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983B1 -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 - Google Patents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983B1
KR101673983B1 KR1020150122638A KR20150122638A KR101673983B1 KR 101673983 B1 KR101673983 B1 KR 101673983B1 KR 1020150122638 A KR1020150122638 A KR 1020150122638A KR 20150122638 A KR20150122638 A KR 20150122638A KR 101673983 B1 KR101673983 B1 KR 101673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isture
line
air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종
Original Assignee
김윤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종 filed Critical 김윤종
Priority to KR102015012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 주위와 코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에어밴드가 결합되는 전면부; 상부구획선에 의해 상기 전면부와 구획되고 상부곡선접합선에 의해 양단부가 상기 전면부의 중앙부에 모아지게 접합되어 상기 전면부로부터 오목한 홈부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상부주름부; 상부접철선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상기 상부주름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콧등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부덮개부; 하부구획선에 의해 상기 전면부와 구획되고 하부곡선접합선에 의해 양단부가 상기 전면부의 중앙부에 모아지게 접합되어 상기 전면부로부터 오목한 홈부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하부주름부; 하부접철선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상기 하부주름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턱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부덮개부; 및 사용자가 내뿜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를 포집하여 상기 전면부 외부로 안내하는 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 {DISCHARGE MOISTURE TYPE DUST PROOF MASK}
본 발명은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진마스크의 테두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방진마스크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의 호흡기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진마스크 착용 시에 사용자가 내뿜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가 방진마스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방진마스크는 산업전반에 걸쳐 두로 사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유독가스 배출이 심한 화학공장이나, 금속가루 및 용접흄 등이 발생되는 금속제련 현장 또는 제지관련이나 방직공장 등에서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많이 착용 된다.
또한, 분진 발생이 극히 제한적이어야 할 반도체 연구실(또는 반도체 제조현장)에서는 착용자의 건강보다는 제품의 품질을 위해 청정한 작업공간을 조성하고자, 방진마스크가 착용되고 있다.
한편, 일상생활 가운데서도 방진마스크는 많이 착용되고 있는데, 근자에는 봄철에 중국에서 황사바람이 많이 불어와서 황사주의보가 발령될 정도이어서 봄철에 방진마스크를 많이 착용하고 있으며, 봄철 이외에도 대기오염이 날로 심해지는 추세인바, 일반인들도 건강상의 이유로 많이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방진마스크의 목적은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여 최대한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필터지의 품질을 높여 여과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필터지의 품질 향상뿐만 아니라 필터지의 여과면적이 되도록 크게 확보되는 것이 중요한데, 종래의 방진마스크는 착용 시 이어밴드가 부착되는 필터지의 양측면이 착용자의 뺨과 면대면 접촉방식으로 착용됨에 따라, 실질적인 여과기능은 입주변의 필터지에 한정됨으로써, 필터지의 크기에 비해 여과면적이 협소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1701호(2009년 4월 3일 공고, 발명의 명칭 : 4면 방진마스크)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방진마스크는, 사용자가 내뿜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를 방진마스크 외부로 배출시키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방진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에는 방진마스크와 사용자의 인체 사이의 공간에 습기가 충진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고, 방진마스크와 사용자의 코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가 사용자의 시야를 가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방진마스크의 테두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방진마스크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의 호흡기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진마스크 착용 시에 사용자가 내뿜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가 방진마스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 주위와 코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에어밴드가 결합되는 전면부; 상부구획선에 의해 상기 전면부와 구획되고 상부곡선접합선에 의해 양단부가 상기 전면부의 중앙부에 모아지게 접합되어 상기 전면부로부터 오목한 홈부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상부주름부; 상부접철선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상기 상부주름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콧등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부덮개부; 하부구획선에 의해 상기 전면부와 구획되고 하부곡선접합선에 의해 양단부가 상기 전면부의 중앙부에 모아지게 접합되어 상기 전면부로부터 오목한 홈부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하부주름부; 하부접철선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상기 하부주름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턱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부덮개부; 및 사용자가 내뿜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를 포집하여 상기 전면부 외부로 안내하는 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습기배출부는, 상기 전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입 