2링크(520)가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절첩되도록, 소정의 경사각으로 절곡되어 꺽여진 형상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1링크의 후단부(511)는 제1,2링크(510,520)와 연결링크(530)가 베이스 프레임(800) 측으로 절첩되어 고정될 시,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방향(베이스 프레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으로 절곡되어 꺽여진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510)는 상측에 이송배관부(400)를 가이드 및 지지하는 배관지지대(56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관지지대(560)는 제1링크(510)에 연결지지되는 복수의 연결대(561)와, 상기 연결대(561)에 의해 지지되고 이송배관부(400)가 관통되는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대(56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561)는 소정의 경사를 구비하며 제1링크(510)에 연결설치되어, 베이스 프레임(800)측으로 제1,2링크(510,520) 및 연결링크(530)가 절첩되어 고정될 시, 제1링크(510)의 일측에 위치하게 되는 제2링크(520)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베이스프레임(80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소정의 경사를 구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대(561)와 제1링크의 후단부(511)는 제1링크(510)가 베이스 프레임(800)에 고정보관될 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 및 형성되어 절첩시, 제1,2링크(510,520), 연결링크(530) 및 이송배관부(400) 간에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링크(530)는 제1링크(510)와 제2링크(520)를 연결하고, 제2링크(520)가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연결링크(530)는 도 7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이 제1링크(510)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측에 제2링크(52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타측단에 제2링크(520)와 로드(551)가 연결된 승하강실린더(550)가 연결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결링크(530)는 제2링크(520)의 힌지연결부위에 보호지지대(531)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지지대(531)에는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제1링크(510)와 연결링크(530)의 회전시, 제1링크(510)와 연결링크(530)의 힌지결합부위로 바인더 공급호스, 물 공급호스, 탑코팅액 공급호스 및 각종 제어관련 케이블의 낌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반경지지대(532)가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의 보호지지대(531) 상측 및 하측에는 이송배관부(400)가 관통되는 배관지지링(570) 및, 각종 공급호스가 삽입관통되는 호스지지링(571)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관지지링(570) 및 호스지지링(571)은 제1,2링크(510,520)와 연결링크(530)가 각각의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회전될 시, 제1,2링크(510,520)의 좌우회전방향에 맞추어 이송배관부(400) 및 각종 공급호스가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상기 배관지지링(570)은 배관지지대(560)와 함께 이송배관부(400)를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호스지지링(571)은 각종 공급호스를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제2링크(520)는 도 7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크(530)와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일측단이 힌지결합되고, 연결링크(530)에 설치된 승하강실린더(550)의 로드(551)가 연결설치되어, 승하강실린더(550)의 작동에 의해 타측단에 연결설치된 고정링크(540)와 사이클론부(600) 및 분사토출부(7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링크(520)는 단일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고정링크(540)와 사이클론부(600) 및 분사토출부(700)의 견고한 지지력을 위하여 트러스 구조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링크(520)는 연결링크(530)에 일측단이 상하회전되도록 힌지연결되고 승하강실린더가 연결설치되는 힌지링크(521)와, 상기 힌지링크(521)로부터 분기되어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내/외측링크(522,523)와, 상기 내/외측링크(522,523)에 연결설치되어 내/외측링크(522,523)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링크(524)를 포함하여, 내/외측링크(522,523)의 끝단에 고정링크(540)의 양측이 연결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크(540)는 도 7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520) 및 상기 제2링크(520)와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평형유지대(580)에 의해 연결링크(530)와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링크(540), 연결링크(530), 제2링크(520) 및 평형유지대(580)는 평행사변형 링크구조를 구비하도록 서로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링크구조에 의해 제2링크(520)의 타측단에 힌지연결설치된 고정링크(540)가 승하강실린더(550)에 의해 상하이동되더라도, 고정링크(540)에 연결설치된 사이클론부(600)는 설정된 각도가 유지되면서 상하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평형유지대(580)는 턴버클 방식과 같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2링크의 내/외측링크(522,523)와 평행하도록 또한 내/외측링크(522,52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양단이 연결링크(530)와 고정링크(540)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다. 일예로, 상기 평형유지대(580)는 일측단이 연결링크(530)의 보호지지대(531)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고정링크(540)의 상단부분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길이조절부(500)는 보수작업 미진행 또는 이동부에 의한 이동 등의 장치의 미작동시에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의 끝단프레임(850)에 제1링크(510)가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또한, 제2링크(520)가 연결링크(530)에 의해 제1링크(510)의 일측에 거의 평행하도록 절첩되고, 보수작업 진행에 따른 장치의 작동시에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위치에 따라 제1,2링크(510,520)가 길게 펼쳐져 약 4∼5m의 범위내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사이클론부(600) 및 분사토출부(700)가 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500)는 보수작업 미진행 또는 이동부에 의한 이동 등의 장치의 미작동시에는,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설치된 제1,2록킹부(810,820)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의 끝단프레임(850)에 길이조절부(500)의 제1,2링크(510,520) 위치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록킹부(810)는 길이조절부의 제1링크(510) 위치를 구속하는 것으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의 끝단프레임(850)에 고정설치되는 록킹브래킷(811)과, 상기 록킹브래킷(811)에 실린더몸체 끝단이 연결설치되는 록킹실린더(812)와, 록킹브래킷(811)에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록킹실린더(812)의 로드가 중간부위에 연결설치되며, 하측에 길이조절부의 제1링크(510)가 삽입되는 록킹홈(814)이 형성된 후크(81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록킹부(810)는 록킹실린더(812)의 작동에 의해 후크(813)가 회전작동되어 제1링크(510)로부터 록킹홈(814)이 분리됨으로써 제1링크(510)에 대한 구속이 해제된다.
