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426B1 - 단말 - Google Patents
단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2426B1 KR101672426B1 KR1020100008307A KR20100008307A KR101672426B1 KR 101672426 B1 KR101672426 B1 KR 101672426B1 KR 1020100008307 A KR1020100008307 A KR 1020100008307A KR 20100008307 A KR20100008307 A KR 20100008307A KR 101672426 B1 KR101672426 B1 KR 1016724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ircuit board
- printed circuit
- antenna carrier
- antenn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071 polychlorinated bipheny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통신회로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PCB);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결합된 USB커넥터; 인쇄회로기판의 타측에 실장(mounted)된 안테나 케리어(antenna carrier); 및 안테나 케리어에 마련된 인증카드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증카드 소켓을 장착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서 단말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증카드 소켓을 장착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서 단말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전력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uplink transmit power)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기지국에서의 수신 신호의 크기를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향링크 전송에서 전송전력이 너무 약하면 기지국이 단말의 전송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 반대로 전송전력이 너무 강하면 단말의 전송 신호는 타 단말의 전송 신호에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고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증가시킨다.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여 수신 신호의 크기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단말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데이터 전송률 등을 적응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말은 휴대하여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크기와 무게가 최소화된 단말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인증카드 소켓을 장착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서 단말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통신회로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PCB);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결합된 USB커넥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측에 실장(mounted)된 안테나 케리어(antenna carrier); 및 상기 안테나 케리어에 마련된 인증카드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회로는, LTE 규격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케리어는, 소정 체적(solid content)의 내부 공간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카드 소켓은, 상기 내부 공간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케리어는, 실질적으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케리어는, 복수의 면에 걸쳐 형성된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길이방향의 일 끝단측이며, 상기 타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길이방향의 타 끝단측일 수 있다.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인증카드 소켓과 연통되도록 삽입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장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경우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끝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증카드 소켓은,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모듈 카드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일 끝단 측에 식별모듈 카드의 삽입공이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되, LTE 규격에 따러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회로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되, 상기 삽입공에 연통된 인증카드 소켓이 마련된 안테나 케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타 끝단 측에는, 다른 디바이스의 USB포트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USB커넥터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인증카드 소켓을 장착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서 단말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3GPP LTE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3GPP LTE의 물리 계층에 해당하는 통신 채널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 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 단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 안테나 케리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 안테나 케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4 단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3GPP LTE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3GPP LTE의 물리 계층에 해당하는 통신 채널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 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 단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 안테나 케리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 안테나 케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4 단말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Wi-Fi), IEEE 806.11(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이하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11)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cell)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Mobile Station, MS; 10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AT(Access Terminal) 등 다른 용어로 호칭될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0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N(Access Network) 등 다른 용어로 호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은 기지국(11)에서 단말(10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은 단말(100)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전송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전송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 2는 3GPP LTE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RB(resource block)를 포함한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SC-FDMA 심벌 또는 심벌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RB는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된 OFDM 심벌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3GPP LTE의 물리 계층에 해당하는 통신 채널들의 예를 도시한다. 3GPP LTE에서 이용되는 상향링크 채널은, 랜덤 억세스(random access)를 위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 전송을 위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데이터(data) 전송을 위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USCH는, 데이터 전송 뿐만 아니라 LTE 규격이 정의하는 PUSCH 전송 및 구성 방법에 따라서 제어 정보와 데이터가 다중화된 정보나, 제어 정보로만 구성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랜덤 억세스 정보(random access information)은, 상기 기지국(11)과 상기 단말(10) 사이에서 랜덤 억세스를 위한 정보로서 중요성을 가진다.
그리고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커버리지 밸런스(coverage balance) 및 하향링크에 대한 피드백(feedback) 등의 중요성을 가진다.