또는 코로부터 뿜어지는 공기 중 일부분이 유입되어 상기 전면부의 양단부 측으로 안내되는 포집부; 및 상기 포집부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상기 전면부 외측으로 안내하여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를 상기 전면부 외측으로 안내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포집부는, 상기 전면부의 일부분이 통로를 이루도록 중첩되어 이루어지는 굴곡홈부; 및 상기 굴곡홈부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굴곡홈부의 상면과 하면을 융착시켜 이루어지는 포집접합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는, 상기 포집접합선에 의해 형성되는 굴곡홈부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파이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는, 한 쌍의 상기 파이프부재가 상기 굴곡홈부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는, 전면부, 상부덮개부 및 하부덮개부가 구획되고, 상부덮개부의 양단부를 전면부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서 접착시키는 상부곡선접합선과, 하부덮개부의 양단부를 전면부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서 접착시키는 하부곡선접합선이 구비되므로 방진마스크가 배 또는 용기 모양으로 오목하게 펼쳐지므로 사용자의 입과 코 주위에 착용하는 경우에 방진마스크의 테두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면서 방진마스크를 통과하지 않고 방진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상부덮개부에 형상기억부재가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방진마스크를 착용한 후에 형상기업부재를 콧등 모양으로 변형시켜 밀착시키면 사용자의 코와 볼 사이의 간격을 통해 방진마스크를 통과하지 못하고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어 효과적은 거름 작용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는, 방진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습기를 포집하여 방진마스크 외부로 배출시키는 습기배출부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방진마스크를 장기가 착용하여도 방진마스크 내부에 습기가 필요 이상으로 충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쾌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의 상부덮개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의 하부덮개부의 접철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의 습기배출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의 파이프부재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의 상부덮개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의 하부덮개부의 접철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의 습기배출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의 파이프부재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는, 사용자의 입 주위와 코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에어밴드가 결합되는 전면부(10)와, 상부구획선(12)에 의해 전면부(10)와 구획되고 상부곡선접합선(36)에 의해 양단부가 전면부(10)의 중앙부에 모아지게 접합되어 전면부(10)로부터 오목한 홈부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상부주름부(32)와, 상부접철선(34)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상부주름부(32)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콧등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부덮개부(30)와, 하부구획선(14)에 의해 전면부(10)와 구획되고 하부곡선접합선(56)에 의해 양단부가 전면부(10)의 중앙부에 모아지게 접합되어 전면부(10)로부터 오목한 홈부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하부주름부(52)와, 하부접철선(54)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하부주름부(52)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턱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부덮개부(50)와, 사용자가 내뿜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를 포집하여 상기 전면부(10) 외부로 안내하는 습기배출부(74)(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마스크는, 섬유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필터부재가 배치되도록 중첩되고, 초음파 융착 등의 접합공정이 진행되어 전면부(10)를 제작하고, 전면부(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상부구획선(12), 하부구획선(14), 상부접철선(34), 하부접철선(54), 상부곡선접합선(36) 및 하부곡선접합선(56)을 형성하여 배 또는 용기 모양으로 오목한 홈부를 이루며 펼쳐지는 방진마스크를 제작하게 된다.
전면부(10)의 양단부에는 각각 이어밴드(8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귀에 이어밸드를 거치시키면 전면부(10)가 사용자의 입과 코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부덮개부(30) 및 상부주름부(32)가 사용자의 콧등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하부덮개부(50) 및 하부주름부(52)가 사용자의 턱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후에, 전면부(10) 중앙부에 습기배출부(74)(70)가 구비되도록 접합공정 및 삽입공정을 행하여 전면부(10)의 양단부 측으로 사용자가 내뿜는 공기 중의 일부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므로 사용자가 내뿜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가 전면부(10)의 양단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내뿜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가 전면부(10)의 양측 단부를 통해 방진마스크 외부로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장시간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여도 방진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습기가 필요 이상으로 충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쾌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습기배출부(74)(70)는, 전면부(10)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입 또는 코로부터 뿜어지는 공기 중 일부분이 유입되어 전면부(10)의 양단부 측으로 안내되는 포집부(72)와, 포집부(72)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전면부(10) 외측으로 안내하여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를 전면부(10) 외측으로 안내하는 배출부(74)를 포함한다.