또한, 상기 제1록킹부(810)는 후크(813)의 일측 즉, 제1링크(510) 방향의 후크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제1링크(510)가 베이스 프레임(800)과의 힌지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후크(813)에 접촉될 경우, 제1링크(510)의 회전력에 의해 후크(813)가 록킹실린더(812)를 압축하며 상향회전되고, 후크의 록킹홈(814)내로 제1링크(510)가 위치하게 되면 록킹실린더(812)의 힘에 의해 후크(813)가 자동으로 하향회전되어 후크의 록킹홈(814)내로 제1링크(510)가 삽입되게 됨으로써, 제1링크(510)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제2록킹부(820)는 길이조절부의 제2링크(520) 위치를 구속하는 것으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의 끝단프레임(850)에 고정설치되어 제2링크(520)의 일측이 안착되는 안착브래킷(821)과, 상기 안착브래킷(821)에 연결설치되어 제2링크(520)에 끼움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핀(82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800)에는 길이조절부(500)의 록킹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록킹부(83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록킹부(83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의 끝단프레임(850)에 설치되고, 상판(832)과 하판(833) 사이로 길이조절부의 제1링크(510)가 삽입되는 가이드브래킷(831)과, 가이드브래킷의 상판(832)과 하판(833)에 수직설치되는 수직고정핀(834)을 포함한다. 즉, 상기 보조록킹부(830)는 가이드브래킷의 상/하판(832,833) 사이로 길이조절부의 제1링크(510)가 삽입되면, 작업자가 수직고정핀(834)을 가이드브래킷의 상/하판(832,833)에 수직설치하여, 가이드브래킷(831)으로부터 제1링크(510)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800)에는 분사토출부(700)의 하단이 끼움설치되어 지지되는 하단지지부(84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지지부(84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800)에 고정설치되는 하단지지대(841)와 상기 하단지지대(841)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분사토출부(700)의 하단이 끼움설치되는 원통지지대(842)와, 상기 원통지지대(842)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단지지대(841)에 일체로 설치되는 받이지지통(843)을 포함한다.
즉, 상기 하단지지부(840)는 길이조절부(500)의 절첩시, 분사토출부(700)의 하단이 원통지지대(842)내로 끼움삽입되어 분사토출부(700)가 흔들림 없이 지지되고, 분사토출부(700)로부터 바인더 등의 잔유물이 미량이라도 흘러내리게 되더라도 하측에 설치된 받이지지통(843)내에 잔유물이 저장되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사이클론부(600)는 폐아스콘을 이송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여, 폐아스콘에 대한 바인더의 코팅효율을 향상시키고, 분사토출부(700)로 토출되는 폐아스콘의 토출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상기 사이클론부(600)는 폐아스콘이 보수부위에 천천히 분사되도록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사이클론부(600)는 도 7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의 고정링크(540)에 하측이 고정설치되고, 상단 측면방향으로 이송배관부(400)가 연결되어, 압축공기와 함께 폐아스콘이 내부로 이송공급되도록 구성된 사이클론 호퍼(610)와, 사이클론 호퍼(610)의 상측에 형성된 압력배출구(611)에 연결설치되고 압력배출구(611)의 개폐를 통해 사이클론 호퍼(610)내부로 공급된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조절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공압조절부(620)는 압력배출구(611)를 개폐시키는 밀폐커버(621)와, 상기 밀폐커버(621)를 승하강시키는 공압실린더(622)와, 상기 공압실린더(622)를 지지하도록 압력배출구(611)에 연결설치되는 실린더브래킷(6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부(600)는, 사이클론 호퍼(610)내로 이송공급되는 폐아스콘과 압축공기가 사이클론 호퍼(610)내에서 원심력이 발생되도록 이송배관부(400)가 사이클론 호퍼(610)의 일측에 치우쳐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사이클론 호퍼(610)의 하측이 분사토출부(700)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사이클론 호퍼(610)내로 이송된 폐아스콘은 중력하강에 비하여 중력의 수백배에 이르는 원심력에 의해 폐아스콘의 작은 미립자까지 분사토출부(700) 방향으로 이송되게 되며, 공압조절부(620)에 의한 사이클론 호퍼의 압력배출구(611)의 오픈시, 오픈된 압력배출구(611)를 통해 압축공기만 토출되어, 분사토출부(700) 방향으로 폐아스콘을 이송하는 공기의 압력이 조절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이클론부(600)의 상측에는 작업핸들(740)을 잡고 있는 작업자와 공압조절부(620) 사이에 위치하도록 보호패널(640)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패널(640)은 공압조절부(620)에 의한 압력배출구(611)의 개방시, 압력배출구(61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압력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이클론부(600)는, 