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445B1 -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445B1
KR101673445B1 KR1020100048110A KR20100048110A KR101673445B1 KR 101673445 B1 KR101673445 B1 KR 101673445B1 KR 1020100048110 A KR1020100048110 A KR 1020100048110A KR 20100048110 A KR20100048110 A KR 20100048110A KR 101673445 B1 KR101673445 B1 KR 10167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bscriber
data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585A (ko
Inventor
윤민근
곽기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8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44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47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for personal communications, i.e. using a personal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카드를 소지한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장치에 자신의 가입자식별카드를 자유롭게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정보가 기록된 가입자식별카드가 소정 단말장치에 장착되고, 장착된 상기 가입자식별카드의 가입자식별정보와 내장된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위치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호 처리장치가 상기 위치 등록 요청에 따른 단말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관리하는 단말인증장치가 상기 호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의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DATA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VARIOUS TERMINAL EQUIP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카드를 소지한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장치에 자신의 가입자식별카드를 자유롭게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장치의 구분 없이 한 가입자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단말인증장치 및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 위치등록장치 및 위치등록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전화 서비스의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무선 인터넷 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근래에는 이동전화단말을 이용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실정에 이르렀다.
물론, 이동전화단말 뿐 아니라 노트북, 테블렛 PC, E-book 장치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단말장치들이 등장하였고, 이들 단말장치에는 무선인터넷에 접속/통신 가능한 모듈이 내장됨으로써 어디에서든 자유롭게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헌데,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전화단말 뿐 아니라 여러 종류의 다른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각 단말장치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한명의 사용자에 대응하여 연계/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의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하는데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정보가 기록된 가입자식별카드가 소정 단말장치에 장착되고, 장착된 상기 가입자식별카드의 가입자식별정보와 내장된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위치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호 처리장치가 상기 위치 등록 요청에 따른 단말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관리하는 단말인증장치가 상기 호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의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카드를 소지한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장치에 자신의 가입자식별카드를 자유롭게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고, 가입자식별정보 및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 요청이 호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의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인증 수행에 따른 인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단말인증장치 및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카드를 소지한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장치에 자신의 가입자식별카드를 자유롭게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지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저장하고, 가입자식별정보 및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입자식별정보에 기초한 위치 등록이 호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에서 상기 가입자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위치 등록 수행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위치등록장치 및 위치등록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무선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카드를 소지한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장치에 자신의 가입자식별카드를 자유롭게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지원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정보가 기록된 가입자식별카드; 장착된 상기 가입자식별카드의 가입자식별정보와 내장된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여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등록 요청에 따른 단말 인증을 요청하는 호 처리장치; 및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관리하며, 상기 호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의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인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단말인증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 인증을 요청에 대응하여 인증이 성공됨에 따라 상기 호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가입자식별정보에 기초한 위치 등록이 수신되면, 소정의 가입자정보에서 상기 가입자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위치 등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위치등록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인증장치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제1리스트저장부; 및 가입자식별정보 및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 요청이 호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1리스트저장부의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의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인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제2리스트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2리스트저장부의 상기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인 경우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1리스트저장부의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인증이 성공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인증 성공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위치등록장치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제1가입자정보저장부; 및 가입자식별정보 및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입자식별정보에 기초한 위치 등록이 호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가입자정보저장부에서 상기 가입자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위치 등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위치등록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제2가입자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등록제어부는, 상기 