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312B1 -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312B1
KR101675312B1 KR1020150084110A KR20150084110A KR101675312B1 KR 101675312 B1 KR101675312 B1 KR 101675312B1 KR 1020150084110 A KR1020150084110 A KR 1020150084110A KR 20150084110 A KR20150084110 A KR 20150084110A KR 101675312 B1 KR101675312 B1 KR 101675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
information
list
recognized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H04M1/2745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단말기의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폰북 정보와 통화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폰북 리스트를 생성하고, 수신된 폰북 정보 중 즐겨 찾기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고, 음성이 수집되면 수집된 음성에서 이름을 인식하고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상기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고, 우선순위 리스트에 상기 인식된 이름이 비존재하면 폰북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제어부; 및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와, 우선 순위 리스트가 설정된 폰북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름별 즐겨찾기 설정 여부와 이름별 통화 내역 정보에 기초한 폰북 리스트에 우선 순위 리스트를 포함시키고 음성이 인식되면 인식된 이름을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1차로 검색함으로써 검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인식 실패 시 오인식 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계속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음성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선순위 리스트를 통한 음성 인식률 향상으로, 운전 중 통화 조작에 따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Sound recognition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화 통화 시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수신인을 선택하기 위한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계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이러한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기능, 시트 열선 기능,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 기능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한다.
차량은 부가적인 각종 기능의 동작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헤드 유닛을 포함하고,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 기능 등의 동작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한다.
차량은 외부 단말기인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이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출력 장치와 외부 단말기 간 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출력 장치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및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은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의 단말기에 전송하여 길을 안내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단말기와 차량의 단말기와의 미러링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오디오 기능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 통화 기능이 차량 내부에서 수행되도록 한다.
즉 차량은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의 각종 기능이 차량 내부에서 수행되도록 한다.
차량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입력부는 하드 키(hard key) 방식, 터치 방식, 제스처 인식 방식 및 음성 인식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입력부를 하드 키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에는 다수의 하드 키를 구비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넓은 공간이 소모되거나, 소수의 하드 키로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 부하가 늘어나는 문제가 있고 야간 시 물리적 버튼의 식별을 위한 버튼 조명 LED(light-emitting diode)과, 버튼 기구물이 필요하여 입력부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입력부를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을 일일이 터치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 운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입력부를 제스처 인식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에는 손의 동작이 부자연스러운 제스처이거나 의도하지 않은 손의 움직임 등에서 동작 명령이 오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복수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명령의 제스처를 모두 습득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각각의 동작 명령을 서로 다른 제스처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입력부를 음성 인식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에는 음성 인식의 오인식으로 인해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발화를 해야 하거나 인식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측면은 사용자 단말기의 폰북 정보 및 통화 내역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되 우선순위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통화 시도를 위한 음성이 인식되면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1차적으로 검색하고, 인식된 이름이 검색되지 않으면 나머지 폰북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2차적으로 검색하는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이름별 통화 횟수와 음성 인식의 성공 횟수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는 통화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단말기의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폰북 정보와 통화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폰북 리스트를 생성하고, 수신된 폰북 정보 중 즐겨 찾기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고, 음성이 수집되면 수집된 음성에서 이름을 인식하고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고, 우선순위 리스트에 인식된 이름이 비존재하면 폰북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제어부; 및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와, 우선 순위 리스트가 설정된 폰북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폰북 정보는, 이름과, 이름과 매칭된 전화번호와, 이름별 즐겨찾기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폰북 리스트는, 이름과, 이름과 매칭된 전화번호와, 이름과 매칭된 음성 인식횟수와, 이름과 매칭된 통화 횟수를 포함하되, 이름별로 설정된 순위를 포함한다.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부는, 폰북 리스트 중 순위가 높은 순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를 우선 순위 리스트로 설정한다.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부는,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와, 최근 통화 정보별 통화 횟수를 확인하여 순위를 정한다.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부는, 우선 순위 리스트 생성 이후에 카운트된 이름별 음성 인식 횟수와, 이름별 통화 횟수에 기초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우선 순위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부는,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 검색 시, 우선 순위 리스트 내의 이름과 인식된 이름의 매칭률을 각각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 중 기준 매칭률 이상인 매칭률을 확인하고, 확인된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하고 확인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한다.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부는,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이름을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군의 출력을 제어한다.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부는, 후보군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한다.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부는, 확인된 각각이 매칭률이 모두 기준 매칭률 미만이면 폰북 리스트 중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검색한다.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부는, 폰북 리스트 내의 이름과 인식된 이름의 매칭률을 각각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 중 기준 매칭률 이상인 매칭률을 확인하고, 확인된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하고 확인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한다.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부는,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이름을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군의 출력을 제어한다.
음성 인식 장치의 제어부는, 후보군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통화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음성을 수집하는 소리 수집부; 단말기의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폰북 정보와 통화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폰북 리스트를 생성하고, 수신된 폰북 정보 중 즐겨 찾기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고, 우선 순위 리스트가 설정된 폰북 리스트를 저장하고, 음성이 수집되면 수집된 음성에서 이름을 인식하고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고, 우선순위 리스트에 인식된 이름이 비존재하면 폰북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음성인식 장치; 음성 인식 장치 및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및 음성 인식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폰북 정보는, 이름과, 이름과 매칭된 전화번호와, 이름별 즐겨찾기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폰북 리스트는, 이름과, 이름과 매칭된 전화번호와, 이름과 매칭된 음성 인식횟수와, 이름과 매칭된 통화 횟수를 포함하되, 이름별로 설정된 순위를 포함한다.
