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952B1 -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952B1
KR101674952B1 KR1020100046480A KR20100046480A KR101674952B1 KR 101674952 B1 KR101674952 B1 KR 101674952B1 KR 1020100046480 A KR1020100046480 A KR 1020100046480A KR 20100046480 A KR20100046480 A KR 20100046480A KR 101674952 B1 KR101674952 B1 KR 10167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dma
signal
lte
antenna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196A (ko
Inventor
김무룡
장재혁
윤원용
이치헌
김광일
조용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2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6Code division or spread-spectrum multiple access [CDMA,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송수신 안테나와 제 2 수신 안테나로 구성되는 듀얼 모드 단말기를 제공한다. 특히 제 2 수신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는 LTE 하향링크 신호, CDMA DCN(Data Core Network) 하향링크 신호 및 CDMA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하향링크 신호가 다중화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듀얼 모드 단말기는 이러한 하향 링크 신호들의 역 다중화를 위하여 트리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듀얼 모드 단말기에 의하는 경우, CDMA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동안에도 전송율 하락 없이 LT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DUAL MODE MOBILE TERMINAL IN MIN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CDMA 신호의 품질 측정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LTE 신호를 전송률 하락 없이도 수신할 수 있는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는 통신 방식이 다른 2개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로서, 이종의 통신망이 혼재된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듀얼 모드 휴대 단말기의 대표적인 예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무선통신과 CDMA(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방식의 무선 통신이 모두 이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주목 받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LTE 망, CDMA 망 모두와 통신할 수 있는 듀얼모드 단말기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방식의 무선 통신 역시 적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LTE 방식의 무선 통신에서는 복수개의 송신안테나와 복수개의 수신안테나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MIMO 기법이 적용된다. MIMO 기법에 의하는 경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신단 혹은 수신단에서 복수개의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용량을 증대시키고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CDMA 방식의 무선 통신에서도 EV-DO REV. A에서부터 다이버시티 기법을 위한 다중 안테나가 필요하다. 이하 본 문헌에서 MIMO를 '다중 안테나'라 지칭할 수 있다.
다중 안테나 기술에서는, 하나의 전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단일 안테나 경로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 대신 다중 안테나 기술에서는 여러 안테나에서 수신된 데이터 조각(fragment)을 한데 모아 병합함으로써 데이터를 완성한다. 다중 안테나 기술을 사용하면, 특정된 크기의 셀 영역 내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특정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보장하면서 시스템 커버리지(coverage)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과 중계기 등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다중 안테나 기술에 의하면,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던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 통신에서의 전송량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듀얼 모드 단말에서는 하나의 단말 장치에 실장될 수 있는 안테나 개수의 제한으로 인하여 특정 상황에서 LTE 신호의 송수신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일 수신기(Single Radio Frequency receiver chain)-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단일 수신기-듀얼 모드 단말기는 LTE 모뎀과 CDMA 모뎀이 각각 존재하며, Diplexer는 DCN(Data Core Network) 주파수 대역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주파수 대역의 다중화 및 역 다중화를 수행한다. 또한, 안테나 0과 안테나 1은 LTE 모뎀과 CDMA 모뎀 간에 동시에 스위칭된다.
도 2는 일반적인 단일 수신기-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망과 통신하고 있는 단말이 CDMA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경우, 단말은 도 2과 같이 약 6ms 동안 LTE 기지국(eNodeB)으로부터 LTE 신호의 수신을 중단하고 CDMA 신호의 품질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CDMA 신호의 품질은 LTE 모뎀을 통하여 LTE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여기서 CDMA 신호의 품질은 eHRPD (enhanced High-Rate Packet Data) 측정(measurement)를 의미한다. 또한, eHRPD는 LTE와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상호 운용성을 대비해 3GPP2 표준 위원회에서 개발한 1xEV-DO 상위 계층 프로토콜 스택의 새로운 버전이다.
