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579B1 - 무선 경로 에이전트, 호 처리 장치 및 단말의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경로 에이전트, 호 처리 장치 및 단말의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579B1
KR101675579B1 KR1020110034301A KR20110034301A KR101675579B1 KR 101675579 B1 KR101675579 B1 KR 101675579B1 KR 1020110034301 A KR1020110034301 A KR 1020110034301A KR 20110034301 A KR20110034301 A KR 20110034301A KR 101675579 B1 KR101675579 B1 KR 10167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radio path
optimal
termin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583A (ko
Inventor
신성문
김민택
김영진
김대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107,287 priority Critical patent/US8583125B2/en
Publication of KR2011012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코어망에 위치한 무선경로 에이전트는 서로 다른 복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로부터 호가 시도되면, 전체 무선 자원 및 경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경로 중에서 최적 무선경로를 선정하여 제공한다. 그러면, 호 처리 장치는 무선경로 에이전트가 선정한 최적 무선경로를 통해 호 착신 단말로 호를 시도하여 정상적인 응답이 수신되면, 기지국을 통해 호를 시도한 단말로 최적 무선경로를 전송한다.

Description

무선 경로 에이전트, 호 처리 장치 및 단말의 통신 방법{RADIO ROUTING AGENT, CALL PROCESSOR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ERMINAL}
본 발명은 최적 무선경로를 제공하는 무선경로 에이전트, 호 처리 장치 및 상기 최적 무선경로를 통한 단말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래 무선·이동통신시스템은 스마트폰 발전과 함께, 초광대역·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여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단말기는 더욱 더 광대역·지능화되어 여러 형태의 액세스 네트워크에서도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네트워크는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단말기 또한 다양하고 초고속화된 서비스에 적합한 최적의 무선 통신 경로를 선택하여 통신 비용을 절감하여야 할 수 있어야 한다.
단말기와 단말기 간(Mobile to Mobile) 또는 단말기와 네트워크(Mobile to Land 또는 Land to Mobile) 통신에서, 현재 무선·이동 공중망 통신 방식에서는 반드시 단말기는 기지국을 거쳐 핵심망(CN; Core Network)을 거쳐야 한다.
이와는 달리, 일부 사설 무선망(Adhoc-Network)에서는 사설망에 등록된 한정된 단말기들 간에 한해서, 단말기 간에 직접 통신하는 방식이 있다.
이들 기존 방식들은 무선·이동 공중망에서의 단말기 간에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방식이 없기 때문에, 한정된 무선자원을 고려하면 미래 초광대역·지능화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미래 무선·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초광대역·지능화된 무선·이동 통신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단말기와 단말기 간, 단말기와 기기국 간 및 기지국과 기지국 간의 통신을 지원한는 최적 무선경로를 제공하는 무선경로 에이전트, 호 처리 장치 및 상기 최적 무선경로를 통한 단말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무선경로 에이전트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전체 무선 자원 및 경로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부; 및 서로 다른 복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로부터 호가 시도되면, 상기 관리부와 연동하여 전체 무선 자원 및 경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경로 중에서 최적 무선경로를 제공하는 경로 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호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서로 다른 복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로부터 호가 시도되면, 코어망에 위치한 무선경로 에이전트에게 상기 호 처리를 위한 최적 무선경로를 쿼리하여 수신하는 쿼리부; 및 상기 최적 무선경로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통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의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서로 다른 복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최적 무선경로-상기 최적 무선경로는 상기 기지국과 연결된 코어망에 위치하는 무선경로 에이전트가 전체 무선 자원 및 경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경로 중에서 선정한 무선경로임-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최적 무선경로를 통하여 호 착신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구간 통신에서 단말기와 기지국의 구분없이 단말기와 기지국을 하나의 노드(점)로 간주하며, 노드 간 통신에서는 네트워크로부터 최적 경로를 동적(Dynamic)으로 구하여 통신함으로써 노드간의 통신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해체하여 무선자원 이용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킨다.