차량의 음성 인식 장치는, 즐겨 찾기가 설정된 이름별 통화 횟수와,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별 통화 횟수와, 이름별 음성 인식 횟수에 기초하여 폰북 리스트 내 순위를 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음성 인식 장치는,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 검색 시, 우선 순위 리스트 내의 이름과 인식된 이름의 매칭률을 각각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 중 기준 매칭률 이상인 매칭률을 확인하고, 확인된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하고 확인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음성 인식 장치는,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이름을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후보군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을 음성인식하고, 메인 제어부는, 선정된 후보군의 출력을 제어하고, 표시부는, 선정된 후보군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음성 인식 장치는, 폰북 리스트 내의 이름과 인식된 이름의 매칭률을 각각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 중 기준 매칭률 이상인 매칭률을 확인하고, 확인된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하고 확인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음성 인식 방법은, 통화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통신하는 차량에 마련된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와의 페어링이 완료되면 단말기로부터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폰북 정보와 통화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폰북 리스트를 생성하고, 수신된 폰북 정보 중 즐겨 찾기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고, 우선 순위 리스트가 설정된 폰북 리스트를 저장하고, 음성 인식 기능이 선택되면 음성을 수집하고, 수집된 음성에서 이름을 인식하고,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고, 우선순위 리스트에 인식된 이름이 비존재하면 폰북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검색한다.
폰북 정보는, 이름과, 이름과 매칭된 전화번호와, 이름별 즐겨찾기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폰북 리스트는, 이름과, 이름과 매칭된 전화번호와, 이름과 매칭된 음성 인식횟수와, 이름과 매칭된 통화 횟수를 포함하되, 이름별로 설정된 순위를 포함하고, 즐겨 찾기가 설정된 이름별 통화 횟수와,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별 통화 횟수와, 이름별 음성 인식 횟수에 기초하여 폰북 리스트 내 순위를 정하고, 폰북 리스트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상위 리스트를 우선 순위 리스트로 설정한다.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것은, 우선 순위 리스트 내의 이름과 인식된 이름의 매칭률을 각각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 중 기준 매칭률 이상인 매칭률을 확인하고, 확인된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하고 확인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은,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이름을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군을 차량에 마련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음성을 수집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을 통해 후보군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폰북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것은, 확인된 각각이 매칭률이 모두 기준 매칭률 미만이면 폰북 리스트 중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것을 포함한다.
폰북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것은, 폰북 리스트 내의 이름과 인식된 이름의 매칭률을 각각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 중 기준 매칭률 이상인 매칭률을 확인하고, 확인된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하고 확인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은,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이름을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군을 차량에 마련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음성을 수집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을 통해 후보군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름별 즐겨찾기 설정 여부와 이름별 통화 내역 정보에 기초한 폰북 리스트에 우선 순위 리스트를 포함시키고 음성이 인식되면 인식된 이름을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1차로 검색함으로써 검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연락하는 수신인을 먼저 검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인식 실패 시 오인식 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계속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음성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선순위 리스트를 통한 음성 인식률 향상으로, 운전 중 통화 조작에 따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인식 기능을 가진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식 장치를 갖는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의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음성 인식 장치에 수신된 폰북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음성 인식 장치에 수신된 통화 내역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음성 인식 장치에서 생성된 폰북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음성 인식 장치에서 선택된 우선 순위 조건을 갖는 이름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음성 인식 장치에 저장된 이름별 음성 인식 횟수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음성 인식 장치에 저장된 우선 순위 리스트가 설정된 폰북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음성 인식 장치에 저장된 폰북 리스트로, 업테이트된 우선 순위 리스트가 설정된 폰북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1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음성 인식 장치에서 선정된 후보군 리스트의 출력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차량(1)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도로 위를 주행한다. 이러한 차량(1)은 사용자용 단말기(2)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트렁크(115), 전후좌우 도어(116), 전후좌우 도어(116)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7)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트렁크, 전후좌우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18)를 더 포함한다.
윈도우 글래스(117)는 전후좌우 도어에 설치된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와, 필러와 필러 사이에 설치되되 개폐 불가능하게 설치된 쿼터 윈도우 글래스와, 후방 측에 설치된 리어 윈도우 글래스와, 전방 측에 설치된 프런트 윈도우 글래스를 더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9)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차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124)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되고 오디오 기기가 배치된 센터 페시아(125)를 포함한다.
시트(1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21a),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121b),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
클러스터(123)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식의 클러스터(123)는 차량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센터 페시아(125)는 대시 보드(122) 중에서 운전석(121a)과 조수석(121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조정하기 위한 헤드유닛(126)을 갖는다.
센터 페시아(125)에는 송풍구, 시거잭, 단말기(13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터 페시아(125)에는 사용자의 단말기(2)가 유선 연결되는 멀티단자(127)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멀티단자(127)는 헤드유닛(126) 또는 차량용 단말기(130)와 사용자의 단말기(2) 간의 유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멀티단자(127)는 USB 포트, AUX단자를 포함하고, SD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 유닛(126)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차량용 단말기(13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 또는 케이블을 통해 차량용 단말기(130) 및 외부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저장 장치, 사용자용 단말기(2),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고, 저장 장치는 카드형 메모리 및 외장형 하드 디스크를 포함한다.
사용자용 단말기(2)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포함한다.
차량용 단말기(130)는 대시 보드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용 단말기(13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 라디오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량용 단말기(130)는 외부에서 수신된 컨텐츠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정보의 영상 및 오디오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부에서 전송된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용 단말기(130)는 사용자의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차량용 단말기(130)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제공된 영상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한다.
차량(1)은 차량용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위치 획득부(미도시)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위성에서 제공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한다.
차량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의 안정장치로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과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전후좌우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속도 센서,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차량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1)은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여러 가지 안전 장치 및 각종 감지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핸즈프리 장치, GPS 수신기, 오디오 기기 및 블루투스 장치, 후방 카메라, 사용자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1)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1)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시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시동 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킨다.
차량(1)은 단말기, 오디오 기기, 실내 등, 시동 모터, 그 외 전자 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한다.
