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816B1 - liquid soap dispenser and molding apparatus of manufacture for liquid soap dispenser - Google Patents

liquid soap dispenser and molding apparatus of manufacture for liquid soap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816B1
KR101680816B1 KR1020150020193A KR20150020193A KR101680816B1 KR 101680816 B1 KR101680816 B1 KR 101680816B1 KR 1020150020193 A KR1020150020193 A KR 1020150020193A KR 20150020193 A KR20150020193 A KR 20150020193A KR 101680816 B1 KR101680816 B1 KR 101680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ld
water
sealing cap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97834A (en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김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기 filed Critical 김명기
Priority to KR102015002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816B1/en
Publication of KR2016009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8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8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pressure on soap, e.g. with piston

Abstract

재활용되는 물비누 저장통의 교체가 용이하고 제조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고정대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부가 구비된 케이스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되 물비누가 충진되는 충진부 하측으로 밀폐마개에 의해 밀폐된 배출부가 형성된 교체식 충진탱크와, 일측에 물비누가 이동되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공급하는 펌핑수단이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충진탱크로부터 배출된 물비누가 저장되도록 중공형 함체로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충진탱크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인입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하우징의 연결관부와 연통되는 인출관부가 형성된 보조탱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인입관부의 상단부 내주에는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부가 상기 인입관부에 회전결합됨에 따라 상기 밀폐마개를 파열시켜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도록 상기 인입관부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향 돌설된 밀폐마개 개방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디스펜서를 제공한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water bin reservoir to be recycled and to improve the composition of the water bi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part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table and having a storage part therein, and a sealing part provided below the filling part, And a housing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which a pumping means for supplying a water bubble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the water dispenser comprising: a filling tank And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of the filling tank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 and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of the housing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tank. Wherein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is screwed into an inner circumference of an upper end portion of the take- And the lower end of the screw groov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by rotating the sealing cap in such a manner that the sealing cap is ruptured as the discharge portion is rotationally coupled to the inlet pipe portion, And the water dispens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water dispenser.

Description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liquid soap dispenser and molding apparatus of manufacture for liquid soap dispens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soap dispenser and a mo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oap dispenser,

본 발명은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되는 물비누 저장통의 교체가 용이하고 제조성이 개선된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ater dispenser and a water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dispenser for manufacturing a water dispenser and a water dispenser for easily replacing a recycling water dispenser.

최근 들어서, 웰빙 경향이 사회 전반에 걸쳐 토착화되면서, 건강 및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주택, 건물, 또는 공공장소의 화장실 등에 손세척시 필요한 비누를 액체 형태로 저장하여 적정량 공급하는 누름식 물비누 디스펜서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as the tendency of well-being has been integrated into the whole society, interest in health and hygiene has increased, so that a push-type water bath for storing hand soap in liquid form in a house, a building, Dispensers are commonly used.

도 1은 종래의 물비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물비누 디스펜서(1)는 물비누를 저장하는 저장통(2)과, 상기 저장통(2)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통(2)과 연통되어 물비누가 일시 저장되는 하우징(3)과, 상기 하우징(3)에 삽입되어 하우징 내의 물비누를 외부로 토출하는 펌핑수단(4)을 포함한다.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dispenser. 1, a conventional water dispenser 1 includes a reservoir 2 for storing a water bottle, a housing 2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eservoir 2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servoir 2, 3), and pumping means (4) inserted into the housing (3) and discharging the water bubbles in the housing to the outside.

상세히, 상기 저장통(2)은 통상적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함체로 구성되고, 그 일측에 물비누의 보충을 위한 주입구(2a)와 이를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며, 타측에 물비누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2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2b)는 하우징(3)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관(3a)에 결합되어 저장통(2)과 하우징(3)이 상호 연통됨에 따라 물비누가 저장통(2)으로부터 하우징(3)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In detail, the reservoir 2 is general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s an inlet 2a for replenishing the water bottle and a cap for opening and closing it, and a discharge portion 2b . The discharge port 2b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3a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3 so that the water bottle is connected to the housing 3 from the reservoir 2 as the reservoir 2 and the housing 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하우징(3)의 타측에는 펌핑수단(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펌핑수단(4)은 상기 하우징(3)의 외측에 구비된 노즐헤드를 누름에 따라 하우징(3)으로부터 실린더 내부에 유입된 물비누를 펌핑하여 노즐을 통해 적정량의 물비누를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펌핑수단(4)은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내부에 볼과 스프링을 구비하여 실린더 내의 물비누의 유입 및 유출을 단속함에 따라 물비누를 펌핑하여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볼밸브가 주로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 V자형 밸브 등 다양한 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A pumping means 4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3. Here, the pumping means 4 is configured to pump the water bubbles flowing into the cylinder from the housing 3 by pressing the nozzle head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3 to discharge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bubbles through the nozzle . The pumping means 4 includes a cylinder and a piston, and a ball and a spring are provided in the cylinder to control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water in the cylinder, And may be composed of various valves such as a V-shaped valve in some cases.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물비누 디스펜서(1)는 상기 저장통(2)에 저장된 물비누를 소진시 상기 주입구(2a)에 마개를 분리하여 물비누를 보충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주입구(2a) 외측으로 물비누가 흘러넘치게 되면 낭비되는 물비누가 발생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비누가 흘러넘친 외부 환경이 지저분해지고 오염되어 위생성이 저하되는 문제 또한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ter dispenser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dispenser stored in the reservoir 2 is exhausted, the stopper must be removed from the inlet 2a to replenish the water dispenser. However, 2a), there is a problem that a water bottle is wasted and economic efficiency is lowered. In addition,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external environment overflowed with water was dirty and contaminated, and hygienic properties were deteriorated.

더불어, 상기 물비누를 보충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상기 주입구(2a)의 마개를 분리할 경우 상기 주입구(2a)를 통하여 외부 이물질 및 부유균이 상기 저장통(2)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물비누 자체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cap of the injection port 2a is repeatedly removed in order to replenish the water bottle, external foreign matter and floating bacteria are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2 through the injection port 2a to pollute the water bottle itself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저장통에 물비누를 보충하지 않고, 정수기 물통과 같이 일정량의 물비누를 담아 밀봉한 상태로 판매되고, 사용자는 이를 하우징(3)에 연결하여 사용후, 물비누의 소진시 상기 저장통을 폐기하거나 반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한 교체식 저장통이 일부 출시되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recent years, a water container such as a water purifier has been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water such as a water bottle without being replenished with the water container, and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housing 3, Some replaceable reservoirs have been introduced for discarding or returning the reservoir to alleviat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상세히, 상기 교체식 저장통은 일측에 상기 물비누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개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배출구를 상기 하우징에 체결하여 사용하고 상기 물비누의 소진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교체식 저장통을 분리하면 된다. In detail, the replaceable storage container has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water dispenser is discharged on one side, and the discharge port is fastened to the housing, and the replaceable storag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when the water dispenser is exhausted.