호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2가입자정보저장부에서 상기 가입자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인 경우 상기 제1가입자정보저장부에서 상기 가입자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등록제어부는,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인 경우 상기 제1가입자정보저장부를 토대로 상기 가입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만을 허용함을 나타내는 상기 위치 등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정보가 기록된 가입자식별카드가 소정 단말장치에 장착되는 단계; 장착된 상기 가입자식별카드의 가입자식별정보와 내장된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호 처리장치가 상기 위치 등록 요청에 따른 단말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관리하는 단말인증장치가, 상기 호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인증장치가 상기 인증 수행에 따른 인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 처리장치가 상기 단말 인증을 요청에 대응하여 인증이 성공됨에 따라 상기 가입자식별정보에 기초한 위치 등록을 위치등록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호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등록이 수신되면, 상기 위치등록장치가 소정의 가입자정보에서 상기 가입자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위치 등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제1리스트 저장단계; 가입자식별정보 및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 요청이 호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단계; 및 상기 인증 수행에 따른 인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인증 결과 회신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제2리스트 저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 수행단계는,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인 경우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 수행단계는,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인증이 성공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인증 성공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상기 인증 결과 회신단계를 통해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위치등록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제1가입자정보 저장단계; 가입자식별정보 및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입자식별정보에 기초한 위치 등록이 호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에서 상기 가입자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위치 등록 수행단계; 및 상기 위치 등록 수행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회신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제2가입자정보 저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등록 수행단계는, 상기 호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가입자정보에서 상기 가입자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에서 상기 가입자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등록 수행단계는,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입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만을 허용함을 나타내는 상기 위치 등록 결과를 상기 회신단계를 통해 상기 호 처리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정보가 기록된 가입자식별카드를 다양한 단말장치에 장착하면, 단말인증장치 및 위치등록장치가 가입자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 서비스 전용 여부를 인지하고 이에 따른 단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수행함으로써, 가입자식별카드를 소지한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장치에 자신의 가입자식별카드를 자유롭게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가입자식별카드를 소지한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장치에 자신의 가입자식별카드를 자유롭게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장치의 구분 없이 한 가입자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적용/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인증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등록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정보가 기록된 가입자식별카드(10)와,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10)의 가입자식별정보와 내장된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여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100)와,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등록 요청에 따른 단말 인증을 요청하는 호 처리장치(200)와,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관리하며,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상기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인증 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하는 단말인증장치(300)를 포함한다.
가입자식별카드(10)는, 무선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정보가 기록된 식별모듈기능을 갖는다.
즉, 가입자식별카드(10)는, 생산 시에 무선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번호정보(예:WCDMA번호, Wibro번호 등)이 미리 기록되고, 가입자식별정보(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가 기록되어 있는 USIM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UISIM카드 형태의 가입자식별카드(10)는,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를 위해 이동전화단말에 장착되는 기존 USIM카드와 동일한 외형을 채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입자식별카드(10)에 기록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정보(IMSI)는,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를 위한 기존 USIM카드의 가입자식별정보와 구분된 번호체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즉, 무선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카드(10)를 소지한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장치(100)에 자신의 가입자식별카드(10)를 자유롭게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장치의 구분 없이 한 가입자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적용/관리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위해, 가입자식별카드(10)에 기록된 가입자식별정보(IMSI)는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의 가입자식별정보의 번호체계와는 구분된 별도의 번호체계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와 OPMD(One Person Multi Device) 서비스 라는 명칭을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단말장치(100)는, 가입자식별카드(1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미도시)를 갖는 단말로서,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10)의 가입자식별정보와 자신에 내장된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호 처리장치(200)로 제공하여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가입자식별카드(10)가 새롭게 장착되거나 또는 가입자식별카드(10)가 장착된 상태로 전원이 턴온되는 등 위치 등록이 요구되는 경우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10)의 가입자식별정보와 자신에 내장된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호 처리장치(200)로 제공하여 위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화단말, 노트북 또는 테블렛 PC 또는 넷북 등과 같은 이동 PC, 게임단말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일 수 있으며, 다만 무선인터넷으로의 접속/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예:WCDMA 모뎀, Wibro 모뎀 등)을 탑재하는 단말이면 가능할 것이다.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위치 등록이 요청되면, 위치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단말 인증을 단말인증장치(300)에 요청한다.