이러한 품질 측정을 위한 LTE 신호의 중간 시간을 측정 간격(measurement gap)이라고 한다. 이러한 측정 간격 동안, 도 1에 개시된 종래 듀얼 모드 단말기는 스위칭을 통하여 안테나 0과 안테나 1이 CDMA 모뎀에 연결된다. 즉, 측정 간격은 결국 LTE 신호의 수신 및 송신의 중단을 의미하므로, 이는 곧 주파수 효율성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측정 간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CDMA 신호 품질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듀얼 모드 단말기는, 제 1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모듈;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모듈; 상기 제 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 2 통신 모듈 중 하나의 통신 모듈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며, 제 1 기지국 신호 또는 제 2 기지국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 상기 제 1 기지국 신호 및 상기 제 2 기지국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 상기 제 1 안테나가 상기 제 2 통신 모듈과 연결된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 신호를 다중화 또는 역 다중화 하기 위한 다이플렉서(Diplexer); 및 상기 제 1 기지국 신호와 상기 제 2 기지국 신호들을 역 다중화 하기 위한 트리플렉서(Triplexer)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통신 모듈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 신호 품질 측정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 2 통신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품질 측정 명령을 전달받은 상기 제 2 통신 모듈은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제 2 기지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기지국 신호 품질 측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 1 통신 모듈은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제 1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이며, 상기 제 2 기지국은 CDMA(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기지국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트리플렉서는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LTE 하향링크 신호, CDMA DCN(Data Core Network) 하향링크 신호 및 CDMA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하향링크 신호로 역 다중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LTE 하향링크 신호의 대역은 746MHz에서 756MHz이며, 상기 CDMA DCN 하향링크 신호의 대역은 869MHz에서 894MHz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플렉서는 상기 CDMA DCN 신호 및 상기 CDMA PCS 신호의 다중화 또는 역 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가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된 경우, 상기 제 2 통신 모듈에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통하여 LTE(Long Term Evolution)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LTE 기지국으로부터 인근 CDMA(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기지국이 존재한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LTE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 값 이하인 경우, LTE 기지국으로부터 CDMA 신호 품질 측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LTE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LTE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인근 CDMA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CDMA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CDMA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여 상기 LTE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특정 시간 동안 상기 LTE 신호의 품질이 상기 제 1 임계 값 이하이고 상기 CDMA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LTE 기지국에서 상기 인근 CDMA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안테나를 LTE 모뎀에서 CDMA 모뎀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는 LTE 하향링크 신호, CDMA DCN(Data Core Network) 하향링크 신호 및 CDMA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하향링크 신호가 다중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LTE 하향링크 신호의 대역은 746MHz에서 756MHz이며, 상기 CDMA DCN 하향링크 신호의 대역은 869MHz에서 894MHz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단말기가 측정 간격 없이 LTE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하면서도 CDMA 신호의 측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듀얼 모드 단말기는 CDMA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동안에도 전송율 하락 없이 LT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일 수신기(Single Radio Frequency receiver chain)-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단일 수신기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 제안된 듀얼 수신기(Dual Radio Frequency receiver chain)-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말기의 문제점을 보완한 듀얼 수신기-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종래 제안된 듀얼 수신기-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다른 도면
도 6은 미국 버라이존社에서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수신기-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주된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 LTE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3GPP LTE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우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종래 기술들의 장단점에 관하여 살펴본다. 측정 간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CDMA 신호의 품질 측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단말기의 구조가 제안되었다. 특히 아래 도 3 내지 도 5에서 CDMA EVDO rev. A이상에서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지원하므로 CDMA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가 2개 도시되었으나, 하나의 안테나만이 CDMA 신호의 품질 측정만을 위한 안테나만을 나타낸 것이라는 것을 유의한다.
도 3은 종래 제안된 듀얼 수신기(Dual Radio Frequency receiver chain)-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측정 간격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LTE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CDMA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가 별도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2에서 Diplexer는 DCN(Data Core Network) 주파수 대역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주파수 대역의 다중화 및 역 다중화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CDMA 신호의 품질 측정이 LTE 신호의 송수신과 독립적으로 수행되므로, 측정 간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단말 장치의 한정된 공간에 많은 안테나가 실장됨으로 인하여, 안테나 간 간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말기의 문제점을 보완한 듀얼 수신기-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Diplexer 역시 DCN 주파수 대역과 PCS 주파수 대역의 다중화 및 역 다중화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의 단말기는 도 2의 단말 장치의 면적 자체를 증가시켜 안테나 간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감소시켰으나, 단말기 생산자의 디자인 측면에서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문제가 있다.
