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647B1 - 리니어 압축기, 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리니어 압축기, 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647B1
KR101677647B1 KR1020140172321A KR20140172321A KR101677647B1 KR 101677647 B1 KR101677647 B1 KR 101677647B1 KR 1020140172321 A KR1020140172321 A KR 1020140172321A KR 20140172321 A KR20140172321 A KR 20140172321A KR 101677647 B1 KR101677647 B1 KR 101677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sumption
compressor
motor
linear compresso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911A (ko
Inventor
유재유
김규남
정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6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04B49/065Control using electricity and making use of compu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 전류 및 모터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터 전류 및 상기 모터 전압을 근거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근거로 리니어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부하에 따라 가변하는 최대 효율점의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 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 LINEAR COMPRESSO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 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부하 조건별로 최대 효율점 운전을 하기 위한 리니어 압축기, 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compressor)는 일반적으로 냉매 또는 그 이외의 다양한 작동가스를 압축시켜 압력을 높이는 기계 장치로서, 냉장고와 에어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는 피스톤(piston)과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 가스가 흡출 및 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고,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 편심 회전되는 롤러(roller)와 실린더 사이에 작동 가스가 흡출 및 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고, 롤러가 실린더 내벽을 따라 편심 회전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회전식 압축기(rotary compressor), 선회 스크롤(orbitting scroll)과 고정 스크롤(fixed scroll) 사이에 작동 가스가 흡출 및 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고, 선회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을 따라 회전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스크롤식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분류될 수 있다.
그 중 왕복동식 압축기는 피스톤을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레시프로(recipro) 방식과 리니어(linear)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시프로 방식은 회전모터에 크랭크 샤프트(crank shaft)를 결합하고 이 크랭크 샤프트에 피스톤을 결합하여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방식인데 반하여, 리니어 방식은 직선모터의 가동자에 피스톤을 직접 연결하여 모터의 직선운동으로 피스톤을 왕복운동시키는 방식이다.
리니어 방식의 왕복동식 압축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 샤프트가 없어 마찰 손실이 적으므로, 압축 효율면에서 레시프로 압축기보다 압축 효율이 높다.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가 냉장고나 에어컨에 사용될 경우에,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에 입력되는 전압(voltage)을 가변시켜,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의 압축 비(compression ratio)를 가변시키고, 이에 따라 냉력(freezing capacity)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왕복동식 압축기의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 제어 장치는,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3),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4),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모터 전압 및 모터 파라미터를 근거로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스트로크 추정기(5), 상기 스트로크 추정치와 스트로크 지령치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차이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1), 상기 차이 신호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스트로크를 제어하는 제어기(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 압축기 제어 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압 검출부(3)와 전류 검출부(4)는 각각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한다.
이때, 스트로크 추정기(5)는, 모터 전류, 모터 전압 및 모터 파라미터를 하기의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스트로크 추정치를 연산하고, 연산한 스트로크 추정치를 비교기(1)에 인가한다.
Figure 112014117794334-pat00001
여기서, R은 레지스턴스(resistance), L은 인덕턴스(inductance), α는 모터 상수 또는 역기전력 상수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비교기(1)는 상기 스토로크 추정치와 스트로크 지령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그 차이를 제어기(2)에 인가한다.
이에 의해, 제어기(2)는 상기 차이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스트로크를 제어한다. 즉, 제어기(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 추정치가 스트로크 지령치보다 크면 모터 인가 전압을 감소(S4)시키고, 스트로크 추정치가 스트로크 지령치보다 작으면 모터 인가 전압을 증가(S3)시킬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술한 왕복동식 압축기가 적용된 냉장고는 24시간 운전하는 가전기기로서, 냉장고의 소비전력은 냉장고 기술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요소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압축기의 효율이 미치는 영향은 가장 클 수 있고, 따라서, 냉장고의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압축기의 효율을 높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압축기는, 냉장고의 메인 제어기 또는 마이콤으로부터 수신한 냉력 지령치에 따라 혹은 압축기의 부하에 따라 모터 인가 전압을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피스톤 스트로크를 상하로 가변하여 출력 냉력을 가변하였다.
