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901B1 -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901B1
KR101681901B1 KR1020150040658A KR20150040658A KR101681901B1 KR 101681901 B1 KR101681901 B1 KR 101681901B1 KR 1020150040658 A KR1020150040658 A KR 1020150040658A KR 20150040658 A KR20150040658 A KR 20150040658A KR 101681901 B1 KR101681901 B1 KR 101681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elastic body
housing
diameter por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329A (ko
Inventor
장은성
양현석
이성진
김상렬
정지현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5004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901B1/ko
Priority to PCT/KR2016/001841 priority patent/WO2016153180A1/ko
Publication of KR20160114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진동 모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진동 모터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결합하는 분동을 포함하는 진동자,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대향하는 상기 진동자의 일면과 결합하는 탄성체, 상기 코일과 연결되고,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진동자의 일면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자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충돌을 완충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 모터{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의 진동 알림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진동모터는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자부품으로,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 등의 알림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진동모터는 진동자의 운동 방식에 따라 회전 진동모터와 선형 진동모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빠른 반응속도, 잔진동의 적음 및 소형화 등의 장점이 있는 선형 진동모터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형 진동모터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55562(공고일 2011년 08월 08일)에 개시되어 있다.
선형 진동모터는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자가 수직 또는 좌우 등 선형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왕복 운동 과정에서 진동자가 고정자에 충돌하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마모가 일어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부 선형 진동모터에서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완충 부재를 사용할 경우 진동자의 왕복 운동 거리가 줄어들게 되고, 이는 진동력 감소를 야기한다.
따라서 소음 및 마모를 최소화하면서, 진동력의 감소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구조의 진동 모터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왔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진동자의 선형 진동 시 발생하는 소음 및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완충 부재에 의해 진동자의 선형 운동 거리가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진동력의 감소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 모터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결합하는 분동을 포함하는 진동자,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대향하는 상기 진동자의 일면과 결합하는 탄성체, 상기 코일과 연결되고,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진동자의 일면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자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충돌을 완충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진동자의 일면과 직접 맞닿아 결합하고, 상기 진동자가 진동 시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직접 맞닿아 결합하고, 상기 진동자가 진동 시 상기 진동자의 일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탄성체의 타단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내경부, 외경부 및 상기 내경부와 상기 외경부를 연결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판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외경부에 해당하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상기 내경부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진동자의 일면 상에서 상기 내경부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내경부, 외경부 및 상기 내경부와 상기 외경부를 연결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판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내경부에 해당하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상기 외경부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진동자의 일면 상에서 상기 외경부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코일로 둘러싸인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의 일면은 상기 관통홀의 상측 개구 주변을 인접하여 둘러싸는 코일의 일면 및 상기 코일의 일면의 외경을 둘러싸는 분동의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코일의 일면에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탄성체의 타단에 결합하여 덮이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코일의 일면 중 상기 탄성체의 타단에 덮이지 않는 부분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원형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탄성체의 타단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원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탄성체의 타단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진동자의 타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여, 진동 모터는 진동자의 선형 진동 시 발생하는 소음 및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는 완충 부재에 의해 진동자의 선형 운동 거리가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진동력의 감소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진동자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진동자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진동자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진동자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진동자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면과 하면 또는 상측과 하측 등 방향의 구분은 도 1에 도시된 진동 모터를 기준으로 도면의 위쪽을 상측으로, 도면의 아래쪽을 하측으로 지정하여 결정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지정한 것으로, 해당 부분의 명칭이 상면 또는 하면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진동 모터는 하우징(100), 마그네트(200), 진동자(300), 탄성체(400), 회로 기판(500) 및 완충 부재(6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마그네트(200), 진동자(300), 탄성체(400) 및 완충 부재(600)가 수용된다. 또한, 회로 기판(500)은 일부가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가 하우징(100)의 외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케이스(110)와 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일면이 개방된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20)은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110)는 상면 및 상면의 테두리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하면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20)은 판(plate)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110)의 개방된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개구(10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101)는 케이스(110)의 측면에 형성된 홈(101)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101)를 통해 회로 기판(500)이 외부 공간까지 연장될 수 있다. 개구(101) 주변의 하우징(100) 외측에는 외부 공간까지 연장된 회로 기판(500)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편(121)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121)은 브라켓(12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케이스(110)와 브라켓(120)은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하우징(100)은 원통형이 아닌 육면체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마그네트(2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트(200)는 하우징(100)의 내측 중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는 마그네트(200)가 하우징(100)의 내측 중 하면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면에 결합되거나 상면 및 하면에 모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마그네트(200)는 일극, 예를 들면 N극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타극, 예를 들면 S극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마그네트(200)는 후술할 코일(310)과 상호간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마그네트(200)의 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배향될 수도 있다.