즉,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장치(100)에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10)의 가입자식별정보(IMSI)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하는 Check IMEI 메시지를 단말인증장치(300)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단말인증장치(300)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관련하여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관리한다. 여기서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는, 가입자식별카드(10)를 여러 종류의 단말장치(100) 중 어느 하나에 장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함에 있어서, 가입자식별카드(10)가 장착된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인증을 허용하지 않고자 정의된 단말식별정보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단말인증장치(300)는,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인증 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한다.
즉, 단말인증장치(300)는,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가입자식별정보(IMSI) 및 단말식별정보(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하는 Check IMEI 메시지가 제공되어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번호체계인 경우 단말식별정보(IMEI) 및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인증 결과 즉 Check IMEI Return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인증장치(300)는, 단말장치의 고유번호인 단말식별정보(IMEI)를 관리하여 망 위치 등록 시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EIR(Equipment Identity Register)일 수 있다.
이에,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인증 결과가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회신되면, 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위치등록장치(400)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을 시도한다.
즉,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인증이 성공됨을 알리는 Check IMEI Return 메시지가 회신되면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이 성공했음을 인지하고,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포함하는 Update GPRS Location 메시지를 위치등록장치(400)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을 시도할 수 있다.
위치등록장치(400)는,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가입자식별정보(IMSI)에 기초한 위치 등록이 수신되면, 소정의 가입자정보에서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위치 등록 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한다.
즉, 위치등록장치(400)는,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포함하는 Update GPRS Location 메시지가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제공되어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이 시도되면,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번호체계인 경우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이때, 위치등록장치(400)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함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함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 만을 허용함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Network Access mode = SGSN Only)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위치등록장치(400)는, 홈위치등록장치(HLR:Home Location Register)일 수 있다.
이에, 호 처리장치(200)는, 위치등록장치(400)로부터 위치 등록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가 회신되면, 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세션을 수립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호 처리장치(200)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한 단말인증장치(300)의 참조 번호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제1리스트저장부(320)와, 가입자식별정보 및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 요청이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제1리스트저장부(320)의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인증 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하는 장치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제1리스트저장부(320)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관련하여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관리한다.
여기서,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는, 가입자식별카드(10)를 여러 종류의 단말장치(100) 중 어느 하나에 장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함에 있어서, 가입자식별카드(10)가 장착된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인증을 허용하지 않고자 정의된 단말식별정보들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OPMD 서비스가 다양한 단말장치(100)에 가입자식별카드(10)를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므로, 서비스 제공사 측에서 인증을 허용하는 단말식별정보를 모두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는, 가입자식별카드(10)가 장착된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인증을 허용하지 않는 기 정의된 단말식별정보(IMEI)를 포함하는 Black list 로서의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한다. 이때,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는 서비스 제공사 측의 운용자 및/또는 운용장치에 의해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는,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제2리스트저장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리스트저장부(330)는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관리한다.
여기서,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는,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를 위한 기존 USIM카드(미도시)가 장착된 이동전화단말에 대하여 인증을 허용하고자 기 정의된 단말식별정보(IMEI)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는, White list 이다.
장치제어부(310)는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가입자식별정보(IMSI) 및 단말식별정보(IME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인증 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치제어부(310)는,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가입자식별정보(IMSI) 및 단말식별정보(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하는 Check IMEI 메시지가 제공되어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기존의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와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 즉 본 발명의 OPMD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가 상호 상이하도록 구분됨에 따라, 장치제어부(310)는,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를 확인하여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전용 즉 OPMD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식별카드(10)라면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할 것이며, 단말장치(100)에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가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USIM카드(미도시)라면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는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할 것이다.
이에, 장치제어부(310)는,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를 토대로 판단한 결과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번호체계인 경우,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IMEI) 및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한다.
즉, 장치제어부(310)는,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해당되는 단말장치(100)의 인증이 성공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인증 성공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 즉 Check IMEI Return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한편, 장치제어부(310)는,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를 토대로 판단한 결과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번호체계인 경우,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IMEI) 및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한다.
