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427B1 - 인터넷을 이용한 한 쌍의 단말기간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한 쌍의 단말기간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427B1
KR101680427B1 KR1020140130989A KR20140130989A KR101680427B1 KR 101680427 B1 KR101680427 B1 KR 101680427B1 KR 1020140130989 A KR1020140130989 A KR 1020140130989A KR 20140130989 A KR20140130989 A KR 20140130989A KR 101680427 B1 KR101680427 B1 KR 101680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ir
terminals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329A (ko
Inventor
김태정
조광현
Original Assignee
김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정 filed Critical 김태정
Priority to KR102014013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42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한 쌍의 단말기간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한 쌍을 이루는 짝 단말기와만 통신하는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에 서로 짝을 이루는 단말기와만 통신하기 위한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각각 부여하고, 각 단말기가 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자신의 짝 단말기와만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을 통한 한 쌍의 단말기 통신 서비스 방법인 본 발명은 통신 서비스 방법은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가 서로 짝을 이루는 단말기와만 통신하기 위한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상기 두 개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하는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부여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을 설정하는 통신 서비스 기간 설정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아이피 주소가 포함된 정보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전송되는 단말기 연결 단계,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통신 서비스 기간 확인 단계,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 내에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연결된 단말기의 짝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을 기다리는 짝 단말기 연결 준비 단계, 상기 짝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짝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아이피 주소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전송되는 짝 단말기 연결 단계,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짝 단말기의 상기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연결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짝 단말기의 상기 연결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는 상기 짝 단말기의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짝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는 통신 단계를 포함한다.
한 쌍을 이루는 짝 단말기와만 통신하는 단말기인 본 발명은 서비스 사업자 서버의 아이피 주소 및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가 서로 짝을 이루는 단말기와만 통신하기 위한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가 저장된 저장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연결된 지점의 아이피 주소를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짝 단말기의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짝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한 쌍의 단말기가 저렴하고 간편하고 별도의 가입 절차가 필요 없고 통화 품질이 좋으며 국경에 제한되지 않고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한 쌍의 단말기간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between a pair of phone devices using Internet and device for this service}
본 발명은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하여 서로 짝을 이루는 단말기와만 일정 기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국제 통화 방법이 다양해지고 그 비용도 과거에 비해서 저렴해졌지만, 아직도 다수의 사람에게는 사용 방법의 복잡성, 부담스러운 비용, 서비스 시작의 어려움 등 국제 통화에 대한 장벽이 존재한다. 전화 또는 휴대폰 회선 개통이 어려운 국내 체류 외국인들은 이러한 불편함을 더욱 체감하고 있다.
대표적인 국제 통화 방법으로는 선불카드, 전화 또는 휴대폰 국제전화 서비스, VoIP 응용프로그램이 있다.
먼저 선불카드의 경우, 선불카드를 구매한 사람만이 통화를 걸 수 있고 선불카드 이용 시 눌러야 하는 번호가 매우 길어 전자기기에 익숙치 않은 연령층은 사용이 어렵다.
휴대폰 또는 전화 국제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비용 및 통신 요금 자체도 비싸고, 휴대폰 또는 전화 회선 개통에 개인의 신용상태를 요구하여 외국인들의 회선 개통이 어려우며, 선불카드보다는 사용이 편리하나 국제통화를 위한 번호를 눌러야 하여 사용방법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VoIP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경우, 공용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는 이상 휴대폰 또는 전화 회선을 개통하여야 하므로 휴대폰 또는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은 비용, 어려운 회선 개통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공용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시간, 장소 등에 제한이 있어 편안한 통화가 불가능하고 공용 컴퓨터 이용에 따른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여 비용을 이중으로 부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별도의 가입절차 없이 구매만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편리하고 저렴하게 품질 좋은 국제 전화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 방법이 필요하다.
