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403B1 - 출력전압 측정이 가능한 조립형 활성수기 - Google Patents

출력전압 측정이 가능한 조립형 활성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403B1
KR101681403B1 KR1020150019416A KR20150019416A KR101681403B1 KR 101681403 B1 KR101681403 B1 KR 101681403B1 KR 1020150019416 A KR1020150019416 A KR 1020150019416A KR 20150019416 A KR20150019416 A KR 20150019416A KR 101681403 B1 KR101681403 B1 KR 101681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electrode rod
electrode
upper electrod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576A (ko
Inventor
최해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도랜드
Priority to KR102015001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4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8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5Volt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전압 측정이 가능한 조립형 활성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공간을 갖고, 용수가 유입되는 입구관과, 전기장에 의해 형성된 활성수가 토출되는 출구관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탈부착되며, 내부에 고전압발생장치의 전선에 연결되어 일측에 설치되는 상부전극봉과, 내부에 상기 상부전극봉과 전선으로 연결된 점검용 전극봉이 구비되는 점검부와, 고전압발생장치의 전선에 연결되는 접지단자를 갖는 캡; 내부공간을 갖고, 하부는 폐쇄면으로 구성되고,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며, 외면이 상기 몸체 내면과 특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절연관; 및 상기 절연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며, 상부 측에 상기 상부전극봉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어 접촉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하부 전극봉;을 포함하되, 상기 캡이 상기 몸체 상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상부전극봉과 상기 하부전극봉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의 전선 각각은 상기 상부전극봉의 상단과, 상기 접지단자에 연결되어, 전압 인가에 의해 전기장을 형성하며, 출력전압 측정모드 시, 고전압 측정장치의 전압측정프로브가 설치된 전선 각각을 상기 점검용 전극봉과 상기 접지단자에 연결하여 상기 활성수기의 출력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압 측정이 가능한 조립형 활성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출력전압 측정이 가능한 조립형 활성수기{Assemblable water activator having fuction of measuring output voltage}
본 발명은 출력전압 측정이 가능한 조립형 활성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활성수기를 사용하는 동안 활성수기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할 목적으로 활성수기의 출력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점검용 단자를 구비하고, 또한 부품의 파손으로 인해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손쉽게 활성수기의 분해가 가능하도록 전극봉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수기에 관한 것이다.
생물의 생육, 콘크리트 강도, 식품제조, 음용수, 각종설비 및 건축물에 대한 용수의 공급은 배관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배관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점 그 내부에 물의 스케일이 누적되어 배관막힘 및 적수를 초래하게 된다. 물의 스케일은 보일러나 콘덴서 등과 같이 물이 가열되는 공정의 경우에 열교환면에서 발생한다. 이것은 물에 용해되어 있는 Ca 및 Mg 물질의 화합물이 온도가 높은 물에서는 용해가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용해도는 물질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가열되거나 농축농도가 올라가면 따라서 증가하게 되며, 이렇게 용해된 물질들은 반드시 스케일로되어 석출된다. 배관내에 발생되는 스케일의 특징은 물과 접촉하는 열교환면 전체에서 모두 균일하게 나타나게 된다. 즉, 스케일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침강되는 것이 아니라 전기적인 흡착력에 의해 열교환면 전체에 걸쳐 분포하고 있던 양이온, 음이온, 현탁고형물 등이 농축과 열에 의해 그대로 결정화되어 고른 두께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배관내의 스케일을 방지시키기 위해 전통적으로 스케일 방지제, 청정제와 같은 분산제를 사용해 왔다. 통상 계면에 집적하고 있는 이온 상호간의 간격을 얼마만큼 넓힐 수 있는가가 스케일 방지기술의 척도라고 할 수 있는데, 상기 분산제는 화학적으로 이온간에 쐐기를 박고 계면에서 생성하는 전위차를 중화 해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관내의 스케일을 방지하고 제거하는 다른 방식으로 흐르는 물에 전기장을 걸어주는 것으로 물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바꾸어줌으로써 배관이나 기기의 전체의 금속계면에 발생하는 전기 이중층을 전기적으로 중화시켜서 계면의 정전인력을 해소시키는 기능을 이용하여 용수용 배관에서 성장되는 스케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용수가 지나는 원통형상의 내부에 전극봉을 설치하여 외부원통에는 (+)전극을 걸어주고 내부의 전극봉에는 (-)전극을 걸어주는 것으로 제작된다.
