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889B1 -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889B1
KR101678889B1 KR1020140193730A KR20140193730A KR101678889B1 KR 101678889 B1 KR101678889 B1 KR 101678889B1 KR 1020140193730 A KR1020140193730 A KR 1020140193730A KR 20140193730 A KR20140193730 A KR 20140193730A KR 101678889 B1 KR101678889 B1 KR 101678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water
pipe
dispose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747A (ko
Inventor
윤성구
Original Assignee
윤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구 filed Critical 윤성구
Priority to KR1020140193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8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or purifying combustion fumes; Treatment of fumes or ashes
    • F23J2900/11002Modelling systems adapted for designing arrangements for conducting or purifying combustion fumes, e.g. f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통과 외통 사이에 워터 챔버가 형성되어, 워터 챔버로 공급되는 저온수가 연소가스와 열교환함으로써, 연소가스의 폐열을 회수할 수 있는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는 외통(20)의 내부에 내통(10)이 배치되어, 외통(20)과 내통(10) 사이에 워터 챔버(30)가 형성되고, 연소가스 유입관(GP1)과 연소가스 배출관(GP2)이 외통(20)을 통해 내통에 각각 연결되고, 연소가스 배출관(GP2)이 연소가스 유입관(GP1)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외통(20)에 급수관(WP1) 및 배수관(WP2)이 각각 연결되고, 외통(20)의 하단부에 급수관(WP1)이 배치되고, 외통(20)의 상단부에 배수관(WP2)이 배치되며, 물이 워터 챔버(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내통(10)으로 공급된 연소가스와 열교환에 의해 연소가스의 열을 회수하게 되고, 내통(10)의 중앙에 여과망(40)이 세워지고, 여과망(40)의 하단까지 내통(10)에 세정수가 채워지며, 경사진 안내판(50)의 상단이 연소가스 유입관(GP1)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내통(10)에 용접되고, 안내판(50)의 하단이 세정수 상부에 배치되어, 연소가스 유입관(GP1)에서 내통(10)으로 공급되는 연소가스가 안내판(50)에 의해 세정수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DUST COLLECTING DEVICE FOR RECOVERING WASTE HEAT OF PELLET BOILER}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10-2013-007438호의 "펠렛 보일러용 집진장치"를 개선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통과 외통 사이에 워터 챔버가 형성되어, 워터 챔버로 공급되는 저온수가 연소가스와 열교환함으로써, 연소가스의 폐열을 회수할 수 있는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7438호(2013년 11월 6일, 출원)에 "펠렛 보일러용 집진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펠렛 보일러용 집진장치는 하우징에 유입관과 배출관이 각각 연결되고, 하우징의 중간을 수직방향으로 메쉬망이 가로질러 배치되어, 유입관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소가스가 메쉬망을 통해 배출관으로 배출되고, 배출관과 여과망 사이에 물분사 노즐장치가 배치되어, 물분사 노즐장치가 메쉬망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물분사 노즐장치에서 메쉬망으로 분사되는 물의 방향이 메쉬망을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흐름 방향에 대향되고, 하우징에 물이 메쉬망의 하단부보다 높게 채워지고, 유입관의 수면보다 높게 배치되며, 하우징에 안내판의 상단이 접합되고, 안내판이 수면 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유입관에서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는 연소가스가 안내판에 의해 수면으로 안내되고, 하우징의 상단 플랜지에 마감판이 볼트에 의해 결합되면, 하우징에 급수관이 연결되고, 하우징의 하단 센터에 슬러지 배출관이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펠렛 보일러요 집진장치는 대용량을 처리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연소가스의 열을 회수하는 기능이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통과 외통 사이에 워터 챔버가 형성되어, 워터 챔버로 공급되는 저온수가 연소가스와 열교환함으로써, 연소가스의 폐열을 회수할 수 있는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에 의해 내통과 외통을 상하로 분리할 수 있어, 대용량으로 크게 제작할 수 있고, 워터 챔버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물이 하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의 