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566B1 -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566B1
KR101680566B1 KR1020160031598A KR20160031598A KR101680566B1 KR 101680566 B1 KR101680566 B1 KR 101680566B1 KR 1020160031598 A KR1020160031598 A KR 1020160031598A KR 20160031598 A KR20160031598 A KR 20160031598A KR 101680566 B1 KR101680566 B1 KR 101680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snowfall
solar panel
pan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여름
Original Assignee
신여름
(주)동천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여름, (주)동천기공 filed Critical 신여름
Priority to KR102016003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H02S40/12Means for removing sn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광렌즈를 가진 적설계측센서에 눈이 적설되면 광렌즈의 빛이 차단되어 센싱을 하고, 적설계측센서 정보를 비교 후에 무선모듈이 데이터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컨트롤박스로 태양광 패널부의 경사를 형성하는 동시에 열풍히터로 상부에서부터 불어내어 적설된 눈을 열풍으로 융해시키거나, 낙엽 및 기타오염물질을 물리적으로 낙하시켜 제거하는 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 {Solar panels and a system for measuring sensor equipped for snow removal and tha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광렌즈를 가진 적설계측센서에 눈이 적설되면 광렌즈의 빛이 차단되어 센싱을 하고, 적설계측센서 정보를 비교 후에 무선모듈이 데이터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컨트롤박스로 태양광 패널부의 경사를 형성하는 동시에 열풍히터로 상부에서부터 불어내어 적설된 눈을 열풍으로 융해시키거나, 낙엽 및 기타오염물질을 물리적으로 낙하시켜 제거하는 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전력생산을 원자력, 천연가스 및 석유등에 비중을 두고 있으며, 에너지원의 고갈과 도시가 발전함에 따라 부가적인 전력생산과 친환경에너지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실적인 친환경에너지인 태양광 발전은 신재생 에너지 시장의 모습을 갖춰가고 있다.
또한,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완화 방안이 발표되어 전력시장에서의 전력을 직접 구매하거나 판매할 수 있게 허용되고 있어 전력 중개사업이 발전하고, 태양광발전 분야와 그와 관련된 풍력분야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매해마다 폭설, 폭우, 태풍등 자연재해가 빈발하고 있어, 공장을 비롯한 건물 지붕 또는 옥상에 태양광패널 설비되는 점을 감안하면 철판이 적설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붕괴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인명 피해와 막대한 금전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적설 관측은 사람이 수동 CCTV 또는 하고 있거나, 초음파 적설계와 같은 자동 관측장비는 고가에다 원리가 복잡하고 기계장치등의 구성요소가 많아 관측오차가 있으며, 노천에 설치하여 실제 적용하기가 어렵고, 사후관리가 쉽지 않았다.
또한, 우리나라 중부, 남부의 기상상황에 따른 적설 환경이 상이하여, 태양광효율을 높이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붕괴방지를 위한 태양광 패널의 제설장치와 태양광 발전장치를 위한 제설기능을 갖는 내진장치가 아래 선행기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개되어진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570457호 한국 특허공개 제등록특허 10-155250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부와 남부의 상이한 기상상황에 따른 태양광 패널에 쌓이는 적설량을 정확하게 관측하여 제설하여야 하고, 센서가 간단하고 저렴하여야 하고, 원리가 복잡하지 않고, 태양광 패널에 적용하기 수월하고 사후관리가 용이하여야 하며, 태양광 패널위의 적설된 하중을 없애 붕괴사고를 방지하고, 태양광 발전 효율을 높여야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건물지붕 또는 옥상에서, 정확한 적설량을 바탕으로 빠르고 용이하게 제설할 수 있는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설계측센서(220)와 열풍히터(410)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은,
제설장치를 가진 태양광 패널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일측 경사형으로 태양광을 집광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패널(110)과 재집광 패널(120)로 구성된 패널(100)부;
