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974B1 - 조명기구의 효율적 호환을 위한 등기구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기구의 효율적 호환을 위한 등기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974B1
KR101678974B1 KR1020140169763A KR20140169763A KR101678974B1 KR 101678974 B1 KR101678974 B1 KR 101678974B1 KR 1020140169763 A KR1020140169763 A KR 1020140169763A KR 20140169763 A KR20140169763 A KR 20140169763A KR 101678974 B1 KR101678974 B1 KR 10167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lighting
ceiling
luminaire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585A (ko
Inventor
이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렉스
이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렉스, 이찬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렉스
Priority to KR1020140169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9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용도에 따라 천정이나 벽면에 형광등과 LED조명기구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등기구 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천정에 설치되는 체결구와, 체결구에 의해 천정에 고정되고 조명기구와 결합되어 조명기구를 천정에 배치시키는 몸체, 및 상기 조명기구의 양단에 위치한 핀과 결합되는 소켓을 포함하는 등기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면에 체결구와 결합되는 체결홈이 구비되고, 측면에 상기 조명기구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조명기구 삽입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등기구 장치는 기존의 등기구와 달리, 형광등뿐만 아니라 LED 조명등에도 널리 사용 가능하므로, 조명기구의 종류가 변하더라고 호환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기구의 효율적 호환을 위한 등기구 장치{LIGHTING APPARAUTS FOR COMPATIBILITY LAMP}
본 발명은 형광등과 LED조명기구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도에 따라 천정이나 벽면에 형광등과 LED조명기구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등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에는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형광등을 조명기구로 사용하고 있다. 형광등은 진공 유리관에 수은 및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고 유리관 내벽에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수은 방전으로 생기는 자외선이 형광물질을 자극하여 가시광선으로 바뀌는 것을 이용한 조명기구이다.
형광등은 백열등에 비해 소비전력이 1/3이며, 효율이 좋고, 3000시간의 긴 수명시간을 갖는다. 그러나 인가되는 전압이 높은 경우, 형광등에서 흑화현상이 진행되어 수명이 짧아지고,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형광등이 점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가진 형광등 대신에 최근에는 저 전력, 장 수명, 및 친환경성의 장점을 갖는 LED를 광원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LED는 다른 광원들과 달리 수은이 함유되지 않은 친환경 광원으로, 휴대폰용 백라이트, LCD TV용 백라이트, 차량용 램프, 및 일반 조명 등에 사용되는 차세대 광원으로 널리 각광받고 있다.
또한, LED는 전력을 빛으로 변환시키는 효율이 뛰어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형광등이나 백열등에 비해 단위 전력대비 빛의 효율이 월등히 높아 경제성이 뛰어나며, 저전압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광량을 얻을 수 있어 안전성이 뛰어나므로 조명등으로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1307호에는 진공 구조를 갖는 LED 형광등이 개시된다. 상기 기술은 광확산 파이프를 일체형으로 개선하여 소켓과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결합하여 방수, 방습 기능을 가지도록 한 LED 형광등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근래에 들어 에너지 절약 등을 위하여 LED 조명기구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를 사용할 수 있는 등기구는 LED 형광등 제품들이므로, 기존의 등기구와 호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2763호(2013.04.1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7524호(2013.12.1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4264호(2013.12.24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기구의 종류가 변하더라고 호환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기구의 효율적 호환을 위한 등기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천정에 설치되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에 의해 천정에 고정되고 조명기구와 결합되어 조명기구를 천정에 배치시키는 몸체, 및 상기 조명기구의 일단 또는 양단에 위치한 핀과 결합되는 소켓을 포함하는 등기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면에 체결구와 결합되는 체결홈이 구비되고, 측면에 상기 조명기구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조명기구 삽입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는 기존의 등기구와 달리, 형광등뿐만 아니라 LED 조명등에도 널리 사용 가능하므로, 조명기구의 종류가 변하더라고 호환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 조명등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원의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다수 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 및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의 일 사용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의 설치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조명기구의 효율적 호환을 위한 등기구 장치(이하, "등기구 장치"로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 및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는 천정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체결구(100)와, 상기 체결구(100)에 의해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되고 조명기구와 결합되어 조명기구를 천정이나 벽면에 배치시키는 몸체(200), 및 상기 조명기구(10)의 양단에 위치한 핀과 결합되는 소켓(300)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등기구 장치는 체결구(10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구(100)는 몸체(200)가 천정에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200)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천정이나 벽면을 관통한 후 몸체(200)의 체결홈(210)에 결합되어 몸체(200)를 천정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체결구(100)로는 나사,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체결구(100)는 몸체(200)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체결구(100)가 몸체(200)의 저면으로 삽입되어 몸체(200)를 관통한 후 천정에 결합되어 몸체(200)를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등기구 장치는 몸체(2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00)는 조명기구(1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여 조명기구(10)를 천정이나 벽면에 배치할 수 있는 것으로, 원기둥형이나 사각기둥형 또는 삼각기둥형 등 다각형 구조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200)는 무게를 경감시키고, 재료비를 절약하기 위해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기둥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체결구(100)와 결합되는 체결홈(210)이 구비되고, 측면에 조명기구(10)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조명기구 삽입홀(220)이 구비된다. 필요에 따라, 몸체(200)는 상면에 소켓(300)에 연결된 전선(310)을 고정시키는 전선 안착홈(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210)은 체결구(100)가 안정적으로 몸체(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200)에 체결구(100)와의 결합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주면을 따라 체결구(100)에 대응되는 나사산이나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체결홈(210)은 몸체(200)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기구 삽입홀(220)은 몸체(200)에 형광등이나 LED 조명등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몸체(200)의 측면으로 조명기구(1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200)의 측면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이때, 조명기구 삽입홀(220)은 형광등과 LED 조명등의 호환을 위해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 안착홈(230)은 소켓(300)을 몸체(20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전선(310)에 연결된 소켓(300)이 몸체(2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켓(300)과 조명기구(1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마찰력을 전선(310)에 제공한다.
