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273B1 - Folding type pack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Folding type packing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273B1
KR101676273B1 KR1020160071199A KR20160071199A KR101676273B1 KR 101676273 B1 KR101676273 B1 KR 101676273B1 KR 1020160071199 A KR1020160071199 A KR 1020160071199A KR 20160071199 A KR20160071199 A KR 20160071199A KR 101676273 B1 KR101676273 B1 KR 101676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r
opening
ho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1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강학
Original Assignee
최강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강학 filed Critical 최강학
Priority to KR1020160071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2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2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65D2519/0064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65D2519/00646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by mean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four foldable surfaces, which enables the safe use thereof, improves durability by maximizing functionality, and reduces production costs.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four foldable surfaces comprises: a base frame (100) which is formed in a latticed shape; support frames (200) which are vertically arranged in both facing sides of the base frame; and operating frames (300) which are vertically arranged in another facing sides of the base frame through the support frames facing each other.

Description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FOLDING TYPE PACKING CONTAINER}{FOLDING TYPE PACKING CONTAINER}

본 발명은 물품의 운반을 위하여 수반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포장용기의 구성을 적극 개선하여 사면에 대해 절첩 가능한 형태로 제공할 뿐 아니라 비교적 간편한 구조임에도 록킹수단의 견고한 위치 제어는 물론 요부의 단락시 록킹 유지를 위한 또 하나의 보조수단이 더 채용됨에 따라 의도치 않은 폴딩 방지 등 보다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기능성 또한 극대화되어 경량화, 내구성 강화, 원가 절감, 회수가능에 기여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for transporting artic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container for carrying artic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container which is improved i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ackaging container to provide a foldable form to a slope, It is possible to use it more safely such as unintentional folding prevention, and also to maximize the functionality, thereby making it lightweight, durable, cost saving, and recoverable. Folded type packaging container.

통상 포장용기라 함은 대상 물품을 파손 없이 안전하게 보관 내지 이송하기 위한 운반수단으로, 윗면이 개방되어 있는 박스형 형태가 대부분이다. Usually, the wrapping machine means a carrying means for safely storing or transporting a target article without breakage, and a box-shaped form in which the top surface is opened is the most.

이러한 박스형 포장용기는 대체로 사각의 상하 단부에 적층 안내편을 돌출한 것으로서 사용 후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은 발휘할 수 있으나 부피를 줄일 수 없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공간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폐단을 초래하였다.Such box-shaped packaging containers are generally formed by projecting laminated guide pieces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a square, but they can exhibit the advantage that they can be stored after being used. However, since they can not reduce the volume and occupy a lot of space, Respectively.

근래 들어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절첩 타입의 포장용기를 제공하고 있는바, 부피 축소를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포장용기가 다양한 구성으로 제안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has been proposed as a means to solve this problem, and a foldable packaging container capable of reducing the volume has been proposed in various configurations.

하지만, 기공지된 선행문헌은 물론 포장용기와 관련한 종래 기술사상 모두는 그 구조적 한계로 인해 요부 단절시 극복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이에 의해 제반 구성이 의도치 않게 적재된 물품으로 무너지면서 제품을 손상시키는 등 치명적인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However, all of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prior art as well as the prior art relating to the packaging container are difficult to overcome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thereof, and in addition to this, Causing a fatal problem.

아울러 절첩을 구현하기 위한 제반 구성은 물론 해당 구조체의 결합이 볼트나 너트 등의 단순 체결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면서 사용상 불편이 초래되고 더욱이 잠금 구조와 관련한 기술사상이 극히 미흡한 실정이므로 보다 확실하게 위치 제어가 구현되면서 견고한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개선책을 필요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assembly of the structure is made of simple fastening such as a bolt or a nut, not only all the structures for implementing the folding, but also the working time is excessively required, the inconveniences are incurred and the technical ideas relating to the locking structure are extremely insufficient The position control is implemented more reliably, and an improvement measure capable of maintaining a firm locking state is required.

특허등록번호 제10-1296685호 (등록일자 2013.08.08)Patent Registration No. 10-1296685 (Registration date 2013.08.08)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4-0000379호 (출원일자 1994.01.10)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1994-0000379 (filed on Jan. 1, 1994)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접이식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제반 구성이 종래와 차별되게 제공하는 것은 물론 사면 모두가 순차적으로 완전히 포개지는 현저히 개선된 형태의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positivel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Providing a packaging container is a problem to be solv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다 확실하게 위치 제어가 구현되면서 견고한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ope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positional control can be realized more reliably and a firm locking state can be maintained.