국내특허출원 제10-1999-14686호에서 제안된 전자식 활성수기(1)는 상술한 전기장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로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활성수기(1)의 구조를 설명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활성수기 몸체(10)에 설치된 내부 전극봉(2)의 도체(3)에서 인출된 도선(4)과 몸체(10)에서 인출된 도선(4)에 수천~ 수만 V의 고전압을 걸어줌으로써 외부 전극판(5)과 내부 전극봉(4)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어 몸체를 통과하는 용수가 활성수가 된다.
전압이 외부로 새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전극판(5)과 내부 전극봉(4) 사이에서 강력한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모든 도선 및 단자, 전극봉 등은 외부와 차폐시켜야하기 때문에 연결부 등을 에폭시 몰딩과 같이 절연, 차폐처리를 한다. 그러므로 내부에 문제가 발생하여 부품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외형상으로는 플랜지의 볼트를 풀어 분해가 가능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에폭시 몰딩처리로 인해 분해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내부에서 단선이 되거나 차폐가 잘 이뤄지지 않아 고전압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를 측정,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손상된 활성수기를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분해, 교체가 용이하고 활성수기의 출력전압을 측정할 수 있어 활성수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활성수기가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146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95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050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캡에 점검용 전극봉이 설치된 점검부가 구비되어, 항시라도 점검부의 절연체 캡을 열어 고전압 측정 장치의 측정 프로브를 점검용 전극봉과 캡의 접지단자에 연결함으로써 활성수기의 출력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활성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봉이 하부 전극봉과 상부 전극봉으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캡을 회전시켜 활성수기 몸체와 조립할 때 캡에 설치된 상부 전극봉이 하부 전극봉의 삽입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활성수기 분해가 요구되는 경우 어떠한 부품의 손상 없이 용이하게 분리, 분해가 가능한 활성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겨울철 외기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경우 장시간 활성수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몸체의 용수가 결빙되어 세라믹 절연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활성수기에 용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의 전원이 차단된 후 제어기가 온도센서에 의해 영하의 온도를 감지하고 영하의 온도가 일정시간(예를 들면 1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배수밸브를 열어 몸체의 용수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활성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수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갖고, 용수가 유입되는 입구관과, 전기장에 의해 형성된 활성수가 토출되는 출구관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탈부착되며, 고전압발생장치의 전선에 연결된 상부전극봉과, 상기 상부전극봉과 전선으로 연결된 점검용 전극봉이 구비되는 점검부와, 고전압발생장치의 또 다른 전선과 연결되는 접지단자를 갖는 캡; 내부공간을 갖고, 하부는 폐쇄면으로 구성되고,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며, 외면이 상기 몸체 내면과 특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절연관; 및 상기 절연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며, 상부 측에 상기 상부전극봉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어 접촉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하부 전극봉;을 포함하되, 상기 캡이 상기 몸체 상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상부전극봉과 상기 하부전극봉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의 전선 각각은 상기 상부전극봉의 상단과, 상기 접지단자에 연결되어, 전압 인가에 의해 전기장을 형성하며, 출력전압 측정모드 시, 고전압 측정장치의 전압측정프로브가 설치된 전선 각각을 상기 점검용 전극봉과 상기 접지단자 각각에 연결하여 상기 활성수기의 출력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압 측정이 가능한 조립형 활성수기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부는, 내부에 상기 점검용 전극봉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에 탈부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밀폐시키는 절연체 캡을 포함하여, 상기 측정모드 시, 상기 절연체 캡을 탈착하고, 고전압 측정장치의 전압측정프로브가 설치된 전선을 상기 점검용 전극봉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열관 상부에 형성되는 절연관 플랜지; 및 상기 절연관 플랜지와 상기 몸체의 상부덮개판 사이에 구비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관의 내부공간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하부전극봉의 