이러한 전선 안착홈(230)은 서로 다른 굵기를 갖는 복수개의 안착홈(231, 232, 2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소켓(300)에 연결된 전선(310)이 다양한 굵기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전선(310)에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안착홈(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착홈(231)과 제2 안착홈(232) 및 제3 안착홈(23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홈(231)은 제2 안착홈(232)과 제3 안착홈(233)보다 넓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 안착홈(232)은 제1 안착홈(231)보다 좁고 제3 안착홈(233)보다 넓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선 안착홈(230)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안착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전선 안착홈(230)에 결합된 전선(310)의 깊이를 조절하여 광원의 조사방향을 변경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안착홈(230)은 몸체(200)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2개 내지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전선 안착홈(230)은 소켓(300)에 연결된 전선(310)이 다양한 길이를 갖더라도 전선(310)이 결합되는 전선 안착홈(230)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선(310)에 일정한 긴장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복수개의 전선 안착홈(230)은 조명기구(10)로 LED 조명등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LED 조명등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원의 조사방향을 간편하게 변경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의 일 사용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제1 소켓(300)에 연결된 전선(310)을 상기 제1 소켓(300)에 인접한 임의의 제1 전선 안착홈(230')에 연결하고, 임의의 제2 소켓(300)에 연결된 전선(310)을 상기 제2 소켓(300)에 인접한 임의의 제2 전선 안착홈(230")에 연결하면, 몸체(200) 아래의 정면 방향으로 LED 조명등의 조명이 제공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소켓(300)에 연결된 전선(310)과 상기 제2 소켓(300)에 연결된 전선(310)을 모두 제1 전선 안착홈(230')과 제2 전선 안착홈(230")의 우측에 형성된 제3 전선 안착홈(230)에 연결하면, LED 조명등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몸체(200) 아래의 좌측 방향으로 LED 조명등의 조명이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소켓(300)에 연결된 전선(310)과 상기 제2 소켓(300)에 연결된 전선(310)을 모두 제1 전선 안착홈(230')과 제2 전선 안착홈(230")의 좌측에 형성된 제4 전선 안착홈(230)에 연결하면, LED조명기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몸체(200) 아래의 우측 방향으로 LED조명기구의 조명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LED 조명등으로부터 발광된 조명의 조사방향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에 의한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몸체(200)는 그 내부에 외부전원의 전류를 공급하는 컨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버터는 소켓(300)에 구비된 전선(310)에 연결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등기구 장치는 소켓(300)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300)은 조명기구(10)의 양단에 위치한 핀과 결합되어 조명기구(10)에 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몸체(200)의 전선 안착홈(230)에 끼움 결합된 전선(310)에 의해 핀과 밀착 가능한 일정한 수준의 압력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소켓(3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10)의 핀이 결합되는 반대 방향에 중공이 형성된 가이드블록(3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320)은 소켓(300)에 연결된 전선(3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조명기구(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이드블록(320)은 표면에 일 열로 연통된 복수개의 위치조절홀(322)이 구비된다.
