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812B1 - 편집점에 기반하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편집점에 기반하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812B1
KR101681812B1 KR1020140174312A KR20140174312A KR101681812B1 KR 101681812 B1 KR101681812 B1 KR 101681812B1 KR 1020140174312 A KR1020140174312 A KR 1020140174312A KR 20140174312 A KR20140174312 A KR 20140174312A KR 101681812 B1 KR101681812 B1 KR 101681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ot
frames
shots
en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486A (ko
Inventor
김윤창
김건희
권태훈
정병희
Original Assignee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한국방송공사
Priority to KR1020140174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81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scene cut or scene change detec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프레임을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프레임 부호화 방법 및 장치는 부호화할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편집점들을 검출하고, 편집점들에 기반하여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할 수 있다. 프레임 부호화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은 트랜스코딩을 거치지 않고 샷 또는 씬 단위의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편집점에 기반하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ENCODING BASED ON EDIT POINT}
기술 분야는 프레임 부호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집된 동영상을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프레임들로 구성된 동영상은 일반적으로 연속되는 프레임들 간에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유사한 특징을 이용하여 후행하는 프레임은 선행하는 프레임에 비해 적은 데이터만을 포함하도록 부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행하는 프레임은 선행하는 프레임과의 차이만을 데이터로 가질 수 있다. 즉, 후행하는 프레임 자체만으로는 이미지를 구성할 수 없고, 선행하는 프레임을 참조해야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생성되는 동영상은 부호화되기 전의 데이터에 비해 적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9809호(공개일 2014년 09월 16일)에는 동영상을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공개 발명은 동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각 GOP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내 각 코딩 단위별로 다른 프레임들에 의해 참조되는 참조 횟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코딩 단위별로 출력값을 랜덤하게 변경한다.
일 실시예는 프레임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편집점에 기반하여 프레임을 부호화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프레임 부호화 방법은 부호화할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편집점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점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점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샷(shot)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샷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샷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점들에 기반하여 임시의 샷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편집점들의 각 편집점의 직전 프레임 및 상기 편집점의 직후 프레임을 서로 간에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의 결과가 기 설정된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직전 프레임이 포함된 제1 샷 및 상기 직후 프레임이 포함된 제2 샷을 동일한 샷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샷들의 각 샷의 처음 프레임을 아이-프레임으로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프레임에 기반하여 상기 샷의 나머지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샷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샷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씬(scene)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씬들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복수의 프레임들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샷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씬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샷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씬들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은 상기 부호화된 복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씬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동영상 파일에서 상기 씬들이 재생되는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동영상 파일에서 상기 씬들이 재생되는 시작 바이트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씬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연속되는 제1 샷 및 제2 샷 간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의 결과가 기 설정된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샷 및 상기 제2 샷을 동일한 씬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샷의 원본 파일 이름, 촬영 시각 및 촬영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촬영 위치는 상기 샷을 촬영한 카메라의 글로벌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 System; GPS) 값일 수 있다.
상기 편집점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스위처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편집점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점들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편집점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집점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편집점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프레임 부호화 장치는 부호화할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편집점들을 검출하고, 상기 편집점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프레임 부호화 방법은 부호화될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 현재 프레임의 제1 샷(shot)이 이전 프레임의 제2 샷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샷이 상기 제2 샷과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샷이 새로운 씬(scene)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샷이 새로운 씬인 경우 상기 씬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프레임을 아이-프레임(i-frame)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샷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프레임을 부호화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편집점에 기반하여 프레임을 부호화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호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기존 방식을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 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검출된 샷들을 나타낸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씬을 검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연속되는 샷들을 동일한 씬으로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편집점들을 검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개념도이다.
복수의 프레임들은 하나의 동영상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프레임들은 하나의 촬영 장치에 의해 생성된 프레임들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프레임들은 복수의 촬영 장치들에 의해 생성된 원본 영상들을 편집하여 생성된 프레임들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텔레비젼(TV)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원본 영상들을 편집하여 생성된 복수의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제작된 프로그램은 실시간으로 방송될 수 있으며, 또한 비-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은 인터넷을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및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동영상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경우 전송되는 데이터를 감소시키기 위해 복수의 프레임들이 부호화될 수 있다. 동영상 전체가 제공될 수도 있으나, 동영상의 일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동영상의 일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체 동영상 중의 일부를 분리해야 할 수 있다.