도 5는 종래 제안된 듀얼 수신기-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다른 도면이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단말기는 LTE 주파수 대역, CDMA DCN 주파수 대역 및 CDMA PCS 주파수 대역의 다중화 및 역 다중화를 수행하는 Triplexer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정밀 Triplexer는 CDMA DCN의 상향 링크 주파수 대역과 LTE 하향 링크 주파수 대역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국 버라이존社에서 제공하는 CDMA DCN(Data Core Network) 상향 링크 주파수 대역과 LTE 상향 링크 주파수 대역 간의 간격이 37MHz로 매우 좁기 때문에, 현재 기술로는 CDMA DCN 상향 링크 주파수 대역과 LTE 상향 링크 주파수 대역을 구분할 수 있는 고정밀 Triplexer의 구현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능하더라도 가격의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종래 제안된 듀얼 모드 단말기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LTE 신호의 수신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CDMA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듀얼 모드 단말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수신기-듀얼 모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안테나 0(701)은 송수신 겸용안테나이며, 스위치(703)를 이용하여 LTE 신호의 송수신 또는 CDMA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도 1에 개시된 종래 듀얼 모드 단말기와의 차이점은 CDMA 망으로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져 LTE 모뎀(706)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만 스위칭 된다는 점이다. 또한, 안테나 0이 스위치(703)를 이용하여 CDMA 모뎀(707)에 연결된 경우, Diplexer(704)는 2개의 CDMA 주파수 대역(즉, DCN과 PCS)의 다중화 및 역 다중화를 수행할 수 있다.
안테나 1(702)은 수신 전용 안테나로서, 안테나 1(702)과 연결된 Triplexer(705)는 LTE 하향 링크 대역과 CDMA 하향 링크 대역들 모두의 역 다중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Triplexer와의 차이점은 하향 링크 신호의 역 다중화만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N DL 대역과 LTE DL 대역간의 간격은 상향 링크 대역과는 달리 113MHz로 상대적으로 구분(예를 들어, 필터링)하기 용이하므로, 도 7의 Triplexer(705)는 구현이 용이하며 가격이 현실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듀얼 모드 단말기는 CDMA 측정 기간 동안에도 안테나 0(701) 및 안테나 1(702)을 통하여 LTE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나 안테나 1(702)을 통하여 CDMA 신호를 수신하여 CDMA 신호 품질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CDMA 신호 품질은 LTE 모뎀(706)이 송신 안테나인 안테나 0(701)을 이용하여 LTE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듀얼 모드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특히 도 8은 LTE 망에 연결된 단말이 CDMA 망으로 핸드오버하기 위하여 CDMA 신호를 측정하는 상황에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단계 800에서 안테나 0 및 안테나 1을 모두를 통하여 LTE 신호의 수신하고, 주기적으로 또는 비 주기적으로 LTE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 블록 8(System Information Block 8; SIB 8)을 통하여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CDMA 셀이 존재한다는 정보를 수신하며, LTE 모뎀은 이러한 정보를 CDMA 모뎀으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단계 805와 같이 RSRP(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측정과 같은 LTE 신호 품질 측정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단계 810에서 측정된 LTE 신호의 품질이 특정 시간 동안 제 1 임계 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임계 값 이상인 경우 단계 800으로 돌아가 안테나 0 및 안테나 1을 모두를 통하여 LTE 신호의 수신한다.
그러나 임계 값 이하인 경우, 단계 815에서 LTE 모뎀은 LTE 기지국으로부터 상위 계층,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을 통하여 CDMA 신호 품질 측정의 개시 명령을 수신하고, LTE 모뎀은 단계 820에서 CDMA 모뎀으로 CDMA 신호 품질 측정의 개시 명령을 전달한다. 계속하여, LTE 모뎀은 단계 825에서 계속적으로 안테나 0 및 안테나 1을 통하여 LTE 신호를 수신하며, 이와 동시에 CDMA 모뎀은 단계 830에서 안테나 1의 Triplexer를 통하여 수신되는 CDMA 신호를 이용하여 CDMA 신호 품질 측정을 수행한다.