이때,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는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압축기 부하에 따라 또는 압축기에 인가된 냉력 지령치에 따라 최대 효율점 운전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요 기술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축기 부하에 따라 또는 압축기에 인가된 냉력 지령치에 따라 최대 효율점 운전이 가능한 리니어 압축기, 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 전류 및 모터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터 전류 및 상기 모터 전압을 근거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근거로 리니어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부하에 따라 가변하는 최대 효율점의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어부는,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및 상기 검출된 모터 전압을 근거로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목표 주파수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이 최소인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또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을 근거로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의 운전 손실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 손실 및 대기 전력을 합하여,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목표 주파수는, 상기 모터 및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이 최소인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전 손실을 산출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또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에 따른 상기 운전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산출되는 상기 소비 전력의 변화 추세를 근거로, 상기 소비 전력이 최소점에 수렴하도록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 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 결과 산출한 상기 소비 전력이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면, 상기 운전 주파수를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 신호를 근거로 리니어 압축기를 구동하는 구동부,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및 상기 모터 전류 및 상기 모터 전압을 근거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부하에 따라 가변하는 최대 효율점의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표 주파수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이 최소인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표 주파수는, 상기 모터 및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이 최소인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은, 대기 전력 및 운전 손실을 포함하되, 상기 운전 손실은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또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을 근거로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전 손실은, 기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 의해,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또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에 따른 상기 운전 손실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및 상기 검출된 모터 전압을 근거로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산출되는 상기 소비 전력의 변화 추세를 근거로, 상기 소비 전력이 최소점에 수렴하도록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 결과 산출한 상기 소비 전력이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면, 상기 운전 주파수를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압축공간을 포함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압축공간으로 흡입된 냉매를 압축시키는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가동부재의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 상기 가동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축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압축기 부하에 따라 또는 압축기에 인가된 냉력 지령치에 따라 최대 효율점 운전을 수행함으로써, 모든 부하 조건에서 최대 효율이 되도록 압축기 운전을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왕복동식 압축기의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왕복동식 압축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소비 전력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부하 조건별로 운전 주파수에 따른 압축기 효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부하 조건별로 운전 주파수에 따른 압축기 소비 전력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한 R1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한 R2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제어 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 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 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가 적용된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리니어 압축기 모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고 또는 공기 조화기 등에 적용되는 압축기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압축기의 제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 장치는 리니어 압축기(200)의 모터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40), 리니어 압축기(200)의 모터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130), 상기 모터 전류 및 상기 모터 전압을 근거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리니어 압축기(200)는 상기 제어 신호를 근거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리니어 압축기(200)의 효율을 근거로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결정하되, 리니어 압축기(200)의 부하에 따라 가변하는 최대 효율점의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축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및 모터 전압을 근거로 스트로크를 추정하는 스트로크 추정부(150) 및 상기 스트로크 추정치(x)와 스트로크 지령치(xref)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그 차이를 출력하는 비교기(1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스트로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제어 장치의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압축기 제어 장치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 장치는 왕복동식 압축기에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리니어 압축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전압 검출부(130)는 압축기 모터 양단에 인가되는 모터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전압은 전압 센서(일 예로, 전압 차동 증폭기 등일 수 있다) 등을 포함하는 전압 검출부(13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전류 검출부(140)는 압축기의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전류는 압축기 모터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일 수 있고, 상기 모터 전류는 전류 센서 등을 포함하는 전류 검출부(14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스트로크 추정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와 모터 전압을 근거로 스트로크 추정치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 전류, 모터 전압 및 모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수식을 통해, 스트로크 추정치를 연산할 수 있고, 연산된 스트로크 추정치를 비교기(110)에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기(110)는 상기 스토로크 추정치와 상기 스트로크 지령치를 비교하고, 그에 따른 차이 신호를 제어부(120)에 인가하고, 제어부(120)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스트로크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스트로크 추정치가 스트로크 지령치보다 크면 모터 인가전압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스트로크 추정치가 스트로크 지령치보다 작으면 모터 인가전압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종래와 달리, 운전 주파수를 소정의 값으로 고정하지 않고, 리니어 압축기(200)의 운전 주파수를 압축기의 부하 또는 냉장고의 메인 제어기 또는 마이콤(micom)으로부터 수신한 냉력 지령치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200)의 부하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가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류와 스트로크의 위상차에 대한 절대치, 압축기(200)의 외기 온도, 압축기(200)를 이용하여 냉력을 제공하는 공간의 온도(일 예로, 실내 온도), 냉동 사이클 내의 응축기 및 증발기의 온도, 압축기의 토출 압력(Pd)과 흡입 압력(Ps)의 차이(일 예로, 피스톤 단면적 A ×(Pd - Ps)) 중 어느 하나를 근거로 검출할 수 있다.
압축기의 부하에 따라 압축기의 최대 효율점을 가진 운전 주파수는 상이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리니어 압축기(200)의 운전 주파수를 압축기의 부하 또는 냉장고의 메인 제어기 또는 마이콤(micom)으로부터 수신한 냉력 지령치에 따라 가변함으로써, 다양한 부하 조건에서 최대 효율이 되도록 압축기를 운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압축기(200)가 고정된 운전 주파수로 운전을 하는 경우, 부하에 따라 압축기의 효율이 다르다.