분사토출부(700) 방향으로 이송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여, 보수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폐아스콘을 이송한 압축공기의 압력이 클 경우, 분사토출부(700)로 고압의 압축공기와 함께 폐아스콘이 그대로 분출되게 되므로, 보수대상부위내로 폐아스콘이 충전되는 것이 아니라, 압축공기의 고압에 의해 포장도로(50)의 포트홀, 망상균열, 길어깨 파손, 종방향 균열 등의 보수대상부위(51)에 폐아스콘이 부딪힌 후 주위로 퍼지게 되어, 보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 못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아스콘을 이송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줄이게 될 경우, 폐아스콘의 중량에 의해 폐아스콘의 이송량이 저하될 뿐 아니라, 이송배관부내에 폐아스콘이 이송되지 못하고 쌓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골재저장부에서 분사토출부까지 폐아스콘을 이송하기 위한 압축공기의 압력을 줄이는 것에 한계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길이조절부(500)에 의해 분사토출부(700)가 약 4∼6m 정도의 작업반경범위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이송배관부(400) 역시 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폐아스콘을 이송하기 위한 압축공기의 압력이 작을 경우, 폐아스콘의 이송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폐아스콘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서는 압축공기가 고압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클론부(600)는, 작업반경에 따른 길이조절부(500)의 길이, 폐아스콘의 이송력 등을 고려한 것으로, 골재저장부(200)에서 사이클론부(600)까지 폐아스콘을 이송하기 위한 압축공기는 고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폐아스콘의 이송력은 향상시키고, 사이클론부(600)에서 분사토출부(700)로 폐아스콘을 이송토출시키는 압축공기는 공압조절부(620)에 의해 설정압력 이상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자동조정되어 분사토출부(700)를 통과하는 폐아스콘에 대한 바인더의 코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바인더가 코팅된 폐아스콘의 토출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보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이클론부(600)는 사이클론 호퍼(610)의 일측에 개폐가 가능한 호퍼도어(630)가 설치되어 있어, 호퍼도어(630)에 의해 내부청소작업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분사토출부(700)는 도 7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의 바인더노즐이 설치된 분사헤드(710)와, 분사헤드(710)와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사이클론부(600)에 연결되는 후렉시블 재질의 연결호스(720)와, 분사헤드(710)를 길이조절부의 고정링크(540)에 연결지지하고 분사헤드(710)에 다방향 회전자유도를 부여하는 방향조정링크(730)와, 방향조정링크(730)에 연결설치되어 분사헤드(710)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핸들(740)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헤드(710)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호스(720)와 연결설치되어 이송된 폐아스콘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중앙토출구(711)와, 상기 중앙토출구(711)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방향조정링크(730)가 연결설치되는 헤드몸체(712)와, 상기 중앙토출구(711)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헤드몸체(712)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인더 내측노즐(713)을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 내측노즐(713)은 중앙토출구(711)를 통해 토출되는 폐아스콘의 표면에 바인더를 분사도포하여 코팅시키는 것으로, 일정간격을 구비하고 중앙토출구의 중심(O)에서 각각의 중심선(C.L)이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인더 내측노즐(713)의 설치는 중앙토출구(711)의 내부에 바인더가 도포되지 않는 사각지역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여 폐아스콘에 바인더가 균질코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바인더 내측노즐(713)은 수평방향으로 바인더를 분사하는 것보다는 하향 경사지게 바인더가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인더 내측노즐(713)은 그 개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3∼10개, 바람직하게는 약 6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분사헤드(710)는 탑코팅용 코팅액이 공급되어 분사되는 탑코팅노즐(750)과, 물이 공급되어 분사되는 물분사노즐(760) 및, 바인더가 공급되어 분사되는 바인더 외측노즐(770)이 외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더 연결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내측노즐(713), 바인더 외측노즐(770), 탑코팅노즐(750), 물분사노즐(760)에 연결되도록 분사헤드(710) 일측에 각각의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밸브에 의한 노즐의 분사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개폐밸브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부호가 추가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기 연결호스(720)는 신축 및 탄성을 구비하는 후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이 사이클론부의 사이클론 호퍼(610)에 연결설치되고, 하단이 분사헤드(710) 즉, 분사헤드의 중앙토출구(711)에 연결설치된다. 