그리고 본 발명은 하나의 행위로 상하 구분된 공간에서 이중으로 잠금 여부가 결정되게 하여 요부 단락에 의한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ope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capable of eliminating shortcomings due to shorting of the main body by making it possible to double or determine whether or not to lock the upper and lower spaces in a single action.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1)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slope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1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위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1)는 격자 형상의 베이스프레임(100); 베이스프레임의 대향하는 양측에서 입설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00); 서로 대향 배치된 지지프레임을 매개로 베이스프레임의 다른 양측에서 입설 배치되는 조작프레임(300);을 포함하되, 위 베이스프레임(100)은 각 모서리 영역으로 보강브래킷(110)을 체결하고, 위 보강브래킷(110)은 지지프레임(200) 양단에 위치한 고정바(210)와 중첩되면서 지지프레임의 입설 상태를 지속시키고, 위 고정바(210)는 조작프레임(300)과 접촉되는 일면에서 관통 형성되어 개폐프레임(320)의 인입 내지 인출을 허용하는 구속홀(211);과, 상향 적층 시 베이스프레임(10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 외면에 고정 체결되는 지지앵글(212);을 포함하고, 위 조작프레임(300)은 지지프레임(200)의 고정바(210)와 대응하는 입설바(370);와, 입설바 상단에 횡단 배치되어 일 방향 선회 움직임을 갖는 폴딩유도부(310);와, 폴딩유도부 양단에 구분 수용되고 수평 슬라이드 움직임에 기인하여 고정바(210)로의 진입 여부가 결정되는 개폐프레임(320);을 포함하고, 위 입설바(370)는 고정바의 구속홀(211)과 대응하는 형상의 키홈(371);과, 개폐프레임(320)의 거치를 위하여 라운드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면(372);과, 베이스프레임(100)에 형성한 연결부(140)로 끼움 개재되도록 돌출 형성시킨 구속편(373);을 포함하며, 위 조작프레임(300)과 지지프레임(200)은 절첩 가능하게 형성하여 베이스프레임(100) 상방으로 순차 개구되면서 다단 포갬이 유도되고, 위 조작프레임(300)은 90°범위 내에서 선회하는 폴딩유도부(310)의 위치 결정에 기인하여 폴딩유도부 양단에서 개폐프레임(320)의 개별 수평 슬라이드가 허용됨에 따라 이웃하는 각 지지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으로 개폐프레임의 진입 여부를 결정지음으로써 지지프레임과의 상호 구속력이 유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lding-type packaging container (1) has a grid-like base frame (100); A support frame (200)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base frame; And an operation frame (300) installed and arranged at the other side of the base frame via the support frame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herein the upper base frame (100) has the reinforcing bracket (110) fastened to each corner area, The bracket 110 continues to be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frame is overlapped with the fixed bar 210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upper fixed bar 210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one surface contacting with the operation frame 300 A restraining hole 211 for all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20 to be drawn in or out, and a supporting angle 212 fixed to an upper end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to prevent the base frame 100 from being displac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upper operation frame 300 includes an inlet sulver 370 corresponding to the fixed bar 210 of the support frame 200 and a folding induction part 310 disposed transversely to the upper end of the inlet sulbar and having one- , The folding guide portion And an opening / closing frame 320 for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fixed bar 210 due to the riding motion. The upright reverberation unit 370 includes a key groove 37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straining hole 211 of the fixed bar, A cutout surface 372 cut in a round shape for mounting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20 and a restraining piece 373 protru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40 formed on the base frame 100, And the upper operation frame 300 and the support frame 200 are formed in a foldable manner so as to be sequentially opened above the base frame 100 so that the upper operation frame 300 is guided in the 90 ° rang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opening / closing frame enters the inner space of each of the neighboring supporting frames 200 as the individual horizontal sliding of the opening / closing frame 320 is allowed at both ends of the folding guide portion due to the positioning of the folding guide portion 310 By making it, the mutual So that the binding force is induced.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위 보강브래킷(1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인입홀(111);과, 상단에서 하향 함몰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요홈(112);을 포함하고, 위 고정바(210)는 요홈으로 안착되면서 구속력이 유발되는 돌출형 걸림편(213);과, 인입홀에 개재되어 상하 슬라이드 및 선회 움직임을 유도하는 구속편(214);으로 형성됨에 따라 인입홀(111)이 제공하는 공간의 범위 내에서 지지프레임(200)의 리프팅을 가능하게 하여 요홈(112)으로부터 걸림편(213)이 이탈되고 지지프레임의 절첩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reinforcing bracket 110 includes a receiving hole 1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groove 112 formed as a space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And a restricting piece 214 interposed in the inlet hole and guiding upward and downward sliding and swinging movements, so that the space of the space provided by the inlet hole 111 The lifting of the support frame 200 is enabled to release the retaining piece 213 from the recess 112 and folding of the support frame is per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아울러 위 폴딩유도부(310)는 입설바(370) 상간에서 횡단 배치되고 중공으로 형성하여 개폐프레임(320)의 수용을 허용하는 지지횡바(311);와, 지지횡바의 어느 일면에 형성되어 선회 움직임을 실행하는 손잡이(312);와, 개폐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을 조작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동일 선상에서 양측으로 구분 천공되는 슬라이드홀(3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folding guide portion 310 includes a support transverse bar 311 disposed transversel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uth reverberation portion 370 and hollow to allow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20 to be received therein, And a slide hole 313 whic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on the same line to manipulat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또한, 위 폴딩유도부(310)는 손잡이(312)의 위치 가변으로 슬라이드홀(313)에 구속된 개폐프레임(320)의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개폐프레임과 고정바의 구속홀(211)이 서로 형상적으로 일치되는지 여부에 의해 개폐프레임을 고정바의 구속홀로 인입 내지 인출 허용되게 하거나 또는 구속홀로 인입된 개폐프레임을 구속시켜 지지프레임(200)과 조작프레임(300)의 입설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folding guide portion 31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grip 312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20 bound to the slide hole 313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and the fixing bar restraint holes 211 are formed in a shape , The opening / closing frame is allowed to be pulled in or out from the restraining hole of the fixed bar, or the opening / closing frame pulled in by the restraining hole is restricted so that the standing state of the supporting frame 200 and the operating frame 300 is maintained .

그리고 위 개폐프레임(320)은 지지횡바(311)의 내부 공간에서 양측으로 구분하여 이격 배치되는 유동바(321);와, 유동바로부터 연직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드홀(313)에 끼움 개재되는 조작간(322);과, 유동바의 일측 단부에서 조작간의 돌출 방향과 직교되게 연장 형성되는 록킹부(323);로 구성됨에 따라 조작간(322)의 방향 전환으로 록킹부(323)의 방향을 전환 유도함으로써 해당 록킹부가 고정바의 구속홀(211)로 인입 내지 인출 허용되게 하거나 또는 구속홀로 인입된 록킹부를 구속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frame 320 includes a movable bar 321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ing transverse bar 3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both sides thereof, And a locking part 323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projecting direction between the operation at one side end of the moving bar and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part 323 being switched So that the locking part is allowed to be drawn into or out of the restraining hole 211 of the fixed bar, or the locking part drawn into the restraining hole is restrained.

한편, 위 유동바(321)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록킹부(323)의 근접 위치로 슬롯(324)을 더 천공하여 보조잠금수단(350)이 하향 거치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되, 위 보조잠금수단(350)은 조작간(322) 및 록킹부(323)의 방향 전환시 슬롯(324)에 안내되면서 유동바(321)로부터 하향된 상태로 위치 보존되고, 조작프레임의 입설바(370) 내부에서 록킹부와 동일한 수평 움직임이 유도됨에 따라 지지프레임의 고정바(210) 내부로 인입 여부를 결정지음으로써 조작프레임(300)과 지지프레임(200)이 서로 간섭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flow bar 321 is hollow and further punctures the slot 324 in the proximity of the locking portion 323 to cause the auxiliary locking means 350 to be downwardly mounted, 350 are held in a downward state from the moving bar 321 while being guided by the slot 324 in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operation interlock 322 and the locking part 323, The operation frame 300 and the support frame 200 are made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by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fixed bar 210 of the support frame.