즉, 장치제어부(310)는,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해당되는 단말장치(100)의 인증이 성공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인증 성공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 즉 Check IMEI Return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이에,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를 위한 USIM카드(미도시)를 일반 이동전화단말(분실/도난등의 사유로 Black으로 관리하지 않는 정상 단말)에 장착하면, 단말인증장치(300)는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기존의 번호체계이므로 White List 인증을 수행하게 되고,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White List 에 존재할 것이므로 단말 인증을 성공 처리한다.
한편,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를 위한 USIM카드(미도시)를 일반 이동전화단말(분실/도난등의 사유로 Black으로 관리하지 않는 정상 단말)을 제외한 다양한 종류의 단말장치(100)에 장착하면, 단말인증장치(300)는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기존의 번호체계이므로 White List 인증을 수행하게 되는데, 단말인증장치(300)는 단말장치(100)가 이동전화 서비스를 위한 단말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의 IMEI를 White List에서 조회할 수 없어서 단말 인증을 실패 처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USIM카드(10)를 일반 이동전화단말에 장착하면, 단말인증장치(300)는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 즉 OPMD 서비스의 번호체계이므로 Black List 인증을 수행하는데, Black 으로 관리되는 단말이 아님에 따라 Black List에서 조회할 수 없을 것이므로 단말 인증을 성공 처리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USIM카드(10)를 장착한 일반 이동전화단말은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만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USIM카드(10)를 다양한 종류의 단말장치(100)에 장착하면, 단말인증장치(300)는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 즉 OPMD 서비스의 번호체계이므로 Black List 인증을 수행하고, Black 으로 관리되는 단말이 아님에 따라 Black List에서 조회할 수 없을 것이므로 단말 인증을 성공 처리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치등록장치(400)의 참조 번호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제1가입자정보저장부(420)와, 가입자식별정보 및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100)에 대응하여 상기 가입자식별정보에 기초한 위치 등록이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제1가입자정보저장부(420)에서 상기 가입자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위치 등록 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하는 위치등록제어부(410)를 포함한다.
제1가입자정보저장부(420)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저장한다.
다시 말해, 제1가입자정보저장부(420)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OPMD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들의 가입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는,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제2가입자정보저장부(430)를 더 포함한다.
제2가입자정보저장부(430)는, 기존의 일반적인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여 가입된 가입자들의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는, 기존의 일반적인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가입자정보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OPMD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들의 가입자정보를 각각 저장/관리한다.
위치등록제어부(410)는, 가입자식별정보(IMSI) 및 단말식별정보(IME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100)에 대응하여 가입자식별정보(IMSI)에 기초한 위치 등록이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제1가입자정보저장부(420)에서 가입자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위치 등록 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등록제어부(410)는,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가입자식별정보(IMSI)에 기초한 위치 등록이 수신되면, 제1가입자정보저장부(420)에 저장된 가입자정보에서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포함하는 Update GPRS Location 메시지가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제공되어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이 시도되면, 위치등록제어부(410)는,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기존의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와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 즉 본 발명의 OPMD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가 상호 상이하도록 구분됨에 따라, 위치등록제어부(410)는,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를 확인하여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전용 즉 OPMD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식별카드(10)라면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할 것이며, 단말장치(100)에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가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USIM카드(미도시)라면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는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할 것이다.