따라서, 초광대역·지능화 무선·이동 통신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중 무선·이동 통신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경로 에이전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무선경로를 통한 단말 간의 일련의 통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MS, SS, PSS, AT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무선경로를 제공하는 무선경로 에이전트, 호 처리 장치 및 상기 최적 무선경로를 통한 단말의 통신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중 무선·이동통신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용한 모든 무선·이동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와 단말기 간(Mobile to Mobile) 또는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Mobile to Land 또는 Land to Mobile) 통신에서 무선구간 장치인 단말(단말 A, 단말 B)(100, 200) 및 기지국(기지국 A, 기지국 B)(300, 400)은 단말과 기지국의 구분없이 모두 하나의 노드(점, Point)로 간주한다.
여기서, 단말 A(100), 단말 B(200)는 무선구간 장치이고, 서로 다른 복수의 접속망(Access Network)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복합 단말이다.
또한, 도 1의 공중 무선·이동통신 시스템은 현재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2가지 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첫째는, 도 1의 공중 무선/이동 통신시스템은 특정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운영회사가 가용한 이동통신 시스템 모두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어느 특정 운용회사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및 무선인터넷망(WiFi) 등 4개 시스템을 가용할 수 있다면, 도 1에서의 공중 무선·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들 4개 시스템을 모두 포함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여기서, 코어망 A(500) 및 코어망 B(600)는 특정 사업자의 2개의 가용 시스템을 나타낸다.
또한, 모든 공중 무선·이동통신시스템은 단말기, 기지국, 핵심망으로 구성되므로, 도 1의 단말(100, 200), 기지국(300, 400), 코어망(500, 600)은 이들 4개 시스템에 모두 해당하는 단말기, 기지국, 핵심망이다.
둘째는 코어망(500)은 전체 무선 자원 및 경로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가입자의 서비스에 맞는 최적 경로를 가입자에게 알려주는 무선경로 에이전트(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경로 에이전트(530)는 가용 시스템의 전체 무선자원을 총괄해야 하며, 도 1의 예시도에서는 하나의 무선경로 에이전트를 가정하였다.
이러한 무선경로 에이전트(530)는 무선 통신구간 장치인 단말(100, 200), 기지국(300, 400) 및 이들 장치간의 최적 경로를 구하여 무선 노드간 통신을 지원하는 핵심망(500)의 무선경로 대리 장치이다. 노드(100, 200, 300, 400) 간 최적 무선경로를 동적으로 네트워크로부터 구하여 제공한다.
호를 시도한 단말 A(100)와 호를 착신할 상대 가입자 단말 B(200) 간의 최적 무선경로는 여러 노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최적 무선경로는 무선경로 에이전트(530)로부터 제공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도 2를 참조하면, 호 처리 장치(510)는 쿼리부(511), 확인부(513) 및 통보부(515)를 포함한다.
쿼리부(511)는 단말 A(100)로부터 호가 시도되면, 코어망 A(500)에 위치한 무선경로 에이전트(530)에게 호 처리를 위한 최적 무선경로를 쿼리하여 수신한다.
확인부(513)는 쿼리부(511)가 수신한 최적 무선경로에 포함된 호 처리 장치B(610)로 호를 시도하여 정상적인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통보부(515)는 확인부(513)가 최적 무선경로에 포함된 호 처리 장치 B(6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쿼리부(511)가 최적 무선경로를 단말 A(100)로 전송한다.
이때, 확인부(513)가 최적 무선경로에 포함된 호 처리 장치 B(610)로부터 정상적인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쿼리부(511)는 무선경로 에이전트(530)에게 최적 무선경로 다시 쿼리하여 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경로 에이전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경로 에이전트(530)는 관리부(531) 및 경로 선정부(533)를 포함한다.
관리부(531)는 전체 무선 자원 및 경로 상태를 관리한다.
경로 선정부(533)는 단말 A(100)로부터 호가 시도되면 호 처리 장치 A(510)의 요청에 따라 관리부(531)와 연동하여 전체 무선 자원 및 경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경로 중에서 최적 무선경로를 선정하여 호 처리 장치 A(510)로 제공한다.