도 5는 부하 조건별로 운전 주파수에 따른 압축기 효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하 조건에서 압축기 운전 주파수에 따른 압축기 효율 중 최대 효율(Emax,a)을 가지는 운전 주파수는 f1이고, 제2 부하 조건에서 압축기 운전 주파수에 따른 압축기 효율 중 최대 효율(Emax,b)을 가지는 운전 주파수는 f2이며, 제3 부하 조건에서 압축기 운전 주파수에 따른 압축기 효율 중 최대 효율(Emax,c)을 가지는 운전 주파수는 f3임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부하 변화에 따라 또는 냉장고의 메인 제어기 또는 마이콤으로부터 수신한 냉력 지령치에 따라 운전 주파수를 가변함으로써, 모든 부하 조건에서 최대 효율이 되도록 압축기를 운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부하 조건별 또는 냉력 지령치별로 최대 효율점의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의 소비 전력 측면에서 부하 조건별로 운전 주파수에 따른 압축기 소비 전력을 나타내면 도 6과 같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와 동일하게 제1 부하 조건에서 압축기 운전주파수에 따른 압축기 소비 전력 중 최소 소비 전력(Pmin,a)을 가지는 운전 주파수는 f1이고, 제2 부하 조건에서 압축기 운전주파수에 따른 압축기 소비 전력 중 최소 소비 전력(Pmin,b)을 가지는 운전 주파수는 f2이며, 제3 부하 조건에서 압축기 운전주파수에 따른 압축기 소비 전력 중 최소 소비 전력(Pmin,c)을 가지는 운전 주파수는 f3임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부하 조건별 또는 냉력 지령치별로 압축기 소비 전력이 최소인 최소 전력점의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표 주파수는, 상기 압축기 소비 전력의 최소 전력점에 대응하는 운전 주파수일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압축기 소비 전력은 모터의 소비 전력 및 압축기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일 수 있다.
연산부(160)는 압축기의 소비 전력을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연산부(160)에 의해 산출된 소비 전력을 근거로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어부(120)와 연산부(160)는 서로의 기능을 구별하기 위해 서로 다른 구성요소로 설명하였으나,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에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연산부(16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 검출부(130) 및 전류 검출부(140) 각각에 의해 산출된 모터 전압 값과 모터 전류 값을 근거로, 모터(210) 및 상기 모터(210)에 의해 구동되는 기구(22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P2)(이하, "P2 소비 전력"이라 약칭한다)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연산부(160)는 상기 모터 전압 값과 상기 모터 전류 값을 곱하고 이를 한 주기 동안 적분한 후, 한 주기의 시간으로 나눈 값을 산출하여, 산출한 값을 압축기의 소비 전력으로 할 수 있다. 소비 전력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유효 전력이나 평균 전력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산부(16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10)의 소비 전력(또는 기구(220)의 소비 전력 포함)(P2) 이외에 압축기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P1)(이하, "P1 소비 전력"이라 약칭한다)을 산출하고,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과 상기 압축기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의 합(P1 + P2)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과 상기 압축기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을 합한 값을 압축기 소비 전력으로 하고, 이를 근거로 목표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P1 소비 전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 제어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 대한 소비 전력일 수 있고, 특히, 모터(210)를 구동하는 구동부(일 예로, 인버터(inverter))의 소비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160)가 상기 P1 소비 전력을 산출하기 위해, 압축기 제어 장치(100)의 대기 전력 및 운전 손실을 근거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연산부(160)는 일정 값을 상기 대기 전력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전류 검출부(140)에 의해 검출된 모터 전류 또는 상기 P2 소비 전력을 근거로 상기 운전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는 상기 P1 소비 전력의 운전 손실과 서로 비례하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일 실시예에 따라, 연산부(160)는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P1 소비 전력의 운전 손실이 증가하는 비례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를 근거로 상기 P1 소비 전력의 운전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연산부(160)는,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또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과 이에 대응하는 P1 소비 전력의 운전 손실을 저장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연산부(160)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또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에 대응하는 P1 소비 전력의 운전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산부(160)는 P1 소비 전력 및 P2 소비 전력 각각을 산출하고, 상기 P1 소비 전력과 상기 P2 소비 전력의 합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산부(160)는 전원(S)과 압축기 제어 장치(100) 사이에서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P1 및 P2 소비 전력의 합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연산부(160)는 각종 전압 측정 수단 및 전류 측정 수단에 의해 전원(S)과 압축기 제어 장치(100) 사이에서 측정된 전류 및 전압 값 즉, 전원(S)으로부터 제어 장치(100) 및 이의 후단에 연결된 모터(200)(기구(220) 포함)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 값을 근거로 P1 및 P2 소비 전력의 합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산출 