별도의 가입절차 없이 구매만으로 전화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방법으로는 USIM 카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USIM 카드를 이용하려면 기본적으로 휴대폰 단말기가 반드시 필요하고 국제 전화 요금 또한 비싸 금전적 부담이 매우 크고 USIM 카드를 교체하여야 하는 등 사용방법이 쉽지 않고 비용이 부담스러운 기존 국제 통화 기술의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불편함을 겪는 이용자들이 대부분 사업 등의 이유로 국제 통화를 많이 이용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타국에 체류하며 가족들 등 특정인과의 연락을 위해 국제 통화를 이용하는 사람들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가입 절차나 개인의 신용 정보 확인 절차 필요 없이 일정한 통신 서비스 기간 동안 인터넷을 통하여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단말기끼리만 인터넷을 통하여 통화할 수 있는 저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통신 품질이 높은 통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사업자가 여러 쌍의 단말기가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 번호를 쓰지 않도록 판매 과정을 통제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한 단말기가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하면 상기 한 쌍의 단말기 모두 통신 서비스 기간이 연장되는 통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단말기가 동시에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아도 상기 한 쌍의 단말기끼리 간단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가 서로 짝을 이루는 단말기와만 통신하기 위한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상기 두 개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하는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부여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을 설정하는 통신 서비스 기간 설정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아이피 주소가 포함된 정보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전송되는 단말기 연결 단계,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통신 서비스 기간 확인 단계,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 내에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연결된 단말기의 짝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을 기다리는 짝 단말기 연결 준비 단계, 상기 짝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짝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아이피 주소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전송되는 짝 단말기 연결 단계,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짝 단말기의 상기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연결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짝 단말기의 상기 연결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는 상기 짝 단말기의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짝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는 통신 단계로 구성되어, 별도의 가입 절차나 개인의 신용 정보 확인 절차 없이 일정한 통신 서비스 기간 동안 인터넷을 통하여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단말기끼리만 인터넷을 통하여 통화할 수 있는 저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통신 품질이 높은 통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출고활성화 값을 설정하는 출고활성화 값 설정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서비스활성화 값을 설정하는 서비스활성화 값 설정 단계,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출고활성화 값과 서비스활성화 값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활성화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여, 출고활성화 값, 서비스활성화 값을 이용하여 서비스 사업자가 여러 쌍의 단말기가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 번호를 쓰지 않도록 판매 과정을 통제하는 통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통신 서비스 기간 연장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만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하면 상기 한 쌍의 단말기 모두 통신 서비스 기간이 연장되는 통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단말기 중 한 단말기만 연결된 짝 단말기 연결 준비 단계에서 상기 연결된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짝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짝 단말기가 연결된 짝 단말기 연결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상기 짝 단말기에게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한 쌍의 단말기가 동시에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아도 간단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통신 서비스 방법을 위하여, 서비스 사업자 서버의 아이피 주소 및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가 서로 짝을 이루는 단말기와만 통신하기 위한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가 저장된 저장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연결된 지점의 아이피 주소를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짝 단말기의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짝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한 쌍을 이루는 짝 단말기와만 통신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가 서로 짝을 이루는 단말기와만 저렴하고 쉽게 좋은 품질로 통신할 수 있는 발명으로,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에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 번호를 각각 부여하고 상기 한 쌍의 단말기는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통화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쌍의 단말기를 구매하여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에게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한 단말기를 배달하면, 상기 사용자와 상대방은 각자의 단말기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별도의 가입 절차나 개인의 신용 정보 확인 절차 필요 없이 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할 수 있는 짝 단말기가 이미 정해져 있으므로 단말기에 있는 하나의 버튼만 누르면 되는 등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어 기기 제품 사용에 익숙치 않은 사람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므로 국내 통화 뿐만 아니라 국제 통화도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사업자가 여러 쌍의 단말기가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 번호를 쓰지 않도록 판매 과정을 통제하여, 제조자 또는 판매자가 서비스 사업자의 허락 없이 서비스를 임의로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생산 또는 판매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사업자가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만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하면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이 모두 연장되도록 하여 두 사용자 중 한 명의 사용자만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여력이 되면 계속 하여 두 사용자의 통신을 계속 이어나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인터넷에 연결만 하면 별도의 설정 등을 하지 않아도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으므로, 거주 중인 국가, 지역 등이 변경되어도 계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단말기가 동시에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아도 간단한 메모를 상대방에게 남길 수 있어 한 쌍의 단말기끼리 간단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저렴하고 간편하고 별도의 가입 절차가 필요 없고 품질이 높고 국경에 제한되지 않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상업적 가치가 매우 높다. 이러한 효과들은 특히 타국에 체류하며 가족들 등 특정인과의 연락을 위해 국제 통화를 이용할 필요가 있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할 것이며, 상기 특정인이 경제적 능력 및 지식수준이 낮을수록 그 유용성의 정도는 더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 과정의 정보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판매 과정의 정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과정의 정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의 정보 흐름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 과정의 정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 과정의 정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조자 또는 판매자가 요청한다는 것은 제조자 또는 판매자 서버 등이 요청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조자 또는 판매자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가 요청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가진 단말기들이 통신 서비스 기간 동안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방법과 상기 단말기에 대한 내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판매 과정, 연결 과정, 통신 과정, 연장 과정으로 구성된다. 각 과정들은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방법 단계들 중 일부로 구성된다.