상기 패널부(100)의 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널부(100)의 적설량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센서부(200);
상기 센서부(200)의 적설계측센서(220)의 데이터 정보를 컨트롤 박스(320)에서 제어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의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열풍히터(410)를 운전하는 열풍부(400); 및
상기 패널부((100)의 프레임을 구성하여 지지하며, 상기 패널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540)를 가진 프레임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부(100)는, 일측이 경사진 직사각형의 판의 형태로, 눈, 낙엽 및 기타 오염물등을 상기 프레임부(500)의 기울기 조절로 낙하시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재집광 패널(120)은, 상기 패널부(100)의 하부의 프레임부(500)에 제 2회전수단과 소형힌지(520)로 결합된 직사각형의 회전이 가능한 패널의 형상으로, 상기 패널부(100)가 태양광의 입사각 및 굴절각으로 인해 응달이 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센서부(200)는, 대기중에 노출시켜 눈이 적설되는 적설계측판(210); 상기 적설계측판(210)의 상부면의 중앙에 원기둥모양으로 위치한 적설계측센서(220)가 적설척 모양에 일정한 길이 단위 간격으로 설치되고, 적설이 될 시에 적설계측센서(220)내부의 광렌즈의 빛을 차단하여, 전기적인 저항값으로 센싱하며, 낮에는 자연광, 야간에는 가로등과 같은 광원으로 센싱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서부(200)의 적설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유입실린더(540)로 상기 프레임부(500)의 기울기 및 열풍부(400)의 운전유무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300); 상기 컨트롤박스(300) 내부에 장치된 무선모듈(310)을 포함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적설량 정보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상기 열풍부(400)는, 상기 패널부(100)의 후면에 장치된 열풍히터(410); 상기 열풍히터(410)의 배기구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히터 하우징(430); 상기 히터하우징(430)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대형노즐(440)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300)의 전기적 신호로 열풍히터(410)가 작동하여 상기 패널부(100)의 적설된 눈을 열풍으로 녹인다.
상기 대형노즐(440)은, 상기 패널부(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히터하우징(430)에 용접결합된 노즐의 형태로 넓은 표면적으로 강하게 열풍을 분사한다.
상기 패널부(10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500); 상기 프레임부(500)를 지지하는 지지대(510); 상기 지지대(510)의 측면에 적설계측센서(220)의 정보를 바탕으로 유압을 조정하여 기울기를 가지거나 고정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540)를 가진다.
제설용 시스템(20)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a) 적설량을 적설계측센서(220)로 계측하는 센싱단계(S10);
(b) 적설량과 적설계측센서(220)의 수치를 비교하는 센싱 비교단계(S20);
(c) 적설계측센서(220)의 전기신호를 받아 컨트롤박스(320)에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단계(S30);
(d) 적설계측센서(220)의 정보 값을 컨트롤박스(320)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S40);
(e) 열풍히터(410)가 운전되어 열풍이 대형노즐(440)로 분사되는 열풍 분사단계(S50);
(f) 유압실린더(540)에 유압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유압 조절단계(S60);를 가진다.
상기 센싱단계(S10)는, 눈이 적설됨에 따라 밝기가 어두워지는 전기적인 저항값을 전환하여 센싱한다.
상기 센싱 비교단계(S20)는, 적설된 눈의 양이 설정된 적설계측센서(220)를 기준한 양보다 많아 적설계측센서(220)의 빛 투과를 막을 시의 센싱정보를 컨트롤박스(320)에 전송하고, 적설된 눈의 양이 설정된 적설계측센서(220)를 기준한 양보다 적어 적설계측센서(220)내부의 광렌즈에 빛 투과가 될 시의 센싱정보를 컨트롤박스(320)에 전송한다.
상기 전원 공급단계(S30)는, 센싱 비교단계(S20)의 신호를 받아 컨트롤박스(320) 와 열풍부(4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S40)는, 컨트롤박스(320)의 데이터를 전원 공급단계(S30)의 전력으로 열풍히터(410)와 컨트롤박스(320)에 전송하여 작동한다.
상기 열풍 분사단계(S50)는,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S40)에서 받은 데이터로 열풍히터(410)가 운전하여 패널부(100)로 열풍을 분사한다.