방법은 별도의 전압 측정 수단 및 전류 측정 수단을 요구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P2 소비 전력을 먼저 산출하고, 산출한 P2 소비 전력 또는 모터 전류를 근거로 P1 소비 전력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상기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되, 실시간으로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상기 부하 또는 냉력 치령치에 변화가 있을 때마다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간격을 주기로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상기 부하 또는 냉력 지령치에 따른 상기 목표 주파수를 기 저장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검출한 부하 또는 냉력 지령치에 대응하는 목표 주파수로 압축기를 운전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상기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운전 주파수를 증감 변경하고, 그에 따라 산출되는 압축기 소비 전력의 변화를 판단하여, 이에 따라 운전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운전 주파수로 압축기를 운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목표 주파수(fT)에 따라 압축기가 운전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리니어 압축기(200)의 운전 주파수가 fa인 경우, 제어부(120)는 소비 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켜 fT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주파수가 fb인 경우, 제어부(120)는 소비 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운전 주파수를 감소시켜 fT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가 운전 주파수를 증감하기 위해, 먼저 운전 주파수를 변화시키고, 운전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산출되는 소비 전력이 최소점에 수렴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운전 주파수를 증가(또는 감소)시킨 결과 산출한 P1 및/또는 P2 소비 전력이 증가(또는 감소)하였다면, 운전 주파수를 감소(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B 및 7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B 및 7C는 각각 도 7A에 도시한 R1 및 R2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즉, 도 7B는 도 7A에서 운전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P1 및/또는 P2 소비 전력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 영역(R1) 내에 현재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가 있는 경우이고, 도 7C는 도 7A에서 운전 주파수가 감소할수록 P1 및/또는 P2 소비 전력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 영역(R2) 내에 현재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가 있는 경우이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가 fa라고 가정하면, 일 예로, 제어부(120)는 먼저 운전 주파수 fa에 소정 크기의 주파수 변화량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후, 연산부(160)는 증가된 운전 주파수(fd)에 따른 P1 및/또는 P2 소비 전력(Pd)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비 전력(Pd)을 그 이전 산출된 소비 전력(Pa)과 비교하여, 소비 전력이 감소한 경우, 운전 주파수를 fa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운전 주파수의 증가량은 기 설정된 단위 증가량일 수 있고, 증가된 운전 주파수는 fa보다 크되, fd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먼저 운전 주파수 fa에 소정 크기의 주파수 변화량만큼 감소시킬 수 있고, 연산부(160)는 감소된 운전 주파수(fd′)에 따른 P1 및/또는 P2 소비 전력(Pd′)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비 전력(Pd′)을 그 이전 산출된 소비 전력(Pa)과 비교하여, 소비 전력이 증가한 경우, 운전 주파수를 fa보다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운전 주파수의 증가량은 기 설정된 단위 증가량일 수 있고, 증가된 운전 주파수는 fa이거나 fa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가 fb라고 가정하면, 일 예로, 제어부(120)는 먼저 운전 주파수 fb에 소정 크기의 주파수 변화량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후, 연산부(160)는 증가된 운전 주파수(fc)에 따른 P1 및/또는 P2 소비 전력(Pc)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비 전력(Pc)을 그 이전 산출된 소비 전력(Pa)과 비교하여, 소비 전력이 증가한 경우, 운전 주파수를 fb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운전 주파수의 감소량은 기 설정된 단위 감소량일 수 있고, 감소된 운전 주파수는 fb이거나 fb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먼저 운전 주파수 fb에 소정 크기의 주파수 변화량만큼 감소시킬 수 있고, 연산부(160)는 감소된 운전 주파수(fc′)에 따른 P1 및/또는 P2 소비 전력(Pc′)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비 전력(Pc′)을 그 이전 산출된 소비 전력(Pa)과 비교하여, 소비 전력이 감소한 경우, 운전 주파수를 fb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운전 주파수의 감소량은 기 설정된 단위 감소량일 수 있고, 감소된 운전 주파수는 fb보다 작되, 운전 주파수 fc′보다 작을 수 있다.
제어부(120) 또는 연산부(160)는 상기와 같은 운전 주파수 증감에 따른 소비 전력의 변화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최소점에 수렴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 또는 연산부(160)가 운전 주파수를 증감하였으나, 그에 따라 산출한 소비 전력이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현재 또는 증감된 운전 주파수 부근의 소정 주파수에 수렴된 것으로 가정하여, 수렴된 주파수를 운전 주파수로 하여, 압축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 또는 연산부(160)가 운전 주파수를 증가하였으나 그에 따라 산출한 소비 전력이 증가하여, 운전 주파수를 감소하였고, 동일 부하 조건에서 직후 운전 주파수를 감소하였으나 그에 따라 산출한 소비 전력이 증가한 경우에는, 두 주파수 사이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에 수렴된 것으로 가정하여, 수렴된 주파수를 운전 주파수로 하여, 압축기를 제어할 수 있다.