이때,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마개를 분리하여 상기 하우징의 연결관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물비누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상기 교체식 저장통을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마개를 천공시키는 쐐기형 개방돌기부가 상기 하우징 내측에 일부 구비되어 출시되었다.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bottle is leaked 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plug from the outlet and connecting the plug to the connection pipe of the housing. In order to prevent this, a wedge-shaped open protruding part for joining the replaceable storage container to the housing and for perforating the cap is partially provided inside the housing.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기 쐐기형 개방돌기부가 별도의 부품으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결합되는바, 상기 하우징 제조를 위한 공정이 추가되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쐐기형 개방돌기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마개를 실질적으로 천공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is case, the wedge-shaped open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s a separate part, which adds to the troublesom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housing, and when the wedge-shaped open protrusion is detached from the hous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practically drilled.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0-0009459호Published Korean Utility Model No. 20-2010-000945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활용되는 물비누 저장통의 교체가 용이하고 제조성이 개선된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를 제공한다.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water dispenser and a mold dispenser for manufacturing a water dispenser, wherein the water dispenser can be easily recycled and the composition of the water dispenser is improv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대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부가 구비된 케이스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되 물비누가 충진되는 충진부 하측으로 밀폐마개에 의해 밀폐된 배출부가 형성된 교체식 충진탱크와, 일측에 물비누가 이동되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공급하는 펌핑수단이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충진탱크로부터 배출된 물비누가 저장되도록 중공형 함체로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충진탱크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인입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하우징의 연결관부와 연통되는 인출관부가 형성된 보조탱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인입관부의 상단부 내주에는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부가 상기 인입관부에 회전결합됨에 따라 상기 밀폐마개를 파열시켜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도록 상기 인입관부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향 돌설된 밀폐마개 개방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디스펜서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case part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a fixing table and having a storage part therein; and a discharge part accommodated in the storage part and having a discharge part hermetically sealed by a sealing plug under the filling part, And a housing connected to a pumping means for supplying a water bubble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he water bubble dispenser comprising: a tank for storing the water filled in the filling tank; The auxiliary tank is provided with a hollow housing and formed with a draw-in tub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filling tank at one side and a draw-out tub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tube portion of the housing at the other side. A screw groove portion to be screwed with a screw thread portion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groove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ealing cap opening portion protruded radially inwardl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tube portion so that the sealing cap is ruptured as the discharge portion is rotationally coupled to the inlet tube portion to move the water bottle. Dispenser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는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중심부측으로 집중되도록 상기 인입관부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돌설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로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는 이동홀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측 중앙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을 향하여 단부가 협소화되도록 일체로 상향 돌설된 파열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탱크의 외주면에는 상기 물비누의 잔량을 확인하도록 내측이 투영되는 잔량표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충진탱크의 상측에는 물비누가 배출시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통기성 수단이 구비된 압력조절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aling cap open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integrally projected radially inwardly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let pipe portion so as to be concentrated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crew groove portion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inlet pipe portion, and a moving hole, And a rupture protrusion integrally protruded upward so as to narrow an end por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inflow pipe portion from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tank is provided with a remaining amount Preferably, the display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ressure regulating portion having an air-permeable means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ling tank so as to adjust the internal pressure when the water dispenser is discharged.

또는,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는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첨단부가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을 향하여 상향 돌설된 복수개의 윙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의 삽입시 상기 밀폐마개를 가압 파열시키도록 상기 첨단부에 형성된 파열돌기부와, 상기 나사홈부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파열된 밀폐마개를 회전 절개시키도록 상기 나사홈부의 회전방향측 테두리의 측면두께가 연속적으로 협소화되도록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the hermetically sealed opening may be integrally formed radially inwardly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thread groove portion, and the hinge portion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wings whose tip portions are projected upwar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intake tube portion. A rupture projection formed on the tip end portion to press-rupture the sealing cap; and a side wall thickness of the rim of the thread groove portion to continuously cut the ruptured sealing cap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hread groove portion, And a cut-out portion formed to be narrowed.

한편, 고정대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부가 구비된 케이스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되 물비누가 충진되는 충진부 하측으로 밀폐마개에 의해 밀폐된 배출부가 형성된 교체식 충진탱크와, 일측에 물비누가 이동되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공급하는 펌핑수단이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의 상기 충진탱크로부터 배출된 물비누가 저장되도록 중공형 함체로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충진탱크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인입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하우징의 연결관부와 연통되는 인출관부가 형성된 보조탱크를 제조하도록, 일측에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형상과 타측에 상기 인출관부의 외측형상을 포함하는 함체의 외측형상을 갖춘 제1형상홈이 구비된 제1금형부; 상기 함체 내측의 중공부 형상에 대응하는 코어로 형성되는 제2금형부; 중앙부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인입관부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부에 대응되는 나사형상홈이 형성된 제3금형부; 및 하부에 상기 인입관부의 중심부측으로 집중되도록 상기 인입관부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돌설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이동홀을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면 중앙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을 향하여 단부가 협소화되도록 일체로 돌출된 파열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형상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3금형부가 삽입되도록 상측 외주면에 단차홈이 형성된 하단부에 상기 나사홈부의 최장 직경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턱부가 형성된 제4금형부를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filling a water in a water tank, comprising: a case part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a fixing table and having a storage part therein; a replaceable filling tank in which a discharge part hermetically sealed by a sealing stopper is disposed below the filling part, And a housing connected to the pumping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tube portion, the water tub dispenser being provided with a hollow housing for storing the water dispenser discharged from the filling tank, The outer shape of the drawing tub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uter shape of the drawing tub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o as to manufacture an auxiliary tank having a drawing tub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tube portion of the tank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ng tube portion of the housing on the other side, A first mold part having a first shape groove having an outer shape of a housing, A second metal mold formed of a core corresponding to a hollow shape inside the housing; A third mold portion having a through-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screw groove corresponding to a screw groove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upper end portion of the take-up tube por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integrally projecting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drawing tube portion and a moving hole so as to be concentrated toward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drawing tube portion at the lower portion, And a circumferent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est diameter of the screw groove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where a stepped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insert the third mold portion, And a fourth mold portion having a stepped portion formed thereon.

여기서, 상기 제4금형부의 상기 단차홈의 외주 직경은 상기 제3금형부의 상기 관통부 내주 직경에 대응되고, 상기 단턱부의 두께와 상기 이동홀의 깊이를 포함하는 상기 제4금형부의 테두리부 두께는 상기 나사홈부의 나사홈 세로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4금형부의 상측에는 상기 제4금형부를 상기 제2금형부측으로 탄발 가압하는 스프링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pped groove of the fourth mold part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enetrating part of the third mold part, and the thickness of the rim of the fourth mold part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step and the depth of the moving hole, And a spring for pressing the fourth mold part toward the second mold part sid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ourth mold part to correspond to the screw groov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crew groove part.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mentioned solution, the water dispenser and the mol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인입관부에 밀폐마개 개방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보조탱크가 더 구비되므로 상기 보조탱크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물비누를 재충진하여 사용하던 종래의 물비누 디스펜서에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를 호환하여 체결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irst, since the auxiliary tank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pening portion of the inflow pipe portion, the conventional water bottle dispenser, which is used by refilling the water bottle with the auxiliary tank connected to the housing, uses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둘째,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는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를 상기 보조탱크에 체결시 상기 밀폐마개를 손쉽게 파열시키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향 돌출되되,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가 상기 인입관부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측에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를 반복적으로 체결하더라도 상기 파열돌기의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Secondly, the sealing cap opening part protrudes upward radially inward so as to easily rupture the sealing cap when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is fastened to the auxiliary tank, wherein the sealing cap open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drawing tube part, The detachment and separation of the rupture protrusion are prevented even if the replacement type filling tank is repeatedly fastened, so that the dur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셋째,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를 상기 보조탱크 상측에 결합하도록 상기 인입관부 내측으로 상기 배출구를 삽입시 상기 밀폐마개가 상기 파열돌기부의 뾰족한 첨단부에 접촉되어 파열된 후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절개부의 예리한 단부가 상기 밀폐마개를 회전 절개하므로 물비누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으로 확장 개방될 수 있다.Thirdly, when the discharge port is inserted into the inlet tube portion to connect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to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tank, the sealing cap is ruptured in contact with the pointed tip of the rupture protrusion, Since the sharp end portion rotatably cuts the airtight cap, it can be opened and expanded to a sufficient area so that the water bottle can be easily discharged.