상기 유압 조절단계(S60)는,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S40)에서 받은 데이터로 컨트롤박스(320)에서 유압실린더(540)가 작동하여 유압실린더(540)에 유압을 증가하면 팽창하여 상기 패널부(100)가 펴지고, 유압이 감소하면 유압실린더(540)의 축소로 패널부(100)가 접혀 눈, 낙엽, 기타 오염물등을 낙하시켜 제거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해결 수단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태양광발전용량이 커짐에 따라 패널부(100)의 넓이, 유압실린더(540)의 크기, 프레임부(100)의 구조가 변경가능하고, 계절에 따른 태양의 고도 및 지역에 따른 적설량의 변화로 지지하중을 견지는 지지구조물의 공사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은, 기존의 제설용 태양광패널에 사용되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적설 시 중량센서에 의한 구조와는 다르게 알고리즘이 간단하여 태양광 패널에 적용 및 관리가 용이하고, 적설계측 오차가 거의 없다. 또한 프레임부의 유압실린더의 경사 변화로 신속하게 적설에 대처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열풍부의 대형노즐에서 나오는 고압의 열풍으로 효율적으로 제설하여 눈을 융해시키는 동시에, 물리적으로 낙하시켜 적설된 중량하중을 저감하여 붕괴를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패널부, 센서부, 제어부, 열풍부 및 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패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센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열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프레임부의 펴짐을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프레임부를 접힘을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220)와 열풍히터(410)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220)와 열풍히터(410)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패널부(100), 센서부(200), 제어부(300), 열풍부(400) 및 프레임부(5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220)와 열풍히터(410)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패널부(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220)와 열풍히터(410)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센서부(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220)와 열풍히터(410)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열풍부(4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220)와 열풍히터(410)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프레임부(5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220)와 열풍히터(410)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프레임부(500)의 펴짐을 도시한 우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220)와 열풍히터(410)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의 프레임부(500)를 접힘을 도시한 우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계측센서(220)와 열풍히터(410)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뿐이다.
본원의 발명의 올바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설장치를 가진 태양광 패널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도 2를 참조하면, 패널부(100), 센서부(200), 제어부(300) 및 열풍부(400)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패널부(100)는, 일측 경사형으로 태양광을 집광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패널(110)과 재집광 패널(120)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부(200)는, 상기 패널부(100)의 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널부(100)의 적설량을 계측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센서부(200)는, 대기중에 노출시켜 눈이 적설되는 적설계측판(210); 상기 적설계측판(210)의 상부면의 중앙에 원기둥모양으로 위치한 적설계측센서(220)가 적설척 모양에 일정한 길이 단위 간격으로 설치되고, 적설이 될 시에 적설계측센서(220)내부의 광렌즈의 빛을 차단하여, 전기적인 저항값으로 센싱하며, 낮에는 자연광, 야간에는 가로등과 같은 광원으로 센싱한다.
또한, 상기 적설계측센서(220)는 광렌즈를 가지지만, 환경에 따라 습도센서 또는 온도센서 및 초음파 센서로 대체 가능하며, 패널부(100)의 각이 형성됨에 따라. 적설계측센서(220)도 적설된 눈과 수직이 되도록 움직일 수 있어, 적설계측의 오차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무선모듈(310) 및 컨트롤박스(3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200)의 적설계측센서(220)의 데이터 정보를 컨트롤 박스(320)로 전송한다.
도 2,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서부(200)의 적설량 데이터를 전송받아 유입실린더(540)로 상기 프레임부(500)의 기울기 및 열풍부(400)의 운전유무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320); 상기 컨트롤박스(300) 내부에 장치된 무선모듈(310)을 포함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적설계측센서(220)의 적설량 정보 데이터를 컨트롤박스(320)로 전송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열풍부(400)는 열풍히터(410), 흡입팬(420), 히터하우징(430), 대형노즐(440) 및 전력선(450)으로 구성되고, 제어부(300)의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열풍히터(410)를 운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열풍부는(400)은 프레임부(500)의 지지대(510)에 용접결합된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열풍부(400)는, 상기 패널부(100)의 후면에 장치된 열풍히터(410); 상기 열풍히터(410)의 배기구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히터 하우징(430); 상기 히터하우징(430)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대형노즐(440)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300)의 전기적 신호로 열풍히터(410)가 작동하여 상기 패널부(100)의 적설된 눈을 열풍으로 녹인다.
또한, 상기 대형노즐(440)은, 상기 패널부(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히터하우징(430)에 용접결합된 노즐의 형태로 넓은 표면적으로 강하게 열풍을 분사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부(10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500); 상기 프레임부(500)를 지지하는 지지대(510); 상기 지지대(510)의 측면에 적설계측센서(220)의 정보를 바탕으로 유압을 조정하여 기울기를 가지거나 고정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540)를 가진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설용 시스템(20)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a) 적설량을 적설계측센서(220)로 계측하는 센싱단계(S10);
(b) 적설량과 적설계측센서(220)의 수치를 비교하는 센싱 비교단계(S20);
(c) 적설계측센서(220)의 전기신호를 받아 컨트롤박스(320)에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단계(S30);
(d) 적설계측센서(220)의 정보 값을 컨트롤박스(320)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S40);
(e) 열풍히터(410)가 운전되어 열풍이 대형노즐(440)로 분사되는 열풍 분사단계(S50);
(f) 유압실린더(540)에 유압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유압 조절단계(S60);를 가진다.