상부에 형성된 전극봉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관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 개방시 상기 몸체 내의 용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 및 상기 공급펌프와 상기 배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외기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값을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공급펌프 중단 후,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송된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 이하로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배수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몸체 내의 용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캡에 점검용 전극봉이 설치된 점검부가 구비되어, 항시라도 점검부의 절연체 캡을 열어 고전압 측정 장치의 측정 프로브를 점검용 전극봉과 캡의 접지단자에 연결함으로써 활성수기의 출력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봉이 하부 전극봉과 상부 전극봉으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캡을 회전시켜 활성수기 몸체와 조립할 때 캡에 설치된 상부 전극봉이 하부 전극봉의 삽입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활성수기 분해가 요구되는 경우 어떠한 부품의 손상 없이 용이하게 분리, 분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겨울철 외기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경우 장시간 활성수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몸체의 용수가 결빙되어 세라믹 절연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활성수기에 용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의 전원이 차단된 후 제어기가 온도센서에 의해 영하의 온도를 감지하고 영하의 온도가 일정시간(예를 들면 1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배수밸브를 열어 몸체의 용수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활성수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 부근의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 몸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 절연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 하부 전극봉의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몸체 내로 절연관이 삽입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몸체 내로 절연관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절연관 내로 하부전극봉이 삽입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절연관 내로 하부전극봉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 부분과 캡 부분의 분해 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이 장착된 활성수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모드에서의 활성수디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활성수기(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100)는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캡(20)에 점검용 전극봉(26)이 설치된 점검부(23)가 구비되어, 항시라도 점검부(23)의 절연체 캡(25)을 열어 고전압 측정 장치의 측정 프로브(61)를 점검용 전극봉(26)과 캡(20)의 접지단자(22)에 연결함으로써 활성수기(100)의 출력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극봉이 하부 전극봉(40)과 상부 전극봉(21)으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캡(20)을 회전시켜 활성수기 몸체(10)와 조립할 때 캡(20)에 설치된 상부 전극봉(21)이 하부 전극봉(40)의 삽입홀(42)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활성수기(100) 분해가 요구되는 경우 어떠한 부품의 손상 없이 용이하게 분리, 분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활성수기(100)에 용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72)의 전원이 차단된 후 제어기(70)가 온도센서(73)에 의해 영하의 온도를 감지하고 영하의 온도가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배수밸브(71)를 열어 몸체(10)의 용수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100)는 전체적으로, 몸체(10), 캡(20), 고전압 발생장치(50), 배수밸브(71), 제어기(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발생장치(50)의 제1전선(51)과 제2전선(52) 각각은 캡(20)의 내부에 장착되는 상부 전극봉(21)과, 캡(20)의 일측에 구비된 접지단자(22)와 연결되어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20) 부근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의 내면 하단과 몸체(10)의 상부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캡(20)이 몸체(10)에 탈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캡(20)의 상부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절연부재(28)가 에폭시 몰딩처리에 의해 캡(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절연부재(28)의 