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491B1 - 침전지 - Google Patents

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491B1
KR101676491B1 KR1020160098117A KR20160098117A KR101676491B1 KR 101676491 B1 KR101676491 B1 KR 101676491B1 KR 1020160098117 A KR1020160098117 A KR 1020160098117A KR 20160098117 A KR20160098117 A KR 20160098117A KR 101676491 B1 KR101676491 B1 KR 101676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water tank
mounter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아이디 filed Critical (주)에스아이디
Priority to KR1020160098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96Safety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침전지는 내부에 물이 담겨지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수조와; 수조의 상부에 수조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레일 마운터와; 레일 마운터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과;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에 고정된 아우터 폴딩 천막과; 수조의 상부와 레일 마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가이드 레일과 나란하게 배치된 이너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에 고정되고 아우터 폴딩 천막의 하단과 수조 사이의 틈을 마주보는 이너 고정 천막을 포함하여, 아우터 폴딩 천막이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과 연결된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수조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수조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고, 수조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조 내 물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침전지{Sedimentation basin}
본 발명은 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담겨지고 슬러지가 침전되는 수조를 갖는 침전지에 관한 것이다.
침전지는 원수(原水) 중의 부유물을 침전시키는 못으로, 원수를 끌어들여 완만한 속도로 흘리는 상류식(常流式)과, 원수를 끌어들여 일정 시간 정지시켜 두는 단류식(斷流式 : 간헐식)이 있다.
침전지는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될 수 있고, 주로 콘크리트조가 많이 사용된다.
침전지는 장방향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오니(sludge)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오니 배출장치를 구비되거나, 오니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오니를 청소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수조의 상면을 덮어 수조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조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침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전지는 내부에 물이 담겨지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상부에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레일 마운터와; 상기 레일 마운터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에 고정된 아우터 폴딩 천막과; 상기 수조의 상부와 레일 마운터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가이드 레일과 나란하게 배치된 이너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아우터 폴딩 천막의 하단과 상기 수조 사이의 틈을 마주보는 이너 고정 천막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홀더와, 상기 롤러 홀더의 상부에 결합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롤러 홀더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의 상부에서 상기 공간의 상측에 위치되게 연장된 중앙 프레임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에서 상기 중앙 프레임부의 반대편으로 연장되는 아우터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에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부와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고 상기 수직 프레임부와 이격되는 이격부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이너 고정 천막은 일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과 이격부 사이에 상기 수직 프레임 및 이격부 각각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의 하단은 상기 수조의 상단과 이격될 수 있고, 상기 틈은 상기 아우터 폴딩 천막의 하단과 상기 수조의 상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의 높이는 상기 수직 프레임부의 하단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이너 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틈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이너 고정 천막은 일부가 상기 틈을 마주보고, 상기 틈을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과 레일 마운터가 보이지 않게 상기 가이드 레일과 레일 마운터를 가릴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폴딩 천막과 이너 고정 천막은 재질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마운터와 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과,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반과; 상기 조작반의 조작시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아우터 폴딩 천막이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과 연결된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수조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수조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고, 수조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조 내 물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아우터 폴딩 천막 하단과 수조의 상단 사이를 통과한 이물질이 이너 고정 천막에 막혀, 수조의 공간으로 침투되지 못하므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아우터 폴딩 천막을 접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슬러지 처리 작업을 하거나 수조 내의 모래 등을 교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아우터 폴딩 천막이 접혀졌을 때, 수조의 상부에는 수조 내 모래 등을 교반하기 위한 장비가 진입되기 용이하고, 침전지의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조작반의 조작시 아우터 폴딩 천막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전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아우터 폴딩 천막이 접혀졌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 프레임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동기구가 아우터 폴딩 천막을 펼쳤을 때의 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동기구가 아우터 폴딩 천막을 접었을 때의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아우터 폴딩 천막이 접혀졌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 프레임의 확대 단면도이다.