넷째,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에 대응되는 형상홈이 구비된 금형을 이용하기만 하면 상기 보조탱크를 성형시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사출 형성된 밀폐마개 개방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시간 및 제조과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ourthly, only by using a mold provided with a shap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sealing cap, the auxiliary tank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crew groove por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form the injection-formed hermetically sealing opening portion, so that th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horten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다섯째, 상기 인입관부 내주면의 나사홈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3금형부와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4금형부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탱크의 상기 나사홈부를 따라 회전되면서 분리되므로 완성된 제품으로부터 각 금형의 분리가 용이하여 제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ifth, a third mold portion provided to form the thread groove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ke-up tube portion and a fourth mold portion provided to form the seal plug opening portion are separated while being rotated along the thread groove portion of the auxiliary tank formed by injection molding The respective mold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nished product, so that the productiv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도 1은 종래의 물비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마개 개방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마개 개방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를 이용한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dispenser.
2 is a schematic view of a soap dispense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hermetic cap op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of a soap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a sealing cap open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and 6C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 mol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oap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 및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ol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ater dispenser and a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마개 개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hermetic cap op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100)는 케이스부(10), 교체식 충진탱크(20), 하우징(30) 및 보조탱크(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0)는 일면이 세면대와 인접한 화장실 벽과 같은 고정대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부(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1)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커버부(12)가 구비된다. 2 to 3, the water dispens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 a replaceable filling tank 20, a housing 30, and an auxiliary tank 40. Here, the case 1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table, such as a toilet wall adjacent to the washstand, and has a receiving portion 11 therein. Further, a cover portion 12 for selectively open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11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커버부(12)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부(1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스부(10)의 일측에 형성된 구속부(12a)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커버부(12)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펌핑수단(32)의 노즐헤드를 가압하도록 커버된 펌핑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cover 12 is hing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10 to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other end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restricting portion 12a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0 . ≪ / RTI > 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umping part covered on the one side of the cover part 12 so as to press the nozzle head of the pumping means 32 may further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수납부(11)에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가 수용된다. 상세히,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는 상기 물비누가 충진되도록 내부가 중공형인 충진부(21)가 형성되며 하측으로 배출부(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22)는 상기 충진부(21)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중공형 충진부(21)와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구되며, 외주면에 나사산부(22a)가 형성된다.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 In detail,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is formed with a filling part 21 whose inside is hollow so as to fill the water bottle, and a discharge part 22 is formed downward. At this time, the discharge part 22 is extended from the filling part 21 by a predetermined length, one side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filling part 21, and the thread part 22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더불어, 상기 배출부(22)의 개구된 일측을 밀폐하도록 밀폐마개(23)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밀폐마개(23)는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에 충진된 물비누의 하중을 지지하면서도 후술되는 파열수단에 의해 파열되어 상기 배출부(22)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판막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파열수단에 의한 파열이 용이하도록 상기 밀폐마개(23)에는 파열유도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sealing plug 23 is provided to seal the open side of the discharge portion 22. In detail, the sealing stopper 23 is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can support the load of the water bottle filled in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and can be selectively ruptured by the rupture means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y provided as a plate film. Furthermore, a rupture induction groove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sealing cap 23 to facilitate rupture by the rupturing means.

이때, 상기 밀폐마개(23)는 상기 배출부(22)의 단부 테두리에 열융착되거나 접착되어 상기 배출부(22)를 밀폐시킬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배출부(22)의 개구된 일측 직경에 대응하는 밀폐면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부(22)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연장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ealing plug 23 may be thermally fused or adhered to the edge of the discharge portion 22 to seal the discharge portion 22. As a matte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ide extending portion that extends outward from the rim of the clos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pened one side diameter of the discharge portion 22 and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22.

즉,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식 충진탱크(20)는 물비누의 소진시 물비누를 상기 충진탱크(20)에 다시 채워넣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물비누가 채워진 별도의 충진탱크(20)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를 통해, 종래에 물비누 저장통에 물비누를 반복적으로 채워넣어야 하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물비누를 재충진시 상기 저장통 외부로 흘러넘치거나 이물질이 상기 저장통에 유입되어 오염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bottle is filled back into the filling tank 20 when the water bottle is exhausted, but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filling tank 20 filled with the water bottle is replaced and used Respective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water bottle is repeatedly filled in the water bottle reservoir, and the problem that the water bottle is flooded to the outside of the reservoir or the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and is not contaminated when the water bottle is refilled can be prevented.

이때,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는 물비누 공급업체에서 수거 및 세척하여 상기 물비누를 재충진 후 밀폐마개(23)로 밀폐하여 상기 사용자측으로 재공급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개선되면서도, 상기 충진탱크(20)의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는 별도로 제조될 수도 있으나 종래에 출시되는 생수통 등과 같은 PT병을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성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is collected and washed by the supplier of the water bottle, and the water bottle is refilled. After the water bottle is refilled, the sealing bottle 23 can be closed and closed and the refill can be supplied again to the user.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olluted. Furthermore,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but the economical efficiency may be further improved by recycling the conventional PT bottle such as a water bottle.

한편,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의 하측으로 상기 보조탱크(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조탱크(40)는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와 펌핑수단(32)이 구비된 상기 하우징(30)을 매개하여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로부터 배출된 물비누가 임시 저장되는 저장수단으로서 인입관부(42)와 인출관부(4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tank 40 is provided below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In detail, the auxiliary tank 40 temporarily stores the water dispenser discharged from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via the housing 30 having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and the pumping means 32 And includes a draw-in tube portion 42 and a draw-out tube portion 43 as storage means.

상세히, 상기 하우징(30)의 일측에는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는 상기 연결관부(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공급하는 펌핑수단(32)이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펌핑수단(32)은 상기 노즐헤드를 누름에 따라 하우징(30)으로부터 실린더 내부에 유입된 물비누를 펌핑하여 노즐을 통해 적정량의 물비누를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In detail, the connection pipe portion 31 on which the water bottle is to be mov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30, and a pumping means 32 for supplying waterwash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detail, the pumping means 32 is configured to pump the water bubbles flowing into the cylinder from the housing 30 as the nozzle head is pressed, and to discharge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bubbles through the nozzles.

이러한, 상기 펌핑수단(32)은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내부에 볼과 스프링(534)을 구비하여 실린더 내의 물비누의 유입 및 유출을 단속함에 따라 물비누를 펌핑하여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볼밸브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V자형 밸브 등 다양한 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펌핑수단(32)의 구조는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umping means 32 includes the cylinder and the piston, and a ball and a spring 534 are provided in the cylinder to control the flow of the water in the cylinder, Valves can be used mainly. Of course, the valve may be composed of various valves such as a V-shaped valve. The structure of the pumping means 32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와 상기 하우징(30) 사이를 매개하는 상기 보조탱크(4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보조탱크(40)는 중공형 함체(41)로 구비되되 상측으로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배출부(22)와 연통되는 인입관부(42)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상기 하우징(3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관부(31)와 연통되는 인출관부(43)가 형성된다.The auxiliary tank 40 is provided between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and the housing 30. In detail, the auxiliary tank 40 is formed as a hollow housing 41 and has a draw-in tube portion 42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ion 22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43) communicating with a connection tube portion (31)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30) downward.

이때,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출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22a)와 나사결합되는 나사홈부(42a)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부(22)와 상기 인입관부(42)가 상호 나사결합되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와 상기 보조탱크(40)가 연통되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에 충진된 물비누가 상기 보조탱크(40)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portion 42 is formed with a screw groove portion 42a to be screwed with the screw thread portion 22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22. That is, when the discharging portion 22 and the inlet pipe portion 42 are screwed together,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and the auxiliary tank 4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o connect the water bottle filled in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Can be moved toward the auxiliary tank 40 side.