차량(1)은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로 폰(15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80)는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력부(180)는 버튼의 조작 신호를 헤드 유닛(126) 또는 차량용 단말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입력부(180)는 차량용 단말기(130)의 동작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으며, 선택된 기능을 차량용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력부(180)는 내비게이션 기능 선택 시 목적지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목적지의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30)에 전송하며, 디엠비 기능 선택 시 채널 및 음량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채널 및 음량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30)에 전송한다.
입력부(180)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일체로 마련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명령을 갖는 버튼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입력부(180)의 버튼은 차량용 단말기(130)의 표시부에 버튼 형상으로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고 이때 표시된 버튼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80)는 차량용 단말기(130)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입력부(180)는 조그 다이얼의 조작 신호 또는 터치 패드에 터치된 터치 신호를 차량용 단말기(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는 센터페시아 등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외부 단말기인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 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종 기능의 동작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60)와,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모듈(140)과 음성 인식 장치(150)는 헤드 유닛(126) 내에 마련될 수 있고, 메인 제어부(14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1)은 통신모듈(140)을 이용하여 사용자용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때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로, 통신 모듈(140), 메인 제어부(145), 음성 인식 장치(150), 제1오디오 출력부(160), 제1표시부(170) 및 제1입력부(180)를 포함한다.
아울러 사용자용 단말기(2)에 마련된 구성부와의 구별을 위해 차량에 마련된 각 구성부에 '제1'을 기재하도록 하고, 사용자용 단말기의 구성부에 '제2'를 기재하도록 한다.
차량(1)은 사용자용 단말기와의 통신 기능과, 음성 인식 기능과, 정보의 입출력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차량(1)은 전화 통화 기능을 갖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즉 차량(1)은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용 단말기(2)의 전화 통화 기능을 제어하고, 데이터 송수신 기능 및 입출력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통화 음성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통신모듈(140)은 사용자용 단말기(2), 음성 인식 장치(150), 메인 제어부(145)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모듈(140)은 음성 인식 기능 수행 시 사용자용 단말기(2)와 음성 인식 장치(15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때 송수신되는 정보는, 폰북 정보, 통화 내역 정보, 음성 정보 및 동작 명령 정보일 수 있다.
통신모듈(140)은 음성 인식 장치의 제1통신부(15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음성 인식 장치의 제1제어부(153)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140)은 캔 통신,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USB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40)은 음성 인식 기능 수행 시 메인 제어부(145)와 음성 인식 장치(15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에 마련된 각종 장치는, 음성 인식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통신모듈(140)은 차량용 단말기(13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모듈(140)은 사용자용 단말기(2)와 통신 시 사용자용 단말기의 각종 정보를 출력 장치 또는 차량용 단말기(2)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40)은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용 단말기로부터 음악 정보, 영상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 등을 수신하여 차량용 단말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모듈(140)은 음성 인식 기능 수행 시 음성 인식 장치(150)와 차량용 단말기(130)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신 모듈(140)은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DMB 등의 TPEG, SXM, RDS와 같은 브로드캐스팅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140)은 GPS 수신 신호 및 방송 신호를 차량용 단말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45)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페어링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 기능의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음성 인식 장치(150)의 동작을 활성화시킨다.
메인 제어부(145)는 사용자용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면서, 전화 통화 기능 수행 시 사용자용 단말기와의 음성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즉 메인 제어부(145)는 전화 통화 기능 수행 시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전송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고, 제1소리 수집부(152)에 음성 정보가 수집되면 수집된 음성 정보가 사용자용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메인 제어부(145)는 음성 인식 장치(150)에서 전송된 동작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동작 명령을 갖는 장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치에 수신된 동작 명령을 전송하거나, 수신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확인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인 제어부(145)에는 동작 명령과, 동작 명령을 갖는 장치의 정보가 함께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확인된 장치는, 공조 장치, 오디오 장치, 차량용 단말기, 제1오디오 출력부인 스피커 또는 제1표시부일 수 있다.
음성 인식 장치(150)는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수집하고, 수집된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명령을 갖는 장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치와 동작 명령을 메인 제어부(145)에 전송한다.
아울러 음성 인식 장치(150)는 확인된 장치에 동작 명령을 직접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음성 인식 장치(150)는 수집된 음성이 전화 통화를 위한 음성이라고 판단되면 인식된 음성에서 수신인의 이름을 인식하고 인식된 이름의 정보와 동작 명령을 사용자용 단말기(2)에 전송하는 것으로, 제1통신부(151), 제1소리수집부(152), 제1제어부(153), 제1저장부(154)를 포함한다.
제1통신부(151)는 통신모듈(140)과 제1제어부(153)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1통신부(151)는 캔 통신,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USB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소리수집부(152)는 차량 내의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리의 음파를 검출하고, 이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 신호를 제1제어부(153)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1소리 수집부(152)는 운전석(121a) 측에 설치되고 소리 수집 방향이 운전석 측을 향하는 제1마이크로 폰과, 조수석(121b) 측에 설치되고 소리 수집 방향이 조수석 측을 향하는 제2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마이크로 폰과 제2마이크로 폰을 지향성일 수 있다.
또한 제1소리수집부는 마이크로 폰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소리수집부는 음성 인식 장치(150)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고, 이때 음성 인식 장치에 단자, 커넥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제어부(153)는 사용자용 단말기(2)과 페어링이 완료되면 사용자용 단말기(2)에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를 요청하고,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전송된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의 저장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53)는 수신된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폰북 리스트를 생성하고, 수신된 폰북 정보의 이름별 즐겨찾기 설정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생성한다.
제1제어부(153)는 우선 순위 리스트가 설정된 폰북 리스트의 저장을 제어하고, 이름별 음성 인식 성공 횟수와 통화 횟수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우선 순위를 갖는 폰북 리스트의 저장을 제어한다.
여기서 폰북 리스트는, 음성 인식 시 인식된 이름과 매치되는 이름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리스트이다.