이때 위 보조잠금수단(350)은 유동바(321) 내측에 수용되는 거치부(351);와, 거치부의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입설바(370) 내부에 위치되는 연장부(352);와, 연장부 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돌출부(353);를 포함하고, 위 돌출부(353)는 입설바(370) 및 고정바(210)에 각각 천공 형성시킨 관통홀(378)과 통공(218)에 의해 횡단 이동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auxiliary locking means 35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351 accommodated inside the flow bar 321, an extension portion 352 located inside the inlet sulbar 370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mounting portion, The upper protrusion 353 includes a through hole 378 and a through hole 218 formed in the mouth rewinder 370 and the fixing bar 210, respectively, and a protrusion 353 bending at the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ransverse movement is permitted.

다른 한편으로, 위 조작프레임(300) 상간에는 양단으로 끼움부(391)가 형성된 횡단지지대(390)를 더 개재하여 서로 지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transverse support 390 formed with the fitting portion 391 at both ends is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operation frames 300 so as to be supported by each other.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개별 절첩되게 하는 접이식 구조를 구현하되 이러한 접이식 구조는 사면 모두가 순차적으로 완전히 포개지는 등 제반 구성이 기존과 차별화되므로 기능성의 극대화와 함께 경량화, 내구성 강화, 원가 절감, 회수가능에 기여하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 folding structure for individually folding the operation frame and the support frame from the base frame is realized. Since such a folding structure differs from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that all the slopes are completely overlapped in sequence, It maximizes efficiency, contributes to weight reduction, durability enhancement, cost reduction, and recovery.

특히 본 발명의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는 폴딩유도부를 비롯한 개폐프레임의 관련 구조에 의하여 보다 확실하게 위치 제어될 뿐 아니라 손잡이의 방향 전환 및 이러한 손잡이를 기점으로 측 방향 슬라이드 구동되는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견고한 잠금 상태가 구현될 수 있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Particularly, the slope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positively controlled by the related structure of the opening / closing frame including the folding guide portion, but also robust due to the directional change of the handle and the sliding property The advantage that a locked state can be implemented is also expect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잠금 수단의 구성을 적극 개선하여 상하 이중으로 록킹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보조잠금수단이 더 부가되는바, 록킹부에 치중되는 외압으로 인해 요부 단락이 초래될 경우 이러한 기능을 대체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에 극복하지 못하던 치명적인 결점을 해소하게 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supplementary locking means capable of appropriately locking or unlocking the above-mentioned locking means is additionally provided. If a short-circuit occurs due to an external pressure exerted on the lock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fatal defects that have not been overcome in the pas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조작프레임의 관련 구성을 상세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개폐프레임 및 보조잠금수단의 관련 구성을 상세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관련 구성에 의하여 잠금 행위 여부가 결정될 수 있음을 단계적으로 구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가 상하 적층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의 접이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3 내지 14는 도 10 내지 12에 의해 사면 폴딩된 포장용기가 상하 적층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ope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construc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ssential part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relevant structure of the operation frame which is the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related constitu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and the auxiliary locking means, which are other essential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5 to 7 illustrate a state of use in which a lock operation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related configura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to 9 are explanatory views illustrating the use of the slope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a top-down stacking method.
FIGS. 10 to 12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use state of the folding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3 to 14 are use state diagrams illustratively showing that a sloped folded packaging container can be stacked up and down by Figs. 10 to 12.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은 물품의 운반을 위하여 수반되는 포장용기(1)에 관하여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packaging container (1) for carrying articles.

특히 본 발명은 기존 포장용기의 구성을 적극 개선하여 사면에 대해 절첩 가능한 형태로 제공할 뿐 아니라 비교적 간편한 구조임에도 록킹수단의 견고한 위치 제어는 물론 요부의 단락시 록킹 유지를 위한 또 하나의 보조수단이 더 채용됨에 따라 의도치 않은 폴딩 방지 등 보다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기능성 또한 극대화되어 경량화, 내구성 강화, 원가 절감, 회수가능에 기여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1)에 관련됨을 주지한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apable of providing a foldable form of the slope but also providing a supplementary means for maintaining the 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 means, Folding-type packaging container 1 which contributes to lightweight, durability enhancement, cost reduction, and recovery by maximizing the functionality and enabling safe use such as unintentional folding prevention as it is further employ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ope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ssential part of FIG.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1)는 크게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조작프레임(300) 및 지지프레임(200), 그리고 이러한 조작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하방에서 견고히 지지하면서 접이 행위가 유도되는 베이스프레임(100)으로 구분 구성된다.1 to 2, a slope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1 which is feat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operation frames 300 and a support frame 20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 base frame 100 in which a folding action is induced while firmly supporting the frame from below.

더욱 상세히 기재하면, 위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1)는 격자 형상의 베이스프레임(100);과, 베이스프레임의 대향하는 양측에서 입설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00);과, 서로 대향 배치된 지지프레임을 매개로 베이스프레임의 다른 양측에서 입설 배치되는 조작프레임(300);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slope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1 includes a lattice-shaped base frame 100, a support frame 200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base frame, And an operation frame 300 plac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frame via the frame.

이때, 위 조작프레임(300)과 지지프레임(200)은 절첩 가능하게 형성하여 베이스프레임(100) 상방으로 순차 개구되면서 다단 포갬이 유도되는 것을 요부로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operation frame 300 and the support frame 200 are formed to be foldable, and are sequentially opened above the base frame 100 to induce multi-stage folding.