이때, 경로 선정부(533)는 호 처리 장치 A(510)가 최적 무선경로에서 호 처리에 실패한 경우, 최적 무선경로 쿼리를 다시 수신한다. 그러면, 관리부(531)와 연동하여 전체 무선 자원 및 경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경로 중에서 최적 무선경로를 재선정하게 된다.
이처럼, 도 2 및 도 3의 구성에서는 최적 무선경로에서의 호 처리에 실패하게 되면, 최적 무선경로 재선정을 반복한다.
그러면, 이상 기술한 구성에 기초하여 최적 무선경로를 통한 단말 간의 일련의 통신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무선경로를 통한 단말 간의 일련의 통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경로 에이전트(530)는 네트워크에서 수집한 무선자원 경로 기록을 관리한다(S101).
이후, 단말 A(100)가 기지국 A(300)로 호를 시도한다(S103). 그러면, 기지국 A(300)는 단말 A(100)의 호 시도 신호를 핵심망 A(500)의 호 처리 장치 A(510)로 전달한다(S105).
호 처리 장치 A(510)는 요청 호의 서비스에 따라 최적 무선경로를 무선경로 에이전트(530))에게 쿼리한다(S107).
그러면, 무선경로 에이전트(530)는 관리중인 무선자원 경로 기록에 따라 요청된 호의 서비스에 맞는 최적 무선경로를 선정(S109)하여 호 처리 장치 A(510)에게 통보한다(S111).
호 처리 장치 A(510)는 통보된 최적 무선경로 상의 호 처리 장치 B(610), 기지국 B(400) 및 단말 B(200)에게 호를 시도(S113, S115, S117)한다.
이때, 정상적인 호 응답을 수신(S119)하면, 기지국 A(300)에게 최적 무선경로를 통보한다(S121). 그러면, 기지국 A(300)는 단말 A(100)에게 최적 무선경로를 통보한다(S123).
이후, 단말 A(100)는 통보된 최적 무선경로 정보에 따라 상대 단말 즉 단말B(200)와 통신한다(S125)).
만약, 위 단계들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이상이 있을 경우, 이상있는 단계는 이전 단계를 포함하여 필요한 단계를 이상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또한, 최적 무선경로는 무선자원 상태에 따라 수시로 동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경로가 바뀔 필요가 있을 때는 S103 단계~S125 단계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전체 무선 자원 및 경로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부; 및
    서로 다른 복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로부터 호가 시도되면, 상기 관리부와 연동하여 전체 무선 자원 및 경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경로 중에서 최적 무선경로를 제공하는 경로 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 무선경로는 복수의 노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노드는, 복수의 단말 및 복수의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노드는 단말인지 기지국인지 구분되지 않으며,
    특정 사업자의 가용 시스템인 코어망에 포함되고, 상기 가용 시스템의 전체 무선 자원을 총괄하고,
    상기 경로 선정부는,
    상기 단말과 접속된 호 처리 장치가 상기 최적 무선경로에서 호 처리에 실패한 경우, 상기 호 처리 장치로부터 최적 무선경로 쿼리가 다시 수신되면, 상기 관리부와 연동하여 전체 무선 자원 및 경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경로 중에서 최적 무선경로를 재선정하는 무선경로 에이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선정부는,
    상기 단말과 접속된 호 처리 장치로부터 최적 무선경로 쿼리를 수신하여 최적 무선경로가 선정되면, 상기 호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경로 에이전트.
  3. 삭제
  4. 서로 다른 복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로부터 호가 시도되면, 특정 사업자의 가용 시스템인 코어망에 포함되고, 상기 가용 시스템의 전체 무선 자원을 총괄하는 무선경로 에이전트에게 상기 호 처리를 위한 최적 무선경로를 쿼리하여 수신하는 쿼리부; 및
    상기 최적 무선경로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통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 무선경로는 복수의 노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노드는, 복수의 단말 및 복수의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노드는 단말인지 기지국인지 구분되지 않으며,
    상기 쿼리부는,
    상기 최적 무선경로에서 호 처리에 실패한 경우, 상기 무선경로 에이전트에게 상기 쿼리를 재전송하여 재선정된 최적 무선경로를 수신하는 호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부가 수신한 최적 무선경로에 포함된 호 처리 장치로 호를 시도하여 정상적인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보부는,
    상기 확인부가 정상적인 응답을 상기 최적 무선경로에 포함된 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최적 무선경로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호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부는,
    상기 확인부가 상기 정상적인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무선경로 에이전트에게 최적 무선경로 쿼리를 재수행하는 호 처리 장치.