상기 판매 과정에서 본 발명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부여 단계 및 통신 서비스 기간 설정 단계가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 과정의 정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서비스 사업자는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가 서로 짝을 이루는 단말기와만 통신하기 위한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생성하여 제조자에게 전달한다. 제조자는 상기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단말기에 각각 부여한다.
구체적인 정보 흐름은 다음과 같다.
단말기를 만드는 제조자가 서비스 사업자에게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발급을 요청하면(111) 서비스 사업자는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생성하여(112) 제조자에게 발급한다(113). 제조자는 상기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발급받은 상기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한다(114). 제조자는 단말기에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부착하거나 내부 메모리에 입력하는 방식 등으로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단말기에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된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는 그 쌍으로 함께 출고된다(130).
사용자가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를 구매하려고 하면(210), 판매자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와 결제 정보가 포함된 구매 요청을 전송한다(221). 결제 정보는 서비스 사업자가 통신 서비스 기간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 또는 지불한 포인트, 상기 금액 또는 상기 포인트 등에 대응되는 통신 서비스 기간 등이 될 수 있다.
판매자로부터 상기 통신 요청을 전송 받은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통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확인한다(222).
그 후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을 상기 결제 정보에 맞게 설정한다(241).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을 설정한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판매자에게 판매 승인 사실을 알리면(242) 상기 한 쌍의 단말기 판매가 완료된다(243).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판매 과정의 정보 흐름도로, 상기 판매 과정은 인터넷을 통한 한 쌍의 단말기 통신 서비스 방법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부여 단계, 통신 서비스 기간 설정 단계 뿐만 아니라, 출고활성화 값 설정 단계, 서비스활성화 값 설정 단계도 이루어 진다.
제조자나 판매자가 서비스 사업자가 생성한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여러 쌍의 단말기에 반복적으로 부여하여 제조 또는 판매할 경우, 여러 쌍의 단말기가 동일한 상호 인식 고유 식별 번호를 가지게 되어, 통신이 교란되고 제조자 또는 판매자가 서비스 사업자 허락 없이 통신 서비스를 임의로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조 또는 판매함으로써 서비스 사업자에게 무임승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라고 불리는 한 쌍의 단말기와 Y라고 불리는 한 쌍의 단말기가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1, 2를 동일하게 가질 경우, 상기 X 중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1을 가진 단말기 X1과 상기 Y 중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2를 가진 단말기 Y2가 인터넷에 동시에 연결되면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가 모두 연결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 X1과 Y2가 통신하도록 동작함으로써 통신이 교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고활성화 값과 서비스활성화 값을 도입할 수 있다. 서비스 사업자는 출고활성화 값, 서비스활성화 값을 설정하고 이를 연결, 통신 과정 등에 이용함으로써 여러 쌍의 단말기가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통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정보 흐름은 다음과 같다.
단말기를 만드는 제조자가 서비스 사업자에게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발급을 요청하면(111) 서비스 사업자는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생성하여(112) 제조자에게 발급한다(113). 제조자는 상기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발급받은 상기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한다(114). 제조자는 단말기에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부착하거나 내부 메모리에 입력하는 방식 등으로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단말기에 부여할 수 있다.
제조자는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된 한 쌍의 단말기 내 출고활성화 값을 초기화하고(121),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가 포함된 출고활성화 값 설정 요청을 전송한다(122).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출고활성화 값 설정 요청에 포함된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출고활성화 값을 설정한다(123).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출고활성화 값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고활성화 값을 활성화시킨다. 한 번 활성화된 출고활성화 값은 더 이상 비활성화되지 않는다.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상기 출고활성화 값을 활성화한 경우,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제조자에게 상기 출고활성화 값 활성화를 승인하고(124), 상기 제조자는 상기 한 쌍의 단말기 내 출고활성화 값을 활성화한다(125).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출고활성화 값을 비활성화한 경우에도 상기 제조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제121 내지 125 단계는 출고활성화 값 설정 단계에 해당되며, 단말기에 출고활성화 값을 저장하지 않는다면 점선으로 표시된 제121, 124, 125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렇게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되고 출고활성화 값이 활성화된 한 쌍의 단말기는 그 쌍으로 함께 출고된다(130).