하기에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체 동영상 중 일부의 동영상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부호화 방법에 대해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호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프레임 부호화 장치(200)는 통신부(210), 처리부(220) 및 저장부(2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호화 장치(200)는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처리부(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저장부(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처리부(220)가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10), 처리부(220) 및 저장부(230)에 대해, 하기에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기존 방식을 나타낸다.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기존의 방식은, 복수의 원본 동영상을 편집하고, 편집된 동영상을 비-선형 편집기(Non-Linear Editor; NLE)를 통해 부호화 할 수 있다.
NLE를 통해 부호화하는 과정에서 편집된 동영상에 표시되어 있던 편집점은 사라질 수 있다. 편집점은 원본 동영상이 잘려진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편집점은 연속되는 프레임들이 변경되는 부분일 수 있다.
NLE를 통한 부호화는 편집자가 의도한 프레임들의 경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프레임들의 경계 내의 프레임들은 샷(shot)으로 명명될 수 있다.
샷은 동일한 장치에서 촬영 또는 생성된 연속된 복수의 프레임들의 집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점은 샷의 변경을 나타낼 수 있다.
NLE는 편집점과는 관계없이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해, 아이-프레임(i-frame), 비-프레임(b-frame) 및 피-프레임(p-frame)을 생성할 수 있다. 아이-프레임, 비-프레임 및 피-프레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NLE는 편집점과는 관계없이 아이-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편집자가 의도한 샷의 단위로 아이-프레임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복수의 프레임들은 편집자가 제1 샷, 제2 샷 및 제3 샷을 의도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NLE는 제1 샷의 프레임 i 및 제3 샷의 프레임 2를 아이-프레임으로 생성하였다. 이 경우, 아이-프레임에 의한 샷의 경계는 편집자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NLE에 의해 생성된 샷들의 개수도 편집자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다.
편집자가 설정한 경계가 명확히 반영되기 위해서는 편집점을 이용한 프레임 부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편집점을 이용한 프레임 부호화 방법에 대해, 하기에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앞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410)에서, 통신부(210)는 부호화할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편집기로부터 편집된 동영상을 수신함으로써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처리부(220)는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편집점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점은 원본 동영상이 잘린 부분일 수 있다.
단계(430)에서, 처리부(220)는 검출된 편집점들에 기반하여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처리부(220)는 검출된 편집점들을 이용하여 샷을 검출할 수 있다. 처리부(220)는 검출된 샷을 이용하여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할 수 있다.
샷을 이용하여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방법에 대해, 하기에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 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술된 단계(430)는 하기의 단계들(510 및 5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510)에서, 처리부(220)는 편집점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샷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샷은 연속된 편집점들 사이에 위치한 프레임들일 수 있다.
단계(520)에서, 처리부(220)는 검출된 샷들에 기반하여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각 샷의 경계가 유지되도록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샷의 경계가 아이-프레임을 이용하여 나타날 수 있다.
처리부(220)는 샷들의 각 샷의 처음 프레임을 아이-프레임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처리부(220)는 아이-프레임에 기반하여 각 샷의 나머지 프레임들을 부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나머지 프레임들을 비-프레임 또는 피-프레임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단계(510) 및 단계(520)에 대해, 하기에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삭제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검출된 샷들을 나타낸다.
전술된 도 3의 예를 다시 살펴보면, 처리부(220)는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한 편집점들을 검출할 수 있다.