물구멍을 통과하여 배수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어, 열교환용 온수의 흐름이 하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뚜껑을 열어 여과망을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는 외통의 내부에 내통이 배치되어, 외통과 내통 사이에 워터 챔버가 형성되고, 연소가스 유입관과 연소가스 배출관이 외통을 통해 내통에 각각 연결되고, 연소가스 배출관이 연소가스 유입관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연소가스 유입관보다 높게 배치되며, 외통에 급수관 및 배수관이 각각 연결되고, 외통의 하단부에 급수관이 배치되고, 외통의 상단부에 배수관이 배치되며, 급수관에서 워터 챔버로 물이 공급되어, 워터 챔버의 수위가 높아지게 됨으로써,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물이 워터 챔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내통으로 공급된 연소가스와 열교환에 의해 연소가스의 열을 회수하게 되고, 내통의 중앙에 여과망이 세워지고, 여과망의 하단까지 내통에 세정수가 채워지며, 경사진 안내판의 상단이 연소가스 유입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내통에 용접되고, 안내판의 하단이 세정수 상부에 배치되어, 연소가스 유입관에서 내통으로 공급되는 연소가스가 안내판에 의해 세정수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하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통은 하부 케이싱과 상부 케이싱으로 구성되며, 하부 하우징의 하단에 슬러지 배출관이 연결되고, 슬러지 배출관의 둘레에 하부 케이싱의 하부 센터구멍 둘레가 수밀되게 용접되며, 하부 하우징의 상단과 하부 케이싱의 상단이 하부 플랜지에 접합되고, 상부 하우징의 하단과 상부 케이싱의 하단이 상부 플랜지에 접합되고, 하부 플랜지의 물구멍과 상부 플랜지의 물구멍이 일치된 상태에서, 하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가 결합되고, 상부 하우징의 맨홀부에 상부 케이싱의 상부구멍 둘레가 용접되고, 상부 하우징의 맨홀부 상단에 뚜껑이 장착되고, 뚜껑에 여과망의 상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은 하부 플랜지에 상단이 용접되는 상부 원통부와, 상부 원통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원추부로 구성되고, 하부 원추부의 중앙 하단에 슬러지 배출관이 연결되며, 상부 원통부에 연소가스 유입관과 연소가스 배출관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부 원통부의 하단에 세척수 공급관과 세척수 배출관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부 원통부의 내주면 하단에 요홈이 상부로 개방된 C 찬넬의 양단이 접합되고, 상부 원통부의 내주면에 안내판의 상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부 플랜지에 하단이 용접되는 하부 원통부와, 하부 원통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맨홀부로 구성되고, 맨홀부에 뚜껑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망은 경첩에 의해 상부 여과망과 하부 여과망이 연결되고, 상부 여과망의 상단이 뚜껑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하부 여과망의 하단이 C 찬넬의 요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는 챔버로 공급되는 저온수가 연소가스와 열교환함으로써, 연소가스의 폐열을 회수할 수 있고, 대용량으로 크게 제작할 수 있고, 열교환용 온수의 흐름이 하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뚜껑을 열어 여과망을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취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는 외통(20)의 내부에 내통(10)이 배치되어, 외통(20)과 내통(10) 사이에 워터 챔버(30)가 형성되고, 연소가스 유입관(GP1)과 연소가스 배출관(GP2)이 외통(20)을 통해 내통에 각각 연결되고, 연소가스 배출관(GP2)이 연소가스 유입관(GP1)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연소가스 유입관(GP1)보다 높게 배치되며, 외통(20)에 급수관(WP1) 및 배수관(WP2)이 각각 연결되고, 외통(20)의 하단부에 급수관(WP1)이 배치되고, 외통(20)의 상단부에 배수관(WP2)이 배치되며, 급수관(WP1)에서 워터 챔버(30)로 물이 공급되어, 워터 챔버(30)의 수위가 높아지게 됨으로써, 배수관(PW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물이 워터 챔버(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내통(10)으로 공급된 연소가스와 열교환에 의해 연소가스의 열을 회수하게 되고, 내통(10)의 중앙에 여과망(40)이 세워지고, 여과망(40)의 하단까지 내통(10)에 세정수가 채워지며, 경사진 안내판(50)의 상단이 연소가스 유입관(GP1)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내통(10)에 용접되고, 안내판(50)의 하단이 세정수 상부에 배치되어, 연소가스 유입관(GP1)에서 내통(10)으로 공급되는 연소가스가 안내판(50)에 의해 세정수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는 연소가스 유입관(GP1)에서 내통(10)으로 공급되는 연소가스가 안내판(50)에 의해 세정수로 안내됨으로써,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이 세정수(CW)에 흡착되어, 