리니어 압축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장치가 적용된 리니어 압축기는, 내부에 압축공간을 포함하는 고정부재, 고정부재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하면서 압축공간으로 흡입된 냉매를 압축시키는 가동부재, 가동부재를 가동부재의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 가동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가동부재를 축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시키는 모터 및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리니어 압축기 제어 장치가 적용 또는 압축기 제어 장치가 적용 가능한 리니어 압축기이면 족하되, 리니어 압축기의 종류 또는 형태를 불문한다.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압축기에 적용되는 모터는 고정자에 권선코일이, 가동자에 마그네트가 설치되어 권선코일과 마그네트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동자가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권선코일은 모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모터의 경우에는 고정자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슬롯에 집중권 또는 분포권으로 권선되어 있고, 왕복동 모터의 경우에는 코일이 환형으로 감아 권선코일을 형성한 후 그 권선코일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장의 코어 시트(core sheet)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있다.
특히, 왕복동 모터의 경우에는 코일을 환형으로 감아 권선코일을 형성하기 때문에 통상은 플라스틱 재질로 된 환형 보빈에 코일을 감아 권선코일을 형성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왕복동식 압축기는, 밀폐된 쉘(110)의 내부공간에 프레임(120)이 복수 개의 지지스프링(161)(162)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있다. 쉘(110)의 내부공간에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미도시)와 연결되는 흡입관(111)이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흡입관(111)의 일측에는 냉동사이클 장치의 응축기(미도시)와 연결되는 토출관(112)이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120)에는 전동부(M)를 이루는 왕복동 모터(130)의 외측고정자(131)와 내측고정자(132)가 고정 설치되고, 외측고정자(131)와 내측고정자(132) 사이에는 왕복운동을 하는 가동자(mover)(133)가 설치되어 있다. 왕복동 모터(130)의 가동자(mover)(133)에는 후술할 실린더(141)와 함께 압축부(Cp)를 이루는 피스톤(142)이 왕복운동을 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실린더(141)는 왕복동 모터(130)의 고정자(131)(132)와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141)에는 압축공간(CS1)이 형성되고, 피스톤(142)에는 냉매를 압축공간(CS1)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F)가 형성되며, 흡입유로(F)의 끝단에는 그 흡입유로(F)를 개폐하는 흡입밸브(143)가 설치되고, 실린더(141)의 선단면에는 그 실린더(141)의 압축공간(CS1)을 개폐하는 토출밸브(14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142)의 운동방향 양측에는 그 피스톤(142)의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복수 개씩의 공진스프링(151)(15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135는 권선코일, 136은 마그네트, 137은 보빈몸체, 137a는 코일안착부, 138은 보빈덮개, 139는 코일, 145는 밸브스프링, 146은 토출커버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왕복동식 압축기는, 왕복동 모터(130)의 코일(135)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 왕복동 모터(130)의 가동자(133)가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가동자(133)에 결합된 피스톤(142)이 실린더(141)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왕복 운동을 하면서 흡입관(111)을 통해 냉매를 쉘(110)의 내부공간로 흡입하게 된다. 그러면 쉘(110) 내부공간의 냉매는 피스톤(142)의 흡입유로(F)를 통해 실린더(141)의 압축공간(CS1)으로 흡입되고, 피스톤(142)의 전진운동시 압축공간(CS1)에서 토출되어 토출관(112)을 통해 냉동사이클의 응축기로 이동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외측고정자(131)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 장의 얇은 하프 스테이터 코어(half stator core)를 권선코일(135)의 좌우 양측에서 방사상으로 적층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외측고정자(131)는 이웃하는 코어 시트(미도시)들끼리 내주면 양측은 서로 접촉하는 반면 외주면 양측은 일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가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우선, 제어부(120) 또는 연산부(160)가 P1 및/또는 P2 소비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S10), 제어부(120) 또는 연산부(160)가 이전 주기의 운전 주파수와 비교하여, 제어부(120) 또는 연산부(160)가 운전 주파수가 증가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20), 제어부(120) 또는 연산부(160)가 운전 주파수 증감에 따라 소비전력이 증감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31 내지 S32), 및 제어부(120) 또는 연산부(160)가 상기 소비전력의 증감에 따라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S41 내지 S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 또는 연산부(160)는 상기 S10, S20, S31 내지 S32, 및 S41 내지 S44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최소점에 수렴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각 단계별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에 갈음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제어 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 방법은,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 전류 및 모터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S110), 상기 모터 전류 및 상기 모터 전압을 근거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0)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근거로 