처리부(220)는 연속된 편집점들 내의 프레임들을 하나의 샷으로 결정할 수 있다. 처리부(220)는 샷의 첫 번째 프레임을 아이-프레임으로써 부호화할 수 있다. 즉, 편집점의 다음 프레임이 아이-프레임으로써 부호화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씬을 검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술된 단계(510)는 하기의 단계들(710 내지 74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단계(520)는 하기의 단계들(750 내지 77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710)에서, 처리부(220)는 편집점들에 기반하여 임시의 샷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편집점들 만을 이용하여 임시의 샷들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임시의 샷은 연속된 편집점들 내의 프레임들 일 수 있다.
단계(720)에서, 처리부(220)는 각 편집점의 직전 프레임 및 편집점의 직후 프레임을 서로 간에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상기의 프레임들이 동일한 원본 동영상에 포함된 것인지를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처리부(220)는 상기의 프레임들의 촬영 또는 생성 시각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 구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처리부(220)는 단계(720)에서 도출된 비교 결과가 기 설정된 제1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상기의 프레임들이 동일한 원본 동영상에 포함된 경우, 비교 결과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처리부(220)는 상기의 프레임들의 촬영 또는 생성 시각의 차이가 제1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740)에서, 처리부(220)는 비교의 결과가 기 설정된 제1 임계가 이하인 경우 직전 프레임이 포함된 제1 샷 및 직후 프레임이 포함된 제2 샷을 동일한 샷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샷 및 제2 샷은 임시 샷들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처리부(220)는 제1 샷 및 제2 샷을 동일한 샷으로 결정하는 경우, 제1 샷 및 제2 샷의 사이에 존재하는 편집점을 무시할 수 있다.
단계(750)에서, 처리부(220)는 검출된 샷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씬(scene)들을 검출할 수 있다.
씬은 하나 이상의 샷들을 포함할 수 있다. 씬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샷들은 연속되는 샷들일 수 있다.
단계(750)에 대해, 하기의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760)에서, 처리부(220)는 검출된 씬들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씬들에 대한 정보는 동영상 파일에서 씬들이 재생되는 시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씬들에 대한 정보는 동영상 파일에서 씬들이 재생되는 시작 바이트를 나타낼 수 있다.
처리부(220)는 씬과 관련된 특징적인 정보를 추가적으로 메타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계(770)에서, 처리부(220)는 부호화된 프레임들 및 메타데이터에 기반하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처리부(220)는 부호화 복수의 프레임들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 컨테이너에 메타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파일 컨테이너의 형식은 파일 확장자가 MP4, AVI, MKV, FLV 등일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처리부(220)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의 파일은 부호화된 복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과 상이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연속되는 샷들을 동일한 씬으로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술된 단계(750)는 하기의 단계들(810 내지 8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810)에서, 처리부(220)는 연속되는 제1 샷 및 제2 샷 간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연속되는 제1 샷 및 제2 샷은 임시의 샷들일 수 있다.
제1 샷 및 제2 샷 간의 정보는 원본 파일 이름, 촬영 시각 및 촬영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촬영 위치는 샷 또는 샷에 포함된 프레임을 촬영한 카메라의 글로벌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 System; GPS) 값 일 수 있다.
단계(820)에서, 처리부(220)는 비교의 결과가 기 설정된 제2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샷에 포함됨 프레임의 촬영 시각 및 제2 샷에 포함된 프레임의 촬영 시각 간의 차이가 제2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샷에 포함된 프레임의 촬영 위치 및 제2 샷에 포함된 프레임의 촬영 위치 간의 차이가 제2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샷의 원본 파일 이름 및 제2 원본 파일 이름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비교의 결과가 기 설정된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단계(830)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830)에서, 처리부(220)는 제1 샷 및 제2 샷을 동일한 씬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750)에서, 처리부(220)는 비교의 결과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샷의 씬 및 제2 샷의 씬을 상이한 씬들로 결정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편집점들을 검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의 흐름도는 생방송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전술된 단계(420)는 하기의 단계들(910 내지 9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들(910 및 920)은 단계(930)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단계(910)에서, 처리부(220)는 스위처(switcher)로부터 하나 이상의 편집점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위처는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들 중 방송되는 동영상을 선택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점들에 관한 정보는 어느 시각에 방송되는 동영상이 전환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단계(920)에서, 처리부(220)는 편집점들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편집점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상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환 시각이 나타내는 동영상의 특정 지점을 편집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단계(920)에서, 처리부(220)는 복수의 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점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은 프레임을 촬영 또는 송출하는 소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220)는 소스가 변환되는 지점을 편집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단계(920)가 수행된 경우, 전술된 단계(510)에서 편집점을 이용하여 샷들이 검출되고, 전술된 단계(750)에서 처리부(220)가 소스가 전환되는 소정의 패턴을 이용하여 씬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스 동영상의 경우 소스가 앵커를 촬영하는 앵커 카메라 및 기자의 리포트를 송출하는 브이티알(VTR)으로 반복되는 경우, 앵커 카메라에 관한 프레임들 및 VTR에 관한 프레임들을 하나의 씬으로 검출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1010)에서, 통신부(210)는 부호화될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1020)에서, 처리부(220)는 현재 프레임의 샷이 이전 프레임의 샷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프레임의 샷은 제1 샷일 수 있고, 이전 프레임의 샷은 제2 샷일 수 있다.