마그네트(200)는 지지대(미도시) 위에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네트(200)가 하우징(100)의 내측 하면에 위치하는 경우, 하우징(100)의 내측 하면에는 내측 하면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대가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200)는 지지대 위에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네트(200)의 하우징(100)과 결합하는 일측이 반대측에는 플레이트(210)가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210)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마그네트(200)의 자력을 전달할 수 있다.
진동자(300)는 마그네트(200)와 코일(310) 상호간의 전자기력에 의해 선형 왕복운동을 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자(300)는 코일(310)과 분동(330)을 포함한다.
코일(310)은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가지며 일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는 도선으로 형성된다.
코일(310)은 권선된 도선으로 둘러싸인 관통홀(305)을 형성한다. 관통홀(305)의 내경은 진동자(300)가 진동 시 마그네트(200)가 관통홀(305)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마그네트(2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코일(310)의 양단은 회로 기판(500)의 일단에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다. 코일(310)은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코일(310)은 권선된 부분에서 인출된 인출선을 가진다. 인출선은 회로 기판(500)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분동(330)은 소정의 질량을 가지는 물체로 형성된다. 분동(330)의 질량에 의해 진동자(300)의 공진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분동(330)의 질량에 의해 공진주파수가 변경되어, 진동자(300)가 최대의 진동량을 가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분동(330)은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동(330)은 또한,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동(330)은 예를 들어, 텅스텐과 같이 철보다 큰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분동(330)의 재질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코일(310)과 분동(330)은 서로 결합되어 진동 시 일체로서 진동한다. 구체적으로 분동(330)은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동(330)은 하우징(100)에 수용될 수 있도록 분동(330)의 외주 직경은 하우징(100)의 내주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분동(330)의 중공부에는 코일(31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분동(330)의 중공부의 내주 직경은 코일(310)의 외주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도록 형성된다.
진동자(300)의 상면(301)은 코일(310)의 상면(311)과 분동(330)의 상면(331)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310)의 상면(311)은 코일(310)로 둘러싸인 관통홀(305)의 상측 개구 주변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분동(330)의 상면(331)은 코일(310)의 상면(311)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진동자(300)의 하면은 코일(310)의 하면과 분동(330)의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310)의 하면은 코일(310)로 둘러싸인 관통홀(305)의 상측 개구 주변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분동(330)의 상면(331)은 코일(310)의 하면을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회로 기판(500)은 일부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위치한다. 회로 기판(500)은 가요성의 연성 필름 및 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패턴의 일단과 타단에는 코일(310)의 인출선과 외부 신호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500)은 진동자(30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일단 부분이 진동자(300)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진동자(300)의 진동 시, 회로 기판(500)의 형태가 반복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탄성체(400)는 진동 모터에서 고정자로 기능하는 하우징(100)과 진동자(30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탄성체(400)의 일단은 하우징(100)과 결합하고, 타단은 진동자(300)와 결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탄성체(400)는 서로 대향하는 하우징(100)의 일면과 진동자(300)의 일면 사이에 위치하여 둘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일면과 진동자(300)의 일면은 각각 하우징(100)의 상면과 진동자(300)의 상면(301)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일면과 진동자(300)의 일면은 각각 하우징(100)의 하면과 진동자(300)의 하면일 수 있다.