침전지는 내부에 물이 담겨지는 공간(S)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수조(1)와; 수조(1)의 상부에 수조(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레일 마운터(2)와; 레일 마운터(2)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과;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과;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에 고정된 아우터 폴딩 천막(5)과; 수조(1)의 상부와 레인 마운터(2) 중 적어도 하나에 가이드 레일(3)과 나란하게 배치된 이너 프레임(6)과; 이너 프레임(6)에 고정되고 아우터 폴딩 천막(7)의 하단과 수조(1) 사이의 틈(G)을 마주보는 이너 고정 천막(7)을 포함할 수 있다.
수조(1)는 지면에 매립되게 설치될 수 있고, 그 상단(1A)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수조(1)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콘트리트조일 수 있다.
수조(1)의 상단(1A)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조(1)의 상단(1A)에 레일 마운터(2)가 장착될 수 있다.
레일 마운터(2)는 수조(1)의 상단(1A)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레일 마운터(2)에는 가이드 레일(3) 및 이너 프레임(6)이 고정될 수 있다.
침전지는 수조(1)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레일 마운터(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 마운터(2)는 수조(1)의 좌측 상단 상부에 배치된 좌측 레일 마운터와, 수조(1)의 우측 상단 상부에 배치된 우측 레일 마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좌측 레일 마운터와 우측 레일 마운터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좌측 레일 마운터와 우측 레일 마운터는 공간(S)의 좌우 폭 보다 큰 거리를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좌측 레일 마운터와 우측 레일 마운터는 그 위치만 상이하고 동일한 구성이며, 이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레일 마우터(2)로 칭하여 설명한다.
가이드 레일(3)은 레일 마운터(2) 상면에 올려질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레일 마운터(2)에 장착될 수 있다.
침전지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3)은 좌측 레일 마운터에 설치된 좌측 가이드 레일과, 우측 레일 마운터에 설치된 우측 가이드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좌측 가이드 레일과, 우측 가이드 레일은 그 위치만 상이하고 동일한 구성이며, 이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가이드 레일(3)로 칭하여 설명한다.
가이드 레일(3)에는 슬라이딩 프레임(4)이 슬라이드 안내하는 레일부(31)(32)(33)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에는 복수개의 레일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레일부(31)(32)(33)는 가이드 레일(3)의 좌측면에 형성된 좌측 레일부(31)와, 가이드 레일(3)의 우측면에 형성된 우측 레일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레일부(31)(32)(33)는 가이드 레일(3)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 레일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레일부(31)는 가이드 레일(3)의 좌측면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우측 레일부(32)는 가이드 레일(3)의 우측면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레일부(33)는 슬라이딩 프레임(4)의 상부 롤러(43)가 안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레일부(33)는 가이드 레일(3)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레일부(33)는 가이드 레일(3)의 상면에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4)은 가이드 레일(3)에 안내되는 롤러(41)(42)(43)와, 롤러(41)(42)(4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홀더(44)와, 롤러 홀더(44)의 상부에 결합된 메인 프레임(45)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41)(42)(43)은 좌측 레일부(31)에 삽입되고 좌측 레일부(31)을 따라 구르는 좌측 롤러(41)와, 우측 레일부(32)로 삽입되고 우측 레일부(32)을 따라 구르는 우측 롤러(42)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41)(42)(43)은 상부 레일부(33)에 올려지고 상부 레일부(33)을 따라 구르는 상부 롤러(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 홀더(44)는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롤러 홀더(44)는 내부에 롤러(41)(42)(43)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너 공간이 형성될 있다. 롤러 홀더(44)는 좌측 레일부(31)과 우측 레일부(32)를 가리게 형성될 수 있다. 롤러 홀더(44)는 가이드 레일(3)의 상면을 가리게 형성될 수 있다. 롤러 홀더(44)는 가이드 레일(3)의 좌측면과 우측면과 상면을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롤러 홀더(44)는 메인 프레임(45)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44A)로 체결될 수 있다. 롤러 홀더(44)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44A)가 체결되는 한 쌍의 브래킷(44B)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44A)는 한 쌍의 브래킷(44B) 중 어느 하나와, 메인 프레임(45)에 형성된 체결부재 관통공과, 한 쌍의 브래킷(44B) 중 다른 하나에 관통되게 체결될 수 있다.
