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801B1 - 인필터 방식 주사기 - Google Patents

인필터 방식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801B1
KR101672801B1 KR1020160088701A KR20160088701A KR101672801B1 KR 101672801 B1 KR101672801 B1 KR 101672801B1 KR 1020160088701 A KR1020160088701 A KR 1020160088701A KR 20160088701 A KR20160088701 A KR 20160088701A KR 101672801 B1 KR101672801 B1 KR 10167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liquid
filter housing
valv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준
Original Assignee
김봉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준 filed Critical 김봉준
Priority to KR102016008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782Devices aiding filling of syringes in sit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using additional parts, e.g. clamping rings or col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4Filling or re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8Incorporating one-way valves, e.g. pressure-relief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필터장치는 주사기본체에 결합되는 허브부에 장착되는 필터하우징부와, 필터하우징부에 장착되어 필터하우징부와의 사이에 유동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론트팁과, 유동공간부에 배치되어 액체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필터 방식 주사기{FILTER SYRINGE}
본 발명은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에 혼입된 이물질이 주사기본체에 유입되기 전에 여과할 수 있는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에 주사액을 주입할 때 유리앰플의 상부를 부러뜨리고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유리앰플에 넣어서 주사액을 주사기에 주입한다. 그러나 유리앰플의 상부를 부러뜨릴 때 발생된 유리파편이 주사액에 혼입되어 주사액과 함께 주사기로 유입되고, 주사액과 함께 체내에 들어가게 된다. 또한 바이알에서 주사액을 주사기로 흡입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고무분진 등이 주사액과 함께 체내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유리파편 또는 고무분진이 체내에 유입되면, 유리파편 또는 고무분진이 혈액과 함께 이동하다가 혈관을 막거나 신체조직을 괴사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6135호(2005.02.04. 등록, 발명의 명칭 : 필터형 주사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액체에 혼입된 이물질이 주사기본체에 유입되기 전에 여과할 수 있는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는: 주사기본체에 결합되는 허브부에 장착되는 필터하우징부; 상기 필터하우징부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하우징부와의 사이에 상기 유동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론트팁; 및 상기 유동공간부에 배치되어 액체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하우징부는,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는 내측필터하우징; 및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측필터하우징과 이격되게 상기 내측필터하우징을 둘러싸는 외측필터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론트팁은 상기 외측필터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유동공간부는 상기 프론트팁 및 상기 외측필터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내측필터하우징의 외측면의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론트팁은 선단부에 저장용기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홀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는 상기 내측필터하우징과 상기 외측필터하우징에 각각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는 아세테이트필터, 종이필터, 탄소필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는: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주사기본체; 니들이 관통되고, 액체유입홀부가 구비되며, 상기 주사기본체에 결합되는 허브부;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고,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개폐하는 아우터밸브부; 및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액체의 유동이 가능한 유동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공간부에서 액체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허브부는, 상기 주사기본체에 결합되는 제1허브; 및 상기 제1허브와 내부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니들이 관통되며,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구비하는 제2허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허브부는, 상기 제2허브와 연결되고, 상기 제2허브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니들이 관통되는 보스허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허브는 외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상에 상기 액체유입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우터밸브부는 상기 제2허브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우터밸브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허브를 둘러싸는 제1아우터밸브; 및 상기 제1아우터밸브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에 의해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개폐하는 제2아우터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아우터밸브와 상기 제2아우터밸브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제2아우터밸브가 상기 제1아우터밸브에 대해 외측으로 젖혀짐이 가능하도록 외측면에 회동홈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허브는 외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상에 상기 액체유입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아우터밸브는 내측면이 상기 경사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우터밸브부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허브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통해 전달되는 액체가 통과하도록 내부에 통과홀부가 구비되는 이너밸브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너밸브부는, 상기 니들을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제1이너밸브; 및 상기 제1이너밸브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통과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이너밸브를 둘러싸고, 상기 통과홀부와 연통되고,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출홀부가 구비되는 제2이너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너밸브부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는 