내부에서 제1전선(51)과 상부전극봉(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장착되게 된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20)의 상부 일측에는 점검부(23)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도 3b는 도 3a의 A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검부(23)는 하우징(24)과 절연체 캡(25)이 탈부착 되는 구조를 갖고, 하우징(24) 내부 공간에는 점검용 전극봉(26) 구비되며, 이러한 점검용 전극봉(26)은 제3전선(27)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전극봉(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항시라도 사용자는 점검부(23)의 절연체 캡(25)을 개방하고, 하우징(24) 내에 구비된 점검용 전극봉(26)에 고전압 측정장치(60)의 전압측정프로브(61)가 구비된 제4전선(62)을 연결하고, 캡(20)에 구비된 접지단자(22)에 전압측정프로브(61)가 구비된 제5전선(63)을 연결하여, 활성수기(100)의 출력전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활성수기(100)의 몸체(10)와 몸체(10)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 몸체(1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10)는 원통형의 외측판과 외측판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덮개판(15) 및 삽입구멍(14)이 형성된 상부덮개판(13)으로 구비되며, 외측판의 하단 일측에는 용수가 유입되는 입구관(11)과 상단일측에는 용수가 토출되는 출구관(12)이 구비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외측판 상부측에는 캡(2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부덮개판(13)의 삽입구멍(14)을 통해 절연관(30)이 삽입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 절연관(3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관(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33)을 갖고, 하부면은 폐쇄되어 있으며, 상부면은 상부개구부(32)가 형성되며 상부측은 플랜지(31)가 형성되어 절연관(30)이 몸체(10)의 상부덮개판(13)의 삽입구멍(14)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측으로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관(30)은 바람직하게는 세라믹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관(30)은 내부공간(33)을 가지며, 상부측 내부공간의 직경이 크게 구성되어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어,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부전극봉(40)에 형성된 플랜지(41)가 접촉되어 하부전극봉(40)의 하부측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 하부 전극봉(4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전극봉(40)의 상부측에는 삽입홀(42)이 형성되어, 몸체(10)에 캡(2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부전극봉(21)의 하단이 하부전극봉(40)의 삽입홀(42)에 삽입되어 상부전극봉(21)과 하부전극봉(40)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하부전극봉(40)의 상부측에는 플랜지(41)가 형성되어, 하부전극봉(40)이 절연관(30)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하부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100)의 구성들의 조립방법, 조립순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100)의 일구성들인 몸체(10), 절연관(30), 하부전극봉(40), 캡(20)은 모두 용접이 아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몸체(10) 내로 절연관(30)이 삽입되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몸체(10) 내로 절연관(30)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관(30)은 몸체(10)의 상부덮개판(13)의 삽입구멍(14)을 통해 장착되며, 절연관(30)의 플랜지(31) 하부면과 상부덮개판(13)의 상부면이 접촉되는 부분에 오링(34)이 구비되어 후에, 캡(20)이 몸체(10)에 나사결합되는 상황에서 수밀을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절연관(30) 내로 하부전극봉(40)이 삽입되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절연관(30) 내로 하부전극봉(40)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관(30)이 몸체(10)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하부전극봉(40)을 절연관(30)의 상부측으로 삽입하여 장착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부전극봉(40)의 플랜지(41)는 절연관(30)의 걸림턱에 접촉되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캡(20)을 몸체(10)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10) 부분과 캡(20) 부분의 분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20)이 장착된 활성수기(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이 몸체(10)의 상부측으로 나사결합되게 되면, 캡(20)에 구비된 상부전극봉(21)의 하단이 하부전극봉(40)의 삽입홀(42)에 삽입되어 접촉되게 됨으로써, 상부전극봉(21)과 하부전극봉(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수기(100)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에 절연관(30)과, 하부전극봉(40)과 캡(20)을 조립하게 되면, 상부전극봉(21)과 하부전극봉(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므로, 고전압 