무엇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위 조작프레임(300)은 주요 구성으로서 90°범위 내에서 선회하는 폴딩유도부(310)의 위치 결정에 기인하여 폴딩유도부 양단에서 개폐프레임(320)의 개별 수평 슬라이드가 허용됨에 따라 이웃하는 각 지지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으로 개폐프레임의 진입 여부를 결정지음으로써 지지프레임과의 상호 구속력이 유도되게 하는바, 이와 관련하여서는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upper operation frame 3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individual horizontal sliding of the open / close frame 320 at both ends of the folding guide portion due to the positioning of the folding guide portion 310 pivoting within a range of 90 ° as a main componen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opening / closing frame enters the inner space of each of the neighboring supporting frame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mutual binding force with the supporting frame is induc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위 베이스프레임(100)은 격자 형상으로 제공되는 지지패널 내지 지지틀의 개념으로, 대상 물품이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적정 공간으로 구축된다.The upper base frame 100 is a concept of a support panel or support frame provided in a lattice shape, and is structured as a proper space in which a target article can be stably positioned.

전술한 베이스프레임(100)은 각 모서리 영역으로 보강브래킷(110)을 체결하는데, 위 보강브래킷(110)은 지지프레임(200) 양단에 위치한 고정바(210)와 중첩되면서 지지프레임의 입설 상태를 지속시키게 된다.The above-described base frame 100 fastens the reinforcing bracket 110 to each corner area. The reinforcing bracket 110 overlaps with the fixing bar 210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ing frame 200, .

또한, 위 고정바(21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조작프레임(300)과 접촉되는 일면에서 관통 형성되어 개폐프레임(320)의 인입 내지 인출을 허용하는 구속홀(211);과, 상향 적층 시 베이스프레임(10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 외면에 고정 체결되는 지지앵글(212);로 구성된다.2, the upper fixing bar 210 includes a restricting hole 211 penetrating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frame 210 which contacts the manipulation frame 300 to allow the opening / closing frame 320 to be inserted or withdrawn, And a support angle (212) fixedly coupled to an upper end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to prevent displacement of the base frame (100).

여기서 위 구속홀(211)은 후술할 입설바의 키홈(371)과 대응하는 제반 구성이며, 예컨대 구속홀과 키홈을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하여 개폐프레임의 록킹부(323) 위치 전환에 따라 록킹부를 횡단 통과시키거나 통과 후 록킹부의 또 다른 위치 전환에 의해 측 방향 움직임이 허용되지 않게 한다. 결국, 이러한 구속홀(211)은 본 발명에서의 잠금 행위를 구현함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요소이고, 구속홀 형상에 대응하는 록킹부(323)를 형성하여 적절한 위치 전환에 의해 록킹부와 구속홀의 형상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결정함에 따라 기능성이 발휘된다.For example, the constraint hole and the key groove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so that the locking portion may be mov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ortion 323 of the opening / closing frame, So that lateral movement is not allowed by passing through or by switching another position of the locking portion after passage. As a result, the constraint hole 211 is an indispensable element for realizing the lock 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cking portion 323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straint hole is 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locking portion and the constraint hole The functionality is demonstrated by determining whether to match or disagree.

위 지지앵글(212)이라 함은 통상의 앵글과 동일 내지 유사한 개념의 것으로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지지앵글을 고정바(210) 단부로부터 각각 적정 거리만큼 상향 돌출시켜 고정 체결함으로써 포장용기의 상향 적재 시 보다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앵글(212)의 기능은 도 8 내지 9에 도시하였으며, 도 8과 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가 상하 적층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다.The upper support angle 212 has the same or similar concept as a normal angl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angle is fixedly projected upward from the end of the fixed bar 210 by an appropriate distance, And can be guided more stably. The function of the supporting angle 212 is shown in FIGS. 8 to 9, and FIGS. 8 and 9 illustrate the use state diagram exemplarily showing that the slope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cked up and down.

위 보강브래킷(1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인입홀(111);과, 상단에서 하향 함몰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요홈(112);을 포함하고, 위 고정바(210)는 요홈으로 안착되면서 구속력이 유발되는 돌출형 걸림편(213);과, 인입홀에 개재되어 상하 슬라이드 및 선회 움직임을 유도하는 구속편(214);으로 구분 구성된다.The upper reinforcing bracket 110 includes a receiving hole 1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groove 112 formed as a space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And a restraining piece 214 interposed in the inlet hole and guiding upward and downward slide and swinging movements.

이러한 구성은 인입홀(111)이 제공하는 공간의 범위 내에서 지지프레임(200)의 리프팅을 가능하게 하여 요홈(112)으로부터 걸림편(213)이 이탈되고 지지프레임의 절첩이 실시되게 한다.This arrangement allows lifting of the support frame 200 within the range of the space provided by the inlet hole 111 so that the retaining piece 213 is released from the groove 112 and the support frame is folded.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조작프레임의 관련 구성을 상세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related structure of the operation frame,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조작프레임(300)은 지지프레임(200)의 고정바(210)와 대응하는 입설바(370);와, 입설바 상단에 횡단 배치되어 일 방향 선회 움직임을 갖는 폴딩유도부(310);와, 폴딩유도부 양단에 구분 수용되고 수평 슬라이드 움직임에 기인하여 고정바(210)로의 진입 여부가 결정되는 개폐프레임(320);으로 구성된다.3, the upper operation frame 300 includes an inlet sulbar 370 corresponding to the fixed bar 210 of the support frame 200, a folding sled 370 disposed transversely to the upper end of the inlet sulbar, And an opening / closing frame 320 which is divided and accommodated at both ends of the folding guide part and is determined whether to enter the fixing bar 210 due to horizontal slide movement.

위 입설바(370)는 지지프레임의 고정바와 대응 접촉되면서 기능성을 발휘하는 구성요소로, 고정바의 구속홀(211)과 대응하는 형상의 키홈(371);과, 개폐프레임(320)의 거치를 위하여 라운드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면(372);과, 베이스프레임(100)에 형성한 연결부(140)로 끼움 개재되도록 돌출 형성시킨 구속편(373);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reed bar 370 is a component which exhibits functionality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xing bar of the supporting frame and includes a key groove 37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straining hole 211 of the fixing bar, And a restraining piece 373 protruding from the connection part 140 formed on the base frame 100 so as to be interposed therebetween.