진동자(300)를 기준으로, 탄성체(400)와 회로 기판(500)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탄성체(400)는 진동자(3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회로 기판(500)은 진동자(3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반대로 탄성체(400)는 진동자(3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회로 기판(500)은 진동자(3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성체(400)는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판 스프링 형태의 탄성체(400)는 내경부(410), 외경부(420) 및 내경부(410)와 외경부(420)를 연결하는 벤딩부(430)를 포함한다. 판 스프링은 벤딩부(430)의 형상이 변경됨에 따라 내경부(410)와 외경부(420) 간의 수직 방향의 거리가 반복적으로 변경되며 압축과 인장이 반복될 수 있다. 여기서, 판 스프링(400)의 내경부(410)와 외경부(420)가 각각 탄성체(400)의 일단과 타단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판 스프링(400)의 내경부(410)가 탄성체(400)의 타단에 해당하여 진동자(300)와 결합하고, 판 스프링(400)의 외경부(420)가 탄성체(400)의 일단에 해당하여 하우징(100)과 결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판 스프링(400)의 내경부(410)가 탄성체(400)의 일단에 해당하여 하우징(100)과 결합하고, 판 스프링(400)의 외경부(420)가 탄성체(400)의 타단에 해당하여 진동자(300)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탄성체(400)의 일단(420)으로서 판 스프링(400)의 외경부(420)가 하우징(100)의 상면 내측에 결합한다. 그리고 탄성체(400)의 타단(410)으로서 판 스프링(400)의 내경부(410)가 진동자(300)의 상면(301)에 결합한다.
탄성체(400)의 타단(410)으로서 판 스프링의 내경부(410)는 진동자(300)의 상면(301) 중 관통홀(305)의 상측 개구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탄성체(400)의 타단(410)은 진동자(300)의 상면(301) 중 관통홀(305)에 인접한 부분은 제외하고, 관통홀(305)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부분에 결합한다. 진동자(300)의 상면(301)에 있어서, 관통홀(305)에 인접한 부분은 코일(310)의 상면(311)이고, 코일(310)의 상면(311)을 둘러싸도록 분동(330)의 상면(331)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310)의 상면(311) 중 적어도 관통홀(305)과 인접하는 부분은 탄성체(400)의 타단(410)에 결합되지 않아, 탄성체(400)의 타단(410)에 덮이지 않게 된다.
완충 부재(600)는 진동자(300)와 하우징(100) 사이에 위치하여 둘 사이의 충돌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완충 부재(600)는 고무, 발포성 수지재 또는 에폭시, 실리콘과 같은 연성의 수지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600)는 탄성체(400)와 결합된 하우징(100)의 일면과 진동자(300)의 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완충 부재(600)는 진동자(300)의 상면(301)에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맞닿아 결합한다는 것은 완충 부재(600)와 진동자(300)의 상면(301) 사이에 탄성체(400) 등의 다른 부재가 개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완충 부재(600)가 진동자(300)의 상면(301)에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경우, 진동자(300)의 진동 변위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모터의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완충 부재(600)는 진동자(300)의 상면(301) 중 탄성체(400)의 타단(410)이 결합된 부분보다 내측에 결합된다. 즉, 완충 부재(600)는 탄성체(400)의 타단(410)보다 진동자(300)의 상면(301) 중 관통홀(305)의 상측 개구에 더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완충 부재(600)는 진동자(300)의 상면(301) 중 코일(310)의 상면(311)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탄성체(400)의 타단(410)은 코일(310)의 상면(311) 중 적어도 관통홀(305)과 인접하는 부분에는 결합되지 않아 덮지 않게 된다. 완충 부재(60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이러한 탄성체(400)의 타단(410) 내측에 탄성체(400)에 덮이지 않은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600)는 진동자(300)가 진동 시 하우징(100)의 상면과 접촉하여 완충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완충 부재(600)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완충 부재(600)의 상면은 탄성체(400)의 타단(410)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완충 부재(600)는 탄성체(400)의 타단(410)인 판 스프링의 내경부(410)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진동자(300)가 진동 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체(400)의 타단보다 완충 부재(600)가 먼저 하우징(100)에 충돌하게 된다. 완충 부재(600)는 충돌 시에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며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진동자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완충 부재(600)는 하우징(100)의 상면에 직접 맞닿아 결합한다. 여기서 직접 맞닿아 결합한다는 것은 완충 부재(600)와 하우징(100)의 상면 사이에 탄성체(400) 등의 다른 부재가 개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완충 부재(600)는 진동 모터의 상측 방향에서 평면을 보았을 때, 탄성체(400)의 타단(4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진동자(300)가 진동 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완충 부재(600)와 탄성체(400)의 타단(410)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완충 부재(600)는 진동자(30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진동자(300)의 상면(301)과 직접 접촉되게 된다. 완충 부재(600)가 직접 접촉되는 진동자(300)의 상면(301)은 탄성체(400)의 타단(410)에 결합되어 덮여 있는 진동자(300)의 상면(301) 부분의 내측 부분에 해당한다.