이에, 위치등록제어부(410)는,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를 토대로 판단한 결과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번호체계인 경우, 제1가입자정보저장부(420)에 저장된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조회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
즉, 위치등록제어부(410)는, 제1가입자정보저장부(420)에 저장된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조회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이때, 위치등록제어부(410)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함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함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 만을 허용함을 나타내는 위치 등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위치등록제어부(410)는,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Network Access mode = SGSN Only)를 나타내는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한편, 위치등록제어부(410)는,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를 토대로 판단한 결과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번호체계인 경우, 제2가입자정보저장부(430)에 저장된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조회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
즉, 위치등록제어부(410)는, 제2가입자정보저장부(430)에 저장된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조회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이때, 위치등록제어부(410)는, 이동전화 서비스의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함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함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 및 이동전화 서비스를 모두 허용함을 나타내는 위치 등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위치등록제어부(410)는,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Network Access mode = Both)를 나타내는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한편, 위치등록제어부(410)는, 이동전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호 교환장치(예:MSC)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번호체계의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이 수신되더라도, 이를 미등록 가입자로 판단하여 위치 등록을 실패 처리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정보가 기록된 가입자식별카드(10)를 다양한 단말장치(100)에 장착하면, 단말인증장치(300) 및 위치등록장치(400)가 가입자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 서비스 전용 여부를 인지하고 이에 따른 단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수행함으로써, 가입자식별카드(10)를 소지한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장치(100)에 자신의 가입자식별카드(10)를 자유롭게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가입자식별카드(10)를 소지한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장치(100)에 자신의 가입자식별카드(10)를 자유롭게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장치의 구분 없이 한 가입자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적용/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무선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정보가 기록된 가입자식별카드(10)가 단말장치(100)에 장착된다(S10).
여기서, 가입자식별카드(10)는, 생산 시에 무선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번호정보(예:WCDMA번호, Wibro번호 등)이 미리 기록되고, 가입자식별정보(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가 기록되어 있는 USIM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UISIM카드 형태의 가입자식별카드(10)는,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를 위해 이동전화단말에 장착되는 기존 USIM카드와 동일한 외형을 채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입자식별카드(10)에 기록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정보(IMSI)는,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를 위한 기존 USIM카드의 가입자식별정보와 구분된 번호체계를 갖는다.
가입자식별카드(10)가 장착된 단말장치(100)는,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10)의 가입자식별정보와 자신에 내장된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호 처리장치(200)로 제공하여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S20). 즉, 단말장치(100)는, 가입자식별카드(10)가 새롭게 장착되거나 또는 가입자식별카드(10)가 장착된 상태로 전원이 턴온되는 등 위치 등록이 요구되는 경우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10)의 가입자식별정보와 자신에 내장된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호 처리장치(200)로 제공하여 위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위치 등록이 요청되면, 위치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단말 인증을 단말인증장치(300)에 요청한다(S30).
즉,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장치(100)에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10)의 가입자식별정보(IMSI)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하는 Check IMEI 메시지를 단말인증장치(300)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단말인증장치(300)는,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기 저장된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하고(S40), 이에 따른 인증 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한다(S50).
즉, 단말인증장치(300)는,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가입자식별정보(IMSI) 및 단말식별정보(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하는 Check IMEI 메시지가 제공되어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번호체계인 경우 단말식별정보(IMEI) 및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예 : Black list)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인증 결과 즉 Check IMEI Return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이에,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인증 결과가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회신되면, 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위치등록장치(400)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을 시도한다(S60).
즉,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인증이 성공됨을 알리는 Check IMEI Return 메시지가 회신되면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이 성공했음을 인지하고,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포함하는 Update GPRS Location 메시지를 위치등록장치(400)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을 시도할 수 있다.
위치등록장치(400)는,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가입자식별정보(IMSI)에 기초한 위치 등록이 수신되면, 소정의 가입자정보에서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S70), 위치 등록 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한다(S80).
즉, 위치등록장치(400)는,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포함하는 Update GPRS Location 메시지가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제공되어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이 시도되면,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번호체계인 경우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S70),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S80).
이때, 위치등록장치(400)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함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함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 만을 허용함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Network Access mode = SGSN Only)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호 처리장치(200)는, 위치등록장치(400)로부터 위치 등록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가 회신되면, 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세션을 수립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관련하여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한다(S100).