연소가스가 1차적으로 여과되고, 1차 여과된 연소가스가 여과망(4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2차적으로 연과됨으로써, 깨끗한 연소가스가 연소가스 배출관(GP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물에 포함된 분진은 내통(10)에 채워진 세정수에서 하부로 가라앉게 되어, 내통(10)의 하단에 슬러지 형태로 쌓이게 되며, 내통(10) 하단의 슬러지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급수관(WP1)에서 워터 챔버(30)로 물이 공급되고, 워터 챔버(30)에 물이 채워지게 되고, 결국 배수관(PW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물이 워터 챔버(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내통(10)으로 공급된 연소가스와 열교환에 의해 연소가스의 열을 회수하게 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통(10)은 하부 하우징(11)과 상부 하우징(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통(20)은 하부 케이싱(21)과 상부 케이싱(22)으로 구성되며, 하부 하우징(11)의 하단에 슬러지 배출관(SP)이 연결되고, 슬러지 배출관(SP)의 둘레에 하부 케이싱(21)의 하부 센터구멍 둘레가 수밀되게 용접되며, 하부 하우징(11)의 상단과 하부 케이싱(21)의 상단이 하부 플랜지(60)에 접합되고, 상부 하우징(12)의 하단과 상부 케이싱(22)의 하단이 상부 플랜지(65)에 접합되고, 하부 플랜지(60)의 물구멍(61)과 상부 플랜지(65)의 물구멍(66)이 일치된 상태에서, 하부 플랜지(60)와 상부 플랜지(65)가 결합되고, 상부 하우징(12)의 맨홀부(123)에 상부 케이싱(22)의 상부구멍 둘레가 용접되고, 상부 하우징(12)의 맨홀부(123) 상단에 뚜껑(70)이 장착되고, 뚜껑(70)에 여과망(40)의 상단이 부착된다.
이것에 의해, 하부 플랜지(60)와 상부 플랜지(65)에 의해 내통(10)과 외통(20)을 상하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대용량으로 크게 제작할 수 있고, 워터 챔버(3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물이 하부 플랜지(60)와 상부 플랜지(65)의 물구멍(61, 66)을 통과하여 배수관(WP2)을 통해 배출될 수 있어, 열교환용 온수의 흐름이 하부 플랜지(60)와 상부 플랜지(65)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뚜껑(70)을 열어 여과망(40)을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는 내통(10)에 전자식 수위감지장치(80)와 기구식 수위감지장치(85)가 장착되고, 내통(10)에 세척수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관(CP1)과 세척수 배출관(CP2)이 연결되고, 내통(10)의 상단에 제 1 및 제 2 세척수 분사장치(90, 95)가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세척수 분사장치(90, 95)가 여과망(40)의 앞면 및 뒷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게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전자식 수위감지장치(80)와 기구식 수위감지장치(85)가 내통(10)에 채워지는 세척수(CW)의 설정 수위를 계속해서 감지하게 되고, 수위가 변할 경우, 세척수 공급관(CP1)과 세척수 배출관(CP2)을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거나 배출됨으로써, 내통(10)에 채워지는 세척수(CW)의 설정 수위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제 1 및 제 2 세척수 분사장치(90, 95)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여과망(40)이 청소될 뿐만 아니라 여과망(40)을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분진이 더 잘 흡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하우징(11)은 하부 플랜지(60)에 상단이 용접되는 상부 원통부(111)와, 상부 원통부(11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원추부(112)로 구성되고, 하부 원추부(112)의 중앙 하단에 슬러지 배출관(SP)이 연결되며, 상부 원통부(111)에 연소가스 유입관(GP1)과 연소가스 배출관(GP2)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부 원통부(111)의 하단에 세척수 공급관(CP1)과 세척수 배출관(CP2)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부 원통부(111)의 내주면 하단에 요홈이 상부로 개방된 C 찬넬(45)의 양단이 접합되고, 상부 원통부(111)의 내주면에 안내판(50 ; 도 2에 설명의 편의상 안내판(50)을 도시하지 않음)의 상단이 부착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2)은 상부 플랜지(65)에 하단이 용접되는 하부 원통부(121)와, 하부 원통부(12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사부(122)와, 경사부(122)의 상단에 연결되는 맨홀부(123)로 구성되고, 맨홀부(123)에 뚜껑(70)이 볼트(73)와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하부 케이싱(21)은 하부 플랜지(60)에 상단이 용접되는 상부 원통부(211)와, 상부 원통부(21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원추부(212)로 구성되고, 하부 원추부(212)의 중앙 하단에 형성된 구멍의 둘레가 슬러지 배출관(SP)에 용접되고, 하부 원추부(212)에 급수관(WP1)이 연결된다.