상기 상향링크 채널의 각각에 대한 상세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인터페이스부(150), 메모리(140), 제어부(160) 및 전원 공급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100)과 무선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100)과 단말(1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 규약에 의한 무선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CDMA, WCDMA 및 LTE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무선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가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통신 규약에 의한 무선통신을 제공하는 경우, 각각의 무선통신 규약에 따른 무선통신 기능은 하나의 칩(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상기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5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에서는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래에서 설명할 전원 공급부(120)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부(120)가 다른 디바이스(도 10의 200)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50)의 역할을 함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제어부(16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통상적으로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한 데이터 통신, 상향링크 채널의 전송전력 제어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로 전원을 인가하는 장치는 다른 디바이스(도 11의 200)일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도 11의 200)은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탐 컴퓨터, 이동 단말기 등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로 전원이 공급되는 방법은 USB(Universal Serial Bus), DC-JACK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5는 도 4 단말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케이스(106)와, 케이스(106)의 전단에 돌출된 USB커넥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6)는 단말(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케이스(106)는 외부의 충격, 온도 변화, 습도 변화로부터 단말(100) 내부의 부속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충격 등으로부터 내부 부속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스(106)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각종 합성수지(synthetic resin) 재질일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6)는 1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케이스(106)가 굽혀진 부분 없이 막대형으로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단말(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6)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106)는 제 1케이스(102)와 제 2케이스(104)를 따로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다. 케이스(106)에는 삽입공(103)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공(103)은 케이스(106) 내부에 마련된 케리어 삽입공(도 7의 173)에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삽입공(103)은 각종 식별모듈 카드(도 7의 C)를 삽입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삽입공(103)의 구체적인 위치와 크기는, 단말(100)에 사용될 식별모듈 카드(도 7의 C)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USB커넥터(152)는 단말(100) 내부의 회로와 다른 디바이스(도 10의 200)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즉, 단말(100) 내부에 마련된 소자(도 7의 E)를 다른 디바이스(도 10의 200)에 마련된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USB커넥터(152)는 표준 규약에 따라서, 접점들을 포함하며 그 외형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금속재질로 형성된 USB커넥터(152)는 다른 디바이스(도 10의 200)에 연결된 경우에 일정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L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USB커넥터(152)가, 케이스(106)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스(106)의 끝단과 90도 정도의 각을 이루며 마련된 경우를 의미한다. L자형 단말(100)은, 다른 디바이스(도 10의 200)와 결합하는 경우에 측면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USB커넥터(152)는 케이스(106)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USB커넥터(152) 부분을 회전시킴으로써 단말(100)을 일자형 또는 L자형으로 변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은 도 4 단말의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케이스(106) 내부에 마련된 PCB(S)와, PCB(S)의 일 끝단 측에 실장된 안테나 케리어(170)를 포함할 수 있다.
PCB(S)는 단말(100)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소자(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자(E)들은 LTE 규격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소자(E)들이 LTE 규격에 따라 통신하여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른 디바이스(도 10의 200)으로 전달하고, 다른 디바이스(도 10의 200)에서 전달받은 데이터가 소자(E)들을 거쳐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에서는, PCB(S)가 1개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PCB(S)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케이스(106)의 내부에 복수개의 PCB(S)가 적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PCB(S)에는 소자(E)에서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구조물이 결합될 수도 있다. PCB(S)의 길이방향 일 끝단에는 USB커넥터(152)가 마련되고, USB커넥터(152)가 마련된 반대 방향에는 안테나 케리어(170)가 마련될 수 있다.
안테나 케리어(170)는 USB커넥터(152)의 타 측에 실장(mounted)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USB커넥터(152)는 다른 디바이스(도 10의 200)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USB커넥터(152) 측은 다른 디바이스(도 10의 200)에서 발생되는 각종 전자파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른 디바이스(도 10의 200)에 마련된 USB포트(미도시)와 결합된 USB커넥터(152)의 접점에서 각종 전자파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전자파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안테나 케리어(170)는 USB커넥터(152)의 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PCB(S)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USB커넥터(152)와 안테나 케리어(170)는 각각 일측과 타측에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안테나 케리어(170)가 PCB(S)에 실장되는 형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케리어(170)가 PCB(S)의 상면 또는 하면에 얻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케리어(170)가 PCB(S)의 끝 부분에 삽입되며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안테나 케리어(170)는 일정한 체적(solid content)의 내부 공간영역(도 8의 177)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LTE의 로우밴드(low band) 및 멀티밴드(multi band) 안테나를 구현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안테나 케리어(170)의 체적을 확장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안테나 케리어(170)의 체적을 확장시키는 경우에, 안테나 케리어(170)에 마련된 안테나 패턴(175)을 육면체 형상인 안테나 케리어(170)의 복수의 면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즉, 안테나 케리어(170)의 제 1면(171)과 제 2면(712)에 걸쳐 안테나 패턴(175)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2개의 면 이상에 안테나 패턴(175)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안테나 패턴(175)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최소한의 면적에 가능한 많은 안테나 패턴(175)을 형성할 수 있다. 4 세대 이동 통신 기술은 핵심 기술은 다중 입출력(Multi-Input Multi-Output, MIMO) 기술이다. 다중 입출력 기술은 모바일 환경에서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중 안테나 신호 처리 방식으로써 다수의 안테나로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함으로써 광대역 무 데이터 통신을 구현하고 송수신 속도를 크게 향상시켜 전송 효율을 높여 준다. 다중 입출력(MIMO) 기술을 이용하여 송신단에 N 개의 안테나를 배열하고 수신단에도 N 개의 안테나를 배열해서 신호를 보내면 N 배의 전송률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다중 입출력 기술은 4 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대표적인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사용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과 함께 사용하면 전송속도의 고속화와 데이터의 대용량화가 가능해져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최적화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OFDM 기술은 주파수와 시간을 나누어서 할당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채널을 여러 개로 나누어 전송할 수 있고, 서브 채널간 오버래핑으로, 서브 채널간 오버래핑으로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고 주파수 대역을 수백 개로 나누어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4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N 개의 안테나 패턴(175)을 안테나 케리어(170)에 형성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175)을 복수의 면에 표시하기 위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안테나 케리어(170)는 육면체 형상 등의 일정한 부피가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안테나 케리어(170)의 내부에는 일정한 공간영역(도 8의 177)이 발생할 수 있다.