아울러 제1제어부(153)는 폰북 리스트에서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제1그룹으로 설정하고,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제외한 리스트를 제2그룹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3)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음성 인식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음성 인식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음성 인식 장치를 활성화시킨다.
제1제어부(153)는 음성이 수집되면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수집된 음성이 통화 시도를 위한 음성인지 판단하고, 통화 시도를 위한 음성이라고 판단되면 음성이 수집되는지 판단하고, 음성이 수집되었다고 판단되면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이름을 인식한다.
즉 제1제어부(153)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이름을 인식한다.
아울러 제1제어부(153)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전화번호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음성 인식에 사용되는 전화번호는 전화번호의 마지막 자리 4자리 또는8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름을 인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153)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프레임 별로 계산하여 음성 신호에 포함된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벡터의 벡터열을 미리 저장된 음향모델과 비교하여 음성 신호 내 음소를 확인하며 확인된 음소를 문맥으로 변환시켜 이름을 인식한다.
여기서 음향 모델에는, 음소별로 특징 벡터의 벡터열이 저장되어 있다.
제1제어부(153)는 우선 순위 리스트를 1차적으로 검색하여 음성 인식된 이름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우선 순위 리스트에 음성 인식된 이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폰북 리스트에서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리스트를 2차적으로 검색하여 음성 인식된 이름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즉 제1제어부(153)는 제1그룹을 1차적으로 검색하고 제1그룹에 음성 인식된 이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2그룹을 2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제어부(153)는 우선 순위 리스트에 음성 인식된 이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폰북 리스트 전체를 2차적으로 검색하여 음성 인식된 이름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제어부(153)는 제1그룹을 1차적으로 검색하고 제1그룹에 음성 인식된 이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1그룹과 제2그룹을 2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3)는 우선 순위 리스트 내에 음성 인식된 이름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판단된 이름의 출력을 제어하고, 판단된 이름의 음성 인식 횟수를 추가 카운트하고, 통화 연결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53)는 판단된 이름의 출력 제어 시, 사용자가 통화를 의도한 수신인이 맞는지 확인을 요청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3)는 통화를 위한 수신인이 아니라는 정보가 수신되면 판단된 이름의 음성 인식 횟수를 삭감 카운트하고, 제2그룹을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1제어부(153)는 통화를 위한 수신인이 아니라는 정보가 수신되면 음성 인식을 재시도하기 위한 안내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음성 인식의 재시도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판단된 이름의 음성 인식 횟수를 삭감 카운트하고, 제1소리 수집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킨다.
제1제어부(153)는 폰북의 나머지 리스트 내에 음성 인식된 이름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판단된 이름의 출력을 제어하고, 판단된 이름의 음성 인식 횟수를 추가 카운트하고, 통화 연결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에도 제1제어부(153)는 판단된 이름의 출력 제어 시, 사용자가 통화를 의도한 수신인이 맞는지 확인을 요청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3)는 통화 연결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통화 횟수를 추가 카운트하고 사용자용 단말기로 통화 연결 명령과 음성 인식된 이름의 전송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53)는 음성 인식된 이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음성 인식의 재시도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음성 인식된 이름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리스트 내의 이름과 음성 인식된 이름 사이의 매칭률을 각각 획득하고, 획득된 매칭률 중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하고, 확인된 이름이 하나이면 확인된 하나의 이름을 음성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제어부(153)는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이름을 후보군 리스트로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군 리스트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53)는 후보군 리스트 내의 이름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이름의 음성 인식 횟수를 추가 카운트하여 저장하고, 후보군 리스트 내의 이름이 하나도 선택되지 않으면 후보군 리스트 내의 이름의 음성 인식 횟수를 삭감 카운트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후보군 리스트 내의 이름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을 입력받는 것은, 음성 인식을 통해 입력받거나, 제1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받는 것을 포함한다.
제1제어부(153)는 음성 인식 및 통화가 수행될 때마다 이름별 음성 인식 성공 횟수 및 통화 횟수를 가감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업데이트 한다.
제1저장부(154)는 다운로드된 사용자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 통화 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우선 순위 리스트가 설정된 폰북 리스트를 저장한다.
여기서 폰북 정보는 이름과, 이름별 전화 번호와, 이름별 즐겨찾기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통화 내역 정보는 이름과, 이름별 발신, 수신 정보, 이름별 발신 시간, 이름별 수신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화 내역 정보는 최근 통화한 시간부터 시간 순서대로 나열될 수 있다.
아울러 나열된 통화 내역 정보는 발신별, 송신별로 각각 나열되는 것도 가능하고, 발신 및 송신 여부와 상관없이 시간 순서대로 나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폰북 리스트는 음성 인식 시 수신자의 이름을 검색하기 위한 리스트로, 이름과, 이름별 전화번호와, 이름별 즐겨 찾기 설정 여부와, 이름별 음성 인식 성공 횟수와, 이름별 통화 횟수를 저장한다.
제1저장부(154)는 음성 인식 성공 여부와 통화 여부에 기초하여 이름별 음성 인식 성공 횟수와, 통화 횟수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제1저장부(154)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페어링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오디오 출력부(160)는 음성 인식의 성공 또는 실패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거나, 통화 연결 및 음성 인식의 재시도 등의 안내음을 사운드로 출력한다.
제1오디오 출력부(160)는 메인 제어부(145)의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기(2)에서 전송된 오디오 정보, 음성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한다.
제1오디오 출력드부(160)는 내비게이션 정보의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되, 수신된 오디오 정보 내 오디오 신호를 일정 크기만큼 증폭시켜 출력한다.
제1오디오 출력부(160)는 내비게이션 기능 시 경로 및 주행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하고, 컨텐츠나 외부 방송의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 라디오 등의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표시부(170)는 사용자용 단말기와의 페어링 정보를 표시하고, 음성 인식 기능의 수행 여부를 표시한다.