위 키홈(371)은 전술한 고정바의 구속홀(211)과 형상 및 크기 등에서 일치되어야 하고, 위 절개면(372)은 개폐프레임의 유동바(321)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구축되어야 하며, 위 구속편(373)은 도 2에 도시한 연결부(140)를 통해 일대일 결합됨에 따라 조작프레임(300)의 선회 움직임이 확보된다.The upper keyway 371 must be in conformity with the shape and size of the restraining hole 211 of the fixing bar described above and the upper cutting surface 372 should be constructed so as to accommodate the moving bar 321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The upper restraining piece 373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frame 300 through the connecting part 140 shown in FIG.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위 폴딩유도부(310)는 입설바(370) 상간에서 횡단 배치되고 중공으로 형성하여 개폐프레임(320)의 수용을 허용하는 지지횡바(311);와, 지지횡바의 어느 일면에 형성되어 선회 움직임을 실행하는 손잡이(312);와, 개폐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을 조작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동일 선상에서 양측으로 구분 천공되는 슬라이드홀(313);로 구성된다.The upper folding guide portion 310, which is feat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ing transverse bar 311 disposed transversel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let sulbar 370 to allow the opening / closing frame 320 to be accommodated therein, And a slide hole 313 whic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on the same line to manipulate sliding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위 지지횡바(311)는 손잡이(312)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손잡이 조작에 의해 양측 입설바(370)를 수단으로 회전되는바, 이러한 지지횡바의 회전은 결국 개폐유도부의 록킹부(323)를 선회시켜 방향 전환을 유도하게 되므로 잠금 행위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The upper support transverse bar 31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312 and is rotated by means of the double-sided reed bar 370 by the operation of a knob. The rotation of the support transverse bar eventually causes the locking portion 323 of the open / So that it is used as a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lock.

위 손잡이(312)는 전술한 것과 같이 지지횡바(311)의 회전 움직임을 유발하는 수단이며,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기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특히 본 발명의 손잡이는 종래와 달리 지지횡바의 중앙에 형성되고 손잡이 좌우 양측의 인접 영역으로 슬라이드홀(313)을 구분 천공하여 접이 행위가 구현됨에 있어 편의성을 극대화한다.It is obvious that the upper handle 312 is a means for causing the rotary motion of the support transverse bar 311 as described above, and the shape thereof can be various other than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In particular,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transverse bar, and the slide hole 313 is divided into the adjacent areas on both sides of the handle, thereby maximizing convenience.

위 슬라이드홀(313)은 후술하게 될 개폐프레임의 조작간(322)이 위치되면서 접이 행위와 관련한 요부 움직임을 적극 실행하는바, 그 형상 및 크기는 고정바(210) 내부 공간으로 출입되는 록킹부(323) 및 돌출부(353)의 수평 슬라이드 거리를 감안하여 설정되어야 한다.The upper slide hole 313 positively performs the movement of the lumbar part related to the folding action while the interspace 322 of the open / close frame to be described later is positioned, The horizontal slide distance of the projecting portion 323 and the projecting portion 353.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관련 구성에 의하여 잠금 행위 여부가 결정될 수 있음을 단계적으로 구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5 to 7 are use state diagrams showing that the lock action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lated configurati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해 위 폴딩유도부(310)는 손잡이(312)의 위치 가변으로 슬라이드홀(313)에 구속된 개폐프레임(320)의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개폐프레임과 고정바의 구속홀(211)이 서로 형상적으로 일치되는지 여부에 의해 개폐프레임을 고정바의 구속홀로 인입 내지 인출 허용되게 하거나 또는 구속홀로 인입된 개폐프레임을 구속시켜 지지프레임(200)과 조작프레임(300)의 입설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To this end, the upper folding guide part 31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grip 312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 closing frame 320 bound to the slide hole 313, , The opening / closing frame is allowed to be pulled in or out from the restraining hole of the fixed bar, or the opening / closing frame pulled in the restraining hole is restricted so that the standing state of the supporting frame 200 and the operating frame 300 is maintain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개폐프레임 및 보조잠금수단의 관련 구성을 상세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related constitu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and the auxiliary locking means which are other essential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위 개폐프레임(320)은 지지횡바(311)의 내부 공간에서 양측으로 구분하여 이격 배치되는 유동바(321);와, 유동바로부터 연직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드홀(313)에 끼움 개재되는 조작간(322);과, 유동바의 일측 단부에서 조작간의 돌출 방향과 직교되게 연장 형성되는 록킹부(323);로 구성됨에 따라 조작간(322)의 방향 전환으로 록킹부(323)의 방향을 전환 유도함으로써 해당 록킹부가 고정바의 구속홀(211)로 인입 내지 인출 허용되게 하거나 또는 구속홀로 인입된 록킹부를 구속되게 한다.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frame 320 includes a movable bar 321 separa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ing transverse bar 3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and a movable bar 321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movable bar 311 and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313 And a locking portion 323 formed at one end of the flow bar and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bar 322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portion 323 by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inter- So that the locking portion is allowed to be drawn in or out of the restraining hole 211 of the fixing bar, or the locking portion drawn into the restraining hole is restrained.

위 조작간(322)은 폴딩유도부의 제반 구성인 슬라이드홀(313)에 의해 지지횡바(3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취하고, 이러한 구성은 손잡이(312)를 파지한 상태의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쉬운 개폐프레임(320)의 개별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조작간(322)은 보다 탄력적인 움직임이 유발되도록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미도시함)를 적용하여 해당 탄성체에 기반을 둔 횡단 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The upper operation handle 322 is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support transverse bar 311 by the slide hole 313 which is a general constitution of the folding guide portion.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operator holding the handle 312 to move Closing frame 320 can be individually operated. At this time, the operation space 322 can be made to be transversely moved based on the elastic body by applying an elastic body (not shown) such as a spring so as to cause a more elastic movement.

위 록킹부(323)는 구속홀(211) 및 키홈(371)의 형상, 크기에 비해 확장되지 않은 범위에서 제공되어야 하고, 유동바(321)의 선회 움직임에 기인하여 방향 전환이 되면서 해당 구속홀 또는 키홈을 통과하게 되거나 인입된 그 위치에서 구속된다.The upper locking portion 323 must be provid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expand relative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constraint hole 211 and the key groove 371 and the direction of the movable bar 321 is changed due to the turning movement of the moving bar 321, Or is constrained at that position through which the keyway is passed or through.