이때, 각각의 위치조절홀(322)은 전선(31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전선(310)의 단면과 대응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로, 각각의 위치조절홀(322)은 전선(310)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한 위치조절홀(322)은 원형의 좌측 및 우측 부분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다른 실시 양태로, 각각의 위치조절홀(322)은 전선(310)의 단면과 대응되는 공간을 갖는 마름모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한 위치조절홀(322)은 마름모형의 좌측 및 우측 부분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위치조절홀(322)은 그 내부를 이동하는 전선(3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조절홀(322)의 테두리를 따라 고무등의 완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소켓(300)에 연결된 전선은 사용자에 의해 전선 안착홈(230)에 끼움 결합된 후 천정이나 벽면에 내설되어 외부의 전류를 공급하는 외부 전선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며, 외부 전선에 구비된 연결단자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의 다른 설치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의 몸체(200)는 복수개의 조명기구(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복수개의 조명기구 삽입홀(22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조명기구(10)가 사용되는 경우, 조명기구 삽입홀(220)은 도 6과 같이 몸체(200)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4개가 형성된다.
아울러, 복수개의 조명기구(10)의 일단이 서로 이웃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각각의 조명기구(10)의 안정적이 설치를 위해 전등 어댑터(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등 어댑터(400)는 조명기구(10)의 일단이 내삽될 수 있도록 테두리를 따라 원기둥형 함몰부가 구비된 전등용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전등 어댑터(400)는 몸체(200)의 내부에 연결되며, 전선(310)에 연결된 소켓(300)이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조명기구(10)인 LED 조명등을 전등 어댑터(400)에 내삽시키면 LED 조명등은 전등 어댑터(400)에 내장된 소켓에 자동으로 연결된다.
한편, 소켓(300) 또는 전등 어댑터(400)는 사용자 단말기에 맵핑이 되어 사용자 단말기에서 조명기구의 온/오프(ON/OFF), 점멸, 디밍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미도시)과 제어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점멸은 거주자와 방문자에게 지정된 특이상황의 발생을 알려줄 수 있도록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사용자 단말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중계하는 중계기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를 수신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통신모듈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기구를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유무선 네트워크로는 블루투스, NFC, 지그비, WI-FI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이 소켓에 구비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조명기구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모듈이 전등 어댑터(400)에 구비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등 어댑터(400)에 설치된 복수개의 조명기구(10)를 한꺼번에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소켓 또는 어댑터에는 상기 소켓 또는 어댑터 주위를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을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웹캠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촬영 시간이 지정되면, 지정된 시간에 웹캠을 제어하여 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영상 촬영신호가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면, 웹캠을 제어하여 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은 어댑터에 설치되고 제어모듈에 연결된 동작감지기로부터 동작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알림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알림정보에는 "침입자 발생" 등의 방범 메시지가 포함되거나 웹캠을 통해 생성된 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실외에 위치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실내에 설치된 조명기구(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웹캠을 통해 실내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의 또 다른 설치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는 2개 이상이 함께 천정이나 벽면에 설치된 경우에 체결구(100)에 의한 고정력을 보조할 수 있는 지지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몸체(200)의 일측에 구비된 제1결합구와, 상기 제1결합구에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몸체(2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결합구로 구성된다. 이때,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는 몸체(200)의 측면에 구비되거나, 몸체(200)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가 몸체(200)의 측면에 구비되면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는 평면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결합구가 몸체(200)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2결합구가 몸체(200)의 하면에 구비되면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장치는 상하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의 측면 일측에 구비된 돌출구(242)로 구성되며, 상기 제2결합구는 몸체(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구(242)의 반대 방향에 구비된 함몰홈(2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제1 몸체(200)에 구비된 돌출구(242)가 이웃한 제2 몸체(200)에 구비된 함몰홈(244)에 내삽될 수 있도록 돌출구(242)와 함몰홈(244)은 서로 대응된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돌출구(242)가 원기둥형 구조로 형성되면 함몰홈(244)도 원기둥형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구(242)가 사각기둥형 구조로 형성되면 함몰홈(244)도 사각기둥형 구조로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돌출구(242)와 함몰홈(244) 사이에는 스페이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서로 이웃한 복수개의 몸체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는 그 일단이 돌출구(242)를 내삽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은 함몰홈(244)에 내삽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의 측면 일측에 구비된 1차 돌출구(250)로 구성되며, 상기 제2결합구는 몸체(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1차 