한편, 상기 인출관부(43)의 외주면에 제2나사산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31) 내주면에 상기 제2나사산부(22a)와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홈이 형성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인출관부(43)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관부(31) 내주면의 상호 대향위치에 끼움홈 및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끼움체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더욱이, 상기 인출관부(43)와 상기 연결관부(31) 사이를 실링하도록 오링(O-ring)과 같은 실링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 상기 보조탱크(40) 및 상기 하우징(30)이 연통되어 상기 물비누가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로부터 상기 하우징(30)으로 이동되어 상기 펌핑수단(32)을 펌핑시 배출될 수 있다.A second threaded portion 22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ke-out tube portion 43 and a second threaded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tube portion 31 to be screwed with the second threaded portion 22a. Of course, depending on the case, fitting grooves and fitt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at mutually opposite position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ke-out tube portion 43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tube portion 31, and they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Such a modifica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Further, a sealing member such as an O-ring may be further provided to seal between the take-out tube portion 43 and the connection tube portion 31. Thereby,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the auxiliary tank 40 and the housing 3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water bottle is moved from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to the housing 30, (32). ≪ / RTI >

여기서, 상기 인입관부(42)의 외주에 상기 나사산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22)의 내주면에 상기 나사산부(22a)에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는 나사홈부(42a)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인입관부(42)와 상기 배출부(22) 사이 틈이 외부환경과 연통되는 방향과 상기 물비누가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물비누가 상기 인입관부(42)와 상기 배출부(22) 사이 틈으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입관부(42) 내측에 상기 배출부(22)가 삽입되도록 상기 인입관부(42) 내주면에 상기 나사홈부(42a)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22) 외주면에 상기 나사산부(2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threaded portion 22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aw tube portion 42 and a threaded groove portion 42a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22 to be screwed correspondingly to the threaded portion 22a However, in this ca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inlet pipe portion 42 and the discharge portion 22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bottle is moved by gravity. Since the water bottle can flow out into the gap between the inlet pipe portion 42 and the outlet portion 22 so that the outlet portion 22 is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portion 42, And the threaded portion 22a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22. [

이를 통해, 상기 인입관부(42)와 상기 배출부(22) 사이 틈으로 물비누가 유출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므로 외부환경이 위생적으로 유지되면서도 상기 물비누의 손실을 방지하여 경제적이다. 물론, 상기 인출관부(43)와 상기 연결관부(31)도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위생성 및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This prevents water from leaking into the gap between the inlet pipe portion (42) and the discharge portion (22), so that it is economical to prevent the loss of the water bottle while keeping the external environment hygienic. Of course, the draw-out tube portion 43 and the connection tube portion 31 may b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reby improving sanitary and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상기 인입관부(42)는 종래의 규격화되어 출시되는 PT병의 배출부와 대응되도록 규격화되어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재활용 PT병을 호환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및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let pipe portion 42 is standardized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ing portion of the conventional PT bottle,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recycling PT bottles in a compatible manner,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and usability.

한편, 상기 인입관부(42)의 상단부 내주에는 상기 나사홈부(42a)가 형성되되,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부(22)가 상기 인입관부(42)에 회전결합됨에 따라 상기 밀폐마개(23)를 파열시켜 물비누가 이동되도록 상기 인입관부(42) 내주면에 밀폐마개 개방부(50)가 일체로 상향 돌설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는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실질적으로 포함되므로 후술되는 설명에서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구비되는 것과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구비되는 것은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e threaded portion 42a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draw tube portion 42. The discharge portion 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aw tube portion 42 at the lower end of the threaded groove portion 42a,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cap opening 50 is formed integrally upwardly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portion 42 so that the sealing cap 23 ruptures to move the water bottle. Since the lower end of the screw groove portion 42a is substantially includ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ake pipe portion 42,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cap opening portion 5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crew groove portion 42a,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cap opening 50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portion 42 in the same sense.

상세히,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는 상기 밀폐마개를 파열시키는 파열수단으로서 연결부(51)와 파열돌기(5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51)는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42)의 중심부측으로 집중되도록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상향 돌설되는 복수개의 지지대(52)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sealing cap opening 5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51 and a rupture protrusion 54 as rupture means for rupturing the sealing cap. The connecting portion 51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s (not shown) that are integrally projected radially inwardly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let pipe portion 42 so as to be concent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crew groove portion 42a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let pipe portion 42 52).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52)는 일단부가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 특히,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 일체로 돌설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52)가 상기 배출부(22)와 상기 인입관부(42)의 회전체결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51)의 상면과 상기 배출부(22)의 단부 사이에는 오링(O-ring)과 같은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22)와 상기 인입관부(42) 사이의 틈으로 상기 물비누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52 integrally projects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portion 42, particularly, the lower end of the screw groove portion 42a.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urality of supports 52 from interfering with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22 and the take-in tube portion 42. A sealing member such as an O-ring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51 and the end of the discharge part 22 so that a gap between the discharge part 22 and the inlet pipe part 42 So that the wa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52)의 타단부는 상기 인입관부(42)의 중심부측에 집중되도록 상향 돌설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52)가 상기 인입관부(42)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분지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52)의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52) 사이에는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는 상기 이동홀(53)로 구비될 수 있다.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52 are projected upwardly so as to be concentrated on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inlet tube portion 42. That is, the plurality of support rods 52 are radially branch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lead-in pipe portion 42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ad-in pipe portion 42,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portion 42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groove portion 42a.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upports 52 may be provided as the moving holes 53 through which the water bubbles are moved.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연결부(51)는 상기 인입관의 내주 직경에 대응하되 테두리가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인입관부(42)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판막으로 구비되고, 상기 판막을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이동홀(53)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Of course, the connection portion 51 may be formed as a valve plat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pipe and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portion 42 whose edge corresponds to the lower end of the screw groove portion 42a, A plurality of moving holes 53 may be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plate film,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파열돌기(54)는 상기 연결부(51)의 상측 중앙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42)의 외측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되, 상측을 향하여 뾰족하게 협소화되도록 상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측이라 함은 상기 인입관부(42)의 개구된 상측방향을 의미하며 협소화되도록 상향 돌설된다 함은 상기 연결부(51)의 상측 중앙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파열돌기(54)의 하단부보다 상기 인입관부(42)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파열돌기(54)가 첨단부를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e rupture projection 54 is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51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intake pipe portion 42 and is upwardly stood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upper side. Here, the outer side refers to the upper direction of the opening of the inflow pipe portion 42 and protrudes upward so as to be narrower tha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upture protrusion 54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51,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rupture protrusion 54 extending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inlet pipe portion 42 is formed to have a narrow diameter toward the tip end portion.

즉, 상기 인입관부(42) 내측으로 상기 배출부(22)를 회전삽입시 상기 밀폐마개(23)가 상기 파열돌기(54)의 뾰족한 첨단부에 가압 파열되면 상기 배출부(22)가 개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출부(22)를 밀폐하는 상기 밀폐마개(23)를 별도로 분리하지 않더라도 단지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가 상기 보조탱크(40) 상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배출부(22)를 상기 인입관부(42)에 회전결합시키기만 하면 상기 파열돌기(54)에 상기 밀폐마개(23)가 가압 파열되므로 상기 물비누가 배출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ischarge stopper 22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take-in tube portion 42, the discharge stopper 22 is opened when the sealing stopper 23 is ruptured to the pointed tip of the rupture protrusion 54 . The discharge port 22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tank 40 so that the replacement tank 20 can be coupled to the auxiliary tank 40 without separating the sealing cap 23 for sealing the discharge port 22 The sealing cap 23 is ruptured to the rupture protrusion 54 so that the water bottle can be discharged.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파열돌기(54)를 원추형태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상측이 뾰족한 십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단부가 뾰족하여 상기 밀폐마개(23)를 가압 파열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In the meantime, although the rupture protrusions 54 are shown in a conical shape in the figure, the rupture protrusions 54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having a sharp top on the upper side, or if the shape is such that the end portions are sharp and the hermetic seal 23 can be ruptured And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100)에는 상기 보조탱크(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상향 돌설되므로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상기 보조탱크(40)에 체결는 과정에서 상기 밀폐마개(23)를 손쉽게 파열시켜 상기 물비누의 배출이 용이하면서도 주변 환경이 깔끔하게 유지되어 위생적이다.That is, the water dispens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auxiliary tank 40, and the sealing cap opening 50 is integrally protruded upward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portion 42 The sealing cap 23 is easily ruptured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to the auxiliary tank 40, so that the drainage of the water bottle is eas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clean and sanitary.