위 유동바(321)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록킹부(323)의 근접 위치로 슬롯(324)을 더 천공하여 보조잠금수단(350)이 하향 거치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upper flow bar 321 is formed hollow and further punctures the slot 324 in the proximate position of the locking portion 323 to cause the auxiliary locking means 350 to be downwardly mounted.

여기서 위 보조잠금수단(350)은 조작간(322) 및 록킹부(323)의 방향 전환시 슬롯(324)에 안내되면서 유동바(321)로부터 하향된 상태로 위치 보존되고, 조작프레임의 입설바(370) 내부에서 록킹부와 동일한 수평 움직임이 유도됨에 따라 지지프레임의 고정바(210) 내부로 인입 여부를 결정지음으로써 조작프레임(300)과 지지프레임(200)이 서로 간섭되게 한다.The upper auxiliary locking means 350 is guided by the slot 324 when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portion 322 and the locking portion 323 and is stored in a downward state from the moving bar 321, The operation frame 300 and the support frame 200 are interfered with each other by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fixing bar 210 of the support frame as the same horizontal movement as the locking part is induced in the support frame 370.

즉 본 발명에서는 보조잠금수단(350)이 폴딩유도부(310) 및 개폐프레임(320)의 회전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 방향의 슬롯(324)을 형성하고, 이러한 슬롯에 의해 해당 보조잠금수단은 유동바에 일단이 수용된 상태에서도 하향 거치된 위치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입설바(370) 내부 공간을 이탈하지 않는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locking means 350 forms a vertical slot 324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folding guide portion 310 and the opening / closing frame 320, It can be held in the downwardly stowed position even when the one end is accommodated.

이때 위 보조잠금수단(350)은 하나의 행위로 상하 구분된 공간에서 이중으로 잠금 여부가 결정되게 하여 요부 단락에 의한 결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바, 관련 구성은 유동바(321) 내측에 수용되는 거치부(351);와, 거치부의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입설바(370) 내부에 위치되는 연장부(352);와, 연장부 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돌출부(353);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upper auxiliary locking means 350 may be double locked or unlocked in an upper and a lower divided space by one action, so as to solve the shortcomings due to shorting of the main body. An extension 352 located inside the mouth sulphone 370 whil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mount, and a protrusion 353 bent at the end of the extension.

결과적으로 위 돌출부(353)는 입설바(370) 및 고정바(210)에 각각 천공 형성시킨 관통홀(378)과 통공(218)에 의해 횡단 이동이 허용되면서 이중적인 잠금 행위가 구현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upper projecting portion 353 is allowed to be traversed by the through holes 378 and the through holes 218 formed in the inlet sulvers 370 and the fixing bars 210, respectively, so that a double locking operation can be realized.

한편, 본 발명의 조작프레임(300) 상간에는 양단으로 끼움부(391)가 형성된 횡단지지대(390)를 더 개재하여 서로 지지될 수 있게 하는바, 이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다.In the meantime, the transverse support 390 formed with the fitting portion 391 at both ends is further supported between the operation fram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이러한 횡단지지대(390)는 위 끼움부(391)에 의해 보다 쉽게 탈·부착되는 등 자칫 보관된 물품으로 조작프레임(300)이 치우치지 않도록 하는 것과 아울러 조작프레임 상간 폭을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는 물론 제반 기능성을 적극 발휘하게 된다.The transverse support 390 is structured such that the operation frame 300 is prevented from being deviated to the article stored by the upper fitting portion 391 and is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by the upper fitting portion 391, Due to the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functions as well as convenience.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프레임(300)과 지지프레임(200)을 베이스프레임(100)으로부터 개별 절첩되게 하는 접이식 구조를 구현하되 이러한 접이식 구조는 사면 모두가 순차적으로 완전히 포개지는 등 제반 구성이 기존과 차별화되므로 기능성의 극대화와 함께 경량화, 내구성 강화, 원가 절감, 회수가능에 기여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의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1)는 폴딩유도부(310)를 비롯한 개폐프레임(320)의 관련 구조에 의하여 보다 확실하게 위치 제어될 뿐 아니라 손잡이(312)의 방향 전환 및 이러한 손잡이를 기점으로 측 방향 슬라이드 구동되는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견고한 잠금 상태가 구현될 수 있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 folding structure for individually folding the operation frame 300 and the support frame 200 from the base frame 100 is implemented. In this folding structure, all of the slopes are completely superposed Since all components ar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s, they have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functionality and contributing to weight reduction, durability enhancement, cost reduction, and recovery. In particular, the slope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vely controlled by the relative structure of the opening / closing frame 320 including the folding guide portion 310, and is also capable of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handle 312, The advantage is also expected that a robust locking condition can be realized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lateral slide driving.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잠금 수단의 구성을 적극 개선하여 상하 이중으로 록킹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보조잠금수단(350)이 더 부가되는바, 록킹부(323)에 치중되는 외압으로 인해 요부 단락이 초래될 경우 이러한 기능을 대체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에 극복하지 못하던 치명적인 결점을 해소하게 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supplementary locking means 350 is provided which can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means described above and determine whether the locking means is to be locked up or down. As a consequence, ex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locking portion 323 causes short- It is possible to replace such a function, thereby eliminating the fatal defects that have not been overcome in the past.