롤러 홀더(44)는 메인 프레임(45)의 하부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4)은 메인 프레임(45)과, 메인 프레임(45)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 홀더(44)와, 한 쌍의 롤러 홀더(44)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롤러(41)(42)(4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45)의 하중은 한 쌍의 롤러 홀더(44) 및 한 쌍의 롤러 홀더(44)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41)(42)(43)을 통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3)로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고, 슬라이딩 프레임(4)은 롤러(41)(42)(43)가 가이드 레일(3)을 따라 구르는 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하나의 롤러 홀더(44)에 3개의 롤러(41)(42)(4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경우, 슬라이딩 프레임(4)는 6개의 롤러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45)은 롤러 홀더(44)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프레임부(46)와; 수직 프레임부(46)의 상부에서 연장되고 공간(S)의 상측에 위치되는 중앙 프레임부(47)와; 수직 프레임(46)에서 중앙 프레임부(47)의 반대편으로 연장되는 아우터 프레임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45)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46)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아우터 프레임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45)는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프레임부(47)를 기준으로 중앙 프레임부(47)의 좌측에 좌측 수직 프레임부가 형성될 수 있고, 중앙 프레임부(47)의 우측에 우측 수직 프레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45)는 좌측 수직 프레임부의 옆에 좌측 아우터 프레임부가 형성될 수 있고, 우측 수직 프레임부의 옆에 우측 아우터 프레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4)은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46) 중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수직 프레임부에 결합된 좌측 롤러 홀더와,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46) 중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수직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우측 롤러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부(48)는 수직 프레임(46)에서 연장된 연장부(49)와, 연장부(49)에서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고 수직 프레임(46)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이격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격부(50)는 수직 프레임부(46)와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고 수직 프레임부(46)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격부(50)의 하단(50A)은 수조(1)의 상단(1A)과 이격될 수 있고, 아우터 폴딩 천막(5)의 하단과 수조(1)의 상단(1A) 사이에는 틈(G)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이격부(50)가 수조(1)의 상단(1A)에 접촉되게 올려질 경우, 아우터 폴딩 천막(5)은 수조(1)의 상단(1A)에 접촉될 수 있고, 아우터 폴딩 천막(5)은 슬라이딩 프레임(4)의 이동시 손상될 수 있다.
반면에, 이격부(50)의 하단(50A)이 수조(1)의 상단(1A)과 이격될 경우, 아우터 폴딩 천막(5)의 하단은 수조(1)의 상단(1A)와 이격될 수 있고, 아우터 폴딩 천막(5)은 수조(1)의 상단(1A)과 마찰되지 않고, 복수개 슬라이딩 프레임(4)의 이동시 아우터 폴딩 천막(5)은 수조(1)의 상단(1A)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틈(G)의 높이(H1)는 수직 프레임부(46)의 하단 높이(H2) 보다 낮을 수 있다.
여기서, 수직 프레임부(46)의 하단은 수조(1)의 상단(1A)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고, 수직 프레임부(46) 하단의 높이(H2)는 수조(1)의 상단(1A)에서부터 수직 프레임부(46)의 하단까지 높이일 수 있다.