사용자가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를 구매하려고 하면(210), 판매자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와 결제 정보가 포함된 구매 요청을 전송한다(221). 결제 정보는 서비스 사업자가 통신 서비스 기간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 또는 지불한 포인트, 상기 금액 또는 상기 포인트 등에 대응되는 통신 서비스 기간 등이 될 수 있다.
판매자로부터 상기 통신 요청을 전송 받은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통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확인한다(222).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출고활성화 값이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한다(231). 상기 출고활성화 값이 활성화되었다면,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서비스활성화 값을 설정한다(232).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서비스활성화 값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활성화 값을 활성화시킨다. 한 번 활성화된 서비스활성화 값은 더 이상 비활성화되지 않는다.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상기 서비스활성화 값을 활성화한 경우,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서비스활성화 값 활성화를 승인하고(233), 상기 판매자는 상기 한 쌍의 단말기 내 서비스활성화 값을 활성화한다(234).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서비스활성화 값을 비활성화한 경우에도 상기 판매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제231 내지 234 단계는 서비스활성화 값 설정 단계에 해당되며, 단말기에 서비스활성화 값을 저장하지 않는다면 점선으로 표시된 제233, 234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그 후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한 상의 통신 서비스 기간을 상기 결제 정보에 맞게 설정한다(241).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을 설정한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판매자에게 판매 승인 사실을 알리면(242) 상기 한 쌍의 단말기 판매가 완료된다(243).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는 서비스 사업자가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생성하였지만, 제조자 등이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서비스 사업자에게 알리는 방식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과정의 정보 흐름도이다.
상기 연결 과정에서는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아이피 주소가 포함된 정보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전송되는 단말기 연결 단계,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통신 서비스 기간 확인 단계,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 내에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연결된 단말기의 짝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을 기다리는 짝 단말기 연결 준비 단계, 상기 짝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짝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아이피 주소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전송되는 짝 단말기 연결 단계가 이루어진다.
단말기 A는 인터넷에 연결되면 자신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여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연결을 요청한다(311). 이는 단말기 연결 단계에 해당한다.
상기 단말기 A의 연결 요청을 받은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단말기 A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A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312).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상기 단말기 A가 속한 한 쌍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서비스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이는 통신 서비스 기간 확인 단계에 해당한다.
또한,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통신 서비스 기간 뿐만 아니라 출고활성화 값, 서비스활성화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연결 과정에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상기 단말기 A가 속한 한 쌍의 단말기의 출고활성화 값과 서비스활성화 값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활성화 확인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단말기 A에게 서비스가 가능하면 서비스 요청 승인 사실을 알리고, 불가능하면 서비스 요청 거절 사실을 알린다(313). 서비스 요청 거절 시, 상기 단말기 A는 인터넷 연결이 끊길 때까지 일정 간격마다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연결 요청을 할 수 있다.
단말기 A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단말기 A의 짝 단말기인 단말기 B가 인터넷에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연결되지 않은 상기 단말기 B의 연결을 기다린다. 이는 짝 단말기 연결 준비 단계에 해당한다.
상기 단말기 B는 인터넷에 연결되면 자신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여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연결을 요청한다(321). 이는 짝 단말기 연결 단계이며, 동작은 단말기 연결 단계와 동일하다. 그 후 상기 단말기 B는 상기 단말기 A와 동일하게 통신 서비스 기간 확인 단계(322, 323)를 거친다.
상기 짝 단말기 연결 단계는 한 쌍의 단말기가 모두 인터넷에 연결되었을 경우 상기 한 쌍의 단말기에게 각각의 짝 단말기가 연결된 사실을 각각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A, B가 모두 연결된 후,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단말기 A에게 상기 단말기 B의 로그인 사실을(331), 상기 단말기 B에게는 상기 단말기 A의 로그인 사실을 알린다(332).