1.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
100. 베이스프레임
200. 지지프레임
300. 조작프레임
1. Slope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100. Base frame
200. Support frame
300. Operation frame

Claims (10)

격자 형상의 베이스프레임(100); 베이스프레임의 대향하는 양측에서 입설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00); 서로 대향 배치된 지지프레임을 매개로 베이스프레임의 다른 양측에서 입설 배치되는 조작프레임(300);을 포함하되,
위 베이스프레임(100)은 각 모서리 영역으로 보강브래킷(110)을 체결하고, 위 보강브래킷(110)은 지지프레임(200) 양단에 위치한 고정바(210)와 중첩되면서 지지프레임의 입설 상태를 지속시키고, 위 고정바(210)는 조작프레임(300)과 접촉되는 일면에서 관통 형성되어 개폐프레임(320)의 인입 내지 인출을 허용하는 구속홀(211);과, 상향 적층 시 베이스프레임(10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 외면에 고정 체결되는 지지앵글(212);을 포함하고,
위 조작프레임(300)은 지지프레임(200)의 고정바(210)와 대응하는 입설바(370);와, 입설바 상단에 횡단 배치되어 일 방향 선회 움직임을 갖는 폴딩유도부(310);와, 폴딩유도부 양단에 구분 수용되고 수평 슬라이드 움직임에 기인하여 고정바(210)로의 진입 여부가 결정되는 개폐프레임(320);을 포함하고, 위 입설바(370)는 고정바의 구속홀(211)과 대응하는 형상의 키홈(371);과, 개폐프레임(320)의 거치를 위하여 라운드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면(372);과, 베이스프레임(100)에 형성한 연결부(140)로 끼움 개재되도록 돌출 형성시킨 구속편(373);을 포함하며,
위 조작프레임(300)과 지지프레임(200)은 절첩 가능하게 형성하여 베이스프레임(100) 상방으로 순차 개구되면서 다단 포갬이 유도되고,
위 조작프레임(300)은 90°범위 내에서 선회하는 폴딩유도부(310)의 위치 결정에 기인하여 폴딩유도부 양단에서 개폐프레임(320)의 개별 수평 슬라이드가 허용됨에 따라 이웃하는 각 지지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으로 개폐프레임의 진입 여부를 결정지음으로써 지지프레임과의 상호 구속력이 유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
A lattice-shaped base frame 100; A support frame (200)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base frame; And an operation frame (30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via a support fram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upper base frame 100 fastens the reinforcing bracket 110 to each corner area and the upper reinforcing bracket 110 overlaps with the fixing bar 210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ing frame 200, The upper fixing bar 210 includes a constraining hole 211 penetrating through the one side of the upper frame 200 that contacts the manipulation frame 300 to allow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20 to be pulled out or drawn out, And a support angle (212) fixedly coupled to an upp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he upper operation frame 300 includes a mouth sorter 370 corresponding to the fixing bar 210 of the support frame 200, a folding guide 310 having a one-direction swing motion transversely disposed on the mouth sorter upper end, And an opening / closing frame 320 divided and accommodated at both ends of the folding guide part and determined whether to enter the fixed bar 210 due to the horizontal slide movement. A cutout surface 372 formed in a round shape for mounting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20 and a connection portion 140 formed in the base frame 10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keytap 371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And a restraining piece (373) protruding therefrom,
The upper operation frame 300 and the support frame 200 are formed to be foldable and are sequentially opened above the base frame 100 to induce multi-
The upper operation frame 300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spective adjacent support frames 200 as the individual horizontal slide of the open / close frame 320 is allowed at both ends of the folding guide portion due to the positioning of the folding guide portion 310, Wherein the interfitting force between the opening frame and the support frame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opening / closing frame is enter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lanting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위 보강브래킷(1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인입홀(111);과, 상단에서 하향 함몰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요홈(112);을 포함하고,
위 고정바(210)는 요홈으로 안착되면서 구속력이 유발되는 돌출형 걸림편(213);과, 인입홀에 개재되어 상하 슬라이드 및 선회 움직임을 유도하는 구속편(214);으로 형성됨에 따라 인입홀(111)이 제공하는 공간의 범위 내에서 지지프레임(200)의 리프팅을 가능하게 하여 요홈(112)으로부터 걸림편(213)이 이탈되고 지지프레임의 절첩이 실시되는 것을 포함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reinforcing bracket 110 includes a receiving hole 111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nd a groove 112 formed as a space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The upper fixing bar 210 is formed of a protruding engaging piece 213 which is seated by a groove and induces a restraining force and a restraining piece 214 which is interposed in the receiving hole and induces up-and-down slide and swing movement, Which allows lifting of the support frame (200) within a range of the space provided by the support frame (111) to release the retaining piece (213) from the recess (112) .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위 폴딩유도부(310)는 입설바(370) 상간에서 횡단 배치되고 중공으로 형성하여 개폐프레임(320)의 수용을 허용하는 지지횡바(311);와, 지지횡바의 어느 일면에 형성되어 선회 움직임을 실행하는 손잡이(312);와, 개폐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을 조작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동일 선상에서 양측으로 구분 천공되는 슬라이드홀(313);을 포함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upper folding guide portion 310 includes a support transverse bar 311 disposed transversely between the inlet sulvers 370 and hollow to allow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20 to be received therein, And a slide hole (313) that is divided and punched to both sides on the same line of the handle to manipulate slide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제5항에 있어서,
위 폴딩유도부(310)는 손잡이(312)의 위치 가변으로 슬라이드홀(313)에 구속된 개폐프레임(320)의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개폐프레임과 고정바의 구속홀(211)이 서로 형상적으로 일치되는지 여부에 의해 개폐프레임을 고정바의 구속홀로 인입 내지 인출 허용되게 하거나 또는 구속홀로 인입된 개폐프레임을 구속시켜 지지프레임(200)과 조작프레임(300)의 입설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folding guide portion 31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grip 312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320 bound to the slide hole 313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and the fixing bar binding holes 211 shape Which is provided to allow the opening / closing frame to be pulled in or out from the restraining hole of the fixing bar or to restrain the opening / closing frame drawn in the restraining hole so that the standing state of the supporting frame 200 and the operating frame 300 is maintained,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s.
제5항에 있어서,
위 개폐프레임(320)은 지지횡바(311)의 내부 공간에서 양측으로 구분하여 이격 배치되는 유동바(321);와, 유동바로부터 연직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드홀(313)에 끼움 개재되는 조작간(322);과, 유동바의 일측 단부에서 조작간의 돌출 방향과 직교되게 연장 형성되는 록킹부(323);로 구성됨에 따라 조작간(322)의 방향 전환으로 록킹부(323)의 방향을 전환 유도함으로써 해당 록킹부가 고정바의 구속홀(211)로 인입 내지 인출 허용되게 하거나 또는 구속홀로 인입된 록킹부를 구속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frame 320 includes a movable bar 321 separa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ing transverse bar 3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and a movable bar 321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movable bar 311 and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313 And a locking portion 323 formed at one end of the flow bar and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bar 322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portion 323 by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inter- Thereby allowing the locking part to be pulled in or out of the restraining hole (211) of the fixing bar, or to restrain the locking part that is pulled into the restraining hole.
제7항에 있어서,
위 유동바(321)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록킹부(323)의 근접 위치로 슬롯(324)을 더 천공하여 보조잠금수단(350)이 하향 거치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되,
위 보조잠금수단(350)은 조작간(322) 및 록킹부(323)의 방향 전환시 슬롯(324)에 안내되면서 유동바(321)로부터 하향된 상태로 위치 보존되고, 조작프레임의 입설바(370) 내부에서 록킹부와 동일한 수평 움직임이 유도됨에 따라 지지프레임의 고정바(210) 내부로 인입 여부를 결정지음으로써 조작프레임(300)과 지지프레임(200)이 서로 간섭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upper flow bar 321 is formed hollow and further punctures the slot 324 in the proximate position of the locking portion 323 to cause the auxiliary locking means 350 to be downwardly mounted,
The upper auxiliary locking means 350 is held in a downward state from the moving bar 321 while being guided in the slot 324 when the operation interrupter 322 and the locking portion 323 are switched in direction, 370), the operation frame 300 and the support frame 200 are caused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by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fixing bar 210 of the support frame, Folding type packaging containers.
제8항에 있어서,
위 보조잠금수단(350)은 유동바(321) 내측에 수용되는 거치부(351);와, 거치부의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입설바(370) 내부에 위치되는 연장부(352);와, 연장부 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돌출부(353);를 포함하고,
위 돌출부(353)는 입설바(370) 및 고정바(210)에 각각 천공 형성시킨 관통홀(378)과 통공(218)에 의해 횡단 이동이 허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pper auxiliary locking means 35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351 accommodated inside the flow bar 321, an extension portion 352 located inside the mouth reverberation portion 370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mounting portion, And a protrusion 353 bent at the negative end,
Wherein the upper projection 353 includes a through hole 378 formed in the mouth sulphone 370 and the fastening bar 210 respectively and a transverse movement allowed by the through hole 218.
제1항에 있어서,
위 조작프레임(300) 상간에는 양단으로 끼움부(391)가 형성된 횡단지지대(390)를 더 개재하여 서로 지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nsverse support (390) having a fitting portion (391) formed at both end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operation frames (300) so as to be supported by each other.
KR1020160071199A 2016-06-08 2016-06-08 Folding type packing container KR101676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199A KR101676273B1 (en) 2016-06-08 2016-06-08 Folding type packing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199A KR101676273B1 (en) 2016-06-08 2016-06-08 Folding type packing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273B1 true KR101676273B1 (en) 2016-11-15