이때,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에 대응되는 형상홈이 구비된 금형을 이용하기만 하면 상기 보조탱크(40)를 성형시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 일체로 사출 형성된 밀폐마개 개방부(5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시간 및 제조과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mold having the shap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cap opening portion 50 is used, the auxiliary tank 40 may be formed with a sealing cap open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crew groove portion 42a, (50) can be form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manufacturing time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horten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상기 인입관부(42)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측에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반복적으로 체결하더라도 분리되거나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파열돌기(54)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ealing cap opening 5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let pipe portion 42, even when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is repeatedly fastened to the upper side, So that dur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그리고, 상기 보조탱크(40)의 외주면에는 상기 물비누의 잔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내측이 투영되는 잔량표시부(4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잔량표시부(44)는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상기 보조탱크(40)의 함체(41)부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투명한 재질의 투영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영부에는 잔량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 가능한 눈금부가 표시될 수도 있다.A remaining amount display portion 4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tank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inside of the auxiliary tank 40 is projected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water can be confirmed. At this time, the remaining amount display part 44 may be formed as a projection part of transparent materi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41 of the auxiliary tank 40 formed opaque. Further, the projection unit may display a scale unit capable of more specifically checking the remaining amount.

물론, 상기 보조탱크(40)는 투명하게 형성되고 상기 잔량표시부(44)는 상기 투명한 함체(41)부 측면의 어느 일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눈금부가 표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보조탱크(40)에 남아있는 상기 물비누의 양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라면 상기 보조탱크(40)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자(ruler)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Of course, the auxiliary tank 40 may be formed in a transparent manner, and the remaining amount indicator 44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graduation is display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transparent housing 41. Further, the auxiliary tank 4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ruler provided vertically in the auxiliary tank 40 if the structure can visually confirm the amount of the water bubbles remaining in the auxiliary tank 40,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더불어, 상기 케이스부(10)에는 상기 커버부(12)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상기 잔량표시부(44)를 확인하여 물비누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잔량표시부(44) 위치에 대응하여 내부투영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10 may be provided with an inner projection par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maining amount indicator 44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indicator 44 can be checked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waterwheel can be grasped without opening the cover part 12 .

이를 통해, 상기 커버부(12)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내부의 물비누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관리성이 개선되며, 교체시점이 상기 물비누가 상기 보조탱크(40)로 실질적으로 전량 이동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상기 충진탱크(20) 내부에 물비누 잔여분이 일부 남아 교체시 주위에 상기 잔여분이 흘러내리던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이다.Accordingly, even if the cover unit 12 is not opene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water boiler inside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o be replaced, thereby improving manageability, and when the replacement time is substantially the entire amount of the water booze is moved to the auxiliary tank 40 It is hygienic to prevent the residue from flowing around in the filling tank 20 whe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water boiler is replaced inside the filling tank 20 in the related art.

한편,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의 상측에는 상기 물비누가 배출시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통기성 수단(24b)이 구비된 압력조절부(2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압력조절부(24)는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의 일측에 관형(tube)으로 형성되되 관통공(24a)이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충진부(21)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 Meanwhile, a pressure regulating unit 24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and a ventilation means 24b may be provided to regulate the internal pressure when the water dispenser is discharged. In detail, the pressure regulator 24 is formed in a tube on one side of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and a through hole 24a is formed so that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filling portion 2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이를 통해, 상기 펌핑수단(32)을 통해 물비누를 배출시 상기 관통공(24a)을 통하여 배출된 물비누의 부피만큼의 공기가 자동으로 공급되므로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 내지 상기 보조탱크(40)가 압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water dispenser is discharged through the pumping means 32, air of the volume of the water dispenser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hole 24a is automatically supplied, so that the replacement filling tank 20 to the auxiliary tank 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the pressure.

이때, 상기 관통공(24a)을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을 차단하면서도 상기 물비누가 중력에 의해 상기 보조탱크(40) 측으로 이동시 상기 충진부(21) 내부의 대기압이 평형을 이루도록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통기성 수단(24b)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통기성 수단(24b)이 필터 역할을 하여 공기는 이동되면서도 그 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 및 위생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water bubbles are moved toward the auxiliary tank 40 due to gravity while blocking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24a, air permeability that can flow air so that the atmospheric pressure inside the filling portion 21 becomes balanced Means 24b may be provided. That is, since the air-permeable means 24b serves as a filter, while the air is being moved,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exchange-type filling tank 20, and the pressure inside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can be kept constant, .

더욱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운반 및 보관시 상기 압력조절부(24)를 통하여 상기 물비누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압력조절부(24)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밀폐캡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에 물비누를 충진시키고 운반 및 보관하는 경우에는 상기 압력조절부(24)에 상기 밀폐캡을 체결하여 밀폐시키고, 상기 보조탱크(40) 상측에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결합시킨 후에는 상기 밀폐캡을 분리하고 상기 통기성 수단(24b)을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운반 및 보관시 상기 충진탱크(2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압력조절부(24)가 돌출된 높이에 대응하는 받침단턱(25)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a sealing cap for selectively sealing the pressure regulating part 24 is separately provided to prevent the water bubbles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pressure regulating part 24 when carrying and storing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 That is, in the case of filling and filling and storing the water in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the sealing cap is fastened to the pressure regulating part 24 to seal the inside of the auxiliary filling tank 20, After the tank 20 is coupled, the sealing cap may be detached and the air-permeable means 24b may be fastened. In addition, a support step 25 corresponding to the protruded height of the pressure regulating part 24 may be further formed to prevent the inclination of the filling tank 20 when the exchange type filling tank 20 is transported and stored have.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100)는 상기 인입관부(42)에 밀폐마개 개방부(50)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보조탱크(40)가 더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물비누를 재충진하여 사용하던 종래의 물비누 디스펜서(100)의 하우징(30) 상측에 상기 보조탱크(40)를 호환하여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e water dispens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auxiliary tank 40 in which the sealing cap opening 5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let pipe portion 42. Therefore, Since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can be utilized merely by interchangeably coupling the auxiliary tank 40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30 of the water dispens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이때, 상기 보조탱크(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향 돌설되므로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상기 보조탱크(4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밀폐마개(23)를 손쉽게 파열시켜 상기 물비누의 배출이 용이하면서도 주변 환경이 깔끔하게 유지되어 위생적이다.In this case, the auxiliary tank 40 is further provided, and the sealing cap opening 50 is radially inwardly protru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portion 42, so that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tank The sealing cap 23 is easily ruptured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cap 40 to the cap 40, thereby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the cap so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clean and sanitary.

여기서,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에 대응되는 형상홈이 구비된 금형을 이용하기만 하면 상기 보조탱크(40)를 사출 성형시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밀폐마개 개방부(5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시간 및 제조과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e auxiliary tank 40 may b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screw groove portion 42a at the time of injection molding by using a mold having a shap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cap opening portion 50, (50) can be form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manufacturing time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horten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상기 인입관부(42)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측에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반복적으로 체결하더라도 분리되거나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파열돌기(54)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ealing cap opening 5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let pipe portion 42, even when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is repeatedly fastened to the upper side, So that dur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불어, 상기 커버부(12)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내부의 물비누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관리성이 개선되며, 교체시점이 상기 물비누가 상기 보조탱크(40)로 실질적으로 전량 이동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상기 충진탱크(20) 내부에 물비누 잔여분이 일부 남아 교체시 주위에 상기 잔여분이 흘러내리던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이다.In addition, sinc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water boiler inside can be checked and replaced in real time without opening the cover part 12, manageability is improved, and when the replacement time is substantially the entire amount of the water bottle moved to the auxiliary tank 40 It is hygienic to prevent the residue from flowing down around the filling tank 20 whe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water boiler is replaced inside the filling tank 20 in the related art.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마개 개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폐마개 개방부(25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hermetic cap open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sealing cap opening 250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250)는 상기 나사홈부(242a)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242)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첨단부가 상기 인입관부(242)의 외측을 향하여 상향 돌설된 복수개의 윙(250a)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4 to 5, the hermetic seal opening part 250 is integrally formed radially in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threaded groove part 242a, and the tip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let tube part 242a 242 projecting upward toward the outside of the wings 250a.

이때,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250)는 상기 배출부(22)를 상기 인입관부(242)의 내측에 삽입시 상기 밀폐마개(23)를 가압 파열시키도록 상기 첨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된 파열돌기부(251)와, 상기 파열된 밀폐마개(23)를 회전 절개시키도록 상기 나사홈부(242a)의 회전방향측 테두리의 측면두께가 연속적으로 협소화되도록 형성된 절개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ling cap opening portion 250 is formed to have a rupture protrusion portion (a protruding protrusion portion) formed in the tip portion to press-break the sealing cap 23 when the discharging portion 22 is inserted into the inlet pipe portion 242 And a cutout portion 252 formed to continuously narrow the lateral thickness of the rim of the threaded portion 242a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in order to rotationally cut the ruptured sealing plug 23.