필터하우징부; 상기 필터하우징부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하우징부와의 사이에 상기 유동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론트팁; 및 상기 유동공간부에 배치되어 액체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하우징부는,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는 내측필터하우징; 및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측필터하우징과 이격되게 상기 내측필터하우징을 둘러싸는 외측필터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론트팁은 상기 외측필터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유동공간부는 상기 프론트팁 및 상기 외측필터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내측필터하우징의 외측면의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론트팁은 선단부에 저장용기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홀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는 상기 내측필터하우징과 상기 외측필터하우징에 각각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는 아세테이트필터, 종이필터, 탄소필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측필터하우징이 상기 허브부에 결합되면 상기 아우터밸브부는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내측필터하우징이 상기 허브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아우터밸브부는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폐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앰플이나 바이알 등의 저장용기에서 약액 등의 액체가 주사기본체로 유입될 때 유리파편이나 고무분진 등의 이물질이 주사기본체에 유입되기 전에 여과할 수 있어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아우터밸브부가 액체유입홀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아우터밸브부가 액체유입홀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아우터밸브부가 액체유입홀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아우터밸브부가 액체유입홀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허브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허브부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이너밸브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이너밸브부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아우터밸브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에서 필터장치가 생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에서 프론트팁이 생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아우터밸브부가 액체유입홀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아우터밸브부가 액체유입홀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아우터밸브부가 액체유입홀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아우터밸브부가 액체유입홀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허브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허브부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이너밸브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이너밸브부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의 아우터밸브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에서 필터장치가 생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에서 프론트팁이 생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는 주사기본체(100), 니들(200), 허브부(400), 아우터밸브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사기본체(100)는 약액 등의 액체(L)가 저장되는 공간부(S)가 내부에 구비된다. 주사기본체(100) 내부의 공간부(S)에는 플런저가 장착되고, 플런저가 공간부(S)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유리앰플이나 바이알 등의 저장용기에 저장된 액체(L)를 공간부(S)측으로 흡입하거나, 공간부(S)에 저장된 액체(L)를 니들(20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니들(200)은 공간부(S)와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공간부(S)에 저장된 액체(L)가 외부로 배출되는 동안 배출경로를 이룬다. 본 실시예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에 관한 것이므로, 액체(L)는 니들(200)을 통해 공간부(S)로 흡입되지 않고, 유동공간부(F)를 통해 허브부(400)의 액체유입홀부(422)와 이너밸브부의 통과홀부(321)와 슬릿홀부(322)를 거쳐 공간부(S)로 흡입된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허브부(400)는 주사기본체(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허브부(400)에는 니들(200)이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허브부(400)는 제1허브(410), 제2허브(420), 보스허브(430)를 포함한다.
제1허브(410)는 주사기본체(100) 선단의 외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허브(410)의 내부에는 약액이 유동 가능하게 공간부가 형성된다.
제2허브(420)는 내부가 제1허브(410)의 공간부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도 9를 기준으로 제2허브(420)는 제1허브(410)의 상방에 배치된다. 제2허브(420)는 니들(200)이 관통되며, 액체유입홀부(422)가 구비된다.
제1허브(410)는 제2허브(420)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므로 제1허브(410)와 제2허브(420)의 연결부위에는 단턱(411)이 형성된다. 아우터밸브부(500)는 단턱(411)에 안착되면서 수직 방향(도 9 기준 상하 방향)의 이동이 구속된다.
보스허브(430)는 제2허브(420)와 연결되고, 제2허브(420)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며, 니들(200)이 관통된다. 보스허브(430)는 니들(200)의 외측면과 접촉된 채로 둘러싸면서 니들(200)을 지지할 수 있다.
액체유입홀부(422)는 제2허브(420) 상에서 보스허브(4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액체유입홀부(422)를 정의하는 경계면은 일부는 제2허브(420)에 위치하고, 나머지는 보스허브(430)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허브(420)는 외측면에 아우터밸브부(500)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를 편의상 허브경사면(421)이라 지칭한다. 허브경사면(421)은 제2허브(420)의 상부(도 9 기준)에 위치하며, 허브경사면(421) 상에 액체유입홀부(422)가 형성된다.
아우터밸브부(500) 중 제2아우터밸브(520)의 내측면이 허브경사면(421)에 밀착된 상태로 놓이게 되면 액체유입홀부(422)는 아우터밸브부(500)에 의해 폐쇄된다(도 5). 허브경사면(421)은 액체유입홀부(422)와 동일한 개수만큼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액체유입홀부(422)를 개폐하는 아우터밸브부(500)의 제2아우터밸브(520) 역시 액체유입홀부(422)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체유입홀부(422)는 제2허브(420), 구체적으로 허브경사면(421)에 2개가 형성되고, 제2아우터밸브(520) 역시 2개가 형성된다.
도 4 및 도 13을 참조하면, 아우터밸브부(500)는 허브부(400), 구체적으로 제2허브(42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액체유입홀부(4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아우터밸브부(500)가 액체유입홀부(422)를 개방하면 액체는 액체유입홀부(422)를 통해 유입된 후 주사기본체(100)의 공간부(S)로 공급된다.