추가적으로, 상기 짝 단말기 연결 준비 단계에서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단말기 A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짝 단말기 B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가, 상기 짝 단말기 연결 단계에서 짝 단말기 B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상기 단말기 B에게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한 쌍의 단말기인 단말기 A, B가 동시에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더라도 서로의 짝 단말기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의 정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가 서로 짝을 이루는 단말기와만 통신하기 때문에 상기 통신 과정은 한 단말기가 버튼 하나를 누르는 등의 간단한 방법으로 통화 요청을 하면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짝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신 과정은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짝 단말기의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연결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짝 단말기의 상기 연결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는 상기 짝 단말기의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짝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는 통신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정보 전송 단계는 다음과 같이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짝 단말기와의 통신을 요청하는 단계,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상기 짝 단말기에게 통신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짝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상기 짝 단말기와의 통신을 요청한 단말기에게 상기 짝 단말기의 상기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정보 흐름은 다음과 같다.
단말기 A는 인터넷에 연결되면 자신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통신을 요청한다(411). 상기 단말기 A로부터 통신 요청을 받은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단말기 A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A의 짝 단말기를 확인한다(412).
상기 단말기 A의 짝 단말기인 단말기 B가 연결되어 있다면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연결 과정에서 획득한 상기 단말기 B의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B에게 상기 단말기 A의 통화 요청 사실을 알린다(413).
상기 통화 요청 사실 알림을 받은 상기 단말기 B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421). 연결 정보는 인터넷을 통한 통신을 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들로 아이피 주소 외에 포트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정보를 전송받은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단말기 B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B의 짝 단말기인 상기 단말기 A를 확인하고(422), 상기 단말기 B로부터 받은 연결 정보를 상기 단말기 A에게 전송한다(423).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 B의 연결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단말기 A는 상기 연결 정보 내 상기 단말기 B의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B에게 직접 통신 개시 요청을 하고(431), 상기 단말기 B는 상기 단말기 A에게 통신 개시 가능 여부를 알린다(432). 이 때 상기 단말기 B는 자신의 짝 단말기로부터 온 연결 시도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상기 단말기 A, B는 인터넷을 통하여 서로 간의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433).
이처럼 단말기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통화 요청을 하면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상기 단말기의 짝 단말기의 연결 정보를 전송한 다음 상기 단말기가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짝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하여, 한 쌍의 단말기끼리만 통신하도록 서비스 사업자가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 과정의 정보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통신 서비스 기간 연장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하는 단계를 통하여 판매 단계에서 설정된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만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하면, 상기 단말기의 짝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도 연장된다는 것이다. 즉, 한 쌍의 단말기 단위로 통신 서비스 기간이 연장된다. 이 때 통신 서비스 기간 연장은 기존 통신 서비스 기간이 만료된 경우 뿐만 아니라 만료되기 이전에도 가능하다.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스크래치 카드를 구매하여 상기 스크래치 카드에 적힌 번호를 단말기에 입력하는 방식 등 직접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통신 서비스 기간 연장을 요청하는 방법과 사용자가 결제 대행업체에게 통신 서비스 기간 연장을 요청하고 상기 결제 대행업체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상기 사용자의 통신 서비스 기간의 연장을 요청하는 간접적인 방법이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 과정은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통신 서비스 기간 연장을 요청한다.
단말기 A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자신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와 결제 정보가 포함된 연장 요청을 전송한다(511). 결제 정보는 서비스 사업자가 통신 서비스 기간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 또는 지불한 포인트, 상기 금액 또는 상기 포인트 등에 대응되는 통신 서비스 기간 등이 될 수 있다. 단말기의 사용자는 결제 정보가 담겨있거나 일정한 과정을 통하여 결제 정보를 알 수 있는 번호가 적힌 스크래치 카드를 구매하고 스크래치 카드에 담긴 결제 정보 또는 번호를 입력하여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전송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연장 요청을 전송 받은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연장 요청에 포함된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확인하고(512),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A가 속한 한 쌍의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을 상기 결제 정보에 맞게 연장한다(513).
상기 단말기 A의 통신 서비스 기간만이 아닌 상기 단말기 A가 속한 한 쌍의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이 연장되므로, 상기 단말기 B는 통신 서비스 기간이 만료되어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연결하지 못하였어도 상기 단말기 A가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한 이후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 A의 연장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후,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단말기 B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연결을 요청하면(521), 상기 단말기 A의 사용자가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함으로써 단말기 B의 통신 서비스 기간도 연장되었으므로 서비스 가능 여부 확인 시(522) 다른 사유가 없는 한 상기 단말기 B의 서비스 요청은 승인된다(523).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 과정의 정보 흐름도이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 과정은 사용자가 결제 대행업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한다.