  7. 서로 다른 복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최적 무선경로-상기 최적 무선경로는 상기 기지국과 연결된 코어망에 위치하는 무선경로 에이전트가 전체 무선 자원 및 경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경로 중에서 선정한 무선경로임-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최적 무선경로를 통하여 호 착신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 무선경로는 복수의 노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노드는, 복수의 단말 및 복수의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노드는 단말인지 기지국인지 구분되지 않으며,
    상기 무선 경로 에이전트는 특정 사업자의 가용 시스템인 코어망에 포함되고, 상기 가용 시스템의 전체 무선 자원을 총괄하고, 상기 최적 무선경로에서 호 처리에 실패한 경우, 상기 호를 처리하는 장치의 요청에 따라 최적 무선경로를 재선정하는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무선경로는,
    상기 호 착신 단말로부터 정상적인 호 응답이 수신된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KR1020110034301A 2010-05-13 2011-04-13 무선 경로 에이전트, 호 처리 장치 및 단말의 통신 방법 KR101675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07,287 US8583125B2 (en) 2010-05-13 2011-05-13 Radio routing agent, call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037 2010-05-13
KR20100045037 2010-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583A KR20110125583A (ko) 2011-11-21
KR101675579B1 true KR101675579B1 (ko) 2016-11-11

Family

ID=4539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301A KR101675579B1 (ko) 2010-05-13 2011-04-13 무선 경로 에이전트, 호 처리 장치 및 단말의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57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0270A (ja) * 2004-06-04 2006-01-19 Ntt Docomo Inc ハンドオーバー制御装置、無線リソース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リソース管理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
US7742498B2 (en) * 2005-05-17 2010-06-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a call to a dual mode wireless device
US8144593B2 (en) * 2006-11-17 2012-03-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rout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583A (ko)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9098B (zh) 在移动通信系统中选择接入和移动性管理功能的方法和装置
ES2882473T3 (es) Seleccionar una entidad de función de plano de usuario (UPF) en una entidad de función de control de políticas (PCF) en base a la información de cambio de ubicación del terminal, proporcionada a partir de una entidad de función de gestión de sesión (SMF)
US11943698B2 (en) Method for providing subscription information on non-public networks to terminal
KR101578311B1 (ko)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정보의 탐색
US201801396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Communications System Scanning
US9480106B2 (en) Inter-base station logical interface communication using relay devices
CN115460685A (zh) 基站、接入和移动性管理功能实体及其方法
CN103391633A (zh) 网络接入方法及装置
CN103918310A (zh) 用于快速初始网络链路设立的系统和方法
CN103891357A (zh) 用于快速初始网络链路设立的系统和方法
CN103891358A (zh) 用于快速初始网络链路设立的系统和方法
CN103907391A (zh) 用于快速初始网络链路设立的系统和方法
US20170006536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network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isolated e-utran operation for public safety
CN103907378A (zh) 用于快速初始网络链路设立的系统和方法
KR20090077593A (ko) 메쉬 네트워크의 설정을 위한 능동 스캔 방법
CN104025662A (zh) 用于快速初始网络链路设立的系统和方法
WO2016177106A1 (zh) 专用核心网的选择方法和装置
KR101660857B1 (ko) 통신 방법 및 시스템,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단말기, 및 코어 네트워크 기기
KR20070099046A (ko)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 발견 방법 및 그 장치
CN102316528B (zh) 基于网络共享资源管理的方法及系统
US201601199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wireless lan according to camping cell
US202400809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6514403A (ja) アクセスポイントの情報を指示及び取得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75579B1 (ko) 무선 경로 에이전트, 호 처리 장치 및 단말의 통신 방법
US87508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data among mobile stations via a base-st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