제1표시부(170)는 음성 인식의 성공 또는 실패 정보를 표시하거나, 인식된 이름을 표시하거나, 후보군 리스트를 표시한다.
제1표시부(170)는 통화 연결 정보나, 음성 인식의 재시도 정보 등의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표시부(170)는 전화 통화 수행 중 수신인 및 발신인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통화시간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표시부(170)는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음악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부의 방송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표시부(170)는 사용자의 단말기(2)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표시부(170)는 차량에 마련된 LCD, PDP, OLED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일 수 있고, 또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부일 수 있다.
이때 제1표시부(170)는 목적지 입력을 위한 한/영 문자 버튼, 숫자 버튼, 특수 문자 버튼 등을 표시하고, 경로 안내 명령을 위한 경로 안내 버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용 단말기(130)는 터치 패널과 평판 표시 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제1입력부(180)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페어링 명령 및 음성 인식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음성 인식의 동작 명령을 음성 인식 장치(150)에 전송한다.
제1입력부(180)는 수신인의 이름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고 후보군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수신인을 선택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1입력부(180)는 통화 연결 또는 통화 취소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1입력부(180)는 음성 인식을 통해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다이얼 인식 모드, 음성 인식을 통해 이름을 인식하기 위한 이름 인식 모드를 선택받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하는 사용자용 단말기(2)의 제어 구성도이다.
사용자용 단말기(2)는 통화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 제2입력부(210), 제2소리수집부(220), 제2제어부(230), 제2표시부(240), 제2사운드부(250), 제2저장부(260) 및 제2통신부(270)를 포함한다.
제2입력부(210)는 동작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전화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받거나, 이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2입력부(210)는 번호 등의 문자가 인쇄된 물리적인 버튼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입력부(210)는 메인 제어부(145)와의 페어링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2입력부(210)는 제2표시부(230)에 일체로 마련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입력부(210)는 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복수의 기능은 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입력부(210)는 수행 중인 앱의 기능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명령을 갖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입력부(210)의 버튼은 제2표시부(230)에 버튼 형상으로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고 이때 표시된 버튼의 위치 정보를 제2제어부(230)로 전송한다.
제2입력부(210)는 음성 인식을 통해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다이얼 인식 모드, 음성 인식을 통해 이름을 인식하기 위한 이름 인식 모드를 선택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2소리수집부(220)는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리의 음파를 검출하고, 이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 신호를 제2제어부(223)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2소리 수집부(220)는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제어부(230)는 메인 제어부(145)와의 페어링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메인 제어부(145)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제2제어부(230)는 제2저장부에 저장된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를 추출하여 음성 인식 장치(150)에 전송한다.
제2제어부(230)는 음성 인식 장치(150)에서 통화 발신 명령 및 수신자의 이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이름의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30)는 전화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음성 인식 장치로부터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통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한다.
즉 제2제어부(230)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통화 기능 수행 시, 송수신되는 음성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30)는 음성 인식에 의한 통화 발신 및 수신 정보와, 수동 입력에 의한 통화 발신 및 수신 정보의 저장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30)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메인 제어부(145)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표시부(240)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영상 정보를 표시한다.
제2표시부(240)는 통화 기능과 관련된 영상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2표시부(240)는 전화 발신 시 번호 키패드를 표시하고, 전화 수신 시 발신인의 이름이나 전화 번호와, 통화 연결 및 취소 버튼을 표시한다.
제2입력부(210)는 터치 패널로 구현 가능하고, 제2표시부(240)는 LCD, PDP, OLED 등의 평판 표시 패널로 구현 가능하다. 즉 사용자용 단말기(2)의 제2입력부와 제2표시부는 터치 패널과 평판 표시 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제2오디오 출력부(250)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한다.
아울러 제2오디오 출력부(250)는 차량과 블루투스 통신 시 사운드의 출력을 차단한다.
즉 제2오디오 출력부(250)는 통화 기능 수행 시,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지만 차량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면서 통화 기능 수행 시에는 상대방의 음성 출력을 차단하여 차량 내의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제2저장부(260)는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를 저장한다.
폰북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정보로, 이름과, 이름별 전화번호와, 이름별 즐겨 찾기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름별 전화번호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고, 복수일 경우에는 번호별 전화 종류가 설정될 있다.
제2저장부(260)는 통화 발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내역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제2저장부(260)는 페어링된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통신부(270)는 차량의 통신모듈(140)에 폰북 정보 및 통화내역정보를 전송하고, 통화 기능 수행 시 음성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2통신부(270)는 영상 정보와, 이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통신부(270)는 전화 통신, USB,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을 포함한다.
사용자용 단말기에 USB 통신이 마련된 경우, 통신부(240)는 차량의 멀티 단자(127)의 USB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의 생성 방법의 순서도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은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페어링이 완료되면 사용자용 단말기(2)에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차량의 음성 인식 장치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전송된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가 수신(301)되면 수신된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를 저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장치는 사용자용 단말기로부터 단축번호에 매칭된 이름과, 이름별 전화번호, 이름별 즐겨 찾기 설정 정보를 갖는 폰북 정보를 제공받는다.
아울러 폰북 정보 중 단축번호의 정보는 생략 가능하며, 이때 이름 순으로 폰북 정보를 제공받거나, 등록 순으로 폰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장치는 수신된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를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를 분석하여, 이름과, 이름별 전화번호와, 이름별 통화 횟수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장치는 수신된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폰북 리스트를 생성(302)한다. 이때 폰북 리스트는 이름, 이름별 전화번호, 이름별 통화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인식 장치는 수신된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조건을 갖는 이름을 확인(303)하며, 확인된 이름에 기초하여 폰북 리스트 내에 우선 순위 리스트를 설정하고, 우선 순위 리스트가 설정된 폰북 리스트를 저장(304)한다.