CDMA 신호 품질 측정이 완료된 경우, CDMA 모뎀은 단계 835에서 상기 측정 결과를 LTE 모뎀으로 전달하며, LTE 모뎀은 단계 840에서 이러한 측정 결과를 적절한 변환 과정을 거쳐 LTE 기지국으로 안테나 0을 통하여 보고한다.
만약, CDMA 신호 품질 측정 결과와 LTE 신호 품질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즉, 특정 시간 동안 LTE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 값 이하이고 CDMA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 값 이상인 경우, 단말은 LTE 기지국에서 CDMA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때 LTE 모뎀은 휴지(IDLE) 상태로 천이하며, 안테나 0은 CDMA 모뎀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통하여 LTE(Long Term Evolution)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LTE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CDMA(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기지국이 존재한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LTE 신호의 품질이 제 1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LTE 기지국으로부터 CDMA 신호 품질 측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LTE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LTE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인접 CDMA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CDMA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CDMA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품질을 상기 LTE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단계; 및
    특정 시간 동안 상기 LTE 신호의 품질이 상기 제 1 임계 값 이하이고 상기 CDMA 신호의 품질이 제 2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LTE 기지국에서 상기 인접 CDMA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CDMA 신호를 다중화 또는 역 다중화 하기 위한 다이플렉서(Diplexer)를 통해 상기 제 1 안테나를 LTE 모뎀에서 CDMA 모뎀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는,
    LTE 하향링크 신호, CDMA DCN(Data Core Network) 하향링크 신호 및 CDMA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하향링크 신호가 다중화된,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LTE 하향링크 신호의 대역은,
    746MHz에서 756MHz이며,
    상기 CDMA DCN 하향링크 신호의 대역은,
    869MHz에서 894MHz인,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00046480A 2009-05-21 2010-05-18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KR101674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13609P 2009-05-21 2009-05-21
US61/180,136 2009-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196A KR20100126196A (ko) 2010-12-01
KR101674952B1 true KR101674952B1 (ko) 2016-11-10

Family

ID=4262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480A KR101674952B1 (ko) 2009-05-21 2010-05-18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65152B2 (ko)
EP (2) EP2254252B1 (ko)
KR (1) KR101674952B1 (ko)
CN (1) CN101895327B (ko)
ES (1) ES267036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8209A (ja) * 2009-01-30 2010-08-12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US8463976B2 (en) * 2009-06-23 2013-06-11 Lg Electronics Inc. Dual modem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57121B1 (ko) * 2009-07-02 201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JP5505178B2 (ja) * 2009-11-02 2014-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受信レベル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25120B2 (en) * 2010-09-21 2015-09-01 Via Telecom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etworking interface in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US8432836B2 (en) * 2010-11-09 2013-04-30 Apple Inc. Wireless circuitry with simultaneous voice and data capabilities and reduced intermodulation distortion
JP2012147065A (ja) * 2011-01-07 2012-08-02 Kyocera Corp 無線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TWI487199B (zh) * 2011-08-10 2015-06-01 Kuang Chi Inst Advanced Tech 雙頻天線、mimo天線裝置及雙頻無線通訊裝置
CN102931472B (zh) * 2011-08-10 2015-09-09 深圳光启智能光子技术有限公司 2.4GHz/5.8GHz双频无线通讯装置
CN103052138A (zh) * 2011-09-02 2013-04-17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多模使用者设备找网方法及装置
US8995934B2 (en) * 2011-12-14 2015-03-31 Apple Inc. Wireless communications circuitry with a triplexer for separating radio-frequency signals in adjacent frequency bands
US9680219B2 (en) 2012-05-21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switch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287953B2 (en) 2012-05-21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antenna selection
US9049632B1 (en) 2012-05-22 2015-06-0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Idle mode handoff transfer of network access information
US9014091B2 (en) * 2012-09-24 2015-04-21 Intel Corporation Network architecture for dual active personae cellular mobile devices
US8774068B2 (en) * 2012-10-11 2014-07-08 Sony Corporation Dual swapping switches to meet linearity demands of carrier aggregation
US9338805B2 (en) * 2012-11-16 2016-05-10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andby with a dual-standby modem and establishing single connection for one subscriber identity card
US10439684B2 (en) * 2012-12-31 2019-10-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mart antenna platform for indo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9008247B2 (en) * 2013-06-07 2015-04-14 Mediatek Inc. Communication circuits and communication devices supporting MIMO and dual-mode techniques