상기 상부 케이싱(22)은 상부 플랜지(65)에 하단이 용접되는 하부 원통부(121)와, 하부 원통부(12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사부(222)로 구성되고, 경사부(222)의 상단이 상부 하우징(12)의 맨홀부(123)에 용접된다.
상기 여과망(40)은 경첩(43)에 의해 상부 여과망(41)과 하부 여과망(42)이 연결되고, 상부 여과망(41)의 상단이 뚜껑(70)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하부 여과망(42)의 하단이 C 찬넬(45)의 요홈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여과망(40)이 내통(10)의 내부에 고정되고, 뚜껑(70)을 열어 여과망(40)을 빼낼 때, 경첩(43)에 의해 상부 여과망(41)이 하부 여과망(42)에 대해 굴절되어, 여과망(40)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다.
10 : 내통 20 : 외통
30 : 워터 챔버 40 : 여과망
50 : 안내판

Claims (6)

  1. 외통(20)의 내부에 내통(10)이 배치되어, 외통(20)과 내통(10) 사이에 워터 챔버(30)가 형성되고, 연소가스 유입관(GP1)과 연소가스 배출관(GP2)이 외통(20)을 통해 내통에 각각 연결되고, 연소가스 배출관(GP2)이 연소가스 유입관(GP1)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연소가스 유입관(GP1)보다 높게 배치되며, 외통(20)에 급수관(WP1) 및 배수관(WP2)이 각각 연결되고, 외통(20)의 하단부에 급수관(WP1)이 배치되고, 외통(20)의 상단부에 배수관(WP2)이 배치되며, 내통(10)의 중앙에 여과망(40)이 세워지고, 여과망(40)의 하단까지 세정수가 채워지며, 안내판(50)의 하단이 세정수 상부에 배치되어, 연소가스 유입관(GP1)에서 내통(10)으로 공급되는 연소가스가 안내판(50)에 의해 세정수로 안내되며
    상기 내통(10)은 하부 하우징(11)과 상부 하우징(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통(20)은 하부 케이싱(21)과 상부 케이싱(22)으로 구성되며, 하부 하우징(11)의 하단에 슬러지 배출관(SP)이 연결되고, 슬러지 배출관(SP)의 둘레에 하부 케이싱(21)의 하부 센터구멍 둘레가 수밀되게 용접되며, 하부 하우징(11)의 상단과 하부 케이싱(21)의 상단이 하부 플랜지(60)에 접합되고, 상부 하우징(12)의 하단과 상부 케이싱(22)의 하단이 상부 플랜지(65)에 접합되고, 하부 플랜지(60)의 물구멍(61)과 상부 플랜지(65)의 물구멍(66)이 일치된 상태에서, 하부 플랜지(60)와 상부 플랜지(65)가 결합되고, 상부 하우징(12)의 맨홀부(123)에 상부 케이싱(22)의 상부구멍 둘레가 용접되고, 상부 하우징(12)의 맨홀부(123) 상단에 뚜껑(70)이 장착되고, 뚜껑(70)에 여과망(40)의 상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0)에 전자식 수위감지장치(80)와 기구식 수위감지장치(85)가 장착되고, 내통(10)에 세척수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관(CP1)과 세척수 배출관(CP2)이 연결되고, 내통(10)의 상단에 제 1 및 제 2 세척수 분사장치(90, 95)가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세척수 분사장치(90, 95)가 여과망(40)의 앞면 및 뒷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11)은 하부 플랜지(60)에 상단이 용접되는 상부 원통부(111)와, 상부 원통부(11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원추부(112)로 구성되고, 하부 원추부(112)의 중앙 하단에 슬러지 배출관(SP)이 연결되며, 상부 원통부(111)에 연소가스 유입관(GP1)과 연소가스 배출관(GP2)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부 원통부(111)의 하단에 세척수 공급관(CP1)과 세척수 배출관(CP2)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부 원통부(111)의 내주면 하단에 요홈이 상부로 개방된 C 찬넬(45)의 양단이 접합되고, 상부 원통부(111)의 내주면에 안내판(50)의 상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12)은 상부 플랜지(65)에 하단이 용접되는 하부 원통부(121)와, 하부 원통부(12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사부(122)와, 경사부(122)의 상단에 연결되는 맨홀부(123)로 구성되고, 맨홀부(123)에 뚜껑(70)이 볼트(73)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40)은 경첩(43)에 의해 상부 여과망(41)과 하부 여과망(42)이 연결되고, 상부 여과망(41)의 상단이 뚜껑(70)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하부 여과망(42)의 하단이 C 찬넬(45)의 요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