상기 연결호스(720)는 그 타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주름관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조정링크(730)는, 고정링크(540)에 양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원형링크(731)와, 상기 원형링크(731)에 상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단이 분사헤드(710)에 고정설치되며 작업핸들(740)이 연결설치되는 좌/우측링크(732,733)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방향조정링크(730)는 고정링크(540)에 양측이 연결된 원형링크(731)가 좌우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원형링크(731)를 중심으로 좌/우측링크(732,733)가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좌우방향, 전우방향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작업핸들을 잡는 작업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상기 작업핸들(740)은 방향조정크의 좌/우측링크(732,733)에 양단이 연결되고, 일측에 컨트롤러(747)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가 작업핸들(740)을 잡고 보수작업을 진행할 시, 현장상황에 맞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어 즉, 압축공기의 생성/이송/분사, 폐아스콘의 공급/이송/살포, 바인더의 이송/분사, 택코팅액의 살포, 사이클론부의 작동설정 등등에 대한 제어 및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작업핸들(740)은 작업자가 작업핸들(740)을 잡고 포트홀 등의 포장도로 보수대상부위(51)에 맞추어 분사토출부의 중앙토출구(711) 위치 및 각도를 이동/조정하게 되면, 방향조정링크(730) 및 연결호스(720)에 의해 분사토출부(700)의 위치 및 각도가 자유롭게 조정된다.
즉, 상기 분사토출부(700)는 방향조정링크(730)에 의해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분사토출부(700)가 연결설치된 길이조절부의 고정링크(540)는, 승하강실린더(550)에 의해 연결링크(530)를 중심으로 상하이동되는 제2링크(520)에 연결설치되어 있어, 분사토출부(700)가 다방향 자유회전도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900)는 자체 주행수단이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즉, 상기 이동부는 엔진에 의해 이동되는 운송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저장부(100), 골재저장부(200) 및 공압공급부(300)가 탑재되고, 분사토출부(700), 사이클론부(600)가 길이조절부(500)에 의해 연결설치된 베이스 프레임(800)이 탑재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이동이 가능한 것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900)에는 바인더 저장부(100), 골재저장부(200) 및 공압공급부(300)가 탑재되고, 분사토출부(700), 사이클론부(600)가 길이조절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50)가 탑재되며, 상기 제어부(950)는 베이스 프레임(800)에 탑재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10)는, 골재저장부(200)내로 폐아스콘을 분리선별 및 저장하여 이동부(900)에 의해 작업현장으로 이동하여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한 이물질제거, 바인더 도포, 폐아스콘(골재) 충전, 탭코팅 분사도포 등등에 의해 보수대상부위에 대한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10)는, 도 14 내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 발생된 폐아스콘을 선별이송부(20)에 의해 분리선별하여 골재저장부(200)로 공급저장한 후, 현장에서 바로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10)는 선별이송부(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선별이송부(20)는 폐아스콘이 공급되는 선별호퍼(21)와, 상기 선별호퍼 하측에 설치되어 선별호퍼(21)내 폐아스콘을 일방향 이송시키는 호퍼컨베이어(22)와, 상기 호퍼컨베이어(22)에 의해 폐아스콘을 공급받고 입도에 따라 분리선별하여 배출하는 진동 이중스크린(23)과, 상기 진동 이중스크린(23)에 의해 입도별로 분리선별된 폐아스콘을 각각 공급받아 골재저장부(200)의 제1,2호퍼(210,220)로 각각 이송시키는 제1,2이송컨베이어(24,25)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 이중스크린(23)은 호퍼컨베이어로부터 폐아스콘이 상측으로 공급되는 제1스크린(26)과, 상기 제1스크린(26)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제1스크린(26)을 통과한 