단계(1030)에서, 처리부(220)는 현재 프레임의 샷이 이전 프레임의 샷과 상이한 경우, 현재 프레임의 샷이 새로운 씬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현재 프레임의 샷이 이전 프레임의 씬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1040)에서, 처리부(220)는 현재 프레임의 샷이 새로운 씬인 경우, 새로운 씬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1050)에서, 처리부(220)는 현재 프레임을 아이-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현재 프레임을 아이-프레임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단계(1060)에서, 처리부(220)는 아이-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샷을 부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현재 프레임이 아이-프레임으로 결정된 경우 현재 프레임을 아이-프레임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처리부(220)는 현재 프레임이 아이-프레임이 아닌 경우, 현재 프레임의 샷의 아이-프레임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을 부호화할 수 있다. 현재 프레임은 비-프레임 또는 피-프레임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단계(1070)에서, 처리부(220)는 현재 프레임을 현재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단계(1020) 내지 단계(1070)가 반복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수신된 복수의 프레임들이 부호화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프레임 부호화 방법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은 여러 개의 클립(clip)으로 나누지 않더라도 샷 또는 씬 단위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
전술된 프레임 부호화 방법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은, 기존 방식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동영상에 비해 샷 또는 씬을 제공하기 위한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부호화 방법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샷 또는 씬 단위의 스트리밍 서비스는, 기존 방식의 동영상을 이용한 클립 서비스에 비해 화질이 우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200: 프레임 부호화 장치
210: 통신부
220: 처리부
230: 저장부

Claims (17)

  1. 부호화할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
    비-선형 편집기(Non-Linear Editor; NLE) 또는 스위처로부터 하나 이상의 편집점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편집점들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편집점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편집점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샷(shot)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샷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샷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점들의 각 편집점의 직전 프레임 및 상기 편집점의 직후 프레임을 서로 간에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직전 프레임의 제1 원본 동영상 및 상기 직후 프레임의 제2 원본 동영상이 상이한 경우 또는 상기 직전 프레임의 생성 시각과 상기 직후 프레임의 생성 시각 간의 차이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직전 프레임이 포함된 제1 샷 및 상기 직후 프레임이 포함된 제2 샷을 상이한 샷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샷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샷의 상기 직후 프레임을 아이-프레임으로 부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샷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프레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샷의 나머지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샷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샷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씬(scene)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씬들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복수의 프레임들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샷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샷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씬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씬들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파일은 상기 부호화된 복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과 상이함 -;
    를 더 포함하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씬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동영상 파일에서 상기 씬들이 재생되는 시간인,
    프레임 부호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씬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동영상 파일에서 상기 씬들이 재생되는 시작 바이트를 나타내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씬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샷 및 상기 제2 샷 간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의 결과가 기 설정된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샷 및 상기 제2 샷을 상이한 씬들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씬들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샷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샷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생성하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샷의 정보 및 상기 제2 샷의 정보는 샷을 촬영한 카메라의 글로벌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 System; GPS) 값이고,