안테나 케리어(170)의 일 측면에는 케리어 삽입공(173)이 마련될 수 있다. 케리어 삽입공(173)은, 케이스(106)에 마련된 삽입공(103a, 103b)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식별모듈 카드(C)를 삽입공(103, 103b)으로 삽입하는 경우에, 자연스럽게 케리어 삽입공(173)을 통과하게 될 수 있다. 해당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삽입공(103a, 103b)는 도시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공(103a. 103b)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케리어 삽입공(173)의 위치도 그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도 7 안테나 케리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케리어(170)는, 내부에 마련된 공간영역(180)에 마련된 인증카드 소켓(18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카드 소켓(180)은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식별모듈 카드(C)를 결합할 수 있는 소켓이다. 인증카드 소켓(180)은 안테나 케리어(170) 내부의 공간영역(180)에 마련될 수 있다. 공간영역(18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의 안테나 케리어(170)의 구조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인증카드 소켓(18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추가해야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인증카드 소켓(180)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단말(100) 전체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00)의 성능 중 휴대성은 중요한 요소이다. 인증카드 소켓(180)을 설치함에도 그로인하여 추가적인 체적의 증가가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서, 해당 단말(100)에 대한 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증카드 소켓(180)은 단자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181)는 인증카드 소켓(180)에 솔더링(soldering) 등의 방법으로 접착될 수 있다. 단자부(181)는, 식별모듈 카드(C)가 결합되면 식별모듈 카드(C)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카드 단자부(미도시)에 접촉된다. 양 단자가 접촉됨으로써 식별모듈 카드(C)와 단말(100) 간에 데이터 교환이 가능해질 수 있다. 케리어 삽입공(173)은 식별모듈 카드(C)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되어, 식별모듈 카드(C)가 삽입되는 통로이다. 케리어 삽입공(173)는 삽입공(도 5 및 도 6의 103)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도 4 안테나 케리어의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안테나 케리어(170)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식별모듈 카드(C)를 결합할 수 있다.
제 1방향(CA) 또는 제 3방향(CC)는 안테나 케리어(170)의 좌우측면 방향으로 식별모듈 카드(C)가 결합됨을 의미한다. 제 1,3방향(CA, CC)으로 식별모듈 카드(C)를 결합하기 위하여, 삽입공(도 5의 103), 케리어 삽입공(도 7의 173), 인증카드 소켓(도 7의 180) 등 관련 부분의 위치가 그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제 2방향(CB) 및 제 4방향(CD)는 안테나 케리어(170)의 전후측면 방향으로 식별모듈 카드(C)가 결합됨을 의미한다. 제 4방향(CD)의 경우에는 케이스(도 7의 106)의 내부에 식별모듈 카드(C)가 결합되므로, 단말(100)의 조립공정 과정에서 식별모듈 카드(C)가 삽입되는 경우일 수 있다.