상기 센싱단계(S10)는, 눈이 적설됨에 따라 밝기가 어두워지는 전기적인 저항값을 전환하여 센싱한다.
상기 센싱 비교단계(S20)는, 적설된 눈의 양이 설정된 적설계측센서(220)를 기준한 양보다 많아 적설계측센서(220)의 빛 투과를 막을 시의 센싱정보를 컨트롤박스(320)에 전송하고, 적설된 눈의 양이 설정된 적설계측센서(220)를 기준한 양보다 적어 적설계측센서(220)내부의 광렌즈에 빛 투과가 될 시의 센싱정보를 컨트롤박스(320)에 전송한다.
상기 전원 공급단계(S30)는, 센싱 비교단계(S20)의 신호를 받아 컨트롤박스(320)의 전원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S40)는, 컨트롤박스(320)의 데이터를 전원 공급단계(S30)의 전력으로 열풍히터(410)와 유압실린더(540)를 작동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유압실린더(540)는 유압이 공급되어 팽창하면 도 7과같이, 패널부(100)가 상승하고 유압이 중단되거나 감소하면, 도 8과같이 유압실린더(540)가 수축하여 패널부(100)가 하강한다.
상기 열풍 분사단계(S50)는,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S40)에서 받은 데이터로 열풍히터(410)가 운전하여 패널부(100)로 열풍을 분사한다.
상기 유압 조절단계(S60)는,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S40)에서 받은 데이터로 컨트롤박스(320)에서 유압실린더(540)를 작동하여, 유압실린더(540)에 유압을 증가하면 팽창하여 상기 패널부(100)가 펴지고, 유압이 감소하면 유압실린더(540)의 축소로 패널부(100)가 접혀 눈, 낙엽, 기타 오염물등을 낙하시켜 제거하고, 기존의 제설용 태양광패널에 사용되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적설시 중량센서에 의한 구조와는 다르게 알고리즘이 간단하여 태양광 패널에 적용 및 관리가 용이하고, 적설계측 오차가 거의 없다.
본원 발명은, 프레임부(500)의 유압실린더(540)의 경사 변화로 신속하게 적설에 대처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열풍부(400)의 대형노즐(440)에서 나오는 고압의 열풍으로 효율적으로 제설하여 눈을 융해시키는 동시에, 물리적으로 낙하시켜 적설된 중량하중을 저감하여 붕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해결 수단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태양광발전용량이 커짐에 따라 패널부(100)의 넓이, 유압실린더(540)의 크기, 프레임부(500)의 구조가 변경가능하고, 계절에 따른 태양의 고도의 편차 및 지역에 따른 적설량의 변화로 지지하중을 견지는 지지구조물의 공사가 변경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운용자의 의도 또는 메뉴얼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설용 패널 450 : 전력선
100 : 패널부 500 : 프레임부
110 : 태양광 패널 510 : 지지대
120 : 재집광 패널 520 : 소형힌지
200 : 센서부 530 : 대형힌지
210 : 적설계측판 540 : 유압실린더
220 : 적설계측센서 550 : 제 1회전수단
300 : 제어부 560 : 제 2회전수단
310 : 무선모듈 20 : 제설용 시스템
320 : 컨트롤박스 S10 : 센싱단계
400 : 열풍부 S20 : 센싱 비교단계
410 : 열풍히터 S30 : 전원 공급단계
420 : 흡입팬 S40 : 데이터 전송단계
430 : 히터하우징 S50 : 열풍 분사단계
440 : 대형노즐 S60 : 유압 조절단계

Claims (15)

  1. 제설장치를 가진 태양광 패널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일측 경사형인 직사각형의 판의 형태로, 눈, 낙엽 및 기타 오염물등을 기울기 조절로 낙하시키며, 태양광을 집광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패널과 제 2회전 힌지와 소형힌지로 결합된 직사각형의 회전이 가능한 패널의 형상으로 태양광의 입사각 및 굴절각으로 인해 응달지는 것을 방지하는 재집광 패널로 구성된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널부의 적설량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대기중에 노출시켜 눈이 적설되는 적설 계측판과 상기 적설계측판의 상부면의 중앙에 원기둥모양으로 위치한 적설계측센서가 적설척 모양에 일정한 길이 단위 간격으로 설치되고, 적설이 될 시에 적설계측센서내부의 빛을 차단하여, 전기적인 저항값으로 센싱하며, 낮에는 자연광, 야간에는 가로등과 같은 광원으로 센싱하며, 적설된 눈과 수직이 되도록 적설계측센서가 움직일 수 있으며, 적설 계측의 오차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적설계측센서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유압실린더로 프레임부의 기울기 및 열풍부의 운전유무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와 상기 컨트롤박스 내부에 장치된 무선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패널부의 후면에 장치된 열풍히터와 상기 열풍히터의 배기구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히터하우징 및 상기 히터하우징에 용접결합된 노즐의 형태로 넓은 표면적으로 강하게 열풍을 분사하는 대형노즐을 포함하는 열풍부; 및