Family

ID=5752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199A KR101676273B1 (en) 2016-06-08 2016-06-08 Folding type packing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27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318A (en) * 2019-05-02 2020-11-11 김해일 A assembly type pallet
KR200493901Y1 (en) * 2020-06-19 2021-06-23 김현수 Shelf bridge structure for folding box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379A (en) 1992-06-10 1994-01-03 김성우 Advanced treatment of manure and high concentration organic wastewater
JP2011207532A (en) * 2010-03-12 2011-10-20 Nikken Build:Kk Handle connection structure of assembly box pallet
KR20120046487A (en) * 2010-11-02 2012-05-10 현기훈 Container type foldable pallet
KR20130002745U (en) * 2011-10-28 2013-05-08 주식회사 아이피엔엘 Folding pallet of the automobile parts lift
KR101296685B1 (en) 2013-02-04 2013-08-14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Dumping and folding type box pallet
JP2013227077A (en) * 2012-03-30 2013-11-07 Hiroshima Ps:Kk Foldable palle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379A (en) 1992-06-10 1994-01-03 김성우 Advanced treatment of manure and high concentration organic wastewater
JP2011207532A (en) * 2010-03-12 2011-10-20 Nikken Build:Kk Handle connection structure of assembly box pallet
KR20120046487A (en) * 2010-11-02 2012-05-10 현기훈 Container type foldable pallet
KR20130002745U (en) * 2011-10-28 2013-05-08 주식회사 아이피엔엘 Folding pallet of the automobile parts lift
JP2013227077A (en) * 2012-03-30 2013-11-07 Hiroshima Ps:Kk Foldable pallet
KR101296685B1 (en) 2013-02-04 2013-08-14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Dumping and folding type box pall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318A (en) * 2019-05-02 2020-11-11 김해일 A assembly type pallet
KR102241222B1 (en) * 2019-05-02 2021-04-15 김해일 A assembly type pallet
KR200493901Y1 (en) * 2020-06-19 2021-06-23 김현수 Shelf bridge structure for folding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273B1 (en) Folding type packing container
KR100774107B1 (en) Folding table
AU2019217855B2 (en) Container
JP6721171B2 (en) Container lid and container
US8302436B2 (en) Linkage lock
CN102985326A (en) Container having side walls that can be folded over one another
JP2012523996A (en) Box with foldable and demountable outer wall
EP2205495A1 (en) Foldable crate with bidirectional manually releasable fastening mechanism
KR20120006461U (en) Fold type container
US3516592A (en) Collapsible transport box
JP5496818B2 (en) Box container
CN1997803A (en) A dual-mode titling/swinging roof window
KR101587588B1 (en) Foldable Container wherein front wall has locking unit for lower frames
CN204078302U (en) A kind of lockset and pallet box
JP2006160178A (en)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seat
KR200458806Y1 (en) Unified locking apparatus
WO2003035492A1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the transport of air cargo
JP5729722B2 (en) Transport cart
JP2007112453A (en) Apparatus for locking door panel of box-shaped pallet
JP2019038555A (en) Folding container
KR101698127B1 (en) Cover structure for a fold down box
KR20090007636U (en) folding type basket convenient for carriage and storage
JP4093817B2 (en) Attache case lock
KR200491800Y1 (en) carrier bag for retaining of storage space
JP2018167856A (en) Box pa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