식별모듈 카드(C)는, 전술한 제 1 내지 4방향(CA 내지 CD) 외에도, 설계상 필요한 경우라면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20 : 전원 공급부 140 : 메모리
150 : 인터페이스부 160 : 제어부
120 : 전원 공급부 140 : 메모리
150 : 인터페이스부 160 : 제어부
Claims (12)
-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통신회로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PCB);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결합된 USB커넥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측에 실장(mounted)된 안테나 케리어(antenna carrier); 및
상기 안테나 케리어에 마련된 인증카드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USB커넥터는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회동되고,
상기 안테나 케리어는 복수의 면에 걸쳐 형성된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회로는,
LTE 규격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케리어는, 소정 체적(solid content)의 내부 공간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카드 소켓은, 상기 내부 공간영역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케리어는,
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케리어는,
복수개의 안테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길이방향의 일 끝단측이며,
상기 타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길이방향의 타 끝단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경우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끝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인증카드 소켓과 연통되도록 삽입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카드 소켓은,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모듈 카드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8307A KR101672426B1 (ko) | 2010-01-29 | 2010-01-29 | 단말 |
EP11000582.4A EP2355628B1 (en) | 2010-01-29 | 2011-01-25 | Mobile terminal |
US13/016,908 US8749980B2 (en) | 2010-01-29 | 2011-01-28 | Mobile terminal |
CN201110037589.9A CN102158573B (zh) | 2010-01-29 | 2011-01-31 | 移动终端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8307A KR101672426B1 (ko) | 2010-01-29 | 2010-01-29 | 단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8686A KR20110088686A (ko) | 2011-08-04 |
KR101672426B1 true KR101672426B1 (ko) | 2016-11-03 |
Family
ID=44927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8307A KR101672426B1 (ko) | 2010-01-29 | 2010-01-29 | 단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24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80070A (ko) | 2022-11-29 | 2024-06-05 | (주)티엠에스피 | Sim 카드 리더 키트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602567Y (zh) * | 2002-12-26 | 2004-02-04 | 天津市昊天科技发展有限公司 | Gprs无线调制解调器 |
US20070173123A1 (en) * | 2006-01-23 | 2007-07-26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Combination antenna and sim card support structure |
JP2009070003A (ja) | 2007-09-11 | 2009-04-0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Simホルダー |
KR100930821B1 (ko) | 2007-11-14 | 2009-12-10 | (주)애니쿼터스 | 이동통신 단말기용 rf공유 연결모듈 및 이를 이용한 rf통신방법 |
-
2010
- 2010-01-29 KR KR1020100008307A patent/KR1016724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602567Y (zh) * | 2002-12-26 | 2004-02-04 | 天津市昊天科技发展有限公司 | Gprs无线调制解调器 |
US20070173123A1 (en) * | 2006-01-23 | 2007-07-26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Combination antenna and sim card support structure |
JP2009070003A (ja) | 2007-09-11 | 2009-04-0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Simホルダー |
KR100930821B1 (ko) | 2007-11-14 | 2009-12-10 | (주)애니쿼터스 | 이동통신 단말기용 rf공유 연결모듈 및 이를 이용한 rf통신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8686A (ko) | 2011-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49980B2 (en) | Mobile terminal | |
US10701724B2 (en) | Time density and frequency density determination of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s (PT-RS) in new radio (NR) systems | |
US20210359392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ntennas | |
CN107040354B (zh) | 上行dmrs的配置方法、网元、上行dmrs的传输方法和装置 | |
CN102893569B (zh) | 用于改善的控制信道发射分集的系统和方法 | |
US20230077065A1 (en) | Methods and devices for feeding back and configuring pilot parameters,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 |
CN108112076B (zh) | 配置上行信号的方法及装置 | |
US9647808B2 (en) | Bandwidth in wireless communications | |
EP3200275A1 (en) |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 |
JP7477568B2 (ja) | 通信デバイスおよび通信デバイスにおける方法 | |
US11962071B2 (en) |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ntenna | |
US20140106818A1 (en) | Wireless Terminal Device | |
CN111246589B (zh) | 一种随机接入信号发送方法及装置 | |
CN110336578A (zh) | 射频电路及电子设备 | |
CN109792351A (zh) | 参考信号设计 | |
US12040547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 |
CN109155975A (zh) | 射频拉远单元通道发射功率设置的方法和基站 | |
CN108123785A (zh) | 通信方法及系统 | |
KR101672426B1 (ko) | 단말 | |
CN109391571B (zh) | 相位噪声估计方法及设备 | |
US10666328B2 (en) | User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ellular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and D2D communication | |
CN108631835B (zh) | 一种传输方式的信令指示方法及装置 | |
CN110176942B (zh) | 射频电路及电子设备 | |
US9825681B2 (en) | Communication station with elevation beamforming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 |
KR101672428B1 (ko) | 단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 |