상세히, 상기 배출부(22)와 상기 인입관부(242)가 상호 나사결합되면 상기 배출부(22)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밀폐마개(23)의 외주면이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250)의 첨단부인 상기 파열돌기부(251)와 인접하여 접촉된다. 이때, 상기 파열돌기부(251)는 단부가 뾰족하게 협소화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밀폐마개(23)와 접촉됨과 동시에 가압 파열시킬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cap 23 provided at the end of the discharging portion 22 may be connected to the tip end of the sealing cap opening portion 250 when the discharging portion 22 and the drawing tube portion 242 are screwed together, The abutting portion is adjacent to the tearing protrusion 251. At this time, since the rupture protrusion 251 is formed by narrowing the end portion to be sharp, the rupture protrusion 251 can be contacted with the sealing plug 23 and pressurized and ruptured.

이어서, 파열돌기부(251)에 의해 파열된 상기 밀폐마개(23)의 파열면에 상기 절개부(252)에 접촉되되 상기 배출부(22)와 상기 인입관부(242)가 상호 나사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 절개되므로 상기 밀폐마개(23)에 상기 물비누가 배출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으로 확장되어 개방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ion 22 and the inlet pipe portion 242 are screw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charge portion 22 is in contact with the rupture surface of the sealing plug 23 ruptured by the rupture protrusion 251,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expanded to a sufficient area for discharging the water bottle to the closing stopper 23.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절개부(252)는 상기 배출부(2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나사홈부(242a)의 체결 회전 방향측 테두리(y)의 측면두께가 그의 반대방향 테두리(x) 측면두께보다 얇게 연속적으로 협소화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체결 회전 방향측 테두리(y)가 예리한 칼날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파열된 밀폐마개(23)의 파열면을 용이하게 회전 절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회전 방향특 테두리(y)의 측면두께가 중심부를 향하여 협소화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면 내지 하면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협소화될 수도 있다.5, the cut-out portion 252 is formed such that the lateral thickness of the fastening-rotation direction side edge y of the thread groove portion 242a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ion 22 is inserted is smaller than the side- (x) side wall thickness. Accordingly, the fastening rotation direction side edge (y) is formed in a sharp blade shape, so that the rupture surface of the ruptured sealing stopper (23) can be easily rotated.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ut-out portion 252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ateral thickness of the specific rotation direction y is narrowed towards the central portion, and may be narrowed from the top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in some cases .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인입관부(242)의 내주면을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돌설된 3개의 윙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돌설되는 개수는 탄력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마개(23)를 파열시킨 후 회전 절개할 수 있는 구조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윙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In the meantime, in the figure, three wings are shown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tube portion 242, but the number of protrusions can be changed elastically, and the sealing plug 23 is ruptured, At least one wing may be provided.

이를 통해,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상기 보조탱크(240) 상측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인입관부(242) 내측으로 상기 배출부(22)를 삽입시 상기 밀폐마개(23)가 상기 파열돌기부(251)의 뾰족한 첨단부에 접촉되어 파열된 후 연속적으로 상기 교체식 충진탱크(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절개부(252)의 예리한 단부에 상기 밀폐마개(23)가 회전 절개되어 상기 배출부(22)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다.When the discharge portion 22 is inserted into the inflow pipe portion 242 so as to connect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to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tank 240, When the replaceable filling tank 20 is continuously rotated after being touched by the sharp tip portion of the cutout 251, the sealing stopper 23 is rotationally cut at the sharp end of the cutout portion 252, 22) can be easily opened.

한편, 도 6a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100) 제조용 금형장치(500)를 이용한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6A and 6C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 mold apparatus 500 for manufacturing a soap dispens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비누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탱크(40)를 제조하도록, 상기 보조탱크(40)의 외측 및 내측 형상에 대응하는 금형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금형은 제1금형부(510), 제2금형부(520), 제3금형부(530) 및 제4금형부(540)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각 금형부(510,520,530,540)을 조립하여 형성된 홈에 합성수지와 같은 재료를 용융하여 주입한 후 냉각시켜 상기 보조탱크(40)를 제조하게 된다.6A to 6C, a mold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and inside shapes of the auxiliary tank 40 is provided to manufacture the auxiliary tank 40 provided in the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mold includes a first mold part 510, a second mold part 520, a third mold part 530, and a fourth mold part 540, and the respective mold parts 510, 520, 530,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is melted and injected into the grooves formed by assembling and cooled to manufacture the auxiliary tank 40.

상세히, 상기 제1금형부(510)는 일측에 상기 인입관부(42)의 외측형상과 타측에 상기 인출관부(도 2의 43)의 외측형상을 포함하는 함체(도 2의 41)의 외측형상을 갖춘 제1형상홈(5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형상홈(511)의 내부에는 상기 함체(도 2의 41) 내측의 중공부 형상에 대응하는 코어로 형성되는 제2금형부(5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금형부(52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입관부(42)와 상기 함체(도 2의 41)의 연결부분에서부터 상기 인출관부(도 2의 43) 내측까지의 형상이 중실형 코어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2) of the housing (41 of FIG. 2) including the outer shape of the drawing tube portion (43 in FIG. 2) and the outer shape of the drawing tube portion (43 of FIG. 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ld portion A first shape groove 511 is provided. A second mold part 520 is formed in the first shape groove 511 and is formed of a co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llow inside the housing (41 of FIG. 2). The second mold part 520 preferably has a shape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art between the inlet pipe part 42 and the housing body 41 to the inside of the outlet pipe part 43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제2금형부(520)의 상측에 상기 제3금형부(530)와 상기 제4금형부(5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3금형부(530)는 중앙부에 관통부(53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인입관부(42)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나사홈부(42a)에 대응되는 나사형상홈(532)이 형성된다. The third mold part 530 and the fourth mold part 540 are provided on the second mold part 520. The third mold part 530 has a through hole 53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screw groove 532 corresponding to the screw groove part 42a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part of the inlet pipe part 42, .

더불어, 상기 제4금형부(540)는 하부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를 구성하는 상기 연결부(51)와, 상기 파열돌기(54)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형상홈(541)에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제2형상홈(541)은 상기 파열돌기(54) 및 지지대(52)에 대응되는 홈(543,542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52) 사이에 이동홀(53)이 형성되도록 상기 이동홀(53)의 테두리 및 두께에 대응하여 돌설된 돌기(542b)를 포함한다.The fourth mold part 540 includes a connection part 51 constituting the sealing cap opening 50 and a second shape groove 54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upture protrusion 54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second shape groove 541 is formed with grooves 543 and 544a corresponding to the rupture protrusions 54 and the supporter 52, and a moving hole 53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ers 52 And protrusions 542b protrud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rim and thickness of the moving hole 53.

그리고, 상기 이동홀(53)에 대응하여 돌설된 돌기(542b) 외면이 상기 제2금형부(520)의 상면에 밀착되고 그 사이에 상기 파열돌기(54)와 상기 지지대(52)에 대응하는 홈(543,542a)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에 상기 용융된 재료가 주입된 후 냉각되면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542b protrud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moving hole 53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ld part 520 and the rupture protrusion 54 and the protrusion 542b When the molte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cavity and then cooled, the cavity end opening (50) is integrally formed by the injection mold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wing tube portion (42) .

더불어, 상기 제4금형부(540)의 상측은 상기 제3금형부(530)의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531)에 삽입되도록, 외주 직경(D2)이 상기 관통부(531) 내주 직경(D1)에 대응되는 단차홈(5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홈(544)의 하단부에는 상기 나사홈부의 최장 직경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턱부(545)가 형성된다. The upper side of the fourth mold part 54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art 53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hird mold part 530 so that the outer diameter D2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part 531 The stepped grooves 544 corresponding to the recesses D1 and D1 are formed. A step portion 545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est diameter of the thread groove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p groove 544.