    상기 패널부의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측면에 적설계측센서의 정보를 바탕으로 유압을 조정하여 기울기를 가지거나 고정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를 가진 프레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031598A 2016-03-16 2016-03-16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 KR101680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98A KR101680566B1 (ko) 2016-03-16 2016-03-16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98A KR101680566B1 (ko) 2016-03-16 2016-03-16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566B1 true KR101680566B1 (ko) 2016-11-30

Family

ID=5770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598A KR101680566B1 (ko) 2016-03-16 2016-03-16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5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083A (ko) 2017-05-11 2018-11-22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KR102262334B1 (ko) * 2020-10-05 2021-06-08 폴그린테크(주) 태양광 모듈의 제설 장치
KR102465078B1 (ko) * 2021-10-12 2022-11-09 대한민국 이동형 적설량 측정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457B1 (ko) * 2015-03-31 2015-11-19 주식회사 두산에너지산업 붕괴방지를 위한 태양광 패널의 제설장치
KR101603782B1 (ko) * 2014-09-26 2016-03-28 주식회사 탑선 냉각 및 융설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782B1 (ko) * 2014-09-26 2016-03-28 주식회사 탑선 냉각 및 융설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1570457B1 (ko) * 2015-03-31 2015-11-19 주식회사 두산에너지산업 붕괴방지를 위한 태양광 패널의 제설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083A (ko) 2017-05-11 2018-11-22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KR102262334B1 (ko) * 2020-10-05 2021-06-08 폴그린테크(주) 태양광 모듈의 제설 장치
KR102465078B1 (ko) * 2021-10-12 2022-11-09 대한민국 이동형 적설량 측정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566B1 (ko)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
KR102162964B1 (ko) 태양광 패널의 세척장치
KR101683785B1 (ko) 태양광 발전에너지의 모니터링 장치
US10965242B2 (en)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method for install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CN105610391A (zh) 一种光伏太阳能装置自动防护装置
JP2010213684A (ja) 太陽光発電温室構造
KR101480478B1 (ko) 태양광발전설비의 열화모듈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KR101114240B1 (ko) 멀티 존 인버터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106764888A (zh) 一种具有太阳能薄膜电池板的智能路灯
KR20190094502A (ko) 태양광패널의 표면오염검출방법
KR102066873B1 (ko) 태양광 패널 융설 시스템
CN107990266A (zh) 一种太阳能电池板可调整式led路灯
JP2016111872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2292930B1 (ko) 스마트 태양광 가로등
KR101191362B1 (ko) 추적식 태양광 패널 지지물의 손괴 방지 장치
KR200427302Y1 (ko) 다목적 가로등
JP6901102B2 (ja) 群集太陽光トラッカーの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80042877A (ko) 태양전지 냉각 및 경보시스템
KR101625594B1 (ko) 도로 태양광 지붕
WO2021054306A1 (ja) ソーラー発電サイトの監視・制御システム
KR101278184B1 (ko) 추적식 태양광발전 트랙커장치
KR101898130B1 (ko) 태양광 모듈의 안전모드 시스템 및 방법
JP2014047528A (ja) 太陽光発電屋根
KR101803496B1 (ko) 커브드 솔라셀 어레이 기반의 인공 지능형 차양막 장치
KR20160139557A (ko) 광고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