폰북 리스트는 이름과, 이름별 전화번호와, 이름별 즐겨 찾기 설정 정보와, 이름별 음성 인식 성공 횟수와, 이름별 통화 횟수 등의 항목을 갖는다.
우선 순위 조건은, 폰북 정보 내의 즐겨 찾기 설정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를 포함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장치는 수신된 폰북 정보 중 즐겨찾기가 설정된 이름을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에서 이름을 확인하며 확인된 이름으로 우선 순위 조건을 갖는 이름으로 분류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장치는 제1저장부에 저장된 이름별 음성 인식횟수를 확인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횟수와 음성 인식 횟수에 기초하여 이름별 순위를 정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순위부터 미리 설정된 순위까지를 우선 순위 리스트로 설정한다.
아울러 순위는 음성인식횟수와 통화 횟수의 합이 높은 순으로 우선 순위를 높게 하되, 음성 인식 횟수와 통화 횟수가 동일한 이름이 존재하면 통화 횟수가 더 높은 이름을 우선 순위를 더 높게 한다.
음성 인식 장치는 폰북 리스트에서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제1그룹(A)으로 설정하고,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제외한 리스트를 제2그룹(B)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인식 장치는 우선 순위 리스트를 갖는 폰북 리스트를 저장한 이후 통화 연결이 되었다고 판단(305)되면 통화 연결된 이름에 통화 횟수를 추가 카운트하고, 이름별 추가 카운트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업데이트(306)한다.
여기서 통화 연결은, 음성 인식을 통한 통화 연결과, 수동 입력을 통한 통화 연결을 포함한다.
또한 음성 인식 장치는 우선 순위 리스트를 갖는 폰북 리스트를 저장한 이후 음성 인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307)되면 음성 인식된 이름에 음성 인식 성공 횟수를 추가 카운트하고, 이름별 추가 카운트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업데이트(308)한다.
아울러 음성 인식 장치는 우선 순위 리스트를 갖는 폰북 리스트를 저장한 이후 음성 인식을 실패하였다고 판단(307)되면 음성 인식된 이름에 음성 인식 성공 횟수를 삭감 카운트하고, 이름별 삭감 카운트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장치는 통화 횟수 및 음성 인식 성공, 실패 횟수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변경한다.
이때 음성 인식 장치는 변경된 우선 순위 리스트를 갖는 폰북 리스트를 포함한다.
도 1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의 제어 순서도이다.
음성 인식 장치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음성 인식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음성 인식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음성 인식 장치는 제1소리 수집부(152)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에서 발화된 음성을 수집(311)하고, 수집된 음성의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수집된 음성이 통화 시도를 위한 음성인지 판단(312)하고, 통화 시도를 위한 음성이라고 판단되면 수신인을 확인하기 위한 음성 수집(313)을 다시 수행한다.
음성 인식 장치는 음성이 수집되면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이름을 인식(314)한다.
즉 음성 인식 장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프레임 별로 계산하여 음성 신호에 포함된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벡터의 벡터열을 미리 저장된 음향모델과 비교하여 음성 신호 내 음소를 확인하며 확인된 음소를 문맥으로 변환시켜 이름을 인식한다.
음성 인식 장치는 우선 순위 리스트(즉 제1그룹)에서 음성 인식된 이름을 1차적으로 검색(315)하여 음성 인식된 이름이 존재하는지 판단(316)하고, 우선 순위 리스트에 음성 인식된 이름이 있다고 판단되면 판단된 이름의 인식 성공 횟수를 추가 카운트(317)하고, 판단된 이름을 출력(318)한다.
이때 음성 인식 장치는 제1표시부를 통해 판단된 이름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음성 인식 장치는 통화 연결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음성 인식 장치는 메인 제어부(145)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에 마련된 제1표시부를 통해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고, 제1입력부에 입력된 통화 연결 명령의 선택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아울러 음성 인식 장치는 음성 인식을 통해 통화 연결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인식 장치는 통화 연결 명령이 선택되었는지 판단(319)하고 통화 연결 명령이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통화 횟수를 삭감(마이너스) 카운트(320)하고, 통화 연결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판단된 이름의 통화 횟수를 추가(즉 플러스) 카운트(321)하고, 사용자용 단말기에 통화 명령을 전송하되, 선택된 이름 또는 선택된 이름의 전호 번호를 함께 전송(322)한다.
아울러 음성 인식 장치는 판단된 이름의 출력 시, 사용자가 통화를 의도한 수신인이 맞는지 확인을 요청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음성 인식 장치는 판단된 이름이 통화를 위한 수신인이 아니라는 정보가 수신되면 판단된 이름의 음성 인식 횟수를 삭감(즉 마이너스) 카운트하고, 나머지 리스트(즉 제2그룹)을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음성 인식 장치는 판단된 이름이 통화를 위한 수신인이 아니라는 정보가 수신되면 음성 인식을 재시도하기 위한 안내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이때 음성 인식의 재시도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판단된 이름의 음성 인식 횟수를 삭감 카운트하고, 제1소리 수집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음성 인식 장치는 우선 순위 리스트에 음성 인식된 이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폰북 리스트에서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리스트(즉, 제2그룹)에서 음성 인식된 이름을 2차적으로 검색(323)하여 음성 인식된 이름이 존재하는지 판단(324)한다.
음성 인식 장치는 폰북의 나머지 리스트 내에 음성 인식된 이름이 존재한다고 나머지 리스트에도 음성 인식된 이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음성 인식의 재시도를 알리는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며, 재시도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325)하고 재시도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음성 수집을 다시 수행한다.