돌출구(250)에 90°의 내각을 갖는 위치에 구비된 2차 돌출구(2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1차 돌출구(250)와 2차 돌출구(260)는 등기구 장치를 다양한 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몸체 둘레의 외부면을 따라 1쌍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1차 돌출구(250)는 T자형 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2차 돌출구(260)는 T자형 함몰부가 구비된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8과 같이 복수개의 등기구 장치에 결합된 조명기구(10)의 일단이 서로 이웃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각각의 조명기구(10)의 안정적이 설치를 위해 전등 어댑터(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등 어댑터(400)는 조명기구(10)의 일단이 내삽될 수 있도록 테두리를 따라 원기둥형 함몰부가 구비된 전등용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4개의 등기구 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4개의 전등용 돌기가 구비된 전등 어댑터(400)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지지수단은 임의의 제1 몸체에 결합된 체결구가 제1 몸체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도 제1 몸체는 이웃한 제2 몸체에 의해 천정에 고정되므로, 등기구 장치가 천정으로부터 분리되어 발생되는 등기구 장치의 파손과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체결구 200 : 몸체
210 : 체결홈 220 : 조명기구 삽입홀
230 : 전선 안착홈 231 : 제1 안착홈
232 : 제2 안착홈 233 : 제3 안착홈
242 : 돌출구 244 : 함몰홈
250 : 제1 결합구 260 : 제2 결합구
300 : 소켓 310 : 전선
320 : 가이드블록 322 : 위치조절홀
400 : 전등 어댑터

Claims (7)

  1. 천정에 설치되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에 의해 천정에 고정되고 조명기구와 결합되어 조명기구를 천정에 배치시키는 몸체, 및 상기 조명기구의 핀과 결합되는 소켓을 포함하는 등기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면에 체결구와 결합되는 체결홈이 구비되고, 측면에 상기 조명기구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조명기구 삽입홀이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소켓에 연결된 전선을 고정시키는 전선 안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 또는 측면 일측에 제1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하면 또는 측면 타측에 상기 제1결합구에 결합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결합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안착홈은 서로 다른 굵기와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안착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제어신호를 수신받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기구의 온/오프, 점멸, 디밍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연결되며, 전선에 연결된 소켓이 내장된 전등 어댑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등 어댑터는 유무선 네트워크로 제어신호를 수신받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또는 어댑터는
    상기 소켓 또는 어댑터 주위를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을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웹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장치.
KR1020140169763A 2014-12-01 2014-12-01 조명기구의 효율적 호환을 위한 등기구 장치 KR101678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63A KR101678974B1 (ko) 2014-12-01 2014-12-01 조명기구의 효율적 호환을 위한 등기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63A KR101678974B1 (ko) 2014-12-01 2014-12-01 조명기구의 효율적 호환을 위한 등기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85A KR20160065585A (ko) 2016-06-09
KR101678974B1 true KR101678974B1 (ko) 2016-11-24

Family

ID=5613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763A KR101678974B1 (ko) 2014-12-01 2014-12-01 조명기구의 효율적 호환을 위한 등기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564A (ko) 2018-07-30 2020-02-07 문복룡 무선전력 led 램프용 안정기 및 무선전력 led 조명부가 구비된 무선 led 등기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9947A (zh) * 2019-03-14 2019-08-23 厦门大学 一种旋转拔插组合式led照明装置
KR102122215B1 (ko) * 2019-07-11 2020-06-12 (주)디오전자 교통신호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98448Y (zh) * 2001-06-01 2002-07-03 天津天龙化学发光管有限公司 十字架形状的化学发光管
KR101046291B1 (ko) * 2009-06-16 2011-07-05 이연수 가구의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264B1 (ko) 2012-12-17 2013-12-24 주식회사 성안조명 컨버터 및 전원소켓이 내장된 사무용 엘이디 매입등기구
KR101252763B1 (ko) 2013-01-04 2013-04-11 주식회사 디에스이 엘이디 등기구 천정 고정구조
KR101337524B1 (ko) 2013-06-20 2013-12-16 주식회사 디에스이 복수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98448Y (zh) * 2001-06-01 2002-07-03 天津天龙化学发光管有限公司 十字架形状的化学发光管
KR101046291B1 (ko) * 2009-06-16 2011-07-05 이연수 가구의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564A (ko) 2018-07-30 2020-02-07 문복룡 무선전력 led 램프용 안정기 및 무선전력 led 조명부가 구비된 무선 led 등기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85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888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eiling mounted systems
US817243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eiling mounted systems
KR101448962B1 (ko) 마이크로웨이브센서가 구비된 디밍용 led 램프, led 램프 제어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설
US9976712B2 (en) Lamp for use in a lighting strip system and lighting strip system
KR101678974B1 (ko) 조명기구의 효율적 호환을 위한 등기구 장치
CA3101908C (en) Lighting system
US11268658B2 (en) High efficiency LED lamp
KR101225367B1 (ko) 바 타입의 엘이디조명등 각도조절용 소켓
KR101624663B1 (ko) Led 조명의 기본프레임 장치
KR101327170B1 (ko) 조명 장치
KR101141036B1 (ko) 광반도체 조명기구
KR101922220B1 (ko) 블록형 조명등
JP2010123490A (ja) 着脱式リモコン照明器具、および照明器具用制御ユニット
KR101604572B1 (ko) Led 전구 장착용 결합 장치
KR20100006969U (ko) 무선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형 led 조명등
KR20170001174U (ko) 확장형 엘이디 모듈 조명장치
JP2016024910A (ja) 単管パイプ照明ユニット、単管パイプ照明具、及びそれら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