여기서,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는, 가입자식별카드(10)를 여러 종류의 단말장치(100) 중 어느 하나에 장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함에 있어서, 가입자식별카드(10)가 장착된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인증을 허용하지 않고자 정의된 단말식별정보들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OPMD 서비스가 다양한 단말장치(100)에 가입자식별카드(10)를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므로, 서비스 제공사 측에서 인증을 허용하는 단말식별정보를 모두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가입자식별카드(10)가 장착된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인증을 허용하지 않는 기 정의된 단말식별정보(IMEI)를 포함하는 Blasck list 로서의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한다. 이때,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는 서비스 제공사 측의 운용자 및/또는 운용장치에 의해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한다(S110).
여기서,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는,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를 위한 기존 USIM카드(미도시)가 장착된 이동전화단말에 대하여 인증을 허용하고자 기 정의된 단말식별정보(IMEI)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는, White list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가입자식별정보(IMSI) 및 단말식별정보(IME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인증 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가입자식별정보(IMSI) 및 단말식별정보(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하는 Check IMEI 메시지가 제공되어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S120),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이는,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기존의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와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 즉 본 발명의 OPMD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가 상호 상이하도록 구분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에서,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를 확인하여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전용 즉 OPMD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식별카드(10)라면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할 것이며, 단말장치(100)에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가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USIM카드(미도시)라면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는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를 토대로 판단한 결과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번호체계인 경우,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IMEI) 및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한다(S14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해당되는 단말장치(100)의 인증이 성공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인증 성공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 즉 Check IMEI Return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S16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를 토대로 판단한 결과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번호체계인 경우,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IMEI) 및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한다(S15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해당되는 단말장치(100)의 인증이 성공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인증 성공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 즉 Check IMEI Return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S16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저장한다(S200).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OPMD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들의 가입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기존의 일반적인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여 가입된 가입자들의 가입자정보를 저장한다(S210).
즉,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기존의 일반적인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가입자정보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OPMD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들의 가입자정보를 각각 저장/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가입자식별정보(IMSI) 및 단말식별정보(IME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장치(100)에 대응하여 가입자식별정보(IMSI)에 기초한 위치 등록이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에서 가입자식별정보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위치 등록 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가입자식별정보(IMSI)에 기초한 위치 등록이 수신되면,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OPMD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들의 가입자정보에서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조회하여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포함하는 Update GPRS Location 메시지가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제공되어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이 시도되면(S220),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이는,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기존의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와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 즉 본 발명의 OPMD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가 상호 상이하도록 구분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에서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를 확인하여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전용 즉 OPMD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식별카드(10)라면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는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할 것이며, 단말장치(100)에 장착된 가입자식별카드가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USIM카드(미도시)라면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는 기존의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를 토대로 판단한 결과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번호체계인 경우,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조회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S240).
즉,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조회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S245).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함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함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 만을 허용함을 나타내는 위치 등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Network Access mode = SGSN Only)를 나타내는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가입자식별정보(IMSI)의 번호체계를 토대로 판단한 결과 위치 등록에 포함된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번호체계인 경우, 이동전화 서비스의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조회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S250).