아우터밸브부(500)는 제1아우터밸브(510), 제2아우터밸브(520)를 포함하고,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아우터밸브(5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허브(420)를 둘러싼다. 제2아우터밸브(520)는 제1아우터밸브(510)의 일측(도 13 기준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아우터밸브(520)가 제1아우터밸브(510)에 대해서 회동하는 방향에 따라 제2아우터밸브(520)는 액체유입홀부(422)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아우터밸브(52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도 7 기준 외측 방향)으로 젖혀지는 경우, 제2아우터밸브(520)는 허브경사면(421)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액체유입홀부(422)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액체유입홀부(422)를 통해 액체의 유동이 가능해진다. 제2아우터밸브(520)는 플런저가 주사기본체(100) 상에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액체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액체유입홀부(422)를 개방함으로써 액체유입홀부(422)를 통한 액체의 유입이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한 쌍의 제2아우터밸브(520)가 원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도 5 참조), 제2아우터밸브(520)는 허브경사면(421)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액체유입홀부(422)를 폐쇄하게 된다. 제2아우터밸브(520)는 플런저가 주사기본체(100)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액체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액체유입홀부(422)를 폐쇄함으로써 액체유입홀부(422)를 통한 액체의 유동을 차단하고, 액체유입홀부(422)를 통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제1아우터밸브(510)와 제2아우터밸브(520)의 연결부위에는 제2아우터밸브(520)가 제1아우터밸브(510)에 대해 외측으로 젖혀짐이 가능하도록 외측면에 회동홈부(5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회동홈부(511)가 아우터밸브부(500)의 외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한 쌍의 제2아우터밸브(52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젖혀짐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제2아우터밸브(520)는 니들(200) 선단측의 단부(도 7 기준 상단) 내경이 선단(521, 도 7 기준 상단)으로 갈수록 커진다. 이에 따라 내측필터하우징(620)이 허브부(40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내측필터하우징(620)의 미단(621)과 제2아우터밸브(520)의 접촉 시 제2아우터밸브(5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는 이너밸브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밸브부(300)는 허브부(4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액체유입홀부(422)를 통해 전달되는 액체가 통과하도록 내부에 통과홀부(321)가 구비된다.
이너밸브부(300)는 제1이너밸브(310), 제2이너밸브(320)를 포함하고,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이너밸브(310)는 니들(200)을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니들지지홀부(311)가 구비된다. 제2이너밸브(320)는 제1이너밸브(310)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통과홀부(321)가 형성되도록 제1이너밸브(310)를 둘러싼다. 제1이너밸브(310)와 제2이너밸브(320)는 보강리브(330)를 통해 연결되고, 제2이너밸브(320)의 외측면에는 경사면(325)이 형성된다.
제2이너밸브(320)에는 통과홀부(321)와 연통되고,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릿홀부(322)가 구비된다. 플런저가 주사기본체(100) 상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액체(L1)가 주사기본체(100)로 유입 또는 흡입되는 과정에서 액체(L1)는 통과홀부(321)를 거친 후 슬릿홀부(322)를 통해 주사기본체(100)에 공급된다.
반면 슬릿홀부(322)가 좁고 기다란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플런저가 주사기본체(100)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액체(L2)가 주사기본체(10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는 액체(L2)가 슬릿홀부(322)를 통해서는 배출되지 못하고, 니들지지홀부(311)에 설치되는 니들(200)을 통해서만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너밸브부(300)는 주사기본체(100)를 향하는 방향에 슬릿홀부(322)가 구비됨에 따라, 액체(L2) 배출시의 흐름 경로를 니들(200)을 통하는 경로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액체(L2)가 슬릿홀부(322)를 통해 배출되어 손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터 방식 주사기는 필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장치는 허브부(400)에 장착되고, 내부에 액체의 유동이 가능한 유동공간부(F)가 구비되며, 유동공간부(F)에서 액체(L) 내의 이물질(T)을 여과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는 필터하우징부(600), 필터(700), 프론트팁(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터하우징부(600)는 허브부(4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필터하우징부(600)는 외측필터하우징(610), 내측필터하우징(620)을 포함한다.
외측필터하우징(610)과 내측필터하우징(620)은 서로 다른 부위에서 허브부(400)에 각각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필터하우징(610)은 제1허브(410)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되고, 내측필터하우징(620)은 보스허브(430)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된다.