즉, 상기 단턱부(545)는 상기 나사홈부(42a)의 하단부와 상기 지지대(52) 사이의 상기 인입관부(42) 내주면 형상을 가이드하도록 연장되되, 상기 금형 내부에 상기 용융된 재료를 주입하여 냉각 후 상기 제4금형부(54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나사홈부(42a)를 따라 나사회전되어 분리될 수 있다.That is, the step portion 545 extends to guid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hape of the drawing tube portion 42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threaded groove portion 42a and the supporter 52, and the molte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mold And can be rotated and screwed along the threaded grooves 42a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fourth mold part 540 after cooling.

이를 위해, 상기 단턱부(545)의 두께(L3)와 상기 이동홀(53)의 깊이(L2)를 포함하는 상기 제4금형부(540)의 테두리부분 두께는 상기 나사홈부(42a)의 각 나사홈 세로길이(L1)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나사홈부(42a)의 최장 직경과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 직경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용융된 재료가 냉각된 후에도 상기 제4금형부(540)의 상기 단턱부(545)가 상기 나사홈부(42a)를 따라 회전되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edge portion of the fourth mold portion 540 including the thickness L3 of the step portion 545 and the depth L2 of the moving hole 53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crew groove longitudinal length (L1).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est diameter of the threaded groove portion 42a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pipe portion 42 correspond to each other. Thus, even after the molten material is cooled, the step portion 545 of the fourth mold portion 540 can be easily rotated by being rotated along the threaded portion 42a.

더불어, 상기 제4금형부(540)의 상측에는 상기 제4금형부(540)를 상기 제2금형부(520)측으로 탄발 가압하는 스프링(5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프링(534)은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의 형상이 보다 명확하게 사출 성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4금형부(540)를 상기 제2금형부(520)측으로 가압한다. In addition, a spring 534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fourth mold part 540 toward the second mold part 520 may be provided on the fourth mold part 540. In detail, the spring 534 presses the fourth mold part 540 toward the second mold part 520 so that the shape of the sealing cap opening part 50 can be more clearly injection-molded.

그리고, 상기 스프링(534)를 제거하면 상기 제4금형부(540)를 가압하던 힘이 제거되는데, 이러한 상기 제4금형부(540)를 상기 인입관부(42)의 외측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이동홀(53)에 대응하여 돌설된 상기 돌기(542b)를 상기 이동홀(5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부(545)의 두께(L3)와 상기 돌기(542b)의 두께(L2)를 포함하는 상기 제4금형부(540)의 테두리부 두께가 상기 나사홈 세로길이(L1)와 대응되므로 상기 제4금형부(540)를 회전하더라도 상기 돌기(542b)가 상기 이동홀(53)에 간섭되어 회전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spring 534 is removed, the pressing force of the fourth mold part 540 is removed. When the fourth mold part 540 is pulled outwardly of the drawing tube part 42, The protrusion 542b protrud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otrusion 53 can be separated from the moving hole 53. [ The thickness of the rim of the fourth mold part 540 including the thickness L3 of the step portion 545 and the thickness L2 of the protrusion 542b corresponds to the thread groove longitudinal length L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trusion 542b from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hole 53 and interfering with the rotation even if the fourth mold part 540 is rotated.

즉, 상기 인입관부(42) 내주면의 나사홈부(42a)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3금형부(530)와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4금형부(540)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탱크(40)의 상기 나사홈부(42a)를 따라 회전되면서 분리되므로 완성된 제품으로부터 각 금형의 분리가 용이하여 제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at is, the third mold part 530 provided to form the thread groove part 42a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wing tube part 42 and the fourth mold part 540 provided to form the sealing cap opening part 50, The mol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being rotated along the threaded grooves 42a of the auxiliary tank 40 formed by molding, so that the respective mold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nished product, so that the productiv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상기 스프링(534)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3금형부(530)의 상기 관통부(544)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533)에 구속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고정부(533)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4금형부(540)를 가압하되, 상기 제3금형부(530)를 회전분리시 상기 스프링(534)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스프링(534)을 고정하는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3금형부(530)와 상기 스프링(534)을 각각 분리할 수도 있다.The spring 534 may be constrained to the spring fixing portion 533 formed in the penetration portion 544 of the third mold portion 530 as shown in the drawing. That is, one end of the spring is fixed to the spring fixing part 533 and the other end presses the fourth mold part 540. When the third mold part 530 is rotated and separated, the spring 534 The separa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As a matter of course, a separate member for fixing the spring 534 may be provided, and the third mold part 530 and the spring 534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금형을 이용한 상기 보조탱크(4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uxiliary tank 40 using the mold is as follows.

먼저, 제1금형부(510)의 내측에, 제2금형부(520)와, 제3금형부(530)와, 제4금형부(540)가 구비되도록 조립한 공간 사이로 용융된 합성수지를 주입하고 냉각시킨다.First, molten synthetic resin is injected into the spaces formed by assembling the second mold part 520, the third mold part 530, and the fourth mold part 540 inside the first mold part 510 And cooled.

그리고, 냉각된 제품으로부터 제1금형부(510) 및 제2금형부(520)를 분리하고, 상기 나사홈부(42a)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3금형부(530)를 회전시켜 분리하고 순차적으로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4금형부(540)를 회전시켜 분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금형부(530)와 상기 제4금형부(540)를 먼저 회전 분리시키고 상기 제1금형부(510)와 상기 제2금형부(520)를 분리할 수도 있다.The first mold part 510 and the second mold part 520 are separated from the cooled product and the third mold part 530 provided to form the screw groove part 42a is rotated and separated, The fourth mold part 540 provided to form the hermetic cap opening 50 can be rotated and separated. Of course, the third mold part 530 and the fourth mold part 54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irst, and the first mold part 510 and the second mold part 520 may be separated.

그리고, 상기 각 금형부가 분리된 상기 제품의 외면을 연삭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탱크(4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인입관부(42)의 내주면에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50)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보조탱크(4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The auxiliary tank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gri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roduct from which the respective mold parts are separated. Thus, the auxiliary tank 40, in which the sealing cap opening 5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pipe portion 42, can be easily manufactur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케이스부 20 : 교체식 충진탱크
22 : 배출부 22a : 나사산무
23 : 밀폐마개 30 : 하우징
31 : 연결관부 40 : 보조탱크
42 : 인입관부 42a : 나사홈부
50 : 밀폐마개 개방부 51 : 연결부
52 : 지지대 53 : 이동홀
54 : 파단돌기 100 : 물비누 디스펜서
510 : 제1금형부 520 : 제2금형부
530 : 제3금형부 540 : 제4금형부
500 :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
10: Case part 20: Replaceable filling tank
22: discharge part 22a:
23: sealing cap 30: housing
31: connecting tube 40: auxiliary tank
42: inlet pipe portion 42a: screw groove portion
50: sealing cap opening 51: connection
52: support base 53: moving hole
54: breaking protrusion 100: water dispenser
510: first mold part 520: second mold part
530: third mold section 540: fourth mold section
500: Mo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of water dispenser

Claims (5)