US9712224B2 (en) * 2013-08-30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switching for dual radio devices
KR102207857B1 (ko) * 2014-02-04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18687B1 (ko) 2014-02-28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77207B1 (ko) * 2014-08-26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US10841822B2 (en) * 2015-10-02 2020-11-17 Intel IP Corporation Transport format selection method and device
CN105429647B (zh) * 2015-11-06 2018-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992486B1 (ko) * 2017-05-17 2019-07-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단말의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212576A1 (ko) * 2017-05-17 2018-11-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단말의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7610A1 (en) 2003-02-12 2004-08-12 Black Peter J.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verage and switching between overlay communication systems
US20050227631A1 (en) * 2004-04-13 2005-10-13 Robinett Robert L Multi-antenna transceiver system
EP1670147B1 (en) 2004-12-13 2011-11-23 Broadcom Corporation Mobile receiver antenna architecture for world band cellular and broadcasting servi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4310B1 (en) * 2000-11-03 2004-10-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cision feedback loop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and de-rotation using burst pilot bits
US20040204035A1 (en) * 2002-09-24 2004-10-14 Sharada Raghuram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employing simultaneously operating receivers
BR122017021963B1 (pt) * 2004-03-04 2020-11-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odo para a comutaqao de modo de um terminal de comunicaqao movel multibanda multimodo em um estado de trafego
US20100329222A1 (en) 2005-11-01 2010-12-30 Hallbjoerner Paul Mimo based wireless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US8670777B2 (en) * 2006-09-08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other sector interference (OSI) adjustment
JP4657197B2 (ja) 2006-12-19 2011-03-2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接続先選択方法および装置
CN103401668B (zh) * 2007-12-17 2016-12-28 Tcl通讯科技控股有限公司 移动通信系统
US8228853B2 (en) * 2008-02-01 2012-07-24 Qualcomm Incorporated Serving base station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808312B2 (en) * 2008-10-31 2010-10-05 Micro Mobio Corporation Broadband RF linear amplifier
KR101638911B1 (ko) * 2009-03-06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US20100279709A1 (en) * 2009-04-29 2010-11-04 Qualcomm Incorporated Ultimode sup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7610A1 (en) 2003-02-12 2004-08-12 Black Peter J.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verage and switching between overlay communication systems
US20050227631A1 (en) * 2004-04-13 2005-10-13 Robinett Robert L Multi-antenna transceiver system
EP1670147B1 (en) 2004-12-13 2011-11-23 Broadcom Corporation Mobile receiver antenna architecture for world band cellular and broadcasting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96419A1 (en) 2010-11-25
EP2254252A2 (en) 2010-11-24
EP3346612A1 (en) 2018-07-11
ES2670369T3 (es) 2018-05-30
US8565152B2 (en) 2013-10-22
EP2254252B1 (en) 2018-04-11
CN101895327B (zh) 2014-10-22
CN101895327A (zh) 2010-11-24
EP2254252A3 (en) 2015-03-25
KR20100126196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952B1 (ko)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KR101638911B1 (ko)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KR101166984B1 (ko) 송신 국부 발진기를 이용하여 다중 모드 장치에서 셀 탐색 및 다중 링크 통신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468400B1 (ko) 라디오 통신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6725058B2 (en) Intersystem handover
KR10183980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기지국 컨트롤 장치 및 그 컨트롤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다중 협력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181183A1 (en) Shared Radio Backhaul System
US20220264393A1 (en) Cell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3314940B1 (en) Method for handling simultaneous measurement signaling and data communication,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KR100943736B1 (ko)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멀티모드 멀티밴드단말기
WO20060643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handover measurement process
KR20120114964A (ko)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328609A1 (en) Methods and apparatus of ta maintenance and acquisition for mobility with inter-cell beam management
CN106900062B (zh) 用于通信系统的信号处理方法和设备
KR10162293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 방법
CN103051428A (zh) 仅配置专用信道的终端的pci反馈小区确定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