폐아스콘이 공급되는 제2스크린(27)과, 상기 제1,2스크린(26,27)이 설치되는 스크린지지대(28)와, 상기 스크린지지대(28)에 연결설치되어 제1,2스크린(26,27)을 진동시키는 진동부(23a)를 포함하되, 상기 제1,2스크린(26,27)에 의해 선별된 폐아스콘은 스크린하우징(28) 일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제1,2배출구(28a,28b)를 통해 제1,2이송컨베이어(24,25)로 각각 분리배출되고, 제2스크린을 통과한 폐아스콘은 제3이송컨베이어(29)를 통해 별도로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즉, 서로 다른 입도의 폐아스콘을 선별하기 위한 제1,2스크린(26,27)이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일측에 연결설치된 진동부(23a)에 의해 제1,2스크린(26,27)에 진동이 발생되어 폐아스콘이 넓게 펴짐과 동시에 선별되며, 제1,2스크린(26,27)에 선별분리된 폐아스콘 즉, 제1스크린(26)상의 폐아스콘은 제1배출구(28a)를 통해 제1이송컨베이어(24)로, 제2스크린(27)상의 폐아스콘은 제2배출구(28b)를 통해 제2이송컨베이어(25)로 각각 분리이송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선별이송부(20)는 선별호퍼(21)로부터 진동 이중스크린(23)으로 공급된 폐아스콘이, 제2스크린(27)에 의해 2∼5㎜, 제1스크린(26)에 의해 5∼10㎜ 입도로 동시에 분리선별되고, 2∼5㎜ 입도의 폐아스콘은 제2스크린(27)을 따라 제2경사판(27a)에 의해 제2배출구(28b)로 이동되어 제2이송컨베이어(25)에 의해 골재저장부의 제2호퍼(220)내로 이송공급되며, 5∼10㎜ 입도의 폐아스콘은 제1스크린(26)을 따라 제1경사판(26a)에 의해 제1배출구(28a)로 이동되어 제1이송컨베이어(24)에 의해 골재저장부의 제1호퍼(210)내로 이송공급된다.
또한, 제2스크린(27)을 통과한 2㎜ 미만의 폐아스콘은 제3이송컨베이어(29)를 통해 이송되어 별도 저장된다. 상기 폐아스콘의 입도는 선별이송부의 작동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폐아스콘의 입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미설명부호 23b 는 진동 이중스크린의 커버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폐아스콘을 중심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상기 폐아스콘에 신규골재가 혼합되도록 즉, 골재저장부에 폐아스콘과 신규골재가 분리 또는 혼합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폐아스콘 이외에 골재만을 사용하여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스프레이 패칭장치 (20) : 선별이송부
(21) : 선별호퍼 (22) : 호퍼컨베이어
(23) : 진동 이중스크린 (23a) : 진동부
(24) : 제1이송컨베이어 (25) : 제2이송컨베이어
(26) : 제1스크린 (26a) : 제1경사판
(27) : 제2스크린 (27a) : 제2경사판
(28) : 스크린하우징 (28a) : 제1배출구
(28b) : 제2배출구 (29) : 제3이송컨베이어
(100) : 바인더 저장부 (110) : 바인더탱크
(111) : 투입구 (120) : 유압교반기
(130) : 히팅부 (140) : 바인더 이송펌프
(150) : 이중커버 (151) : 내부커버
(152) : 외부커버 (200) : 골재저장부
(210) : 제1호퍼 (211,221): 내측경사면
(220) : 제2호퍼 (230) : 제1나선형 컨베이어
(240) : 제2나선형 컨베이어 (250) : 구동부
(260) : 중간플레이트 (270) : 배출구
(275) : 균일공급부 (276) : 회전축
(277) : 회전구동부 (278) : 하우징몸체
(280) : 하중지지패널 (281) : 지지대
(290) : 호퍼덮개 (300) : 공압공급부
(310) : 압축공기 생성부 (320) : 공기이송관
(400) : 이송배관부 (500) : 길이조절부
(510) : 제1링크 (511) : 후단부
(520) : 제2링크 (521) : 힌지링크
(522) : 내측링크 (523) : 외측링크
(524) : 지지링크 (530) : 연결링크
(531) : 보호지지대 (532) : 반경지지대
(540) : 고정링크 (550) : 승하강실린더
(551) : 로드 (560) : 배관지지대
(561) : 연결대 (562) : 가이드대
(570) : 배관지지링 (571) : 호스지지링
(580) : 평형유지대 (600) : 사이클론부
(610) : 사이클론 호퍼 (611) : 압력배출구
(620) : 공압조절부 (621) : 밀폐커버
(622) : 공압실린더 (623) : 실린더 브래킷
(630) : 호퍼도어 (640) : 보호패널
(700) : 분사토출부 (710) : 분사헤드
(711) : 중앙토출구 (712) : 헤드몸체
(713) : 바인더 내측노즐 (720) : 연결호스
(730) : 방향조정링크 (731) : 원형링크
(732) : 좌측링크 (733) : 우측링크
(740) : 작업핸들 (747) : 컨트롤러
(750) : 탑코팅노즐 (760) : 물분사노즐
(770) : 바인더 외측노즐 (800) : 베이스프레임
(810) : 제1록킹부 (811) : 록킹브래킷
(812) : 록킹실린더 (813) : 후크
(814) : 록킹홈 (820) : 제2록킹부
(821) : 안착브래킷 (822) : 고정핀
(830) : 보조록킹부 (831) : 가이드 브래킷
(832) : 상판 (833) : 하판
(834) : 수직고정핀 (840) : 하단지지부
(841) : 하단지지대 (842) : 원통지지대
(843) : 받이지지통 (900) : 이동부

Claims (14)

  1. 바인더 저장부와 골재저장부가 이동부에 탑재되고, 바인더 저장부내 바인더와 골재저장부내의 폐아스콘이 사이클론부를 통해 분사토출부로 이송되며, 분사토출부내에서 폐아스콘의 표면에 바인더가 도포코팅된 후 분사토출부의 외부로 토출되되,
    상기 사이클론부(600)는, 길이조절부의 고정링크(540)에 하측이 고정설치되고, 상단 측면방향으로 이송배관부(400)가 연결되어, 압축공기와 함께 폐아스콘이 내부로 이송공급되도록 구성된 사이클론 호퍼(610)와, 사이클론 호퍼(610)의 상측에 형성된 압력배출구(611)에 연결설치되고 압력배출구(611)의 개폐를 통해 사이클론 호퍼(610)내부로 공급된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조절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조절부(620)는, 압력배출구(611)를 개폐시키는 밀폐커버(621)와, 상기 밀폐커버(621)를 승하강시키는 공압실린더(622)와, 상기 공압실린더(622)를 지지하도록 압력배출구(611)에 연결설치되는 실린더브래킷(623)을 포함하도록 하여,