이때 음성 인식 장치는 제1표시부 또는 제1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음성 인식의 재시도와 관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음성 인식 또는 제1입력부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재시도 명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음성인식 장치는 폰북의 나머지 리스트 내에 음성 인식된 이름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판단된 이름의 음성 인식 횟수를 추가 카운트(326)하고, 판단된 이름을 출력(327)하고, 통화 연결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음성 인식 장치는 제1표시부를 통해 판단된 이름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음성 인식 장치는 통화 연결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음성 인식 장치는 메인 제어부(145)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에 마련된 제1표시부를 통해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고, 제1입력부에 입력된 통화 연결 명령의 선택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아울러 음성 인식 장치는 음성 인식을 통해 통화 연결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인식 장치는 통화 연결 명령이 선택되었는지 판단(328)하고, 통화 연결 명령이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통화 횟수를 삭감 카운트(329)하고, 통화 연결 명령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판단된 이름의 통화 횟수를 추가(즉 플러스) 카운트(330)하고, 사용자용 단말기에 통화 명령을 전송하되, 선택된 이름 또는 선택된 이름의 전호 번호를 함께 전송(322)한다.
아울러 음성 인식 장치는 판단된 이름의 출력 시, 사용자가 통화를 의도한 수신인이 맞는지 확인을 요청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음성 인식 장치는 판단된 이름이 통화를 위한 수신인이 아니라는 정보가 수신되면 판단된 이름의 음성 인식 횟수를 삭감(즉 마이너스) 카운트하고, 음성 인식의 재시도를 알리는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음서 인식 장치는 음성 인식의 재시도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판단된 이름의 음성 인식 횟수를 삭감 카운트하고, 제1소리 수집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음성 인식된 이름이 제1그룹 또는 제2그룹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리스트 내의 이름과 음성 인식된 이름 사이의 매칭률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된 이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의 상세 제어 순서도로, 우선 순위 리스트 내에 음성 인식된 이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예시도이다.
아울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폰북 리스트에서 음성 인식된 이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도, 우선 순위 리스트 내에서 음성 인식된 이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음성 인식 장치는 우선 순위 리스트 내의 이름과 음성 인식된 이름 사이의 매칭률을 각각 확인(331)하고,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과 기준 매칭율을 비교하여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332)한다.
음성 인식 장치는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복수 개인지 판단(333)하고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한 개라고 판단되면 확인된 하나의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334)한다.
만약 음성 인식 장치는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복수 개라고 판단되면 복수 개의 이름을 후보군 리스트로 출력(335)한다.
이때 음성 인식 장치는 후보군 리스트를 메인 제어부(145)에 전송하고, 메인 제어부(145)의 제어에 따라 제1표시부에 후보군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표시부에 후보군의 리스트를 표시하되, 후보 번호와, 후보 번호의 이름과, 이름별 전화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음성 인식 장치는, 후보 번호 또는 이름을 음성 인식을 통해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 장치는 제1입력부에 입력된 후보 번호를 메인 제어부(145)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음성 인식 장치는 후보군 리스트 내의 이름 중 어느 하나의 이름 또는 후보 번호가 선택되었는지 판단(336)하고, 후보군 리스트 내의 이름이 하나도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후보군 리스트 내의 이름의 음성 인식 성공 횟수를 삭감(즉 마이너스) 카운트(337)한다.
반면 음성 인식 장치는 후보군 리스트 내의 이름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선택된 이름의 음성 인식 성공 횟수를 추가(즉, 플러스) 카운트(338)하고, 선택된 이름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리스트 내의 음성 인식된 이름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음성 인식 장치는 우선 순위 리스트 내에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즉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이 모두 기준 매칭률 미만이면 제2그룹에 포함된 폰북 리스트를 2차적으로 검색한다.
음성 인식 장치는 제2그룹에 포함된 폰북 리스트 내에도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음성 인식의 재시도를 알리는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아울러, 우선 순위 리스트에 음성 인식된 이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폰북의 리스트 전체(즉, 제1그룹과 제2그룹)에서 음성 인식된 이름을 2차적으로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차량 2: 사용자용 단말기
130: 차량용 단말기 140: 통신모듈
150: 음성 인식 장치 160: 제1오디오출력부
170: 제1표시부 180: 제1입력부

Claims (25)

  1. 통화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기의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폰북 정보와 통화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폰북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폰북 정보 중 즐겨 찾기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고, 음성이 수집되면 수집된 음성에서 이름을 인식하고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상기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고,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에 상기 인식된 이름이 비존재하면 폰북 리스트에서 상기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폰북 정보와, 상기 통화 내역 정보와,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가 설정된 폰북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폰북 정보는, 복수의 이름과, 상기 복수 이름의 이름별 순위와, 상기 이름별 전화번호와, 상기 이름별 즐겨찾기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름별 음성 인식 성공 횟수와, 음성 인식에 의한 통화 연결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폰북 리스트와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음성 인식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폰북 리스트 중 상기 설정된 순위가 높은 순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를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로 설정하는 음성 인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와, 상기 최근 통화 정보별 통화 횟수를 확인하여 순위를 정하는 음성 인식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상기 인식된 이름 검색 시,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 내의 이름과 상기 인식된 이름의 매칭률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 중 기준 매칭률 이상인 매칭률을 확인하고, 확인된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음성 인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이름을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군의 출력을 제어하는 음성 인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보군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음성 인식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각각이 매칭률이 모두 상기 기준 매칭률 미만이면 상기 폰북 리스트 중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리스트에서 상기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음성 인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폰북 리스트 내의 이름과 상기 인식된 이름의 매칭률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 중 기준 매칭률 이상인 매칭률을 확인하고, 확인된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음성 인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이름을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군의 출력을 제어하는 음성 인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보군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음성 인식 장치.