    상기 제1 샷 및 상기 제2 샷을 상이한 씬들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샷을 촬영한 카메라의 GPS 값 및 상기 제2 샷을 촬영한 카메라의 GPS 값 간의 차이가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샷 및 상기 제2 샷을 동일한 상이한 씬들로 결정하는 단계인,
    프레임 부호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6. 부호화할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비-선형 편집기(Non-Linear Editor; NLE) 또는 스위처로부터 하나 이상의 편집점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편집점들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편집점들을 검출하고, 상기 편집점들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샷(shot)들을 검출하고, 상기 샷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부호화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편집점들의 각 편집점의 직전 프레임 및 상기 편집점의 직후 프레임을 서로 간에 비교하고, 상기 직전 프레임의 제1 원본 동영상 및 상기 직후 프레임의 제2 원본 동영상이 상이한 경우 또는 상기 직전 프레임의 생성 시각과 상기 직후 프레임의 생성 시각 간의 차이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직전 프레임이 포함된 제1 샷 및 상기 직후 프레임이 포함된 제2 샷을 상이한 샷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샷의 상기 직후 프레임을 아이-프레임으로 부호화하는,
    프레임 부호화 장치.
  17. 삭제
KR1020140174312A 2014-12-05 2014-12-05 편집점에 기반하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8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312A KR101681812B1 (ko) 2014-12-05 2014-12-05 편집점에 기반하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312A KR101681812B1 (ko) 2014-12-05 2014-12-05 편집점에 기반하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486A KR20160068486A (ko) 2016-06-15
KR101681812B1 true KR101681812B1 (ko) 2016-12-01

Family

ID=5613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312A KR101681812B1 (ko) 2014-12-05 2014-12-05 편집점에 기반하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592B1 (ko) * 2021-05-28 2022-01-24 주식회사 잘라컴퍼니 스트리밍 데이터 기반 영상 편집점 추천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222B1 (ko) * 2002-06-17 200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구조적 인덱스 정보 기술 방법, 진행형 비디오 인덱싱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8099A (ko) * 2004-01-30 200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으로 키 프레임을 삽입하는 비디오 코딩 장치 및 방법
JP2009260933A (ja) * 2008-03-17 2009-11-05 Toshiba Corp 動画素材編集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及び動画素材編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486A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2992B2 (ja) デジタルビデオストリーミングにおけるトリック再生
CN104284241A (zh) 一种视频剪辑方法和装置
KR20160105795A (ko) 비디오 최적화를 위한 메타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902577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41976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8165217B2 (en)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prediction encoded image data
US8655140B2 (en) Data conversion method and data conversion device, data recording device, data play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20160127679A1 (en) Computed information for metadata extraction applied to transcoding
KR101681812B1 (ko) 편집점에 기반하는 프레임 부호화 방법 및 장치
JP2010154006A (ja) プログレッシブダウンロード再生用プログラム
JP4262139B2 (ja) 信号処理装置
KR20160023777A (ko) 그래픽 처리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에 대한 픽처 참조 제어
US9066082B2 (en) Forensics in multi-channel media content
KR102455406B1 (ko) 세그먼트 유동성을 위한 트랜스코더 조절
US11356671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5070179B2 (ja) シーン類似判定装置、そのプログラム及びサマリ映像生成システム
JP4682267B1 (ja) プログレッシブダウンロード再生方法及び再生用プログラム
KR101868203B1 (ko) 스트림 처리 방법 및 장치
JP5043004B2 (ja) フィルムに関するアナログ/デジタルハイブリッドデータのためのアーカイブエレメントの編制
JP4991579B2 (ja) 再生装置
KR102307072B1 (ko) 복수의 시점들에 대한 동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1852859B1 (ko) 랜덤액세서블 p-프레임에 기초한 동영상 랜덤액세스 처리 방법
CN113261283A (zh) 视频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1139291A (ja) 画像再生制御装置、画像再生制御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2011139289A (ja) 画像記録制御装置、画像記録制御方法およ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