통신 서비스 기간의 연장을 원하는 단말기 A의 사용자는 편의점에 가서 현금 등을 지급하거나, 지로에 입력된 번호로 현금 등을 입금하는 방식 등으로 결제 대행업체에게 통신 서비스 기간 연장을 요청한다(611). 상기 단말기 A로부터 통신 서비스 기간 연장을 요청받은 결제 대행업체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상기 단말기 A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결제 정보가 포함된 연장 요청을 전송한다(612). 결제 대행업체는 지로 번호, 편의점에 가지고 온 단말기, 사용자가 지급한 금액 또는 포인트 등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 A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와 결제 정보를 알 수 있다.
상기 결제 대행업체로부터 상기 연장 요청을 전송 받은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연장 요청에 포함된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확인하고(613),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A가 속한 한 쌍의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을 상기 결제 정보에 맞게 연장한다(614).
상기 단말기 A의 사용자가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함으로써 단말기 B의 통신 서비스 기간도 연장되므로, 상기 단말기 A의 연장 요청 이전에 상기 단말기 B가 통신 서비스 기간 만료를 이유로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연결하지 못하였어도, 상기 단말기 A의 연장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후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단말기 B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연결을 요청하면(621), 서비스 가능 여부 확인 시(622) 다른 사유가 없는 한 상기 단말기 B의 서비스 요청은 승인된다(623).
상기 단말기 A, B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을 위한 한 쌍을 이루는 짝 단말기와만 통신하는 단말기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의 아이피 주소 및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가 서로 짝을 이루는 단말기와만 통신하기 위한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가 저장된 저장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연결된 지점의 아이피 주소를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짝 단말기의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짝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대부분의 단계는 단말기와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정보를 주고 받는바 이러한 단계들은 상기 송신부, 수신부를 통해 이루어지고, 한 쌍의 단말기끼리 통신하는 통신 단계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수신부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오는 데이터만 처리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짝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가 포함되는 데이터만을 처리하도록 하여 더욱 상기 한 쌍의 단말기끼리만 통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MCID :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Mutual Cognition ID)
RAV : 출고활성화 값 (Release Active Value)
SAV : 서비스활성화 값 (Service Active Value)
P-code : 결제 정보 (Payment code)

Claims (12)

  1.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가 서로 짝을 이루는 단말기와만 통신하기 위한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상기 두 개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하는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부여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을 설정하는 통신 서비스 기간 설정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아이피 주소가 포함된 정보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전송되는 단말기 연결 단계;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통신 서비스 기간 확인 단계;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 내에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연결된 단말기의 짝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을 기다리는 짝 단말기 연결 준비 단계;
    상기 짝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짝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아이피 주소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전송되는 짝 단말기 연결 단계;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짝 단말기의 상기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연결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짝 단말기의 상기 연결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는 상기 짝 단말기의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짝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는 통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한 쌍의 단말기 통신 서비스 방법.
  2.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가 서로 짝을 이루는 단말기와만 통신하기 위한 한 쌍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상기 두 개의 단말기에 각각 부여하는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부여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출고활성화 값을 설정하는 출고활성화 값 설정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을 설정하는 통신 서비스 기간 설정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서비스활성화 값을 설정하는 서비스활성화 값 설정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아이피 주소가 포함된 정보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전송되는 단말기 연결 단계;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출고활성화 값과 서비스활성화 값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활성화 확인 단계;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통신 서비스 기간 확인 단계;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 내에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연결된 단말기의 짝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을 기다리는 짝 단말기 연결 준비 단계;
    상기 짝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짝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아이피 주소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전송되는 짝 단말기 연결 단계;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짝 단말기의 상기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연결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짝 단말기의 상기 연결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는 상기 짝 단말기의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짝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는 통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한 쌍의 단말기 통신 서비스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말기가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통신 서비스 기간 연장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한 쌍의 단말기 통신 서비스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비스 기간 설정 단계는
    지불 금액 또는 지불 포인트에 따라 설정할 통신 서비스 기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한 쌍의 단말기 통신 서비스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기간을 연장하는 단계는
    지불 금액 또는 지불 포인트에 따라 연장할 통신 서비스 기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한 쌍의 단말기 통신 서비스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짝 단말기 연결 준비 단계는 상기 연결된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짝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짝 단말기 연결 단계는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상기 짝 단말기에게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한 쌍의 단말기 통신 서비스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활성화 값 설정 단계는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출고활성화 값이 비활성화되어 있어야 출고활성화 값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출고활성화 값은 다시 비활성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한 쌍의 단말기 통신 서비스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활성화 값 설정 단계는 상기 한 쌍의 단말기의 출고활성화 값이 활성화되어 있고 서비스활성화 값이 비활성화되어 있어야 서비스활성화 값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서비스활성화 값은 다시 비활성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한 쌍의 단말기 통신 서비스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짝 단말기 연결 단계는 상기 한 쌍의 단말기에게 각각의 짝 단말기가 연결된 사실을 각각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한 쌍의 단말기 통신 서비스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한 쌍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짝 단말기와의 통신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상기 짝 단말기에게 통신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짝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게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가 상기 짝 단말기와의 통신을 요청한 단말기에게 상기 짝 단말기의 상기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한 쌍의 단말기 통신 서비스 방법.