내측필터하우징(620)이 허브부(400), 본 실시예에서 보스허브(430)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아우터밸브(520)는 외측으로 젖혀지면서 액체유입홀부(422)를 개방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액체가 주사기본체(100)로 흡입되는 과정이 완료되고 내측필터하우징(620)이 보스허브(430)로부터 분리되면 제2아우터밸브(520)는 액체유입홀부(422)를 폐쇄하게 된다.
외측필터하우징(610)은 내측필터하우징(620)과 이격되게 내측필터하우징(6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측필터하우징(620)과 외측필터하우징(610)이 이격되는 공간 상에 유동공간부(F)가 형성되고, 필터(700)가 내측필터하우징(620)과 외측필터하우징(610)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유동공간부(F)에 배치되어 액체(L)에 혼입된 이물질(T)을 여과한다. 필터(700)는 아세테이트필터, 종이필터, 탄소필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팁(800)은 필터하우징부(600), 본 실시예에서 외측필터하우징(610)에 장착되어 필터하우징부(600)와의 사이에서 유동공간부(F)를 형성한다.
유동공간부(F)는 프론트팁(800)의 내측면과 내측필터하우징(620)의 외측면 사이 공간, 외측필터하우징(610)의 내측면과 내측필터하우징(620)의 외측면 사이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프론트팁(800)은 선단부에 저장용기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홀부(810)가 구비된다. 이로써 유입홀부(810)를 통해 프론트팁(800)으로 유입된 액체는 유동공간부(F)를 유동하면서 필터(700)에 의해 유리파편이나 고무분진 등과 같은 이물질(T)이 걸러진 후에야 허브부(400)의 액체유입홀부(422), 이너밸브부의 통과홀부(321)와 슬릿홀부(322)를 거쳐 공간부(S)로 유입된다. 따라서 플런저에 의한 가압에 의해 주사기본체(100)의 공간부(S)에서 사람의 신체 내로 배출되는 액체(L)에 이물질(T)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주사기본체 200 : 니들
300 : 이너밸브부 310 : 제1이너밸브
311 : 니들지지홀부 320 : 제2이너밸브
321 : 통과홀부 322 : 슬릿홀부
325 : 경사면 330 : 보강리브
400 : 허브부 410 : 제1허브
411 : 단턱 420 : 제2허브
421 : 허브경사면 422 : 액체유입홀부
430 : 보스허브 500 : 아우터밸브부
510 : 제1아우터밸브 511 : 회동홈부
520 : 제2아우터밸브 521 : 제2아우터밸브 선단
600 : 필터하우징부 610 : 외측필터하우징
620 : 내측필터하우징 621 : 내측필터하우징 미단
700 : 필터 800 : 프론트팁

Claims (2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주사기본체;
    니들이 관통되고, 액체유입홀부가 구비되며, 상기 주사기본체에 결합되는 허브부;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고,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개폐하는 아우터밸브부; 및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액체의 유동이 가능한 유동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공간부에서 액체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부는, 상기 주사기본체에 결합되는 제1허브; 및
    상기 제1허브와 내부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니들이 관통되며,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구비하는 제2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밸브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허브를 둘러싸는 제1아우터밸브; 및
    상기 제1아우터밸브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에 의해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개폐하는 제2아우터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아우터밸브와 상기 제2아우터밸브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제2아우터밸브가 상기 제1아우터밸브에 대해 외측으로 젖혀짐이 가능하도록 외측면에 회동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부는, 상기 제2허브와 연결되고, 상기 제2허브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니들이 관통되는 보스허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허브는 외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상에 상기 액체유입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밸브부는 상기 제2허브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12. 삭제
  13. 삭제
  14.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주사기본체;
    니들이 관통되고, 액체유입홀부가 구비되며, 상기 주사기본체에 결합되는 허브부;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고,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개폐하는 아우터밸브부; 및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액체의 유동이 가능한 유동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공간부에서 액체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부는, 상기 주사기본체에 결합되는 제1허브; 및
    상기 제1허브와 내부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니들이 관통되며,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구비하는 제2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밸브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허브를 둘러싸는 제1아우터밸브; 및
    상기 제1아우터밸브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에 의해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개폐하는 제2아우터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허브는 외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상에 상기 액체유입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아우터밸브는 내측면이 상기 경사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15. 제7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밸브부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16.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주사기본체;
    니들이 관통되고, 액체유입홀부가 구비되며, 상기 주사기본체에 결합되는 허브부;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고,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개폐하는 아우터밸브부; 및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액체의 유동이 가능한 유동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공간부에서 액체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통해 전달되는 액체가 통과하도록 내부에 통과홀부가 구비되는 이너밸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너밸브부는, 상기 니들을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제1이너밸브; 및
    상기 제1이너밸브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통과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이너밸브를 둘러싸고, 상기 통과홀부와 연통되고,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출홀부가 구비되는 제2이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밸브부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19. 제7항, 제14항,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는 필터하우징부;
    상기 필터하우징부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하우징부와의 사이에 상기 유동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론트팁; 및
    상기 유동공간부에 배치되어 액체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부는,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는 내측필터하우징; 및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측필터하우징과 이격되게 상기 내측필터하우징을 둘러싸는 외측필터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팁은 상기 외측필터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유동공간부는 상기 프론트팁 및 상기 외측필터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내측필터하우징의 외측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팁은 선단부에 저장용기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내측필터하우징과 상기 외측필터하우징에 각각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아세테이트필터, 종이필터, 탄소필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필터하우징이 상기 허브부에 결합되면 상기 아우터밸브부는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내측필터하우징이 상기 허브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아우터밸브부는 상기 액체유입홀부를 폐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터 방식 주사기.