즉,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가입자식별정보(IMSI)를 조회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S255).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이동전화 서비스의 가입자정보를 토대로 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함에 따른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함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 및 이동전화 서비스를 모두 허용함을 나타내는 위치 등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위치등록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 액세스 모드(Network Access mode = Both)를 나타내는 위치 등록 결과 즉 Update GPRS Location Result 메시지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정보가 기록된 가입자식별카드(10)를 다양한 단말장치(100)에 장착하면, 단말인증장치(300) 및 위치등록장치(400)가 가입자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 서비스 전용 여부를 인지하고 이에 따른 단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수행함으로써, 가입자식별카드(10)를 소지한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장치(100)에 자신의 가입자식별카드(10)를 자유롭게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가입자식별카드(10)를 소지한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장치(100)에 자신의 가입자식별카드(10)를 자유롭게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장치의 구분 없이 한 가입자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적용/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가입자식별정보가 기록된 가입자식별카드를 소지한 가입자가 다양한 단말장치에 자신의 가입자식별카드를 자유롭게 장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장치의 구분 없이 한 가입자에 대응하여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적용/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이용 품질 및 환경, 서비스 운영자 및 이용자의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성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시스템 구축 및 단말인증장치 및 위치등록장치 및 이들을 통한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 : 가입자식별카드
100 : 단말장치
200 : 호 처리장치
300 : 단말인증장치
400 : 위치등록장치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데이터 서비스 및 이동전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리스트저장부; 및
    가입자식별정보 및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특정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 요청이 호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특정단말장치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인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특정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가입자식별정보가 상기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특정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이동전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제1 인증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특정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가입자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특정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되는 제2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저장부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제1리스트저장부; 및
    상기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제2리스트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상기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상기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상기 제1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전용인 경우,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제2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특정단말장치의 인증이 성공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인증 성공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데이터 서비스 및 이동전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리스트저장단계; 및
    가입자식별정보 및 단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특정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 요청이 호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특정단말장치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수행단계는,
    상기 특정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가입자식별정보가 상기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특정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이동전화 서비스와 관련되는 제1 인증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특정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가입자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특정단말장치에 대해 상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되는 제2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에 따른 인증 결과를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인증 결과 회신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저장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전용의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제1리스트 저장단계; 및
    상기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제2리스트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단계는,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상기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또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전용에 대응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상기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허용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상기 제1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식별정보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 전용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상기 제2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단계는,
    상기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인증불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특정단말장치의 인증이 성공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인증 성공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상기 인증 결과 회신단계를 통해 상기 호 처리장치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00048110A 2010-05-24 2010-05-24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7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110A KR101673445B1 (ko) 2010-05-24 2010-05-24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110A KR101673445B1 (ko) 2010-05-24 2010-05-24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585A KR20110128585A (ko) 2011-11-30
KR101673445B1 true KR101673445B1 (ko) 2016-11-07

Family

ID=45396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110A KR101673445B1 (ko) 2010-05-24 2010-05-24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4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29B1 (ko) * 2006-10-23 2008-03-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usim 카드 이동성을 제공하는 방법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243A (ko) * 2003-10-01 2005-04-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1X 시스템과 1xEV-DO 시스템간의 페이징 터널링을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37738B1 (ko) * 2008-05-19 2015-07-17 주식회사 케이티 Usim 카드 패스워드 관련 자동 안내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장치
KR101514328B1 (ko) * 2008-06-05 2015-04-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데이터의 저장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29B1 (ko) * 2006-10-23 2008-03-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usim 카드 이동성을 제공하는 방법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585A (ko)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9823B2 (en) Method for legitimately unlocking a SIM card lock, unlocking server, and unlocking system for a SIM card lock
US9026082B2 (en) Terminal identifier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40776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 registration
EP21960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wireless devices
US8503412B2 (en) Process method about the service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user terminal
US99176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and enablement of a virtual SIM on a mobile device
KR20130089651A (ko) 로밍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단말 아이덴티티의 인증
JP2005528851A5 (ko)
WO2010124579A1 (zh) 终端保护方法及系统
CN104717600B (zh) 一种m2m终端/终端外设的可及性管理方法及设备
KR101673445B1 (ko) 다양한 단말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37711B1 (ko) 블랙리스트 인증 방식에 의한 단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9215594B2 (en) Subscriber data management
KR20120054258A (ko) 분실 단말 회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188022A1 (zh) 漫游方法、漫游服务器、移动终端及系统
KR20090120148A (ko) Usim 카드 패스워드 관련 자동 안내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장치
KR101832366B1 (ko) 인바운드 로머에 무 SIM 기기를 통한 WiFi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JP7436738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0218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번호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236487B1 (ko) 불법단말기의 사용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395835B1 (ko) 단말장치 및 인증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160361B1 (ko) 이동 단말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44432B1 (ko) 단말, lbs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접속 서버 설정 방법 그리고 lbs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1714366B1 (ko)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2683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데이터의 저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