  11. 단말기에 있어서,
    서비스 사업자 서버의 아이피 주소 및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단말기가 서로 짝을 이루는 단말기와만 통신하기 위한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가 저장된 저장부;
    인터넷에 연결되면 상기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 및 연결된 지점의 아이피 주소를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짝 단말기의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짝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을 이루는 짝 단말기와만 통신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오는 데이터만 처리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짝 단말기의 상호 인식 고유 식별번호가 포함되는 데이터만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을 이루는 짝 단말기와만 통신하는 단말기.
KR1020140130989A 2014-09-30 2014-09-30 인터넷을 이용한 한 쌍의 단말기간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1680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989A KR101680427B1 (ko) 2014-09-30 2014-09-30 인터넷을 이용한 한 쌍의 단말기간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989A KR101680427B1 (ko) 2014-09-30 2014-09-30 인터넷을 이용한 한 쌍의 단말기간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101A Division KR20160137474A (ko) 2016-11-21 2016-11-21 인터넷을 이용한 한 쌍의 단말기간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329A KR20160038329A (ko) 2016-04-07
KR101680427B1 true KR101680427B1 (ko) 2016-11-28

Family

ID=55789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989A KR101680427B1 (ko) 2014-09-30 2014-09-30 인터넷을 이용한 한 쌍의 단말기간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4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57B1 (ko) 2006-02-10 2006-12-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식별자를 이용한 아이피 기반의 통신 시스템과 그 통신방법
KR100774997B1 (ko) 2006-06-16 2007-11-13 공윤옥 정액요금 소진 후 특정인 통화가 가능한 휴대전화 요금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57B1 (ko) 2006-02-10 2006-12-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식별자를 이용한 아이피 기반의 통신 시스템과 그 통신방법
KR100774997B1 (ko) 2006-06-16 2007-11-13 공윤옥 정액요금 소진 후 특정인 통화가 가능한 휴대전화 요금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329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54115B (zh) 远程可变认证处理
US9928507B2 (en) Alternative payment method for online transactions using interactive voice response
US20160328701A1 (en) Mobile point of sale system for reverse settlement, and method thereof
KR100842556B1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서비스 승인 방법
US9147187B1 (en) Storing and accessing a plurality of payment options on a secure element
JP5216138B2 (ja) 移動通信網を利用した電子商品の共同利用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2032692A (ja) 情報サービス提供方法
WO2016132458A1 (ja) 携帯端末、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71312B1 (ko) 미성년자결제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07103463A (zh) 支付方法及装置
KR20110066841A (ko) 휴대폰 결제를 위한 인증 처리 시스템 및 휴대폰 결제 처리 방법
KR101291492B1 (ko) 가입자식별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의 개통 방법
KR101303207B1 (ko) 모바일 결제 중개 시스템
US20120295583A1 (en) Mobile billing method and system using ars
KR101680427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한 쌍의 단말기간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JP2016186671A (ja) 移動通信端末、情報送信方法、及び情報送信システム
KR20160137474A (ko) 인터넷을 이용한 한 쌍의 단말기간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US20040030642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transfer of an electronic sum of money from a credit store
JP3361504B2 (ja) カード支払自動決済システム
JP2017228283A (ja) 遠隔操作型商取引システム
KR10157444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한 쌍의 단말기간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JP6219486B2 (ja) クレジットカードでの買い物を他者が援助するためのクレジットカード会社システム
KR20080030921A (ko) 상품 대금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36341A (ko) 메시징 기반 무선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10711A (ko) 무선 인터넷 주소 연결용 전화번호와 가상 계좌를 이용한휴대폰 결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