KR1020160088701A 2016-07-13 2016-07-13 인필터 방식 주사기 KR101672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01A KR101672801B1 (ko) 2016-07-13 2016-07-13 인필터 방식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01A KR101672801B1 (ko) 2016-07-13 2016-07-13 인필터 방식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801B1 true KR101672801B1 (ko) 2016-11-04

Family

ID=5753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701A KR101672801B1 (ko) 2016-07-13 2016-07-13 인필터 방식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8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979B1 (ko) * 2013-04-08 2013-12-03 천진호 약액의 흡입 및 주입용 필터 허브 조립체
KR101600562B1 (ko) * 2014-07-08 2016-03-07 (주)세인메덱스 스틱 인저리 방지기능을 갖는 필터형 주사기
US20160067410A1 (en) * 2013-05-17 2016-03-10 Carrtech Llc Filtering Needle Cap
KR101610127B1 (ko) * 2016-02-22 2016-04-08 육영수 회전개봉식 흡입부를 구비한 필터니들 및 필터주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979B1 (ko) * 2013-04-08 2013-12-03 천진호 약액의 흡입 및 주입용 필터 허브 조립체
US20160067410A1 (en) * 2013-05-17 2016-03-10 Carrtech Llc Filtering Needle Cap
KR101600562B1 (ko) * 2014-07-08 2016-03-07 (주)세인메덱스 스틱 인저리 방지기능을 갖는 필터형 주사기
KR101610127B1 (ko) * 2016-02-22 2016-04-08 육영수 회전개봉식 흡입부를 구비한 필터니들 및 필터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712B2 (en) Filter device and liquid inje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US5242411A (en) Piercing needle having hydrophobic filter vent
KR101535350B1 (ko) 내부 필터를 구비한 모세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EP2420276A2 (en) Drug filling and flow control apparatus, and drug injec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RU2676440C1 (ru) Фильтрующий шприц
KR101680211B1 (ko) 주사기 내장용 필터 조립체를 이용한 안전 주사기.
JP6591065B2 (ja) フィルター注射器
AU2017213426B2 (en) Syringe
KR101594447B1 (ko) 필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EP3466468A1 (en) Outer cap of medicinal fluid injection instrument
KR101672801B1 (ko) 인필터 방식 주사기
KR101802507B1 (ko) 인필터 방식 주사기
CA3001540C (en) Syringe
KR101891223B1 (ko) 내장용 필터 조립체를 이용한 안전 주사기
KR200492869Y1 (ko) 에어 차단기능을 갖는 드립챔버
KR101817749B1 (ko) 주사기용 약액 필터
KR102021562B1 (ko) 분지관형 필터 주사기, 이를 이용한 약액 필터링 및 주사 방법
KR101200854B1 (ko) 흡입과 토출 기능의 개폐밸브를 갖는 주사기
KR101504456B1 (ko)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주사기
JP2014533161A (ja) 流体注入器具を穿刺可能フラスコとインタフェース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744291B1 (ko) 의료용 약액 필터링장치
KR101628998B1 (ko) 필터가 구비된 무바늘형 인젝션 포트
KR20200135020A (ko) 주사기용 안전필터 조립체
KR20220136741A (ko) 주사기용 필터기구
JP2015112409A (ja) 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