진동자(300)가 진동 시, 완충 부재(600)는 탄성체(400)의 타단(410)이 하우징(100)의 상면에 접촉하는 것보다 먼저 진동자(300)의 상면(301)에 접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완충 부재(600)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체(400)의 타단(410)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완충 부재(600)는 충돌 시에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며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진동자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탄성체(400)는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판 스프링 형태의 탄성체(400)는 내경부(410), 외경부(420) 및 내경부(410)와 외경부(420)를 연결하는 벤딩부(430)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탄성체(400)는 판 스프링(400)의 내경부(410)가 탄성체(400)의 일단(410)에 해당하여 하우징(100)과 결합하고, 판 스프링(400)의 외경부(420)가 탄성체(400)의 타단(420)에 해당하여 진동자(300)와 결합한다.
완충 부재(600)는 탄성체(400)와 결합된 하우징(100)의 일면과 진동자(300)의 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완충 부재(600)는 진동자(300)의 상면(301)에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맞닿아 결합한다는 것은 완충 부재(600)와 진동자(300)의 상면(301) 사이에 탄성체(400) 등의 다른 부재가 개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완충 부재(600)는 진동자(300)의 상면(301) 중 탄성체(400)의 타단(420)이 결합된 부분보다 외측에 결합된다. 즉, 완충 부재(600)는 탄성체(400)의 타단(420)보다 진동자(300)의 상면(301) 중 외곽에 더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완충 부재(600)는 진동자(300)가 진동 시 하우징(100)의 상면과 접촉하여 완충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완충 부재(600)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완충 부재(600)의 상면은 탄성체(400)의 타단(420)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완충 부재(600)는 탄성체(400)의 타단(420)인 판 스프링(400)의 내경부(410)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진동자(300)가 진동 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체(400)의 타단보다 완충 부재(600)가 먼저 하우징(100)에 충돌하게 된다. 완충 부재(600)는 충돌 시에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며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진동자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본 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판 스프링(400)도 내경부(410)가 탄성체(400)의 일단(410)에 해당하여 하우징(100)과 결합하고, 판 스프링(400)의 외경부(420)가 탄성체(400)의 타단(420)에 해당하여 진동자(300)와 결합한다. 그리고, 완충 부재(600)는 하우징(100)의 상면에 직접 맞닿아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맞닿아 결합한다는 것은 완충 부재(600)와 하우징(100)의 상면 사이에 탄성체(400) 등의 다른 부재가 개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완충 부재(600)는 진동 모터의 상측 방향에서 평면을 보았을 때, 탄성체(400)의 타단(42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진동자(300)가 진동 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완충 부재(600)와 탄성체(400)의 타단(420)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완충 부재(600)는 진동자(30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진동자(300)의 상면(301)과 직접 접촉되게 된다. 완충 부재(600)가 직접 접촉되는 진동자(300)의 상면(301)은 탄성체(400)의 타단(420)이 결합되어 덮고 있는 진동자(300)의 상면(301)의 외측 부분에 해당한다.