리니어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0)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부하에 따라 가변하는 최대 효율점의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S1201) 및 상기 변경된 운전 주파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되, 앞선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에 갈음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 전류 및 모터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S110)는, 전압 검출부(130) 및 전류 검출부(140)가 압축기 모터 양단에 인가되는 모터 전압 및 압축기의 모터에 인가되는 모터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모터 전류 및 상기 모터 전압을 근거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0)는, 스트로크 추정부(150)가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모터 전압 및 모터 파라미터를 근거로 스트로크 추정치를 연산할 수 있고, 비교기(110)가 상기 스토로크 추정치와 스트로크 지령치를 비교하고, 그에 따른 차이 신호를 제어부(120)에 인가하여, 제어부(120)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함으로써, 피스톤 스트로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를 근거로 리니어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S130)는, 모터(210)를 구동하는 구동부(일 예로, 인버터(inverter))가 상기 제어 신호를 근거로 리니어 압축기(20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0)는 운전 주파수를 소정의 값으로 고정하지 않고, 리니어 압축기(200)의 운전 주파수를 압축기의 부하 또는 냉장고의 메인 제어기 또는 마이콤(micom)으로부터 수신한 냉력 지령치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0)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부하에 따라 가변하는 최대 효율점의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S1201) 및 상기 변경된 운전 주파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0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의 부하에 따라 압축기의 최대 효율점을 가진 운전 주파수는 상이하기 때문에, 제어부(120)는 리니어 압축기(200)의 운전 주파수를 압축기의 부하 또는 냉장고의 메인 제어기 또는 마이콤(micom)으로부터 수신한 냉력 지령치에 따라 가변함으로써, 다양한 부하 조건에서 최대 효율이 되도록 압축기를 운전할 수 있다(도 5 참조).
다시 말해, 압축기의 소비 전력 측면에서 부하 조건별로 운전 주파수에 따른 압축기 소비 전력을 나타내면 도 6과 같으며, 제어부(120)는 부하 조건별 또는 냉력 지령치별로 압축기 소비 전력이 최소인 최소 전력점의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표 주파수는, 상기 압축기 소비 전력의 최소 전력점에 대응하는 운전 주파수일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압축기 소비 전력은 모터의 소비 전력 및 압축기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일 수 있다.
도 9B 및 9C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 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및 상기 검출된 모터 전압을 근거로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S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산부(160)는, 전압 검출부(130) 및 전류 검출부(140) 각각에 의해 산출된 모터 전압 값과 모터 전류 값을 근거로, 모터 소비 전력(또는 기가 소비 전력 포함)을 가리키는 P2 소비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0)는, 부하에 따라 모터 소비 전력이 최소인 운전 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S122) 및 상기 산출된 운전 주파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하에 따라 모터 소비 전력이 최소인 운전 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S122) 및 상기 산출된 운전 주파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3)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S128 및 S129 단계 각각에 대한 설명과 대응되므로, 그에 갈음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S122 단계는 모터 소비 전력이 최소인 운전 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이나, S128 단계는 압축기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의 일 예로서, 모터 소비 전력 및 압축기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의 합이 최소인 운전 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한편,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0)는,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또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을 근거로 압축기 제어 장치의 운전 손실을 산출하는 단계(S126) 및 상기 운전 손실 및 대기 전력을 합하여,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S1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제어 장치의 운전 손실을 산출하는 단계(S126)는, 전류 검출부(140)에 의해 검출된 모터 전류 또는 상기 P2 소비 전력을 근거로 압축기 제어 장치의 운전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는 상기 P1 소비 전력의 운전 손실과 서로 비례하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일 실시예에 따라, 연산부(160)는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P1 소비 전력의 운전 손실이 증가하는 비례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를 근거로 상기 P1 소비 전력의 운전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연산부(160)는,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또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과 이에 대응하는 P1 소비 전력의 운전 손실을 저장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연산부(160)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또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에 대응하는 P1 소비 전력의 운전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운전 