포집부(72)는 전면부(10)의 중앙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입 또는 코로부터 주로 전면부(10)의 중앙부 측으로 뿜어지는 공기가 포집부(72)를 따라 전면부(10)의 양측 방향으로 분산되어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면부(10)의 양측 단부 측으로 분산되어 이동되는 공기는 배출부(74)를 통해 전면부(10) 외측으로 배출되므로 사용자의 입 또는 코로부터 뿜어지는 공기의 일부분은 전면부(10)의 양측 단부 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전면부(10) 외측으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가 전면부(10) 외측으로 배출되므로 방진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공간에 습기가 필요 이상으로 충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포집부(72)는, 전면부(10)의 일부분이 통로를 이루도록 중첩되어 이루어지는 굴곡홈부(72a)와, 굴곡홈부(72a)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굴곡홈부(72a)의 상면과 하면을 융착시켜 이루어지는 포집접합선(72b)을 포함한다.
굴곡홈부(72a)는 전면부(10)의 중앙부를 양측 방향으로 길게 굴곡시켜 이루어지고, 전면부(10)의 일부분이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굴곡홈부(72a)의 상면과 저면이 서로 접착되도록 초음파 융착공정을 행하여 점선 모양의 포집접합선(72b)을 성형하게 된다.
따라서 전면부(10)의 중앙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굴곡홈부(72a) 및 포집접합선(72b)이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숨을 내뿜을 때에 제공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점선 모양의 포집접합선(72b) 사이의 간격으로 공기가 굴곡홈부(72a) 내부로 유입되고, 전면부(10) 중앙부의 압력이 상승되면 굴곡홈부(72a)를 따라 공기가 전면부(10)의 양측 단부 측으로 분산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내뿜는 공기의 일부분이 굴곡홈부(72a)를 따라 전면부(10)의 양측 단부 측으로 분산되어 이동되므로 전면부(10)의 양측 단부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가 전면부(10) 양측 단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배출부(74)를 통해 공기 및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가 배출된다.
배출부(74)는, 포집접합선(72b)에 의해 형성되는 굴곡홈부(72a)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파이프부재(74a)를 포함하므로 굴곡홈부(72a)의 양단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 수분은 파이프부재(74a)를 따라 전면부(10) 외측으로 배출된다.
굴곡홈부(72a)의 양단부로 갈수록 포집접합선(72b)이 전면부(10)의 배면 측으로 곡선을 이루며 굴곡되어 형성되는 단부곡선접합선(72c)이 형성되므로 굴곡홈부(72a)의 양단부는 굴곡홈부(72a)의 중앙부와 비교하여 넓은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굴곡홈부(72a)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파이프부재(74a)를 압입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파이프부재(74a)를 굴곡홈부(72a) 내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포집접합선(72b) 및 단부곡선접합선(72c)을 성형하여 파이프부재(74a)가 굴곡홈부(72a)의 양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배출부(74)는, 한 쌍의 상기 파이프부재(74a)가 상기 굴곡홈부(72a)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파이프부재(74a)는 0.5~2.0cm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굴곡홈부(72a)를 따라 습기가 배출될 때에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부(10)가 습기에 의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마스크는, 상부주름부(32)가 상부구획선(12)을 중심으로 전면부(10)의 배면 측으로 접혀지고, 하부주름부(52)가 하부구획선(14)을 중심으로 전면부(10)의 배면 측으로 접혀지고, 상부접철선(34)을 중심으로 상부덮개부(30)가 상부주름부(32)의 배면 측으로 접혀지고, 하부접철선(54)을 중심으로 하부덮개부(50)가 하부주름부(52)의 배면 측으로 접혀지고, 굴곡홈부(72a)를 중심으로 전면부(10)의 상부 및 하부가 중첩되도록 접혀지므로 전면부(10)의 절반에 해당되는 폭으로 좁게 접혀지면서 간편한 수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되는 방진마스크를 착용할 때에는 굴곡홈부(72a)를 중심으로 전면부(10)를 상부와 하부로 펼친 후에 상부덮개부(30)와 하부덮개부(50)를 각각 상측 및 하측으로 펼치면, 상부곡선접합선(36) 및 하부곡선접합선(56)에 의해 상부주름부(32) 및 하부주름부(52)가 오목한 형상을 유지하므로 상부덮개부(30) 및 하부덮개부(50)가 오목한 배 또는 용기 모양으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 또는 용기 모양으로 오목하게 펼쳐지는 방진마스크를 사용자의 입 및 코 부위에 대향되게 배치시킨 후에 이어밴드(80)를 양쪽 귀에 걸면 오목하게 펼쳐지는 방진마스크의 테두리가 사용자의 입과 코 부위에 밀착되면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상부덮개부(30)에 설치되는 형상기억부재(38)를 변형시켜 콧등에 밀착시키면 사용자의 코와 볼 사이의 간격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효과적은 이물질 거름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진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 또는 코를 통해 공기를 뿜어내면 전면부(10)의 중앙부 측으로 공기가 배출되고, 전면부(10)의 중앙부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분은 점선으로 이루어지는 포집접합선(72b) 사이의 간격을 통해 굴곡홈부(72a) 내부로 유입되고, 압력이 상승되는 전면부(10) 중앙부로부터 전면주의 양측 단부 측으로 분산되어 공기가 유동되게 된다.