    사이클론부에 의해 폐아스콘을 이송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자동조절된 후, 자동조절된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토출부의 외부로 폐아스콘이 이송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는,
    액상바인더가 저장 및 이송시키는 바인더 저장부(100);
    폐아스콘이 적재되는 제1,2호퍼를 구비하는 골재저장부(200);
    골재저장부(200)의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폐아스콘을 이송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압공급부(300);
    공압공급부에 연결설치되어 골재저장부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폐아스콘을 압축공기에 의해 이송하는 이송배관부(400);
    바인더 저장부, 골재저장부 및 공압공급부가 탑재되는 베이스 프레임(800);
    베이스 프레임에 일측단이 연결설치되고 이송배관부가 연결지지되는 길이조절부(500);
    길이조절부의 타측단에 연결설치되고 이송배관부가 연결설치되는 사이클론부(600);
    사이클론부(6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길이조절부(500)의 타측단에 연결설치되고 이송된 폐아스콘의 표면에 바인더 저장부(100)로부터 공급받은 바인더를 도포코팅하여 하부방향으로 토출시키는 분사토출부(700);
    바인더 저장부(100), 골재저장부(200), 공압공급부(300), 이송배관부(400) 및, 길이조절부(500)에 의해 사이클론부(600)와 분사토출부(700)가 연결설치된 베이스 프레임(800)이 탑재되는 이동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바인더 저장부(100)는, 액상 바인더가 투입, 저장되는 바인더탱크(110)와, 상기 바인더탱크(110)내에 설치되어 액상 바인더를 교반시키는 유압교반기(120)와, 바인더탱크(120)내의 액상 바인더를 소정온도로 가열 및 보온시키는 히팅부(130)와, 바인더탱크(120)내의 바인더를 분사토출부(700)로 이송시키는 바인더 이송펌프(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골재저장부(200)는 중간플레이트(270)에 의해 분리형성되어 폐아스콘이 저장되는 제1,2호퍼(210,220)와, 상기 제1,2호퍼(210,2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제1,2호퍼(210,220)내 저장된 폐아스콘을 배출구(270)로 이송시키는 제1,2 나선형 컨베이어(230,240)와, 상기 제1,2 나선형 컨베이어(230,240)를 각각 구동시키는 구동부(250)를 포함하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270)에는 균일공급부(275)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균일공급부(275)는, 배출구(270)와 하우징몸체(278)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몸체(278)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물레방아 형식으로 이루어진 회전축(276)이, 회전구동부(277)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되어 배출구(270)로부터 배출된 폐아스콘이 하우징몸체(278)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결설치된 이송배관부(400)로 일정량씩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6. 청구항 4 에 있어서;
    제1,2호퍼(210,220)내에는, 제1,2나선형 컨베이어(230,240)에 의한 폐아스콘의 이송력이 일정하도록 또한 이송력이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하중지지패널(28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길이조절부(500)는, 베이스 프레임(800)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링크(510)와, 제1링크(5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승하강실린더(550)가 설치된 연결링크(530)와, 연결링크(530)에 일단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승하강 실린더(550)의 로드에 연결설치되는 제2링크(520)와, 제2링크(520)에 일단이 연결되고 사이클론부(600) 및 분사토출부(700)를 지지하는 고정링크(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분사토출부(700)는, 내부에 복수의 바인더노즐이 설치된 분사헤드(710)와, 분사헤드(710)와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사이클론부(600)에 연결되는 후렉시블 재질의 연결호스(720)와, 분사헤드(710)를 길이조절부의 고정링크(540)에 연결지지하고 분사헤드(710)에 다방향 회전자유도를 부여하는 방향조정링크(730)와, 방향조정링크(730)에 연결설치되어 분사헤드(710)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핸들(7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분사헤드(710)는, 연결호스(720)와 연결설치되어 이송된 폐아스콘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중앙토출구(711)와, 상기 중앙토출구(711)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방향조정링크(730)가 연결설치되는 헤드몸체(712)와, 상기 중앙토출구(711)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헤드몸체(712)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인더 내측노즐(7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12. 청구항 10 에 있어서;