고정대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부가 구비된 케이스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되 물비누가 충진되는 충진부 하측으로 밀폐마개에 의해 밀폐된 배출부가 형성된 교체식 충진탱크와, 일측에 물비누가 이동되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공급하는 펌핑수단이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충진탱크로부터 배출된 물비누가 저장되도록 중공형 함체로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충진탱크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인입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하우징의 연결관부와 연통되는 인출관부가 형성된 보조탱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인입관부의 상단부 내주에는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부가 상기 인입관부에 회전결합됨에 따라 상기 밀폐마개를 파열시켜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도록 상기 인입관부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향 돌설된 밀폐마개 개방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디스펜서.
A replaceable filling tank which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table and has a storage unit therein, a replaceable filling tank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and in which a discharge unit is closed by a sealing cap at a lower side of the filling unit, 1. A water dispenser dispense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connecting tube portion formed therein and connected to a pumping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 auxiliary tank having a draw-tube portion communicating with a connection pipe portion of the housing at the other side thereof, and a suction pipe portion communicating with a discharge portion of the filling tank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llow tank, Respectively,
A screw groove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and screwed into the screw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draw tube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aw tube portion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screw groove portion, Wherein a sealing cap opening portion protruding radially inwardly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ipe portion so as to move the sealing cap open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는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중심부측으로 집중되도록 상기 인입관부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돌설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로 상기 물비누가 이동되는 이동홀이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측 중앙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을 향하여 단부가 협소화되도록 일체로 상향 돌설된 파열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탱크의 외주면에는 상기 물비누의 잔량을 확인하도록 내측이 투영되는 잔량표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충진탱크의 상측에는 물비누가 배출시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통기성 수단이 구비된 압력조절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cap opening
A plurality of support rods integrally projecting radially inwardly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let pipe portion so as to be concent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crew groove portion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let pipe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formed with a movement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bottle is moved between the support ribs, And a rupture protrusion integrally protruding upwardly so that an end portion thereof from the upper center por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draw tube portion is narrowed,
A remaining amount display portion is projec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tank so as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water soap, and a pressure regulating portion Wherein the water dispenser is equipped with a water dispen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마개 개방부는
상기 나사홈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첨단부가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을 향하여 상향 돌설된 복수개의 윙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의 삽입시 상기 밀폐마개를 가압 파열시키도록 상기 첨단부에 형성된 파열돌기부와,
상기 나사홈부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파열된 밀폐마개를 회전 절개시키도록 상기 나사홈부의 회전방향측 테두리의 측면두께가 연속적으로 협소화되도록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cap opening
And a plurality of wing-shaped portions integrally formed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thread groove portion to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take-up tube portion and having a tip portion protruding upwar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take-in tube portion,
A rupture protrusion formed on the leading end portion to pressurize and rupture the sealing cap when the discharging portion is inserted;
And a cut-out portion formed to continuously narrow the lateral thickness of the rim of the threaded portion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so as to cut the ruptured sealing plug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hreaded groove portion.
고정대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납부가 구비된 케이스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되 물비누가 충진되는 충진부 하측으로 밀폐마개에 의해 밀폐된 배출부가 형성된 교체식 충진탱크와, 일측에 물비누가 이동되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비누를 공급하는 펌핑수단이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의 상기 충진탱크로부터 배출된 물비누가 저장되도록 중공형 함체로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충진탱크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인입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하우징의 연결관부와 연통되는 인출관부가 형성된 보조탱크를 제조하도록,
일측에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형상과 타측에 상기 인출관부의 외측형상을 포함하는 함체의 외측형상을 갖춘 제1형상홈이 구비된 제1금형부;
상기 함체 내측의 중공부 형상에 대응하는 코어로 형성되는 제2금형부;
중앙부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인입관부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부에 대응되는 나사형상홈이 형성된 제3금형부; 및
하부에 상기 인입관부의 중심부측으로 집중되도록 상기 인입관부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돌설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이동홀을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면 중앙부로부터 상기 인입관부의 외측을 향하여 단부가 협소화되도록 일체로 돌출된 파열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형상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3금형부가 삽입되도록 상측 외주면에 단차홈이 형성된 하단부에 상기 나사홈부의 최장 직경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턱부가 형성된 제4금형부를 포함하는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
A replaceable filling tank which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table and has a storage unit therein, a replaceable filling tank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and in which a discharge unit is closed by a sealing cap at a lower side of the filling unit, And a housing connected to the pumping means for supplying the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The water dispenser is provided with a hollow housing for storing the water dispenser discharged from the filling tank, And an outlet pip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pipe portion of the housing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 first mold part having a first shape having an outer shape of the draw tube part and an outer shape of the housing body including the outer shape of the draw tube part on the other side of the draw tube part;
A second metal mold formed of a core corresponding to a hollow shape inside the housing;
A third mold portion having a through-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screw groove corresponding to a screw groove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upper end portion of the take-up tube por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and a moving hole integrally projected radially inwardly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let tube portion so as to be concentrated toward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inlet tube por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 end por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inlet tube portion from the upper- The second mol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upture protrusion integrally protruded so as to be narrowed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tepped groove, the stepped groove being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inserting the third mold 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est diameter of the screw groove. And a fourth mold portion having an extended step portion formed there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금형부의 상기 단차홈의 외주 직경은 상기 제3금형부의 상기 관통부 내주 직경에 대응되고,
상기 단턱부의 두께와 상기 이동홀의 깊이를 포함하는 상기 제4금형부의 테두리부 두께는 상기 나사홈부의 나사홈 세로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4금형부의 상측에는 상기 제4금형부를 상기 제2금형부측으로 탄발 가압하는 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비누 디스펜서 제조용 금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pped groove of the fourth mold part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enetrating part of the third mold part,
Wherein a thickness of the edge portion of the fourth metal mold portion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step portion and the depth of the moving hole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screw groov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crew groove portion,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fourth mold part toward the second mold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ourth mold part.
KR1020150020193A 2015-02-10 2015-02-10 liquid soap dispenser and molding apparatus of manufacture for liquid soap dispenser KR1016808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193A KR101680816B1 (en) 2015-02-10 2015-02-10 liquid soap dispenser and molding apparatus of manufacture for liquid soap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193A KR101680816B1 (en) 2015-02-10 2015-02-10 liquid soap dispenser and molding apparatus of manufacture for liquid soap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834A KR20160097834A (en) 2016-08-18
KR101680816B1 true KR101680816B1 (en) 2016-11-29

Family

ID=5687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193A KR101680816B1 (en) 2015-02-10 2015-02-10 liquid soap dispenser and molding apparatus of manufacture for liquid soap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8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16U (en) 2020-10-06 2022-04-13 장진상 Hand sanitizers sta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989B1 (en) 2016-08-01 2024-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1947469B1 (en) * 2016-12-28 2019-02-13 우연춘 Dispenser for Liquid material
RU194434U1 (en) * 2019-09-16 2019-12-11 Евген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Непокульчицкий Liquid Dispenser Cartridge
RU206326U1 (en) * 2021-06-10 2021-09-06 Евген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Непокульчицкий Dos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569B1 (en) 1999-07-13 2002-01-16 원성환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synthetic resin product
KR200422424Y1 (en) 2006-04-27 2006-07-26 김석열 Soft soap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459U (en) 2009-03-18 2010-09-29 임장오 Liquid soap change system for Power Dispens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569B1 (en) 1999-07-13 2002-01-16 원성환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synthetic resin product
KR200422424Y1 (en) 2006-04-27 2006-07-26 김석열 Soft soap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16U (en) 2020-10-06 2022-04-13 장진상 Hand sanitizers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834A (en)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816B1 (en) liquid soap dispenser and molding apparatus of manufacture for liquid soap dispenser
KR101366696B1 (en) Discharging pump device of shampoo container
CN106457837A (en) Ink cartridge, for inkjet printer, enabling refilling of ink by user
JP2014108802A (en) Foam discharge container
KR102471472B1 (en)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KR101422069B1 (en) Cosmetics container equiped airless-pump
CN100415196C (en) Liquid storage container with bottom filter
EP3367860B1 (en) Dispenser
KR20120004671A (en) Receptacle for discharging required quantity
US6820287B2 (en) Down-stroke dispenser
JP2016008049A (en) Liquid container
JP3667404B2 (en) Liquid pouring cap
GB2456230A (en) A liquid spray container having a second opening for pouring/filling
JP6382016B2 (en) Double container
CN111746126B (en) A kind of container
CN220747128U (en) Foaming agent storage device and toilet seat
JP5749110B2 (en) Chemical dispenser
CN217502594U (en) Lighter gas charging valve
US20230009089A1 (en) Shot straw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2178314B1 (en) A cosmetic vessel with increased sealing
JP6991038B2 (en) Refill container
KR100768941B1 (en) Buoyancy adjustable float for fishing
JPH0634457Y2 (en) Aroma cleaning liquid drop device
KR20240061302A (en) Water purifier with removable water tank
JP2023110764A (e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container containing content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