손실 및 대기 전력을 합하여,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S127)는, 연산부(160)는 일정 값을 상기 대기 전력으로 할 수 있고, 상기 대기 전력과 상기 S126 단계에서 산출한 운전 손실을 합하여, P1 소비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0)는, 부하에 따라 압축기의 소비 전력이 최소인 운전 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S128) 및 상기 산출된 운전 주파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의 소비 전력이 최소인 운전 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S128)는, 우선, 연산부(160)가 P1 소비 전력 이외에 P2 소비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과 상기 압축기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의 합(P1 + P2)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산부(160)는 전원(S)과 압축기 제어 장치(100) 사이에서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P1 및 P2 소비 전력의 합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연산부(160)는 각종 전압 측정 수단 및 전류 측정 수단에 의해 전원(S)과 압축기 제어 장치(100) 사이에서 측정된 전류 및 전압 값 즉, 전원(S)으로부터 제어 장치(100) 및 이의 후단에 연결된 모터(200)(기구(220) 포함)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 값을 근거로 P1 및 P2 소비 전력의 합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과 상기 압축기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을 합한 값을 압축기 소비 전력으로 하고, 이를 근거로 목표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부하에 따라 압축기의 소비 전력이 최소인 운전 주파수를 산출하는 단계(S128)는, 제어부(120)가 상기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되, 실시간으로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상기 부하 또는 냉력 치령치에 변화가 있을 때마다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간격을 주기로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상기 부하 또는 냉력 지령치에 따른 상기 목표 주파수를 기 저장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검출한 부하 또는 냉력 지령치에 대응하는 목표 주파수로 운전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상기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운전 주파수를 증감 변경하고, 그에 따라 산출되는 압축기 소비 전력의 변화를 판단하여, 이에 따라 운전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가 운전 주파수를 증감하기 위해, 먼저 운전 주파수를 변화시키고, 운전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산출되는 소비 전력이 최소점에 수렴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운전 주파수를 증가(또는 감소)시킨 결과 산출한 P1 및/또는 P2 소비 전력이 증가(또는 감소)하였다면, 운전 주파수를 감소(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과정을 단계별 흐름도로 나타내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에 갈음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제어부(120) 또는 연산부(160)는 도 8에 도시한 S10, S20, S31 내지 S32, 및 S41 내지 S44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최소점에 수렴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제어부(120) 또는 연산부(160)가 운전 주파수를 증감하였으나, 그에 따라 산출한 소비 전력이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현재 또는 증감된 운전 주파수 부근의 소정 주파수에 수렴된 것으로 가정하고, 수렴된 주파수를 운전 주파수로 하여, 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29).
또한, 제어부(120) 또는 연산부(160)가 운전 주파수를 증가하였으나 그에 따라 산출한 소비 전력이 증가하여, 운전 주파수를 감소하였고, 동일 부하 조건에서 직후 운전 주파수를 감소하였으나 그에 따라 산출한 소비 전력이 증가한 경우에는, 두 주파수 사이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에 수렴된 것으로 가정하여, 수렴된 주파수를 운전 주파수로 하여, 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29).
이후, 구동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리니어 압축기를 구동할 수 있고(S130), 그에 따라, 모든 부하 조건에서 최대 효율이 되도록 압축기 운전을 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 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리니어 압축기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압축기 제어 장치가 적용된 리니어 압축기는, 내부에 압축공간을 포함하는 고정부재, 고정부재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하면서 압축공간으로 흡입된 냉매를 압축시키는 가동부재, 가동부재를 가동부재의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 가동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가동부재를 축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시키는 모터 및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는,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인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의 일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며, 다른 종류의 리니어 압축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에 적용되는 모터는 고정자에 권선코일이, 가동자에 마그네트가 설치되어 권선코일과 마그네트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동자가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권선코일은 모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모터의 경우에는 고정자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슬롯에 집중권 또는 분포권으로 권선되어 있고, 왕복동 모터의 경우에는 코일이 환형으로 감아 권선코일을 형성한 후 그 권선코일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장의 코어 시트(core sheet)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있다.