    방향조정링크(730)는, 고정링크(540)에 양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원형링크(731)와, 상기 원형링크(731)에 상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단이 분사헤드(710)에 고정설치되며 작업핸들(740)이 연결설치되는 좌/우측링크(732,7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10)는, 선별이송부(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선별이송부(20)는 폐아스콘이 공급되는 선별호퍼(21)와, 상기 선별호퍼 하측에 설치되어 선별호퍼(21)내 폐아스콘을 일방향 이송시키는 호퍼컨베이어(22)와, 상기 호퍼컨베이어(22)에 의해 폐아스콘을 공급받고 입도에 따라 분리선별하여 배출하는 진동 이중스크린(23)과, 상기 진동 이중스크린(23)에 의해 입도별로 분리선별된 폐아스콘을 각각 공급받아 골재저장부(200)의 제1,2호퍼(210,220)로 각각 이송시키는 제1,2이송컨베이어(24,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14. 청구항 13 에 있어서;
    진동 이중스크린(23)은, 호퍼컨베이어로부터 폐아스콘이 상측으로 공급되는 제1스크린(26)과, 상기 제1스크린(26)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제1스크린(26)을 통과한 폐아스콘이 공급되는 제2스크린(27)과, 상기 제1,2스크린(26,27)이 설치되는 스크린지지대(28)와, 상기 스크린지지대(28)에 연결설치되어 제1,2스크린(26,27)을 진동시키는 진동부(23a)를 포함하되, 상기 제1,2스크린(26,27)에 의해 선별된 폐아스콘은 스크린하우징(28) 일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제1,2배출구(28a,28b)를 통해 제1,2이송컨베이어(24,25)로 각각 분리배출되고, 제2스크린을 통과한 폐아스콘은 제3이송컨베이어(29)를 통해 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KR1020160044040A 2016-04-11 2016-04-11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KR101681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040A KR101681963B1 (ko) 2016-04-11 2016-04-11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040A KR101681963B1 (ko) 2016-04-11 2016-04-11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963B1 true KR101681963B1 (ko) 2016-12-02

Family

ID=5757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040A KR101681963B1 (ko) 2016-04-11 2016-04-11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96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4094A (en) * 2016-09-20 2018-03-28 Archway Products Ltd Dispensing head for road repair vehicle
CN109208431A (zh) * 2017-07-06 2019-01-15 吉林省嘉鹏集团有限公司 沥青路面就地热再生分层加热方法
CN109610276A (zh) * 2018-12-17 2019-04-12 徐俊 一种道路两旁拦水带沥青涂抹成型机
CN111074728A (zh) * 2019-12-13 2020-04-28 陈嘉宇 一种市政用道路沥青铺设装置
KR102189689B1 (ko) * 2020-03-13 2020-12-17 이금선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20210051440A (ko) * 2019-10-30 2021-05-10 한대규 포장도로 균열 보수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 균열 보수 방법
CN113215933A (zh) * 2021-05-10 2021-08-06 昆山鹿通路桥养护有限公司 一种路面维护装置及维护方法
KR102326650B1 (ko) * 2020-06-11 2021-11-15 권성혁 도로 포장용 유제 살포 장치
KR20220055660A (ko) * 2020-10-27 2022-05-04 경 곤 김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CN116876319A (zh) * 2023-08-24 2023-10-13 广东腾昊建设工程有限公司 基于视觉检测自动调节出料范围的市政沥青填补装置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922A (ja) * 1989-07-06 1991-02-20 Nissan Motor Co Ltd アナログ/ディジタル変換器を含むファジィ推論回路
JPH0745626Y2 (ja) * 1989-11-24 1995-10-18 小野田ケミコ株式会社 軟弱地盤改良用固化材散布機
JP2004211547A (ja) * 2004-03-25 2004-07-29 Tohoku Regional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路面補修装置
KR100843766B1 (ko) * 2008-02-05 2008-07-04 (주)옥련건설 도로 보수용 아스콘 보온배출장치
KR200454948Y1 (ko) 2009-06-09 2011-08-05 정운규 가열기 탑재형 이동식 도로 복구장치
KR20150127428A (ko) 2014-05-07 2015-11-17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도로 포장면의 단면 포트홀 보수 포장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922A (ja) * 1989-07-06 1991-02-20 Nissan Motor Co Ltd アナログ/ディジタル変換器を含むファジィ推論回路