전면부(10)의 양단부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전면부(1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파이프부재(74a)를 통해 전면부(10)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사용자가 뿜어내는 공기 중의 일부분이 전면부(10) 외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전면부(10) 외측으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가 방진마스크 외부로 배출되면서 방진마스크 내부에 필요 이상의 습기가 충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방진마스크의 테두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방진마스크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의 호흡기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진마스크 착용 시에 사용자가 내뿜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가 방진마스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마스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전면부 12 : 상부구획선
14 : 하부구획선 30 : 상부덕개부
32 : 상부주름부 34 : 상부접철선
36 : 상부곡선접합선 38 : 형상기억부재
50 : 하부덮개부 52 : 하부주름부
54 : 하부접철선 56 : 하부곡선접합선
70 : 습기배출부 72 : 포집부
72a : 굴곡홈부 72b : 포집접합선
72c : 단부곡선접합선 74 : 배출부
74a : 파이프부재 80 : 에어밴드

Claims (5)

  1. 사용자의 입 주위와 코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에어밴드가 결합되는 전면부;
    상부구획선에 의해 상기 전면부와 구획되고 상부곡선접합선에 의해 양단부가 상기 전면부의 중앙부에 모아지게 접합되어 상기 전면부로부터 오목한 홈부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상부주름부;
    상부접철선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상기 상부주름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콧등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부덮개부;
    하부구획선에 의해 상기 전면부와 구획되고 하부곡선접합선에 의해 양단부가 상기 전면부의 중앙부에 모아지게 접합되어 상기 전면부로부터 오목한 홈부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하부주름부;
    하부접철선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상기 하부주름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턱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부덮개부; 및
    사용자가 내뿜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를 포집하여 상기 전면부 외부로 안내하는 습기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습기배출부는,
    상기 전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입 또는 코로부터 뿜어지는 공기 중 일부분이 유입되어 상기 전면부의 양단부 측으로 안내되는 포집부; 및
    상기 포집부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상기 전면부 외측으로 안내하여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를 상기 전면부 외측으로 안내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전면부의 일부분이 통로를 이루도록 중첩되어 이루어지는 굴곡홈부; 및
    상기 굴곡홈부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굴곡홈부의 상면과 하면을 융착시켜 이루어지는 포집접합선을 포함하고,
    상기 굴곡홈부는 상기 전면부의 중앙부를 양측 방향으로 길게 굴곡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부의 일부분이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굴곡홈부의 상면과 저면이 서로 접착되도록 초음파 융착공정을 행하여 점선 모양의 상기 포집접합선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포집접합선에 의해 형성되는 굴곡홈부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는 파이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한 쌍의 상기 파이프부재가 상기 굴곡홈부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
KR1020150122638A 2015-08-31 2015-08-31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 KR10167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38A KR101673983B1 (ko) 2015-08-31 2015-08-31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38A KR101673983B1 (ko) 2015-08-31 2015-08-31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983B1 true KR101673983B1 (ko) 2016-11-08

Family