틈(G)의 높이(H1)가 높을 경우, 틈(G)을 통한 이물질 침투 가능성은 높아질 수 있고, 틈(G)은 이물질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아우터 폴딩 천막(5)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높이(H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는 아우터 폴딩 천막(5)이 펼쳐졌을 때, 수조(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은 아우터 폴딩 천막(5)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폴딩 천막(5)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 각각의 상면을 덮게 고정될 수 있다. 아우터 폴딩 천막(5)은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의 각각과 고정될 수 있고,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 사이는 아우터 폴딩 천막(5)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이 서로 근접하게 슬라이드되면, 아우터 폴딩 천막(5)은 일부가 서로 인접한 슬라이딩 프레임(4)의 사이로 진입되게 접힐 수 있다.
이너 프레임(6)은 이너 고정 천막(7)을 지지 및 고정하는 것으로서, 하부 이너 프레임(61)과, 하부 이너 프레임(61) 상측의 상부 이너 프레임(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6)은 하부 이너 프레임(61)과 상부 이너 프레임(62)를 잇는 연결 이너 프레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고정 천막(7)은 일부가 수직 프레임부(46)과 이격부(50)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수직 프레임(46) 및 이격부(50) 각각과 이격될 수 있다.
이너 고정 천막(7)는 아우터 폴딩 천막(5) 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너 고정 천막(7)은 수평 방향으로 수조(1)의 상단(1A)과 레일 마운터(2) 사이의 틈과, 레일 마운터(2)와, 가이드 레일(3)과 레일 마운터(2) 사이의 틈 및 가이드 레일(3)과, 가이드 레일(3)과 메인 프레임(45) 사이의 틈을 마주볼 수 있다.
이너 고정 천막(7)은 수조(1)의 상단(1A)과 레일 마운터(2) 사이의 틈과, 레일 마운터(2)와, 가이드 레일(3)과 레일 마운터(2) 사이의 틈 및 가이드 레일(3)과, 가이드 레일(3)과 메인 프레임(45) 사이의 틈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너 고정 천막(7)은 외부에서 수조(1)의 상단(1A)과 레일 마운터(2) 사이의 틈과, 레일 마운터(2)와, 가이드 레일(3)과 레일 마운터(2) 사이의 틈 및 가이드 레일(3)과, 가이드 레일(3)과 수직 프레임부(46) 사이의 틈이 보이지 않게 가릴 수 있다.
이너 프레임(6)의 높이(H3)는 틈(G)의 높이(H1) 보다 높을 수 있다. 여기서, 이너 프레임(6)의 높이(H3)는 이너 프레임(6)의 하단부터 이너 프레임(6)의 상단까지의 높이일 수 있다. 이너 프레임(6)의 높이(H3)는 이너 고정 천막(7)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이너 고정 천막(7)은 일부가 틈(G)을 마주볼 수 있다. 이너 고정 천막(7)은 틈(G)을 통해 레일 마운터(2)와 가이드 레일(3)과 수직 프레임부(46)의 하부가 보이지 않도록 레일 마운터(2)와 가이드 레일(3)과 수직 프레임부(46)의 하부를 가릴 수 있다.
이너 고정 천막(7)은 아우터 폴딩 천막(5)와 수조(1)의 상단(1A) 사이의 틈(G)을 마주보는 하부 영역과, 아우터 폴딩 천막(5)의 일부를 마주보는 상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침전지를 옆에서 볼 때, 아우터 폴딩 천막(5)과 이너 고정 천막(7)은 함께 보일 수 있다. 이너 고정 천막(7)은 아우터 폴딩 천막(5)의 하단과 수조(1)의 상단(1A) 사이를 통해 보일 수 있다.
이너 고정 천막(7)은 아우터 폴딩 천막(5)은 색상이 동일할 수 있다. 이너 고정 천막(7)와 아우터 폴딩 천막(5)의 색상이 동일할 경우. 이너 고정 천막(7)은 아우터 폴딩 천막(5)는 서로 이격되어 있지만, 외부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줄 수 있다.
이너 고정 천막(7)은 아우터 폴딩 천막(5)과 재질이 동일할 수 있다.