진동자(300)가 진동 시, 완충 부재(600)는 탄성체(400)의 타단(420)이 하우징(100)의 상면에 접촉하는 것보다 먼저 진동자(300)의 상면(301)에 접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완충 부재(600)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체(400)의 타단(420)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완충 부재(600)는 충돌 시에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며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진동 모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하우징 110: 케이스
120: 브라켓 200: 마그네트
210: 플레이트 300: 진동자
301: 진동자의 상면 305: 관통홀
310: 코일 311: 코일의 상면
330: 분동 331: 분동의 상면
400: 탄성체 410: 내경부
420: 외경부 430: 벤딩부
500: 회로 기판 600: 완충 부재

Claims (15)

  1.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결합하는 분동을 포함하는 진동자;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대향하는 상기 진동자의 일면과 결합하는 탄성체;
    상기 진동자의 타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코일과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진동자의 일면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진동자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충돌을 완충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탄성체의 타단 내측에서 상기 진동자의 일면과 직접 맞닿아 결합하고, 상기 진동자가 진동 시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직접 접촉하게 되어 상기 탄성체의 일단과는 접촉하지 않는 진동 모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내경부, 외경부 및 상기 내경부와 상기 외경부를 연결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판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외경부에 해당하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상기 내경부에 해당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내경부의 내측에 결합하는 진동 모터.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내경부, 외경부 및 상기 내경부와 상기 외경부를 연결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판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내경부에 해당하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상기 외경부에 해당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외경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진동 모터.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코일로 둘러싸인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의 일면은 상기 관통홀의 상측 개구 주변을 인접하여 둘러싸는 코일의 일면 및 상기 코일의 일면의 외경을 둘러싸는 분동의 일면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코일의 일면에 직접 맞닿아 결합하는 진동 모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원형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탄성체의 타단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원형의 내부에 배치되는 진동 모터.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040658A 2015-03-24 2015-03-24 진동 모터 KR101681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58A KR101681901B1 (ko) 2015-03-24 2015-03-24 진동 모터
PCT/KR2016/001841 WO2016153180A1 (ko) 2015-03-24 2016-02-25 진동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58A KR101681901B1 (ko) 2015-03-24 2015-03-24 진동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329A KR20160114329A (ko) 2016-10-05
KR101681901B1 true KR101681901B1 (ko) 2016-12-02

Family

ID=5697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658A KR101681901B1 (ko) 2015-03-24 2015-03-24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1901B1 (ko)
WO (1) WO201615318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5682A (ja) 2009-10-14 2011-04-28 Micro Uintekku Kk レンズ駆動装置
KR101046003B1 (ko) * 2010-11-17 2011-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6016A (ja) * 2008-01-21 2009-07-30 Sanyo Electric Co Ltd 往復振動発生器
JP2011025209A (ja) * 2009-07-26 2011-02-10 Miyafuji Denki Seisakusho:Kk 電磁振動装置
KR20120097309A (ko) * 2011-02-24 2012-09-03 이인호 선형 진동기
KR101506556B1 (ko) * 2011-05-09 2015-03-30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5682A (ja) 2009-10-14 2011-04-28 Micro Uintekku Kk レンズ駆動装置
KR101046003B1 (ko) * 2010-11-17 2011-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329A (ko) 2016-10-05
WO2016153180A1 (ko)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599B1 (ko) 선형 진동모터
US9800126B2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US8013480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10153681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8786144B2 (en) Linear vibration motor
CN102244452B (zh) 线性振动器
CN109728704B (zh) 具有弹性注射模制框架的线性致动器
US20170126109A1 (en) Vibration motor
US20120146433A1 (en) Linear vibrator
KR20120078550A (ko) 선형진동모터
KR20100088290A (ko)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KR20150091700A (ko) 선형 진동모터
KR20130035382A (ko) 선형 진동자
KR102066675B1 (ko) 진동 모터
KR101681901B1 (ko) 진동 모터
KR101914530B1 (ko) 진동 발생 장치
KR101546442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2054831B1 (ko) 진동 모터
KR102250753B1 (ko) 진동 발생기
KR20180059973A (ko) 선형진동자
KR102037777B1 (ko) 진동 모터
KR20130001431A (ko)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2066662B1 (ko) 진동 모터
KR20130015344A (ko) 선형 진동모터
KR102054835B1 (ko) 진동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