ID=5752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638A KR101673983B1 (ko) 2015-08-31 2015-08-31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98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465B1 (ko) 2017-08-24 2018-05-14 장민경 기능성 마스크
KR102082969B1 (ko) * 2019-06-20 2020-02-28 박영희 미세먼지 차단용 플라즈마처리 마스크
KR102196160B1 (ko) * 2020-07-07 2020-12-29 이성희 끈 조절 다기능성 마스크
KR102300139B1 (ko) * 2021-01-30 2021-09-09 엠플러스에프엔씨(주) 습도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300138B1 (ko) * 2021-01-30 2021-09-09 엠플러스에프엔씨(주) 수분 포집면을 포함하는 마스크
KR20210117657A (ko) 2020-03-20 2021-09-29 박치영 마스크용 공기 바이패스 장치
WO2022035007A1 (ko) * 2020-08-13 2022-02-17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220040681A (ko) 2020-09-24 2022-03-31 이동근 구역 분리 마스크
KR102445041B1 (ko) * 2021-04-26 2022-09-21 주식회사 수아아이 순지트를 이용한 벌집 육각구조의 항균 마스크 필터 가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0496107Y1 (ko) * 2020-09-10 2022-11-03 노재현 필터 교체형 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171A (ja) * 1989-08-10 1991-03-26 Tokyo Electric Co Ltd 電子写真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071171B2 (ja) * 1998-03-20 2000-07-31 日本碍子株式会社 旋回流式灰溶融炉
KR101472115B1 (ko) * 2014-06-27 2014-12-16 김윤종 방진마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171A (ja) * 1989-08-10 1991-03-26 Tokyo Electric Co Ltd 電子写真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071171B2 (ja) * 1998-03-20 2000-07-31 日本碍子株式会社 旋回流式灰溶融炉
KR101472115B1 (ko) * 2014-06-27 2014-12-16 김윤종 방진마스크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465B1 (ko) 2017-08-24 2018-05-14 장민경 기능성 마스크
KR102082969B1 (ko) * 2019-06-20 2020-02-28 박영희 미세먼지 차단용 플라즈마처리 마스크
KR20210117657A (ko) 2020-03-20 2021-09-29 박치영 마스크용 공기 바이패스 장치
KR102196160B1 (ko) * 2020-07-07 2020-12-29 이성희 끈 조절 다기능성 마스크
WO2022035007A1 (ko) * 2020-08-13 2022-02-17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EP4176939A4 (en) * 2020-08-13 2024-01-03 Koreatech Co Ltd MASK WITH SIDE FIXING PARTS
KR200496107Y1 (ko) * 2020-09-10 2022-11-03 노재현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20220040681A (ko) 2020-09-24 2022-03-31 이동근 구역 분리 마스크
KR102300139B1 (ko) * 2021-01-30 2021-09-09 엠플러스에프엔씨(주) 습도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300138B1 (ko) * 2021-01-30 2021-09-09 엠플러스에프엔씨(주) 수분 포집면을 포함하는 마스크
KR102445041B1 (ko) * 2021-04-26 2022-09-21 주식회사 수아아이 순지트를 이용한 벌집 육각구조의 항균 마스크 필터 가드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983B1 (ko) 습기 배출형 방진마스크
KR101985567B1 (ko) 착용이 용이하면서 김서림을 방지한 방진마스크
KR101459300B1 (ko) 방진마스크
KR101471474B1 (ko) 방진마스크
KR100891701B1 (ko) 4면 방진마스크
KR102020114B1 (ko) 마스크 제조방법
KR101778842B1 (ko) 마스크
KR101787486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
KR101873049B1 (ko) 방진 마스크
AU2014309245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KR101439123B1 (ko) 방진마스크
CN101641137B (zh) 用于面罩的过滤器及采用该过滤器的面罩
KR101472115B1 (ko) 방진마스크
KR101915179B1 (ko) 마스크
KR102185325B1 (ko) 방진 마스크
KR20190083896A (ko) 입체 마스크
EP2589413A2 (en) Foldable respirator
JP3213767U (ja) 衛生マスクおよび衛生マスク用フィルター
JP2011120761A (ja) 衛生マスク
KR100510163B1 (ko) 상하 융출부를 갖는 일회용 방진마스크
JP2006314642A (ja) 立体型マスク
KR20180054008A (ko) 마스크
KR200496140Y1 (ko) 마스크 커버 및 마스크 어셈블리
TWM563773U (zh) 可透視口罩
JP2007117599A (ja) 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