아우터 폴딩 천막(5)이 접혀졌을 때, 아우터 폴딩 천막(5) 중 접혀진 부분은 이너 고정 천막(7)의 상단에 일부 접촉될 수 있다. 아우터 폴딩 천막(5)과 이너 고정 천막(7)의 재질이 동일할 경우,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보다 더 빠르게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침전지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반(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반(8)는 수조(1)의 주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조작반(8)은 수조(1) 주변의 지면에 세워지게 설치될 수 있다. 조작반(8)은 후술하는 프레임 구동기구(10, 도 5 및 도 6 참조)에 신호선이나 통신부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가 조작반(8)을 조작하면 프레임 구동기구(10)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를 슬라이딩 동작시킬 수 있다.
조작반(8)에는 아우터 폴딩 천막(5)이 펼쳐지게 조작하는 수조 차폐 입력부와, 아우터 폴딩 천막(5)이 접혀지게 조작하는 수조 개방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반(8)는 수조(1)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침전지를 원격 관리하는 별도의 관리실에 구비되거나 관리자의 휴대단말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동기구가 아우터 폴딩 천막을 펼쳤을 때의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동기구가 아우터 폴딩 천막을 접었을 때의 도이다.
침전지는 레일 마운터(2)와 가이드 레일(3)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9)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9)은 슬라이딩 프레임(4)과 달리 롤러(41)(42)(43) 및 롤러 홀더(44)를 포함하지 않고, 레일 마운터(2)와 가이드 레일(3)에 고정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9)은 중앙 프레임부와,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와, 한 쌍의 아우터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9)의 수직 프레임부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레일 마운터(2)와 가이드 레일(3)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우터 폴딩 천막(5)은 고정 프레임(9)과 고정될 수 있고, 고정 프레임(9)에 고정되지 않는 부분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은 고정 프레임(9)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가까워지게 슬라이딩될 수 있고, 이때, 아우터 폴딩 천막(5)은 접혀질 수 있다.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은 고정 프레임(9)과 멀어지게 슬라이딩될 수 있고, 이때 아우터 폴딩 천막(5)은 펼쳐질 수 있다.
침전지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기구(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동기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작반(8)의 조작시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은 아우터 폴딩 천막(5)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구동기구(10)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 중 고정 프레임(9)과 가장 먼 슬라이딩 플레임(4')을 고정 프레임(9)과 가까워지게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아우터 폴딩 천막(5)을 접을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 구동기구(10)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 중 고정 프레임(9)과 가장 먼 슬라이딩 플레임(4')을 고정 프레임(9)과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아우터 폴딩 천막(5)을 펼칠 수 있다.
프레임 구동기구(10)은 모터(101)와, 모터(101)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휠(102)와, 구동휠(102)과 이격된 가이드휠(103)(10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동기구(10)는 구동휠(102)에 연결된 종동힐(105)(106)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동기구(10)는 구동휠(102)와, 종동휠(105)(106) 및 가이드휠(103)(104)에 감긴 와이어(1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07)는 일단이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 중 고정 프레임(9)과 가장 먼 슬라이딩 프레임(4')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107)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 중 고정 프레임(9)과 가장 먼 슬라이딩 프레임(4')에 설치된 장력조절볼트(108)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종동휠(105)(106)은 구동휠(102)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고, 구동휠(102)의 외주에 형성된 구동기어와 종동휠(105)(106)의 외주에 형성된 종동기어로 연결될 수 있다.
모터(101)와 구동휠(102)와 종동휠(105)(106)은 가이드 레일(3)의 선단과 후단 중 일단에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고, 가이드휠(103)(104)는 가이드 레일(3)의 선단과 후단 중 일단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101)은 가이드 레일(3) 또는 레일 마운터(2)에 설치된 제1브라켓(109)에 설치될 수 있다. 종동휠(105)(106)은 제1브라켓(10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휠(103)(104)는 가이드 레일(3) 또는 레일 마운터(2)에 설치된 제2브라켓(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종동휠(105)(106)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구동휠(102)은 종동휠(105)(106) 보다 가이드휠(103)(104)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종동휠(105)(106)의 사이를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다.