  13. 통화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음성을 수집하는 소리 수집부;
    상기 단말기의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폰북 정보와 통화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폰북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폰북 정보 중 즐겨 찾기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가 설정된 폰북 리스트를 저장하고, 음성이 수집되면 수집된 음성에서 이름을 인식하고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상기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고,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에 상기 인식된 이름이 비존재하면 폰북 리스트에서 상기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음성인식 장치;
    상기 음성 인식 장치 및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및
    음성 인식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폰북 정보는, 복수의 이름과, 상기 복수 이름의 이름별 순위와, 상기 이름별 전화번호와, 상기 이름별 즐겨찾기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 장치는, 상기 이름별 음성 인식 성공 횟수와, 음성 인식에 의한 통화 연결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폰북 리스트와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차량.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장치는,
    상기 즐겨 찾기가 설정된 이름별 통화 횟수와, 상기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별 통화 횟수와, 상기 이름별 음성 인식 성공 횟수와, 상기 이름별 음성 인식 실패 횟수와, 음성 인식에 의한 통화 연결 횟수 및 음성 인식에 의한 통화 미연결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폰북 리스트 내 순위를 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장치는,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상기 인식된 이름 검색 시,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 내의 이름과 상기 인식된 이름의 매칭률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 중 기준 매칭률 이상인 매칭률을 확인하고, 확인된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장치는, 상기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이름을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상기 후보군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을 음성인식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선정된 후보군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정된 후보군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장치는,
    상기 폰북 리스트 내의 이름과 상기 인식된 이름의 매칭률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 중 기준 매칭률 이상인 매칭률을 확인하고, 확인된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9. 통화 기능을 가진 단말기와 통신하는 차량에 마련된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의 페어링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로부터 폰북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폰북 정보와 통화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폰북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폰북 정보 중 즐겨 찾기 정보와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가 설정된 폰북 리스트를 저장하고,
    음성 인식 기능이 선택되면 음성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음성에서 이름을 인식하고,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상기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고,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에 상기 인식된 이름이 비존재하면 폰북 리스트에서 상기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된 이름의 음성 인식 성공 여부와, 상기 검색된 이름의 통화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음성 인식 성공 여부와 통화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이름에 대한 음성 인식 성공 횟수와 음성 인식에 의한 통화 연결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음성 인식 성공 횟수와 상기 통화 연결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폰북 리스트와 상기 우선순위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폰북 정보는, 복수의 이름과, 상기 복수의 이름의 이름별 순위와, 상기 이름별 전화번호와, 상기 이름별 즐겨찾기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폰북 리스트는, 상기 복수의 이름과, 상기 이름별 전화번호와, 상기 이름별 음성 인식 성공 횟수와, 상기 이름별 음성 인식 실패 횟수와, 상기 이름별 통화 연결 횟수 및 상기 이름별 통화 미연결 횟수를 포함하되, 상기 이름별로 설정된 순위를 포함하고,
    상기 즐겨 찾기가 설정된 이름별 통화 횟수와, 상기 통화 내역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최근 통화 정보별 통화 횟수와, 상기 이름별 음성 인식 성공 및 실패 횟수 및 상기 이름별 통화 연결 및 미연결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폰북 리스트 내 순위를 정하고,
    상기 폰북 리스트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상위 리스트를 우선 순위 리스트로 설정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에서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것은,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 내의 이름과 상기 인식된 이름의 매칭률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 중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이름을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후보군을 상기 차량에 마련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음성을 수집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음성 인식을 통해 상기 후보군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폰북 리스트에서 상기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것은,
    상기 확인된 각각이 매칭률이 모두 상기 기준 매칭률 미만이면 상기 폰북 리스트 중 상기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리스트에서 상기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폰북 리스트에서 상기 인식된 이름을 검색하는 것은,
    상기 폰북 리스트 내의 이름과 상기 인식된 이름의 매칭률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매칭률 중 기준 매칭률 이상인 매칭률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매칭률을 갖는 이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매칭률 이상의 매칭률을 갖는 이름이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이름을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후보군을 상기 차량에 마련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음성을 수집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음성 인식을 통해 상기 후보군 중 어느 하나의 이름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름을 음성 인식된 이름으로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
KR1020150084110A 2015-06-15 2015-06-15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KR101675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110A KR101675312B1 (ko) 2015-06-15 2015-06-15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110A KR101675312B1 (ko) 2015-06-15 2015-06-15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312B1 true KR101675312B1 (ko) 2016-11-11

Family

ID=5752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110A KR101675312B1 (ko) 2015-06-15 2015-06-15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3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509A (ko) * 2017-11-23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161720A (zh) * 2018-11-08 2020-05-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及其控制方法
US10770070B2 (en) 2018-06-07 2020-09-08 Hyundai Motor Company Voice recognition apparatus,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509A (ko) * 2017-11-23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17219B1 (ko) * 2017-11-23 202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770070B2 (en) 2018-06-07 2020-09-08 Hyundai Motor Company Voice recognition apparatus,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161720A (zh) * 2018-11-08 2020-05-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560B1 (ko)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US10170111B2 (en) Adaptive infotainment system based on vehicle surrounding and driver mood and/or behavior
CN106663422B (zh) 言语识别系统及其言语识别方法
US10018477B2 (en) Advanced driver assist system,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24185B1 (ko) 단말기,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0071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75312B1 (ko)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US8145487B2 (en) Voice recognition apparatus and navigation apparatus
KR101755308B1 (ko) 음성 인식 모듈, 그를 가지는 단말기 및 차량
US8994522B2 (en) Human-machine interface (HMI) auto-steer based upon-likelihood to exceed eye glance guidelines
KR2016002150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JP4788561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
KR101657655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2127A (ko) 헤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차량 제어 방법
KR20210151089A (ko) 차량 시스템의 음성 제어
US202002311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the driver of a motor vehicle
KR101767088B1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사용자 앱 표시 방법
US20060177017A1 (en) Device for converting voice to numeral
US20210304729A1 (en) Vehicles
KR101736105B1 (ko) 오디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KR101804769B1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의 목적지 검색 방법
KR101657657B1 (ko)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KR101597528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4727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568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