특히, 왕복동 모터의 경우에는 코일을 환형으로 감아 권선코일을 형성하기 때문에 통상은 플라스틱 재질로 된 환형 보빈에 코일을 감아 권선코일을 형성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왕복동식 압축기는, 밀폐된 쉘(210)의 내부공간에 프레임(220)이 복수 개의 지지스프링(261)(262)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있다. 쉘(210)의 내부공간에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미도시)와 연결되는 흡입관(211)이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흡입관(211)의 일측에는 냉동사이클 장치의 응축기(미도시)와 연결되는 토출관(212)이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220)에는 전동부(M)를 이루는 왕복동 모터(230)의 외측고정자(231)와 내측고정자(232)가 고정 설치되고, 외측고정자(231)와 내측고정자(232) 사이에는 왕복운동을 하는 가동자(mover)(233)가 설치되어 있다. 왕복동 모터(230)의 가동자(mover)(233)에는 후술할 실린더(241)와 함께 압축부(C)를 이루는 피스톤(242)이 왕복운동을 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실린더(241)는 왕복동 모터(230)의 고정자(231)(232)와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241)에는 압축공간(S1)이 형성되고, 피스톤(242)에는 냉매를 압축공간(S1)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F)가 형성되며, 흡입유로(F)의 끝단에는 그 흡입유로(F)를 개폐하는 흡입밸브(243)가 설치되고, 실린더(241)의 선단면에는 그 실린더(241)의 압축공간(S1)을 개폐하는 토출밸브(24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242)의 운동방향 양측에는 그 피스톤(242)의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복수 개씩의 공진스프링(251)(25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35는 권선코일, 236은 마그네트, 237은 보빈몸체, 237a는 코일안착부, 238은 보빈덮개, 239는 코일, 245는 밸브스프링, 246은 토출커버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왕복동식 압축기는, 왕복동 모터(230)의 코일(235)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 왕복동 모터(230)의 가동자(233)가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가동자(233)에 결합된 피스톤(242)이 실린더(241)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왕복 운동을 하면서 흡입관(211)을 통해 냉매를 쉘(210)의 내부공간로 흡입하게 된다. 그러면 쉘(210) 내부공간의 냉매는 피스톤(242)의 흡입유로(F)를 통해 실린더(241)의 압축공간(S1)으로 흡입되고, 피스톤(242)의 전진운동시 압축공간(S1)에서 토출되어 토출관(212)을 통해 냉동사이클의 응축기로 이동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외측고정자(231)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 장의 얇은 하프 스테이터 코어(half stator core)를 권선코일(235)의 좌우 양측에서 방사상으로 적층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외측고정자(231)는 도 8에서와 같이 이웃하는 코어 시트(231a)들끼리 내주면 양측은 서로 접촉하는 반면 외주면 양측은 일정 간격(t)만큼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고 있다.
냉장고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 방법에 따라 제어되는 리니어 압축기가 적용된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리니어 압축기 및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는,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인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가 적용되거나 사용될 수 있는 냉장고의 일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며, 다른 종류의 리니어 압축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가 적용된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300)는 그 내부에 냉장고의 운전 전반을 제어하는 메인기판(310)에 구비되고, 왕복동식 압축기(200)가 연결된다. 상기 압축기 제어 장치 및 3상 모터의 구동 장치는 메인기판(310)에 구비될 수 있다. 냉장고(300)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동작한다. 냉장고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고,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다. 공급된 냉매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의 냉각실 내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비교기 2: 제어기
3: 전압 검출부 4: 전류 검출부
100: 압축기 제어 장치 110: 비교기
120: 제어부 130: 전압 검출부
140: 전류 검출부 150: 스트로크 추정부
160: 연산부 200: 리니어 압축기
210: 모터 220: 기구

Claims (8)

  1.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 전류 및 모터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터 전류 및 상기 모터 전압을 근거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근거로 리니어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 전류 및 상기 모터 전압을 근거로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의 소비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부하에 따라 가변하는 최대 효율점의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주파수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이 최소인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제어부는,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목표 주파수를 추종하도록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또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을 근거로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의 운전 손실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 손실 및 대기 전력을 합하여,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목표 주파수는,
    상기 모터 및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이 최소인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손실을 산출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모터 전류 또는 상기 모터의 소비 전력에 따른 상기 운전 손실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산출되는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소비 전력의 변화 추세를 근거로, 상기 소비 전력이 최소점에 수렴하도록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되,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소비 전력은,
    상기 모터 및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의 소비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킨 결과, 산출한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소비 전력이 증가한 경우, 상기 운전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 주파수를 감소시킨 결과, 산출한 상기 리니어 압축기의 소비 전력이 감소한 경우, 상기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KR1020140172321A 2014-12-03 2014-12-03 리니어 압축기, 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677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321A KR101677647B1 (ko) 2014-12-03 2014-12-03 리니어 압축기, 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321A KR101677647B1 (ko) 2014-12-03 2014-12-03 리니어 압축기, 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911A KR20160066911A (ko) 2016-06-13
KR101677647B1 true KR101677647B1 (ko) 2016-11-18

Family

ID=5619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321A KR101677647B1 (ko) 2014-12-03 2014-12-03 리니어 압축기, 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6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676B1 (ko) * 2007-03-30 2008-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676B1 (ko) * 2007-03-30 2008-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911A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100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한 압축기 및 제어 방법
CN103225600B (zh) 压缩机控制装置和方法以及具有该装置的冰箱
US9243620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US10221846B2 (en) Linear compres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US20180202430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KR20180087800A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
US10309392B2 (en) Compres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ressor
KR101299548B1 (ko) 압축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800262B1 (ko) 압축기 및 압축기의 제어 방법
KR101677647B1 (ko) 리니어 압축기, 이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80082895A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KR102454719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US90912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ressor
KR102237724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CN111271244B (zh) 线性压缩机及其控制方法
KR101637441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들을 구비한 냉동 시스템
KR102341828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23576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2350512B1 (ko) 압축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21315A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