KR1020140193730A 2014-12-30 2014-12-30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 KR101678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730A KR101678889B1 (ko) 2014-12-30 2014-12-30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730A KR101678889B1 (ko) 2014-12-30 2014-12-30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747A KR20160080747A (ko) 2016-07-08
KR101678889B1 true KR101678889B1 (ko) 2016-11-23

Family

ID=5650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730A KR101678889B1 (ko) 2014-12-30 2014-12-30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696A (ko) * 2017-04-11 2018-10-19 윤성구 펠렛 보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401Y1 (ko) * 2017-08-24 2019-01-2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복수기 튜브 세척기 유실 방지기
WO2022225273A1 (ko) * 2021-04-23 2022-10-27 주식회사 청호그린테크 숯불 클리너 장치
KR102483447B1 (ko) * 2022-02-28 2023-01-02 주식회사 청호그린테크 숯불 클리너 장치
CN114199067B (zh) * 2021-12-17 2024-03-12 中国蓝星哈尔滨石化有限公司 一种化工生产用热量回收装置及回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875Y1 (ko) 2006-06-30 2006-09-20 김근무 보일러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0517A (ja) * 1995-06-30 1997-03-18 Nico Tec:Kk 高温焼却灰の集塵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875Y1 (ko) 2006-06-30 2006-09-20 김근무 보일러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696A (ko) * 2017-04-11 2018-10-19 윤성구 펠렛 보일러
KR102002074B1 (ko) 2017-04-11 2019-07-25 윤성구 펠렛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747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889B1 (ko) 펠렛 보일러용 폐열회수 집진장치
KR101188143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구조
CN202680252U (zh) 水污分离装置
JP6099068B2 (ja) 凝縮器におけるゴムボール洗浄の多点集中ボール放出システム
CN102640724B (zh) 水污分离装置
CN206428078U (zh) 一种水系统排气除污装置
CN103503819A (zh) 水污分离装置
CN103238555A (zh) 水污分离装置
CN209997395U (zh) 废气处理系统
CN204380389U (zh) 具有自清理功能的过滤器
KR20140091860A (ko) 이동식 필터 백 재생장치
CN207951718U (zh) 一种一体式磁性过滤耦合罐
CN208794430U (zh) 一种加热炉炉管清洗系统
CN203946966U (zh) 用于热水器的除氯装置和具有其的热水器
CN206686946U (zh) 水污分离装置和水污分离过滤装置
KR20160007268A (ko) 이동식 필터 백 재생장치
CN203694761U (zh) 用于水系统的卧式除污器
CN114029160A (zh) 一种用于氧化铁生产浆料的筛铁机构
CN208743171U (zh) 一种可循环利用的金属表面水洗装置
CN102407046A (zh) 大流量篮式过滤器
KR101509621B1 (ko) 펠렛 보일러용 집진장치
CN202410327U (zh) 大流量篮式过滤器
CN205518797U (zh) 超声波清洗设备
KR20160007263A (ko) 이동식 필터 백 재생장치
CN113083812B (zh) 一种用于废气管路的智能喷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