JPH0745626Y2 (ja) * 1989-11-24 1995-10-18 小野田ケミコ株式会社 軟弱地盤改良用固化材散布機
JP2004211547A (ja) * 2004-03-25 2004-07-29 Tohoku Regional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路面補修装置
KR100843766B1 (ko) * 2008-02-05 2008-07-04 (주)옥련건설 도로 보수용 아스콘 보온배출장치
KR200454948Y1 (ko) 2009-06-09 2011-08-05 정운규 가열기 탑재형 이동식 도로 복구장치
KR20150127428A (ko) 2014-05-07 2015-11-17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도로 포장면의 단면 포트홀 보수 포장공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4094A (en) * 2016-09-20 2018-03-28 Archway Products Ltd Dispensing head for road repair vehicle
CN109208431A (zh) * 2017-07-06 2019-01-15 吉林省嘉鹏集团有限公司 沥青路面就地热再生分层加热方法
CN109610276A (zh) * 2018-12-17 2019-04-12 徐俊 一种道路两旁拦水带沥青涂抹成型机
KR20210051440A (ko) * 2019-10-30 2021-05-10 한대규 포장도로 균열 보수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 균열 보수 방법
KR102251019B1 (ko) * 2019-10-30 2021-05-11 한대규 포장도로 균열 보수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포장도로 균열 보수 방법
CN111074728A (zh) * 2019-12-13 2020-04-28 陈嘉宇 一种市政用道路沥青铺设装置
KR102189689B1 (ko) * 2020-03-13 2020-12-17 이금선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102326650B1 (ko) * 2020-06-11 2021-11-15 권성혁 도로 포장용 유제 살포 장치
KR20220055660A (ko) * 2020-10-27 2022-05-04 경 곤 김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KR102546529B1 (ko) * 2020-10-27 2023-06-21 경 곤 김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CN113215933A (zh) * 2021-05-10 2021-08-06 昆山鹿通路桥养护有限公司 一种路面维护装置及维护方法
CN116876319A (zh) * 2023-08-24 2023-10-13 广东腾昊建设工程有限公司 基于视觉检测自动调节出料范围的市政沥青填补装置及方法
CN116876319B (zh) * 2023-08-24 2023-12-08 广东腾昊建设工程有限公司 基于视觉检测自动调节出料范围的市政沥青填补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963B1 (ko) 폐아스콘을 사용한 포장도로 보수용 스프레이 패칭장치
US11565271B2 (en) Aggregate wash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US11713648B2 (en) Proppant dispensing system
US20160244268A1 (en) Mobile material elevating system
KR101675928B1 (ko) 포트홀 복구 차량
AU20172105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oilfield materials
AU20133029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oilfield materials
RU2638191C2 (ru) Установка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минера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ой установкой
CA2731731C (en) Vacuum-operated material transfer system and method
CN206927269U (zh) 一种用于避免、消除斜溜槽堵塞的气动清堵装置
CN103890317A (zh) 岩粉撒布装置
CA2783971C (en) Plant for manufacturing half warm mix asphalts
KR100393257B1 (ko)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AU2013101583A4 (en) Ground surface repair device and improved method of repairing ground surface using it
KR102103830B1 (ko) 수직형 이송 구조를 갖는 숏크리트 배합 시스템
US20100288858A1 (en) Rock dusting apparatus
US9085064B2 (en) System for dispensing abrasives into a gas stream for cleaning pipe interiors
US11878879B1 (en) Dry granular material transfer
AU2017373323B2 (en) Plant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ituminous conglomerates
CN106246205A (zh) 一种叶片式混凝土喷射机
KR102152812B1 (ko) 수직형 골재 이송장치
SU1497381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брызга бетона в горных выработках
JP7142401B1 (ja) 吹付機
US20050161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concrete components in a mixing truck
RU2346744C2 (ru) Передвижная дезинтеграт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