와어어(107)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한 쌍의 종동휠(105)(106) 중 어느 하나와 구동휠(102)와 한 쌍의 종동휠(105)(106) 중 다른 하나에 감길 수 있다.
가이드 휠(103)(104)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와이어(107)는 한 쌍의 가이드 휠(103)(104)에 감길 수 있다.
와이어(107)는 일단이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 중 고정 프레임(9)과 가장 먼 슬라이딩 프레임(4')에 연결될 수 있고, 그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종동휠(105)(106) 중 어느 하나와, 구동휠(102)와, 한 쌍의 종동휠(105)(106) 중 다른 하나에 순차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한 쌍의 가이드휠(103)(104)에 순차적으로 접촉되며, 타단이 장력조절볼트(108)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101)의 회전축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와이어(107)의 일단은 한 쌍의 종동휠(105)(106)와 근접해지게 당겨지고, 최외측 슬라이딩 프레임(4')은 고정 프레임(9)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최외측 슬라이딩 프레임(4')이 고정 프레임(9)과 근접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고정 프레임(9)과 최외측 슬라이딩 프레임(4') 사이의 다수의 슬라이등 프레임은 순차적으로 밀리면서 고정 프레임(9)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고,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고정 프레임(9)에 근접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4)이 모두 고정 프레임(9)에 근접하게 이동되면, 아우터 폴딩 천막(5)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혀질 수 있고, 수조(1)의 상면(1B)은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반대로, 모터(101)의 회전축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다른 방향으로 역회전되면, 와이어(107)의 타단은 한 쌍의 가이드휠(103)(104)와 근접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고, 최외측 슬라이딩 프레임(4')은 고정 프레임(9)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최외측 슬라이딩 프레임(4')이 한 쌍의 가이드휠(103)(104)와 근접해지게 이동됨에 따라, 아우터 폴딩 천막(5)으로 연결된 복수의 슬라이등 프레임은 아우터 폴딩 천막(5)에 이끌려 갈 수 있고, 최외측 슬라이딩 프레임(4')이 고정 프레임(9)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고정 프레임(9)과 최외측 슬라이딩 프레임(4') 사이의 복수의 슬라이등 프레임은 한 쌍의 가이드휠(103)(104)과 근접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개 슬라이딩 프레임(4)의 이동시, 아우터 폴딩 천막(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질 수 있고, 수조(1)의 상면(1B)은 아우터 폴딩 천막(5)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수조 2: 레일 마운터
3: 가이드 레일 4: 슬라이딩 프레임
5: 아우터 폴딩 천막 6: 이너 프레임
7: 이너 고정 천막 8: 고정 프레임
9: 조작반 10: 프레임 구동기구
S: 공간

Claims (12)

  1. 내부에 물이 담겨지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상부에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레일 마운터와;
    상기 레일 마운터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에 고정된 아우터 폴딩 천막과;
    상기 수조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과 나란하게 배치된 이너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아우터 폴딩 천막의 하단과 상기 수조 사이의 틈을 마주보는 이너 고정 천막을 포함하는 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홀더와,
    상기 롤러 홀더의 상부에 결합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침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롤러 홀더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의 상부에서 상기 공간의 상측에 위치되게 연장된 중앙 프레임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에서 상기 중앙 프레임부의 반대편으로 연장되는 아우터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침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에서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이격부를 포함하는 침전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부와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고 상기 수직 프레임부와 이격되는 이격부를 갖는 침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고정 천막은 일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부과 이격부 사이에 상기 수직 프레임 및 이격부 각각과 이격되는 침전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의 하단은 상기 수조의 상단과 이격되고,
    상기 이격된 틈은 상기 아우터 폴딩 천막의 하단과 상기 수조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 침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된 틈의 높이는
    상기 수조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수직 프레임부의 하단까지 높이 보다 낮은 침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틈의 높이 보다 높은 침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고정 천막은 일부가 상기 틈을 마주보고, 상기 틈을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과 레일 마운터가 보이지 않게 상기 가이드 레일과 레일 마운터를 가리는 침전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폴딩 천막과 이너 고정 천막은 재질이 동일한 침전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마운터와 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과,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반과;
    상기 조작반의 조작시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침전지.