발생장치(50)에 의해 캡(20)의 접지단자(22)와 상부전극봉(21)으로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전기장이 형성되어 절연관(30)과 몸체(10) 사이의 공간으로 입구관(11)을 통해 유입된 용수가 활성수가 되어 출구관(12)으로 통해 토출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모드에서의 활성수기(10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수기(100)의 출력전압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캡(20)에 구비된 점검부(23)의 절연체 캡(25)을 개방하고, 고전압측정장치(60)에서 전압측정프로브(61)가 구비된 제4전선(62)을 점검부(23) 내부에 구비된 점검용 전극봉(26)에 연결하고, 전압측정프로브(61)가 구비된 제5전선(63)을 캡(20)의 접지단자(22)에 연결하여 활성수기(100)의 출력전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활성수기(100)의 출력전압을 항시 측정할 수 있어 활성수기(100)를 사용하는 동안 활성수기(100)의 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몸체(10), 절연관(30), 하부전극봉(40), 상부전극봉(21)을 갖는 캡(20)을 모두 용접없이 조립형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되므로 부품의 파손 등으로 인해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용이하게 활성수기(100)의 분해가 가능하도록 전극봉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기(70)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70)는 활성수기(100) 내로 용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72)를 제어하여, 유입되는 유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배수밸브(71)의 개방여부를 제어하게 되며, 온도센서(73)에 의해 측정된 외기온도값을 전송받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기(70)에 의한 제어방법에 의해 겨울철 외기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경우 장시간 활성수기(100)를 사용하지 않으면 몸체(10)의 용수가 결빙되어 세라믹 절연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제어기(70)는 활성수기(100)에 용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72)의 전원이 차단된 후, 온도센서(73)에서 측정된 외기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예를 들어, 0℃)이하가 되고, 이러한 온도가 설정된 일정시간(예를 들어 1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배수밸브(71)를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몸체(10) 내의 용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함으로써,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종래 전자식 활성수기
2:내부전극봉
3:도체
4:도선
5:외부전극판
10:몸체
11:입구관
12:출구관
13:상부덮개판
14:삽입구멍
15:하부덮개판
20:캡
21:상부전극봉
22:접지단자
23:점검부
24:하우징
25:절연체 캡
26:점검용 전극봉
27:제3전선
28:절연부재
30:절연관
31:절연관 플랜지
32:상부개구부
33:내부공간
34:오링
40:하부전극봉
41:전극봉 플랜지
42:삽입홀
50:고전압 발생장치
51:제1전선
52:제2전선
60:고전압 측정장치
61:전압측정 프로브
62:제4전선
63:제5전선
70:제어기
71:배수밸브
72:공급펌프
73:온도센서
100:활성수기

Claims (1)

  1. 활성수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갖고, 용수가 유입되는 입구관과, 전기장에 의해 형성된 활성수가 토출되는 출구관과 상부에 삽입구멍이 형성된 상부덮개판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탈부착되며, 고전압발생장치의 제1전선에 연결된 상부전극봉과, 상기 상부전극봉과 제3전선으로 연결된 점검용 전극봉이 구비되는 점검부와, 고전압발생장치의 제2전선과 연결되는 접지단자와, 상부면에 형성된 구멍에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상부전극봉의 연결단이 장착되는 절연부재를 갖는 캡;
    상부측 직경이 더 큰 걸림턱이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고, 하부는 폐쇄면으로 구성되고, 상부에 개구부와 절연관 플랜지를 구비하며, 외면이 상기 몸체 내면과 특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절연관;
    상기 절연관 플랜지와 상기 상부덮개판 사이에 구비되는 오링; 및
    상기 절연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며, 상부 측에 상기 상부전극봉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어 접촉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관의 걸림턱에 형상맞춤되도록 상부측에 구비된 전극봉 플랜지를 갖는 하부 전극봉;을 포함하되,
    상기 캡이 상기 몸체 상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상부전극봉과 상기 하부전극봉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의 제1전선은 상기 상부전극봉의 상단과, 제2전선은 상기 접지단자에 연결되어, 전압 인가에 의해 전기장을 형성하며,
    출력전압 측정모드 시, 고전압 측정장치의 전압측정프로브가 설치된 제4전선을 상기 점검용 전극봉에 연결하고, 고전압 측정장치의 전압측정프로브가 설치된 제5전선을 상기 접지단자 각각에 연결하여 상기 활성수기의 출력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점검부는,
    내부에 상기 점검용 전극봉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에 탈부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밀폐시키는 절연체 캡을 포함하여,
    상기 측정모드 시, 상기 절연체 캡을 탈착하고, 고전압 측정장치의 전압측정프로브가 설치된 제4전선을 상기 점검용 전극봉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압 측정이 가능한 조립형 활성수기.
KR1020150019416A 2015-02-09 2015-02-09 출력전압 측정이 가능한 조립형 활성수기 KR101681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416A KR101681403B1 (ko) 2015-02-09 2015-02-09 출력전압 측정이 가능한 조립형 활성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416A KR101681403B1 (ko) 2015-02-09 2015-02-09 출력전압 측정이 가능한 조립형 활성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576A KR20160098576A (ko) 2016-08-19
KR101681403B1 true KR101681403B1 (ko) 2016-12-01

Family

ID=5687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416A KR101681403B1 (ko) 2015-02-09 2015-02-09 출력전압 측정이 가능한 조립형 활성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384A (ko) 2022-04-14 2023-10-23 에스디하이테크 주식회사 슬라이딩과 회전이 가능한 활성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9347A (ko) * 2022-07-13 2024-01-22 장한호 용수 유체이송수단의 전극 가설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706B1 (ko) 2011-05-09 2011-11-30 주식회사 비젼. 인. 텍 전자장 수처리 장치
JP2012016092A (ja) * 2010-06-29 2012-01-19 Panasonic Electric Works Denro Co Ltd 分岐ブレーカ取付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713B1 (ko) * 1989-08-29 1992-08-17 한봉주 전자식 수처리 시스템
WO1997033274A1 (en) 1996-03-08 1997-09-12 Philips Electronics N.V. Multichannel magnetic head
KR100839556B1 (ko) 2006-07-05 2008-06-19 이회성 전자식 활성수기
KR20090037569A (ko) * 2007-10-12 2009-04-16 이회성 전자식 활성수기를 사용한 물 정화 시스템
KR101210504B1 (ko) 2010-04-27 2012-12-10 이배준 다단계의 접촉여재층을 갖는 활성수기 및 이를 이용한 활성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092A (ja) * 2010-06-29 2012-01-19 Panasonic Electric Works Denro Co Ltd 分岐ブレーカ取付台
KR101087706B1 (ko) 2011-05-09 2011-11-30 주식회사 비젼. 인. 텍 전자장 수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384A (ko) 2022-04-14 2023-10-23 에스디하이테크 주식회사 슬라이딩과 회전이 가능한 활성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576A (ko) 201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276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high voltage to a flame-coupled electrode
KR101681403B1 (ko) 출력전압 측정이 가능한 조립형 활성수기
US201503309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gas concentration
CN103163116A (zh) 液体阴极辉光放电发射光谱检测金属离子装置
US7967963B2 (en) Wastewater analysis sensor cartridge
US20080134811A1 (en) Insertion electrode device
WO2007107652A3 (fr) Cellule de mesure de potentiel pour la surveillance des installations a protection cathodique par soutirage
JPS61160038A (ja) 粒子検出器
KR102090694B1 (ko) 전기화학 셀 및 전기화학 셀 시스템
JP5588471B2 (ja) 微粒子検知システム
US20190151817A1 (en) Pef chamber
US105031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tals free reduction and control of resistivity of deionized water
KR200468568Y1 (ko) 나노 수 처리기
JP5941575B2 (ja) 微粒子検知システム
CN105692921A (zh) 一种脉冲占空比可调的多功能电子除垢器
RU2732163C1 (ru) Наддолотный модуль
CN206930740U (zh) 一种高温硫化硅橡胶绝缘管套检测装置
CN110873752A (zh) 一种污染地下水修复粒子激发极化信号实验装置及方法
JP2003262544A (ja) 電磁流量計の電極構造
CN216771576U (zh) 一种流通池组件
US10294132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duce and control resistivity of deionized water
CN210624910U (zh) 粉碎机气体加热装置
US3418566A (en) Probe for measuring conductivity of an electrolyte solution
KR102104741B1 (ko) 슬라이딩 방식의 교체형 유체 분석 챔버 모듈
JP2002054978A (ja) 静電容量式レベル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