KR1020160098117A 2016-08-01 2016-08-01 침전지 KR101676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117A KR101676491B1 (ko) 2016-08-01 2016-08-01 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117A KR101676491B1 (ko) 2016-08-01 2016-08-01 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491B1 true KR101676491B1 (ko) 2016-11-16

Family

ID=5754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117A KR101676491B1 (ko) 2016-08-01 2016-08-01 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0064A (zh) * 2017-01-20 2017-08-18 广州金鹏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污水池膜结构滑动密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25B1 (ko) * 2005-09-05 2006-12-14 주식회사 타이가 하수 처리장의 침전지 보호막 개방구조
KR100760614B1 (ko) * 2007-04-16 2007-09-20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말안장 형태로 된 입체지붕과 그 입체지붕으로부터슬라이딩되는 개폐지붕을 갖는 막구조물
JP2009112932A (ja) * 2007-11-06 2009-05-2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廃棄物の埋立方法及び浸出水の処理方法
KR200461573Y1 (ko) * 2011-11-28 2012-07-20 주식회사 동아시스템 개폐식 천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25B1 (ko) * 2005-09-05 2006-12-14 주식회사 타이가 하수 처리장의 침전지 보호막 개방구조
KR100760614B1 (ko) * 2007-04-16 2007-09-20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말안장 형태로 된 입체지붕과 그 입체지붕으로부터슬라이딩되는 개폐지붕을 갖는 막구조물
JP2009112932A (ja) * 2007-11-06 2009-05-2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廃棄物の埋立方法及び浸出水の処理方法
KR200461573Y1 (ko) * 2011-11-28 2012-07-20 주식회사 동아시스템 개폐식 천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0064A (zh) * 2017-01-20 2017-08-18 广州金鹏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污水池膜结构滑动密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5397B2 (ja) 囲い、特にスパ用の囲い
KR101676491B1 (ko) 침전지
CN105164360A (zh) 具有一体式可存取电池盒的电动式窗上用品
US20170247939A1 (en) A novel pet door apparatus
CN102310992A (zh) 有轨台车系统
US3500481A (en) Bath tub closure and track therefor
KR100570708B1 (ko) 건축물 창문용 청소장치 구조
US5337425A (en) Shower curtain
CN205770968U (zh) 防尘式电泳玻璃板搁置架
KR20150068749A (ko) 어닝을 이용한 전통시장용 아케이드
CN204689344U (zh) 一种自动扶梯的环保清洁装置
US4286343A (en) Partition-wall arrangement
CN204016112U (zh) 一种隐形伸缩浴帘式淋浴房隔断装置
EP1211379A3 (en) Drive mechanism for blinds or mosquito nets
JPWO2006033294A1 (ja) 可動床プールおよび可動床プールの浄化方法
CN211724110U (zh) 一种租赁式轮椅的消毒装置
WO2011110548A1 (de) Duscheinrichtung
EP0958775A3 (en) Shower cubicle with retractable walls
CN218631060U (zh) 一种车场空闲车位展示引导装置
DE202013010393U1 (de) Bade-Wannen Rollo (Das Rollydo)
CN107159605A (zh) 一种清洗水自滤操控式格栅旋洗装置
CN108798478A (zh) 电动段滑式伸缩直线门
CN210508994U (zh) 一种可拆洗折叠左右开纱窗纱门
CN213212742U (zh) 一种便于安装电器元件的配电柜
JPS6098083A (ja) ロ−ル雨戸付出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